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507A -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507A
KR20140105507A KR1020147018031A KR20147018031A KR20140105507A KR 20140105507 A KR20140105507 A KR 20140105507A KR 1020147018031 A KR1020147018031 A KR 1020147018031A KR 20147018031 A KR20147018031 A KR 20147018031A KR 20140105507 A KR20140105507 A KR 20140105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track
pin
track link
ho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113B1 (ko
Inventor
나오키 기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0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32Assembly, disassembly, repair or servicing of endless-tr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제1 관통 구멍(21a)을 가지며, 제1 관통 구멍(21a)의 내주면에 제1 노치(21b)를 갖는다. 마스터 핀(22)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제1 관통 구멍(21a)에 삽입되고, 또한 외주면에 제2 노치(22b)를 갖는다. 제1 오목부(24)는, 제1 노치(21b)와 제2 노치(21b)로 구성되고, 그 개구는 제1 관통 구멍(21a)의 단부에 있다. 제1 노크 핀(25)은, 그 일단면을 상기 개구측으로 하여 배치된다. 제1 스냅 링(26)은 C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노크 핀(25)의 일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일단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의 마스터 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CRAWLER TRACK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핀을 구비한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으로서, 크롤러 트랙을 구비한 유압 쇼벨, 불도저 등이 알려져 있다. 이 크롤러 트랙은 복수의 크롤러 트랙 링크가 연결된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을 포함하고 있다. 이 크롤러 트랙이 주행 장치에 탈착될 때에는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의 연결이 해제된다.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크롤러 트랙 링크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마스터 핀을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압입하여 마스터 핀이 억지 끼워 맞춤되어 있는 경우에는,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탈착하기 위한 프레스기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작업 현장에서 크롤러 트랙을 주행 장치에 탈착하기 위해서는 작업 현장에서 프레스기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의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 공개 소화64-1078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탈착 가능하며,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 마스터 핀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빠짐 방지 핀을 구비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빠짐 방지 핀을 넣고 빼는 것에 의해 프레스기를 사용하지 않고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마스터 핀의 일단에 플랜지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에 빠짐 방지 핀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핀의 플랜지와 결합하는 결합 보스가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련되어 있다. 마스터 핀의 플랜지와 크롤러 트랙 링크의 결합 보스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크롤러 트랙 링크에 대한 마스터 핀의 드래그가 억제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공개 소화64-1078호 공보
상기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크롤러 트랙의 사용에 따라서 크롤러 트랙 링크의 결합 보스에 마스터 핀의 플랜지의 모서리부가 접촉함으로써 결합 보스가 마멸된다. 이에 따라, 크롤러 트랙의 결합 보스와 마스터 핀의 플랜지 사이의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크롤러 트랙 링크에 대하여 마스터 핀이 드래그된다. 나아가, 마스터 핀이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마스터 핀의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의 탈락을 회피할 수 있는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크롤러 트랙 링크가 복수 이어지는 띠형상의 크롤러 트랙을 연결하여 무단형의 크롤러 트랙으로 만들기 위한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이다. 이 장치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와, 마스터 핀과, 제1 노크 핀과, 제1 오목부와, 제1 스냅 링을 구비한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는 제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제1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제1 노치를 갖는다. 마스터 핀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제1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외주면에 제2 노치를 갖는다. 제1 오목부는, 제1 노치와 제2 노치로 구성되며 그 개구는 제1 관통 구멍의 단부에 있다. 제1 노크 핀은, 그 일단면을 상기 개구측으로 하여 배치된다. 제1 스냅 링은 C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노크 핀의 일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일단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스냅 링이 C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스냅 링을 마스터 핀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제1 스냅 링을 탈착함으로써 마스터 핀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에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제1 노치 및 마스터 핀의 제2 노치로 구성되는 제1 오목부 내에 제1 노크 핀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핀이 크롤러 트랙 링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의 마스터 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크 핀의 일단면이 제1 관통 구멍의 개구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크 핀을 넣고 빼는 작업을 하기 쉽다.
