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29B1 -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29B1
KR102304829B1 KR1020190094114A KR20190094114A KR102304829B1 KR 102304829 B1 KR102304829 B1 KR 102304829B1 KR 1020190094114 A KR1020190094114 A KR 1020190094114A KR 20190094114 A KR20190094114 A KR 20190094114A KR 102304829 B1 KR102304829 B1 KR 10230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olf
augmented reality
user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195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09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8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9Augment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실세계로부터의 현실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얻어진 상기 현실 이미지를 서버유닛으로 전달하면, 상기 서버유닛에서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현실세계로부터의 현실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얻어진 상기 현실 이미지에 골프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BOUT GOLF}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실세계로부터 얻어지는 현실 이미지에 부가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추가함으로써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골프 플레이에 적용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증강현실은 비행기 제조사인 ‘보잉’ 사에서 1990년경 비행기 조립 과정에 가상의 이미지를 첨가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증강현실 기술은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각종 스포츠의 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종래에는 일부 부유층의 스포츠라 여겨지던 골프도 이제는 일반인이 자연스럽게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는 골프인구만 수백만을 넘어서고 있으며 골프장과 골프연습장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팅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팅 장치들이 개발되면서, 이를 골프에 적용한 스크린 골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스포츠에는 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한 효과를 보고 있다. 예를 들면, 축구에는 VAR(Video Assistant Referees)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심판이 판단하기 곤란한 상황에 대해 정확한 판정이 내려지도록 하고 있다. 골프의 경우에도 과학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골프클럽의 재질이나 형상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골프공의 비거리가 증가되도록 하거나 거리측정기를 도입하여 골퍼가 골프공과 홀컵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에 과학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골프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고 골프 등 여러가지 스포츠 분야에 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점점 더 많은 골프장이나 스크린 골프장 사용자들은 과학기술의 도움을 받아 보다 편리하게 플레이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첨단 기술의 하나인 증강현실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골프 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실세계로부터의 현실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얻어진 상기 현실 이미지를 서버유닛으로 전달하면, 상기 서버유닛에서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현실세계로부터의 현실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얻어진 상기 현실 이미지에 골프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는 서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서버유닛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실 이미지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얻어진 것이고,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의 2차원 또는 3차원 전체 미니맵, 상기 골프코스 중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특정 지역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맵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상기 스크린 골프장에 구비된 스크린 속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지형의 경사 및/또는 고저를 나타내는 지형 속성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형 속성 이미지는 복수의 라인과 상기 복수의 라인 각각에 표시되며 각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퍼팅 방향 및 퍼팅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퍼팅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퍼팅 가이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을 보여주는 현실 이미지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실 이미지는 실제 골프장에서 얻어진 것이고,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의 2차원 또는 3차원 전체 미니맵, 상기 골프코스 중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2차원 또는 3차원 특정 지역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맵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맵 이미지에는 거리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퍼팅 방향 및 퍼팅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퍼팅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퍼팅 가이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을 보여주는 현실 이미지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를 골프장이나 스크린 골프장에 적용함으로써 골프 플레이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스크린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스크린 골프장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다양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실제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은 촬영부(1), 이미지 처리부(2), 저장부(3) 및 디스플레이부(4)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을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촬영부(1)가 현실 이미지(I1)를 획득하여 이미지 처리부(2)에 전달한다. 