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474A -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474A
KR20160037474A KR1020140130033A KR20140130033A KR20160037474A KR 20160037474 A KR20160037474 A KR 20160037474A KR 1020140130033 A KR1020140130033 A KR 1020140130033A KR 20140130033 A KR20140130033 A KR 20140130033A KR 20160037474 A KR20160037474 A KR 2016003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eat generating
fluid
uni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069B1 (ko
Inventor
류현관
송성호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69B1/ko
Priority to EP18209809.5A priority patent/EP3467186B1/en
Priority to EP15185130.0A priority patent/EP3000927B1/en
Priority to AU2015227504A priority patent/AU2015227504B2/en
Priority to US14/861,335 priority patent/US9683323B2/en
Priority to RU2015140627A priority patent/RU2623907C2/ru
Priority to BR102015024745-1A priority patent/BR102015024745B1/pt
Priority to JP2015189831A priority patent/JP6207563B2/ja
Priority to CN201510632268.1A priority patent/CN105463758B/zh
Publication of KR2016003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8Instantaneous electrical steam generators built-up from heat-exchange elements arranged within a confined chamber having heat-retaining wa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바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유로, 상기 바디를 가열하여 상기 각 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된 세탁수와 세제의 작용을 통해 의류에 묻은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세탁장치 및 젖은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의미한다.
최근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의류의 살균, 냄새제거 및 주름제거 등이 가능한 것이 있는데,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 저장된 물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스팀발생장치는 저장공간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채운 뒤 히터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저장공간 내부의 물이 끓어야만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스팀발생장치에서 배출되는 스팀의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가정에 구비된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데 물속에 포함된 성분(칼슘, 마그네슘, 염기성 물질 등)은 가열과정에서 서로 결합하여 저장공간 내부에 스케일(탄산칼슘이나 황산마그네슘 등) 형태로 잔류하게 된다. 저장공간 내부에 스케일이 형성되면 저장공간의 외부로 스팀을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스케일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 될 위험이 있었다.
한편, 저장공간 내부에 잔류하는 스케일은 저장공간의 표면이나 히터의 표면에 고정되지만, 히터의 과열이나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 불균형 발생 시 고온영역에 위치된 스케일은 히터나 저장공간의 표면에서 분리될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배출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 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상기 히터가 물에 완전히 잠긴 경우에만 히터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저장공간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잔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급수해야 하므로 물소비량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의류는 그 종류에 따라 함수율(moisture content)이 다르기 때문에 포량에 근거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면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함수율이 높은 의류가 원하는 수준까지 건조되는데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함수율이 낮은 의류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의류 전체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열풍을 공급하면 함수율이 낮은 의류는 과건조에 의한 변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스팀생성시간을 단축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압력의 스팀을 공급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일에 의해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의 온도불균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스케일이 스팀발생장치의 표면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건조에 의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바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유로; 상기 바디를 가열하여 상기 각 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부는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는 제1발열부;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상기 제1발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발열부; 상기 제1발열부와 상기 제2발열부를 연결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위치된 변곡점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에 의한 유체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2유로에 의한 유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변곡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변곡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에 위치되는 제2유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 내부에 위치되는 제1유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배출부를 연통시키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의 단면적,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3유로의 단면적 중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이 가장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제1발열바디, 상기 제1발열바디와 상기 전원의 양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접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발열바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제2발열바디, 상기 제2발열바디와 상기 전원의 음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접지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3발열부는 변곡점이 상기 제1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발열바디와 상기 제2발열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단면적이 변화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급수부에 연결되는 유입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통하는 배출부가 구비된 바디;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해 물을 이동시키는 제2유로; 상기 바디를 가열하여 상기 각 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유입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수용부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비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생성시간을 단축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압력의 스팀을 