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47B1 - 세탁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47B1
KR101443647B1 KR1020120058037A KR20120058037A KR101443647B1 KR 101443647 B1 KR101443647 B1 KR 101443647B1 KR 1020120058037 A KR1020120058037 A KR 1020120058037A KR 20120058037 A KR20120058037 A KR 20120058037A KR 101443647 B1 KR101443647 B1 KR 10144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duct
he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489A (ko
Inventor
도영진
최현철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47B1/ko
Priority to EP13153758.1A priority patent/EP2623665B1/en
Priority to EP13153714.4A priority patent/EP2623662B1/en
Priority to ES13153758.1T priority patent/ES2544310T3/es
Priority to RU2013104452/12A priority patent/RU2536030C2/ru
Priority to RU2013104451/12A priority patent/RU2537276C2/ru
Priority to EP13170504.8A priority patent/EP2636785B1/en
Priority to EP13153744.1A priority patent/EP2623663B1/en
Priority to EP13153753.2A priority patent/EP2623664B1/en
Priority to US13/757,997 priority patent/US9334601B2/en
Priority to BR102013002653-0A priority patent/BR102013002653B1/pt
Priority to US13/758,157 priority patent/US9644306B2/en
Priority to BR102013002643-3A priority patent/BR102013002643B1/pt
Priority to AU2013200562A priority patent/AU2013200562B2/en
Priority to US13/759,398 priority patent/US9085843B2/en
Priority to JP2013020692A priority patent/JP5695103B2/ja
Priority to US13/759,652 priority patent/US9328448B2/en
Priority to CN201310048803.XA priority patent/CN103243517B/zh
Priority to CN201310048437.8A priority patent/CN103243523B/zh
Priority to CN201310215139.3A priority patent/CN103334254B/zh
Priority to CN201310050181.4A priority patent/CN103243518B/zh
Priority to CN201310048525.8A priority patent/CN103243516B/zh
Priority to US13/909,866 priority patent/US9328449B2/en
Publication of KR2013013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의 스팀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와 연통하는 덕트내의 소정공간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로 이송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을 향해 공기유동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기에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스팀공급 메커니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구조적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배향(orientation)에 따라, 상기 세탁기는 크게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와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탑 로딩 세탁기에서, 터브는 세탁기의 하우징내에서 세워지며, 이의 상부(top portion)에 입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브내에 넣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서, 터브는 캐비닛내에서 뉘어지며, 이의 입구는 세탁기의 전면과 마주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브내에 넣어진다. 상기 탑로딩 및 프론트 로딩 세탁기 둘 다에 있어서,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들을 개폐한다.
이러한 형태의 세탁기들은 기본적인 세탁기능에 추가적으로 다른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 뿐만 아니라 건조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건조를 위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프레쉬 기능을 위해, 세탁기는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하여 만들어진 기체상태의 물이므로, 높은 온도를 가지며 세탁물에 쉽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스팀은 세탁물의 구김, 냄새, 및 정전기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리프레쉬 기능에 부가적으로, 스팀은 높은 온도 및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세탁단계에 공급되는 경우, 스팀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또는 터브내에 높은 온도 및 높은 습도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 세탁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도 있다.
세탁기는 이러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건조를 위해 제공된 메커니즘을 스팀 발생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기술들이 존재한다.
먼저 한국특허 KR 10-0709943은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내에 설치된 히터 및 송풍기를 갖는다. 물이 상기 송풍기의 흡입부에 인접하게 공급되며, 공급된 물은 송풍기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물은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유동에 의해 히터까지 운반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다.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KR 1997-0039170은 순환유로의 토출부에 물을 분사하며, 분사된 물은 히터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 유동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다.
끝으로, PCT 공개공보 WO 2004/059070은 순환유로내에 물을 수용하는 별도의 팬(pan)을 갖는다. 순환유로내의 뜨거운 공기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팬(pan)내의 물은 가열되며, 스팀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스팀 발생을 위해 추가적인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세탁기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라 생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스팀을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건조용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 또는 활용하지 못하므로, 스팀만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독립적인 장치인 스팀 제네레이터와 비교할 때, 충분한 량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하지 못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종래기술들은 의도된 기능, 즉 리프레쉬, 살균 및 분위기 조성기능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와 연통하는 덕트내의 소정공간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로 이송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을 향해 공기유동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기에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히터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단계는 물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가열단계의 일부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덕트에 설치된 히터만이 작동되는 기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을 공급되는 전원의 표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의 실제 수행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단계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가열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동안 세탁기의 작동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크면,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기 작성된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측정된 전압에 해당하는 수행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수행시간을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이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을 휴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단계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해결수단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오직 최소한의 변형만을 적용하면서, 고온공기 공급을 위한 메커니즘, 즉 건조용 메커니즘을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해 활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기존의 건조 메커니즘 즉, 변형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변형 및 최적의 제어를 구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생산비용은 최소한으로 증가시키면서도 리프레쉬, 세탁성능 향상 및 살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블로워 하우징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세탁기의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세탁기의 덕트에 설치되는 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노즐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덕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덕트에 설치된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덕트에 설치된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7은 도 16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18a-도 18c은 도 16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
도 19는 공급된 물의 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은 실제전압에 따라 가열단계의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a는 도 21의 조절단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b는 도 21의 조절단계에 적용되는 실제 전압범위에 따른 가열단계 수행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23은 도 16의 스팀공급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4는 다수개의 노즐이 적용된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분해사시도;
도 28은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들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들
도 29a-도 29c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들에 적용된 페어링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들; 그리고
도 30은 서로 해당되지 않는 구성들을 갖는 덕트와 노즐의 조합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다음에서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로딩 세탁기의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나 실질적인 변형없이 탑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작동에 필요한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세탁기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지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하우징(10)은 세탁기 일부분만을 감싼다. 대신에, 상기 세탁기의 전방부를 형성하도록 프론트 커버(12)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12)의 위쪽에는 세탁기 조작을 위해 컨트롤 패널(13)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탁기의 상부에는 세제박스(15)가 장착된다. 이러한 세제박스(15)는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세제 및 기타 첨가제들을 수용하며, 인출가능한 서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최상부를 덮도록 탑 플레이트(14)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2), 탑 플레이트(14), 및 컨트롤 패널(13)도 상기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세탁기의 외형을 형성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 정확하게는 프론트 커버(12)는 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11)는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도어(2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된다. 상기 도어(20)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각도어(20)는 상기 개구부(11) 및 드럼(40)의 입구를 사용자에게 크게 보이게 하므로, 세탁기의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는 도어 글래스(21)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 글래스(21)를 통해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세탁기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터브(30) 및 드럼(40)이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세탁에 필요한 물을 직접 공급받기 위해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30)는 튜브나 호스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15)와 연결되며, 상기 세제박스(15)로부터 세제 및 첨가제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은 이의 입구들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를 마주하도록 배향된다(oriented). 상기 터브 및 드럼(30,40)의 입구들은 앞서 언급된 하우징의 개구부(11)과 연통되며, 이에 따라 일단 도어(2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11) 및 터브/드럼(30,40)의 입구들을 통해 세탁물을 상기 드럼(40)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와 터브(30)사이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22)이 제공된다. 상기 터브(30)는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과 더불어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럼(40)은 무거운 젖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중 이러한 세탁물에 의한 충격을 반복적으로 받으므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40)에는 상기 터브(30)내의 세탁수가 그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다수개의 통공(4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30)의 주위에는 상기 드럼(40)과 연결되는 소정의 동력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은 상기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플로워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중심축을 갖도록 배향된 터브(30) 및 드럼(40)을 갖는다. 그러나, 세탁기는 위쪽방향으로 경사지게 배향된 터브(30) 및 드럼(40)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의 입구들(즉, 전방부들)은 이들의 후방부들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러한 터브(30) 및 드럼(40)의 입구들 뿐만 아니라 이들과 연계된 개구부(11)와 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입구들과 개구부(11) 및 도어(20)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기에 세탁물을 넣거나 세탁기로부터 세탁물을 꺼낼 수 있다.
세탁기의 세탁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세탁물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따뜻하거나 뜨거운 세탁수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자체적으로 뜨겁거나 따뜻한 세탁수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히터(80)와 섬프(sump)(33)을 포함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히터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에 제공되며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히터(80)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섬프(33)는 이러한 히터(80) 및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히터(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8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섬프(3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프(33)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개구부(33a)를 통해 상기 터브(40)내에, 정확하게는 상기 섬프(33)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섬프(33)는 상기 터브(30)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캐버티(cavity) 또는 리세스(rece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33)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며, 터브(30)에 공급된 세탁수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섬프(3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기에 유리한 터브(30)의 바닥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섬프(33)의 바닥부에 배수구(33b)가 형성되며, 배수관(91)에 의해 배수펌프(9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30)내의 세탁수는 상기 배수구(33b), 배수관(91) 및 배수펌프(90)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33b)는 상기 섬프(33)의 바닥부 대신에 상기 터브(30)의 다른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프(33) 및 히터(80)을 이용하여 세탁기는 세탁수를 자체적으로 가열하고 뜨겁거나 따뜻한 세탁수를 세탁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또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세탁기는 뜨거운 공기를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조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덕트(1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덕트(100)는 이의 양 끝단이 터브(30)과 각각 연결되므로, 터브(30) 뿐만 아니라 드럼(40)내의 공기도 상기 덕트(100)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덕트(100)는 구조적으로 하나의 어섬블리로 형성되나, 기능적으로 건조덕트(110) 및 응축덕트(1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는 기본적으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뜨거운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덕트(120)는 상기 세탁물로부터 가져온 순환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건조덕트(110)은 상기 응축덕트(120)와 터브(30)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내에는 히터(130)과 블로워(blower)(14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응축덕트(120)도 상기 하우징(10)내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덕트(110) 및 터브(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덕트(120)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 및 응축덕트(120), 즉 덕트(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우징(10)내에 배치되나, 필요한 경우, 부분적으로 하우징(10)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는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블로워(140)를 이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터브(30) 및 그 내부에 배치된 드럼(40)을 향해 불어낼 수 있다. 따라서,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건조덕트(110)로부터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상기 터브(30)를 거쳐 드럼(4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는 함께 작동되므로, 가열되지 않은 새로운 공기는 상기 블로워(140)에 의해 상기 히터(130)로 공급되며, 이후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에 공급되도록 상기 히터(1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즉, 뜨겁고 건조한 공기의 공급은 상기 히터(130) 및 블로워(140)의 동시적인 작동에 의해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공급된 뜨거운 공기는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이후 상기 드럼(40)으로부터 터브(30)를 거쳐 상기 응축덕트(1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120)는 상기 급수장치(160)를 이용하여 배출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로 만들고 이러한 건조한 공기를 다시 가열되도록 상기 건조덕트(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은 실제적으로 상기 블로워(14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건조덕트(110)와 응축덕트(120)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즉, 배출된 공기는 응축덕트(120) 및 건조 덕트(110)을 거치면서 뜨겁고 건조한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내의 공기는 계속적으로 상기 터브(30), 드럼(40), 응축 및 건조덕트(120,110)를 거쳐 순환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할 때,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100)의 끝단부, 즉 상기 건조덕트(110)의 터브(30) 및 드럼(40)과 연통하는 끝단부 또는 개구부는 상기 덕트(100)의 배출부 또는 배출구(11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습한 공기를 받는 덕트(100)의 끝단부, 즉 상기 응축덕트(120)의 터브(30) 및 드럼(40)가 연통하는 끝단부 또는 개구부는 상기 덕트(100)의 흡입부 또는 흡입구(120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 정확하게는 배출부(1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과 드럼(40)과 연통하도록 상기 개스킷(2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덕트(110),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부(110a)는 상기 터브(30)의 전방부의 상부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브(30)에는 이와 같은 건조덕트(110)와 연통하는 흡입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40)에는 상기 흡입구(31)를 통해 상기 건조덕트와 연통하는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덕트(120), 즉 흡입부(120a)는 상기 터브(30)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덕트(70)와 연통하도록 토출구(32)가 마찬가지로 상기 터브의 후방부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 및 상기 터브(30)의 연결부들의 위치로 인해,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4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까지 유동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의 전방부의 상부영역에서부터 상기 드럼의 후방부의 하부영역까지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40)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는 이의 적절한 장착위치로 인해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드럼(40)의 내부공간을 완전하게 가로지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드럼(40)의 전체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확산됨으로써 건조효율 및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덕트(100)은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이 그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 즉,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는 분리가능한 파트들(parts)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부품들, 예를 들어 히터(130) 및 블로워(140)등은 상기 건조덕트(110)와 연동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건조덕트(110)가 분리가능한 파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가 이와 같이 분해가능하므로, 그 내부의 부품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건조덕트(1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덕트(110)는 하부 파트(11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파트(111)는 그 내부에 실질적으로 공간을 가지며, 상기 부품들은 이러한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110)는 상기 하부파트(111)를 덮는 커버(1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파트(111)와 커버(112)는 소정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0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로워(14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하우징(1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3)도 상기 블로워(140)의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가능한 파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3)은 상기 블로워(140)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113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3a)를 덮는 상부 하우징(11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되어야하는 상부 하우징(113b)을 제외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113a)는 덕트(100)의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도 5는 서로 일체화된 하부파트(111)와 하부 하우징(113a)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덕트(110) 자체가 상기 하우징(113)과 일체화된다고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110)가 블로워(140)도 수용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13a)은 상기 응축덕트(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는 높은 온도의 공기를 생성 및 이송하므로, 높은 내열성과 열전도성을 요구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3a)는 고속회전하는 블로워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므로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가져야한다. 따라서, 서로 일체화된 하부 하우징(113a)과 하부 파트(1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이러한 금속재질의 하부 하우징(113a)과 하부파트(111)에 의해 요구조건들이 만족되므로, 상기 커버(112) 및 상부 하우징(113b)은 덕트(11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앞서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스팀의 공급에 의해 구김, 정전기, 냄새등을 제거함으로써 세탁물은 리프레쉬될 수 있다. 또한, 스팀은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으며, 세탁에 최적화된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세탁기의 기본적인 세탁 코스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세탁기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별도의 프로세스 또는 코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위한 스팀을 공급하도록 세탁기는 스팀만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독립된 스팀 제네레이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세탁기는 스팀공급을 위해 다른 기능을 위해 제공된 메커니즘을 스팀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 메커니즘은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130) 및 터브(30) 및 드럼(40)으로의 이송수단을 제공하는 덕트(100) 및 블로워(140)등을 포함하므로, 뜨거운 공기 뿐만 아니라 스팀의 공급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팀 공급을 위해 상기 통상의 건조 메커니즘은 실제적으로 약간의 변형이 요구되며, 그와 같이 스팀공급을 위해 변형된 건조 메커니즘이 도 3-도 15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중에서, 도 3, 5, 9, 12, 14는 상기 덕트(100)내부의 구조를 보다 잘 보여주기 위해서 건조덕트의 커버(112)가 제거된 덕트(100)를 도시한다.