촬영부(1)는 외부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현실세계로부터 현실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이라 함은 일반적으로는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눌러서 현실 이미지(I1)를 얻는 행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일반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촬영 버튼'을 누르기 전에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촬영부(1)를 촬영 대상물을 향하도록 조작하는 행위까지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영부(1)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에서 촬영을 할 때에는 보통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 후,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촬영 대상물을 향하여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조작하다가 최종적으로 촬영 대상물을 확정하게 되면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된다. '촬영 버튼'을 누르는 것은 촬영 대상물의 이미지 파일을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기 위한 행위인데, 본 발명에서는 촬영 버튼을 눌러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 현실 이미지에 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이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AR 모드를 실행시키는 키를 조작하여 AR 모드를 발동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카메라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AR 모드를 발동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에 보여지는 '현실 이미지'에 대해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부(2)가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가지 가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이미지(I2)를 추출한다. 저장부(3)는 가상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SD 카드,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2)와 저장부(3)는 동일한 기기내에서 데이터(가상 이미지)를 주고받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기에 배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처리부(2)는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가상 이미지(I2)를 만들어서 추가할 수도 있다. 가상 이미지(I2)의 내용이 3D 도면 등과 같이 복잡한 것이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본 단계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유리하다. 가상 이미지(I2)의 내용이 간단하다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혀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현실 이미지(I1)의 내용에 따라 가상 이미지(I2)가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되는 내용을 모두 저장하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식보다는 본 방식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부(2)는 현실 이미지(I1)에 가상 이미지(I2)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I3)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4)에 전달한다. 이미지 처리부(2)에 의하여 현실 이미지(I1)에 추가되는 가상 이미지(I2)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이미지(I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고정되어 있다면, 가상 이미지(I2)는 현실 이미지(I1)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내용으로 추가될 수 있다. 가상 이미지(I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유동적이라면, 가상 이미지(I2)는 현실 이미지(I1)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처리부(2)는 현실 이미지(I1)를 분석한 후, 해당 현실 이미지(I1)에 부합하는 적절한 가상 이미지(I2)를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매우 제한된 공간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얻어질 수 있는 현실 이미지(I1)가 한정되어 있다면, 한정된 범위의 현실 이미지(I1) 각각에 적절한 가상 이미지(I2)를 선정하여 대응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 장면을 촬영하여 현실 이미지(I1)를 생성한다면, 이미지 처리부(2)에서는 현실 이미지(I1)에서의 골프공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가상 이미지(I2)가 골프공과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골프공의 타격 방향이나 타격 강도 등과 같은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I2)를 추가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증강현실 이미지(I3)가 생성되면 디스플레이부(4)에 전달되고, 디스플레이부(4)에서는 증강현실 이미지(I3)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4)로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은 촬영부(1), 이미지 처리부(2), 저장부(3), 디스플레이부(4)와 같은 구성품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는데,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구체적인 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만으로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기기(10)는 여러가지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스마트 폰이나 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10)에는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고, 이는 촬영부(1)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10)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데, 이미지 처리부(2)는 현실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는 플래시 메모리나 SD 카드 등과 같은 저장매체를 갖는데, 여기에 가상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저장시킴으로써 저장부(3)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3)가 저장하는 가상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처리부(2)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함께 모바일 기기(1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소스에서 다운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에 구비되는 LCD나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부(4)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10)에 더하여 서버유닛(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와 서버유닛(100)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에는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부(1)와 디스플레이 기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4)가 구비되고, 서버유닛(100)에는 이미지 처리부(2)와 저장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시스템에 의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의 촬영부(1)에 의하여 현실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현실 이미지는 모바일 기기(10)에서 서버유닛(100)으로 전달되며, 서버유닛(100)의 이미지 처리부(2)가 저장부(3)를 참조하여 가장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또는 직접 가상 이미지를 작성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강현실 이미지는 모바일 기기(10)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4)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서버유닛(100)은 1대가 복수의 모바일 기기(10)와 통신하는 형태의 구조로 될 수 있고, 이 경우 1대의 서버유닛(100)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모바일 기기(10)에 다양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10)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증강현실 이미지(I3)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I2)는 일례로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영역 표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 모드에서 보여지는 현실 이미지(I1) 중 자신이 원하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서, 상기 영역 표시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영역 표시 이미지의 위치나 사이즈를 조정하거나, 또는 도 5에 있어서 상/하/좌/우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표시 이미지에는 위치나 사이즈 등을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인터페이스용 가상 이미지(I2)가 디스플레이 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영역 표시 이미지의 위치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역 표시 이미지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영역이 특정되면, 해당 영역에 가상 이미지(I2)가 표시된다. 