공급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일에 의해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의 온도불균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스케일이 스팀발생장치의 표면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건조에 의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스팀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노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3), 상기 수용부(3)로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수용부(3)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수용부(3)는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부(3)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수용바디(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캐비닛(1)에는 수용바디(31)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171)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111) 및 관통홀(171)을 통해 수용바디(31)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수용바디(31)에서 의류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수용바디(31)의 개방된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플랜지(173)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수용바디(31)의 개방된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플랜지(193)가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수용부(3)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는 모터(41), 모터의 회전축과 수용바디(3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45)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바디(3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상기 수용바디(31)의 내주면에는 수용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프터(33, 의류의 교반을 위한 수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는 공급부(5)를 통해 열풍을 공급받고, 상기 수용부(3) 내부의 공기는 배기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부(5)는 수용바디(31)에 연통하는 공급덕트(51) 및 상기 공급덕트(51)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부(6)는 수용바디(31) 내부와 캐비닛(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덕트(61) 및 배기덕트(63)에 구비되는 팬(6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61)는 제1지지부에 구비된 배기홀(175)을 통해 수용바디(3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덕트(51)는 제2지지부에 구비된 연통홀(191)을 통해 수용바디(3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팬(63)의 회전으로 수용바디(31)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되면, 수용바디(31) 내부의 압력 저하로 캐비닛(1) 내부의 공기는 공급덕트(51)를 통해 수용바디(31)로 유입될 것이다. 이때 히터(53)가 작동된다면 가열된 공기(열풍)가 수용바디(3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31)로 공기를 원활이 공급하기 위해 캐비닛(1)에는 캐비닛 내부를 캐비닛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관통홀(131)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패널 관통홀(131)이 캐비닛의 후방패널(13)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수용바디(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배기식 건조)을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수용바디(3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응축식 건조)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응축식 건조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배기덕트(61)는 공급덕트(51)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수용바디(31)에서 배출된 공기를 수용바디(31)로 재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수용바디(31)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습된 뒤 히터(53)에 공급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배기덕트(61)에는 제습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수용부(3)로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는 수용부(3)에 가열되지 않은 액적(droplet)을 공급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스팀을 수용부(3)에 공급하는 장치(스팀발생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부(3)로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가 스팀발생장치(7)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7)는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71), 상기 바디(71)로 유체(water or droplet)를 공급하는 유입부(72), 상기 바디(7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73), 상기 바디(71)를 가열하는 가열부(7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71)는 제1바디(711)와 제2바디(715)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1바디(711)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7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715)는 상기 제1바디(711)에 결합하여 상기 저장부(713)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부(713)의 밀폐를 위해 제1바디(711)와 제2바디(715)의 접촉면에는 실러(sealer, 7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72)는 상기 제1바디(711)와 상기 제2바디(71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713)에 연통하게 되는데, 도 3은 유입부(72)가 제1바디(711)를 관통하여 저장부(713)에 연통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입부(72)는 급수부(79, 도 1참고)를 통해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79)는 급수원과 유입부(72)를 연결하는 급수관(7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791)은 밸브(79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73) 역시 상기 제1바디(711)와 상기 제2바디(71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713)에 연통하는데, 도 3은 배출부(73)가 제2바디(7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저장부(713)에 연통 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부(73)는 상기 제1지지부(17)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부(3)에 스팀을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부(3)에 스팀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1은 배출부(73)가 제2지지부(19)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7)는 제2지지부(19)에 고정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출부(73)의 길이가 짧을수록 스팀의 상변화(응축)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배출부(73)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배출부(73)를 따라 수용부(3)로 이동하는 스팀 중 일부는 배출부(73) 내부에서 응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7)가 제2지지부(19)에 고정되면 상기 배출부(73)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배출부(73) 내부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발생장치(7)는 브라켓(8)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19)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8)은 