또한 제1 오목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제1 노크 핀을 끼워 넣도록 제1 스냅 링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냅 링에 의해, 제1 노크 핀이 제1 오목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노크 핀이 떨어져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 마스터 핀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핀의 외주면에는 제1 둘레홈이 형성되며, 이 제1 둘레홈 내에 제1 스냅 링이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스냅 링을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 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핀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제1 관통 구멍에 중간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마스터 핀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에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와 쌍을 이루는 제2 크롤러 트랙 링크와, 제2 노크 핀과, 제2 스냅 링을 구비한다.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는 마스터 핀이 삽입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가지며, 제2 관통 구멍 내면에 제3 노치를 갖는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는 마스터 핀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는 마스터 핀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스터 핀은 외주면에 제4 노치 및 제2 둘레홈을 갖는다. 제2 노크 핀은 제3 및 제4 노치로 구성되며 제2 관통 구멍 단부에 개구를 갖는 제2 오목부 내에 그 타단면이 개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냅 링은 C형 형상을 가지며, 제2 노크 핀의 타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타단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상기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가 일단측에 배치된 마스터 핀의 타단측에 제2 크롤러 트랙 링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냅 링을 탈착함으로써 제2 크롤러 트랙 링크에 마스터 핀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제2 크롤러 트랙 링크에 제2 노크 핀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 모두에서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크롤러 트랙 링크의 제3 노치 및 마스터 핀의 제4 노치로 구성되는 제2 오목부 내에 제2 노크 핀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핀의 제2 크롤러 트랙 링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의 마스터 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냅 링이, 제2 노크 핀의 타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냅 링에 의해, 제2 노크 핀이 제2 오목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노크 핀이 떨어져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 마스터 핀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의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에 제1 관통 구멍, 타단측에 제3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제1 관통 구멍의 제3 관통 구멍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오목부의 주위에 응력에 의한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노크 핀은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를 때까지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노크 핀은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제1 오목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오목부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노크 핀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원기둥 형상이므로 제1 오목부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오목부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롤러 트랙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마스터 핀의 크롤러 트랙 링크로부터의 탈락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작업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작업 차량의 하부 주행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P1부에서의 크롤러 트랙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스터 핀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P2부에서의 제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 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의 스냅 링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제1 노크 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의 스냅 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차량의 일례인 유압 쇼벨에 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불도저 등의 유압 쇼벨 이외의 궤도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작업 차량(유압 쇼벨)(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2)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기복(起伏)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작업기(4)는, 예를 들어 붐(boom), 아암, 버킷, 유압 실린더 등을 갖는다.
상기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로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 좌측(차량 전측)에 캡(5)을 가지며, 후방측(차량 후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6)이나 카운터 웨이트(7)를 갖는다. 여기서, 차량의 전후ㆍ좌우는, 캡(5) 내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트랙(10)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작업 차량(유압 쇼벨)(1)이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크롤러 트랙(10)과, 선회 장치(11)와, 트랙 프레임(12)과, 유동륜(아이들러)(13)과, 구동륜(스프로켓)(14)과, 캐리어 롤러(15)와, 트랙 롤러(16)를 주로 갖는다.
크롤러 트랙(10)은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과,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에 부착된 트랙 슈(30)를 갖는다. 선회 장치(11)는 상부 선회체(3)(도 1)를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부 주행체(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12)은 선회 장치(11)의 부착대가 되는 센터 프레임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동륜(13)은 트랙 프레임(12)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14)은 트랙 프레임(12)의 후단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캐리어 롤러(15)는 트랙 프레임(12)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트랙 롤러(16)는 트랙 프레임(12)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주행체(2)에는 승강용 래더(1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승강용 래더(17)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크롤러 트랙(10)은 유동륜(13)과 구동륜(14)에 감겨서 걸려 있다. 또한 크롤러 트랙(10)은 유동륜(13)과 구동륜(14) 사이에 배치된 캐리어 롤러(15) 및 트랙 롤러(1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이 구동륜(14)에 맞물려서 구동됨으로써 트랙 슈(30)가 회전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크롤러 트랙(10)은 회전 구동한다. 이에 따라 하부 주행체(2)가 자주한다.
