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284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284A
KR20140101284A KR1020137025580A KR20137025580A KR20140101284A KR 20140101284 A KR20140101284 A KR 20140101284A KR 1020137025580 A KR1020137025580 A KR 1020137025580A KR 20137025580 A KR20137025580 A KR 20137025580A KR 20140101284 A KR20140101284 A KR 2014010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air
driving source
driv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스기모토
도시미츠 고다
히로카즈 가모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0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취출구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베인을 구비하고,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이 각도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제 2 베인이 제 1 베인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하는 병렬 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 제 2 베인을 병렬 위치로부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 2 베인이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간격 조정용 구동원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기에,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 베인을 마련하고, 해당 풍향 변경 베인을 제어하여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기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 베인이 마련되어 있다. 풍향 변경 베인은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과,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좌우 풍향 변경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 2010-60223 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에 공기 조화기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크게 변경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기의 정지 시에는 공기 조화기 본체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3개의 베인으로 구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의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은 바람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베인과,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제 1 베인에 2개의 링크에 의해 연결된 제 2 베인과, 제 2 베인에 장착된 제 3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베인은 각각 정위치에서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서로 직렬로 연결된 위치와, 서로 회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3 베인은, 제 1 및 제 2 베인이 서로 회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때에, 이들의 사이를 바람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60223 호 공보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은 그 길이가 길수록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크게 변경하는 등의 공기의 정류 효과가 높다. 그렇지만,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커튼 레일 등의 물체의 상방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1개의 베인으로 구성하고, 해당 베인의 길이를 길게 하면, 해당 베인이 커튼 레일 등의 물체에 접촉하여 충분히 회동하지 못하여, 공기의 정류 효과가 저하할 우려가 있으며, 공기 조화기의 설치 장소에 제한이 발생한다. 또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회동축측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반대측의 단부까지의 길이(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공기 흐름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면, 회동축에 가해지는 토크가 커진다. 따라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단순히 길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제 1 베인과 제 2 베인을 서로 이격시키고, 이들의 사이를 바람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 3 베인을 마련함으로써,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외관상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3 베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보다 적은 부품 점수로 외관상 길게 하여, 보다 높은 공기의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에,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마련하고, 해당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제어하여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은 상기 취출구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은 각도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베인은, 간격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하는 병렬 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병렬 위치로부터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베인이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보다 적은 부품 점수로 외관상 길게 하여, 보다 높은 공기의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정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이슬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확해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내기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상부 베인이 병렬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베인과 하부 베인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동일 각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베인이 하부 베인에 근접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베인과 하부 베인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동일 각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베인이 하부 베인에 더욱 근접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부 베인과 하부 베인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동일 각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9a는 상부 베인이 하부 베인과 직렬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9b는 상부 베인이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간격 조정용 구동원이 구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10은 냉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1은 냉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2는 냉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7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3은 난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4는 난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5는 난방 시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이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을 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에,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마련하고, 해당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제어하여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은 상기 취출구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은 각도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베인은, 간격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하는 병렬 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병렬 위치로부터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베인이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직렬로 연결했을 때에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최대로 할 수 있으므로,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보다 적은 부품 점수로 외관상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베인은 제 1 베인에 대하여 병렬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커튼 레일 등의 물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정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에 이슬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의 회전축이 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인의 회전축이 상기 제 1 베인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베인이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만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조 운전을 정지할 때,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에 의해 상기 취출구를 닫게 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2 베인과 공기 조화기 본체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기 조화기는 통상 냉매 배관으로 서로 접속된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하고 있다.
