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885B1 -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885B1
KR100646885B1 KR1020050048369A KR20050048369A KR100646885B1 KR 100646885 B1 KR100646885 B1 KR 100646885B1 KR 1020050048369 A KR1020050048369 A KR 1020050048369A KR 20050048369 A KR20050048369 A KR 20050048369A KR 100646885 B1 KR100646885 B1 KR 10064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screen
casing
stopp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섭
정인철
박대윤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식 세탁/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증기 스크린이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시 발생하는 드럼 내부의 고온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를 통하여 캐비넷 내부나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는 케이싱; 송풍팬; 히터; 유로; 상기 유로의 일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증기 스크린; 및 상기 증기 스크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고온 세탁시 고온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 등을 통하여 세탁기의 캐비넷 내부 또는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기 역류 방지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조 덕트, 증기 스크린, 스토퍼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Drying duct of a drum-typed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드럼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업커버를 탈거하여 건조 덕트를 표현한 드럼 세탁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에 따른 건조 덕트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0 : 공기 흡입구 270 : 송풍팬
280 : 히터 290 : 유로
295 : 증기 스크린 296 : 증기 스크린의 말단부
300 : 건조 덕트 320 : 케이싱
330 : 스토퍼
본 발명은 배기식 세탁/건조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증기 스크린이 세탁기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시 발생하는 드럼 내부의 고온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를 통하여 캐비넷 내부나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응축식 세탁/겸용 드럼 세탁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덕트를 통해 드럼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유입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덕트와, 순환덕트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호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세탁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가 송풍팬에 의해 강제순환되어 드럼내부로 유입되면서 드럼내부에 있는 세탁물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다. 증발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탁조 내부에 습한 공기가 응축덕트를 지나 송풍팬에 빨려들어가는 도중에 찬물과 부딪히게하여, 찬물에 부딪힌 습한 공기는 물방울로 맺혀 수분이 제거되고 물방울은 찬물과 함께 배수되면서 세탁조 내의 습기가 제거된다.
이러한 세탁물의 건조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습한 공기와 찬물이 부딪히도록 응축덕트를 설계하여 터브와 송풍팬을 연결하는 구조로 건조장치가 구성되었다.
즉 상기에서와 같이 응축식 세탁/건조 겸용 세탁기는 클로우즈드(closed) 루프(loop)를 이루고 있는 반면, 본원 발명인 배기식 세탁/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는 건조 모듈(module)이 오픈(open) 루프(loop)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건조를 위해 세탁물에 공급되는 건조 공기는 세탁기 내에 유입되어 건도 덕트의 히터를 통해 가열되고 세탁물을 거쳐 배기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건조 시와는 다르게 세탁 시에는 건조 모듈은 작동이 멈추는데, 고온 세탁 시 발생하는 수증기는 개방된 유로를 통해 드럼 및 건조 덕트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되는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건조 덕트를 통해 캐비넷 내부와 세탁기가 설치된 실내로 유출되는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배기 덕트를 통해 배기관으로 유출되는 경로이다.
상기된 두 번째 경로는 건조에 사용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이므로 증기의 추가 배출에 아무런 제약이 없으나, 첫번째 경로와 같이 건조 덕트를 통해 캐비넷과 세탁기 설치 공간으로 유출되는 수증기의 경우 세탁기와 실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소지가 있다. 유출된 수증기가 캐비넷 내부에 닿으면 차가운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고, 응축수 발생 위치가 전기배선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부일 경우 화재 등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배기식 드럼 세탁/건조기에서 고온 세탁 시 발생하는 증기가 건조 덕트를 통해 캐비넷의 내부, 또는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건조 덕트 내에 증기 스크린이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를 통하여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드럼 세탁기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의 역류 방지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증기 스크린이 일방향으로만 물질을 유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조를 가진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 상기 유로의 일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증기 스크린; 및 상기 증기 스크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건조 장치의 내부에 증기 스크린이 설치됨으로써, 고온 세탁시 고온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 등을 통하여 세탁기의 캐비넷 내부 또는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세탁 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시스템의 수명 저하를 억제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증기 스크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증기 스크린에 의한 증기 역류 방지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가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300)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120)와, 상기 드럼 세탁기의 상측부를 보호하는 업 커버(105)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12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도어(130)와, 상기 프런트 커버(120)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세탁 조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놉(200) 및 각종 표시부가 형성되는 컨트롤 패널(140)과, 상기 컨트롤 패널(140)의 측면에 장착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15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 놉(200) 및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에서와 같이 프런트 커버(12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업 커버(105)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 박스(150) 역시 컨트롤 패널(14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업 커버(105)의 일측부에 세제를 하향으로 투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건조 덕트(300) 내에 증기 스크린(295)이 구비된 드럼 세탁기가 제안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드럼 세탁기(100)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도어(130)를 열고 드럼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도어(130)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 놉(200)을 조작하여 세탁 조건을 입력하고 작동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세제 박스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이 진행된다.