도 3~도 8을 참조해 보면, 크롤러 트랙(10)의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은, 복수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가 무단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접지면(외면)측에 트랙 슈(3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트랙 슈(30)의 외면측으로부터 트랙 슈(30) 및 크롤러 트랙 링크(20a)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볼트(43)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비접지면(내면)측에 있어서 볼트(43)의 선단부에 너트(4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들 볼트(43) 및 너트(44)에 의해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외단면에 트랙 슈(30)가 고정되어 있다.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의 1개소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는 한 쌍을 이루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와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를 갖는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와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크롤러 트랙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와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는 크롤러 트랙 핀(34)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띠형상의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을 형성한다. 이 띠형상의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의 양끝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를 연결하여 무단형의 체인으로 만드는 핀을 마스터 핀(22)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제1 관통 구멍(21a), 제2 관통 구멍(31a)을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3 관통 구멍(21c), 제4 관통 구멍(31c)을 구비한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각각의 일단부 사이에 걸쳐 마스터 핀(22)이 가설되고, 마스터 핀(22)의 양쪽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관통 구멍(21a, 31a)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각각의 일단부는, 인접하는 한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이란, 크롤러 트랙의 폭방향(도 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크롤러 트랙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일단부에 있어서 서로의 사이에 크롤러 트랙 부싱(41)이 배치되어 있다. 크롤러 트랙 부싱(41)은 마스터 핀(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바깥에 끼워져 있다. 크롤러 트랙 부싱(41)은 인접하는 한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제3 및 제4 관통 구멍(21c, 31c)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와, 인접하는 한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는, 크롤러 트랙 부싱(41)을 개재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크롤러 트랙 부싱(41)은 구동륜(스프로켓)(14)의 톱니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링(42)은, 크롤러 트랙 부싱(41)의 단면에 접한 상태로,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내측면에 형성된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각각의 타단부에 크롤러 트랙 핀(34)이 가설되어 있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각각의 타단부는, 인접하는 다른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타단부에 있어서 서로의 사이에 크롤러 트랙 부싱(41)이 배치되어 있다. 크롤러 트랙 부싱(41)은 크롤러 트랙 핀(3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바깥에 끼워져 있다. 크롤러 트랙 부싱(41)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제3 관통 구멍(21c)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제4 관통 구멍(31c)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와, 인접하는 다른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는, 크롤러 트랙 부싱(41)을 개재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크롤러 트랙 핀(34)의 단부는 인접하는 다른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제1 및 제2 관통 구멍(21a, 31a)에 압입되어,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예컨대, 크롤러 트랙 핀(34)은, 다른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에 160 kN으로 압입된다. 그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마스터 핀(22)의 단부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관통 구멍(21a)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관통 구멍(31a)에, 크롤러 트랙 핀(34)보다 작은 힘으로 압입되어, 억지 끼워 맞춤이 아니라 중간 끼워 맞춤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중간 끼워 맞춤이란, 관통 구멍(21a, 31a)의 구멍 직경의 최소 허용 치수보다 마스터 핀(22)의 핀 직경의 최대 허용 치수가 크고, 또한 구멍 직경의 최대 허용 치수보다 핀 직경의 최소 허용 치수가 작은 끼워 맞춤을 의미한다. 중간 끼워 맞춤은 트랜지션(transition) 끼워 맞춤이라고도 불린다. 즉, 마스터 핀(22)은, 핀 외주면과 관통 구멍 내주면의 끼워 맞춤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어 있다. 예컨대, 마스터 핀(22)은, 제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21, 31)에 16 kN으로 압입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해 보면,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란, 끝이 있는 띠형상의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의 단부의 링크에 설치되며, 링크 체인 양끝을 연결하여 무단형의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20)으로 만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또한 크롤러 트랙 링크(20a)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와, 마스터 핀(22)과, 제1 노크 핀(25)과, 제1 스냅 링(26)을 구비한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일단부와,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를 갖는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21a)을 갖는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제1 관통 구멍(21a)의 외측의 내주면에 제1 노치(21b)를 갖는다. 제1 노치(2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치(21b)는 후술하는 마스터 핀(22)의 축(A)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핀(22)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제1 관통 구멍(21a)에 삽입되는 중심축(A)을 갖는 원기둥형의 부품이다. 마스터 핀(22)은 외주면(22a)에 제2 노치(22b) 및 제1 둘레홈(22c)을 갖는다. 제2 노치(22b)는 마스터 핀(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노치(22b)는 마스터 핀(22)의 단부면으로부터 축(A)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노치(21b) 및 제2 노치(22b)로 제1 오목부(24)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노치(21b)와 제2 노치(22b)가 대향함으로써 제1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24)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제1 오목부(24)의 중심축은, 마스터 핀(22)의 중심축(A)과 평행하다.