실내기는 본체(2)와, 본체(2)의 전면 개구부(2a)를 개폐 가능하게 가로막는 가동식의 전면 패널(4)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전면 패널(4)은 본체(2)에 밀착하여 전면 개구부(2a)를 닫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 전면 패널(4)은 본체(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면 개구부(2a)를 개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전면 패널(4)이 전면 개구부(2a)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2)의 내부에는, 열교환기(6)와, 전면 개구부(2a) 및 상면 개구부(2b)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6)에서 열교환하여 실내에 취출하기 위한 팬(8)과,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에 취출하는 취출구(10)를 개폐하는 동시에 공기의 취출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과, 공기의 취출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좌우 풍향 변경 베인(1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면 개구부(2a) 및 상면 개구부(2b)와 열교환기(6) 사이에는, 전면 개구부(2a) 및 상면 개구부(2b)로부터 도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16)가 마련되어 있다.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은 제 1 베인의 일 예인 하부 베인(18)과, 하부 베인(18)의 상방에 마련된 제 2 베인의 일 예인 상부 베인(20)을 구비하고 있다.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은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을 협동시켜서,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된 공기의 취출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베인(18)은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부 베인(20)은 후술하는 링크 아암(36a, 36b)에 의해 하부 베인(18)과 대략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자유롭게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근접·이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좌우 풍향 변경 베인(14)은, 예컨대, 실내기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1조의 베인과, 우측에 위치하는 1조의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1조의 베인은 복수 매(예컨대, 4매)의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1조의 베인은 각각 다른 구동원(예컨대, 구동 모터)(26)에 연결되며, 구동원(26)에 의해 독립하여 제어된다.
공기 조화기가 공조 운전을 개시하면,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이 개방 제어되어 취출구(1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팬(8)이 구동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전면 개구부(2a) 및 상면 개구부(2b)를 거쳐서 실내기의 내부에 도입된다. 도입된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6)에서 열교환이 실행되어, 팬(8)을 통과하고, 팬(8)의 하류측에 형성된 통풍로(28)를 통과하여,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된다.
취출구(10)로부터의 공기의 취출 방향은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 및 좌우 풍향 변경 베인(14)에 의해 제어된다.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 및 좌우 풍향 변경 베인(14)의 각도 조정 등의 동작은 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취출구(10)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통풍로(28)는 팬(8)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리어가이더(30)와, 팬(8)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리어가이더(30)에 대향하는 스태빌라이저(32)와, 본체(2)의 양측벽(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용어 「스태빌라이저」는, 팬(8)의 하류 근방에 위치하며, 팬(8)의 전방부 부근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안정화시키는 스태빌라이저와, 이 스태빌라이저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팬(8)에 의해 반송되는 공기의 압력 회복을 담당하는 디퓨저의 전방부의 상측을 구성하는 벽 부분으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스태빌라이저」라 한다.
또한, 전면 패널(4)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활동량을 검지하는 활동량 검지 장치의 일 예로서 사람 감지 센서 유닛(34)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사람의 활동량」이란, 사람의 움직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예컨대, 「안정」, 「활동량 대」, 「활동량 소」 등의 복수의 활동량 레벨로 분류되는 것이다. 「안정」이란, 예컨대, 소파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와 같은 거의 활동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활동량 대」란, 청소하고 있을 때나 다림질을 하고 있을 때와 같은 빈번히 활동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활동량 소」란, 식사를 하고 있을 때와 같은 다소 활동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사람 감지 센서 유닛(34)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의 것(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15764 호 공보 등 참조)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b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9b에서는, 스태빌라이저(32)의 전단부와 리어가이더(3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가상 곡선으로 취출구(10)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은 취출구(10)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은 취출구(10)의 하단부(10a)의 근방에 마련되며,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은 정위치에는 고정되지 않으며,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멀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은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은 각각 한쌍의 링크 아암(36a, 36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에 의해, 4절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링크 아암(36a)은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과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쪽의 링크 아암(36b)은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으로부터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격된 부분과,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으로부터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략 평행한 상태」란,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이 완전하게 평행 상태뿐만 아니라, 거시적으로 보아 대체로 평행 상태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으로서, 직선 형상이나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뿐만 아니라, 만곡하고 있거나 단차부가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에는, 하부 베인(18)을 회동시키는 스테핑 모터 등의 각도 조정용의 구동원(38)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원(38)의 구동력에 의해 하부 베인(18)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해당 하부 베인(22)의 회동 동작에 링크하여 상부 베인(20)이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도 3 및 도 4 혹은 도 5 및 도 6 혹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의 양쪽의 각도가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베인(18)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화살표(A1)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베인(20)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A1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하부 베인(18)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화살표(A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부 베인(20)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A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의 양쪽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정된다.
