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60B1 -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60B1
KR101922660B1 KR1020170084965A KR20170084965A KR101922660B1 KR 101922660 B1 KR101922660 B1 KR 101922660B1 KR 1020170084965 A KR1020170084965 A KR 1020170084965A KR 20170084965 A KR20170084965 A KR 20170084965A KR 101922660 B1 KR101922660 B1 KR 10192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at
sensor
body shape
bas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권한조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to KR102017008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제어부(500)의 게임 진행 모듈(520)이 스크린 야구를 위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로딩하는 단계; (b) 센서(230)가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500)의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상기 (b) 단계에서 감지된 사용자 체형에 따라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게임 진행 모듈(520)이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스크린 야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Method for simulating a screen baseball using modified status information based on user body types}
본 발명은 스크린 야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야구(screen baseball)"는,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과 피칭머신 또는 토스머신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사되는 영상을 보며 실재 야구 경기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야구 게임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타자가 되어, 피칭머신으로부터 토출되는 공을 타격하면 안타 여부가 연산되고,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서 표준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야구 경기가 진행되는 "타격 모드(batting mode)"가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가운데에 스크린 홀이 존재하며, 스크린 반대편에 위치한 피칭머신에서 공이 토출되면 사용자는 스크린을 향하여 공을 타격하고, 각종 센서가 타격된 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면, 이를 이용하여 안타 여부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투수가 되어 게임이 진행되는 "투구 모드(pitching mode)" 역시 가능하다.
투구 모드에서는, 토스머신으로부터 공을 전달받은 사용자가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을 향하여 투구하고, 공이 도달한 스크린 상의 위치에 따라 스트라이크/볼이 연산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일종의 점수 게임으로서 스크린 야구 게임의 투구 모드를 즐길 수도 있으며, 또는 실제 야구 경기 룰에 따라 3이닝, 또는 6이닝, 또는 9이닝 게임 등을 즐길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스크린 야구 경기장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타격 모드를 예로 든다.
스크린 야구 경기장 내부의 공간은, 대기 구역(100), 게임 구역(200) 및 운영 구역(3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 구역(100)은 안전망(120) 등에 의하여 게임 구역(200)과 구분되고 보호되는 구역이다. 안전망(120)에는 게임 구역(200)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된다. 안전 상의 이유로 게임 구역(200)에는 1명만 진입할 수 있기에, 다른 사용자들인 대기 구역(100)에서 대기한다.
대기 구역(100)에는 조작부(105)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선수 교체 내지 수비 포매이션 변경 등의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다.
게임 구역(200)에는 페달(210), 영상부(220), 센서(230) 및 스크린(250) 등이 위치한다.
페달(210)은 사용자가 야구공 토출 신호를 제어부(500)에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가 페달(210)을 밟으면 피칭머신(390)에서 야구공이 토출된다.
영상부(220)는 제어부(5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인가받아, 스크린(250)에 영상을 투사한다.
센서(230)는 사용자가 타격하여 비행하는 공의 속도와 방향(즉, 비행 궤적)을 감지한다. 카메라 센서가 일반적이나, 어떠한 센서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스크린(250) 가운데에는 스크린홀(251)이 위치한다. 타격 모드에서는, 피칭머신(390)에서 토출된 야구공이 스크린홀(251)을 통과하여 게임 구역(200)의 사용자를 향하여 토출되고, 사용자가 이를 타격함으로써 게임이 이루어진다.
운영 구역(300)은 스크린(250)에 의하여 게임 구역(200)과 구분되어 사용자가 진입할 수 없다. 피칭머신(390)이 여기에 위치하여 야구공을 토출한다.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제어부(500)가 대기 구역(100)에 위치하는데, 경우에 따라 스크린 야구 경기장 외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스크린 야구는, 개방된 넓은 공간이 필요한 실재 야구와 다르게 좁은 공간에서 짧은 시간 동안에도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다만, 실재 야구를 모사하여 스크린 야구가 수행되는 것이기에, 얼마나 실재 야구와 유사하게 모사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도가 달라진다.
