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403A -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 Google Patents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403A
KR20140101403A KR20147018355A KR20147018355A KR20140101403A KR 20140101403 A KR20140101403 A KR 20140101403A KR 20147018355 A KR20147018355 A KR 20147018355A KR 20147018355 A KR20147018355 A KR 20147018355A KR 20140101403 A KR20140101403 A KR 2014010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mber
opening
tapered surface
waterproof fun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977B1 (ko
Inventor
나오야 신무라
츠카사 와타나베
히로키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메크트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메크트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메크트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Gasket Se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일부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의 일방(一方)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주(外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둘레면과 밀착접촉하는 링형상 돌기를 구비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로 구성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로서, 상기 링형상 돌기가 상기 개구부의 내부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내부측을 향해 수렴(收斂)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면의 최대 직경부와 연속하는 형태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LID MEMBER WITH WATERPROOF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화 단말 등의 전자 기기의 내부에 물방울(water droplet)이 침입하지 않도록 시일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는, 방수 전자 기기의 커넥터부의 시일 구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종래,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커넥터를 개폐하는 커넥터 덮개가 구비된다.
즉, 커넥터용 통신 포트를 개폐하는 커넥터 덮개는, 띠 형상(band-shape) 혹은 원형으로 가요성 밴드부에 의해 하우징(케이스)측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를 커버하는 커넥터 덮개의 둘레측 면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작은 리브 형상(rib-shaped)의 시일 링부(seal ring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 덮개는, 커넥터용 통신 포트를 수밀(水密)적으로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덮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덮개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개 부재의 주위에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에 의해 형성되는 고무 패킹(packing)을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한 방수 마개를, 커넥터 덮개에 초음파 용착(ultrasonic welding)에 의해 일체화한 구조가 된다. (특허문헌 1)
하지만, 커넥터 덮개의 내측에 방수 마개가 있기 때문에, 커넥터 덮개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넥터 덮개 본체(2)에 방수 부재인 고무상(rubber-like)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300)를 일체화시켜, 커넥터 덮개의 방수 구조의 박형(薄型)화를 실현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2)
즉, 이러한 종류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는,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2)의 일방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개구부(11)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21)와, 이 돌기부(21)의 외주면(21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11)의 둘레면(周面)(12)과 밀착접촉하는 링형상 돌기부(310)를 구비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 기기는 경량 박형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어, 필연적으로 휴대 단말 기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 덮개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 결과, 이러한 종류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를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할 때, 시일부(300)는, 하우징(1)의 단부(端部, 13)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된다.
커넥터 덮개가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의 개구부(11)에 대한 삽입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것과 더불어, 덮개 부재가 되밀려 덮을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 때문에, 시일부(300)가 개구부(11)의 둘레면(12)과 접촉하는 양(시일부(300)의 찌그러짐 허용량(crushing margin))을 작게 하는 것이 시도되었지만, 시일부(300)의 둘레면(12)에 대한 접촉압이 저하되어,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6-84438호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0-186562호
본 발명은,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일부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의 일방(一方)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주(外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둘레면과 밀착접촉(密接)하는 링형상 돌기를 구비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로 구성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로서, 상기 링형상 돌기가 상기 개구부의 내부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내부측을 향해 수렴(收斂)하는 테이퍼면(taper surface)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면의 최대 직경부와 연속하는 형태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seal surface)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일부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보다 확실하게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일부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삽입이 테이퍼면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삽입이 테이퍼면에 의해 원활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고도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더욱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일부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일부만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덮개 부재가 개구부에 삽입되었을 때의 시일부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의 양태를 도 2와 동일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관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덮개 부재가 개구부에 삽입되었을 때의 시일부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 기기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 개구부(11)에는 커넥터(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는,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2)의 일방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개구부(11)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21)와, 이 돌기부(21)의 외주면(21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11)의 둘레면(12)과 밀착접촉하는 링형상 돌기(31)를 구비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형상 돌기(31)는, 개구부(11)의 내부(X)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링형상 돌기(31)는, 그 외주면에 내부(X)측을 향해 수렴하는 테이퍼면(32)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테이퍼면(32)의 최대 직경부(321)와 연속하는 형태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33)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덮개 부재에 의해 개구부(11)를 폐쇄할 때, 최초로 하우징(1)의 단부(13)가 테이퍼면(32)에 맞닿으며, 이 테이퍼면(32)을 따라 단부(1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단부(13)가 테이퍼면(32)을 통과한 후에는, 테이퍼면(32)의 최대 직경부(321)와 연속하는 형태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도, 단부(1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단부(13)가 시일면(33)의 최대 직경부(331)를 통과한 후에는, 이 최대 직경부(331)를 포함하는 시일면(33)이 개구부(11)의 둘레면(12)과 양호한 밀착접촉 상태가 달성되기 때문에, 시일부(3)의 안정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33)의 최대 직경부(331)는, 돌기부(21)의 단면(212)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단면(212)보다 내부(X)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시일부(3)가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의 둘레면(12)과 접했을 때, 시일부(3)의 링형상 돌기(31)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가 되밀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면(32)은, 덮개 부재가 개구부(11)를 커버할 때, 하우징(1)의 둘레면(12)의 단부(13)가 최초로 맞닿는 치수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덮개 부재의 삽입이 테이퍼면(32)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테이퍼면(32)의 하우징(1)의 둘레면(12)과 이루는 테이퍼 각(α)은, 시일부(3)의 자유 상태에서, 20∼50°의 범위로 설계된다.
