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685A -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685A
KR20140100685A KR1020130013688A KR20130013688A KR20140100685A KR 20140100685 A KR20140100685 A KR 20140100685A KR 1020130013688 A KR1020130013688 A KR 1020130013688A KR 20130013688 A KR20130013688 A KR 20130013688A KR 20140100685 A KR20140100685 A KR 2014010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ing
unit
screen
basebal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13001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685A/ko
Publication of KR2014010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에 의하여 실물감 있게 야구를 즐길 수 있으면서도 공격과 수비의 동시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토출홀이 형성되고 가상의 야구장이 표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로 야구공을 토출하는 피칭장치, 공격자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수비자가 위치되는 포수부, 상기 포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선택하는 피칭컨트롤러, 상기 타격부와 스크린부 사이에 배치되어 타구의 궤적과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가상의 타구의 궤적 연산하고 상기 스크린부에 구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공격자와 수비자의 신장의 정보를 먼저 입력받고, 상기 정보입력된 공격자의 신장에 의하여 스트라익존을 설정하고, 수비자의 신장에 의하여 가상의 피칭영상부에서 구현되는 피칭 위치를 설정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격과 수비의 동시적인 가상 야구 게임이 가능하며 현실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BATTING AND CONTROLLING THE PITCHING}
본 발명은 가상 야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에 의하여 실물감 있게 야구를 즐길 수 있으면서도 공격과 수비의 동시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는 투수가 야구공을 던진 공을 포수가 받고 타자가 공을 타격하여 득점하는 경기이다. 타자가 타격연습을 할 때는 한 사람이 공을 던져주면 타자가 공을 타격하거나, 또는 야구공을 주기적으로 발사하도록 된 야구연습장치를 이용하여 날아오는 공을 타격연습하였다. 또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 위에 공이 고정되어 있는 티볼을 이용하여 방망이로 타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야구는 소정의 인원과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즐기기에는 제약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칭머신(pitching machine)을 구비하는 타격 연습장이 제공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피칭머신을 이용하는 타격 연습장의 경우 구질의 선택이나 다양한 환경에의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타격 일변도의 게임이 진행되기 때문에 스트라이크나 아웃 또는 점수의 획득과 같은 실제감과 재미는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공을 이용하는 실내스포츠의 하나로 실내 골프연습장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스크린골프 연습장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스크린골프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영사장치(10)가 스크린(20)의 전면측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타격자는 소정의 위치에 골프공을 고정하여 놓고 스크린에 투영된 가상의 공간으로 타격을 진행함으로써 게임이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린의 시스템을 야구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하는바, 골프의 경우 타격자만 존재하면 되고 타격되는 공이 정지하여 있기 때문에 경기의 진행이나 영상을 통한 이미지의 구현에 큰 문제가 존재하지 않으나, 야구의 경우 가상의 야구장 공간을 형성하되 기본적으로 투수와 타자가 존재하여야하고 투/타에 따라 공이 소정의 궤적을 따라 현실적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야구 게임의 경우 스트라익이나 볼의 판정의 요소가 필요하며, 다양한 공수의 작전의 옵션이나 득점의 계산 방법이 동적이어서 근본적인 게임의 요소가 상이하여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적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을 통하여 가상의 야구장을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하되 공격자와 수비자의 쌍방의 게임이 가능하면서도 현실감이 극대화될 수 있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실에서 야구공이 소정의 투/타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야구에서의 게임의 룰을 최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토출홀이 형성되고 가상의 야구장이 표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로 야구공을 토출하는 피칭장치, 공격자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수비자가 위치되는 포수부, 상기 포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선택하는 피칭컨트롤러, 상기 타격부와 스크린부 사이에 배치되어 타구의 궤적과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가상의 타구의 궤적 연산하고 상기 스크린부에 구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공격자와 수비자의 신장의 정보를 먼저 입력받고, 상기 정보입력된 공격자의 신장에 의하여 스트라익존을 설정하고, 수비자의 신장에 의하여 가상의 피칭영상부에서 구현되는 피칭 위치를 설정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격과 수비의 동시적인 가상 야구 게임이 가능하며 현실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이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게임의 실시간 기록 및 누적 기록을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실시간 또는 원하는 때에 원하는 게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가 블루투스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칭컨트롤러는 이용자단말기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에 최적화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한 구질, 수비자 신장 및 피칭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야구공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피칭장치는, 각각의 토출홀에 대응되도록 상하 및 좌우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투구의 다양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칭장치가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한 구질, 수비자 신장 및 피칭타입에 따라 선택된 토출홀로부터 선택된 각도로 야구공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부에 대해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격자는 투구의 현실성 있는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타격부에 대해 18.44m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홈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파울라인을 반경으로 하는 원의 일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인 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부가 수비자의 조작에 의한 가상의 투수의 피칭 모션을 표시하는 피칭영상부와, 가상의 투수에 의한 가상의 야구공의 릴리스에 의한 이동을 표시하는 투구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구영상부에서 가상의 야구공의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된 이후에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실제의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인 활용성을 향상하면서도 현실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야구공이 방출되는 속도는,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하여 수비자가 입력한 