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08B1 -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08B1
KR102106708B1 KR1020180112614A KR20180112614A KR102106708B1 KR 102106708 B1 KR102106708 B1 KR 102106708B1 KR 1020180112614 A KR1020180112614 A KR 1020180112614A KR 20180112614 A KR20180112614 A KR 20180112614A KR 102106708 B1 KR102106708 B1 KR 10210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hievement
screen
user
blank area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045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801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32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 및 사용자가 플레이 하는 스포츠 관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하면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업적달성 화면은 블랭크 영역 및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SCREEN SPORTS SYSTEM SHOWING ACHIEVEMENT IMAGES}
본 발명은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스포츠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하여 기념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기념촬영에 최적화된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야구나 스크린 골프 등과 같은 스크린 스포츠는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 스포츠는 야외에서 실제의 경기를 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기 때문에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실제 경기를 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스크린 스포츠를 플레이 하는 동안 사용자는 소정의 업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업적'이란 해당 스포츠 플레이에서 쉽게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골프의 경우에 티 그라운드에서 1타로 골프공이 홀에 들어가는 '홀인원(Hole in one)'이 발생했을 때 또는 야구의 경우에 만루상황에서 만루홈런(Grand slam)을 친 경우에 업적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스크린 스포츠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념할만한 '업적'을 달성하면, 스크린에는 '업적'에 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스크린 스포츠 사용자는 스크린 앞에 서서 기념촬영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골프에서 '홀인원'이라는 업적을 달성한 경우, 스크린에 홀인원이라는 업적을 나타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홀인원을 달성한 사용자가 스크린 앞에 포즈를 취하면서 기념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업적달성 화면 앞에 포즈를 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살펴보면, 가령 사용자의 얼굴(F) 등에 있어서 상기 업적달성 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 중 일부가 비추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기념촬영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에 업적달성 화면내용이 서로 뒤섞여 버려서 사진 속에서 사용자의 모습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업적달성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블랭크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습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는, 기념촬영에 최적화된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제어부 및 사용자가 플레이 하는 스포츠 관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하면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업적달성 화면은 블랭크 영역 및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영역은 단일 컬러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영역은 사람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상기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또한 사람이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사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에서 복수의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인의 외형에 대응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는 야구 또는 골프이고, 사용자가 야구공 또는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타격된 야구공 또는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야구공 또는 골프공의 상태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블랭크 영역의 형상, 상기 블랭크 영역의 크기 및 상기 블랭크 영역의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상기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또한 사람이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사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에서 복수의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인의 외형에 대응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유닛은 사용자의 안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안면정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람 중에서 해당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업적 달성 사용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은 다른 사람에 대한 블랭크 영역과 다르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식별된 업적 달성 사용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의 근방에 이미지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따르면, 업적달성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블랭크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습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업적달성시에 기념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순서도에 있어서 일부 개별 단계에서의 화면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블랭크 영역 선택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 선택된 블랭크 영역을 포함하는 업적달성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업적달성시에 기념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2의 순서도에 있어서 일부 개별 단계에서의 화면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기념촬영을 위해 스크린 앞에 복수의 사람이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블랭크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대상 스포츠가 골프인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대상 스포츠는 반드시 골프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야구 등과 같은 다른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1)은 타격 플레이트(10), 감지부(20), 제어부(30), 표시부(4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샷을 할 때에 골프공을 놓아두는 타격존에 해당한다. 타격 플레이트(10)에는 타격매트(11)가 구비되고, 타격매트(11)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 티(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된다.
감지부(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 플레이트(10) 근방에 설치된다. 감지부(20)로서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는 물론이고,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센서 등 어떠한 감지수단이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스크린 골프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등을 담당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20)로부터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의거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0)에는 입력수단(31)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수단(31)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수단(31)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로는, 아이디나 패스워드 또는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이 있을 수 있다.
