KR101313591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591B1
KR101313591B1 KR1020110126833A KR20110126833A KR101313591B1 KR 101313591 B1 KR101313591 B1 KR 101313591B1 KR 1020110126833 A KR1020110126833 A KR 1020110126833A KR 20110126833 A KR20110126833 A KR 20110126833A KR 101313591 B1 KR101313591 B1 KR 10131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heat
air
duct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654A (ko
Inventor
이재근
박민찬
Original Assignee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2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5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부와,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가열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동일한 건조 성능을 달성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공기를 이용하는 건조하는 가전제품을 지칭한다. 이러한 건조기는 세탁물이 수용되기 위한 드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를 향하여 고온의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세탁물을 건조하게 된다.
또한, 건조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해진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는, 상기 드럼부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해진 공기가 냉각됨으로써, 공기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배출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가열된 후 다시 상기 드럼부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구조를 가진다.
배기식 건조기는, 상기 드럼부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해진 공기가 상기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드럼부로는 새로운 공기가 가열되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건조기는 상기 드럼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78377호(2011.07.07)에 제시되는 건조기와 같이, 상기 가열부는 전기저항열을 이용하는 저항코일히터나, 가스의 연소를 이용하는 버너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저항코일히터나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효율의 한계로 인하여, 소비전력 즉,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북미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소비전력에 대한 규제 기준에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78377호(2011.07.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부와,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 의하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가열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건조 성능을 달성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공기 유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에서 열전소자가 고정되는 형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운전 중 소비전력 추이를 보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소비전력 감소 효과를 보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B-B'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공기 유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1실시예에서 열전소자가 고정되는 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운전 중 소비전력 추이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소비전력 감소 효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부(120)와,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120)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130)와, 상기 덕트부(13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부(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열부(150,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조대상물은 예를 들면 세탁물을 포함하여 건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120)의 전면에는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드럼부(120)의 개구부(122)에 대응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개구부(112)는 도어(10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120)에 인접한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프런트 서포터(114) 및 저널 베어링 부재(116)가 더 포함되어, 상기 프런트 서포터(114) 및 저널 베어링 부재(116)가 상기 드럼부(12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드럼부(1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가 롤러 등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런트 서포터(114)는 캐비닛(110)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부(120)가 회전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저널 베어링 부재(116)도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부(120)가 상기 저널 베어링 부재(116)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부(120)의 전면에 인접한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에는 상기 덕트부(1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덕트부(130)의 내부에는 송풍팬(132)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부(120)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의 배출을 강제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132)에 인접한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132)에 연결되는 모터(134)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덕트부(130)의 타단은 상기 드럼부(120)의 후면에 인접한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부(120)의 공기가 상기 덕트부(13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덕트부(130)가 연결되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에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덕트부(13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50)는, 상기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해진 후 후술할 응축기(140)를 통과해 제습되어 건조해진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응축기(14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히터(150)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드럼부(120)로 다시 공급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순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기(14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를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또한,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습해진 공기와 열교환시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0)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펌프 및 배수배관 등에 의하여 상기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140)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외기 덕트(144)가 구비되어, 상기 외기 덕트(144)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기(1)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외기 덕트(144)의 타단은 상기 응축기(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덕트(144)를 통하여 외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외기팬(142)이 상기 외기 덕트(144)의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140)를 통과하여 건조해진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0)의 하류 측에 해당하는 상기 덕트부(130)에는 열전소자(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60)는 상기 히터(150)와 함께, 상기 응축기(140)를 통과하면서 건조해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50,160)로 지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160)는 펠티어 효과 즉, 전기가 인가되면 일면은 흡열, 타면은 발열을 하는 특성을 가진 반도체로 구성된 소자를 의미한다. 상기 열전소자(160)는 히트펌프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이론적으로는 발열 효율이 160%에 이른다. 