구속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의 구속저하의 현실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은, 2인 이상의 이용자의 신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의 정보를 기초로 게임을 위한 공격자와 수비자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사항에 의하여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진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공격자와 수비자의 설정은 공수의 전환에 따라 상호 전환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가상야구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정단계가 공격자의 신장에 의하여 스트라익존이 설정되는 단계와, 수비자의 신장에 의하여 피칭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이용자에 최적화되고 개성이 부여된 게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게임진행단계가 수비자에 피칭컨트롤러의 입력에 의하여 볼 및 스트라이크가 선택되는 단계와, 구종이 선택되는 단계와, 구속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성 있고 재미가 향상되는 게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게임진행단계가 스크린에서 투구의 릴리스가 수행된 이후에 토출홀로부터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시간 사이의 감속을 산출하는 단계와, 피칭의 각도가 피칭장치의 틸팅에 의하여 조정되는 단계와, 투구영상이 스크린에 구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성과 입체감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2인 이상이 상호 반대의 입장에서 공격과 수비를 교차하여 게임의 진행이 가능하므로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개임의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야구게임이 공간적인 문제를 가짐에 반하여 공간적인 이점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현실감 있는 야구 게임의 체험이 가능하면서도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비자가 피칭컨트롤러를 통하여 구질을 선택할 수 있어 보다 능동적인 게임이 가능하고,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수비와 공격의 설정이 가능하므로 각 이용자에 최적화된 게임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구의 위치나 게임상의 판정을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생략될 수 있고, 타구의 감지를 위한 감지부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여 작동신뢰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피칭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감지부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감지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방법의 수비자 구질선택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방법의 피칭 및 타격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토출홀이 형성되고 가상의 야구장이 표시되는 스크린부(120)와, 상기 스크린부(120)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로 야구공을 토출하는 피칭장치(110)와, 상기 스크린부(120)로부터 설정된 거리에 배치되어 타자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부(210)와, 상기 타격부(21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포수가 위치되는 포수부(301)와, 상기 포수부(301)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장치(110)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선택하는 피칭컨트롤러(300)와, 상기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타격되는 야구공을 감지하는 감지부(410)와, 상기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한 조작 및 감지부(410)에 의한 감지에 따라 게임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린부(120)는 투수의 영상, 수비자의 영상 및 그라운드의 레인 등이 표현된 가상의 공간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프로젝터를 통한 빛이 스크린부(120)의 전면에 투영되는 방식으로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표시방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부(120)의 후방측에서의 영사방식은 물론 스크린부(120)가 소정의 발광 또는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직접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크린부(120)는 투구가 방출되며 타자에 의한 타격시의 공의 궤적과 연동되어 다양한 수비 또는 공의 궤적 또는 관중과 같은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실제감 있는 야구 게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120)는 타자에 의한 타격시 공이 직접적으로 충돌하고 이러한 충돌 이후에 가상의 공간에서 야구공의 실제 궤적과 연동되는 가상의 궤적이 표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돌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120)가 평면이 아닌 복수의 슬릿들이 배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크린부(120)가 세로 및/또는 가로로 배열되는 섬유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열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타구가 슬릿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실제감을 더욱 향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120)에의 영상의 투영이 프로젝션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영상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한 투영을 위하여 상기 영상장치(130)는 타격부(2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130)는 스크린부(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칭장치(110)는 야구공이 방출되어 타격부(210)에 이르도록 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공지의 피칭장치(11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피칭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공의 구속은 물론 상하 및 좌우 회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종의 선택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칭장치(110)에서의 방출부는 스크린부(1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토출홀과 연통되어 상기 토출홀로부터 투구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타격부(210)에 위치하는 타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투수가 투구하는 영상과 연동됨으로써 실제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홀들은 후술될 바와 같이 다양한 투구폼의 릴리스포인트(release point)에 해당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피칭장치(110)는 각각의 토출홀로 상하 및/또는 좌우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투구폼과 신장에 해당되는 각각의 릴리스포인트에서 포수부(301)를 지향하여 야구공이 토출될 때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궤적이 형성될 수 있는바 추가적으로 상기 피칭장치(1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스크린부(120)에 대해 소정의 상하 및/또는 좌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크린부(120)에서 구현되는 영상은 실제로 구비되는 홈플레이트(221) 및 파울라인(222)과 연결성이 있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타격부(210)에 위치한 타자는 파울라인(222)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라인들을 입체감 있게 감각할 수 있다. 상기 파울라인(222)은 가상의 1루 및 3루와 연결되는 실제의 선을 의미하며 교차점인 타격부(210)측에 홈플레이트(221)가 실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울라인(222)은 후술될 바와 같이 타격되는 공의 궤적의 판단시 파울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선이 된다.