또한,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과 동축 상에는, 링크 아암(36a)을 회동시키는 스테핑 모터 등의 간격 조정용의 구동원(40)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원(40)의 구동력에 의해 링크 아암(36a)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해당 링크 아암(36a)의 회동 동작에 링크하여 링크 아암(36b)이 회동한다. 이에 의해,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링크 아암(36a)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화살표(A2)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한편, 링크 아암(36a)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화살표(A2)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근접하는 것에 의해,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부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저(32)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에 의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가 두 방향(예컨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향하도록 분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근접하는 것에 의해,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간격이 더욱 좁아지고, 상부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저(32)의 간격이 더욱 넓어진다. 이에 의해,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작아지고, 상부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저(32)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과, 상부 베인(20)과 스태빌라이저(32)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조정된다.
또한, 구동원(40)의 구동력에 의해 링크 아암(36a, 36b)이 회동할 때,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는 취출구(10)를 도시하는 가상 곡선에 대하여 바람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는 취출구(10)를 도시하는 가상 곡선에 대하여 바람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링크 아암(36a, 36b)이 회동함으로써,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는 취출구(10)를 도시하는 가상 곡선에 대하여 바람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로부터 스태빌라이저(32) 및 하부 베인(18)으로의 각각에 대한 거리의 비율이 변화하고, 이 비율에 따라서 스태빌라이저(32)의 상측의 벽면에 대략 평행하게 취출하는 풍량과, 상부 베인(20) 및 하부 베인(18)에 대략 평행하게 취출하는 풍량의 비율을 자유롭게 변동시켜서, 쾌적한 공조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은, 공조 운전시에 있어서,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하는 병렬 위치(B1)와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위치(B2)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베인(20)의 병렬 위치(B1)와 직렬 위치(B2) 사이의 이동은 구동원(40)의 구동력에 의해 링크 아암(36a)이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했을 때,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외관상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이에 의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보다 먼 곳까지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는 취출구(10)를 나타내는 가상 곡선보다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했을 때, 하부 베인(18)의 표면과 상부 베인(20)의 표면은 면일(面一; 2개의 면 사이에 단차가 없이 편평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정류 효과가 증대하여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해당 공기의 정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의 이면측에 대해서도 면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근소해도 상기 공기의 정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베인(18)에는, 한쌍의 링크 아암(36a, 36b)을 수용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했을 때, 상부 베인(20)의 후단부와 하부 베인(18)의 전단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인(18)의 전단부에는, 상부 베인(20)의 후단부를 받아들이는 단차부(18a)가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부 베인(20)의 후단부와 하부 베인(18)의 전단부 사이로부터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가 누출되어, 해당 공기의 정류 효과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인(20)의 후단부와 하부 베인(18)의 전단부가 중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 베인(20)을 길게 해도 동일한 수용 공간에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상부 베인(20)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링크 아암(36a, 36b)의 회동에 의해 상부 베인(20)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의 위치에 주목하여 설명했지만, 상류측 단부(20a)는 반드시 취출구(10)를 나타내는 가상 곡선을 통과하도록 마련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이, 취출구(10)를 도시하는 가상 곡선에 대하여 바람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할 때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베인(20) 및 하부 베인(18)의 이동은 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동원(40, 38)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상부 베인(20)의 직렬 위치(B2)로의 이동은 구동원(40)이 구동됨으로써 실행된다.
그렇지만, 이때,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한다고 미리 상정되는 양만큼 구동원(40)을 구동시켜도, 제품마다의 편차 등에 의해,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이 적절하게 직렬 위치(B2)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의 상류측 단부(20a)가 단차부(18a) 내에 다 들어가지 않고, 하부 베인(18)의 표면보다도 상방으로 상류측 단부(20a)가 돌출하여,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해당 간극이 생기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가 누출되거나, 공기의 흐름이 교란되거나 하여, 공기의 정류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냉방 시에 있어서는,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에 이슬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하부 베인(18)의 표면에 대한 상류측 단부(20a)의 상방으로의 돌출량은 제품마다 편차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한다고 미리 상정되는 양만큼 구동원(40)을 구동시킨 후, 또한, 구동원(40)을 구동시켜서, 상류측 단부(20a)의 상기 돌출량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즉, 단차부(18a) 내에 상류측 단부(20a)가 적절히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한다고 미리 상정되는 양만큼 구동원(40)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부 베인(20)이 하부 베인(18)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구동원(40)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우선, 회동축(24)보다도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의 상부 베인(20)의 이면이 하부 베인(18)의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 후, 회동축(24)가 단차부(18a) 내에 들어가, 상류측 단부(20a)가 단차부(18a) 내에 수납된다.
