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18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183B1
KR101921183B1 KR1020180037284A KR20180037284A KR101921183B1 KR 101921183 B1 KR101921183 B1 KR 101921183B1 KR 1020180037284 A KR1020180037284 A KR 1020180037284A KR 20180037284 A KR20180037284 A KR 20180037284A KR 101921183 B1 KR101921183 B1 KR 10192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supply
cabinet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766A (ko
Inventor
이지홍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5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원통형상의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 급수원과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며, 일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연결된 연통관; 상기 연통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된 밸브;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폐쇄하면 상기 연통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진 두 개의 처리장치(터브 및 드럼)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있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류를 구분하여 세탁하거나, 의류의 양에 따라 두 터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한편, 두 개의 처리장치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두 처리장치를 캐비닛 내부에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하였는데,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에서 물이 누수 될 경우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전장품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두 개의 처리장치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세탁이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도어를 통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는 구조였다.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도어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구비되면, 급수 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압력이 높아져 수위감지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고, 물을 가열할 경우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한 처리장치에서 누수가 발생해도 누수된 물이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로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를 폐쇄해도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전방면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 및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에 연통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상기 제1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 상기 제1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급수밸브;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제2투입구에 연통하는 제2터브; 상기 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 상기 제2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급수밸브;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 상기 제2터브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급수밸브가 상기 제2급수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터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터브 히터; 상기 터브 히터가 작동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2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제2급수밸브가 상기 제2급수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원통형상의 터브;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 급수원과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며, 일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연결된 연통관; 상기 연통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된 밸브;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폐쇄하면 상기 연통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터브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 히터가 작동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한 처리장치에서 누수가 발생해도 누수된 물이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로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를 폐쇄해도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차단벽 및 제1터브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차단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처리장치(2, 3),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4, 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2, 3)와 제2처리장치(4, 6)는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2, 3)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장치(4, 6)는 세탁이 가능한 장치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캐비닛(1)은 지면(ground)에 지지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면(12), 상기 상부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비된다. 상기 측면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11)과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전방면(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2, 3)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13)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면(12)에는 상부면(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처리장치(4, 6)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투입구(13)는 상기 전방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도어(1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상기 제2투입구(12)는 상기 상부면(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도어(16)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제1도어(15)는 상기 제1투입구(13) 및 후술할 제1처리장치의 제1터브 투입구(23)까지 동시에 개폐 가능한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16)는 상기 제2투입구(14)만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3)에 연통하는 제1터브(2), 상기 제1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터브(2)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제1터브(2)가 원통형상(cylinder)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터브 바디(21), 상기 제1터브 바디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3)에 연통하는 제1터브 투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 바디(21)는 제1터브 지지부(251, 253, 255)에 의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터브 지지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투입구(13)와 제1터브 투입구(23)는 가스켓(231)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231)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터브 바디(21)는 제1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1배수부를 통해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1급수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와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21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2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213)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15), 상기 제1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배수관(215)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1펌프(21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215)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별도의 밸브 없이도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드럼(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에 회전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제1드럼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드럼 바디(31),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 투입구(23)에 연통하는 제1드럼 투입구(33), 상기 제1드럼 바디(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 바디 내부와 상기 제1터브 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1관통홀(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투입구(33)는 제1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상기 제1투입구(13)에 연통하므로, 상기 제1도어(15)가 제1투입구(13)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투입구(13), 제1터브 투입구(23) 및 제1드럼 투입구(33)를 통해 제1드럼 바디(3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 바디(31)는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도 1은 상기 제1구동부가 제1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37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373), 상기 제1터브 바디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 바디(31)와 제1로터(373)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375)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회전축(375)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구비(제1회전축은 캐비닛의 바닥면과 0도가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제1회전축(375)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90도보다는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제2처리장치(4, 6)가 위치하고, 상기 제1드럼 투입구(33)가 제1드럼 바디(31)의 전방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회전축(375)의 경사각이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90도보다는 작은 각도를 형성해야만 사용자가 제1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1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를 건조하는 열풍공급부(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5)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상기 제1터브 바디(21)로 재공급하는 제공하는 덕트(51), 상기 덕트(51)를 통해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53), 상기 덕트(51)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덕트 히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51)의 일단은 제1터브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제1관통홀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덕트(51)의 타단은 제1터브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제2관통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제1관통홀은 덕트 히터(55)를 통과한 공기를 터브 제1바디(21)로 유입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터브 제2관통홀은 터브 제1바디(21) 내부의 공기를 덕트(51)로 배출하는 수단이다.