제1 노크 핀(25)은, 제1 오목부(24) 내에 일단면을 오목부의 개구측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노크 핀(25)의 길이는 제1 오목부(24)의 깊이보다 짧다. 제1 노크 핀(25)은, 마스터 핀(22)의 축(A)방향을 따르는 축(B)을 갖는다. 축(B)은 제1 오목부(24)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즉, 제1 노크 핀(25)을 넣고 빼는 방향과, 마스터 핀(22)을 넣고 빼는 방향은 동일하다. 제1 노크 핀(25)은 제1 오목부(24)에 중간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노크 핀(25)은 제1 오목부(24)의 내주면을 압박하기 때문에 제1 오목부(24)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또한 제1 노크 핀(25)은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1 오목부(24)와 접해 있다. 또한 제1 노크 핀(25)은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서 제1 오목부(24)와 접해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1 스냅 링(26)에 의해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1 노크 핀(25)과 제1 오목부(24)의 끼워 맞춤은 헐거운 끼워 맞춤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스냅 링(26)을 떼어냄으로써, 용이하게 제1 노크 핀(25)을 제1 오목부(2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1 노크 핀(25)은, 제1 관통 구멍(21a)의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크롤러 트랙 핀(34)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1 노치(21b)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중에서 타단의 관통 구멍에 가장 가까운 부위의 제1 관통 구멍(21a)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제1 관통 구멍(21a)이 형성된 일단부로부터 크롤러 트랙 핀(34)이 배치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에서는, 제1 관통 구멍(21a)에 대하여 크롤러 트랙 핀(34)측에서는, 크롤러 트랙 핀(34)과는 반대측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크 핀(25)을 위한 제1 노치(21b)를 링크(21)의 크롤러 트랙 핀(34)측에 형성하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작용하는 응력이 비교적 커지지 않는다. 전술한 이유로, 노치(21b)는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크롤러 트랙 핀(34)측, 즉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다른 관통 구멍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해 보면, 제1 노크 핀(25)은 중심축(B)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노크 핀(25)은 축(B)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를 때까지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다. 제1 노크 핀(25)의 높이는 직경보다 크다. 즉, 제1 노크 핀(25)의 길이 방향은 축(B) 방향이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노크 핀(25)의 형상은 원기둥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노치(21b)와 마스터 핀(22)의 노치(b)는, 노크 핀(2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된다. 예컨대, 노크 핀(25)의 형상은 절두원추형이어도 좋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해 보면, 제1 스냅 링(26)은 C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스냅 링(26)은 원환형이며, 그 일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를 넓힘으로써 제1 스냅 링(26)은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제1 스냅 링(26)은, 제1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로부터 빠지는 방향 위에 위치하도록 제1 둘레홈(22c)에 끼워져 있다. 환언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를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외측에서 볼 때, 제1 스냅 링(26)은 제1 노크 핀(25)에 중첩된다. 즉, 제1 스냅 링(26)은, 제1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로부터 빠지는 것을 막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스냅 링(26)은 제1 노크 핀(25)의 일단면에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지만, 양자가 접해 있어도 좋다. 제1 스냅 링(26)은 단수이어도 복수이어도 좋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나란히 제1 둘레홈(22c)에 끼워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도 7 좌측의 크롤러 트랙 링크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와, 제2 노크 핀(32)과, 제2 스냅 링(33)을 구비하여도 좋다.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는 마스터 핀(22)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마스터 핀(22)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일단부와,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를 갖는다.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31a)을 갖는다. 제2 관통 구멍(31a)에 마스터 핀(22)이 삽입된다.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는, 제2 관통 구멍(31a) 내면에 제3 노치(31b)를 갖는다. 제3 노치(31b)는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노치(31b)는 마스터 핀(2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핀(22)은 외주면(22a)에 제4 노치(22d) 및 제2 둘레홈(22e)을 갖는다. 제4 노치(22d)는 마스터 핀(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4 노치(22d)는 마스터 핀(22)의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노치(31b) 및 제4 노치(22d)로 제2 오목부(27)가 구성되어 있다. 