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236A - 냉각 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236A
KR20140099236A KR1020147012671A KR20147012671A KR20140099236A KR 20140099236 A KR20140099236 A KR 20140099236A KR 1020147012671 A KR1020147012671 A KR 1020147012671A KR 20147012671 A KR20147012671 A KR 20147012671A KR 20140099236 A KR20140099236 A KR 2014009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ling fan
switching
rotation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효도
아츠시 시마즈
이사무 아오키
데츠지 다나카
게이고 기쿠치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01P5/043Pump rever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 F01P7/04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using hydraul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43Control of a by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61Control related to directional control valves, e.g. change-over valves, for crossing the feed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65Control of cooling or 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2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 B60K2025/026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by a hydraul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냉각 팬 제어 장치는, 냉각 팬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조작되면,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소정의 하한값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시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유압 펌프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된 후에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여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함과 함께,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시킨다.

Description

냉각 팬 제어 장치 {COOLING FAN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 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에 냉각풍을 송풍하기 위한 냉각 팬을 구비한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냉각 팬은, 송풍 방향이 일방향이면, 먼지가 냉각풍과 함께 열교환기로 송입되어, 막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냉각 팬을 역회전시켜, 송풍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냉각 팬 제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각 팬 제어 장치는, 정회전 중인 냉각 팬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면, 설정압 가변식의 릴리프 밸브에 대하여, 유압 펌프의 토출측 압력(유압 모터의 입구측 압력)을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유압 모터의 회전 속도가 내려가기 위해 필요한 시간 경과 후, 유압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가변 릴리프 밸브에 대해, 유압 펌프의 토출측 압력을 역회전용 압력까지 상승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45808호 공보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각 팬 제어 장치에서는, 유압 모터의 회전 속도가 내려가기 위해 필요한 시간 경과 후에, 유압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나 가변 릴리프 밸브의 오작동 등에 의해, 필요한 시간 내에 유압 모터의 회전 속도가 충분히 내려가지 않았던 경우라도 유압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해 버린다.
그로 인해,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시키는 반전 동작 시에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이 급상승하여, 유압 회로내 각 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각 부의 내구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냉각 팬 제어 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어, 열교환기에 냉각풍을 송풍하기 위한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와, 유압 펌프로부터의 토출유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여 유압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밸브와, 유압 펌프의 토출압을 제어하는 가변 릴리프 밸브와, 유압 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와, 냉각 팬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조작되면,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소정의 하한값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시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유압 펌프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된 후에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여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함과 함께,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의 냉각 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냉각 팬이 역회전되어 있을 때에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정회전측으로 조작되면,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소정의 하한값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시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유압 펌프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된 후에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여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정방향으로 제어함과 함께,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유압 모터의 정회전용 설정압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제2 형태의 냉각 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유압 모터의 정회전용 설정압은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보다도 높고, 전환용 압력은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냉각 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변 릴리프 밸브와 제어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접속 상태 판정부에 의해 접속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냉각 팬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지 않고 냉각 팬의 현재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팬의 반전 동작 시,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압 회로 내의 각 부의 내구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정회전되어 있는 냉각 팬을 원활하게 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작업 차량의 일례인 휠 로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휠 로더의 냉각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을 제어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냉각 팬의 반전 동작에 대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정회전 중인 냉각 팬을 역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6은 역회전 중인 냉각 팬을 정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각 팬 제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냉각 팬 제어 장치가 탑재되는 작업 차량의 일례인 휠 로더의 측면도이다. 휠 로더(100)는, 아암(111), 버킷(112), 타이어(113) 등을 갖는 전방부 차체(110)와, 운전실(121), 엔진실(122), 타이어(123) 등을 갖는 후방부 차체(120)로 구성된다. 엔진실(122)은 구조물 커버(131)로 덮여 있다. 후방부 차체(120)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124)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111)은 도시하지 않은 아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버킷(112)은 버킷 실린더(115)의 구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방부 차체(110)와 후방부 차체(120)는 센터 핀(101)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티어링 실린더(116)의 신축에 의해 후방부 차체(120)에 대해 전방부 차체(110)가 좌우로 굴절된다.
구조물 커버(131)의 후방에는, 라디에이터 프레임(135)과, 냉각 팬 유닛(150)이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135)에는, 후술하는 도 2에 도시한, 엔진(1)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6)나,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7) 등이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135)은 후방부 차체(120)에 고정되어 있다. 냉각 팬 유닛(150)은, 후술하는 도 2에 도시한, 팬 모터(3)로 구동되는 냉각 팬(4)과, 팬 슈라우드(151)를 구비하고 있고, 라디에이터 프레임(13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135) 및 냉각 팬 유닛(150)은, 그 측면 및 상면이 냉각기용 구조물 커버(132)로 덮여 있다(도 1). 냉각기용 구조물 커버(132)는 후방에서 개방되어 있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그릴(140)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릴(140)은 냉각 팬(4)에 의한 흡기 또는 배기가 외부와 유통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덮개이다.