상기 타격부(210)의 전방측에는 포수부(301)가 위치되는데, 본 발명의 핵심적인 개념에서는 최소한 2인 이상이 공격과 수비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보다 실제감과 입체감이 있는 야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포수부(301)에는 실제 수비에 해당되는 상대자가 위치할 수 있고, 수비자는 후술될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하여 가상의 투수에 의한 투구의 구질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210)와 포수부(301)의 사이에서 실제로 야구공이 궤적을 그리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포수부(301)에 위치한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그물망이나 보호판과 같은 안전장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수부(301)는 반드시 타격부(210)의 전방측에의 배치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방이나 후방측 등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타격부(210)에 대해 스크린부(120)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방측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향되는 방향을 전방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수부(301) 측에는 피칭장치(110)에 의한 투구의 다양한 구종을 선택할 수 있는 피칭컨트롤러(3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피칭컨트롤러(300)는 후술될 소정의 제어부(310)와 연동되어 피칭장치(110)에 의한 야구공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투수의 모양 및 투구모션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피칭컨트롤러(300)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의 제어부(3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장치의 일부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의하여 피칭장치(110)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이용자단말기가 피칭컨트롤러(300)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소정의 통신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용자단말기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제어부(31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인 스마트폰, 태블릿PC, 넷북, 네비게이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용자단말기는 유선의 랜케이블로서 연결되는 단말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유무선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이나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용자단말기와 제어부의 통신은 3G, WIFI 등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이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나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고, 소정의 원격 통신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수단의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칭컨트롤러(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비자에 의하여 투구의 제어가 가능한바, 구체적으로는 볼 또는 스트라이크의 여부, 타자측에서의 공의 궤적, 구속 또는 구종의 다양한 요소들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후술될 바와 같이 미리 쌍방의 신장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신장의 입력값에 의하여 가상의 투수의 릴리스포인트 및 궤적의 각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타자의 위치에서 스트라익존이 자동적으로 초기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값은 공수의 전환이 있을 때마다 자동적으로 해당 공격 또는 수비자의 신장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격자인 타자의 신장 정보가 미리 제어부(310)에 입력되어 스트라익존이 미리 설정될 수 있는바, 상기 피칭장치(110)는 미리 구종과 구질에 따라 스트라익존의 통과여부 및 야구공의 포수부(301)로의 입사위치가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타격부(210) 측에서의 공의 스트라익 여부 판단을 위한 감지장치의 배치가 생략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0)의 사이에는 타격되는 야구공의 궤적을 감지하고 제어부(310)로 감지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스크린부(120)에 구현되는 야구공의 궤적을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감지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는 두 개 이상의 센서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야구공은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0) 사이의 공간에서 다양한 궤적을 가지며 이동하기 때문에 광학적인 감지장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부(410)에 의한 야구공은 궤적과 속도가 판단되어 제어부(310)에 감지신호로써 입력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소정의 마이콤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상기 감지부(410)로부터의 타격 감지신호 및 피칭컨트롤러(300)로부터의 제어입력을 입력받아 데이터화하여 처리한 이후에 이에 해당되는 게임의 내용을 스크린부(120)에 영상으로 표현하여 실제감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피칭장치(110)를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는 피칭컨트롤러(300)를 통한 수비자의 입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은 피칭장치(110)의 상하좌우의 이송 및 틸팅의 동작은 피칭컨트롤러(300)로부터 선택되는 구종, 구질 또는 입사위치의 요소와 수비자의 신장 및 투구타입의 요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부(310)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최소한 2인 이상이 동시에 공격과 수비를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을 제시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야구장을 구현하는 공간적인 문제점과 동시게임의 문제점이 동시에 해결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런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플레이트(221)로부터 연장되는 파울라인(222)은 스크린부(120)에서 가상의 공간과 연결되어 소정의 그라운드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울라인(222)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우측으로의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가 존재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피칭장치(110)와 타격부(210)는 이상적으로는 실제의 마운드와 홈플레이트까지의 거리인 18.44m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적으로는 지나치게 공간적인 손실이 많기 때문에 수익성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한 공간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념을 제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토출홀이 형성되고 가상의 야구장이 표시되는 스크린부(120)와, 상기 스크린부(121)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로 야구공을 토출하는 피칭장치(110)와, 상기 스크린부(121)로부터 설정된 거리에 배치되어 타자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부(210)와, 상기 타격부(21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포수가 위치되는 포수부(301)와, 상기 포수부(301)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장치(110)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선택하는 피칭컨트롤러(300)와, 상기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타격되는 야구공을 감지하는 감지부(410)와, 상기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한 조작 및 감지부(410)에 의한 감지에 따라 게임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와 관련하여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경우 좌우 폭과 전후 길이의 공간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좌우의 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략 장방형의 스크린 야구공간의 측벽에 추가적인 스크린을 배치하여 측부의 공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추가적인 영상장치(130)와 스크린을 구비하여야하므로 경제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부(121)가 양단측이 파울라인(222)의 단부측에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120)는 타격부(210)에서 바라볼 때 후방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파울라인(222)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파울라인(222) 즉, 1루와 3루를 연장하는 라인이 현실감있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스크린부(121)는 홈플레이트(221)를 중심으로 하고, 반경이 대략 파울라인(222)의 길이에 대응되는 원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정확한 영상의 구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부(121)의 후방측에 피칭장치(110)가 배치됨은 상기한 바와 같고, 피칭공간의 전후방의 길이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칭장치(110)와 타격부(210) 사이의 거리는 실제의 거리인 18.44m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타자의 