제3 노치(31b)와 제4 노치(22d)가 대향함으로써 제2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27)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노크 핀(32)은 제2 오목부(2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노크 핀(32)은, 마스터 핀(22)의 축방향을 따르는 축을 갖는다. 제2 노크 핀(32)은 제2 오목부(27)에 중간 끼워 맞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노크 핀(32)은 제2 오목부(27)의 내주면을 압박하기 때문에 제2 오목부(27)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또한 제2 노크 핀(32)은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2 오목부(27)와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노크 핀(32)은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서 제2 오목부(24)와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냅 링(33)은 C형 형상을 갖는다. 제2 스냅 링(33)은 원환형이며, 그 일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를 넓힘으로써 제2 스냅 링(33)은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제2 스냅 링(33)은 제2 오목부(27)의 바닥부(27a)와의 사이에 제2 노크 핀(32)을 끼워 넣도록 제2 둘레홈(22e)에 끼워져 있다.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대하여 마스터 핀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2 스냅 링(33)은 위치하고 있다. 제2 스냅 링(33)은 제2 노크 핀(32)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냅 링(33)은 단수이어도 복수이어도 좋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나란히 제2 둘레홈(22e)에 끼워져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해 보면,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마스터 핀(22)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 및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인접하는 한쪽의 크롤러 트랙 링크(20a)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연결이 해제된다.
마스터 핀(22)은 다음 순서로 뽑아낸다. 처음에 제1 스냅 링(26) 및 제2 스냅 링(33)의 C형 형상의 노치를 넓힘으로써, 제1 스냅 링(26)이 제1 둘레홈(22c)으로부터 제거되고, 제2 스냅 링(33)이 제2 둘레홈(22e)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제1 스냅 링(26) 및 제2 스냅 링(33)이 마스터 핀(22)의 단부로부터 취출됨으로써, 제1 스냅 링(26) 및 제2 스냅 링(33)이 마스터 핀(22)으로부터 제거된다.
계속해서 제1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 내로부터 취출되고, 제2 노크 핀(32)이 제2 오목부(27) 내로부터 취출된다. 이 상태로 마스터 핀(22)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 중 어느 한쪽으로 뽑아낸다. 이에 따라,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의 연결이 해제된다.
또한,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를 다시 연결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반대의 순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제1 노크 핀(25), 제1 스냅 링(26), 제2 노크 핀(32), 제2 스냅 링(33)을 탈착함으로써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마스터 핀(22)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크롤러 트랙(10)의 연결 및 해제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롤러 트랙(10)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노크 핀(25) 및 제1 스냅 링(26) 또는 제2 노크 핀(32) 및 제2 스냅 링(33)을 제거함으로써 마스터 핀(22)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을 제거하여 연결을 해제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냅 링 고정을 위한 제1 둘레홈(22c)을 마스터 핀(22) 외주에 형성하고 있지만,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관통 구멍(21a)의 내주면에 형성해도 좋다[제1 둘레홈(21d)]. 이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터 핀(22) 외주에 응력이 집중될 우려가 있는 둘레홈이 없기 때문에, 마스터 핀(22)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제2 관통 구멍(31a)의 내주면에 제2 둘레홈(31d)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스냅 링(26)이 C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스냅 링(26)을 마스터 핀(22), 혹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핀(22)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대하여 통상의 크롤러 핀과 달리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스냅 링(26)을 탈착함으로써 마스터 핀(22)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탈착하는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마스터 핀(22)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 트랙(10)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제1 노치(21b) 및 마스터 핀(22)의 제2 노치(22b)로 구성되는 제1 오목부(24) 내에 제1 노크 핀(25)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노크 핀(25)은 제1 오목부(24) 내에 있어서 제1 노치(21b) 및 제2 노치(22b)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스터 핀(22)은, 끼워 맞춤이 중간 끼워 맞춤임에도 불구하고,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대하여 회전 불가로 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노크 핀(25)이 