먼저, 스팀 공급을 위해 스팀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의 소정공간(S)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기 자체는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만일 세탁기가 히터(13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덕트(100)의 다른 영역들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예를 들어 블로워(140)로부터의 공기유동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상기 히터(130)는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 자체 및 이의 주변공간만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30)는 스팀 공급을 위해 덕트(100)내의 공간을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 공간의 일부인 상기 소정공간(S)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의 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히터(130) 자체, 즉, 상기 히터(130)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히터(130)에 인접하는 덕트내의 주변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높은 온도로의 가열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으로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31)는 실질적으로 상기 덕트(100)내에 위치되며 가열을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31)는 다양한 가열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열도선(hot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31)는 덕트(100)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도록 방수구조를 갖는 시스히터(sheath hea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31)는 동일 평면상에서 다수회 절곡되어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상기 몸체(13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3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132)는 상기 몸체(13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82)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해상기 덕트(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31)와 터미널(132)사이에는 밀폐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덕트(100)내의 공기 및 스팀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덕트(10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는 브라켓(111b)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bottom)(정확하게는,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b)과 연계하여 보스(111a)가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스(111a)는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상기 보스(111a)는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히터(130)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히터(130)의 몸체(1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1)를 지지하도록 몸체(131)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몸체(131)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몸체(131)의 형상에 맞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이러한 절곡부에 의해 상기 몸체(131)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는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되도록 관통공을 포함하며, 체결부재 및 관통공을 이용하여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11b)과 보스(111a) 둘 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111a)에 의해 덕트 바닥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므로, 상기 히터(130)는 공기유동을 원할하게 하면서도 더 많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는 상기 몸체(131)의 열을 견디도록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S)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의 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공급하도록 노즐(150)이 추가적으로 상기 덕트(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체상태의 물(vapor phase of water)을 의미한다. 즉, 액체상태의 물이 임계온도이상으로 가열되면 상변화를 통해 기체상태로 변한다. 반면, 미스트(mist)는 액체상태의 작은 물 입자를 의미한다. 즉, 미스트는 단순히 액체상태의 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함으로써 생성되며, 상 변화나 가열을 수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팀과 미스트는 적어도 이들의 상태(phase) 및 온도에 있어서 서로 명확하게 구별되며, 단지 대상물에 수분(moisture)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에 있어서만 공통이다. 이러한 미스트는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므로 통상의 액체상태의 물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미스트는 쉽게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통해 고온의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액체상태의 물을 그대로 공급하는 아웃렛 대신에 액체상태의 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할 수 있는 노즐(150)을 물 공급의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세탁기는 소량의 물을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하는 통상적인 아웃렛을 채택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 대신에 물, 즉 워터 젯(water jet)을 공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들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발생에 충분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팀은 생성될 수 있다.
스팀의 생성을 위해 물은 상기 소정공간(S)에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은 물을 상기 소정공간(S)이 아닌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블로워(140)에서 제공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으로 스팀생성을 위해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도중, 물은 덕트(100)의 내면에 들러붙으므로, 제공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에 의해 스팀 생성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므로, 공급된 물을 충분히 스팀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이유들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스팀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오직 상기 소정공간(S)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앞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어떠한 수분, 즉 물 또는 미스트의 제공은 상기 히터(130)에 대한 수분제공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미스트를 분사한다면, 상기 소정공간(S)에 조성된 최적의 환경을 고려할 때, 스팀은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접적인 미스트 분사가 상기 소정공간(S)에만 수행되면, 스팀의 생성은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를 포함하는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히터(130)포함)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150)의 배출구가 적어도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직접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위(above)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아래(below)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되는 물(정확하게는 미스트)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으로 인해 소정의 각도로 확산되면서 소정거리를 이동한다. 반면, 상기 덕트(100)의 높이는 세탁기를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히 제한된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의 높이도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면, 물은 이의 확산각도 및 이동거리를 고려할 때,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균일하게 상기 노즐(150)로부터 공급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이 효율적으로 생성되지 못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이러한 비효율적 스팀 생성은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의 양 측부들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양 끝단들, 즉 영역들(A,B)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가 작동되면, 덕트(100)내의 공기는 블로워(14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히터(130) 즉, 상기 소정공간(S)을 통과한다. 이러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고려하면, 상기 영역(A)는 덕트내 공기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해당하며, 상기 영역(B)는 상기 소정공간(S)의 후방부 또는 배출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A) 및 영역(B)는 상기 소정공간(S)의 입구 및 출구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덕트내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 (즉, 상기 영역(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노즐(150)은 덕트내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후방부 또는 배출부 (즉, 상기 영역(B))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150)이 상기 영역(A) 또는 영역(B)에 배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노즐(150)로부터 공급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영역(S)내에 도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부 물이 상기 소정영역(S)밖에 잔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후방부 또는 배출부(B)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되지 못한 물은 상기 후방부 또는 배출부(B) 부근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만일 블로워(140)가 작동되면, 이러한 물들은 스팀으로 변하지 못한 채로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반면,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전방부 또는 흡입부(A)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한 물은 상기 블로워(140)에서 공급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A)에 노즐(150)을 배치함으로써, 공급된 모든 물을 스팀으로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영역(A) 즉,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100)내 공기유동방향의 측면에서 상기 영역(B)에 배치된 노즐(150)은 상기 공기유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반면, 상기 영역(A)에 배치된 노즐(150)은 상기 공기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논의된 것과 같은 이유로, 공기유동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덕트내 공기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소정공간(S)(히터 포함)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논의된 이유들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노즐(150)은 상기 영역들(A,B), 소정공간(S)의 양측부들, 소정공간(S)의 바로 위 및 바로 아래 부위들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이들중 2개이상의 부위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물 공급 및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 직접 물을 공급하며,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상기 덕트내의 공기유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미 앞서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이 상기 영역(A), 즉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배치되는 것이 최적이다. 이러한 영역(A)는 상기 덕트(100)의 구조적 측면에서 상기 히터(130)와 상기 블로워(140)사이의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덕트(100)의 구조적 측면에서 상기 히터(130)와 블로워(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과 공기유동의 공급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흡입부와 상기 블로워(140)의 배출부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되는 물은 소정각도로 확산된다.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영역(S), 정확하게는 이의 흡입부에 가까이 배치되면, 확산각도를 고려할 때, 공급되는 물의 많은 부분이 소정영역(S)(히터(130) 포함) 대신에 덕트(100)의 벽면에 직접 공급된다. 실제적으로 상기 소정영역(S)에서 상기 히터(130)가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공급되는 물이 가능한 많이 상기 소정영역(S)중 상기 히터(130)에 직접 진입 및 접촉하는 것이 스팀 생성의 효율증가에 유리하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량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즉, 히터(130)에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면, 물의 확산을 고려할 때 공급되는 물은 실질적으로 상기 소정공간(S)의 흡입부, 즉 입구에서부터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공간(S)의 효율적 사용, 즉 효율적 열교환 및 스팀생성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영역(S)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히터(130)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되도록, 이러한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부에 인접하는 경우, 공급되는 물은 토출되는 공기유동, 즉 블로워(140)의 토출력에 직접 영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소정영역(S) 전체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보다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공기유동의 도움에 의해 상기 노즐(150)에는 높은 수압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150)의 가격이 저하되고 사용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구에 인접한 배치를 위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 하우징(11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노즐(150)은 분리가능한 상기 상부 하우징(113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113b)는 구멍(113c)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150)은 상기 구멍(113c)에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되면서 끼워질 수 있다.
