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575B1 -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575B1
KR100856575B1 KR1020070136777A KR20070136777A KR100856575B1 KR 100856575 B1 KR100856575 B1 KR 100856575B1 KR 1020070136777 A KR1020070136777 A KR 1020070136777A KR 20070136777 A KR20070136777 A KR 20070136777A KR 100856575 B1 KR100856575 B1 KR 10085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drying
pad
clothes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
공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 공경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
Priority to KR102007013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의류와 같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 건조기본체에 설치되는 방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상에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상황시 방폭구를 개방시켜 폭발압력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는 방폭댐퍼 및/또는 방폭패드를 설치하고, 건조기본체의 내측에는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 예방과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측으로 미분무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서, 의류건조기의 사용 과정에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이 발생할 경우 건조기본체에 가해지는 손상 및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폭발에 의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되는 세탁물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억제시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1)용 건조기본체(2)의 전방 벽체에는 건조기도어(4)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는 건조드럼(1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건조기본체(2)의 상측에는 건조드럼(13)측으로 건조용 열풍을 공급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12)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에는 다수 개의 방폭구(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폭구(21)에는 건조기본체(2) 내부의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폭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방폭커버는 건조기본체(2)의 내압 상승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방폭댐퍼(18)와, 방폭구(21)에 끼움 설치되어 건조기본체(2)의 내압 상승시 방폭구(21)로부터 이탈 되는 고무판 재질의 방폭패드(20)가 택일(擇一) 또는 병용(竝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측에는 건조드럼(13)에 형성된 열풍구멍(13a)을 통하여 소화수로서의 증기 또는 물을 건조드럼(13)의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류건조기, 건조드럼, 방폭장치, 방폭댐퍼, 방폭패드, 분사노즐

Description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explosion for main body of clothes dryer}
본 발명은 각종 의류와 같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의류건조기의 건조기본체 후방 벽체상에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상황시 방폭구(防爆口: 폭발방지용 구멍)를 개방시켜 폭발압력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는 방폭댐퍼 및/또는 방폭패드를 설치하고, 건조기본체의 내측에는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 예방과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측으로 미분무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서, 의류건조기의 사용 과정에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이 발생할 경우 건조기본체에 가해지는 손상 및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폭발에 의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되는 세탁물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억제시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되는 의류건조기는 세탁물의 수용을 위한 건조드럼이 건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건조기본체의 전방 벽체에는 세탁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건조기도어가 설치되고,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 에는 건조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부가 설치되며, 건조기본체의 상부측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기본체의 하부에는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토록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측에는 라디에이터로부터 건조드럼측으로 열풍을 유도하는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를 필터케이스를 거쳐 의류건조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해서는 스팀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순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건조기에 의한 세탁물의 건조작업은 크게 물세탁된 세탁물의 건조와, 유기용제를 사용한 드라이 크리닝 과정을 거친 세탁물의 건조로 대별될 수 있는 바, 드라이 크리닝 과정을 거친 세탁물의 건조시 유기용제 성분이 증기 중에 반드시 포함되며, 최근에 들어서는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러한 유기용제 성분이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기용제 성분의 배출규제에 따른 요건에 입각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유기용제 회수기를 의류건조기와 함께 순환식 시스템으로 설비함으로서, 드라이 크리닝 과정을 거친 세탁물의 건조시 의류건조기로부터 