제2지지부(19)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81)와 바디(71)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7)는 바디(71) 전체가 가열부(78)에 의해 가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바디(71)가 제2지지부(19)의 표면이나 캐비닛(1)의 표면에 고정되면 제2지지부나 캐비닛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고, 열손실에 의한 스팀생성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83)는 상기 제2지지부(19)의 표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바디(71)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닛(1)과도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바디(71)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73)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상기 수용바디(31)의 전방(제1지지부가 위치된 영역)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발생장치(7)는 제2지지부(19)의 상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7)는 브라켓(8)을 통해 수용바디(31)의 회전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71)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부(73)로 안내하는 유로(75, 76, 77)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부(71)에 연통하는 제1유로(75), 상기 배출부(73)에 연통하는 제3유로(77), 제1유로와 제3유로를 연결하는 제2유로(7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75)는 상기 저장부(713)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격벽(7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로(75)가 적어도 하나의 유로변곡점(B1)을 가지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격벽(751)은 유입부(72)가 위치된 바디(71)의 일면(도 4의 경우, 바디의 좌측면)에서 바디의 우측면으로 연장되는 벽(751a)과, 바디의 우측면에서 바디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751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격벽(751)을 형성하는 각 벽(751a, b)은 서로 소정거리(L1)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각 벽(751a, b)의 자유단(free end)은 상기 바디(71)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2유로(76)는 상기 제1유로(75)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제3유로(77)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유로(76)는 저장부(713)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격벽(76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76) 역시 적어도 하나의 유로변곡점(B2)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격벽(761)은 바디(71)의 좌측면에서 바디(71)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761a)과 바디(71)의 우측면에서 바디(71)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761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761)을 형성하는 각 벽(761a, b)은 서로 소정거리(L2)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각 벽(761a, 761b)의 자유단 역시 상기 바디(71)의 좌측면 또는 바디(71)의 우측면에 접촉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제3유로(77)는 상기 제2유로(76)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배출부(73)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배출부(73)는 상기 제3유로(77)에 연통될 수 있는 한 상기 제2바디(715)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3유로(77)는 상기 저장부(713)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격벽(7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77)가 적어도 하나의 유로변곡점(B3)을 가지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3격벽(771) 역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벽(771a, 771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를 형성하는 각 벽(771a, 771b) 역시 서로 소정거리(L3) 이격되어야 하며 각각의 자유단은 바디(31)에 접촉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도 4는 각 유로(75, 76, 77)가 상기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유로변곡점이 구비된 경우(유체가 바디(71)의 너비 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각 유로는 바디(71)의 너비방향을 따라 다수의 유로변곡점이 구비되어도 무방(유체가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유로가 다수의 유로변곡점을 가지도록 설계된 것은 가열부(78)가 유로 내부의 유체를 직접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부(78)가 바디(71)를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7)는 유로 내부의 유체가 가열부(78)에 의해 가열된 바디(71)와 열교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입부(72)와 배출부(73) 사이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유로 내부의 유체를 가열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각 유로에 구비된 유로변곡점들은 상기 바디(71)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유로 내부의 유체에 충분한 열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나아가, 상기 각 유로(75, 76, 77)가 유로변곡점을 향하는 유체의 이동방향과 유로변곡점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유로를 설계하면 유체의 이동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어 상술한 효과를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체가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키는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10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량의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링 방식(boiling)에 비해 바디(71)에서 배출되는 스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수용부 전체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음).
보일링 방식은 저장부에 일정량의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공급을 중단한 뒤 가열하는 방식(운동에너지가 없는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인 반면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운동에너지가 있는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보일링 방식은 저장부에 저장된 유체 전체가 비등점(boiling point)에 도달해야만 스팀이 생성되는 반면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7)는 유체가 제1유로에서 제3유로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비등(boiling)이 발생하므로 제3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유로나 제2유로에서 발생된 비등에 의해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유로가 제1유로(75), 제2유로(76) 및 제3유로(77)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제3유로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제2유로(76)가 제1유로(75)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부(73)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3유로(77)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71)를 매개로 유로 내부의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78)는 전원의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발열부(781), 전원의 양극과 음극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제2발열부(783), 제1발열부와 제2발열부를 연결하는 제3발열부(785)로 구비될 수 있다.