또한, 구동원(40)으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는 동시에 하부 베인(18)의 토크를 상부 베인(20)의 토크보다 크게 했을 경우에는, 상류측 단부(20a)가 단차부(18a) 내에 수납된 후에도, 상부 베인(20)이 하부 베인(18)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부 베인(20)의 구동원(40)을 추가로 구동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하부 베인(18)의 반력을 상부 베인(20)이 받음으로써, 상부 베인(20)의 스테핑 모터가 탈조해서 공회전하여,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을 직렬 위치(B2)에서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류측 단부(20a)의 상기 돌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구동원(40)만을 구동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동원(38)만을 하부 베인(18)이 상부 베인(2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단차부(18a) 내에 상류측 단부(20a)가 적절히 수납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구동원(40)과 구동원(38)의 양쪽을,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단차부(18a) 내에 상류측 단부(20a)가 적절히 수납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류측 단부(20a)의 상기 돌출량을 저감하여 공기의 정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에 이슬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공조 운전을 정지할 때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의 정지 버튼이 가압되는 등을 하여 공조 운전의 정지가 지시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에 의해 취출구(10)를 닫게 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구동원(40, 38)이 구동된다. 그 후, 또한,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이 직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부 베인(20)의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의 가장자리가 공기 조화기 본체(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구동원(40, 38)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품마다의 편차 등에 의해 실내기 본체(2)와 상부 베인(20) 사이, 또는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 사이에 간극이 생겼다고 해도, 해당 간극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조 운전의 정지 시에, 실내기 본체(2)와 상부 베인(20) 사이, 또는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 사이로부터 먼지가 취출구(10)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40, 38)으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상류측 단부(20a)가 단차부(18a) 내에 수납된 후에도, 구동원(40, 38)을 구동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부 베인(20) 및 하부 베인(18)이 받는 반력에 의해, 스테핑 모터가 탈조해서 공회전하여,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의 바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의 가장자리와 공기 조화기 본체(2)를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공조 운전 시의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바람직한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방 시에 있어서는, 활동량 레벨이 「안정」에 가까운 경우일수록, 실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온도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하고, 또한 냉풍을 몸에 직접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예컨대, 활동량 레벨이 「안정」인 경우에는, 실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온도차를 약 0℃, 또한 실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풍속은 기류감을 느끼지 않는 풍속으로 모두 0.2m/s 이하로 하면,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냉방 시에 있어서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이 직렬 위치(B2)로 이동하도록 구동원(38) 및 구동원(4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외관상의 길이가 최대가 되어, 공기의 정류 효과가 향상한다. 냉방 시에 있어서 실내기의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냉풍)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취출구(10)로부터 마루면을 향해 하강하려고 하지만,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외관상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에 의해, 해당 공기의 방향을 천정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냉풍)를 천정면을 따라서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면과 대향하는 벽면까지 공급할 수 있어서, 실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온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냉풍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시라도, 실내의 온도가 높은 냉방 초기의 경우나, 활동량 레벨이 「활동량 대」에 가까운 경우일수록, 사용자가 덥고 예민한 상황이기 때문에, 냉풍의 일부를 사용자의 상반신에 직접 닿게 하여 체감 온도를 낮추는 편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것으로 여겨진다[예컨대, 활동량 레벨이 「활동량 대」인 경우에는, 실내의 상부 공간을 하부 공간보다 약 1℃ 낮아지도록 온도차를 부여하고, 또한 실내의 상부 공간은 적절한 기류감을 느끼는 풍속 약 0.5m/s 전후로 하면,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끼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했다]. 이 때문에, 냉방 초기나 「활동량 대」인 경우에 있어서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위치로 상부 베인(20)이 이동하도록 구동원(38) 및 구동원(4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천정면을 따르는 방향과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발밑의 온도가 높은 것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때문에, 난방 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인(20)이 병렬 위치(B1)로 이동하며, 또한,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각도가 하향이 되도록 구동원(38) 및 구동원(4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 시에 있어서 실내기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온풍)는 취출구(10)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하려고 하지만, 상부 베인(20)이 병렬 위치(B1)로 이동하며, 또한,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각도를 하향으로 함으로써, 해당 취출되는 대부분의 공기의 방향을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온풍)를 마루면을 향해 공급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발밑의 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시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성을 고려하면, 온풍을 천정면 및 마루면을 포함하는 벽면 전체로 순환시켜, 실내를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경우, 도 6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위치에 상부 베인(20)이 넓은 각도로, 또한, 하부 베인(18)과의 거리가 넓은 범위로 이동하도록 구동원(38) 및 구동원(4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천정면을 따르는 방향과 사용자의 발밑을 향하는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어서, 실내를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에너지 절약성이 높은 난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인(20)을 직렬 위치(B2)로 이동시키는 것은 냉방 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난방 시라도 좋다. 또한, 상부 베인(20)을 병렬 위치(B1)로 이동시키는 것은 난방 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냉방 시라도 좋다. 즉, 취출구(10)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가 길 때에 상부 베인(20)을 직렬 위치(B2)로 이동시키고, 취출구(10)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가 짧을 때에 상부 베인(20)을 병렬 위치(B1)로 이동시키면 좋다.