배출된 유증기를 회수기로 유입시켜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 성분을 회수기의 내부에서 응축 및 회수토록 한 다음, 이와 같이 유기용제가 응축 제거된 공기를 의류건조기의 내부로 유입시켜 건조용 공기로 재사용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기용제 회수기를 의류건조기와 함께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종 원인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폭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폭발사고의 원인을 현재까지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으나, 가장 근접한 접근방식으로는 유기용제 회수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하여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고온의 유증기가 회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기용제의 응축제거 및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건조기본체 내부의 유기용제 농도 및 온도가 상승하여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하는 정전기나 스파크 등에 의한 폭발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의류건조기의 건조기본체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게 되면, 폭발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건조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본체와 건조드럼의 구동부에 상당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의류건조기의 수리나 부품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조기본체의 건조기도어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개방되면서 주위에 있는 작업자들에게 부딪힐 경우 작업자의 상해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류건조기의 건조기본체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그 폭발압력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본체와 건조드럼의 구동부 손상 및 건조기도어의 급개방에 따른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이러한 폭발사고를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의류건조기용 건조기본체에는 이와 같은 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류건조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는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상에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상황시 방폭구를 개방시켜 폭발압력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는 방폭댐퍼 및/또는 방폭패드를 설치하고, 건조기본체의 내측에는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 예방과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측으로 미분무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서, 의류건조기의 사용 과정에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이 발생할 경우 건조기본체에 가해지는 손상 및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폭발에 의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되는 세탁물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억제시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용 건조기본체의 전방 벽체에는 건조기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에는 건조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건조기본체의 상측에는 건조드럼측으로 건조용 열풍을 공급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에는 다수 개의 방폭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폭구에는 건조기본체 내부의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폭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방폭커버는 건조기본체의 내압 상승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방폭댐퍼와, 방폭구에 끼움 설 치되어 건조기본체의 내압 상승시 방폭구로부터 이탈되는 고무판 재질의 방폭패드가 택일 또는 병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폭패드의 일측면에 방폭구의 둘레 부분을 따라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L"자 형상의 패드고정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폭패드의 외주연부는 패드고정부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폭구에는 건조기본체의 내부로 방폭패드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지지살이 형성되고, 상기 방폭패드는 패드지지살의 사이에 해당하는 방폭구의 둘레를 따라 탄력적으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에는 건조드럼에 형성된 열풍구멍을 통하여 소화수로서의 증기 또는 물을 건조드럼의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기본체의 후방 벽체상에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상황시 방폭구를 개방시켜 폭발압력을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는 방폭댐퍼 및/또는 방폭패드를 설치함으로서, 의류건조기의 사용 과정에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이 발생할 경우 건조기본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의류건조기의 수리나 부품의 교체에 따른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건조기도어의 급개방에 따른 작업자의 상해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방폭댐퍼의 경우는 폭발초기단계나 점진적인 폭발시와 같이 건조기본 체의 내부압력이 서서히 증가될 경우 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방폭패드의 경우는 폭발진행단계나 급격한 폭발시에 건조기본체의 내부압력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므로, 이를 건조기본체에 병용 설치함에 따라 건조기본체의 폭발초기단계로부터 폭발진행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내압 배출을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며 