각 발열부(781, 783, 785)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수단으로, 제1발열부(781)와 제2발열부(783)는 상기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발열부(781)와 제2발열부(783)는 제3유로(77)에서 제2유로(76)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발열체로 구비되며, 상기 유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바디(711)의 내부에 고정된다.
다만, 상기 제1발열부(781)와 제2발열부(783)는 제2유로(76) 내부의 유체 및 제3유로(77) 내부의 유체를 모두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제2유로(76) 내부의 유체만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71)로 유입된 유체(물이나 액적)는 제2유로(76)를 통과하는 동안 설정된 온도와 압력을 가진 유체(스팀)로 변환되기 때문에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는 제3유로(77)로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지 않아도 수용부(3)에 충분한 온도 및 압력을 가진 스팀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1발열부(781)는 제2유로(76)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발열바디(7811), 상기 제1발열바디(7811)를 전원에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77)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접지바디(7813)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발열부(783)는 제2유로(76)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발열바디(781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발열바디(7831), 상기 제2발열바디(7831)를 전원에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77)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접지바디(78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발열부(785)는 상기 제1발열바디(7811)와 제2발열바디(783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3발열부(78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1유로(75)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발열부(785)의 양단은 제1발열부(781)와 제2발열부(783)에 연결되므로(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영역, 또는 발열부 간 접합에 의해 단면적이 증가되는 영역) 상기 제3발열부(785)와 제1발열부(781)가 연결되는 영역, 제3발열부(785)와 제2발열부(783)가 연결되는 영역의 발열량이 가열부(78)의 다른 영역의 발열량에 비해 높다.
따라서, 발열량이 집중되는 제3발열부(785)가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75)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면 유입부(72)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3발열부(785)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디(71) 내부에 고정된 스케일이 바디(71)의 과열에 의해 바디(71)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유입부(72)나 배출부(73)를 막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3발열부(785)가 제3유로(77)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기 제3발열부(785)와 제1발열부(781)가 연결되는 영역, 제3발열부(785)와 제2발열부(783)가 연결되는 영역의 발열량이 가열부의 다른 영역에 비해 높다는 것은 상기 제3유로(77)가 형성된 바디(71) 온도가 다른 유로(75, 76)들이 형성된 바디(71)의 온도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3유로(77)가 형성된 바디(71)의 온도가 타 영역의 온도에 비해 높아지면, 제3유로(77)나 제3유로에 인접한 영역에 고정돼 있는 스케일이 바디(71)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고, 스케일이 바디에서 분리되면 스케일은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72)나 배출부(73)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발열부(785)가 제1유로(75)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면 유입부(7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제1유로(75)의 온도가 나머지 유로들(76, 77)에 비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바디(71)의 국부적 과열에 의한 스케일이 바디(71)의 표면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발열부(785)가 제1유로(75)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되면 유입부(7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많은 양의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스팀발생장치(7)가 스팀을 생성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발열부(785)가 변곡점(F)을 구비한 곡선형상의 바(curved-bar)로 구비될 경우, 가열부(78)가 방출하는 열은 제3발열부(785)의 변곡점 주변에 집중하게 될 것이므로 가열부(78)의 발열량 불균형이 가중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제3발열부(785)의 변곡점이 제1유로(7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열부(78)를 바디(71)에 매설하면 바디(71)의 온도 불균형에 의한 스케일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3발열부(785)가 3개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면, 변곡점의 수가 많은 영역의 제3발열부(785)가 제1유로(7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가열부(78)를 바디(71)에 매설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스팀발생장치(7)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스팀생성시간을 단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케일에 의해 배출부(73)나 유입부(7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7)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가열부(78)가 저장부(713)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부(713)의 수위 제어가 불필요하므로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유체량(물이나 액적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팀생성시간의 단축을 위해 유체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유로(76)의 단면적은 제1유로(75)의 단면적이나 제3유로(77)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72)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할 경우, 유속은 단면적이 증가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유체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제2유로(76)의 단면적을 나머지 유로(75, 77)들보다 크게 하면 제2유로(76)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저하될 것이므로 제2유로(76)를 통과하는 유체는 바디(71)와의 열교환 시간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유체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제1유로(75)의 단면적이나 제3유로(77)의 단면적이 제2유로(76)의 단면적보다 작으면 제1유로(75)를 통해 제2유로(76)로 유체가 공급되는 시간 및 제3유로(77)를 통해 배출부(73)로 유체가 이동하는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
따라서, 유체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각 유로의 단면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하면 스팀발생장치(7)의 스팀발생시간을 더욱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들(751, 761, 771)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라면, 제2유로의 너비(L2)를 제1유로의 너비(L1)나 제3유로의 너비(L3)보다 크게 하면 상술한 효과를 구현한 수 있다.