상기 덕트(51) 내부에는 상기 덕트 히터(55)로 이동하는 공기를 냉각하여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제습)하는 냉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의 내주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제1터브 바디의 내주면을 공기응축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냉각수 공급부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응축덕트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4, 6)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투입구(14)에 연통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4),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한다.
상기 제2터브(4)는 물을 저장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은 상기 제2터브(4)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터브(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터브 바디(41),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14)에 연통하는 제2터브 투입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 바디(41)는 제2터브 지지부(47)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제2터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 지지부(47)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75)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터브 지지부(47)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475)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브라켓(471),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475)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브라켓(4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475)의 상단에는 상기 제1브라켓(4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체결부(477)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475)의 하단에는 상기 제2브라켓(47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체결부(47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체결부(477)와 제2체결부(479)가 구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는 제2터브 바디(41)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터브 도어(4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상기 제2터브 도어(45)는 상기 제2도어(16)가 제2투입구(14)를 개방한 때 상기 제2투입구(14)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2도어(16)가 제2투입구(14)를 개방한 때 상기 제2터브 도어(45)가 상기 제2투입구(14)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브 도어(45)는 상기 제2투입구(14)가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상부면에 투영됨으로써 형성되는 투영면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터브 바디(41)는 제2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2배수부를 통해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2급수부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2급수관(411),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4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2터브 바디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된 제2배수관(415), 상기 제2배수관을 통해 물을 이동시키는 제2펌프(417)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된 물을 통해 의류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는 터브 히터(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 히터(42)의 과열을 방지하고,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물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터브 히터(42)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제2펌프(417)에 연통하는 히터챔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챔버는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이 제1터브 바디(21)를 향해 돌출되어 물이 저장 가능한 공간으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상기 제2드럼(6)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제2드럼(6)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드럼(6)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위치하는 제2드럼 바디(61),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63), 상기 제2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 바디(61) 내부공간을 제2터브 바디(41) 내부공간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2관통홀(6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 투입구(63)는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도어(16)를 통해 제2투입구(14)를 개방하고, 상기 제2터브 도어(45)를 통해 제2터브 투입구(43)를 개방하면, 상기 제2드럼 투입구(63)는 캐비닛의 상부면(12)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투입구(14)를 통해 상기 제2드럼 바디(61)에 의류를 투입할 수도 있고, 상기 제2드럼 바디(61)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드럼 바디(61)는 제2구동부(67)에 의해 회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부는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67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673), 상기 제2터브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 바디(61)의 바닥면과 제2로터(673)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6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675)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드럼 바디(61)에 구비된 제2드럼 투입구(63)는 캐비닛의 상부면(1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므로, 상기 제2회전축(675)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 보다는 크고 90도 이하의 각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2처리장치(4, 6)가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터브 바디(41)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된 물이 제1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구비된 제1구동부로 공급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벽(9)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와 상기 제2터브 바디(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서 누수된 물이 제1구동부에 구비된 제1스테이터(371)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9)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가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터브 바디(41)가 위치된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벽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구동부가 가려지도록 상기 캐비닛(1)의 후방면에서 제1투입구(13)가 위치된 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커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9)이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완전히 분리된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벽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차단벽(9)은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를 상기 제1터브 바디(21)가 위치하는 하부공간과 상기 제2터브 바디(41)가 위치하는 상부공간으로 구분하는 베이스(91)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서 배출되어 상기 베이스(91)로 공급된 물은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9)은 상기 베이스(9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터브 바디(41)를 향해 돌출된 측벽(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91) 및 측벽(9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기 위해, 상기 차단벽(9)은 상기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측벽관통홀(931), 상기 측벽관통홀(93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캐비닛 관통홀(18, 도 1 참고)로 안내하는 가이더(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서 누수된 물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91)는 상기 가이더(96)에 연결되는 베이스 바디(911), 상기 측벽(93)과 상기 베이스 바디(911)를 연결하는 경사면(9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913)는 상기 측벽(93)에서 베이스 바디(91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9)에는 제2터브 바디(41)에서 물이 누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수감지부(97)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971),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수용공간과 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하우징 관통홀(973), 상기 차단벽(9)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따라 상승하는 작동부(977),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977)에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975)로 구비될 수 있다.