표시부(40)는 영상출력기(41)와 스크린(42)을 포함한다. 영상출력기(41)는 가상의 골프코스와 가상의 골프공 등의 영상을 스크린(42)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42)은 영상출력기(41)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1)의 주요 특징은,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한 후에 소위 '인증샷'이라고 하는 기념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성에 있다. 이하, 이 특징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업적달성시에 기념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순서도에 있어서 일부 개별 단계에서의 화면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에 소정의 업적을 달성한다. 일반적으로 업적이란 '홀인원'과 같이 달성하기 매우 어려운 훌륭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업적'은 보다 넓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홀인원'과 같이 달성 가능성이 매우 낮은 케이스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골프에서 '홀인원'보다는 더 자주 발생하는 '이글(Eagle)(한 홀에서 파보다 2개 적은 타수로 홀인하는 것을 의미)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인원'이나 '이글'과 같이 사용자에 유리한 결과물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불리한 결과물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트리플 보기(Triple Bogey)(한 홀에서 파보다 3타 많은 타수로 홀인하는 것)와 같이, 사용자에게 불리한 결과물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홀인원, 이글, 트리플 보기 등과 같이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특정 상황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가 팀을 구성하여 서로 대결한 결과, 특정 팀이 승리하거나 패배하는 것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업적'이란 사용자로 하여금 기념촬영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임의의 상황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계(S2)에서는 사용자가 달성한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업적달성 화면(I1)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골프 사용자가 홀인원을 달성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업적달성 화면(I1)에는 'HOLE IN ONE'이라는 업적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업적달성 화면(I1)에는 이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의 별명이나 이름 등이 업적내용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인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부(30)에서는 타격결과를 산출하는데, 제어부(30)는 사용자의 타격결과를 산출하면서 이 타격결과에 의하여 어떠한 업적이 달성되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산출된 타격결과로서 '홀인원'이 달성된 경우에, 스크린(42)에 '홀인원'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표시부(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단계(S3)에서는 사용자에게 업적달성에 대한 기념촬영 여부를 확인한다. 업적을 달성하였다고 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기념촬영하기를 원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기념촬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메시지는 업적달성 화면에 포함되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음성안내수단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입력수단(31) 등을 통하여 기념촬영을 진행할 지 여부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기념촬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4 내지 제7 단계(S4-S7)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4 내지 제7 단계(S4-S7)는 생략된다. 본 단계(S3)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지 않고 곧바로 제4 내지 제7 단계(S4-S7)가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4 단계(S4)에서는 업적달성 화면에 결합될 블랭크 영역(BA; Blank Area)이 생성된다. 블랭크 영역(BA)은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영역이며, 블랭크 영역(BA)은 일종의 공백으로 된 영역으로서 단일 컬러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이트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5 단계(S5)에서는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I1)에 블랭크 영역(BA)이 결합되어 블랭크 영역(BA)이 포함된 업적달성 화면(I2)이 생성되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결합은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I1)으로 구성된 제1 레이어 위에 블랭크 영역(BA)으로 구성된 제2 레이어를 적층하되, 제1 및 제2 레이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제2 레이어가 우선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레이어가 겹치는 영역에서는 제2 레이어를 우선하여 블랭크 영역(BA)이 표시되게 하고, 블랭크 영역(B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1 레이어의 업적달성 화면(I1)이 그대로 표시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업적달성 화면(I2)은 블랭크 영역(BA)과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의 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NBA; Non Blank Area)을 포함하게 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6 단계(S6)에서 사용자는 기념촬영을 하기 위해 스크린(42) 앞에 위치하며, 특히 블랭크 영역(BA)이 형성된 위치에서 포즈를 취한다. 사용자가 기념촬영시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 잘 모를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블랭크 영역(BA)에 서 있으라고 안내하는 메시지 등을 보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랭크 영역(BA)에 위치하게 되면, 블랭크 영역(BA)은 특정한 내용없는 공백상태로 단순한 컬러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화면의 내용이 비추어져서 사용자의 모습이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블랭크 영역(BA)이 화이트 컬러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블랭크 영역(BA)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신체에는 단순히 화이트 컬러가 비추어질 뿐이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모습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화면내용이 서로 뒤섞여서 사용자의 모습이 불분명해지거나 하지는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7 단계에서(S7)에서는 업적달성을 기념하는 촬영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골프는 지인들이 함께 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를 다른 일행이 촬영해 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혼자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위 셀카(셀프 카메라) 방식으로 스스로 촬영할 수도 있다. 