나아가 제1유로의 단면적(제1유로의 너비(L1))과 제3유로의 단면적(제3유로의 너비(L3))도 달리 구성한다면, 제3유로의 단면적이 제1유로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유로를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배출부(73)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속도를 높여 제1지지부(17)까지 유체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가열부(78)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바디(71) 내부의 스케일이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71)에는 스케일의 결합공간(안착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케일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케일은 상기 바디(71)로 유입된 유체가 증발될 때 유체에 포함된 성분들(칼슘, 마그네슘, 염기성 물질 등)이 서로 결합한 뒤 상기 바디(71)에 잔류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므로 스케일은 유체의 상변화가 발생되는 제2유로(76)에서 집중적으로 생성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유로(76)에 구비되는 제2유로 돌기(717)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스케일은 상술한 메커니즘 이외의 메커니즘으로도 발생 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돌기는 제1유로(75)에 구비되는 제1유로 돌기(718) 및 제3유로(77)에 구비되는 제3유로 돌기(71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유로 돌기(718)의 수는 제1유로 돌기(717)나 제3유로 돌기(719)의 수보다 더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717, 718, 719)은 제1바디(711)의 표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제1바디(711)의 표면 및 제2바디(715)의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가열부(78) 및 돌기들(717, 718, 719)에도 불구하고, 배출부(73)가 스케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부(73)에는 압력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는 노즐(7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74)은 배출부(73)에 삽입되는 노즐바디(741), 상기 노즐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관통홀(743), 상기 노즐바디(741)의 외주면이 절개되어 상기 바디관통홀(743)을 노즐바디(74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슬릿(7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노즐(74)은 스케일이 바디관통홀(743)으로 유입되어 상기 바디(7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슬릿(745)에 의해 바디관통홀(743)의 직경이 확장될 수 있으므로 스케일을 노즐(74)의 외부로 배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스팀발생장치(100)로 공급되는 유체가 수용부(3)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스팀이 생성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급수부(79)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79)는 급수관(791)이 제1지지부(17)나 제2지지부(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열교환 가능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으로, 도 6은 급수관(791)이 제2지지부(19)와 열교환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부(3)와 열교환 가능한 거리에 위치된 급수관(791)의 길이는 길면 길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스팀발생장치(7)가 제2지지부(19)의 상부에 고정(제1지지부까지 스팀을 공급하는데 유리한 위치)될 경우, 상기 급수부(79)는 상기 수용바디(31)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793), 상기 밸브(793)와 상기 유입부(72)를 연결하되 상기 제2지지부(19)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급수관(7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지지부(19)는 수용부(3)의 저장용량의 증가를 위해 제2지지부의 표면에서 캐비닛(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19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급수관(791)은 상기 돌출부(19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만이 가능한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상술한 스팀발생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배출부(73)가 터브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5) 및 배기부(6)는 터브에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수부(79)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의류는 그 종류에 따라 함수율(moisture content)이 다르기 때문에 의류량(포량)에 근거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용부(3)에 가열된 공기(열풍)를 공급하면 의류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함수율이 높은 의류가 원하는 수준(목표 건조도)까지 건조되는데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함수율이 낮은 의류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수용부(3)에 저장된 의류 전체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급부(5)와 배기부(6)가 수용부(3)에 열풍을 공급하면 함수율이 낮은 의류는 과건조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7과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7의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건조도에 도달하면, 의류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함수율이 높은 의류(아직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지 않은 의류)가 건조되는 동안 함수율이 낮은 의류(이미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류에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S10)의 종료 후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교번적(alternately)으로 공급하는 제2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0)는 공급부(5)에 구비된 히터(53) 및 배기부(6)의 팬(63)을 작동시켜 수용부(3)에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로 의류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 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