안전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건조기본체의 내측에 소화수로서의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측으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설치한 경우에는,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이 발생하는 동시에 세탁물의 화재 진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건조기본체의 내부온도 및 습도조건에 맞추어 분사노즐로부터 소량의 증기나 물이 건조드럼측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세탁물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에 따라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키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방폭장치가 적용되는 의류건조기(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탁물의 수용을 위한 건조드럼(13)이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건조기본체(2)의 전방 벽체에는 세탁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하여 투시창(5)을 구비하는 건조기도어(4)가 설치되 고,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에는 건조드럼(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부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구동부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1)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9)의 모터축(9a)에 고정되는 구동풀리(구동스프라켓)가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건조드럼(13)의 드럼구동축(8)에 고정되는 종동풀리(종동스프라켓)와 벨트(체인)로서 연결되는 것과 같은 미도시된 동력전달구조가 되며, 상기 건조기본체(2)의 상부측에는 유입관(6a)을 거쳐 유입된 공기를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열풍으로 조성시키도록 하는 라디에이터(12)가 라디에이터 케이스(6)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기본체(2)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12)의 위치에 따라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건조드럼(13)의 종류가 달라지게 되는 바, 도 3에서는 라디에이터(12)가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어 건조용 열풍의 공급경로가 건조기본체(2)의 후방 상측에 형성된 열풍통로(6b)로부터 건조기본체(2)의 전방 하측에 형성된 증기유입통로(3b)를 향하게 됨에 따라, 건조드럼(13)의 전,후방측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구멍(1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라디에이터(12)가 건조기본체(2)의 상부 벽체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어, 건조용 열풍의 공급경로가 건조기본체(2)의 상측에 형성된 열풍통로(6b)로부터 건조기본체(2)의 하측에 형성된 증기유입통로(3b)를 향하게 됨에 따라, 건조드럼(13)의 몸통 외주면상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열풍구멍(1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건조기본체(2)의 상측에 유기용제 회수기를 직접 설비할 수 있는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의류건조기(1)용 건조기본체(2)에 설치되는 방폭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라디에이터(12)가 설치되는 위치 및 건조드럼(13) 자체의 형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 유기용제에 의한 드라이 크리닝 과정을 거친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하는 의류건조기라면 다른 어떠한 종류의 의류건조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본체(2)의 하부에는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토록 필터가 내장되는 필터케이스(3)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케이스(3)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의류건조기(1)의 외측, 도면상 바닥판(7)상에는 라디에이터(12)로부터 건조드럼(13)측으로 열풍을 유도하는 동시에,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가 필터를 거쳐 의류건조기(1)로부터 유기용제 회수기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팬이 송풍팬커버(11)에 내장된 상태로 팬모터(10)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필터케이스(3)의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의 종류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Bag filter)(14)가 적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板像)의 필터(17)가 적용될 수 있으나,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의류건조기(1)용 건조기본체(2)에 설치되는 방폭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필터케이스(3)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종류나 그 설치구조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필터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방폭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상에 다수 개의 방폭구(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방폭구(21)에는 건조기본체(2)의 내압 상승시 방폭구(21)를 개방시켜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방폭커버로서, 폭발상황시 건조기본체(2)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힌지식으로 회전하는 방폭댐퍼(18)와, 방폭구(21)상에 끼움 설치되어 폭발상황시 방폭구(21)로부터 이탈되는 고무판 재질의 방폭패드(20)가 각각의 방폭구(21)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방폭커버로서의 방폭댐퍼(18) 및 방폭패드(20)는 건조기본체(2)에 형성된 방폭구(21)상에 하나의 수단만을 택일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방폭댐퍼(18)와 방폭패드(20)를 건조기본체(2)에 형성된 방폭구(21)상에 나누어 병용(竝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측에 건조드럼(13)에 