어쨌든, 블랭크 영역(BA)을 형성하고 여기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촬영하게 되면, 종래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모습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제8 단계(S8)에서는 기념촬영이 끝나고 스크린(42)에는 더 이상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후속 플레이가 진행된다. 예컨대, 사용자 A, B가 함께 플레이 하고 있는 중에 A가 자신의 타격순서에서 홀인원을 하였다면, A의 홀인원 기념촬영이 끝나면 B의 타격순서가 되므로, 스크린(42)에는 B가 타격할 수 있도록 골프코스에 B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모습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 단계(S3)에서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가 기념촬영을 원하지 않은 경우, 제4 내지 제7 단계(S4-S7)가 생략되고 곧바로 제8 단계(S8)가 진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블랭크 영역 선택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서 선택된 블랭크 영역을 포함하는 업적달성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대상 스포츠가 야구인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대상 스포츠는 반드시 야구로 한정되지 않고 골프 등과 같은 다른 종목의 스크린 스포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2)은 타격 플레이트(50), 볼 피칭부(60), 감지부(70), 제어부(80), 표시부(9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50)는 사용자가 야구공의 타격시에 위치하는 장소이다. 볼 피칭부(60)는 타격 플레이트(50)에 위치한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향하여 야구공을 발사한다. 감지부(70)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과 같은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야구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함으로써 타격된 야구공의 속도나 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파악한다. 제어부(80)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2)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제어 등을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80)는 사용자가 피칭된 야구공을 타격한 후에 감지부(70)로부터 타격된 야구공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의거하여 야구공의 타격결과(땅볼, 플라이, 안타, 홈런 등)를 산출한다. 제어부(80)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81)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수단(81)으로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90)는 영상출력기(91)와 스크린(92)을 포함한다. 영상출력기(91)는 야구 관련 영상을 스크린(92)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92)은 영상출력기(91)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크린(92)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 피칭부(60)에서 발사된 야구공은 상기 홀을 통과한 후 사용자를 향하여 날아가게 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2)의 주요 특징은,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한 후에 소위 '인증샷'이라고 하는 기념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스크린(9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성에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업적달성시 디스플레이되는 업적달성 화면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랭크 영역 및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랭크 영역의 형상, 크기, 컬러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업적달성 화면과 관련하여, 제1 실시예와 차이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적'은 스포츠 종목이 '야구'라는 점에서 주로 야구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만루의 상황에서 만루홈런(Grand Slam)을 친 경우에 업적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업적'은 반드시 좋은 결과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스크린 야구에서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한 결과로서 트리플 플레이가 나오는 경우와 같이, 나쁜 결과물도 '업적'에 포함된다. 또는 만루홈런이나 트리플 플레이 등과 같이 비교적 발생 확률이 낮은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확률을 갖는 단순한 특정 상황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가 팀을 구성하여 서로 대결한 결과, 특정 팀이 승리하거나 패배하는 것도 '업적'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와 같은 업적을 달성한 후, 달성된 업적을 기념하여 기념촬영을 하길 원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수단(81) 등을 이용하여 기념촬영에 앞서 '블랭크 영역'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블랭크 영역'은 기념촬영시 사용자가 위치할 영역을 화면에서 공백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는, 영상출력기(91)로부터 스크린(92)으로 투사되는 영상에 있어서, 투사되는 경로상에 사용자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영상이 비추어지는 문제를 감안하여, 상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비추어질 영상을 공백으로 만드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블랭크 영역은 가능하면 사람(기념촬영을 하고자 하는 대상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랭크 영역이 사람의 형상과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가령 블랭크 영역이 사람의 형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면, 블랭크 영역에 있어서 사람의 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스크린에 그대로 공백상태로 디스플레이되어 버린다. 또한 만약 블랭크 영역이 사람의 형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면, 블랭크 영역이 사람의 형상 범위를 전부 커버하지 못하게 된다. 