도 2는 휠 로더(100)의 냉각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휠 로더(100)는, 엔진(1)과, 엔진(1)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 기계용의 유압 펌프(2)와, 유압 펌프(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팬 모터(3)와, 팬 모터(3)에 의해 회전되는 냉각 팬(4)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1)의 회전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15)의 답입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상승한다.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면, 유압 펌프(2)의 회전수가 상승하여, 펌프 토출량이 증대된다. 팬 모터(3)는, 유압 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에이터(6) 및 오일 쿨러(7)에 냉각풍을 송풍하기 위한 냉각 팬(4)을 회전시킨다.
휠 로더(100)는, 냉각 팬(4)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19)와, 유압 펌프(2)로부터의 토출유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여 팬 모터(3)를 정역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밸브(5)를 구비하고 있다.
방향 전환 밸브(5)는 전자식 전환 밸브이고, 운전실(121) 내의 전환 스위치(19)의 조작에 의해 L 위치(정회전측) 또는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된다. 전환 스위치(19)가 오프 조작되면, 방향 전환 밸브(5)가 L 위치(정회전측)로 전환되고, 유압 펌프(2)로부터의 압유가 관로 L1, L2를 통해 팬 모터(3)에 공급되어, 팬 모터(3) 및 냉각 팬(4)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팬 모터(3)에 공급된 오일은 관로 L3, L4를 통해 탱크(10)로 복귀된다.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면, 방향 전환 밸브(5)가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되고, 유압 펌프(2)로부터의 압유가 관로 L1, L3을 통해 팬 모터(3)에 공급되어, 팬 모터(3) 및 냉각 팬(4)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팬 모터(3)에 공급된 오일은 관로 L2, L4를 통해 탱크(10)로 복귀된다.
관로 L1과 관로 L4 사이에는, 팬 모터(3)의 입구측 압력(모터 구동압)인 유압 펌프(2)의 토출측 압력(이하, 펌프 토출압 Pp로 기재함)을 제한하는 설정압 가변식의 릴리프 밸브(23)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유압 펌프(2)의 토출측의 관로 L1에는 펌프 토출압 Pp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센서(14)에서 검출된 펌프 토출압 Pp의 정보는 컨트롤러(17)에 입력된다.
컨트롤러(17)는, CPU, ROM, RAM, 그 밖의 주변 회로 등을 갖는 연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17)에는 전환 스위치(19)로부터의 온/오프 조작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컨트롤러(17)는, 입력되는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 신호를 방향 전환 밸브(5)로 출력하여,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 위치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7)는 제어 라인(20)으로 릴리프 밸브(23)와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23)는 전자식의 가변 릴리프 밸브이며, 컨트롤러(17)로부터의 출력 전류값(지시값)에 따라, 유압 펌프(2)로부터 팬 모터(3)로 공급되는 압유의 최고압을 규정하여, 펌프 토출압 Pp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7)는, 릴리프 밸브(23)의 설정 릴리프압(이하, 릴리프 세트압으로 기재함)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7)는, 팬 모터(3)의 입구측 압력인 펌프 토출압 Pp를 제어함으로써, 팬 모터(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제어 라인(21)으로 릴리프 밸브(23)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17)에서는, 릴리프 밸브(23)로부터의 피드백 전류값이 검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휠 로더(100)는, 엔진(1)으로 구동되는 작업용 유압 펌프와, 작업용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와, 작업용 유압 실린더[예를 들어, 버킷 실린더(115)나 아암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 밸브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고,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휠 로더(100)에서는, 통상, 엔진(1)의 작동 시에는 팬 모터(3)가 정회전하도록, 컨트롤러(17)가 방향 전환 밸브(5)를 L 위치(정회전측)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팬 모터(3)는 유압 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정회전한다. 팬 모터(3)가 정회전함으로써, 도 2의 화살표 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팬(4)으로부터 라디에이터(6) 및 오일 쿨러(7)를 향해 냉각풍이 송풍되어, 냉각풍과의 열교환에 의해 엔진(1)의 냉각수 및 작동유가 냉각된다.