상기 세탁 조건 입력시, 사용자는 건조 기능을 추가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세탁을 모두 끝마친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에 대하여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건조시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종래의 응축식이 아닌 배기식을 채택하여 드럼 내부의 고온의 증기가 건조 덕트(300)를 타고 미세하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사상을 구비한 드럼 세탁기는 드럼 세탁기 건조 덕트(300) 내부에 증기 스크린(295)이 구비되어 고온의 증기가 세탁기 내부 캐비넷(110) 또는 실내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기 시크린(295)이 일방향으로만 물질을 유동시키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330)가 구비되어, 상기와 같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증기 역류 방지 기능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이하 상기 건조 덕트(300) 내에 구비된 증기 스크린(295) 및 스토퍼(330)에 대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드럼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 세탁기에는 드럼 세탁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50)와, 상기 공기 흡입구(25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 흡입구(25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드럼 내부로 불어넣어주는 송풍팬(270)과, 상기 송풍팬(270) 을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290)와 상기 유로(290)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켜주는 히터(280)와, 상기 유로(290)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 세탁기 내부로 들어가는 건조 덕트(300) 출구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270)과 유로(290)와 히터(280)와 건조 덕트(300) 출구를 가리켜 건조덕트라고 하며 상기 건조 덕트(300)는 드럼 세탁기의 드럼과 외부 공기를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세탁시 상기 건조 덕트(300)를 통하여 고온의 수증기가 유출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290) 위에 증기 스크린(295)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 덕트(300) 외에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건조 덕트(300) 출구를 지나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24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탈수공(220)이 뚫려 있으며, 상기 탈수공(220)을 통하여 건조시 세탁물의 물기가 배출 된다. 한편,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저수조(210)가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저수조(210)의 일측면으로 건조가 끝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260)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260)는 드럼 세탁기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캐비넷(110)의 일측부를 통과하여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10)의 일측 중앙부에는 드럼 세탁기의 개폐가 가능한 도어(13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30)와 건조 덕트(300)의 경개부에는 가스켓(360)이 형성된다.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시 작동을 살펴보면, 공기 흡입구(250)를 통하여 세탁기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송풍팬(270)의 영향을 받아 유로(290)를 타고 이동하고 상기 유로(290)의 일부에 형성되는 히터(280)에 의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입구를 통하여 드럼 내부로 확산되고 확산된 공기는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세탁물의 건조가 끝난 저온의 습한 공기는 상기 드럼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배기구(2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건조 덕트(300)를 거쳐 도어(13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의 흐름이 세탁기의 외부로 부터 드럼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세탁수의 양이 적어 수증기의 역류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 때문에 본원 발명과 같이 건조 덕트(300)의 내부에 증기 스크린(295)을 설치할 필요성이 많지 않지만 세탁시에는 고온의 수증기가 역류할 가능성이 커 증기 스크린(295)의 필요성이 커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업커버를 탈거하여 건조 덕트를 표현한 드럼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로 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250)는 드럼 세탁기의 후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250)의 상측에 형성되는 송풍팬(270)과 상기 공기 흡입구(250)로 부터 연장되는 유로(290) 및 히터(280)는 드럼 세탁기의 상부 일측에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290)를 통하여 히터(280)를 통과한 뜨거운 공기는 드럼 세탁기의 상측 유입구를 통하여 드럼 내로 유입되며, 상기 유로(290) 위에 수증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증기 스크린(295)이 형성된다.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재질이 스테인레스로 고온에 변형의 우려가 있어 상대적으로 저온부인 송풍팬(270)과 히터(28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송풍팬(270)을 거쳐 세탁기 내부로 들어온 외부 공기는 건조 덕트(300)의 유로(290)위에 형성된 히터(280)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변화하는데 상기 온도 변화전 건조 덕트(300)의 유로(290) 상에 증기 스크린(295)이 형성되면, 증기 스크린(295)에 무리없이 수증기의 역류가 방지된다,