사람의 형상 범위에 있어서 블랭크 영역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는 부분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실제 영상이 차지하게 되므로, 상기 커버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은 사람의 신체에 비추어져서 사람의 모습을 불명확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블랭크 영역은 사람(기념촬영을 하고자 하는 대상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블랭크 영역을 형성하기 전에 어떠한 설정을 갖는 블랭크 영역을 형성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념촬영시 어떠한 포즈를 취할 것인지, 사용자의 신체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블랭크 영역의 컬러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동일인이라 하더라도 어떠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지에 따라 사람의 외형은 달라진다. 기념촬영 사용자가 어떠한 포즈를 취할 것인지 미리 파악한 후 해당 포즈에 맞추어 블랭크 영역의 형상을 형성한다면, 블랭크 영역이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포즈를 취하더라도 포즈를 취하고 있는 사람의 신장에 따라 외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념촬영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에 대응하는 신체크기를 입력한다면, 이를 근거로 하여 블랭크 영역이 해당 사용자의 신체크기를 커버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 영역의 컬러를 선택하는 것은 기념촬영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블랭크 영역은 업적달성 화면 중 기념촬영 사용자의 신체에 비추어지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블랭크 영역이 화이트인 경우 자신의 신체를 있는 그대로 가장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의 신체가 독특한 컬러로 보이기를 희망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라면 화이트 이외의 다른 컬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선택메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 기념촬영시 어떠한 포즈를 취할 것인지, 사용자의 신장이 어느 정도인지, 블랭크 영역의 컬러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의 3가지를 언급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른 항목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크린(92)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형성된 블랭크 영역(BA)과 업적달성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에 해당하는 비블랭크 영역(NBA)을 포함하는 업적달성 화면(I)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사용자는 블랭크 영역(BA)이 형성된 위치에 자신이 선택한 포즈대로 포즈를 취하고 기념촬영을 한다. 블랭크 영역(BA)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근거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블랭크 영역(BA)은 사용자의 외형에 거의 근사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랭크 영역(BA)을 사용자의 설정에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블랭크 영역(BA)을 사용자의 외형에 근사하게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블랭크 영역(BA)의 면적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3)은 타격 플레이트(10), 감지부(20), 제어부(30), 표시부(40)를 포함한다. 감지부(20)를 제외한 타격 플레이트(10), 제어부(30), 표시부(40)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감지부(20)는 제1 감지부(21)와 제2 감지부(22)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21)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 어떠한 감지수단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제2 감지부(22)는 소정의 업적달성시 기념촬영을 하기 위하여 포즈를 취하고 있는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카메라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감지부(21, 22)는 서로 다른 2가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둘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고 하나의 감지수단만으로 2가지 대상을 모두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3)의 주요 특징은,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한 후에 소위 '인증샷'이라고 하는 기념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성에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업적달성시 디스플레이되는 업적달성 화면이 제1,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랭크 영역 및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념촬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먼저 포즈를 취하면 제2 감지부(22)에서 사용자의 포즈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블랭크 영역이 사용자의 포즈에 부합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상기 차이점에 포커스를 맞추어 업적달성시 기념촬영을 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업적달성시에 기념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2의 순서도에 있어서 일부 개별 단계에서의 화면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1)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하고, 제2 단계(S12)에서는 사용자가 달성한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업적달성 화면(I1)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된다. 제3 단계(S13)에서는 사용자에게 업적달성에 대한 기념촬영 여부를 확인한다. 업적을 달성하였다고 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기념촬영하기를 원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기념촬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메시지는 업적달성 화면(I1)에 추가되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음성안내수단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는 입력수단(31) 등을 통하여 기념촬영을 진행할 지 여부의 의사표시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기념촬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4 내지 제8 단계(S14-S18)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4 내지 제8 단계(S14-S18)는 생략된다. 