상기 수용부(3)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기준 건조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의류의 함수량이 기 설정된 기준 함수량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함수량은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게 되는데 상기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는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건조도 1차 판단단계는 상기 수용부(3)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함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가 제공하는 온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함수량)와 비교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센서는 제1지지부(17)나 제2지지부(19)에 고정되어 수용바디(31) 내부의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3)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기준 건조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는 수용부(3) 내부의 온도 또는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수용부(3)로 공급되는 열풍과 의류의 열교환량은 감소되므로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높아지는데, 상기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는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는 공급덕트(51)에 구비되어 수용부(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제공하는 온도데이터를 기준데이터(온도)와 비교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와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가 모두 구비될 경우, 본 발명은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의 완료 후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는 다수의 의류 중 어느 하나의 의류라도 이미 기준 함수량에 도달할 정도로 건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이고, 건조도 2차 판단단계(S15)는 건조도 1차 판단단계(S13)가 오류에 의한 것이 아닌지를 확인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의류의 건조도가 상기 기준 건조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수분공급단계(S31)와 열풍공급단계(S35)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제2단계(S30)를 실행한다.
상기 수분공급단계(S31)는 수용부(3) 내부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과건조된 의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31)는 수용부(3)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가열되지 않은 물(액적)을 수용부(3)에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수용부(3)에는 과건조된 의류뿐만 아니라 아직 원하는 수준까지 건조되지 않은 의류도 함께 존재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수분공급단계(S31)는 스팀을 수용부(3)에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열되지 않은 액적의 분사로 인해 수용부(3)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면 건조시간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분공급단계(S31)가 수용부(3)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경우,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7)는 작동시키고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히터 및 팬)은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분공급단계(S31)의 진행 시 제어부는 수용바디(31)가 회전하도록 모터(41)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과건조에 의한 의류의 손상은 의류의 종류가 다른 경우뿐만 아니라 열풍에 노출되는 영역과 열풍에 노출되지 않는 영역 사이의 온도차가 클 경우 단일 의류에서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공급단계(S31)의 진행 시 수용바디(31)를 회전시키면 단일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수분공급단계(S31)를 수행하는 스팀발생장치(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압력의 스팀을 수용부(3)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7)가 제2지지부(19) 방향에서 스팀을 공급하더라도 제1지지부(17)에 인접한 의류까지 스팀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의류가 적층된 상태에 있더라도 최상부에 위치되지 않은 의류에도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분공급단계(S31)가 개시되면 제어부는 제2센서를 통해 수용부(3)의 공기가 기 설정된 제1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S33)하여 수용부(3)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부(3) 내부의 온도저하에 따른 건조시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용부(3)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하가 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수용부(3)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단계(S35)를 개시한다.