형성된 열풍구멍(13a)을 통하여 소화수로서의 증기 또는 물을 건조드럼(13)의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폭구(21)가 형성되는 위치를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로 하는 이유는, 실내에 의류건조기(1)를 설비할 경우 의류건조기(1)의 후방측이 실내의 벽면과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게 되므로,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여 방폭구(21)로부터 방폭댐퍼(18)가 급개방되거나 방폭패드(20)가 폭발압력에 의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이탈되더라도, 방폭패드(20) 및 방폭구(21)로부터 배출되는 폭발압력이 실내의 작업공간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인접한 벽면에 부딪히도록 하여 폭발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방폭댐퍼(18) 및/또는 방폭패드(20)가 결합되는 방폭구(21)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폭발상황시 건조기본체(2)의 내부압력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 또한 드럼구동부의 하중 및 건조드럼(13)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적, 기계적 강도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방폭구(21)가 형성되는 개수는 2개 내지 6개 정도가 바람직하며, 폭발상황시 건조기도어(4)가 폭발압력에 의하여 급개방되지 않도록 필요시에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잠금장치를 건조기도어(4)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방폭댐퍼(18)의 설치 및 작동상태는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에 고정되는 댐퍼지지대(19)의 하측단에 방폭댐퍼(18)가 힌지결합부(19a)에 의하여 댐퍼지지대(19)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방폭댐퍼(18)가 힌지결합부(19a)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해당 방폭구(2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방폭댐퍼(18)는 의류건조기(1)의 정상적인 작동시 자중(自重)에 의하여 해당 방폭구(21)를 용이하게 커버토록 하는 동시에 폭발압력에 따른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략 접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폭댐퍼(18)의 선단 외주면, 다시 말해서 방폭댐퍼(18)가 방폭구(21)의 둘레에 해당하는 건조기본 체(2)의 후방 벽체와 밀착되는 부분에는 방폭구(21)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고 방폭댐퍼(18)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패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방폭구(21)와 방폭패드(20)의 조립구조는 고무판 재질의 방폭패드(20)가 방폭구(21)를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됨으로서 방폭패드(20)가 방폭구(21)를 커버 형태로 밀폐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방폭패드(20)가 건조기본체(2)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폭발상황시에는 방폭패드(20)가 방폭구(21)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도 6의 (가)에 도시된 방폭구(21)와 방폭패드(20)의 조립구조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방폭패드(20)의 돌출된 일측면이 방폭구(21)를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고, 방폭구(21)의 둘레 부분에 해당하는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 외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폭패드(20)의 외주연부(20b)가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6의 (나)에 도시된 방폭구(21)와 방폭패드(20)의 조립구조는 도 6의 (가)에 도시된 조립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건조기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폭패드(20)측에 방폭구(21)의 둘레를 따라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L"자 형상의 패드고정부(20a)를 형성시킴으로서 방폭구(21)상에 방폭패드(20)가 보다 더 안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며, 폭발상황시 방폭패드(20)가 방폭구(21)로부터 용이하게 이 탈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고정부(20a)가 방폭구(21)와 너무 견고하게 결착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도 6의 (다)에 도시된 방폭구(21)와 방폭패드(20)의 조립구조는 도 6의 (가) 또는 (나)에 도시된 조립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방폭구(21)상에 건조기본체(2)의 내부로 방폭패드(20)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패드지지살(21a)을 형성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상기 방폭패드(20){패드고정부(20a)가 형성된 경우에는 패드고정부(20a)}는 패드지지살(21a)의 사이에 해당하는 방폭구(21)의 둘레를 따라 탄력적으로 끼움 설치된다.
상기 패드지지살(2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방폭구(21)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창살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사선(斜線)이나 격자형 또는 바둑판 형태의 창살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폭발압력의 배출과 방폭패드(20)의 지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지지살 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방폭댐퍼(18)와 방폭패드(20)의 경우 폭발상황에 따라 그 반응성에 차이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방폭댐퍼(18)의 경우는 폭발초기단계나 점진적인 폭발시와 같이 건조기본체(2)의 내부압력이 서서히 증가될 경우 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방폭패드(20)의 경우는 폭발진행단계나 급격한 폭발시에 건조기본체(2)의 내부압력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방폭댐퍼(18)와 방폭패드(20)를 건조기본체(2)에 병용하여 설치하는 것인 바, 2개의 방폭구(21)가 형성된 경우에는 방폭댐퍼(18)와 방폭패드(20)를 각각 1개씩 설치하여야 하지만, 방폭구(21)가 3개 이상이 형성된 경우에는 방폭댐퍼(18)와 