입장에서 실제의 투구에 의한 야구공의 입사와 현실감이 동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된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10)는 마이콤을 구비하고, 각종의 정보를 입력받아 가상의 개임의 화면을 구현하며 피칭 및 타격에 의한 기록을 데이터화하고 공수교대 및 이닝의 종료를 판단하며 스크린 야구 게임을 현실성 있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310)는 피칭장치(110)와 연결되고 피칭컨트롤러(300)로부터 입력된 구종과 구속 및 입사위치에 따라 야구공을 스크린부(120) 측으로부터 토출하여 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10)의 피칭장치(110)의 제어는 야구공의 토출의 제어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입력된 신장 등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설정된 릴리스포인트 및 방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제어부(310)는 피칭장치(11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틸팅할 수 있는 소정의 이송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영상장치(130)와 연결되어 스크린부(120)에 구현되는 다양한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데, 미리 설정된 정보 및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한 구질에 따른 피칭영상부(131)의 구현, 그라운드와 수비자의 위치와 모션의 구현,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121)에서의 투구영상부(132)의 구현 및 타자의 타격에 의한 감지부(410)에서의 감지신호를 통한 스크린부(120)에서의 야구공 궤적의 구현을 담당하고, 추가적으로 당해 게임의 기록이나 해당 사용자의 누적 기록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피칭컨트롤러(300)와 직접적으로 유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공간 활용성과 이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별도의 통신부(5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500)에 의한 소정의 네트워킹은 3G, WIFI 등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나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고, 소정의 원격 통신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수단의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500)에 의하여 피칭컨트롤러(300)는 포수부(301)에 위치하는 수비자의 입력을 받아 소정의 제어명령을 제어부(310)로 입력하여 피칭장치(11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한 제어는 구종, 구속, 볼 및 스트라이크 여부, 투수의 유형에 따른 릴리스포인트 등의 요소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칭컨트롤러(300)에 추가적 또는 교환적으로 이용자단말기(6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이용자단말기(6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하여 제어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단말기(600)는 바람직하게는 대중화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PC, 넷북, 네비게이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용자단말기6100)는 유선의 랜케이블로서 연결되는 단말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유무선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500)와 연결될 수 있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이나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단말기(600)는 일실시예로서 피칭컨트롤러(300)를 대체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500)를 통하여 제어부(310)에서 소정의 사용자가 인식되면 이를 바로 게임의 제어, 더욱 정확하게는 투구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단말기(600)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각 이용자, 예를 들면 2인 게임의 경우 각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가면서 진행할 때 각 이용자의 이용자단말기(600)는 각종 기록과 전략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면서 소정의 게임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여 제어부(310)로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공격자인 타자의 입장에서 보이도록 스크린부(120)에 구현되는 가상의 수비공간을 도시하는데, 상기 수비공간은 투수의 모션을 구현하는 피칭영상부(131), 가상의 공간에서 플레이트들을 연장하는 레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관중석과 관중들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각 포지션별로 수비자들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칭컨트롤러(300)로부터 수비자에 의하여 직접 투구의 구질이 선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투구의 구질은 피칭장치(110)에 의하여 구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입력한 신장 등의 값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피칭영상부(131)에 나타나는 투수의 모습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투수의 체격과 체형은 릴리스포인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투수의 스타일, 즉 오버핸드, 언더핸드, 사이드암, 좌완 또는 우완 등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상기 릴리스포인트는 변화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릴리스포인트에 대응되는 토출위치를 구비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리스포인트는 피칭장치(110)에 의하여 방출되어 스크린부(120)의 전방측으로 토출되는 야구공의 위치를 위미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릴리스포인트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부(120)는 복수의 토출홀(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피칭장치(110)의 상하좌우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현재 게임중에 있는 수비자의 신장조건과 투구폼에 매칭되는 릴리스포인트를 조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크린부(121)는 피칭영상부(131)와, 레인부(133) 또는 수비자와 관중들을 표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부(120)가 실제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의 구현과 공의 방출의 제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6의 예에서는 스크린의 영상에서 피칭영상부(131)에 의한 투구의 개시 즉, 릴리스가 이루어진 이후에 가상의 공간에서 투구영상부(132)가 공의 궤적을 표현하는 개념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투구영상부(132)에 의하여 일정 시간 가상의 야구공이 궤적을 형성한 이후에 전방토출홀(141)로부터의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방토출홀(141)은 도 2의 실시예에서보다 피칭장치(110)가 전방측 즉, 타격부(210) 측에 더욱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소정의 가상의 투구의 궤적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의 투구에 의한 투구영상부(132)와 실제 전방토출홀(141)로부터의 야구공의 방출의 시간 차이는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공의 구질 특히 구속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홀(141)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속은 도 5에 도시된 토출홀(140)에서의 구속보다 저감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즉, 실제의 게임에 있어서 야구공은 투수의 손에서 릴리스 된 이후에 점차적으로 구속이 감소하여 포수의 미트에 입사될 때의 감속의 정도는 10~20km/h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상의 공간에서의 야구공의 가상의 진행이 이루어진 이후에 실제의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피칭장치(110)에 의한 방출속도는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하여 수비자가 설정한 구속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타격부(210)에 위치한 타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감각과 유사하게 타격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0) 사이의 거리를 현저하게 감축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인 활용성의 이점은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스크린 야구 공간을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수익성의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에의 이미지의 표시 방식은 피칭의 진행시와 타격 후의 인플레이 상황이 구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120, 121)에 피칭의 동작이 수행될 때에는 투수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영상이 구현되되, 피칭 또는 투구가 완료되거나 타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수비가 이루어지고 주자가 달리는 모습이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칭의 동작의 수행시의 투수의 이미지는 공격자의 영상의 더욱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수비와 주루가 이루어질 때의 투수의 모습보다 더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피칭부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투구의 현실감 있는 다양한 선택의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칭장치(110)가 스크린부(120)에 대해 상하 및 좌우로 이송되거나 틸팅될 수 있다.