상기 열풍공급단계(S35)는 제어부가 히터(53)와 팬(63)은 작동시키되 스팀발생장치(7)는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로, 상기 열풍공급단계(S35)는 수용부(3)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제1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온도는 상기 기준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기준온도보다는 낮고 상기 제1온도보다는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수분공급단계(S31)와 열풍공급단계(S35)가 수용부(3)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하한: 제1온도, 상한: 제2온도) 내에 있도록 교번적으로 실행되는 것은 수용부(3)의 온도를 일정하게 관리하여 건조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상술한 수분공급단계(S31)와 열풍공급단계(S35)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교번적으로 반복(S39)된 뒤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의류에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과 스팀에 의해 가열된 의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7: 제1지지부
19: 제2지지부 3: 수용부 31: 수용바디
5: 공급부 51: 공급덕트 53: 히터
6: 배기부 61: 배기덕트 63:팬
7: 스팀발생장치 71: 바디 711: 제1바디
713: 저장부 715: 제2바디 72: 유입부
73: 배출부 74: 노즐 75: 제1유로
76: 제2유로 77: 제3유로 78: 가열부
781: 제1발열부 783: 제2발열부 785: 제3발열부
79: 급수부 8: 브라켓

Claims (16)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바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유로;
    상기 바디를 가열하여 상기 각 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전원의 양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는 제1발열부;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상기 제1발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발열부;
    상기 제1발열부와 상기 제2발열부를 연결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위치된 변곡점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에 의한 유체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2유로에 의한 유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변곡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변곡점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유로 내부에 위치되는 제2유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 내부에 위치되는 제1유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와 상기 배출부를 연통시키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단면적,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 및 상기 제3유로의 단면적 중 상기 제2유로의 단면적이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제1발열바디, 상기 제1발열바디와 상기 전원의 양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접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열부는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1발열바디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제2발열바디, 상기 제2발열바디와 상기 전원의 음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3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접지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3발열부는 변곡점이 상기 제1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발열바디와 상기 제2발열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단면적이 변화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3.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급수부에 연결되는 유입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통하는 배출부가 구비된 바디;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해 물을 이동시키는 제2유로;
    상기 바디를 가열하여 상기 각 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며, 발열량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제1유로 내부의 유체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유입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수용부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비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급수원에 연결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130033A 2014-09-29 2014-09-29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214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33A KR102214069B1 (ko) 2014-09-29 2014-09-29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18209809.5A EP3467186B1 (en) 2014-09-29 2015-09-14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5185130.0A EP3000927B1 (en) 2014-09-29 2015-09-14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U2015227504A AU2015227504B2 (en) 2014-09-29 2015-09-18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4/861,335 US9683323B2 (en) 2014-09-29 2015-09-22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U2015140627A RU2623907C2 (ru) 2014-09-29 2015-09-23 Паровой генер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паровой генератор
BR102015024745-1A BR102015024745B1 (pt) 2014-09-29 2015-09-25 Gerador de vapor e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JP2015189831A JP6207563B2 (ja) 2014-09-29 2015-09-28 スチーム発生装置及びスチーム発生装置が備えられた衣類処理装置
CN201510632268.1A CN105463758B (zh) 2014-09-29 2015-09-29 蒸汽发生器和包括蒸汽发生器的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33A KR102214069B1 (ko) 2014-09-29 2014-09-29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74A true KR20160037474A (ko) 2016-04-06
KR102214069B1 KR102214069B1 (ko) 2021-02-09

Family

ID=5414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033A KR102214069B1 (ko) 2014-09-29 2014-09-29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83323B2 (ko)
EP (2) EP3000927B1 (ko)
JP (1) JP6207563B2 (ko)
KR (1) KR102214069B1 (ko)
CN (1) CN105463758B (ko)
AU (1) AU2015227504B2 (ko)
BR (1) BR102015024745B1 (ko)
RU (1) RU2623907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037A (ko) 2017-04-14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69B1 (ko) 2014-09-29 202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290758B1 (ko) * 2014-09-29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6702676B (zh) * 2015-07-27 2020-11-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用于洗衣机的蒸汽发生装置及洗衣机
CN109419475A (zh) * 2017-09-01 2019-03-0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CN109419469A (zh) * 2017-09-01 2019-03-0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TR202021290A1 (tr) * 2020-12-22 2022-07-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Bir montaj plakası bulunan bir kurutucu cihaz.