누수감지부(97)가 상술한 구조로 구비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스위치(975)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은 때 캐비닛에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누수를 경고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971)은 상기 경사면(913)과 베이스 바디(911)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971)이 상기 경사면(913)에 구비된다면 상기 누수감지부(97)는 누수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971)이 베이스 바디(911)에 구비된다면, 상기 누수감지부(97)는 누수된 물이 상기 캐비닛 관통홀(18)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캐비닛 관통홀 또는 측벽관통홀이 막힌 상태 등)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처리장치(4, 6)가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처리장치가 위치된 높이(제2투입구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사용자가 제2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2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처리장치(4, 6)가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투입구(14), 제2터브 투입구(43) 및 제2드럼 투입구(63)의 높이를 낮추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상기 캐비닛(1)의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덕트(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과 상기 차단벽(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은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제1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X, 제1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제1터브 바디(21)는 제1터브 지지부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터브 지지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제1스프링(251),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제2스프링(253),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댐퍼(2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5)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을 감쇄시킬 뿐아니라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댐퍼(255)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 또는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Y, 제1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유리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스프링(251)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과 상기 차단벽(9)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과 상기 차단벽(9)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 제1지지부(251, 253, 255)를 통해 캐비닛(1)이나 차단벽(9)에 고정된 제1터브(2)는 제1드럼 바디(31)의 회전 시 제1터브 바디(21)에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1)이나 차단벽(9)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이 상기 차단벽(9)에 충돌함으로써 전달될 수도 있고, 상기 덕트(51)가 상기 차단벽(9)이나 캐비닛(1)에 충돌함으로써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이 상기 차단벽(9)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9)과 상기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3)는 상기 캐비닛(1)과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1)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과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1)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발생 가능한 진동 폭을 고려하여 설계되므로, 상기 차단벽과 제1터브 바디 사이의 최단거리(L3)가 캐비닛과 제1터브 바디 사이의 최단거리(L1)보다 길게 설정되면, 상기 제1터브 바디(21)가 차단벽(9)에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덕트(51)가 상기 차단벽(9)에 충돌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9)과 상기 덕트(51) 사이의 최단거리(L4)는 상기 캐비닛과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1)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51)가 캐비닛(1)에 충돌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9)과 캐비닛(1) 사이의 최단거리(L2)는 상기 제1터브 바디와 캐비닛 사이의 최단거리(L1)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터브 도어(45)가 제2터브 투입구(43)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2터브 바디(41)가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와 캐비닛(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는 터브 히터(4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터브 도어(45)가 제2터브 투입구(43)를 폐쇄한 때 상기 제2터브 바디(41)가 밀폐된다면, 상기 터브 히터(42)의 작동 시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제2터브 도어(45)나 제2터브 바디(41)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통기부(49)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49)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관(4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통기부(49)가 연통관(491)만으로 구비되면, 세탁 시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제2터브 바디 내부에 발생한 거품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기부(49)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통관(49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493)와 연통관(491)을 출입하는 유체(물, 공기 등)를 여과하는 필터(4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부(49)에 밸브(49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 히터(42)가 작동할 때 상기 연통관(491)도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493)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압력변화를 통해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8)가 구비될 경우, 상기 통기부(49)는 상기 수위감지부(48)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부(48)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와 연통하며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결관(481), 상기 