본 단계(S13)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지 않고 곧바로 제4 내지 제8 단계(S14-S18)가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념촬영을 희망하는 경우, 제4 단계(14)에서 사용자는 업적달성 화면(I1)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스크린(42) 앞에서 적당한 포즈를 취한다. 제5 단계(S15)에서는 제2 감지부(22)에 의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지가 감지된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6 단계(S16)에서는 업적달성 화면에 결합될 블랭크 영역(BA)이 생성된다. 제2 감지부(22)에 의한 감지결과는 제어부(30)에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상기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블랭크 영역(BA)이 형성되도록 한다. 블랭크 영역(BA)은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포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블랭크 영역(BA)은 화이트와 같은 단일 컬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7 단계(S17)에서는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I1)에 블랭크 영역(BA)이 결합되어 블랭크 영역(BA)이 포함된 업적달성 화면(I2)이 생성되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결합은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으로 구성된 제1 레이어 위에 블랭크 영역(BA)으로 구성된 제2 레이어를 적층하되, 제1 및 제2 레이어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제2 레이어가 우선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업적달성 화면(I2)은 블랭크 영역(BA)과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의 내용을 나타내는 비블랭크 영역(NBA)을 포함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8 단계(S18)에서는 기념촬영이 이루어진다. 블랭크 영역(BA)은 스크린(42) 앞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포즈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화면내용이 비추어지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기념촬영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포즈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2 감지부(22)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2 감지부(22)에 의하여 기념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기념촬영시 촬영을 하는 주체는 함께 플레이하는 지인들이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혼자서 플레이하고 있는 경우에는 셀프 카메라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가 촬영주체가 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9 단계(S19)에서는 기념촬영이 끝나고 스크린(42)에는 더 이상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후속 플레이가 진행된다. 예컨대, 사용자 A, B가 함께 플레이 하고 있는 중에 A가 자신의 타격순서에서 홀인원을 하였다면, A의 홀인원 기념촬영이 끝나면 B의 타격순서가 되므로, 스크린(42)에는 B가 타격할 수 있도록 골프코스에 B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영상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포즈를 감지하여 블랭크 영역(BA)을 형성함으로써, 블랭크 영역(BA)이 사용자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블랭크 영역(BA)을 정확하게 필요한 면적만큼 형성할 수 있고, 블랭크 영역(BA)의 면적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기념촬영을 위해 스크린 앞에 복수의 사람이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18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블랭크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스크린 스포츠 시설이 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로서, 예컨대 스크린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스포츠장을 운영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4)은 서버유닛(100)과 복수의 서비스 공급유닛(200)을 포함한다. 서버유닛(100)은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서비스 공급유닛(200)을 관리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100)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을 승인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유닛(100)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0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때 사용되는 로그인 데이터(310)를 구비하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안면정보 데이터(3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상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면서 사전에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저장해 둘 필요가 있는데, 상기 안면정보는 로그인용 개인정보를 저장할 때에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저장해 두도록 할 수 있다. 안면정보 데이터(320)의 용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서비스 공급유닛(200)은 서버유닛(100)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공급유닛(200)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스크린 스포츠가 골프인 경우로서 소위 '스크린 골프장'에 해당되지만, 대상 스포츠는 골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야구 등 다른 스포츠에 적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공급유닛(200)은 타격 플레이트(210), 감지부(220), 제어부(230), 표시부(240)를 포함하고, 표시부(240)는 영상출력기(241)와 스크린(242)을 포함한다. 