스크린부(120, 121)는 다수의 토출홀(140) 또는 전방토출홀(141)을 구비하고 각 토출홀들은 소정의 릴리스포인트나 공의 궤적에 해당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비자의 설정된 신장값, 투구유형 또는 공의 구종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선택된 구질로 야구공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칭장치(110)는 소정의 이송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부(310)를 통하여 위치가 제어된다. 여기서 상하이송(a) 및 상하틸팅(b)되는 모습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이송 또는 좌우틸팅 등 다양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피칭컨트롤러(300)를 통하여 볼 또는 스크라이크여부 또는 포수부(301)로의 입사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판정 또는 감지를 위한 수단이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만, 타격에 의하여 야구공이 충격을 받아 후방측으로 궤적을 그림에 있어서는 소정의 감지부(410)의 제공이 요청된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410)는 야구공이 스크린부(120)에 인접하거나 충돌한 이후에 가상의 그라운드 공간에서 야구공의 궤적으로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410)에 의한 타구 구현을 위한 요소는 공의 속도 및 궤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야구공의 타구의 움직임은 다양한 방식의 감지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광원을 통하여 감지부(410)에 입사되는 빛이 야구공에 의하여 차단되어 소정의 시간에 야구공의 위치와 속도를 판별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상기 감지부(410)는 두 개 이상의 라인 형상으로 배치되는 하위감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위감지부는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감지부(410)의 배치 및 개수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된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감지부(410)의 대략 상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조사부는 2 개 이상의 광원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사부는 제1조사부(510)와 제2조사부(520)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상기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각각의 광의 조사에 의하여 조사영역(42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조사영역(420)은 타구의 궤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조사부에서 방출된 광의 조사영역(420)은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를 모두 그 공간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의 광의 경로를 지나는 타구는 감지부에서 소정의 광량의 차이로서 감지되고 이러한 서로 다른 두 개의 광량의 차이의 감지를 통하여 위치와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는 바람직하게는 타격부(210)와 스크린부(120)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조사부(510)와 제2조사부(5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 측으로 광을 입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조사부(510)와 제2조사부(520)는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보다 확실한 조사각도의 차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와 도 9b는 상기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에 의하여 타구의 위치가 센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구(101)는 상기 제1조사부(510)와 제2조사부(520)의 광이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에 도달하는 경로에 위치되면 각각 그림자를 형성하여 각각의 광원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감지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조사부(510)에 의한 타구(101)는 제1감지부(411)의 제1감지위치(411a)에서 감지가 이루어지고, 제2조사부(520)에 의한 타구(101)는 제1감지부(411)의 제2감지위치(411b)에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감지위치의 차이는 제어부(310)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계산되어 제1감지부(411)에 의하여 센싱되는 공간상의 위치를 삼각측량 방식으로 인지될 수 있는 것이다.
타구(101)가 후방측으로 더욱 진행되면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사부(510)와 제2조사부(520)의 광이 제2감지부(412)에 도달하는 경로에 위치되고 각각 그림자를 형성하여 광원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감지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조사부(510)에 의한 타구(101)는 제2감지부(412)의 제3감지위치(412a)에서 감지가 이루어지고, 제2조사부(520)에 의한 타구(101)는 제2감지부(412)의 제4감지위치(412b)에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감지부(412)에 의한 감지위치의 차이는 제어부(310)를 통하여 연산되어 제2감지부(412)에 의하여 센싱되는 공간상의 타구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상기 방식을 통하여 타구의 궤적이 추정될 수 있는데, 이에 부가하여 제1감지부(411)에서 센싱되는 시간과 제2감지부(412)에서 센싱되는 시간의 차이를 통하여 타구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상의 타구의 두 점의 위치와 두 점을 지나는 시간이 연산되면 두 점의 위치와 속도에 의한 중력과 저항을 감안하여 궤적의 추정이 제어부(310)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도 9c는 이러한 타구의 2차적인 감지에 의한 궤적의 판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둔 타구(101)의 위치에 대해 제1감지부(411)와 제2감지부(412)에서 각각 감지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궤적과 속도의 연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추정되는 타구의 궤적은 타구(101)가 스크린부(120)에 인접되거나 접촉되는 순간 영상장치(130)를 통하여 스크린부(120)의 이미지로 구현되고, 타격자는 이러한 실제 타구(101)와 영상에 구현되는 타구의 연속적인 이미지를 통하여 실제감 있는 인지가 가능하다.