상기 가상 이미지(I2)는 2차원 이미지거나 또는 3차원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시도 방향의 가상 이미지(I2)에 대해서 적절한 사용자의 조작을 가하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된 가상 이미지(I2)가 특정 각도(대략 평면 방향)에서의 가상 이미지(I2)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이미지(I2)가 보여지는 각도를 다르게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각도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에 대한 확대 이미지 등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보여지는 가상 이미지(I2)를 변경시키는 예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모바일 기기(10)상의 버튼을 이용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10)에 터치 스크린용 가상의 조작키가 디스플레이 되는 등의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특정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방법이 스크린 골프나 실제 골프와 같은 골프 분야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스크린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스크린 골프장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5는 다양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인 스크린 골프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는 스크린 골프장(200)과 중앙서버유닛(300)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200)은 중앙서버유닛(3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곳에서 동시에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서버유닛(300)은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가 운영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200) 각각에는 모바일 기기(10)가 구비되는데, 이는 스크린 골프장(200)을 이용하는 사용자 자신의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단독으로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모바일 기기(1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서버유닛(도 4의 도면부호 100 참조)과 함께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버유닛의 역할은 중앙서버유닛(300)이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장(200)에는 타격 플레이트(210), 감지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프로젝터(250) 및 스크린(260)이 구비된다. 타격 플레이트(210)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 타격존에 해당한다. 타격 플레이트(210)에는 타격매트(211)가 배치되고, 타격매트(211)에는 오토티(2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티(2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된다. 감지부(220)는 카메라나 각종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230)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로는, 아이디나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 로그인 정보 또는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40)는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또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후에는 감지부(220)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스크린(260)에 표시될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프로젝터(250)는 영상을 스크린(260)에 투사하는 역할을 하고, 스크린(260)은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스크린 골프장(200)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스크린(260)에는 사용자가 플레이 할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타격매트(211)에 놓여 있는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220)에서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인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40)에 전달된다. 제어부(240)에서는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공이 실제 필드에서 타격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260)에는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디스플레이된다.
스크린 골프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첨단기술을 통해 서비스되는 특성상, 이러한 향상된 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는데, 모바일 기기(10)와 중앙서버유닛(300) 등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이미지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요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코스에 대한 맵을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맵은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전체 골프코스를 축소하여 나타낸 미니맵이 될 수 있다. 미니맵은 원래 컴퓨터 게임에서 게이머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장소를 지도처럼 축소해 놓은 것을 의미하는데, 스크린 골프에서도 이러한 미니맵은 대단히 유익하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티박스(Tee Box)에서 그린(Green)까지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린의 홀컵(Hole Cup)에 골프공을 넣는 방식으로 플레이 되는데, 티박스로부터 그린의 홀컵까지의 거리는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코스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파4홀의 경우 대략 300 ~ 400m 정도). 스크린 골프에서 스크린에는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을 위주로 하여 주변의 한정된 영역만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전체 골프코스가 어떻게 되고 또한 자신이 타격한 골프공이 있는 위치는 전체 골프코스에서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 궁금증을 갖게 된다. 이러한 궁금증은 전체 골프코스를 축소해서 나타내고 여기에 골프공의 위치까지 표시한 미니맵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쉽게 해소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에서 미니맵은 사용자에게 대단히 유용하다.