그런데, 사용자는 스크린 야구에서 가상의 팀 내에 소속된 가상의 선수로서 임무(role)를 수행하여 야구 게임을 진행하는데, 그러한 가상의 선수 능력치는 어떠한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여도 동일하다. 즉, 사용자 맞춤형 팀을 제공하지 못하고 동일한 팀과 동일한 선수가 제공되기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실재 야구 경기와 이질감을 느끼고 흥미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KR 10-1723676B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 KR 10-2017-0012854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체형마다 각각 상이한 스크린 야구 팀 내지 선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실재 야구와 유사한 느낌을 갖고 흥미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제어부(500)의 게임 진행 모듈(520)이 스크린 야구를 위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로딩하는 단계; (b) 센서(230)가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500)의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상기 (b) 단계에서 감지된 사용자 체형에 따라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게임 진행 모듈(520)이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스크린 야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전에, 페달(210)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500)의 피칭 제어부(530)에 야구공 토출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피칭 제어부(530)가 상기 야구공 토출 신호를 피칭머신(390)에 인가하여 공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230)가 타석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작은 체형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을 증가시키고 장타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큰 체형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을 감소시키고 장타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d1) 단계 이후, (d2) 상기 센서(230)가 타격된 공의 비행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제어부(500)의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감지된 비행 궤적과 상기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타격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고 비행 궤적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230)는 카메라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센서(230)가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 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d1) 단계 이후, (d4) 상기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감지된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하는 단계; 및 (d5)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설정된 스트라이크존을 이용하여 스트라이크 또는 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상이한 타격 결과가 연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실재 야구와 유사한 느낌으로 스크린 야구를 수행할 수 있어서, 흥미도 및 몰입도가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실재 야구에서와 같이 정확한 스트라이크존 설정이 가능하기에, 실재 야구와 더욱 유사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린 야구 경기장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린 야구 경기장의 일례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에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고 스크린 야구에 적용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시스템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이 적용되는 스크린 야구 경기장과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스크린 야구 경기장 자체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와 유사하다.
다만, 여기서 센서(230)는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형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230)는 타석을 향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센서(230)가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센서(230)가 카메라 센서이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가 차지하는 픽셀의 수를 연산할 수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 대비 작은 체형인지 큰 체형인지 여부를 연산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최대 픽셀의 위치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키를 감지할 수도 있다.
센서(230)는 비행 궤적을 연산하는 기능과,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230)가 카메라 센서인 경우, 두 가지 기능이 하나의 센서(23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비행 궤적을 연산하는 센서(적외선 센서 등)와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센서(230)가 구분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스크린 야구를 시뮬레이션하는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게임 설정 모듈(510), 게임 진행 모듈(520), 피칭 제어부(530), 타격 연산부(540) 및 추가 연산 수행부(550)를 포함한다. 이들은 조작부(105), 페달(210), 영상부(220), 센서(230) 및 피칭머신(390)과 전기적으로 연동된다.
게임 설정 모듈(5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게임 방식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팀 모드, 3팀 모드, 핸디캡 모드, 원격 대전 등 다양한 방식이 수행 가능하다.
게임 진행 모듈(520)은,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피칭 제어부(530)를 통해 피칭머신(390)이 공을 토출하게 하고, 토출된 공이 타격되면 센서(230) 또는 별도의 센서가 비행 궤적을 감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타격 연산부(540)를 통해 타격 결과를 연산한다.
또한, 타격 연산부(540)는,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타격을 하지 못한 경우 스트라이크존 통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스트라이크와 볼 카운팅을 함으로써, 타격을 하지 못한 경우의 결과도 연산한다.
추가 연산 수행부(55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체형이 감지되면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600)에는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값으로, 제조자는 해당 값을 자유롭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는 어떠한 항목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크린 야구 경기가 타격 모드인 경우, 타자용 능력치가 사용될 것인데, 이는 타율, 장타율, 주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율은 사용자가 실재 타격하여 비행하는 공의 비행 궤적을 이용하여 안타 여부를 연산하는데 영향을 주고, 장타율은 장타(2루타, 3루타, 홈런 등)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연산하는데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동일한 비행 궤적으로 타격을 하였어도,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에 따라 안타 여부가 달라질 수 있고, 장타율에 따라 단타가 2루타 또는 3루타가 되거나, 뜬공 아웃될 타격 결과가 홈런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스크린 야구 경기가 투구 모드인 경우, 투수용 능력치가 사용될 것인데, 이는, 정확도, 구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확도는 스트라이크/볼 판정에 영향을 주고, 구속은 실재 사용자가 투구한 구속의 결과를 보정하거나 가상의 타자가 이 공을 타격한 결과에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동일한 구속 및 구위로 투구를 하였어도,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정확도에 따라 볼이 될 상황에서 스트라이크가 될 수도 있고, 구속에 따라 60km/h로 피칭한 공의 구속이 65km/h로 연산되어 영상부(220)를 통하여 출력되고 가상의 타자가 타격을 실패한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2.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방법
사용자가 게임 설정 모듈(510)을 이용하여 원하는 게임 모드를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하면, 제어부(500)의 게임 진행 모듈(520)이 스크린 야구를 위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로딩한다.