또한, 일반적으로 열전소자(160)의 냉각 효율보다는 발열 효율이 월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론적인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열부 및 흡열부 간의 온도 차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점에서, 발열부 및 흡열부 중 사용하고자 하는 면뿐만 아니라 나머지 면도 함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를 들면 핀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부(130)에 열전소자(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부(130)는 열전소자 설치부(16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162)에는 상기 열전소자(160)가 관통 설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홀(163)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162)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열전소자(160)가 설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홀(163)을 가지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162)의 내외부에는 상기 열전소자(160)에 의한 발열 및 흡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핀(164,166)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162)의 내부에는, 공기에 대한 상기 열전소자(160)의 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방열핀(16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162)의 외부에는, 상기 열전소자(160)의 흡열측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흡열핀(16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건조기(1)는, 상기 드럼부(120), 송풍팬(132), 모터(134), 히터(150), 열전소자(160) 등 상기 건조기(1)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기(1)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건조기(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는 상기 히터(150) 및 열전소자(160)와 같이 복수개의 가열부(150,160)를 포함하므로,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가열부(150,16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터(150)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열전소자(160)만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열전소자(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최단시간에 건조 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터(150) 및 열전소자(160)가 모두 함께 작동되어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는 예열, 항율건조, 감율건조, 냉각 등과 같은 과정을 거쳐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예열 과정은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위하여 상기 덕트부(130) 및 드럼부(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항율건조 과정은 상기 덕트부(130) 및 드럼부(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증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감율건조 과정은 건조대상물의 건조가 완료되어 상기 덕트부(130) 및 드럼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감소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냉각과정은 가열부(150,160)의 작동이 정지되어 미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을 냉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운전 과정에 걸쳐, 소비전력은 예열, 항율건조 과정에서 비교적 높고, 감율건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낮아지며, 냉각 과정에서 최소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동일한 건조 성능 즉, 동일한 발열량을 기준으로 볼 때, 열전소자(160)의 발열을 이용하여 히터(150)의 역할을 50% 대체하면 히터(15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고, 100% 대체하면 50% 대체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낮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열전소자(160)의 발열 효율이 히터(150)의 발열 효율에 비하여 월등히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평균적인 소비전력량을 비교해보면, 종래의 건조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이 5.503kWh로서, 북미 규제 기준에 해당하는 4.783kWh를 초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열전소자(160)의 발열을 이용하여 히터(150)의 역할을 50% 대체하는 경우에는 4.754kWh로서 북미 규제 기준을 만족할 수 있고, 100% 대체하는 경우에는 3.803kWh로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6 및 7에 제시된 내용은 건조대상물 즉, 세탁물이 9kg인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건조하는 데 필요한 소비전력을 평가한 결과이다.
결국, 상기 건조기(1)에 의하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가열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건조 성능을 달성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열전소자의 흡열부를 이용하여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A-A'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제2실시예의 B-B'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열전소자(260)의 흡열부를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열전소자(260)는, 펠티에 효과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하여 습해진 공기가 상기 흡열부에 의하여 응축된 후, 상기 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되어 드럼부(220)로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부(230) 상에서 상기 열전소자(260)의 흡열부 및 발열부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덕트부(230)는, 열전소자(260)가 설치되기 위한 열전소자 설치부(262)와,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와 함께 공기의 응축 유로(301)를 형성하는 응축 덕트(268)와, 상기 응축 유로(301)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으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 덕트(268)의 하단에 구비되는 응축수 집수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는 내부의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놓인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268)는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보다 넒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268)는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와 함께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는 응축 유로(30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응축 덕트(268)의 하단부가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더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268)를 차폐하도록 상기 응축 덕트(268)의 하단부에 응축수 집수부(27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는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 및 열전소자 설치부(26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상기 응축 유로(301)로부터 하강한 공기가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내부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응축 덕트(268)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의 일측에는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응축수 배수관(272)이 연결된다. 상기 응축수 배수관(272)은 일단이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부(230)를 관통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상단에 연결되는 덕트부(230)는 상기 응축 덕트(268)는 감싸도록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덕트부(230)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응축 덕트(268)의 상단과 이격됨으로써, 상기 덕트부(230)의 절곡된 부분과 상기 응축 덕트(268)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하여 상기 덕트부(230)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응축 유로(301)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268)의 외측에 해당하는 덕트부(2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응축 덕트(268)보다 넓은 단면을 가지도록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230)와 상기 응축 덕트(268)의 사이 공간(303)을 통하여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 유로(301)에는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하여 습해진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도록 흡열핀(264)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내부(305)에는 상기 응축 유로(30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방열핀(266)이 설치된다.