제1 노치(21b) 및 제2 노치(22b)에 불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오목부(24)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크 핀(25)과 제1 및 제2 노치(21b, 22b)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로부터 마스터 핀(22)이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냅 링(26)은 제1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로부터 빠져 나오는 진로를 저지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스냅 링(26)에 의해, 제1 노크 핀(25)이 제1 오목부(24)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노크 핀(25)이 떨어져, 마스터 핀(22)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마스터 핀(22)의 외주면(22a)에는 제1 둘레홈(22c)이 형성되고, 이 제1 둘레홈(22c) 내에 제1 스냅 링(26)이 끼워져 있다. 혹은,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관통 구멍(21a)의 내주면에 둘레홈(21d)이 형성되고, 이 둘레홈(22c) 내에 스냅 링(26)이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스냅 링(26)을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핀(2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마스터 핀(22)은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의 제1 관통 구멍(21a)에 중간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마스터 핀(22)을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가 일단측에 배치된 마스터 핀(22)의 타단측에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냅 링(33)을 탈착함으로써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마스터 핀(22)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지 않고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제2 노크 핀(32)을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 및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 모두에서 크롤러 트랙(10)의 탈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의 제3 노치(31b) 및 마스터 핀(22)의 제4 노치(22d)로 구성되는 제2 오목부(27) 내에 제2 노크 핀(32)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노크 핀(32)은 제2 오목부(27) 내에 있어서 제3 노치(31b) 및 제4 노치(22d)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스터 핀(22)은, 끼워 맞춤이 중간 끼워 맞춤임에도 불구하고,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대하여 회전 불가로 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2 노크 핀(32)이 제3 노치(31b) 및 제4 노치(22d)에 불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오목부(27)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크 핀(32)과 제3 및 제4 노치(31b, 22d)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로부터 마스터 핀(22)이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크 핀(32)이 제2 오목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진로 상에 제2 스냅 링(33)이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냅 링(33)에 의해, 제2 노크 핀(32)이 제2 오목부(27)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노크 핀(32)이 떨어져, 마스터 핀(22)이 제2 크롤러 트랙 링크(3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서는, 제1 관통 구멍(21a)의 크롤러 트랙 핀(34)측[즉,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a) 중에서 제1 관통 구멍(21a)과는 별도의 관통 구멍측]에 제1 노크 핀(2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21a)의 크롤러 트랙 핀(34)측은, 크롤러 트랙 핀(34)과는 반대측에 비해서 제1 크롤러 트랙 링크(21)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제1 관통 구멍(21a)의 크롤러 트랙 핀(34)측에 제1 노크 핀(25)을 배치함으로써 제1 노크 핀(25)의 주위에 응력에 의한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제1 노크 핀(25)은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를 때까지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노크 핀(25)은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제1 오목부(24)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오목부(24)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는, 제1 노크 핀(25)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원기둥 형상이므로 제1 오목부(24)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오목부(24)가 마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마스터 핀을 구비한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 작업 차량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 장치
5 : 캡 6 : 엔진룸
7 : 카운터 웨이트 10 : 크롤러 트랙
11 : 선회 장치 12 : 트랙 프레임
13 : 유동륜 14 : 구동륜
15 : 캐리어 롤러 16 : 트랙 롤러
17 : 승강용 래더 20 : 크롤러 트랙 링크 체인
20a : 크롤러 트랙 링크 21 : 제1 크롤러 트랙 링크
21a : 제1 관통 구멍 21b : 제1 노치
21c : 제3 관통 구멍 21d : 제1 둘레홈
22 : 마스터 핀 22a : 외주면
22b : 제2 노치 22c : 제1 둘레홈
22d : 제4 노치 22e : 제2 둘레홈
24 : 제1 오목부 24a, 27a : 바닥부
25 : 제1 노크 핀 26 : 제1 스냅 링
27 : 제2 오목부 30 : 트랙 슈
31 : 제2 크롤러 트랙 링크 31a : 제2 관통 구멍
31b : 제3 노치 31c : 제4 관통 구멍