그러나, 고온에 강한 재질로 상기 증기 스크린(295)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건조 덕트의 후단부, 보다 상세하게, 히터(280)와 건조 덕트 출구(310) 중간 부분에 형성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300)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의 수용 공간과 내부 유로의 형성체가 되는 케이싱(320)과, 상기 케이싱(320)의 일측 공기 흡입구(250)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32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27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덕트(300)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80)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29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건조 덕트(300)는 상기 케이싱(320)의 일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로(29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증기 스크린(29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건조 덕트(300)는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공기 역류 방지 기능의 신뢰성을 증대시키는 스토퍼(33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320)은 상기 물품들의 설치에 대한 베이스가 되는 하부 케이싱 (323)과, 상기 하부 케이싱(323)의 상부를 각각 분할하여 덮는 히터 케이싱(321) 및 팬 스크롤(322)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히터 케이싱(321)은 상기 하부 케이싱(323)의 전측 상부를 덮어, 상기 히터(280) 등을 보호하고, 상기 팬 스크롤(322)은 상기 하부 케이싱(323)의 후측 상부를 덮어, 상기 송풍팬(270)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 케이싱(321)과 상기 팬 스크롤(322)이 상기 하부 케이싱(323)을 덮음으로써, 상기 케이싱(320) 내에 상기 유로(29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싱(323) 상에 상기 히터(280), 상기 송풍팬(270) 등의 물품을 설치한 후 상기 히터 케이싱(321)과 상기 팬 스크롤(322)을 덮는 방식으로 상기 건조 덕트(300)가 제조될 수 있어, 그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그 상부에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320)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증기 스크린(295)은 상기 송풍팬(270)에 의해 상기 건조 덕트(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로(290)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덕트 출구(310)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open)된다.
반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상기 덕트 출구(310)를 통해 세탁 과정 중의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는 경우 폐쇄(close)된다. 상기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는 경우는 상기 송풍팬(270)이 동작을 멈추어, 상기 건조 덕트(300) 내부로 의도적인 외부 공기의 유입이 없고, 상기 세탁기(100)가 세탁 과정 중 터브 내부에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는 경우 등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역류하는 증기를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상기 스토퍼(330)이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27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로(290)를 통해 유동될 때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회전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역방향 회전은 그에 대한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3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역류 방지 기능이 더욱 신뢰성을 얻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I-I'에 따른 건조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300)는 케이싱(320)과, 상기 케이싱(320)에 힌지 결합된 증기 스크린(295)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32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27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290)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개폐되는 부분인 스크롤 출구(29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20)의 하단부, 상세히는 상기 스크롤 출구(291) 하방을 이루는 부분이 소정 높이로 단차진 스토퍼(330)가 형성된다. 도면상의 참조번호 296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말단부이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스토퍼(3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말단부(296)가 상기 스토퍼(330)에 걸린다. 그러면, 상기 유로(290) 상에 정방향의 공기 유동이 있을 때는 상기 증기 스크린(295)가 회전될 수 있어, 상기 스크롤 출구(291)를 개방한다. 반면, 상기 유로(290) 상에 역방향의 공기 유동이 있을 때는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역회전하여, 상기 말단부(296)가 상기 스토퍼(330)에 걸린다. 그러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역방향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상기 스크롤 출구를 폐쇄하게 되므로, 상기 유로(290) 상의 역방향의 공기 유동은 상기 건조 덕트(300)의 공기 흡입구(250) 쪽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송풍팬(27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회전 중심인 힌지보다 하류에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역회전될 때,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하지 않고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자중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30)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구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케이싱(32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동작의 신뢰성을 증대시킴과 함께, 상기 건조 덕트(300)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덕트(300) 및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 중 상술된 설명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하고, 상술된 설명에 갈음한다.