방폭패드(20)의 설치비율을 1:2 내지 1:4 정도로 하여 방폭패드(20)의 설치개수를 증가시킴으로서, 건조기본체(2)의 폭발초기단계로부터 폭발진행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내압 배출을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며 안전하게 수행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상기 분사노즐(22)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2)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화수로서의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13)의 열풍구멍(13a)을 거쳐 건조드럼(13)의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도 3에서는 상기 분사노즐(22)이 건조기본체(2)의 내측 후방 상부에서 건조드럼(13)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도 4에서는 상기 분사노즐(22)이 건조기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건조드럼(13)의 몸통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위치나 분사노즐(22)의 개수는 의류건조기(1)에 적용되는 건조드럼(13)의 종류와 크기 및 건조드럼(13)에 형성되는 열풍구멍(13a)의 위치에 맞추어 제조업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기술적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며, 분사노즐(22)을 통하여 소화수로서의 증기나 물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배관라인 역시 의류건조기(1)가 설비되는 장소의 여건에 맞추어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러나, 의류건조기(1)의 경우 라디에이터(12)측으로 고온스팀이나 고온수를 공급시켜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조성할 수 있도록 스팀보일러 또는 온수보일러와 함께 설비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스팀보일러에서 생성되는 스팀이나 온수보일러에서 생성되는 온수 또는 스팀보일러나 온수보일러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배관라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팀보일러(30)와 라디에이터(12)가 개폐밸브(32)를 구비하는 스팀라인(31)으로 연결되어 의류건조기(1)가 스팀보일러(30)와 함께 설비된 경우는, 스팀보일러(30)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34)를 구비하는 보조스팀라인(33)을 연장시켜, 이 보조스팀라인(33)이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 장착된 분사노즐(22)과 연결되도록 한다는 것이며, 이와는 달리 상기 보조스팀라인(33)이 개폐밸브(32)의 이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스팀라인(31)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분사노즐(22)이 솔레노이드 밸브(34)를 구비하는 배관에 의하여 보충수라인(35)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수보일러(36)와 라디에이터(12)가 순환펌프(38)를 구비하는 온수순환라인(37)으로 연결되어 의류건조기(1)가 온수보일러(36)와 함께 설비된 경우는, 온수보일러(36)로 상온수를 공급하는 상온수라인(39)을 건조기본체(2)의 분사노즐(22)측으로 분기시키는 동시에 해당 상온수라인(39)에 솔레노이드 밸브(34)를 설치토록 한다는 것이며, 이와는 달리 상기 분사노즐(22)이 순환펌프(38)의 이전에 해당하는 온수순환라인(37)으로부터 온수공급용 펌프를 구비하는 상태로 분기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의류건조기(1)가 스팀보일러(30) 또는 온수보일러(36)와 함께 설비되는 점을 감안하여 스팀이나 온수의 순환라인(31)(37) 또는 보충수라인(35)이나 상온수라인(39) 등이 분사노즐(22)과 연결 설치되도록 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폭장치의 배관설비에 따른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분사노즐(22)은 소화수로서의 증기나 물을 건조드럼(13)측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소화수로서 증기(스팀: Steam)를 사용하지 않고 보충수나 온수 또는 상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분사노즐(22)은 소화수로서의 물을 건조드럼(13)측을 향하여 넓은 범위로 미분무시키도록 하는 노즐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는 폭발 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즉, 가스감지센서 등을 설치하여, 분사노즐(22)과 연결된 배관상의 솔레노이드 밸브(34)(또는 소화수 공급용 펌프 등)가 상기 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의류건조기(1)의 폭발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진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드럼(13)에 의하여 세탁물의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건조기본체(2)의 내부온도가 기준치(약 90℃) 이상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건조기본체(2)의 내부습도가 기준치(약 3~5%) 이하로 저하될 경우, 각종 센서(예를 들어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가 이를 판단하여 분사노즐(22)로부터 소량의 증기나 물이 건조드럼(13)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면,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세탁물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억제하거나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유 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폭발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폭장치가 적용된 의류건조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방폭댐퍼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방폭패드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분사노즐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류건조기 2 : 건조기본체 3 : 필터케이스
3a : 필터고정판 3b : 증기유입통로 4 : 건조기도어
5 : 투시창 6 : 라디에이터 케이스 6a : 유입관
6b : 열풍통로 7 : 바닥판 8 : 드럼구동축
8a : 축커버 9 : 구동모터 9a : 모터축
9b,10a : 모터지지대 10 : 팬모터 11 : 송풍팬커버
11a : 증기배출관 11b : 증기유입관 12 : 라디에이터
13 : 건조드럼 13a : 열풍구멍 13b : 베어링
14 : 백필터 15 : 필터프레임 15a : 필터지지대
16 : 필터보호판 16a : 통풍공 17 : 필터