또한, 안정 시나 활동 시 등의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쾌적하다고 느끼는 실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온도차가 다르다. 이 때문에, 사람 감지 센서 유닛(34)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취출구(10)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두 방향(예컨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향하도록 분배하며, 해당 분배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온도차를 소망의 값으로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을 직렬로 연결했을 때에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하 풍향 변경 베인(12)의 길이를 보다 적은 부품 점수(2개)로 외관상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인(20)은 하부 베인(18)에 대하여 병렬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베인(18) 및 상부 베인(20)이 커튼 레일 등의 물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공기의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외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이 정위치에 고정되며,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링크 아암(36a, 36b)이 피봇하는 일 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베인(20)과 하부 베인(18)이 상대 위치를 유지한 채로,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부 베인(20)의 회동축(24)가 정위치에 고정되며, 하부 베인(18)의 회동축(22)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즉,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 중 한쪽이 정위치에 고정되며,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 중 다른 쪽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을 한쌍의 링크 아암(36a, 36b)에 의해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부 베인(18)과 상부 베인(20)을 잭과 같은 부재로 연결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베인(20)이 하부 베인(18)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부 베인(20)이 하부 베인(18)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의 길이를 보다 적은 부품 점수로 외관상 길게 하여, 보다 높은 공기의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기 조화기를 포함한 다양한 공기 조화기로서 유용하다.
2 : 실내기 본체 2a : 전면 개구부
2b : 상면 개구부 4 : 전면 패널
6 : 실내 열교환기 8 : 실내 팬
10 : 토출구 12 : 상하 풍향 변경 베인
14 : 좌우 풍향 변경 베인 16 : 필터
18 : 하부 베인 18a : 단차부
20 : 상부 베인 22 : 회동축
24 : 회동축 26 : 구동원
28 : 통풍로 30 : 리어가이더
32 : 스태빌라이저 34 : 사람 감지 센서 유닛
36a, 36b : 링크 아암 38 : 구동원(각도 조정용 구동원)
40 : 구동원(간격 조정용 구동원)

Claims (4)

  1. 실내기에,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마련하고, 상기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을 제어하여 공조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 변경 베인은 상기 취출구의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은 각도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베인은, 간격 조정용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에 대하여 병렬로 위치하는 병렬 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조 운전 시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을 상기 병렬 위치로부터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베인이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시키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의 회동축이 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인의 회전축이 상기 제 1 베인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이 상기 직렬 위치로 이동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만을 구동시키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운전을 정지할 때,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제 2 베인에 의해 상기 취출구를 닫게 한다고 상정되는 양만큼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킨 후, 또한, 상기 제 2 베인과 공기 조화기 본체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도 조정용 구동원 및 상기 간격 조정용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공기 조화기.