32 : 제2 노크 핀 33 : 제2 스냅 링
34 : 크롤러 트랙 핀 41 : 크롤러 트랙 부싱
42 : 시일 링 43 : 볼트
44 : 너트 A : 마스터 핀의 중심축
B : 제1 노크 핀의 중심축

Claims (7)

  1. 크롤러 트랙 링크가 복수 이어지는 띠형상의 크롤러 트랙을 연결하여 무단형의 크롤러 트랙으로 만들기 위한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로서,
    제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제1 노치를 갖는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와,
    상기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상기 제1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2 노치를 갖는 마스터 핀과,
    상기 제1 및 제2 노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관통 구멍 단부에 개구를 갖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일단면을 상기 개구측으로 하여 배치되는 제1 노크 핀과,
    C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노크 핀의 상기 일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상기 일단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 스냅 링
    을 포함하는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둘레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냅 링은 상기 제1 둘레홈 내에 배치되는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핀은 상기 제1 관통 구멍에 중간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핀이 삽입되는 제2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제3 노치를 갖는 상기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와 쌍을 이루는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크롤러 트랙 링크는 상기 마스터 핀의 일단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크롤러 트랙 링크는 상기 마스터 핀의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스터 핀은 상기 외주면에 제4 노치 및 제2 둘레홈을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노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관통 구멍 단부에 개구를 갖는 제2 오목부 내에 배치되며, 타단면이 상기 개구측에 배치되는 제2 노크 핀과,
    C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노크 핀의 상기 타단면에 간극을 두거나, 또는 상기 타단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스냅 링을 구비하는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구멍은 상기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크롤러 트랙 링크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 제3 관통 구멍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상기 제3 관통 구멍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 형성되는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크 핀은 상기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를 때까지 상기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크 핀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인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KR1020147018031A 2012-05-24 2012-12-21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KR101560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8573 2012-05-24
JP2012118573A JP5247913B1 (ja) 2012-05-24 2012-05-24 履帯連結装置
PCT/JP2012/083248 WO2013175667A1 (ja) 2012-05-24 2012-12-21 履帯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07A true KR20140105507A (ko) 2014-09-01
KR101560113B1 KR101560113B1 (ko) 2015-10-13

Family

ID=4904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031A KR101560113B1 (ko) 2012-05-24 2012-12-21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7894B2 (ko)
JP (1) JP5247913B1 (ko)
KR (1) KR101560113B1 (ko)
CN (1) CN103958334B (ko)
DE (1) DE112012004817B4 (ko)
IN (1) IN2014DN05773A (ko)
WO (1) WO20131756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682A (ko) * 2017-04-07 2018-10-17 이기광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용 링크시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913B1 (ja) * 2012-05-24 2013-07-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連結装置
US20150135510A1 (en) * 2013-11-18 2015-05-21 Weatherford/Lamb, Inc. Locking system for a threaded connection
US9346501B2 (en) 2014-05-13 2016-05-24 Caterpillar Inc. Elliptical bore pin retention system
US9216783B2 (en) 2014-05-13 2015-12-22 Caterpillar Inc. Cap and pin retention system
US9751577B2 (en) * 2014-12-22 2017-09-05 Caterpillar Inc. Reversible track link system
US20160339974A1 (en) * 2015-05-21 2016-11-24 Caterpillar Inc. Chain assembly having a retention feature
USD819086S1 (en) * 2016-09-02 2018-05-29 Maciej Klepacki Track for tracklaying vehicles
US10800469B2 (en) 2018-07-20 2020-10-13 Caterpillar Inc. Link assembly with threaded master pin