테이퍼 각이 20°보다 작으면, 결과적으로 테이퍼면(32)의 직경 방향 폭이 작아지며, 부재의 정밀도의 편차(dispersion in preicision)에 의해, 단부(13)가 테이퍼면(32)에 맞닿지 않는 상태가 초래될 위험성이 있다.
한편, 테이퍼 각이 50°보다 크면,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이 커지며, 덮개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시일부(3)의 고무 경도는, JIS A55∼8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경도가 JIS A55보다 부드러우면, 하우징(1)의 둘레면(12)과의 사이에서, 충분할 시일 면압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양호한 밀봉 성능을 유지할 수 없다.
한편, 고무 경도가 JIS A85보다 단단하면,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이 커지며, 덮개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덮개 부재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테이퍼면(32)의 폭(a)은 통상 0.2~0.5mm이며, 시일부(3)의 최대 직경(331)과 시일부(3)의 내부(X)측 단부까지의 거리(b)는 0.3~0.6mm이다.
시일부(3)에 사용되는 고무상 탄성재로서는,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EPDM, CR,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고, 각종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된다.
또한, 덮개 부재에 사용되는 수지재로서는, ABS 수지, PP(폴리프로필렌),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SF(폴리설폰),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티렌), PMMA(아크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PE(폴리페닐렌 에테르), PA(나일론/폴리아미드), PC(폴리카보네이트), POM(폴리아세탈),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EEK(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LCP(액정 폴리머), 불소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각종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를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설명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와 상이한 점은, 시일부(3)의 테이퍼면(32) 및 최대 직경(331)이 더욱 내부(X)측에 위치하도록, 링형상 돌기(31)를 보다 길게 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링형상 돌기(31)가 더욱 내부 직경 방향으로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삽입 저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지만, 시일부(3)의 시일 면압이 저하되는 동시에, 축방향 치수가 증대하여, 박형화를 저해하는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링형상 돌기(31)를 지나치게 길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는, 전자 기기의 방수, 특히 방수 휴대 전화에 사용할 수 있다.
1 : 하우징
2 : 본체
3 : 시일부
5 : 커넥터
11 : 개구
12 : 둘레면
13 : 단부
21 : 돌기부
31 : 링형상 돌기
32 : 테이퍼면
33 : 시일면
211 : 외주면
212 : 단면
321 : 최대 직경부
331 : 최대 직경

Claims (5)

  1. 하우징(1)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2)의 일방(一方)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11)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21)와, 상기 돌기부(21)의 외주(外周)면(2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의 둘레면(12)과 밀착접촉하는 링형상 돌기(31)를 구비한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일부(3)로 구성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로서, 상기 링형상 돌기(31)가 상기 개구부(11)의 내부(X)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내부(X)측을 향해 수렴(收斂)하는 테이퍼면(3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면(32)의 최대 직경부(321)와 연속하는 형태로 단면이 원호 형상인 시일면(3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면(33)의 최대 직경부(331)가, 상기 돌기부(21)의 단면(212)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상기 단면(212)보다 상기 내부(X)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32)은,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부(11)를 커버할 때, 상기 하우징(1)의 상기 둘레면(12)의 단부(13)가 최초로 맞닿는 치수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32)의 테이퍼 각(α)은, 20~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3)의 고무 경도가 JIS A5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KR1020147018355A 2011-12-08 2012-06-19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KR10188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8710 2011-12-08
JP2011268710A JP5963295B2 (ja) 2011-12-08 2011-12-08 防水機能付蓋部材
PCT/JP2012/065564 WO2013084527A1 (ja) 2011-12-08 2012-06-19 防水機能付蓋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403A true KR20140101403A (ko) 2014-08-19
KR101883977B1 KR101883977B1 (ko) 2018-07-31

Family

ID=4857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355A KR101883977B1 (ko) 2011-12-08 2012-06-19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4352B2 (ko)
JP (1) JP5963295B2 (ko)
KR (1) KR101883977B1 (ko)
CN (1) CN103959923B (ko)
FI (1) FI127688B (ko)
TW (1) TWI581691B (ko)
WO (1) WO2013084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9005B2 (en) 2012-03-28 2016-11-08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controlling a load
TWI516192B (zh) * 2012-11-19 2016-0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易於組裝之門蓋結構與具有門蓋結構之電子裝置