감지부(220)를 제외한 타격 플레이트(210), 제어부(230), 표시부(240)는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없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부(20)는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부(21)와 블랭크 영역 형성을 위하여 사람의 포즈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22)로 구성되었는데, 본 실시예의 감지부(220)는 하나의 감지부(220)에서 제1, 2 감지부(21, 22)의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의 감지부(20)와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하여 필요하다면 감지부(220)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4)의 주요 특징은,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한 후에 소위 '인증샷'이라고 하는 기념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 스크린(24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구성에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업적달성시 디스플레이되는 업적달성 화면이 블랭크 영역 및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업적을 달성한 당사자만이 기념촬영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업적달성 당사자뿐만 아니라 해당 당사자 이외의 다른 사람까지 복수인이 기념촬영을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통상 스크린 스포츠는 혼자서 플레이 하는 경우보다 지인이 함께 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업적달성에 대한 기념촬영을 하는 경우에 복수인이 함께 촬영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복수인이 기념촬영하는 경우에도, 복수인 개개의 신체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이 비추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3명의 일행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3명을 각각 사용자 A, B, C로 구분하고, 3명 중 사용자 A가 홀인원을 달성했다고 가정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홀인원을 달성함에 따라 스크린(242)에는 해당 업적달성 화면(I1)이 디스플레이된다. 스크린(242) 앞에 사용자 B, A, C의 순서로 위치하고 있다고 하면, 서비스 공급유닛(200)의 감지부(220)에 구비된 감지수단이 스크린(242) 앞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와 각 사람의 외형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감지결과는 제어부(230)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블랭크 영역이 형성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존의 업적달성 화면(I1)에 블랭크 영역(BA)이 결합되어 비블랭크 영역(NBA)과 블랭크 영역(BA)을 포함하는 업적달성 화면(I2)이 생성되어 스크린(242)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블랭크 영역(BA)은, 상기 인원수에 대응하는 복수로 형성된다. 즉, 블랭크 영역(BA)은 사용자 A에 대한 블랭크 영역(BA1), 사용자 B에 대한 블랭크 영역(BA2), 사용자 C에 대한 블랭크 영역(BA3)을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블랭크 영역(BA1, BA2, BA3)은 각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포즈를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복수개의 블랭크 영역(BA1, BA2, BA3) 각각은 각 사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1에서는 복수개의 블랭크 영역(BA1, BA2, BA3)에 차이가 없었지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인에 대한 복수개의 블랭크 영역(BA1, BA2, BA3)을 형성하면서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 A에 대응하는 블랭크 영역(BA1)과 업적 달성과 상관없는 사용자 B, C에 대한 블랭크 영역(BA2, BA3)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적 달성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 A에 대응하는 블랭크 영역(BA1)의 근방에 별도 이미지(AI; Additional Image)가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별도 이미지(AI)는 비블랭크 영역(NAB) 등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가령 블랭크 영역의 컬러를 다르게 하는 방법, 업적 달성자의 블랭크 영역에 대해서는 내부와 테두리의 컬러를 다르게 하여 포인트를 주는 방법 등, 업적 달성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을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과 차별화되도록 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22에서와 같이, 업적 달성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BA1)을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업적 달성자가 누구인지 식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홀인원을 달성하고 스크린(242) 앞에 B, A, C의 순서로 위치하고 있을 때에, B, A, C의 외형에 대응하는 3개의 블랭크 영역(BA1, BA2, BA3)을 형성하면서 A의 블랭크 영역(BA1)을 B, C의 블랭크 영역(BA2, BA3)과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앞에 위치한 B, A, C 중에서 A가 업적 달성자인 사실을 먼저 식별해내야 한다. 이와 같이 업적달성자를 식별해내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00)의 안면정보 데이터베이스(320)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공급유닛(200)에 있어서 감지부(220)의 감지수단은 스크린(242) 앞에 있는 사용자들의 외형과 그들의 안면까지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30) 및 서버유닛(100)에 전달된다. 제어부(230)는 감지된 사용자들의 외형에 근거하여 상기 외형에 대응하는 블랭크 영역이 형성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서버유닛(100)은 감지된 사용자들의 안면정보를 안면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스크린(242) 앞에 사용자 B, A, C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인 상태에 근거하여 타격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 A가 타격하여 '홀인원' 당사자임을 알고 있다. 제어부(230)에서 홀인원 달성자가 A임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버유닛(100)으로부터 B, A, C의 순서로 스크린(242) 앞에 사용자들이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부(230)는 현재 중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업적 달성자임을 알게 되고, 이에 따라 중간에 위치하는 블랭크 영역(BA1)을 다른 블랭크 영역(BA2, BA3)과 차별화되도록 표시부(240)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인이 포즈를 취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블랭크 영역(BA)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안면인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블랭크 영역(BA) 중 업적달성자의 블랭크 영역이 다른 것과 차별화되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어부가 적정한 블랭크 영역을 형성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고 하였는데, 제4 실시예를 변형하면 제어부를 대신하여 서버유닛에서 블랭크 영역의 형성에 관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3, 4: 스크린 골프 시스템
2: 스크린 야구 시스템
100: 서버유닛
200: 서비스 공급유닛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제어부; 및