먼저, 세탁자가 세탁 조건을 입력하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세제 박스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이 진행된다. 상기 세탁수의 온도는 세탁자의 조정에 따라 변화 가능하지만 통상 세제의 용해도 가 높고 때가 잘 빠지는 온수가 사용된다.
상기 세탁시 본원 발명의 사상에 따른 드럼 세탁기(100)는 종래의 응축식이 아닌 배기식을 채택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수로부터 증발되는 고온의 증기가 상기 건조 덕트(300)를 타고 소량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세탁기(100) 내부의 상기 건조 덕트(300)에 상기 증기 스크린(295) 및 상기 스토퍼(330)가 구비되어 고온의 증기가 세탁기 내부의 상기 캐비넷(110) 또는 실내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고온의 세탁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기 건조 덕트(300)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나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토퍼(330)가 형성된다.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세탁시에는 닫혀 있으며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팬(27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개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세탁물의 건조시 상기 송풍팬(27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개방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건조 덕트(300) 내의 상기 유로(290) 상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은 회전되어, 상기 스크롤 출구(291)가 개방되고, 공기가 상기 유로(29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기 스크린(295)은 그 자중과 공기 유압에 따라서 소정 각도 개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탁물의 세탁시에는 상기 송풍팬(270)은 작동되지 않으며 상기 송풍팬(270)으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증기 스크린(295)는 상기 건조 덕트(300)의 상기 유로(290)와 수직을 이루게 되어, 상기 스크롤 출구(291)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드럼(230) 내부의 세탁수로부터 유입되는 수증기의 영향으로 상기 증기 스크린(295)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려 한다. 이 때,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말단부(296)가 상기 스토퍼(330)와 접촉되어,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 상기 스크롤 출구(29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회전을 신뢰성있게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330)와 상기 증기 스크린(295)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30)는 전체적으로 상기 증기 스크린(295)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건조 장치의 내부에 증기 스크린이 설치됨으로써, 고온 세탁시 고온의 수증기가 건조 덕트 등을 통하여 세탁기의 캐비넷 내부 또는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세탁 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시스템의 수명 저하를 억제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 장치에 의하면, 증기 스크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증기 스크린에 의한 증기 역류 방지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
    상기 유로의 일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증기 스크린; 및
    상기 증기 스크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싱의 일부가 단차진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의 회전 중심보다 하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송풍팬과 대면된 상기 증기 스크린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증기 스크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전체적으로 상기 증기 스크린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증기 스크린의 말단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하부 케이싱과, 상기 하부 케이싱의 상부를 각각 분할하여 덮는 히터 케이싱 및 팬 스크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9.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증기 스크린; 및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증기 스크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1020050048369A 2005-06-07 2005-06-07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10064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369A KR100646885B1 (ko) 2005-06-07 2005-06-07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369A KR100646885B1 (ko) 2005-06-07 2005-06-07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885B1 true KR100646885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369A KR100646885B1 (ko) 2005-06-07 2005-06-07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99B1 (ko) 2008-08-13 2014-04-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N106381661A (zh) * 2016-10-31 2017-02-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烘道引新风组件及具有其的干衣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99B1 (ko) 2008-08-13 2014-04-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N106381661A (zh) * 2016-10-31 2017-02-0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烘道引新风组件及具有其的干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070078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US9663894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39824B1 (en) Laundry machine
EP2039823A2 (en) Laundry machine
KR20060107036A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20100040478A (ko)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KR101180532B1 (ko)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767863B1 (ko) 배기식 건조기능 의류처리장치
KR100661645B1 (ko) 세탁기
KR20080081498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4688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137375A (zh) 壁装式洗衣机
KR100607282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100717457B1 (ko) 드럼 세탁기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JP2012071069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KR101387508B1 (ko) 건조기
KR20060035429A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
KR101461387B1 (ko) 세탁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KR200440613Y1 (ko) 세탁물 건조기의 정전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