18 : 방폭댐퍼 19 : 댐퍼지지대 19a : 힌지결합부
20 : 방폭패드 20a : 패드고정부 20b : 외주연부
21 : 방폭구 21a : 패드지지살 22 : 분사노즐
30 : 스팀보일러 31 : 스팀라인 32 : 개폐밸브
33 : 보조스팀라인 34 : 솔레노이드 밸브 35 : 보충수라인
36 : 온수보일러 37 : 온수순환라인 38 : 순환펌프
39 : 상온수라인

Claims (5)

  1. 의류건조기(1)용 건조기본체(2)의 전방 벽체에는 건조기도어(4)가 설치되고,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부에는 건조드럼(1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건조기본체(2)의 상측에는 건조드럼(13)측으로 건조용 열풍을 공급시키는 라디에이터(1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에는 다수 개의 방폭구(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폭구(21)에는 건조기본체(2) 내부의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폭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방폭커버는 건조기본체(2)의 내압 상승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방폭댐퍼(18)와, 방폭구(21)에 끼움 설치되어 건조기본체(2)의 내압 상승시 방폭구(21)로부터 이탈되는 고무판 재질의 방폭패드(2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패드(20)의 일측에는 방폭구(21)의 둘레 부분을 따라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L"자 형상의 패드고정부(20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폭패드(20)의 외주연부(20b)는 건조기본체(2)의 후방 벽체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패드고정부(20a)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일정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구(21)에는 방폭패드(20)를 지지하는 패드지지살(21a)이 형성되고, 상기 방폭패드(20)는 패드지지살(21a)의 사이에 해당하는 방폭구(21)의 둘레를 따라 탄력적으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측에는 건조드럼(13)의 내부로 증기 또는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2)의 내측에는 건조드럼(13)의 내부로 증기 또는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KR1020070136777A 2007-12-24 2007-12-24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KR10085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77A KR100856575B1 (ko) 2007-12-24 2007-12-24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77A KR100856575B1 (ko) 2007-12-24 2007-12-24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575B1 true KR100856575B1 (ko) 2008-09-05

Family

ID=4002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77A KR100856575B1 (ko) 2007-12-24 2007-12-24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6202A (zh) * 2016-12-21 2017-05-24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烘干机压力监视设备
EP2772580B1 (en) * 2013-02-27 2019-05-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661A (ja) * 1990-07-31 1992-03-19 Sekisui Chem Co Ltd 乾燥装置
KR20020043526A (ko) * 2002-05-16 2002-06-10 진영섭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22975Y1 (ko) 2003-04-15 2003-08-14 이주호 움직이는세차장 스팀세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661A (ja) * 1990-07-31 1992-03-19 Sekisui Chem Co Ltd 乾燥装置
KR20020043526A (ko) * 2002-05-16 2002-06-10 진영섭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22975Y1 (ko) 2003-04-15 2003-08-14 이주호 움직이는세차장 스팀세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2580B1 (en) * 2013-02-27 2019-05-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6706202A (zh) * 2016-12-21 2017-05-24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烘干机压力监视设备
CN106706202B (zh) * 2016-12-21 2024-04-05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烘干机压力监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79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KR10059823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CN104204336B (zh) 衣物处理机
JP429135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675628A (en) Laundry drier
US20100257902A1 (en) Washing machine and dryer
WO2012144775A2 (en) Washing machine
KR20060097239A (ko) 의류 건조기와 의류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방법
KR100856575B1 (ko) 의류건조기 본체용 방폭장치
JP2010523195A (ja) ドラム洗濯機
AU2011318847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WO2006059440A1 (ja) 洗濯乾燥機
KR100761135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CN102066643B (zh) 在顶板中设置有芳香剂供应模块的干衣机
JP2018015252A (ja) ドラム式洗濯機
EP277258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325067B2 (ja) 洗濯機用排水トラップ装置、排水トラップ装置用のトラップカバー、および洗濯乾燥機
US4825560A (en) Electric clothes dryer
KR101387508B1 (ko) 건조기
KR200273929Y1 (ko) 운동화 건조장치
KR100700792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20120118196A (ko) 세탁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KR100625493B1 (ko) 의류 건조기
JP4580441B2 (ja) 洗濯乾燥機
KR100826536B1 (ko)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