종래의 스크린 골프장에서는 미니맵이 스크린에 표시되는데, 스크린과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타석 사이의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미니맵은 스크린의 전체 중 일부 영역에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미니맵의 표시내용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미니맵을 자신이 원하는 가까운 위치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미니맵의 내용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코스의 전체적인 윤곽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코스에 있어서 홀컵(HC), 페어웨이(F; Fairway), 러프(R; Rough), 그린(G)의 위치 등과 같은 코스공략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이미지에 현재의 골프공(B)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타격한 골프공이 전체 코스에서 어느 정도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이미지에서 가상 이미지로 추가될 수 있는 맵은, 미니맵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전체 골프코스에서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B)이 홀컵(HC) 근방의 그린(G)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역맵은 골프공(B)이 위치하는 영역의 높낮이나 굴곡 등과 같이 전체 미니맵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특정영역의 세부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세부정보를 참조하여 이후의 샷이나 퍼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니맵이나 특정 지역의 맵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퍼팅을 하기 전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형에 대하여 해당 지형의 고저나 경사도 등과 같은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이미지의 가상 이미지에는 퍼팅 상황에서의 골프공(B)과 홀컵(HC)이 나타나 있고, 또한 골프공(B)과 홀컵(HC) 사이 지형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골프공(B)의 정면에 홀컵(HC)이 위치하고 있지만, 이때에 골프공(B)을 단순히 홀컵(HC) 방향으로 퍼팅하는 경우, 퍼팅에 성공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왜냐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홀컵(HC)을 향하여 퍼팅하더라도 골프공이 홀컵(HC)을 벗어나서 굴러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퍼팅 상황에서는 골프공(B)이 놓여 있는 지형을 파악하여 퍼팅할 필요가 있다. 실제의 골프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를 가늠하고, 홀컵 주변 지형의 경사를 인지하여 적절하게 퍼팅을 수행하게 되지만,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에 지형이 2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골프에서와 같이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퍼팅하기가 곤란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에서와 같이 퍼팅 지형의 입체적 지형을 파악할 수 있는 증강현실 이미지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퍼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퍼팅할 지역에 대한 지형 정보는 복수의 라인 및 상기 복수의 라인 각각에 표시되며 각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컵(HC)과 골프공(B) 사이의 소정 영역에 복수의 가로 라인(L1)과 세로 라인(L2)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라인에는 가로 오브젝트(O1)와 세로 오브젝트(O2)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해당 오브젝트가 지나는 라인에서의 고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오브젝트는 고도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하는데, 만약 가로 오브젝트(O1)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면, 해당 가로 라인(L1)의 지역은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형태로 경사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세로 오브젝트(O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면, 해당 세로 라인(L2)의 지역은 전방은 높고 후방은 낮은 형태로 경사진 것이다. 여기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는 경사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를 통하여 경사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라인과 이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크린 속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 근방의 지형속성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정확하게 퍼팅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맵, 특정 지역의 맵, 퍼팅할 지형에 대한 정보 등을 증강현실 이미지를 통하여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를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하여 입력함으로의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커맨드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스크린 골프장에서 사용자의 플레이 과정은 모두 제어부나 중앙서버유닛 등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서 증강현실 모드가 자동이나 수동으로 작동된다면, 해당 사용자가 현재 어떤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하고 있고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도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과정을 거친 후에 해당 골프코스에 대한 상기 미니맵, 특정 지역의 맵, 퍼팅할 지형에 대한 정보 등이 자동으로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 방향이나 퍼팅 강도 등과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도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퍼팅 상황에서의 골프공(B), 홀컵(HC) 및 골프공(B)과 홀컵(HC) 사이 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골프공(B)이 놓여 있는 지형 정보를 감안하여 어느 방향으로 퍼팅하는 것이 좋은지를 나타내는 퍼팅 가이드 이미지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 가이드(PG)는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 화살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이 놓여 있는 지형이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경사진 지형이라면, 골프공(B)은 홀컵(HC)을 향하여 정면보다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퍼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어느 방향으로 퍼팅하는 것이 좋은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화살표 형태의 퍼팅 가이드(PG)로 표시되로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정한 퍼팅 방향을 판단하는 것은 제어부(24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중앙서버유닛(300)에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퍼팅 가이드(PG)는 퍼팅 방향뿐만 아니라 퍼팅 강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팅 가이드(PG)는 가이드용 골프공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골프공이 표시되는 방향은 퍼팅 방향을 나타내고 상기 가이드 골프공의 개수는 퍼팅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이 놓인 지형이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게 경사진 지형인 경우, 퍼팅 방향이 좌측을 향하도록 퍼팅 가이드(PG)가 형성된다. 