사용자가 타석에 위치하여 타격할 준비가 되면 페달(210)을 밟을 것이며, 이에 따라 피칭 제어부(530)에 야구공 토출 신호가 인가된다.
이 때에, 타석을 향한 센서(230)는 사용자의 체형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기준 체형의 범위가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이보다 작은 체형인지, 또는 큰 체형인지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은 작은 체형, 기준 체형, 큰 체형의 3단계 중 어느 하나의 체형에 포함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는 3단계로 구분하였지만, 2단계 또는 4단계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추가 연산 수행부(550)는 감지된 사용자 체형에 따라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킨다. 구체적인 변경 방법은 아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제, 게임 진행 모듈(520)이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스크린 야구를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칭 제어부(530)는 야구공 토출 신호를 피칭머신(390)에 인가할 것이며, 피칭머신(390)이 공을 토출하면 사용자가 타격을 하게 되며,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였던 센서(230) 또는 별도의 센서가 타격된 공의 비행 궤적을 감지하며, 타격 연산부(540)가, 감지된 비행 궤적과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타격 결과를 연산한다.
3. 사용자 체형에 따른 가상의 선수 능력치 변경 방법
본 발명은 미리 다수의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체형의 단계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어떠한 능력치라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나, 여기서는 몇 가지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으로 감지된 경우,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는 초기값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작은 체형으로 감지된 경우,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은 증가하고 장타율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작은 체형의 사용자가 실재 야구 경기를 수행하면 힘이 부족하여 장타율이 감소하지만 정교한 타격이 가능함을 모사한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큰 체형으로 감지된 경우,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은 감소하고 장타율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큰 체형의 사용자가 실재 야구 경기를 수행하면 힘이 좋아서 장타율이 증가하되, 큰 스윙을 통하여 정교한 타격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모사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함으로써, 작은 체형 또는 큰 체형의 사용자가 스크린 야구 경기를 수행하면, 실재 야구 경기와 유사한 타격 결과가 연산됨을 알고 흥미도 및 몰입도가 증가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타격 모드가 아닌 투구 모드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은 체형의 사용자가 투구를 하면 정확도는 증가하되 구속이 감소하도록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큰 치형의 사용자가 투구를 하면 반대로 정확도가 감소하되 구속이 증가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4. 스트라이크 여부 판단 방법
본 발명에서는 센서(230)가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기에, 종래의 스트라이크 여부 판단 방법보다 진보한 스트라이크 여부 판단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타격을 하지 않은 경우 피칭머신(390)에서 토출된 공은 홈플레이트를 그대로 통과하는데, 그 결과가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의 흥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스트라이크 판단을 위하여 스트라이크존 설정이 필요하다.
종래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는 무조건 스트라이크로 설정되거나, 또는 2차원 좌표로 설정되는 가상의 영역을 스트라이크존으로 설정하였다. 즉, 사용자의 체형과 무관하게 설정되었다. 후자의 경우, 게임 구역(200) 내의 홈플레이트 상측에서 좌우 폭 51.4cm, 상하 높이 78cm로 가상의 스트라이크존이 설정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실재 야구에서와 같이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한다.
센서(230)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형이 확인될 때에 사용자의 키가 감지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키에 상응한 스트라이크존의 상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이다. 좌우 폭은 종래 기술과 같이 홈플레이트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51.4cm의 일정한 수치로 정해져 있다.
키 170cm인 사용자가 타석에 위치한 경우를 예시로 든다.