도 6-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150)은 몸체(151)과 헤드(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1)은 상기 구멍(113c)에 삽입되도록 대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1)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151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151a)는 체결공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51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가 상기 플랜지(151a)와 몸체(151)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51)는 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리브(151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151b)는 상기 구멍(113c)의 엣지에 걸리며 상기 노즐(151)이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브(151b)는 상기 노즐(150)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헤드(15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끝단에 토출구(1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2a)는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이 공급되면 이러한 물을 작은 입자, 즉 미스트로 분해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52a)는 공급되는 물에 추가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물은 소정의 각도로 확산되며 소정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되는 물의 확산 각도(a)는 예를 들어, 40°가 될 수 있다. 상기 헤드(152)는 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52b)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몸체(151)도 이러한 플랜지(152)와 마주하며 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51d)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몸체(151)과 헤드(152)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플랜지들(152b,151d)는 서로 융착(melt-joinning)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는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가 플라스틱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플랜지들(152b,151d)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152)는 상기 플랜지(152b)에 형성되는 리브(152c)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151)은 상기 플랜지(151d)에 형성되는 홈(151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152c)는 상기 홈(151c)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는 서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50),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151)는 그 내부에 공급되는 물을 안내하는 유로(1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15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1)의 끝단부, 즉 토출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유로(153)에 의해 물은 소용돌이치며(swirl) 상기 헤드(152)에 도달하며, 이에 따라 보다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를 갖도록 상기 노즐(15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S)에서 스팀이 생성되면, 생성된 스팀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브(30) 및 드럼(40)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세탁물에까지 이송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생성된 스팀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히터(130)포함)을 향해 공기를 불어낼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기유동을 공급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이러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하며, 터브(30), 드럼(40)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탁물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을 리프레쉬하거나, 세탁물을 살균하거나 최적의 세탁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균일하고 충분한 물의 공급을 위해 최적의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다. 즉, 상기 노즐(150)은 최적의 배치 및 배향을 가지며, 상기 노즐(150)의 다른 구성들도 같은 목적으로 적절하게 설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단일의 노즐(150)만으로는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충분한 량의 물을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단일의 노즐(150)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의 일부에는 물이 공급되지 못할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세탁기는 복수개의 노즐(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4는 일 예로써 덕트(100)에 제공된 복수개, 정확하게는 2개의 노즐(150)을 보여준다. 도 2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노즐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는 가상적으로 분할되고, 적용된 각각의 노즐들(150)은 해당되는 분할된 공간(S)에 최적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노즐들(150)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복수개의 노즐들(150)은 보다 많은 량의 스팀이 생성되도록 상기 소정공간(S)에 충분항 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노즐(150)의 효과는 도 24에서도 명확하게 도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들(150)은 앞서 설명된 단일 노즐(150)에 비해 더 많은 부품과 공정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른 여러가지 방법중에서도 복수개의 노즐들(150)의 부품들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51) 및 헤드(152)를 포함한 모든 노즐(150)의 부품들을 몰딩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몸체(151)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153)을 갖는다. 이러한 나선형 유로(153)는 공급되는 물에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를 갖게 하나, 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상기 나선형 유로(153)까지 포함하는 일체형 노즐(150)을 제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25-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유로(153)를 대신하여 발생장치(154)(swirling device 또는 swirler)가 상기 노즐(15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생장치(154)는 기본적으로 상기 나선형 유로(153)과 마찬가지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이의 중심에 배치되는 코어(15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54c)가 상기 코어(154a)를 감싸도록 상기 발생장치(154)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154a)는 상기 발생장치(154)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며,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생장치(154)의 흡입부 부근에서 상기 코어(154a)는 적어도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추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에 공급되는 물의 유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원추부의 뾰족한 팁(tip)은 상기 발생장치(154)에 공급되는 물의 유동과 마주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공급되는 물의 유동은 상기 뾰족한 팁에 의해 실질적인 유동저항없이 분할되며, 이후 상기 팁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154a)의 원추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유동은 급격한 유동저항을 받지않으면서 상기 발생장치(154)내부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도 25-도 27은 모두 상기 코어(154a)가 발생장치(154)의 흡입부에 인접한 부위에서만 원추부를 갖는 것을 도시하나, 상기 코어(154a)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코어(154a)의 주위에 배치되는 유로(154b)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로(154b)는 상기 코어(154a)의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54a)와 상기 몸체(154c)사이에는 소정의 간극(clearance)이 형성되며, 이러한 간극내에 상기 유로(154b)가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공급되는 물은 상기 코어(154a)에 의해 상기 발생장치(154)의 내부로 안내되며, 상기 유로(154b)에 의해 소용돌이치며(swirl) 상기 노즐(150)의 헤드(152)에 도달한다. 따라서, 공급된 물은 보다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 가지면서 상기 노즐(15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발생장치(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다른 부품들과 별도로 제작된다. 대신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갖는 와류형성구조, 즉 상기 발생장치(154)가 별도로 제작되므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다른 부품들, 크게는 몸체(151) 및 헤드(152)는 도 2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몸체(151) 및 헤드(152)에 있어서도,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노즐(150)은 소정크기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플랜지(151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50)은 물을 소정압력으로 소정공간(S)로 토출하도록 토출구(152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몸체(151) 및 헤드(152), 즉 노즐(150)내에 별도로 형성된 발생장치(154)가 끼워질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앞서 설명된 나선형 유로(153)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151)내에 끼워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발생장치(154)와 몸체(151)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이와 같이 끼워진 발생장치(154)는 여러가지 방식,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51)에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융착은 큰 결합강도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상기 발생장치(154)는 이러한 융착에 의해 상기 몸체(15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와류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생장치(154)에서 발생된 와류가 바로 상기 헤드(152)로 공급되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51)의 상기 헤드(152)와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몸체(151)는 실질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발생장치(154)를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151)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 즉 몸체(151)와 헤드(152)의 연결부까지 정확하게 밀어 넣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즐(150) 또는 발생장치(154)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도 27은 상기 발생장치(154)에 제공되는 홈(154d)을 일 예로써 보여준다. 이러한 홈(154d)는 상기 노즐(150)과 인접하는 몸체(154c)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생장치(154) 대신에, 상기 노즐(150)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발생장치(154)를 마주하는 상기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위치결정구조로써, 상기 홈과 짝을 이루도록, 상기 노즐(150) 또는 발생장치(154)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도 27은 상기 노즐(150)에 제공되는 리브(151e)를 일 예로써 보여준다. 이러한 리브(151e)는 상기 발생장치(154)와 인접하는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즉 몸체(151) 대신에, 상기 발생장치(154)에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 즉 몸체(151)와 마주하는 상기 몸체(154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생장치(154)가 상기 몸체(151)에 끼워질 때, 상기 리브(151e)가 상기 홈(154d)에 끼워지면 상기 발생장치(154)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다. 또한, 상기 몸체(151)에 제공된 리브(151e) 또는 홈이 이의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생장치(154)는 정렬된 상태로 상기 몸체(151)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 즉 몸체(151)와 헤드(152)의 연결부까지 계속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구조에 의해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정확하고 용이하게 상기 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150)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150)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발생장치(154)는 앞서 설명된 나선형 유로(153)를 효과적으로 대체하면서 동시에 노즐의 나머지 부품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개의 노즐들(150)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부품과 공정은 증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생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세탁기의 제조비용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용량 및 성능등에 따라 서로 다른 모델의 세탁기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서로 다른 모델들에 따라 세탁기들의 설계도 서로 달라지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설계에 따라, 세탁기들의 내부부품들의 구성들, 예를 들어 내부부품들의 크기 및 배치도 서로 달라지게 된다. 세탁기의 내부 부품들중 드럼(40)이나 터브(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덕트(100)는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서로 다른 설계에 의해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큰 영향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상기 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구성도 변화되며, 이러한 내부 설치 부품들의 구성 변화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등을 고려하여,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30)는 서로 다른 구성, 즉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덕트(100)에 수용되는 부품중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상기 히터(130)의 변화된 구성은 상기 덕트(100)의 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이러한 히터(130)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건조덕트(110)의 구성, 즉 크기 및 형상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구성도 변화되며, 이러한 구성의 변화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30) 및/또는 드럼(40)은 적어도 의도된 세탁기의 용량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구성, 즉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크기, 즉 세탁기의 전체 크기는 대부분의 경우 미리 결정되므로, 이러한 기 설정된 하우징(10)내에 상기 변화된 터브(30) 및 드럼(40)과 함께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의 구성, 즉 크기 및 형상등이 변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달라지는 설계들은 상기 덕트(100)의 구성, 적어도 크기 및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기 덕트(100)의 구성은 서로 다른 설계, 즉 상기 덕트(100)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관련부품들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달라지게 되며, 이는 도 28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또한, 상기 덕트(100)의 구성이 서로 달라지는 경우, 그 내부에 배치된 히터(130) 및 소정공간(S)에 적절하게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조도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의 분사는 상기 노즐(1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노즐(150)은 상기 덕트(100)의 팬 하우징(113),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00)의 구성에 따른 적절한 물 분사는 이러한 노즐(150) 및 하우징(113)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덕트(100)의 서로 다른 구성들에 따라 상기 노즐(150) 및 하우징(113)의 구성을 둘 다 변경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덕트(100)의 부품중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덕트(100)에 이의 구성의 변경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정 크기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113)이 설계되면, 그와 같은 크기보다 작은 블로워(140)들은 모두 상기 하우징(113)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100)에 대해, 동일한 구성의 팬 하우징(113), 즉, 상부 및 하우 하우징(113b,113a)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절되지 않은 동일한 노즐(150)이 사용되면, 이러한 노즐(150)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의 덕트(100)의 히터(150) 및 소정공간(S)에 적절하게 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되며, 이는 도 28에도 명확하게 나타난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팬 하우징(113b,113a)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 및 히터(150)의 전체에 충분할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노즐(150)의 배향(orientation)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배향과 더불어, 상기 노즐(150)의 확산각(a)(도 5 참조)도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덕트(100)의 서로 다른 구성에 따라 상기 노즐(150)의 구성, 즉 배향 또는 확산각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들이 도 29에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29a-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는 서로 다른 설계, 즉 이의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100a,100b,100c), 즉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에, 동일한 구성의 팬 하우징(113a,113b)가 공통적으로 적용되므로, 상기 서로 다른 덕트(100)들은 이의 구성에 따라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성의 하부파트(111) 및 상부파트(112;도시안됨)를 적어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구성의 덕트(100a,100b,100c)에 대해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a,150b,150c)가 각각 적용된다. 이들 노즐들(150a,150b,150c)은 적어도 해당 덕트들(100a,100b,100c)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 및/또는 분사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덕트의 구성에 따른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a,150b,150c)의 적용에 의해 상기 히터(150) 및 소정공간(S)의 전체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탁기의 모델 및 설계변경 및 이에 따른 덕트(100)의 구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량의 스팀 생성에 의해 원하는 성능의 리프레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다수개의 덕트(100)와 노즐(150)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해당하는 구성을 갖지 않는 노즐(150) 및 덕트(100)가 잘못되게 조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로 해당되는 구성들을 갖는 노즐(150) 및 덕트(100)을 정확하게 짝을 지워주는 페어링 구조(pairing mechanism)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페어링 구조의 일 실시예(170)에 있어서, 홈(171a,171b,171c)이 상기 덕트(100a,100b,100c) 및 노즐(150a,150b,150c)의 구성에 따라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71a,171b,17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의 하부 파트(1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1e)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브(172a,172b,172c)가 해당하는 구성을 갖는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된 홈(171a,171b,171c)에만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72a,172b,172c)는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150a,150b,150c)의 끝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a,150b,150c)이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브(172a,172b,172c)가 홈(171a,171b,171c)에 정확하게 삽입될 때에만, 상기 노즐(150a,150b,150c)은 정확한 결합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50a)가 이에 해당하는 구성을 갖지 않는 덕트(100b)에 결합되는 경우, 리브(172a)는 홈(171b)에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a,150b,150c)은 정확한 결합위치에 배치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잘못된 조합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홈(171a,171b,171c)은 상기 덕트(100a,100b,100c) 대신에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리브(172a,172b,172c)는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어링 구조의 다른 실시예(180)에 있어서, 정보영역(181a, 181b,181c)은 서로 다른 덕트(100a,100b,100c) 및/또는 노즐(150a,150b,150c)의 구성들을 나타내면서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영역(181a,181b,181c)은 실제적으로 세탁기의 서로 다른 모델명을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에 인접하는 상부 하우징(113b)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자(indicator)(182a,182b,182c)가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내의 해당하는 구성을 지시하도록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해당되는 구성을 갖는 덕트(100a,100b,100c) 및 노즐(150a,150b,150c)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182a,182b,182c)는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내의 해당 구성, 예를 들어 세탁기의 모델명을 정확하게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은 상기 덕트(100a,100b,100c) 대신에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자(182a,182b,182c)는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은 해당하는 구성을 갖는 노즐(150a,150b,150c)만을 해당 덕트(100a,100b,100c)에 설치되게 허용한다. 또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은 정확하게 조합된 노즐(150a,150b,150c) 및 해당 덕트(100a,100b,100c)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모델명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에 의해 작업자는 서로 조합가능한 구성을 갖는 노즐 및 덕트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된 노즐 및 덕트의 정보를향후 유지보수에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는 세탁기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도 10, 도 12, 도 14에 공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는 소정크기의 리세스(1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114)는 소정량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리세스(114)는 덕트(100)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2)에 제공될 수 있다. 여러가지 이유들로, 상기 덕트(100)내에는 물이 잔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스팀으로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덕트(100)내에 잔류할 수 있다. 한편으로 공급된 물은 스팀으로 변환되었다 하더라도 덕트(100)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다시 물로 응축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인 세탁물의 건조중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moisture)도 덕트(100)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114)는 이러한 잔류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0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114)는 잔류하는 물을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리세스(114)는 수용된 물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가열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114)는 수용된 물이 히터(1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13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세스(114)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도 상기 히터(110)에 의해 가열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도 8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configuration)에 의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에 추가적으로,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은 상기 히터(130)의 가열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더 많은 량의 스팀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의도된 기능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접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길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길 수 있으나, 도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히터(130)는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기는 절곡부(131a)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2-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히터(130)에 장착되며,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기는 히트싱크(heat sink)(133)를 가열부재로써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휜(fin)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열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열은 상기 히트 싱크(133)를 거쳐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전달된다. 또한, 도 14-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가열부재로써 상기 리세스(114)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히터(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11c)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파트(111)는 높은 열전도성 및 강도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111c)도 같은 금속재질로 상기 하부파트(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1c)는 상기 히터(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넓은 전열면적을 갖기 위해 상기 히터(130)를 수용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이 열은 상기 지지부(111c)를 거쳐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히트싱크(133) 및 지지부(111c), 즉 가열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부재(133,111c)는 상기 히터(130)와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열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절곡부(131a) 및 가열부재(113,112c)에 의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촉을 위한 구조없이도, 상기 히터(130)는 공기를 통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가열하고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2-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스팀이 세탁기에 제공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의 리프레쉬먼트, 세탁물의 살균, 및 세탁 분위기 조성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팀공급의 타이밍, 스팀공급량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다른 많은 기능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세탁기의 기본적인 세탁 코스중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세탁기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별도의 코스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별도의 코스로써 다음에서는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리프레쉬하는데 최적화된 코스가 도 16-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리프레쉬 코스를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탁기는 소정의 제어장치(controller 또는 controll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후술되는 리프레쉬코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 구현가능한 모든 코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각 부품의 모든 작동이 수행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의 모든 기능/작동 및 후술되는 제어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모두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있다.