또한 골프공(B)이 놓여있는 지역의 높이가 낮고 홀컵(HC)이 놓여있는 지역의 높이가 높다면, 퍼팅시 골프공(B)은 경사를 거스르고 올라가면서 홀컵(HC)을 향하여 나아가게 되므로, 이 경우 퍼팅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적정한 퍼팅 방향과 퍼팅 강도를 계산하고, 이에 대응하는 골프공의 방향과 개수를 표시한다. 퍼팅 강도를 나타내는 골프공의 개수가 N개라면, 이는 "골프공 N개를 타격하는 정도의 강도"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공 1개를 타격하는 강도라면 매우 약한 강도를 의미하고, 골프공 10개를 타격하는 강도라면, 한 번에 골프공 10개를 움직이도록 해야 하는 강도로서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된 골프공의 개수를 확인함으로써 퍼팅 강도의 구체적인 수치를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퍼팅 가이드(PG)와 골프공(B)은 모두 가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퍼팅 가이드(PG)는 가상 이미지로 제공되고 골프공은 실제 이미지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즉 증강현실 이미지용 현실 이미지에 실제 골프공이 포함되어 있다면,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기 전에 현실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 골프공의 이미지를 감지한 후, 퍼팅 가이드(PG)가 실제의 골프공에 접촉된 상태로 증강현실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실 이미지가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 이미지를 감지하여 현 시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판단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이미지가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퍼팅을 하는 상황에서(현재 퍼팅을 하는 상황인지 여부는 제어부(도 9의 도면부호 240 참조)에서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실 이미지로서 골프공이 놓여 있는 타격 플레이트를 촬영하였다면, 사용자가 퍼팅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고 판단하여 자동으로 퍼팅 가이드(PG)가 포함된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 미니맵, 특정 지역맵, 퍼팅 지형, 퍼팅 가이드 등을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이는 예를 든 것이며 언급된 아이템 이외의 다른 아이템도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미니맵, 특정 지역맵, 퍼팅 지형, 퍼팅 가이드 등을 가상 이미지로 추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코스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유닛(300)이나 제어부(240)는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상으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스크린 골프장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실제 골프장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이 실제 골프장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실제의 골프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는 실제 골프장(400)과 중앙서버유닛(500)을 포함한다. 실제 골프장(400)에는 모바일 기기(10)가 구비되는데, 이는 골프장(400)을 이용하는 사용자 자신의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중앙서버유닛(5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모바일 기기(1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중앙서버유닛(500)과 함께 작동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얻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가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는데, 모바일 기기(10)를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에서는 모바일 기기(10)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10)를 소지한 사용자가 골프공과 근접한 상태라면, 모바일 기기(10)의 위치로부터 골프공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하여 GPS 위성(S)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위치정보의 획득시에 반드시 위성신호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으로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스크린 골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제 골프에서도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 이미지를 통하여 골프코스에 대한 거리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증강현실 이미지를 통하여 퍼팅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거리 정보나 퍼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잇는 지점의 위치정보가 필요한데, 이는 모바일 기기(10)가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이 위치정보는 모바일 기기(10)에서 중앙서버유닛(500)으로 전달된다. 중앙서버유닛(500)은 현재 사용자가 플레이 중인 골프장의 코스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5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달받은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골프장의 코스정보에 대입함으로써,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거리 정보나 퍼팅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정보는 가상 이미지로 형성되어 현실 이미지(골프장에서의 현실 이미지)에 추가되며, 이로써 증강현실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이미지는 모바일 기기(1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이미지는 골프공, 홀컵, 골프장 등을 포함하는 현실 이미지와 거리 정보를 나타내는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공 및/또는 홀컵은 반드시 현실 이미지일 필요는 없으며 가상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골프공과 홀컵의 위치가 상당히 떨어져 있을 때에는 이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골프공 및/또는 홀컵이 가상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이미지 중 가상 이미지를 통하여, 골프공의 현재 위치와 골프공의 타켓인 홀컵까지의 거리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는 이러한 정보가 스크린에 표시되지만, 실제 골프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만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략적으로 