WO2024066265A1 (zh) * 2022-09-26 2024-04-04 海信冰箱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622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67400B1 (ko) * 2012-09-04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900A (ja) 1988-01-08 1989-07-17 Hitachi Ltd 原子炉給水流量制御装置
JPH01178900U (ko) * 1988-06-08 1989-12-21
GB9119693D0 (en) * 1991-09-14 1991-10-30 Black & Decker Inc Steam generator
US5651192A (en) 1996-07-01 1997-07-2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for tumble drying control
US5782012A (en) 1996-10-18 1998-07-21 Raytheon Applicances Inc. Wrinkle out cycle for a dryer
US8844160B2 (en) 1997-04-29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7146749B2 (en) 2002-04-22 2006-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and controller
JP4030523B2 (ja)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20060061974A (ko)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WO2007024050A1 (en) 2005-08-25 2007-03-01 Lg Electronics Inc. Operat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US7921578B2 (en)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EP1852541B1 (en) 2006-05-02 2011-08-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ryer with drying sequence using an additive
US7681418B2 (en)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EP1916326A1 (en) 2006-10-27 2008-04-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of determining a textiles-related and/or programming parameter in a textiles treating apparatus
CN101191612A (zh) * 2006-11-20 2008-06-04 游图明 用于家用电器的蒸汽形成方法及装置
KR100866884B1 (ko) 2007-06-15 2008-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US8104191B2 (en)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CA2639251A1 (en) 2008-08-29 2010-02-28 Mabe Canada Inc.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wrinkling clothes with reduced condensation
PL2267209T3 (pl) * 2009-06-25 2012-05-31 Miele & Cie Urządzenie do wytwarzania pary dla maszyny do traktowania prania oraz maszyna do traktowania prania
CN102439212B (zh) 2009-07-01 2015-04-08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8549770B2 (en) 2009-12-18 2013-10-0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KR101704421B1 (ko) 2010-04-30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2612966B1 (en) 2012-01-05 2017-08-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JP6244536B2 (ja) * 2012-08-27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JP2014171561A (ja) 2013-03-07 2014-09-22 Panasonic Corp 衣類処理装置
JP6010765B2 (ja) 2013-03-14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GB201307773D0 (en) 2013-04-30 2013-06-12 Atlantic Inertial Systems Ltd MEMS sensors
KR102290758B1 (ko) 2014-09-29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14069B1 (ko) 2014-09-29 202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622A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67400B1 (ko) * 2012-09-04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US20140069152A1 (en) * 2012-09-04 2014-03-13 Sungho Song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037A (ko) 2017-04-14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220029609A (ko) 2017-04-14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23907C2 (ru) 2017-06-29
US9683323B2 (en) 2017-06-20
EP3467186A1 (en) 2019-04-10
EP3467186B1 (en) 2021-05-12
BR102015024745B1 (pt) 2022-12-20
RU2015140627A (ru) 2017-03-29
AU2015227504A1 (en) 2016-04-14
CN105463758A (zh) 2016-04-06
KR102214069B1 (ko) 2021-02-09
CN105463758B (zh) 2018-01-30
AU2015227504B2 (en) 2016-11-03
JP2016067935A (ja) 2016-05-09
EP3000927A1 (en) 2016-03-30
JP6207563B2 (ja) 2017-10-04
EP3000927B1 (en) 2019-01-30
US20160090680A1 (en) 2016-03-31
BR102015024745A2 (pt)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747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37474A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623663B1 (en)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KR100595263B1 (ko) 건조 장치의 리프레쉬 모드 제어 방법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276071B1 (en) Washing drying machine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293557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5005941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489267B1 (ko) 의류처리장치
EP2386674A2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US935971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12984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0051A (ko) 세탁장치
KR101461983B1 (ko) 세탁기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43647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20130134487A (ko) 세탁기
KR20200075537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