먼저, 상기 리프레쉬 코스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이 가열될 수 있다(S5). 그리고 이러한 가열은 여러장치중 상기 히터(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단계(S5)는 기본적으로 스팀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스팀생성을 위해 기 설정된 소정공간을 의미한다. 다른 외부적인 변화가 이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히터(130)는 공기의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 자체 및 이의 주변공간만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히터(130)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의 공간을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덕트(100)내 공간의 일부인 상기 소정공간(S)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히터(130) 자체 (정확하게는, 상기 히터(130)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이의 주변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소정공간(S)에 수행되는 모든 작동은 상기 히터(13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의 가열을 유효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같은 목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는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높은 온도로의 가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공간(S)을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으로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는 스팀생성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공간, 즉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하므로, 상당히 짧은 시간동안의 가열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 뿐만 아니라 순간적인 가열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은 의도된 스팀생성을 위한 소정의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면, 적어도 기설정된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열단계(S5)도중에 외부적인 변화가 상기 소정공간(S)에 주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이 주어지는 경우, 히터(130)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덕트(100)의 다른 영역들로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다른 영역들을 불필요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국부적이고 순간적인 가열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을 상기 소정공간(S)에 만들기 어려워지며, 에너지의 초과적 사용이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이 상기 덕트 시스템 전체에 걸쳐 발생되는 경우, 즉 상기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등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결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덕트(100)를 이용한 공기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가 진행되는 도중, 즉 완료되기 전에는 상기 소정공간(S)은 충분하게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열단계(S5)도중 물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된다면, 많은 량의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지 않으며 원하는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공급 및/또는 물 공급의 배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유동공급 및/또는 물 공급의 배제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기유동 공급 및 물 공급의 배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이 일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의 제어는 도 17 및 도 18a-18c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17은 전체 리프레쉬 코스동안 관련부품들의 작동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7에서 화살표는 해당 부품의 작동 및 이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a-18c는 전체 리프레쉬 코스동안 관련부품들의 작동을 실제 시간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18a-18c에서, "진행시간"에서의 숫자는 리프레쉬 코스 시작후 진행된 전체시간(초)을 표시하며, 각 장치들에서의 숫자는 해당장치가 해당 단계에서 실제적으로 작동한 시간(초)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로워(140)는 공기유동 및 공기순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 및/또는 공기 순환의 공급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덕트(100)내에서 물공급을 위한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을 피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 및 노즐(150)의 작동 정지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블로워(140) 및 노즐(150)의 작동정지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히터(13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는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은 기본적으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고온환경을 형성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5)에 있어 이러한 환경형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상기 블로워(140)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노즐(15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블로워(140)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생성될 스팀의 품질을 고려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공기유동의 공급 뿐만 아니라 물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가열단계(S5)는 상기 블로워(140) 및 노즐(150)을 둘 다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유동 배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단계(S5)는 공기유동의 배제없이(즉, 공기유동의 공급과 더불어) 물공급을 배제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블로워(140)의 작동정지없이 (즉, 블로워(140)를 작동시키면서) 노즐(150)만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상기 노즐(150)을 정지시키는 단계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 및/또는 노즐(150)의 선택적인 정지중에도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도 17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 메커니즘의 주요부품인 히터(130), 블로워(150), 노즐(150)에 중에서, 상기 히터(130)만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히터(130)는 의도된 스팀생성을 위한 소정의 환경, 즉 고온의 환경이 달성될 수 있다면, 기설정된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 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도 18b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단계(S5)는 실제적으로 상당히 짧은 시간인 2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만에 대한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짧은 시간내에도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소정공간(S)을 스팀 생성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5)가 완료되면,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S)에 물이 공급된다(S6). 이러한 물 공급은 여러장치중 노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의 기 형성된 환경에 스팀생성을 위한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스팀의 생성을 위해 물은 상기 노즐(150)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에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의 간접적인 공급은 상기 노즐(150)과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통상적인 아웃렛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은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이 아닌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블로워(140)에서 제공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으로 스팀생성을 위해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도중, 물은 덕트(100)의 내면에 들러붙으므로, 제공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에서의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에 의해 이미 스팀 생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오직 상기 소정공간(S)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은 의도된 바와 같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적어도 기설정된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공급은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좋은 품질을 갖는 충분한 량의 스팀의 생성은 최적의 환경 즉, 고온의 환경의 조성을 조건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가 소정시간동안, 정확하게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 후에 시작 또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시작이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체상태의 물(vapor phase of water)을 의미하는 반면, 미스트(mist)는 액체상태의 작은 물 입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스트는 쉽게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통해 고온의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이미 앞서 도 6-8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를 생성하고 공급하는데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의 공급에 의해 상기 물공급 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서 충분한 량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 대신에 물, 즉 워터 스트림 또는 워터 젯(water strean or water jet)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발생에 충분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팀은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므로,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의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어떠한 수분, 즉 물 또는 미스트의 제공은 상기 히터(130)에 대해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미스트를 분사한다면, 상기 소정공간(S)에 조성된 최적의 환경을 고려할 때, 스팀을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이러한 직접적인 미스트 분사를 상기 소정공간(S)에만 수행하면, 스팀의 생성은 더욱 효율적이 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아직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되지 않았으므로, 의도된 바와 같은 충분한 량의 스팀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물공급단계(S6)도중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면, 충분하지 않은 량의스팀이 이러한 공기유동과 함께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초기에는 공급된 물이 공기유동에 의해 비산되어 상기 소정공간(S)을 벗어나므로, 마찬가지로 충분한 량의 스팀이 생성 및 공급될 수 없다. 더 나아가,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물 공급단계(S6)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아직 많은 량의 액체상태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내에 존재할 수 있다. 만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이 물공급단계(S6)중에 공급되면, 상당한 량의 액체상태의 물이 스팀과 함께 상기 공기유동에 운반되어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물공급단계(S6)에서 공기유동의 공급은 터브(30)에 공급되는 스팀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도된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이 상기 덕트 시스템 전체에 걸쳐 발생되는 경우, 즉 상기 덕트(100) 및 터브(30)들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결과들이 보다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같은 이유로 공기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순환의 공급배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유지되나,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공급된 물은 상기 소정공간(S)내의 에너지, 즉 열을 흡수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의 온도는 내려간다. 이러한 온도저하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당한 량의 액체상태의 물의 존재로 인해 충분한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못하고 스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열은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자체는 상기 가열단계(S5)의 기본적이고 고유한 기능이므로, 이러한 물공급단계(S6)에서의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가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충분하게 상기 소정공간(S)이 가열되었으므로, 추가적인 가열없이도 상기 물 공급단계(S4)에서 스팀은 어느정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4)는 추가적인 가열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기유동 공급의 배제 및/또는 가열수행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을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의 작동 정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정지를 상기 물 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은 상기 소정공간(S)의 가열을 위한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의 최적환경 유지에 요구되는 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히터(130)는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가열없는 물공급단계(S6)를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정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히터(130)의 작동정지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노즐(150)은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의도된 바와 같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상기 노즐(150)은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은 기본적으로 좋은 품질을 갖는 충분한량의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방해한다. 상기 물 공급단계(S6)에 있어 스팀생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적어도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스팀 생성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물공급단계(S6)는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적어도 상기 블로워(140)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단계(S6)는 상기 블로워(140)를 정지시키는 반면, 상기 히터(150)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S)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너무 많은 량의 물을 실질적으로 긴 기간동안 공급하면 이러한 물은 모두 스팀으로 변환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보다 짧은 시간인 7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시간동안의 물 공급단계(S6)에 의해 적절한 량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어 모두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완료되면, 생성된 스팀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공기가 불어질 수 있다(blow)(S7). 즉 생성된 스팀이 상기 터브(30)에 공급되도록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될 수 있다(S7). 이러한 공기유동의 공급은 여러장치중에서 상기 블로워(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이러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하며, 일차적으로 터브(30)에 공급된다. 이후, 상기 스팀은 드럼(40)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탁물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을 리프레쉬하거나, 세탁물을 살균하거나 최적의 세탁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만일 공급된 공기유동이 생성된 스팀의 전부 또는 이의 충분한 량을 상기 터브(30)에 이송할 수 있다면, 이러한 공기공급은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공급은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단계(S7)은 상기 터브(40)에 공급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스팀의 생성을 조건으로 하므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 후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의 시작이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소정시간동안의 수행후에 시작되므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가열단계(S5) 및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된다.