US11565761B2 (en) * 2019-02-06 2023-01-31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y in machine track having pin stop for cartridge pin retention
CN110843945B (zh) * 2019-11-26 2021-05-28 三一重机有限公司 链轨单元、履带和挖掘机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836A (en) * 1975-01-09 1976-05-25 Brown Cicero C Movable track assembly for drive tracks
WO1984003676A1 (en) 1983-03-18 1984-09-27 Caterpillar Tractor Co Track joint retaining apparatus
US4618190A (en) 1983-03-18 1986-10-21 Caterpillar Inc. Track joint retaining apparatus
JPS6223879A (ja) 1985-07-25 1987-01-31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の履帯
KR890001641Y1 (ko) 1986-06-05 1989-04-07 금성전선주식회사 중장비의 무한궤도 분해 조립용 마스터 핀(Master Pin)
JPH0211263Y2 (ko) 1988-02-19 1990-03-20
US5069509A (en) * 1990-06-18 1991-12-03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with rotatable sleeve
US5201171A (en) * 1991-11-26 1993-04-13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track chain joint
US5257858A (en) * 1992-11-02 1993-11-02 Caterpillar Inc. Inboard track joint retention apparatus
JPH0713674U (ja) 1993-08-17 1995-03-07 油谷重工株式会社 履帯のマスターピン連結部構造
JP3683060B2 (ja) * 1996-12-13 2005-08-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式車両の履帯装置
US6564539B2 (en) * 1999-12-09 2003-05-20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track chain joint
JP4033378B2 (ja) 2000-02-14 2008-01-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のリンクとピンとの固定構造
JP4298180B2 (ja) * 2001-03-16 2009-07-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のリンクとピンとの固定構造
JP4179449B2 (ja) * 2002-03-29 2008-11-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走行装置の軸受装置
US7766433B2 (en) * 2006-09-22 2010-08-03 Deere & Company Cartridge for use as joint in endless track chain and associated method
ITMI20070147A1 (it) * 2007-01-30 2008-07-31 Berco Spa Sistema di tenuta per giunto di cingolatura
US20080265667A1 (en) * 2007-04-24 2008-10-30 Livesay Richard E Bolt together machine track and method
US7877977B2 (en) 2008-12-12 2011-02-01 Caterpillar Inc. Master link for a track chain
IT1399166B1 (it) * 2009-03-24 2013-04-11 Berco Spa Catena a boccole rotanti per veicoli cingolati
IT1393533B1 (it) * 2009-03-24 2012-04-27 Berco Spa Catena a boccole rotanti per veicoli cingolati con cuscinetti a strisciamento migliorati
JP5532673B2 (ja) 2009-05-12 2014-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5318843B2 (ja) * 2010-12-01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ブシュおよび履帯リンク装置
CN201961403U (zh) 2011-01-28 2011-09-07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橡胶铝轨组合式履带装置
JP5247913B1 (ja) * 2012-05-24 2013-07-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連結装置
US9604681B2 (en) * 2013-08-29 2017-03-2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682A (ko) * 2017-04-07 2018-10-17 이기광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용 링크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5667A1 (ja) 2013-11-28
CN103958334A (zh) 2014-07-30
DE112012004817T5 (de) 2014-08-14
JP5247913B1 (ja) 2013-07-24
US20140306517A1 (en) 2014-10-16
DE112012004817B4 (de) 2018-09-27
IN2014DN05773A (ko) 2015-04-10
CN103958334B (zh) 2016-04-20
KR101560113B1 (ko) 2015-10-13
JP2013244783A (ja) 2013-12-09
US9387894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113B1 (ko) 크롤러 트랙 연결 장치
KR101733330B1 (ko) 크롤러 벨트 연결 장치
US9272742B2 (en) Crawler belt link and crawler belt apparatus
EP2008920B1 (en) Link for connecting track shoe of crawler belt, assembly for crawler belt, and crawler belt
US20120153715A1 (en) Crawler belt and master link for crawler belt
CN105873815A (zh) 用于机器的履带系统
US10562574B2 (en) Slider for track assembly of machine
EP2008919A1 (en) Crawler belt
US11059530B2 (en) Traveling unit and work vehicle
US9840291B2 (en) Roller device for track-type work vehicle, roller shell unit and roller shell
US10933930B2 (en) Roller path of a track pad for a track chain
US11905686B2 (en) Replaceable wear plate
JP5328541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のシュープレート固定構造
JP2016150655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