KR1020137025580A 2011-12-06 2012-11-20 공기 조화기 KR20140101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6585 2011-12-06
JP2011266585 2011-12-06
PCT/JP2012/007426 WO2013084426A1 (ja) 2011-12-06 2012-11-20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84A true KR20140101284A (ko) 2014-08-19

Family

ID=4857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580A KR20140101284A (ko) 2011-12-06 2012-11-2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65184B2 (ko)
KR (1) KR20140101284A (ko)
CN (1) CN103477155B (ko)
BR (1) BR112013024707A2 (ko)
WO (1) WO2013084426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309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WO2019050307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27272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19050308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WO2019050311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27335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WO2019059682A1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53594A (ko) * 2017-11-10 201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39268A1 (en) * 2018-01-09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22030947A1 (en) * 2020-08-07 2022-02-1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20169557A (ko) 2021-06-21 202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0701B2 (ja) * 2013-08-02 2018-05-0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5135647A (zh) * 2015-08-27 2015-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用导风板组件、导风板驱动结构及空调
JP6135734B2 (ja) 2015-09-29 2017-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08800457B (zh) * 2018-04-27 2021-06-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05222B (zh) * 2018-10-26 2021-01-08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出风控制方法、控制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KR102460898B1 (ko) * 2020-11-13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17611B1 (ko) * 2020-11-13 202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116A (en) * 1985-07-08 1988-04-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efl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n air conditioner
JPS62162546U (ko) * 1986-04-07 1987-10-15
JPH0464044U (ko) * 1990-10-08 1992-06-01
TW331584B (en) * 1996-05-20 1998-05-11 Fujitsu General Ltd The air conditioner
JPH10274433A (ja) * 1997-03-31 1998-10-1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110863B2 (ja) * 2002-07-12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782592A (zh) * 2004-11-29 2006-06-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的双叶片结构
CN101392942B (zh) * 2007-09-20 2012-05-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空调装置
JP4453778B2 (ja) * 2008-09-02 2010-04-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0060223A (ja) * 2008-09-04 2010-03-18 Sharp Corp 空気調和機
WO2010047443A1 (en) * 2008-10-21 2010-04-2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5554A (zh) * 2017-09-06 2020-06-16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天花板式室内机
WO2019050307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27272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19050308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WO2019050311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27335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11295554B (zh) * 2017-09-06 2021-10-2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天花板式室内机
WO2019050309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WO2019059688A1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11373209B (zh) * 2017-09-20 2022-02-22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KR20190033031A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190033032A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AU2018337546B2 (en) * 2017-09-20 2022-04-28 Lg Electronics Inc.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U2018337544B2 (en) * 2017-09-20 2022-04-21 Lg Electronics Inc. Ceiling-mounte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9059685A1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11373209A (zh) * 2017-09-20 2020-07-03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CN111373200A (zh) * 2017-09-20 2020-07-03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CN111433525A (zh) * 2017-09-20 2020-07-17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AU2018334927B2 (en) * 2017-09-20 2022-04-21 Lg Electronics Inc.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19059682A1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AU2018337541B2 (en) * 2017-09-20 2022-04-14 Lg Electronics Inc. Ceiling-mounte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9059686A1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11373200B (zh) * 2017-09-20 2022-02-25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KR20190053594A (ko) * 2017-11-10 201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085651B2 (en) 2018-01-09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9139268A1 (en) * 2018-01-09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22030947A1 (en) * 2020-08-07 2022-02-1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20169557A (ko) 2021-06-21 202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4426A1 (ja) 2013-06-13
CN103477155B (zh) 2016-08-31
JP6065184B2 (ja) 2017-01-25
CN103477155A (zh) 2013-12-25
JPWO2013084426A1 (ja) 2015-04-27
BR112013024707A2 (pt)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1284A (ko) 공기 조화기
KR20140101286A (ko) 공기 조화기
JP2007120898A (ja) 空気調和機
CN104884871A (zh) 空调设备及控制回路
JP6004164B2 (ja) 空気調和機
JP6004165B2 (ja) 空気調和機
JP3897804B1 (ja) 空気調和機
WO2013035236A1 (ja) 空気調和機
WO2013035218A1 (ja) 空気調和機
JP2014016132A (ja) 空気調和機
JP2007120897A (ja) 空気調和機
JP2007120896A (ja) 空気調和機の運転方法
WO2014002434A1 (ja) 空気調和機
JP2014035087A (ja) 空気調和機
CN106152465A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5166583B1 (ja) 空気調和機
JP5128698B1 (ja) 空気調和機
JP5128697B1 (ja) 空気調和機
JP2007278601A (ja) 空気調和機
JP2013133963A (ja) 空気調和機
JP6098962B2 (ja) 空気調和機
JP2013057499A (ja) 空気調和機
JP2013057500A (ja) 空気調和機
JP5166582B1 (ja) 空気調和機
JP201403189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