한편,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급되는 스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다. 공급된 스팀은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동안, 생성된 스팀의 일정량은 이송되는 도중에 손실되며, 세탁물에 도달될 수 없다. 더 나아가, 충분한 량의 스팀이 세탁물에 제공될 수 없으며, 의도된 효과가 얻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팀을 계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공급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공급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팀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계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짧은 시간동안에 초과적인 스팀이 이송중의 손실을 충분하게 보충할 정도로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도중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세탁기는 도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질 정도로 충분한 량의 스팀을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에 의해 의도된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공급은 물공급단계(S6)의 기본적 기능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의 물공급은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공급된 물은 스팀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소정공간(S)내의 열을 흡수하므로, 온도저하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에 의해 최적의 환경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에서의 스팀 생성은 의도된 바와 같은 초과적인 량의 스팀을 얻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열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스팀생성의 최적환경의 계속적 유지를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의 기본적 기능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의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 공급 및/또는 가열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을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50)은 및 히터(13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 및 가열을 위해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노즐(150) 및 히터(130)의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초과적 스팀생성 및 이를 위한 최적환경 유지를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을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작동은 상기 덕트(100)내에 잔류하는 스팀을 모두 배출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블로워(140)는 공급된 공기유동이 생성된 스팀의 전부 또는 이의 충분한 량을 상기 터브(30)에 이송할 수 있다면 상기 공급단계(S5)의 일부 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상기 터브(30)내에는 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급되는 스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공급된 스팀은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도 상기 덕트(100)내에서도 열교환에 의해 상기 생성된 스팀은 응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된 물은 다시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된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터브(30)내에 모일 수 있다. 만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3)가 상기 터브(30)에 제공되는 경우, 응축된 물은 상기 섬프(33)에 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축된 물은 상기 세탁물을 다시 적실 수 있으며,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 및 공기공급단계(S6,S7)동안에 상기 스팀공급에 의해 생성된 물은 상기 터브(3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배출을 위해,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되면, 상기 섬프(33)에 있는 물은 상기 배수구(33b) 및 배수관(91)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배출은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물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면, 상기 물의 배출은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일부 기간동안만 수행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수펌프(90)도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전체 기간동안 작동되거나, 이의 일부 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공간(S)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상기 소정공간(S)내에 생성된 모든 스팀을 상기 터브(30)에 공급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상기 물공급단계(S6)보다 짧은 시간인 3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들(S5-S7)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단계에 의도된 기능을 각각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이들의 수행시간들은 도 1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단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도 최소화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5-S7)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히터(130)는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속적인 작동으로 인해, 상기 히터(130)가 과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히터(1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내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85℃까지 상승되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100)내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70℃까지 하강되면, 상기 히터(130)는 다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 생성된 스팀을 효과적으로 터브(30)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충분한 공기유동은 실제적으로 상기 블로워(140)가 소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될 때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140)가 적정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 블로워(140)가 완전히 정지된 상태로부터 회전을 시작할 때까지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다른 관련단계들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수행되도록 최적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블로워(140)가 적정 회전수하에서 작동되는 시간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기간보다 더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스팀의 효과적 이송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단계(S7) 동안 블로워(140)의 최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 이전에 상기 블로워(140)는 예비적으로 회전, 즉 작동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블로워(140)가 공급단계(S7) 이전에 미리 회전되면,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동안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초기에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수는 적정 회전수까지 바로 증가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워(140)의 예비회전은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의 공기유동 공급은 스팀의 량 및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40)의 예비회전은 상기 가열단계(S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를 회전시키는, 즉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에서의 공기유동 공급은 비록 스팀생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국부적인 가열을 방해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40)의 작동은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물 공급단계(S6)동안은 상기 블로워(14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블로워(140)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초기에만 회전된다면, 상기 블로워(140)는 관성에 의해서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까지 회전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의 작동단계는 도 17 및 도 18b에도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단계는 오직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단계(S5)에서조차도 공기유동 공급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작동단계는 상기 블로워(140)를 상당히 제한적으로 작동시킨다. 실제적으로 상기 작동단계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140)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소정시간동안만 턴 온된다. 상기 소정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블로워(140)는 바로 턴 오프되며, 단순히 회전만을 유지하도록 관성에 회전된다. 또한, 상기 턴 온되는 소정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낮은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제 1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S5a)와 제 2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S5b)로 구별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가열단계(S5)의 초반부에 해당하며, 어떠한 블로워(140)의 작동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물공급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 해당하며, 앞선 설명된 바와 같은 블로워(140)의 작동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는 상기 블로워(140)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소정공간(S)를 가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기간동안 즉,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턴 온된다. 즉,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에서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 유동이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140)는 낮은 회전수로 작동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의 가열에 대한 공기유동의 악영향은 최소화된다. 한편,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의 종료시, 상기 블로워(140)는 바로 턴 오프 된다. 턴 오프되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단순히 회전만을 유지하도록 관성에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상기 블로워(140)가 상당히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어떠한 실질적인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블로워(140)의 관성회전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까지 연장되며,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가 시작될 때, 상기 블로워(140)는 여전히 낮은 회전수하에서도 회전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초기에 블로워(140)의 정지에서 회전시작까지의 시간이 절약되며,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수는 적정 회전수까지 바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도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작동단계가 수행되면, 블로워(140)가 작동되고 공기유동이 공급되므로, 상기 작동단계를 수반한 가열단계(S5)는 단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 및 노즐(150)의 작동없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140)는 작동단계에서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덕트(100)을 통한 공기 순환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덕트(100)를 통한 공기 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단계가 수행된다 하더라도, 이는 가열단계(S5)에서의 국부적인 가열 및 스팀 생성 환경 조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 또한, 만일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없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가 효율적으로 원하는 량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면, 이러한 작동단계는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가열단계(S5)는 여전히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 둘 다 없이 수행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즉,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는 선택적이며, 필수 불가결한 것이 아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물공급단계(S6) 및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스팀공급을 위해 기능적으로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16,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5-S7)은 이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형성한다. 리프레쉬 효과, 즉 구김, 정전기, 냄새등의 제거는 충분한 량의 스팀의 공급만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P2)는 이미 충분한 량의 스팀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후술되는 추가적인 단계들없이도 단독으로 의도된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S5-S7)의 세트 즉,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는 다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많은 스팀이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계속적으로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8b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바람직하게는 12회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13 -14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반복될 수도 있다. 스팀공급프로세스(P2)를 1번 수행하는데 30초가 걸리므로, 이를 12회 수행하는 것은 360초정도 걸린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P2)의 반복중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제어의 목적으로 추가적인 지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 뒤따르는 단계는 정확하게 360초후에 시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공급에 요구되는 기능 및 작동을 상세하게 구별하고 이러한 구별된 기능 및 작동을 해당 단계들(S5-S7)에 각각 부여한다.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물공급단계(S6) 및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각각의 의도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의도된 기능에 연계된 작동을 주로 수행하며 이에 따라 연계된 부품을 주로 작동시킨다. 또한, 같은 이유로, 즉, 부여된 기능들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계들(S5-S7)의 시작시점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되며,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은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된다. 따라서, 후속단계들은 앞선 단계들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와 같은 의도된 기능들이 충분하게 수행된 후에야 자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앞선 단계들(S5,S6)의 지속기간은 후속단계들(S6,S7)와 앞선 단계들(S5,S6)이 중첩되게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앞선 단계들(S5,S6)는 상기 후속단계들(S6,S7)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가열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가열 및 물공급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S5) 및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계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각종 손실을 보상하면서도 초과적인 량의 스팀이 생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은 스팀이송성능을 강화하도록 추가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 앞서 예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급단계(S7)가 시작되자 마자 상기 블로워(140)는 적절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공기유동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공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의도된 기능들의 효과적 수행에 추가적으로 스팀 생성 량과 이송에 있어서의 개선을 가져온다. 즉, 스팀생성량이 크게 증가되며, 이러한 증가된 스팀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본적으로 리프레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충분한 공기유동을 공급함으로써 초과생성된 스팀을 모두 터브(30)내에 이송시키므로, 이송된 스팀은 도어(20)의 투명부, 즉 도어 글래스(21)를 통해 사용자에게 분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의 가시화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기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을 생성하고 공급하는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스(P2)는 위에서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일부로써 설명되었으나, 기본적인 세탁 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만일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세탁기 자체가 미리 스팀공급에 적합하게 준비될 수 있다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S5-S7)는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준비를 위한 단계들이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준비단계들과 기 설명된 단계들(S5-S7) 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되는 모든 단계들에 있어서, 만일 어떤 기능이 수행되거나 배제된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기본적으로 그와 같은 기능수행 및 기능배제가 해당 단계의 기설정된 전체기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해당 단계의 일부 기간동안 유지되는 것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같은 논리가 그와 같은 기능과 관련된 부품이 작동되거나 정지된다고 설명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만일 어떤 기능 및/또는 부품의 작동이 다음의 각각의 단계들에서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는 해당 단계에서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며, 부품이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 즉 정지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술된 논리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든 단계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준비단계로써, 상기 가열단계(S5)에 앞서, 상기 덕트(100)가 예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S4). 이러한 예비가열단계(S4)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덕트(100)와 이에 연결된 터브(30)에서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덕트(100)내의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a를 참조하면,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가 열을 발산하면, 이러한 열은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열은 공기유동과 함께 순환하면서, 공기 뿐만 인접한 부품들도 가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순환하는 열과 공기유동은 상기 덕트(100)(스팀공급 메커니즘 포함)뿐만 아니라 터브(30)와 드럼(40) 자체와 이들 내부의 공기들을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소정공간(S)만을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반면,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상기 덕트(100) 및 그 내부 부품을 포함하여, 터브(30) 및 드럼(40)과 같은 세탁기 시스템 전체를 실질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반면,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공기의 순환을 이용하므로, 세탁기 시스템 전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 및 히터(13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예비가열단계(S4)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a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에 의해 상기 덕트(100)전체가 일차적으로 가열되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S5-S7)에 의해 제공되는 스팀이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덕트(100)내에서 응축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터브(30) 및 드럼(40)도 전체적으로 가열하므로, 제공되는 스팀이 상기 터브(30) 및 드럼(40)내에서 응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손실없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공급되므로 의도된 기능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가열단계(S4)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5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 상세하게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내에 잔류하는 물은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잔류하는 물은 공급된 스팀의 빠른 응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다시 적실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세탁기내에 잔류하는 물은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3). 상기 배출단계(S3)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예비가열단계(S4)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단계(S3)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단계(S3)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되면, 상기 터브(30)내의 물은 상기 배수구(33b) 및 배수관(91)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배출단계(S3)동안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가열되지 않은 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순환단계동안, 히터(130)의 작동없이 상기 블로워(140)만이 소정시간(예를 들어, 3초)동안 작동될 수 있다 (도 17 및 18a 참조). 상기 순환단계에서, 가열되지 않은 공기, 즉 상온의 공기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에 걸쳐 순환하면서, 이들 내부에 기 존재하는 물을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터브(30), 상세하게는 상기 터브(30)의 바닥부에 모은다. 만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3)가 상기 터브(30) 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경우, 잔류된 물은 모두 상기 섬프(33)에 모일 수 있다. 실제적으로, 덕트(100)내에 잔류하는 물은 단순히 배수펌프(90)의 작동에 의해서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공기 순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덕트(100)내의 물도 제거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단계에 의해 잔류된 물은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단계(S3)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5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반복되는 작동동안 상기 히터(130)의 표면에는 린트등과 같은 불순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은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가열단계(S5)에 앞서, 상기 히터(130)의 표면은 청소될 수 있다(S2). 