키가 170cm인 사람의 인체 표준 비율에 따르면 허리 높이는 98cm, 무릎 높이는 44cm, 어깨 높이는 144cm이므로, 본 발명의 체형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는 키가 170cm인 사용자를 위한 스트라이크존은 44cm의 무릎 아랫부분에서 시작하여 바지 벨트선(허리 높이)과 어깨 윗부분(어깨 높이)의 중간인 121cm에 이르는 상하 높이 77cm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230)가 사용자의 키를 170cm로 감지한 경우, 타격 연산부(540)가 스트라이크존이 위치하는 높이 및 상하 높이를 각각 44cm와 77cm로 설정함으로써,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한다. 스트라이크존이 설정되면 피칭머신(390)에서 토출된 공이 해당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통하여 스트라이크 또는 볼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합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기 구역
105: 조작부
120: 안전망
200: 게임 구역
210: 페달
220: 영상부
230: 센서
250: 스크린
251: 스크린홀
290: 카메라
300: 운영 구역
390: 피칭머신
500: 제어부
510: 게임 설정 모듈
520: 게임 진행 모듈
530: 피칭 제어부
540: 타격 연산부
550: 추가 연산 수행부
600: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a) 제어부(500)의 게임 진행 모듈(520)이 스크린 야구를 위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로딩하는 단계;
    (b) 센서(230)가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500)의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상기 (b) 단계에서 감지된 사용자 체형에 따라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변경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게임 진행 모듈(520)이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야구 경기 규칙에 따라 스크린 야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체형은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을 기준으로 큰 체형 또는 작은 체형으로 구분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 연산 수행부(550)는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 또는 장타율을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페달(210)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500)의 피칭 제어부(530)에 야구공 토출 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피칭 제어부(530)가 상기 야구공 토출 신호를 피칭머신(390)에 인가하여 공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30)가 타석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작은 체형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을 증가시키고 장타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센서(2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체형이 미리 결정된 기준 체형보다 큰 체형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 연산 수행부(550)가 로딩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 중 타율을 감소시키고 장타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d1) 단계 이후,
    (d2) 상기 센서(230)가 타격된 공의 비행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제어부(500)의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감지된 비행 궤적과 상기 변경된 가상의 선수 능력치(stat)를 이용하여 타격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체형을 감지하고 비행 궤적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230)는 카메라 센서인,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센서(230)가 타석에 위치한 사용자 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d1) 단계 이후,
    (d4) 상기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감지된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하는 단계; 및
    (d5)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타격 연산부(540)가 상기 설정된 스트라이크존을 이용하여 스트라이크 또는 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70084965A 2017-07-04 2017-07-04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10192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65A KR101922660B1 (ko) 2017-07-04 2017-07-04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65A KR101922660B1 (ko) 2017-07-04 2017-07-04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660B1 true KR101922660B1 (ko) 2019-02-21

Family

ID=6558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65A KR101922660B1 (ko) 2017-07-04 2017-07-04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685A (ko) * 2013-02-07 2014-08-18 김유진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1274B1 (ko) * 2016-05-27 2016-12-05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야구 통합 플랫폼 및 구현 방법
KR101711041B1 (ko) * 2016-11-08 2017-03-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투구 모드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진행 방법
KR101737892B1 (ko) * 2016-06-15 2017-05-19 (주)클라우드게이트 야구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685A (ko) * 2013-02-07 2014-08-18 김유진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1274B1 (ko) * 2016-05-27 2016-12-05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야구 통합 플랫폼 및 구현 방법
KR101737892B1 (ko) * 2016-06-15 2017-05-19 (주)클라우드게이트 야구 게임 시스템
KR101711041B1 (ko) * 2016-11-08 2017-03-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투구 모드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진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KR101543371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경기 방법
US20100203969A1 (en) Game device, game program and game object operation method
JP6088087B2 (ja) スクリーン野球システム運営方法
US20120276965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US20110172017A1 (en) Game machine, game program, and game machine control method
US20120295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KR102265914B1 (ko) 테니스 자율훈련 시스템
KR101807005B1 (ko) 야구 연습 장치,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볼 피칭 제어 방법
US10744385B2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of realizing left-handed pitcher and right-handed pitcher using the same
CN106964129A (zh) 移动轨迹追踪装置和方法以及利用它们的射门模拟装置
KR102030747B1 (ko) 가상현실 스포츠 시스템
KR101711041B1 (ko) 투구 모드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진행 방법
KR101922660B1 (ko)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US20230241506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game processing system,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game processing method
US20230241505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in, game processing system,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game processing method
KR101987368B1 (ko) 공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4865A (ko)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 및 작전 수행 성공율을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102521041B1 (ko)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8556B1 (ko) 경사지는 스윙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36357B1 (ko) 착용 장비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20190133327A (ko) 공수 조작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04829B1 (ko)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KR102619392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라운드 시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