거리를 추측하고 플레이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골프장(400)에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골프 플레이에 유용한 다양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이미지는 골프공, 홀컵, 골프장 등을 포함하는 현실 이미지와 퍼팅 방향을 알려주는 가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공 및/또는 홀컵은 반드시 현실 이미지일 필요는 없으며 가상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골프공과 홀컵의 위치가 상당히 떨어져 있을 때에는 이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골프공 및/또는 홀컵이 가상 이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퍼팅을 하는 경우에, 퍼팅 방향이나 퍼팅 강도 등과 같은 퍼팅 가이드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 가이드는 적정한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앞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공의 개수와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으로 적정한 퍼팅 강도와 방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실제 골프장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는 예로서 거리 정보 및 퍼팅 가이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외의 다른 것도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골프장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니맵, 특정 지역맵, 퍼팅 지형 정보 등을 가상 이미지로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촬영부 2: 이미지 처리부
3: 저장부 4: 디스플레이부
10: 모바일 기기 100: 서버유닛

Claims (15)

  1. 삭제
  2. 현실세계로부터의 현실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얻어진 상기 현실 이미지에 골프와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실 이미지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얻어져서 상기 스크린 골프장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 대한 실제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는 서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서버유닛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의 2차원 또는 3차원 전체 미니맵 이미지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상기 스크린 골프장에 구비된 스크린 속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지형의 경사 및/또는 고저를 나타내는 지형 속성 이미지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속성 이미지는 복수의 라인과 상기 복수의 라인 각각에 표시되며 각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실 이미지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이 놓여 있는 타격 플레이트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퍼팅 방향 및 퍼팅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퍼팅 가이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가이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을 보여주는 현실 이미지에 추가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94114A 2019-08-02 2019-08-02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KR10230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14A KR102304829B1 (ko) 2019-08-02 2019-08-02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14A KR102304829B1 (ko) 2019-08-02 2019-08-02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195A KR20210016195A (ko) 2021-02-15
KR102304829B1 true KR102304829B1 (ko) 2021-09-27

Family

ID=7456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114A KR102304829B1 (ko) 2019-08-02 2019-08-02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09B1 (ko) * 2010-10-18 2011-11-30 (주)테슬라시스템 실측기반의 그린 고도 데이터의 획득을 통한 그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1246304B1 (ko) * 2010-12-20 2013-03-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77764B1 (ko) * 2014-05-28 2015-12-1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195A (ko)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3969A1 (en) Game device, game program and game object operation method
US10716991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CA2785986C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TWI448318B (zh) 虛擬高爾夫模擬裝置及其使用之感測裝置與感測方法
CA278598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US20110172017A1 (en) Game machine, game program, and game machine control method
KR101703859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골프정보 서비스 방법 및 골프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상기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011279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ation of virtual green
TWI707713B (zh) 推桿導向裝置、利用其的虛擬高爾夫類比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01986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6060452B2 (ja) ゴルフプレー支援システム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KR10101980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71283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04829B1 (ko)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KR102106708B1 (ko)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20210027607A (ko) 골프코스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JP703727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479874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578343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816143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72933B2 (ja) ゴルフプレー支援システム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08451B1 (ko) 그린영역의 실물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