상기 청소단계(S2)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청소단계(S2)는 히터(130)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청소를 위해 일정량의 물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단계(S2)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청소단계(S2)의 수행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소정량의 물을 상기 히터(130)에 분사한다. 만일 너무 많은 량의 물이 상기 히터(130)에 분사되면, 상기 덕트(100)내에 물이 상당량의 물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잔류된 물은 뒤 따르는 단계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히터(130)에 물을 간헐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는 0.3초동안 물을 분사하고 2.5초동안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사 및 정지의 세트는 예를 들어 4회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소단계(S2)에 의해 히터(130)의 불순물들이 제거되므로, 뒤따르는 단계들, 특히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상기 히터(130)의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청소단계(S2)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히터(130)를 전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표면의 온도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며, 이에 따라 히터(130)는 뒤따르는 단계들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는 상당량의 스팀이 계속해서 상기 터브(30)에 공급된다. 상기 세제박스(15)는 상기 터브(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중 일부가 상기 세제박스(15)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된 스팀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세탁기 자체의 신뢰성도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청소단계(S2)에서 상기 세제박스(15)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제박스(15)와 연결된 밸브가 짧은 시간동안(예를 들어, 0.1초)개방되며, 이에 따라 물이 상기 세제박스(15)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물은 상기 세제박스(15) 내부와 상기 세제박스(15)와 터브(30)을 연결하는 관의 내부를 적신다. 따라서, 상기 터브(30)로부터 누출된 스팀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 및 세제박스(15)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응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세제박스(15)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히터 청소 및 누출방지는 상당량의 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이 잔류하면 뒤따르는 단계들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단계(S2)동안에도 도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소단계(S2)은 도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2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제어의 목적으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S1). 이러한 전압 감지에 기반한 제어는 본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S4)는 뒤따른는 단계들(S5-S7),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1-S4)들은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위해 준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6, 도 17,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1-S4)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준비 프로세스(P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준비 프로세스(P1)는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 실질적으로 보조적이다. 따라서, 만일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가 아닌 기본적인 세탁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적용되면, 상기 준비 프로세스(P1)는 그와 같은 코스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공급된 스팀은 의도된 바와 같이 이의 높은 온도 및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의 구김, 냄새, 및 정전기등을 어느정도 제거함으로써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리프레쉬 기능을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후처리가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된 스팀은 상기 세탁물에 수분을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상기 리프레쉬된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로써,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이후에, 제 1 건조단계(S9)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섬유의 구김을 펴기 위해서는 섬유의 조직이 재배열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섬유조직의 재배열을 위해서는 먼저 소정량의 수분이 제공되고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내의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 한다. 즉,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만 변형된 섬유조직들이 부드럽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만일 너무 높은 온도로 섬유를 건조하게 되면, 수분만이 급속하게 섬유부터 제거되며 섬유조직들은 변형된 채로 남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수분을 천천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1 건조단계(S9)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세탁물을 가열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은 실질적으로 저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건조단계(S9)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공급된 가열공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드럼(40)내의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된 공기공급은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덕트(100)내의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를 참조하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가 열을 발산하면, 이러한 열은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며, 가열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공기유동과 함께 터브(30) 및 드럼(40)을 거쳐 세탁물에 도달될 수 있다. 또한, 만일 히터(130)이 지속적으로 작동되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계속적으로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130)은 30초동안 작동되고, 40초동안 정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의 공급을 위해,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의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57℃까지 떨어지면, 상기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58℃까지 올라가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에 기초한 히터(130)의 단순제어만에 의해서도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범위인 57℃-58℃로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에 기초한 히터(130)의 단순제어에 추가적으로, 히터(130)의 단속적인 작동은 강제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이미 상기 터브(30)내의 온도는 상온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건조단계(S9)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환경을 요구한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블로워(140)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3초)동안 작동된 후, 작동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술된 제 1 건조단계(S9)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세탁물의 섬유조직은 천천히 건조되면서 재 배열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주름 및 구김을 포함하지 않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건조단계(S9)는 세탁물을 충분한 시간동안 천천히 건조하도록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9분 3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스팀으로 인해 세탁물은 젖게 되므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이후에, 제 2 건조단계(S10)가 수행된다. 상기 수분을 빠른 시간내에 세탁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높은 온도로, 즉 적어도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높은 온도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와 비교할 때 고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건조단계(S10)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당히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공기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단계(S9)과 마찬가지로, 높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단속적 작동과는 다르게, 히터(130)는 높은 온도의 공기의 계속적 공급을 위해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13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동안, 상기 히터(130)가 과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히터(1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95℃까지 상승하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90℃까지 하강하면, 상기 히터(130)는 다시 작동될 수 있다.
상술된 제 2 건조단계(S1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세탁물은 빠른 시간내에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건조단계(S10)는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짧은 1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기간은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보다 길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건조단계들(S9,S10)는 일종의 후처리로써의 건조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9,S10)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건조 프로세스(P4)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완료된 후, 세탁기의 내부에는 상당량의 스팀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은 응축되면서, 상기 덕트(100), 터브(30), 드럼(40), 및 이들의 내부 부품들의 표면에 얇은 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 즉 공기유동 공급단계(S7)후에 바로 건조단계들(S9,S10)이 수행되면, 이러한 수막은 쉽게 증발하여 수분이 세탁물에 공급되며, 이에 따라 건조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막은 일부 부품, 특히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이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이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휴지(pause)된다(S8). 즉, 상기 휴지단계(S8)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과 상기 제 1 건조단계(S9)사이에 수행된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8)동안 드럼(40) 및 이의 회전을 위한 모터를 제외한 세탁기의 모든 부품들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따라서, 부품들에 형성된 수막은 물로 더 응축되어 모여진다. 응축된 물은 수막과는 달리 쉽게 증발되지 않으며, 건조단계들(S9,S10)동안 수분이 세탁물에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수막의 제거로, 히터(130)의 정상적인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휴지단계(S8)에 의해 건조효율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휴지단계(S8)는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분(18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휴지단계(S8)는 부품들로부터 수막, 즉 수분을 제거하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분제거 프로세스(P3)로 간주될 수 있다.
건조단계들(S9,S10)을 거친 세탁물은 가열된 공기에 의해 가열에 의해 높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세탁물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수분이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조된 세탁물을 바로 입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2 건조단계(S10)이후에, 상기 세탁물은 냉각될 수 있다(S1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단계(S11)은 상기 세탁물에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단계(S11)에서 히터(130)의 작동없이 상기 블로워(130)만이 상온의 공기의 유동을 위해 작동될 수 있다. 가열되지 않은 공기, 즉 상온의 공기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에 걸쳐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상온의 공기는 세탁물과 열 교환에 의해 세탁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프레쉬된 세탁물을 바로 입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공급되는 상온의 공기는 상기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전체 부품들을 어느 정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도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S11)는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단계(S11)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냉각 프로세스(P5)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단계(S11)이후에, 상기 세탁물 및 세탁기는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으로 상온의 공기하에서 자연 냉각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단계들(S1-S11)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기능적 측면을 고려할 때,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 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리프레쉬 코스의 의도된 기능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보조하여, 상기 준비 프로세스(P1)은 스팀생성에 최적의 환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분제거 프로세스(P3)는 건조에 최적의 환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건조 및 냉각 프로세스(P4,P5)는 건조 및 냉각과 같은 후처리(post treatment or additional treatment)를 수행한다. 이들 프로세스들의 적절한 연계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주름, 냄새, 정전기 제거와 같은 의도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만일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경우,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P2)의 물공급단계(S6)에서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공급되는 물의 량이 기 설정된 것보다 적어지거나,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즉각적으로 히터(150)의 과열을 가져오며, 더 나아가 세탁기의 파손을 가져올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상기 덕트(100)내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는 물의 량(이하, '급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상기 급수량을 판단함으로써 함께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6-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소정공간(S)으로로의 급수량을 판단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량 판단단계(S12)를 포함하는 리프레쉬 코스가 도 16-도 20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급수량 판단단계(S12)는 정확한 판단을 위해 공급된 물의 실제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적 방법은 상대적으로 비싼 장치를 요구하므로, 세탁기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량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공간(S)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만을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판단에 있어서 간접적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앞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면, 자연히 덕트(100)내의 공기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기 설정된 량으로 공급되었다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발생되고 덕트(100)내의 공기온도도 일정 수준까지 증가될 수 있다. 반면, 급수량이 줄어들거나 물 공급이 중단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스팀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공기온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까지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급수량은 덕트(100)내의 공기의 온도 상승량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즉, 큰 급수량은 큰 온도 증가량을 가져오며, 상대적으로 적은 급수량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적은 온도 증가량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간접적인 판단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12)는 소정기간동안 덕트(100)내의 온도 상승량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급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간접적 판단을 위해 스팀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량을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상승량 판단은 먼저 스팀의 생성을 필수불가결하게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판단단계(S12)은 기본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공간(S)내의 공기는 상기 스팀 뿐만 아니라 히터(130)에 의해서도 가열되므로, 스팀만에 의한 공기의 온도 증가량이 상기 소정공간(S)에서 정확하게 측정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상기 소정공간(S)을 벗어난 덕트(100)내의 공간은 스팀만의 온도증가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물이 스팀으로 변화될 때, 이의 부피는 크게 팽창된다. 따라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확한 온도증가량의 측정을 위해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기간동안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증가량을 측정 및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밖에 위치되고, 배출된 스팀과 혼합되며, 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 증가량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공기 및 스팀은 바로 덕트의 배출부(110a)로 진입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덕트의 배출구(110a)에서의 공기 온도증가량을 측정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세탁물의 건조제어를 위해, 상기 배출부(110a)에는 순환하는 뜨거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는 건조단계(S9,S10) (통상적인 세탁물 건조단계 포함) 뿐만 아니라 판단단계(S9)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판단단계(S12)는 세탁기의 생산비용 절감에 매우 유리하다. 더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리프레쉬 코스도중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은 온도 증가량 측정에 요구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도중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기 판단단계(S12)는 도 16,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직전, 즉 상기 가열단계(S5)의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된 기본적인 개념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단계(S12)가 도 19를 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급수량의 판단은 스팀 발생에 의한 온도상승량을 이용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에 있어서 먼저 소정시간동안 상기 덕트내의 소정공간(S)에서 스팀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팀생성에 있어서, 이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내의 소정공간(S)이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S12a). 또한,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S)에 물이 직접적으로 공급된다(S12a). 즉,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는 상술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가열단계(S5)와 물공급단계(S6)과 유사하다.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를 수행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30) 및 노즐(150)이 작동될 수 있다. 앞서 가열단계(S5)와 물공급단계(S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절한 스팀 생성을 위해서는 먼저 소정시간동안의 가열이 수행된 후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130)가 소정시간 작동된 후, 노즐(150)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속하는 단계들에서 온도 상승량을 빨리 측정하기 위해서, 스팀의 생성도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에서 상기 히터(130)와 노즐(150)의 작동은 동시에 시작된다. 또한, 판단단계(S12)자체는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처럼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의도된 단계이 아니므로, 상기 블로워(140)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는 실제적으로 상기 판단단계(S12)의 전체기간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수행되면, 즉 상기 스팀이 생성되기 시작하면, 제 1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S12b).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밖에 위치되며, 상기 소정공간(S)에서 배출된 스팀과 혼합되면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에 해당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덕트의 배출구(110a)에서의 공기 온도에 해당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팀은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시작되면 바로 생성되며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단계(S12b)는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시작된 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온도 상승량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측정단계(S12b)는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수행된 직후, 즉, 상기 스팀이 생성되기 시작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는 스팀생성량이 많지 않아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 짧은 시간동안 (예를 들어, 1초) 상기 블로워(14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140)에서 공급된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 스팀이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원할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S12b)가 완료되면, 소정시간 후에 상기 토출된 공기의 온도인 제 2 온도가 측정된다(S12c). 상기 측정단계(S12c)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공기는 상기 측정단계(S9b)에서 설명된 공기와 동일하다.