JP6294020B2 (ja) * 2013-07-16 2018-03-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蓋体部、この蓋体部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用パッケージ及び電子デバイス
JP6148599B2 (ja) * 2013-10-28 2017-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92525B2 (ja) * 2013-12-25 2018-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270484B (zh) * 2014-10-06 2017-03-15 深圳市宝尔爱迪科技有限公司 防水塞结构及使用该结构的防水手机
JP6721978B2 (ja)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JP6624456B2 (ja) * 2016-09-21 2019-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防水キャップおよび電子機器
CN107360294B (zh) * 2017-09-12 2023-09-05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防水结构及手机
JP2019134105A (ja) * 2018-02-01 2019-08-08 富士通株式会社 防水蓋、電子機器、及び、防水蓋の製造方法
TWI669860B (zh) 2018-08-20 2019-08-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防水外殼及具有其防水外殼的防水電子裝置
JP6905544B2 (ja) * 2019-01-10 2021-07-2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機器
CN111586220B (zh) * 2020-05-20 2021-07-0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壳体组件及其制作方法及电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1470U (ja) * 1991-04-15 1992-10-29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エンジンの高圧接続部のキヤツプ
JP2006084438A (ja) 2004-09-17 2006-03-30 Birukon Kk ゴルフプレイ用ナビゲーション携帯端末
JP2009043773A (ja) * 2007-08-06 2009-02-26 Nok Corp 電子装置用密封構造
JP2010186562A (ja) 2009-02-10 2010-08-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コネクタ蓋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195A (ja) * 1997-10-31 199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2極コネクタ
CN2529034Y (zh) * 2001-12-30 2003-01-01 袁宗化 一种无损气阀
DE10232947A1 (de) * 2002-07-19 2004-01-29 Siemens Ag Behältnis, insbesondere Gehäuse für ein Telefonmobil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teils
JP4180091B2 (ja) * 2006-09-01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0877049B1 (ko) * 2006-09-28 2009-01-0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KR101563366B1 (ko) * 2009-02-04 201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US8260377B2 (en) * 2009-05-07 2012-09-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Gasket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2012124075A (ja) * 2010-12-09 2012-06-28 Nippon Mektron Ltd 防水機能付蓋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9066430B2 (en) * 2012-09-21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seal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1470U (ja) * 1991-04-15 1992-10-29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エンジンの高圧接続部のキヤツプ
JP2006084438A (ja) 2004-09-17 2006-03-30 Birukon Kk ゴルフプレイ用ナビゲーション携帯端末
JP2009043773A (ja) * 2007-08-06 2009-02-26 Nok Corp 電子装置用密封構造
JP2010186562A (ja) 2009-02-10 2010-08-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コネクタ蓋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20707A (ja) 2013-06-17
FI20145657A (fi) 2014-07-07
WO2013084527A1 (ja) 2013-06-13
TWI581691B (zh) 2017-05-01
JP5963295B2 (ja) 2016-08-03
TW201325385A (zh) 2013-06-16
CN103959923B (zh) 2017-03-08
US20140331562A1 (en) 2014-11-13
KR101883977B1 (ko) 2018-07-31
FI127688B (en) 2018-12-14
US9084352B2 (en) 2015-07-14
CN103959923A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77B1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덮개 부재
KR101542181B1 (ko) 전자기기의 커넥터, 전자기기의 플러그 및 전자기기의 방수 구조
KR101780362B1 (ko) 방수기능을 구비한 덮개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N202971892U (zh) 设备外壳的开闭部分的防水构造
WO2011114800A1 (ja) 密封部材
US20130200768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319836A1 (en) Housing assembly having a push button
RU2008147811A (ru) Подшипник скольжения
US20130062173A1 (en) Water-proof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JP4873358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の防水取付け構造
US20090241621A1 (en) Key assembly
CN203036605U (zh) 透气构件
US10322631B2 (en) Fuel filling aperture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11244247A (ja) 携帯電話筐体用密封小蓋構造
WO2013118814A1 (ja) 防水カバー構造
CN209743357U (zh) 螺丝及壳体组件
JP6206658B2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2012186031A (ja) 電子機器における外部コネクタ接続口のシール構造、及び電子機器、並びにシール方法
CN110494942B (zh) 防水开关
JP2004293724A (ja) ボールバルブにおけるシート
WO2014037985A1 (ja) 電子機器における外部コネクタ接続口のシール構造、及び電子機器、並びにシール方法
JP2010277744A (ja) 防水コネクタ
JP2004363068A (ja)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JP5190107B2 (ja) 気密電気ソケット
JP2011120054A (ja) 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