    사용자가 플레이 하는 스포츠 관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업적을 달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업적달성 화면은 블랭크 영역 및 사용자가 달성한 상기 업적내용을 보여주는 비블랭크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영역은 화이트 컬러를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적달성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한 상태에서 업적달성을 기념촬영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기념촬영시의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업적달성 화면에 있어서의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또한 사람이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사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에서 복수의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인의 외형에 대응하는 복수로 형성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는 야구 또는 골프이고,
    사용자가 야구공 또는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타격된 야구공 또는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야구공 또는 골프공의 상태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블랭크 영역의 형상, 상기 블랭크 영역의 크기 및 상기 블랭크 영역의 컬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적달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또한 사람이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사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에서 복수의 사람의 외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블랭크 영역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인의 외형에 대응하는 복수로 형성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유닛은 사용자의 안면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안면정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업적달성 화면 앞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람 중에서 해당 업적을 달성한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업적 달성 사용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은 다른 사람에 대한 블랭크 영역과 다르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식별된 업적 달성 사용자에 대한 블랭크 영역의 근방에 이미지가 더 추가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1020180112614A 2018-09-20 2018-09-20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10210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614A KR102106708B1 (ko) 2018-09-20 2018-09-20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614A KR102106708B1 (ko) 2018-09-20 2018-09-20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45A KR20200034045A (ko) 2020-03-31
KR102106708B1 true KR102106708B1 (ko) 2020-05-06

Family

ID=7000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614A KR102106708B1 (ko) 2018-09-20 2018-09-20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2027B2 (en) 2021-03-1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493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골프존 업적 관리 장치 및 업적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264A (ja) * 2011-02-28 2012-09-20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008A (ko) * 2007-10-25 200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프로젝터
KR20110040257A (ko) * 2009-10-13 2011-04-20 김세종 인터넷을 이용한 스크린골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412B1 (ko) * 2012-09-28 2019-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승마 시뮬레이터 및 승마 시뮬레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264A (ja) * 2011-02-28 2012-09-20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2027B2 (en) 2021-03-1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45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992C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KR102106708B1 (ko) 업적달성 화면을 보여주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US20220355210A1 (en) Virtual sports device and virtual sports system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JP2019506192A (ja) 野球演習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及び方法、及びボールピッチング制御方法
KR102340645B1 (ko)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JP703727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608451B1 (ko) 그린영역의 실물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51388B1 (ko) 시각 향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617566B1 (ko) 홀컵 주변 영역을 보여주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51386B1 (ko) 시각 보호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304829B1 (ko)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골프 관련 증강현실 이미지 제공 시스템
KR102565110B1 (ko) 퍼팅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CN115054898B (zh) 组合体育训练监控系统及方法
KR102060247B1 (ko) 안면 인식 로그인을 이용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JP6987410B2 (ja) 仮想ゴルフ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仮想ゴルフシステム
KR102184366B1 (ko) 가상 스윙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스템
US20220176227A1 (en)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KR20240063088A (ko)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1922660B1 (ko)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KR20230162864A (ko) 플레이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121288A (ko) 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하는 가상 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