상기 측정단계(S12c)가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제 1 및 제 2 온도로부터 온도 상승량이 계산될 수 있다(S12d). 상기 상승량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온도로부터 제 1 온도를 빼서 얻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S12b-S12d)에 의해 상기 소정시간동안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 상승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 후, 계산된 온도 상승량은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될 수 있다(S12e). 만일 상기 비교단계(S12e)에서,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미만인 경우, 이는 온도 증가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거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 이에 따라 충분한 스팀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적어도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S12f). 다른 한편, 만일 상기 비교단계(S12e)에서,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이상인 경우, 이는 온도 증가가 충분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충분한 스팀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적어도 충분한 물이 공급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S12g). 이와 같은 비교 및 판단단계(S123-S12g)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실험이나 해석을 통해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가 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판단단계(S12g)에서와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상기 노즐(150)이 어떠한 고장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가열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상기 단계들(S5-S7)의 세트 즉,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 설정된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12)는 스팀을 이용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 완료된 후, 상기 덕트(100) 내부에는 상당량의 스팀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은 상기 덕트(100) 내부의 부품의 표면에 응축되며, 이들 부품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응축수는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판단단계(S12) 이후,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휴지(pause)된다(S13). 즉, 상기 휴지단계(S13)는 상기 판단단계(S12)와 상기 가열단계(S5)사이에 수행된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13)동안 드럼(40) 및 이의 회전을 위한 모터를 제외한 세탁기의 모든 부품들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를 포함한 덕트(100)내의 부품들상의 응축수는 증발되거나, 자연히 이들 부품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히터(130)를 포함한 덕트내 부품들이 후속단계들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13)동안 블로워(14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은 상기 응축수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은 상기 히터(130)의 표면을 냉각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표면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후속하는 가열단계(S5)에서 상기 히터(130)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하는 성능을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휴지단계(S13)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지단계(S13)은 예를 들어, 5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판단에 의해 노즐(150)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휴지단계(S13)은 일종의 후처리로써 후속단계들에 대한 이러한 판단단계(S12)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상기 판단 및 휴지단계(S12,S13)는 기능적 측면에서 서로 연계되며, 도 16, 17, 18a,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세스, 즉 점검 프로세스(P6)를 형성한다.
만일 상기 판단단계(S12f)에서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는 또한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은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히터(150)의 과열 및 고장, 더 나아가 세탁기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단계(S12f)과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상의 이유로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 상태하에서도 리프레쉬 코스는 이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150)이 비록 적은 량이지만 물을 공급할 능력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20은 대안적인(alternative)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2f),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더이상 진행되거나 반복되지 않는다. 즉, 스팀의 추가적인 생성 및 공급은 중단된다. 대신에, 제 3 건조단계(S14)가 수행된다. 리프레쉬 코스에 있어서, 주름의 제거가 가장 중요한 기능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적어도 이러한 주름제거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만 변형된 섬유조직들이 부드럽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너무 높은 온도로 섬유를 건조하게 되면, 주름은 제거되지 않은 채 수분만이 급속하게 섬유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천천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세탁물을 가열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도 상기 제 1 건조와 유사하게 저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건조단계(S14)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S14a). 예를 들어, 상기 히터(130)는 40초동안 작동되고, 30초동안 정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0)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0)에서의 세탁물 및 이의 주변 온도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낮다. 따라서, 동일한 히터의 단속적 작동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 1 건조단계(S9)에서 히터 작동시간(30초)보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의 히터작동시간(40초)이 더 길게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중지로 인해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세탁물에는 충분한 수분이 제공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 1 건조단계(S9)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주름제거를 위해서는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고 이후 공급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 상기 세탁물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S14b). 이러한 수분은 세탁물에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체상태의 물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체상태의 물인 스팀은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 공급되기 어렵다. 반면, 미스트는 액체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세탁물에 수분을 제공하는 데 있어 충분히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미스트를 상기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스트는 적어도 상기 세탁물에 공급되도록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미스트 공급도 어려가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인 상태이지만 여전히 작동가능하다면 즉 소량의 물을 여전히 공급할 수 있다면, 상기 노즐(150)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동안 가열된 공기를 세탁물에 공급하기 위해 공기유동은 계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워(140)은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에서 분사된 미스트는 상기 블로워(140)로부터의 공기유동에 의해 운반되어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을 거쳐 세탁물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미스트의 많은 부분은 상기 히터(130)을 통과하면서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리프레쉬 코스에서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만일 상기 노즐이 완전히 고장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세탁물에 직접 수분을 공급, 보다 상세하게는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세탁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장치는 상기 노즐(150)과 함께 작동하거나 이에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별도장치에서 공급된 미스트도 상기 터브(30)내의 고온의 환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팀을 변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 및 별도장치는 세탁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미스트 대신에 액체상태의 물을 그대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도중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고온의 환경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공급된 수분을 뒤이어 제거하는데 기본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공급되는 미스트를 부분적으로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미스트가 가능한 한 고온의 환경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세탁물에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히터의 단속적인 작동에 있어서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동안 공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다 확실한 결과를 위해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오직 세탁물에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는 동안에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히터의 단속적인 작동에 있어서 오직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동안에만 공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은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40초동안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고온의 환경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히터(150)의 작동중 마지막 1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너무 많은 량의 수분이 공급되면, 세탁물의 주름은 제거되지 않고 오히려 세탁물은 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일부동안만 수행된다. 더 나아가, 같은 이유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전반부동안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주름 제거에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예를 들어 20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건조단계(S14)의 기간은 유사한 제 1 건조단계(S9)보다 길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도 이러한 20분의 제 3 건조단계(S14)의 전반부동안, 즉 제 3 건조단계(S14)가 시작된 후 11분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은 젖게 되므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이후에, 제 4 건조단계(S15)가 수행된다. 이러한 제 4 건조단계(S15)은 앞서 설명된 제 2 건조단계(S10)와 이의 기능 및 구체적인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상기 제 2 건조단계(S10)에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특징들은 그대로 상기 제 4 건조단계(S15)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상술된 제 3 및 제 4 건조단계들(S14,S15)은 스팀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리프레쉬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건조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14,S15)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건조 및 리프레쉬 프로세스(P7)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된 건조단계들을 거친 세탁물은 가열된 공기에 의해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상기 제 4 건조단계(S15)이후에, 상기 세탁물은 냉각될 수 있다(S16). 이러한 냉각단계(S16)은 앞서 설명된 냉각단계(S11)와 이의 기능 및 구체적인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단계(S11)에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특징들은 그대로 상기 냉각단계(S16)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이러한 냉각단계(S16)도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냉각 프로세스(P8)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단계(S16)이후에, 상기 세탁물 및 세탁기는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으로 상온의 공기하에서 자연 냉각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리프레쉬 코스는 스팀의 충분한 공급 또는 공급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변형된 단계들(S14-S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는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팀 대신에 미스트를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에서는 부분적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관련 부품들을 적절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주름 뿐만 아니라 정전기도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형된 리프레쉬코스는 스팀의 공급이 중단됨에도 불구하고 세탁기 기존 부품들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의도된 리프레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S1-S1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들에서 세탁물은 뒤섞일 수 있다. 이러한 뒤섞임을 위해, 도 17 및 도 18a-도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0)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40)은 한방향으로 계속 회전될 수 있으며, 세탁물은 상기 드럼(40)내에 제공된 리프터에 의해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려진 후 낙하를 반복한다. 즉, 상기 세탁물은 텀블된다(tumble). 상기 드럼(40) 및 내부의 세탁물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이들에게 관성도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40)은 회전하도록 모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상기 모터가 정지되더라도 상기 드럼(40)과 세탁물은 관성에 의해 소정시간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드럼(40)의 회전동안 상기 모터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a-도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16초동안 작동되고 4초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40)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은 잘 뒤섞이게 되고 각 단계(S1-S13)에서 의도된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물의 뒤섞음, 즉 드럼(40)의 회전은 상기 모든 단계들(S1-S13)동안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탁물의 뒤섞음은 앞서 설명된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을 위한 단계들(S14-S16)에도 변형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을 잘 뒤섞을 수 있다면, 다른 드럼(40)의 모션들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텀블링을 대신하여, 상기 드럼(40)은 소정시간동안 한방향으로 회전후,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세트를 계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모션들이 필요한 경우 적용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표준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표준전압에 맞게 세탁기를 포함한 각종 가전기기는 제작된다. 그러나, 실제 가정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상기 표준전압에 대해 약간의 편차를 갖는다. 더 나아가,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세탁기가 작동될 때마다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차도 마찬가지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간의 편차는 세탁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히터(13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30)는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전기적 저항은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공급된 전원의 전압이 변화되면, 이에 따라 히터(130)의 실제 발열량도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단위시간동안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단위시간동안 예상된 량보다 더 큰 량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동안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단위시간동안 예상된 것보다 더 적은 량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히터(130)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단계, 즉 가열단계(S5)에는 기본적으로 기 설정된 기간, 즉 고정된 기간이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만일 세탁기가 적어도 도 16의 리프레쉬 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작동하기 시작할 때,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예상된 것보다 큰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큰 전압으로 인해, 상기 히터(130)는 과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열과 이의 반복은 상기 히터(130)의 파손 뿐만 아니라 화재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세탁기의 작동시작시에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예상된 것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충분한 열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모든 제어에서 적용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수행시간은 상기 히터(130)의 통상적인 성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전원이 공급된다면, 상기 히터(130)는 변경된 성능에 따라 작동할 것이며, 기설정된 수행기간동안 상기 가열단계(S5)로부터 원하는 성능 이 얻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고려하여, 적어도 상기 가열단계(S5)는 추가적으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압을 고려한 상기 가열단계(S5)의 제어는 여러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130)가 상기 가열단계(S5)동안 공급하는 총 열량은 단순하게 상기 가열단계(S5)가 수행되는 전체 시간, 즉, 수행시간(time period)에 종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성능이 상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변경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변경 및 이에 따른 공급되는 발열량의 변경은 상기 수행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6 및 도 21-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세탁기에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S100)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세쉬 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5)는 기본적으로 고정된 수행시간을 갖도록 설정되므로, 이러한 조절단계(S100)는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에 따라 기 설정된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변경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의 주된 기능은 상기 소정공간(S)를 가열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는 히터(130)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실제적으로 상기 히터(130)의 작동시간에 해당하며, 같은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히터(13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단계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는 실제적으로 제 1 및 제 2 가열단계(S5a,S5b)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 1 가열단계(S5a)가 기본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의 대부분의 시간기간에 해당하는 13초동안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물 및 공기유동없이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한다. 즉,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동안에는 순수하게 히터(130)만이 가열을 위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주된 성능을 결정하며, 상기 히터(130)의 성능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기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단계(S100)는 물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가열단계(S5)의 일부(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시간을 조절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히터(130)만이 작동되는 시간(즉, 제 1 가열단계(S5a))을 조절한다고도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상기 제 1 가열단계(S5a)가 가열단계(S5)의 일부분에 불과하나,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조절되면, 상기 전체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도 마찬가지로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단계(S100)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조절은 여전히 상기 전체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의 조절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수행시간이 조절되면, 이후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는 조절된 수행시간동안 수행된다.