여기서, 타구의 소정의 궤적에 따라 가상의 공간 상에서 수비 위치 또는 수비가 가능한 위치에 낙하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비자의 에러 확률 등을 고려하여 안타 또는 아웃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주루가 이루어지는 경우 타자의 설정된 신체조건이나 부가적인 운동능력을 감안하여 송구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태그아웃 등의 다양한 게임환경의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의한 스크린 야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공격과 수비가 동시에 가능하며, 각각의 이용자의 설정과 동작에 의하여 가상의 게임이 현실감 있게 수행되므로, 기본적으로 소정의 기초정보의 입력단계(S100)와, 기본적인 게임 운영을 위한 상기 기초정보를 기반으로 한 설정단계(S200)와, 상기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소정의 값들을 기초로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진행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S100)와 설정단계(S200)은 게임의 진행 전에 기본적인 준비가 이루어지는 면에서는 공통되지만, 하나의 게임에서 상기 입력단계(S100)에서 마련되는 값들은 일반적으로 고정되는 반면,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되는 값들은 공수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동되는 차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입력단계는 각각의 이용자에 대한 정보입력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2인의 쌍방 게임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 상호 공수를 교대하면서 기본적인 9회로 이루어지는 이닝들이 진행되는데, 제1선수정보입력단계(S110)와, 제2선수정보입력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선수정보입력단계(S110)와, 제2선수정보입력단계(S120)는 인원이 증가되는 경우 각각의 팀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상기 제1선수정보입력단계(S110)은 제1팀정보입력단계로, 상기 제2선수정보입력단계(S120)은 제2팀정보입력단계로 교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팀정보입력단계는 개별적인 선수와 해당 포지션에 대한 정보들로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공격과 수비의 2명 또는 2개의 팀을 전제로 하는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2단계의 입력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 3개 이상의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토너먼트나 리그의 경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정보입력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해당 이용자의 신장의 정보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장의 정보는 공격시의 스트라이크존의 설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수비시에는 투구의 릴리스포인트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신장 정보 외에 체중이나 주루 능력, 송구 능력과 같은 정보를 수치화하여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기본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게임의 시작 전에 제어부(310)를 통하여 가상 공간에서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 작업인 설정단계(S2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단계(S200)는 상기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정보는 기본정보입력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값들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설정단계(S200)는 후술될 바와 같이 공수의 교대에 따라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공을 수행하는 이용자에 대해 신장을 기초로 한 스트라익존의 설정(S210)이 이루어지게 되면, 수비를 수행하는 이용자에 대해 신장과 투구 타입을 기초로 한 피칭위치설정(S220)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트라익존의 경우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의하여 후술될 수비자에 의한 구질선택시 미리 볼과 스트라익을 구별하는 데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칭위치설정(S220)의 경우 상기된 스크린부(120, 121)에서의 방출 위치의 결정 및 야구공의 출사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조정은 피칭장치(110)의 상하좌우의 이송 및 틸팅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후, 수비자는 포수부(301)에 위치하여 피칭컨트롤러(300)를 통하여 구질을 선택(S310)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질은 공의 구종, 속도, 볼 또는 스트라익 여부 및 야구공의 입사위치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경우 수비자가 직접 포수부(301)에 위치함으로써 2인이 상호 공격과 수비를 동시에 수행하는 현장감이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비자에 의한 구질의 선택(S310)이 이루어진 이후에 피칭 및 타격(S320)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피칭의 경우 상기 수비자의 선택에 의하여 스크린부(120) 상의 이미지 및 실제 투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타격은 공격자의 배트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타격에 의한 공의 궤적의 연산 및 타구의 모션과 수비의 이미지의 구현은 제어부(31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감지부(410)에서 인지한 타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피칭 및 타격(S320)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면, 득점과 아웃 등의 게임 운영정보가 연산 및 저장되고, 쓰리 아웃되는 경우 공수의 교대(S330)의 판단이 진행된다.
공수의 교대(S330)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설정단계(S200)에서의 재설정이 진행되어 공격자와 수비자의 정보가 교환되고, 선공을 수행한 공격자는 수비위치인 포수부(301)로 이동하여 피칭위치설정(S220)이 이루어지고, 먼저 수비를 수행한 수비자는 공격위치는 타격부(210)로 이동하여 스트라익존의 재설정(S210)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게임의 종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바로 게임을 종료할 수도 있지만 추가적으로 기록의 제공(S400)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록의 제공(S400)은 해당 게임의 종료시 스크린부(120)를 통하여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이용자단말기(600)에서 정보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용자단말기(600)에서의 표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500)는 3G 또는 4G통신을 위한 서버부를 포함하고, 이용자단말기(6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저장된 타율, 방어율, 에러율, 승률 등의 정보를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운용은 소정의 회원가입절차를 통하여 각각의 이용자에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크린야구 공간에서 게임 운영시에는 통신망 또는 직접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의 기록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단말기(600)는 피칭컨트롤러(300)를 대체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 경우 이용자가 수비위치인 포수부(301)에 위치될 때 이용자단말기(600)의 화면 터치 등의 입력을 통하여 구질의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수비자 구질선택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피칭컨트롤러(300)에 의한 구질의 선택은 볼 및 스트라이크의 선택(S31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볼 및 스트라이크의 선택(S311)은 미리 설정된 공격자의 신장에 의한 스트라익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구종의 선택(S31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종은 단순히 직구, 슬라이더 또는 커브의 구별 뿐만 아니라, 투심패스트볼, 포심패스트볼 등의 세부적인 설정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구속의 선택(S313)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구종의 구속을 선택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투구타입에 따른 출사각도나 출사위치가 결정될 수 있음은 상기된 바와 같다.