한편, 공기 유동을 설명하면, 상기 드럼부(220)에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상기 덕트부(230)를 따라 상기 응축 유로(301)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응축 덕트(268) 및 덕트부(230)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303)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응축 유로(301)를 향한다. 상기 응축 유로(301)로 유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소자(260)의 흡열부에 의하여 냉각되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응축수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응축수 집수부(270)에 집수된 후, 상기 응축수 배수관(27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 유로(3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262)의 내부 공간(305)을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열전소자(260)의 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드럼부(220)를 향하여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열전소자(260)를 이용하여 공기에 대한 냉각 및 가열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건조기(2)의 전제적인 구조가 더욱 단순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외기 또는 냉각수 등을 이용하여 건조기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는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동을 위한 구성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건조기(2)의 전체적인 구조가 더욱 단순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260)의 흡열부가 외기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건조기(2)의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기 때문에, 상기 열전소자(260)의 흡열량이 더욱 증가하는 만큼, 상기 열전소자(260)의 전체적인 작동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건조기
110 : 캐비닛
120 : 드럼부
130 : 덕트부
140 : 응축기
150 : 히터
160 : 열전소자

Claims (6)

  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부;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상기 덕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및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히터를 포함하여, 에너지 절약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덕트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만 작동하며, 스피드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덕트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 및 열선히터가 모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관통 설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열전소자 설치부를 포함하고,
    공기에 대한 상기 열전소자의 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핀; 및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측 열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흡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소자는, 펠티어 효과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와,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하여 습해진 공기가 상기 흡열부에 의하여 응축된 후, 상기 발열부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드럼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부 상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 및 발열부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및 흡열부가 각각 내측 및 외측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놓이는 열전소자 설치부; 및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와 함께 공기의 응축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응축 덕트;를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응축 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응축 덕트의 하단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응축수 집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상물을 건조하여 습해진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응축 유로에 설치되는 흡열핀; 및
    상기 응축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10126833A 2011-11-30 2011-11-30 건조기 KR10131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33A KR101313591B1 (ko) 2011-11-30 2011-11-30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33A KR101313591B1 (ko) 2011-11-30 2011-11-30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54A KR20130060654A (ko) 2013-06-10
KR101313591B1 true KR101313591B1 (ko) 2013-10-01

Family

ID=488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33A KR101313591B1 (ko) 2011-11-30 2011-11-30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659A1 (en) * 2015-03-30 2016-10-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008994A1 (ko) * 2016-07-07 201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84B1 (ko) * 2014-05-08 2015-03-25 (주) 터보테크닉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CN110195342A (zh) * 2018-02-27 2019-09-03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凝式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19B1 (ko) *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형 응축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0640787B1 (ko)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형 응축장치를 구비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19B1 (ko) *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형 응축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0640787B1 (ko)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형 응축장치를 구비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659A1 (en) * 2015-03-30 2016-10-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179966B2 (en) 2015-03-30 2019-01-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008994A1 (ko) * 2016-07-07 201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06000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9477289A (zh) * 2016-07-07 2019-03-15 Lg电子株式会社 衣服处理设备
EP3483333A4 (en) * 2016-07-07 2020-01-22 LG Electronics Inc. -1- APPARATUS FOR HANDLING CLOTHES
US11021836B2 (en) 2016-07-07 2021-06-01 Lg Electronics Inc. Clothes-handling apparatus
CN109477289B (zh) * 2016-07-07 2021-06-18 Lg电子株式会社 衣服处理设备
US11707542B2 (en) 2016-07-07 2023-07-25 Lg Electronics Inc. Clothes-handling apparatus
KR102611054B1 (ko) * 2016-07-07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54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1453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pump
AU2008295743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US9207015B2 (en) Dryer having evaporator equipped with second condenser
US9200841B2 (en) Clothes dryer
EP2725133B1 (en) Clothes dryer
KR102100473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EP1961853A1 (en) Clothes dryer
KR100640787B1 (ko) 열전모듈형 응축장치를 구비한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313591B1 (ko) 건조기
EP329494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90211107A1 (en) Dryer with cooled motor
US1017996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891673B1 (ko) 건조기
KR101225501B1 (ko) 드럼세탁기
CN219218482U (zh) 底座及干衣设备
KR101366858B1 (ko) 건조기
KR101130408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JP2013085682A (ja) 衣類乾燥機
KR20120014428A (ko) 의류건조기
CN111793952A (zh) 一种热泵干衣机
KR20130037571A (ko) 배기 응축식 의류 건조기
KR100595762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20120014530A (ko) 의류건조기
KR20120014531A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