상술된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단계(S100)가 도 21-22b를 주로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S110). 이러한 측정단계(S1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감지단계(S1)와 동일한 단계이며, 이미 상기 감지단계(S1)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실제 전압에 기초한 제어를 위해 수행된다. 이러한 전압측정단계(S1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전압측정을 위해 실제적으로 별도의 측정장치가 설치되면, 이는 세탁기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이의 회로내에 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저항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적인 전압값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측정단계(S110)도중 다른 부품들이 작동되면, 작동중 전원이 사용되므로, 공급되는 전원의 정확한 실제 전압이 측정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단계(S110)(즉, 단계(S1))는 모든 세탁기의 부품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이의 수행시간이 조절되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부품들의 작동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고 정확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가 시작되면 바로, 즉 상기 청소단계(S2)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단계(S1) 참조). 상기 측정단계(S110)와는 별도로, 후술되는 상기 조절단계(S100)의 후속단계들도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후속단계들은 상기 측정단계(S110)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S110)가 완료되면, 측정된 실제 전압은 공급되는 전원의 표준전압과 비교될 수 있다 (S121). 이러한 표준전압은 국가별로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되며, 세탁기를 포함한 모든 가전기기는 이러한 표준전압에 맞게 설계 및 제어된다. 이러한 표준전압은 우리나라의 경우 220V이며 미주지역은 110V이다.
만일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열단계(S5),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하더라도,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충분한 열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리프레쉬를 위해 충분한 량의 스팀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S131a). 이러한 증가 단계(S131a)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증가는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은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과 같으면, 기설정된 설정시간동안 상기 가열단계(S5), 특히 제 1 가열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단계(S5),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면, 상기 히터(130)는 과열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화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S131b). 이러한 단축 단계(S131b)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감소는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은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만큼 감소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가 및 가열단계들(S131a,S131b)은 상기 비교단계(S121)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차이의 실제 크기가 고려된다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보다 정확하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가 크다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이러한 차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게 조절, 즉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보다 정확한 조절을 위하여, 도 22a 및 22b에 따른 조절단계(S1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단계(S100)는 기본적으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사용한다. 상기 도 22b의 테이블에서, 분석 및 실험에 의해 측정된 전압의 범위들에 따라 최적의 가열단계,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들이 기 설정된다. 이러한 도 22b의 테이블은 사전에 작성되며, 항상 참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저장장치(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도 22b의 테이블은 다수개의 전압의 범위들을 설정함으로써 실제 전압과 표준전압의 실제적인 차이를 고려하며, 이러한 전압 범위들에 서로 다른 수행시간들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인 수행시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 22a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먼저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S110).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앞서 설명된 도 21의 측정단계와 모든 측면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상기 측정단계(S110)가 완료되면, 측정된 실제 전압에 해당하는 수행시간이 상기 테이블로부터 확인된다(S122). 상기 확인단계(S122)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먼저 측정된 실제 전압이 포함되는 범위를 도 22b의 테이블에서 찾으며, 이 후 해당하는 가열단계,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을 읽어들인다. 이 후,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된 수행시간은 실제 가열단계,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으로 설정된다(S132). 도 22b의 테이블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표준전압범위에 해당하는 225V-234V에는 앞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전압에 따라 기 설정된 수행시간, 즉 표준 수행시간인 13초가 그대로 부여된다. 반면, 측정된 전압이 표준전압보다 적을수록, 즉 전압범위가 작아질수록 부여된 제 1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측정된 전압이 표준전압보다 클수록, 부여된 수행시간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들(S131a,S131b)와 유사하게, 일련의 확인 및 설정단계(S122,S132)에서도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거나 큰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 또는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가 예상된 것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단계들(S131a,S122/S132)에 따른 수행시간의 증가에 의해 원하는 량의 스팀생성에 충분한 량의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가 예상된 것보다 큰 열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단계들(S131b,S122/S132)에 따른 수행시간의 감소에 의해 히터(130)가 과열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성능이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에 의해 변경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변경 및 이에 따른 공급되는 발열량의 변경은 도 21-도 22b에 따른 조절단계(S100)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변화에 상관없이 고장을 배제하면서 충분한 스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세탁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 또는 감소되며, 이러한 조절된 가열단계(S5)는 상기 프로세스(P2)의 반복에 의해 함께 반복된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조절단계(S100)에 의한 수행시간의 증가 및 감소는 증폭되며, 이에 따라 리프레쉬 코스의 전체시간도 크게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큰 전체시간의 변화는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며,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전체시간을 일정한 시간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시간은 실제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를 제외한 여러 단계들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지단계(S8)는 다른 단계들에 비해 긴 수행기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시간의 조절을 위해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40).
상기 조절단계(S140)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은 감소될 수 있다 (S140a).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S8)의 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S140b). 또한, 도 22a의 조절단계(S140)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S122)에서 측정된 실제 전압이 포함되는 범위가 도 22b의 테이블에서 찾아지면, 해당 범위에 부여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과 함께, 부여된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도 제어장치에 의해 읽혀지며 실제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2b의 테이블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과 이의 반복을 고려하여 상기 휴지단계(S8)도 충분하게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2b의 테이블도 상기 제 1 가열단계(S5a) 수행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며, 상기 제 1 가열단계(S5a) 수행시간의 감소에 따라 증가되는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보여준다. 즉, 도 22a의 조절단계(S140)도 상기 도 21의 단계들(S141a,S141b)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조절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40)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의 조절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와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 S3-S5)는 이의 독립적인 스팀생성 및 공급기능으로 인해, 앞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세탁 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적용된 기본적인 세탁코스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 23을 참조하여 기본적인 세탁코스에서의 스팀공급 프로세스의 기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세탁코스는 세탁수 공급단계(S100), 세탁 단계(S200), 헹굼단계(S300), 탈수단계(S400)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세탁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를 위한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탈수단계(S400)이후에 건조단계(S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공급단계(S100)이전 및/또는 상기 공급단계(S100)동안에 수행되는 경우 (P2a,P2b), 공급된 스팀에 의해 세탁물이 미리 적셔질 수 있으며, 공급된 세탁수는 가열될 수 있다. 만일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세탁단계(S200)이전 및/또는 상기 세탁단계(S200)동안 수행되는 경우 (P2c,P2d), 공급된 스팀은 터브(30) 및 드럼(40)내의 공기 및 세탁수를 가열함으로써 세탁에 유리한 고온의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헹굼단계(S300)이전 및/또는 상기 헹굼단계(S3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e,P2f), 공급된 스팀은 마찬가지로 헹굼에 유리하도록 내부 공기 및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탈수단계(S400)이전 및/또는 상기 탈수단계(S4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g,P2h), 공급된 스팀은 주로 세탁물을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건조단계(S500)이전 및/또는 상기 건조단계(S5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i,P2j), 공급된 스팀은 터브(30) 및 드럼(40)의 내부온도를 크게 상승시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쉽게 증발되게 유도한다. 만일 필요한 경우, 세탁물을 최종적으로 살균하기 위해, 상기 건조단계(S500)이후에 스팀공급 프로세스(P2k)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모든 스팀공급 프로세스(P2a-P2j)는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준비 프로세스(P1)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충분한 량의 스팀을 공공급함으로써 세탁에 유리한 분위기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세탁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알레르기(allergy)가 방지될 수도 있다.
상술된 스팀공급 메커니즘 뿐만 아니라 리프레쉬 코스 및 기본 세탁코스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고온공기 공급을 위한 메커니즘, 즉 건조용 메커니즘을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해 사용하며, 오직 최소한의 변형만을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 특히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존의 건조 메커니즘 즉, 변형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변형 및 최적의 제어를 구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생산비용은 최소한으로 증가시키면서도 리프레쉬, 세탁성능 향상 및 살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감.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100: 덕트 110: 건조덕트
120: 응축덕트 130: 히터
140: 블로워 150: 노즐
160: 급수장치

Claims (13)

  1. 세탁기의 터브와 연통하는 덕트내의 소정공간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로 이송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을 향해 공기유동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기에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이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을 휴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단계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히터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물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가열단계의 일부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덕트에 설치된 히터만이 작동되는 기간을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을 공급되는 전원의 표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의 실제 수행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가열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동안 세탁기의 작동은 정지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크면,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기 작성된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측정된 전압에 해당하는 수행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수행시간을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의 수행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는 블로워를 작동시켜 상기 소정공간을 향해 공기유동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에서 노즐 또는 블러워는 작동을 멈추거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20058037A 2012-02-06 2012-05-31 세탁기 제어방법 KR10144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37A KR101443647B1 (ko) 2012-05-31 2012-05-31 세탁기 제어방법
EP13153714.4A EP2623662B1 (en) 2012-02-06 2013-02-01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S13153758.1T ES2544310T3 (es) 2012-02-06 2013-02-01 Máquina de lavado que comprende una tobera y un calentador dispuesto en un conducto de secado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misma
RU2013104452/12A RU2536030C2 (ru) 2012-02-06 2013-02-01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RU2013104451/12A RU2537276C2 (ru) 2012-02-06 2013-02-01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13170504.8A EP2636785B1 (en) 2012-02-06 2013-02-01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nozzle and a heater arranged in a drying duct and control method hereof
EP13153744.1A EP2623663B1 (en) 2012-02-06 2013-02-01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EP13153753.2A EP2623664B1 (en) 2012-02-06 2013-02-0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with a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EP13153758.1A EP2623665B1 (en) 2012-02-06 2013-02-01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nozzle and a heater arranged in a drying duct and control method hereof
BR102013002653-0A BR102013002653B1 (pt) 2012-02-06 2013-02-04 máquina de lavar e método de controle da mesma
US13/757,997 US9334601B2 (en) 2012-02-06 2013-02-04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US13/758,157 US9644306B2 (en) 2012-02-06 2013-02-04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BR102013002643-3A BR102013002643B1 (pt) 2012-02-06 2013-02-04 máquina de lavar
AU2013200562A AU2013200562B2 (en) 2012-02-06 2013-02-04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JP2013020692A JP5695103B2 (ja) 2012-02-06 2013-02-05 洗濯装置の制御方法
US13/759,652 US9328448B2 (en) 2012-02-06 2013-02-05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US13/759,398 US9085843B2 (en) 2012-02-06 2013-02-05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CN201310048803.XA CN103243517B (zh) 2012-02-06 2013-02-06 洗衣机的控制方法
CN201310048437.8A CN103243523B (zh) 2012-02-06 2013-02-06 洗衣机
CN201310215139.3A CN103334254B (zh) 2012-02-06 2013-02-06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201310050181.4A CN103243518B (zh) 2012-02-06 2013-02-06 洗衣机的控制方法
CN201310048525.8A CN103243516B (zh) 2012-02-06 2013-02-06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3/909,866 US9328449B2 (en) 2012-02-06 2013-06-04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37A KR101443647B1 (ko) 2012-05-31 2012-05-31 세탁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89A KR20130134489A (ko) 2013-12-10
KR101443647B1 true KR101443647B1 (ko) 2014-09-23

Family

ID=499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37A KR101443647B1 (ko) 2012-02-06 2012-05-31 세탁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262B (zh) * 2018-10-29 2023-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蒸汽发生装置、洗衣机及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025A (ko) * 2004-05-12 2006-05-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세탁 건조기 및 세탁기
KR20060102989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117911A (ko) * 2006-06-09 200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61115A (ko) * 2009-12-01 201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025A (ko) * 2004-05-12 2006-05-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세탁 건조기 및 세탁기
KR20060102989A (ko) * 2005-03-25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117911A (ko) * 2006-06-09 200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61115A (ko) * 2009-12-01 201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89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843B2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US91940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US790889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1983B1 (ko) 세탁기
KR101443647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101461982B1 (ko) 세탁기
KR101498080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513046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10170185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461976B1 (ko) 세탁기
KR101461975B1 (ko) 세탁기
KR10189594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49808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2808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