도 12는 상기된 피칭 및 타격의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에서, 전후방측의 공간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스크린부(120)와 타격부(210)의 거리가 더욱 가까운 개념을 제공하는바, 설정된 구속보다 출사되는 실제 투구의 속도가 더욱 저감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따라서, 투구영상부(132)에 의한 가상의 야구공의 이미지의 구현이 소정 시간 완료되면 실제 전방토출홀(141)로부터 출사되는 구속은 입력되는 구속보다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제어부(310)는 입력된 속도와 중력 및 저항에 의한 감속을 고려하여 감속의 정도를 산출(S312)하게 된다.
이러한 감속산출(S312)이 완료되면 피칭각도조정(S322)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성의 릴리스포인트와 타격부(210)를 잇는 가상의 궤적 라인에 대해 그 중간이 전방토출홀(141)이 구비되므로, 일실시예의 경우 토출홀(140)이 릴리스포인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보다 토출홀들이 상호 인접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일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토출홀들이 상호 더욱 인접되므로 이는 피칭장치(110)의 상하좌우의 이송의 정도와 틸팅의 각도가 더욱 작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작동의 정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속산출(S321)과 피칭각도조정(S322)이 완료되면 투구가 진행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피칭영상부(131)에서 와인드업 및 릴리스가 완료되면 바로 토출홀(140)를 통하여 야구공이 출사되므로 별도의 투구궤적에 대한 영상의 구현이 불필요하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야구공의 궤적이 형성된 이후에 출사가 이루어지므로 투구영상의 구현(S323)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구영상의 구현(S323)이 소정 시간 완료되면 전방토출홀(141)로부터의 토출(S324)과 타격(S325)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타구의 궤적에 대한 감지와 궤적의 구현 및 수비의 이미지 구현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2인 이상이 상호 반대의 입장에서 공격과 수비를 교차하여 게임의 진행이 가능하므로 보다 현실감 있으면서도 개임의 집중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야구게임이 공간적인 문제를 가짐에 반하여 공간적인 이점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현실감 있는 야구 게임의 체험이 가능하면서도 생산성과 수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비자가 피칭컨트롤러를 통하여 구질을 선택할 수 있어 보다 능동적인 게임이 가능하고,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수비와 공격의 설정이 가능하므로 각 이용자에 최적화된 게임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구의 위치나 게임상의 판정을 위한 부가적인 장치가 생략될 수 있고, 타구의 감지를 위한 감지부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여 작동신뢰성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스크린 야구 시스템 101...타구
110...피칭장치 120, 121...스크린부
130...영상장치 131...피칭영상부
132...투구영상부 133...레인부
140...토출홀 141...전방토출홀
210...타격부 221...홈플레이트
222...파울라인 300...피칭컨트롤러
310...제어부 410...감지부
411...제1감지부 412...제2감지부
420...조사영역 500...통신부
510...제1조사부 520...제2조사부
600...이용자단말기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토출홀이 형성되고 가상의 야구장이 표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로 야구공을 토출하는 피칭장치;
    공격자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수비자가 위치되는 포수부;
    상기 포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야구공의 구질을 선택하는 피칭컨트롤러;
    상기 타격부와 스크린부 사이에 배치되어 타구의 궤적과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가상의 타구의 궤적 연산하고 상기 스크린부에 구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공격자와 수비자의 신장의 정보를 먼저 입력받고, 상기 정보입력된 공격자의 신장에 의하여 스트라익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이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게임의 실시간 기록 및 누적 기록을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모듈이며,
    상기 피칭컨트롤러는 이용자단말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비자의 신장에 의하여 가상의 피칭영상부에서 구현되는 피칭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한 구질, 수비자 신장 및 피칭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야구공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피칭장치는, 각각의 토출홀에 대응되도록 상하 및 좌우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장치는,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한 구질, 수비자 신장 및 피칭타입에 따라 선택된 토출홀로부터 선택된 각도로 야구공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부에 대해 틸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타격부에 대해 18.44m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홈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상기 파울라인을 반경으로 하는 원의 일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수비자의 조작에 의한 가상의 투수의 피칭 모션을 표시하는 피칭영상부와, 가상의 투수에 의한 가상의 야구공의 릴리스에 의한 이동을 표시하는 투구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구영상부에서 가상의 야구공이 설정된 시간 동안 궤적을 따라 표시된 이후에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실제의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야구공이 방출되는 속도는, 상기 피칭컨트롤러에 의하여 수비자가 입력한 구속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방법으로서,
    2인 이상의 이용자의 신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의 정보를 기초로 게임을 위한 공격자와 수비자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사항에 의하여 게임이 진행되는 게임진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공격자와 수비자의 설정은 공수의 전환에 따라 상호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공격자의 신장에 의하여 스트라익존이 설정되는 단계와, 수비자의 신장에 의하여 피칭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진행단계는,
    수비자에 피칭컨트롤러의 입력에 의하여 볼 및 스트라이크가 선택되는 단계와, 구종이 선택되는 단계와, 구속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진행단계는,
    스크린에서 투구의 릴리스가 수행된 이후에 토출홀로부터 야구공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시간 사이의 감속을 산출하는 단계와, 피칭의 각도가 피칭장치의 틸팅에 의하여 조정되는 단계와, 투구영상이 스크린에 구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방법.