연결관(481)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압력센서(4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형태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는 수위감지부(48)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제2터브 도어(45)가 제2터브 바디(41)를 밀폐한 상태에서 제2터브 바디(41)로 물이 공급되면,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센서(483)는 실제로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공급된 물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제2터브 바디(41)에 공급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통기부(49)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통관(491)에 밸브(493)가 구비될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2급수밸브(413)를 제어하여 상기 제2급수관(411)을 개방한 때 상기 연통관(491)도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493)를 제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면
13: 제1투입구 15: 제1도어 12: 상부면
14: 제2투입구 16: 제2도어 18: 캐비닛 관통홀
2: 제1터브 21: 제1터브 바디 23: 제1터브 투입구
251: 제1스프링 253: 제2스프링 255: 댐퍼
3: 제1드럼 31: 제1드럼 바디 33: 제1드럼 투입구
35: 제1관통홀 5: 열풍공급부 51: 덕트
53: 팬 55: 덕트 히터 4: 제2터브
41: 제2터브 바디 42: 터브 히터 43: 제2터브 투입구
45: 제2터브 도어 47: 제2터브 지지부 48: 수위감지부
481: 연결관 483: 압력센서 49: 통기부
491: 연통관 493: 밸브 495: 필터
6: 제2드럼 61: 제2드럼 바디 63: 제2드럼 투입구
65: 제2관통홀 67: 제2구동부 9: 차단벽
91: 베이스 911: 베이스 바디 913: 경사면
93: 측벽 931: 측벽관통홀 96: 가이더
97: 누수감지부

Claims (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원통형상의 터브;
    상기 터브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투입구;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를 개폐하는 터브 도어;
    급수원과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부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시키며, 일단이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연통관;
    상기 연통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된 밸브;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급수관을 폐쇄하면 상기 연통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터브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 히터가 작동하면, 상기 연통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37284A 2016-11-17 2018-03-30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3201P 2016-11-17 2016-11-17
US62/423,201 2016-11-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83A Division KR101848668B1 (ko) 2016-05-30 2016-12-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766A KR20180055766A (ko) 2018-05-25
KR101921183B1 true KR101921183B1 (ko) 2018-11-22

Family

ID=619740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83A KR101848668B1 (ko) 2016-05-30 2016-12-16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72985A KR101863931B1 (ko) 2016-11-17 2016-12-16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37284A KR101921183B1 (ko) 2016-11-17 2018-03-30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60631A KR102472106B1 (ko) 2016-11-17 2018-05-28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83A KR101848668B1 (ko) 2016-05-30 2016-12-16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72985A KR101863931B1 (ko) 2016-11-17 2016-12-16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31A KR102472106B1 (ko) 2016-11-17 2018-05-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8486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346A (ja) * 2012-01-18 2013-08-01 Sharp Corp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169B1 (ko) * 1998-06-17 2000-11-01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100700792B1 (ko) * 2004-12-1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774207B1 (ko) * 2006-07-28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068798A (ja) * 2012-09-28 2014-04-21 Japan Organo Co Ltd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US10301756B2 (en) * 2013-07-09 2019-05-28 Haier Group Corporation Dual-drum washing machine
KR102351650B1 (ko) * 2015-01-27 202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346A (ja) * 2012-01-18 2013-08-01 Sharp Corp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625A (ko) 2018-05-25
KR102472106B1 (ko) 2022-11-30
KR101863931B1 (ko) 2018-06-01
KR101848668B1 (ko) 2018-04-13
KR20180055766A (ko) 2018-05-25
KR20180062451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193A (ko) 의류처리장치
TWI637091B (zh) 洗衣處理裝置
KR101328920B1 (ko) 건조기
EP3034678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cent diffuser
KR102052373B1 (ko) 의류처리장치
EP2039824A2 (en) Laundry machine
EP31389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inage connector
KR20160037474A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8005541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EP3656910B1 (en) Washing machine
KR10176938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0923297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14867898A (zh) 具有蒸气和/或雾和/或气溶胶产生器的衣物处理器具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10921A (ko) 건조기
KR20100050325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4502A (ko) 세탁물 처리 장치
JP6389700B2 (ja) 乾燥機
KR102087616B1 (ko) 드럼세탁기
KR2018007690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33308B1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