KR1020130013688A 2013-02-07 2013-02-07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0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688A KR20140100685A (ko) 2013-02-07 2013-02-07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688A KR20140100685A (ko) 2013-02-07 2013-02-07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685A true KR20140100685A (ko) 2014-08-18

Family

ID=5174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688A KR20140100685A (ko) 2013-02-07 2013-02-07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68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92A1 (ko) * 2016-08-23 2018-03-01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좌완투수 및 우완투수의 구현방법
KR20180040301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 디큐브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8074843A1 (ko) * 2016-10-20 2018-04-26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야구 연습 시스템에서 피칭장치의 볼 피칭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시스템
KR101922660B1 (ko) * 2017-07-04 2019-02-21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US10456645B2 (en) 2015-12-18 2019-10-29 Newdin Contents Co., Ltd. Baseball practice apparatus,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tilized thereb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ll pitching
US10486043B2 (en) 2016-01-14 2019-11-26 Newdin Contents Co., Ltd.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i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ing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10486024B2 (en) 2016-01-22 2019-11-26 Newdin Contents Co., Ltd.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i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ing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10625138B2 (en) 2015-12-18 2020-04-21 Newdin Contents Co., Ltd. Screen baseball system, hol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ball pitching apparatus utilized thereby,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tching of screen baseball system
KR102115673B1 (ko) * 2018-12-13 2020-05-26 주식회사 알파피치 피칭머신 구종구속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645B2 (en) 2015-12-18 2019-10-29 Newdin Contents Co., Ltd. Baseball practice apparatus,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tilized thereb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ll pitching
US10625138B2 (en) 2015-12-18 2020-04-21 Newdin Contents Co., Ltd. Screen baseball system, hol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ball pitching apparatus utilized thereby,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tching of screen baseball system
US10486043B2 (en) 2016-01-14 2019-11-26 Newdin Contents Co., Ltd.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i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ing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10486024B2 (en) 2016-01-22 2019-11-26 Newdin Contents Co., Ltd.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in baseball practice apparatus, baseball practice apparatus us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ing metho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baseball practice apparatus
WO2018038392A1 (ko) * 2016-08-23 2018-03-01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좌완투수 및 우완투수의 구현방법
US10744385B2 (en) 2016-08-23 2020-08-18 Newdin Contents Co., Ltd.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of realizing left-handed pitcher and right-handed pitcher using the same
KR20180040301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 디큐브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8074843A1 (ko) * 2016-10-20 2018-04-26 주식회사 골프존뉴딘 야구 연습 시스템에서 피칭장치의 볼 피칭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시스템
KR20180043674A (ko) *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골프존뉴딘홀딩스 야구 연습 시스템에서 피칭장치의 볼 피칭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시스템
US10773126B2 (en) 2016-10-20 2020-09-15 Newdin Contents Co., Ltd. Ball-pitching control method of pitching machine in baseball practice system and baseball practice system using the same
KR101922660B1 (ko) * 2017-07-04 2019-02-21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102115673B1 (ko) * 2018-12-13 2020-05-26 주식회사 알파피치 피칭머신 구종구속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0685A (ko)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22850A1 (en) Novel system and method adapted to enable simultaneous play of one or more sports games in the same facility with automated ball delivery, tracking and collection
KR101572526B1 (ko)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US7691012B2 (en) Programmable ball throwing apparatus
US20160279496A1 (en) Playing method for screen baseball system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20120289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game simulations using motion capture
US20240131413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US10744385B2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of realizing left-handed pitcher and right-handed pitcher using the same
US11911682B2 (en)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JP2012101026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システム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3925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101711041B1 (ko) 투구 모드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진행 방법
KR101879418B1 (ko) 야구 게임 장치 및 야구 게임 제공 방법
KR101987368B1 (ko) 공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3107B1 (ko) 리얼 그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105120B1 (ko) 실시간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KR101818959B1 (ko) 야구 피칭 스크린을 구비한 공스피드 및 정확도 측정머신
JPH11299947A (ja) バ―チャルゲ―ム装置
KR101940717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1081188B1 (ko) 야구공 투구장치
KR102025397B1 (ko) 사용된 아이템에 따라 작전이 제어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2419263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