외기를 냉각풍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송풍하면,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이 라디에이터(6)나 오일 쿨러(7)의 풍로에 축적되어, 이 풍로가 좁아져 버린다. 그 결과, 외기와의 열교환의 효율이 저하되어, 엔진(1)의 오버히트나 작동유 온도의 상승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팬 모터(3)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외기를 통상의 송풍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송풍함으로써, 풍로에 축적된 먼지를 날려버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라디에이터(6)나 오일 쿨러(7)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면, 컨트롤러(17)는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팬 모터(3)는 유압 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역회전한다. 팬 모터(3)가 역회전하는, 즉 냉각 팬(4)이 역회전함으로써, 도 2의 화살표 1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6) 및 오일 쿨러(7)에 대해 통상과는 역방향으로 외기가 송풍된다.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는 동시에, 팬 모터(3)를 역회전시키도록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하는 제어가 행해지면, 회로 내 압력이 급격하게 높아져, 팬 모터(3)나 방향 전환 밸브(5), 릴리프 밸브(23)에 큰 부하가 걸려, 각 부의 내구 성능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면, 릴리프 밸브(23)의 설정압을 변경하여, 펌프 토출압 Pp를 감소시켜, 팬 모터(3)의 회전 속도를 충분히 저하시킨 후에,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러(17)의 ROM 또는 RAM에는, 릴리프 밸브(23)의 설정압을 제어하기 위한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3의 (a)는, 릴리프 세트압을 정회전용 설정압(P1=19㎫)으로부터 하한값인 전환용 설정압(P3=5㎫)까지 소정 시간(T1― 3초) 가하여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블이고,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직선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이 감소되도록 정해져 있다. 도 3의 (b)는, 릴리프 세트압을 전환용 설정압(P3=5㎫)으로부터 역회전용 설정압(P4=15㎫)까지 소정 시간(T3― 4초) 가하여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블이고,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직선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이 증가하도록 정해져 있다.
도 3의 (c)는, 릴리프 세트압을 역회전용 설정압(P4=15㎫)으로부터 전환용 설정압(P3=5㎫)까지 소정 시간(T4― 3초) 가하여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블이고,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어 직선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이 감소하도록 정해져 있다. 도 3의 (d)는, 릴리프 세트압을 전환용 설정압(P3=5㎫)으로부터 정회전용 설정압(P1=19㎫)까지 소정 시간(T3― 1초) 가하여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블이고,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직선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이 증가하도록 정해져 있다.
컨트롤러(17)는, 조건에 따라, 이들 테이블을 참조하고, 참조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릴리프 세트압을 변화시키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출력 전류값을 출력한다. 시간 T1― 3, T3― 4, T4― 3, T3― 1은 각각, 릴리프압이 안정적으로 저하 혹은 상승되도록, 예를 들어 2 내지 3초 정도로 정해져 있다.
정회전용 설정압(P1) 및 역회전용 설정압(P4)은 냉각 팬(4)의 사양에 따라서 정해져 있다. 정회전용 설정압(P1)은 냉각 팬(4)을 정격 회전수 Nr로 정회전시키기 위한 설정압이다. 역회전용 설정압(P4)은 냉각 팬(4)을 정격 회전수 Nr로 역회전시키기 위한 설정압이다.
통상, 냉각 팬(4)은, 정격 회전수 Nr로 정회전되었을 때의 송풍량에 비해, 정격 회전수 Nr로 역회전되었을 때의 송풍량의 쪽이 작다. 이와 같은 냉각 팬(4)은 정회전 시의 공기 저항에 비해 역회전 시의 공기 저항의 쪽이 작다. 그 결과, 냉각 팬(4)을 정격 회전수 Nr로 역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펌프 토출압 Pp는 정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작아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팬 모터(3)의 정회전용 설정압을 P1=19㎫로 정하고, 팬 모터(3)의 역회전용 설정압을 P4=15㎫로 정하였다.
이에 대해, 정회전용 설정압과 역회전용 설정압을 동일값으로 한 경우, 정회전 시에는 정격 회전수 Nr로 회전시킬 수 있지만, 역회전 시에는 정격 회전수 Nr을 상회하는 회전수로 냉각 팬(4)이 회전하므로, 냉각 팬(4) 및 팬 모터(3)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컨트롤러(17)의 ROM 또는 RAM에는, 압력 센서(14)에서 검출된 펌프 토출압 Pp가 충분히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계값으로서 전환용 압력(P2)이 기억되어 있다. 전환용 압력(P2)은 팬 모터(3)가 충분히 감속되어 반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져 있다. 전환용 설정압(P3)은 전환용 압력(P2)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정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용 압력을 P2=6.5㎫로 정하고, 전환용 설정압을 P3=5㎫로 정했다.
컨트롤러(17)는, 다음과 같이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유압 펌프(2)의 토출압을 충분히 저하시킨 후에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킨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 팬(4)의 반전 동작에 대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정회전 중인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고, 도 6은 역회전 중인 냉각 팬(4)을 정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휠 로더(100)의 도시하지 않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컨트롤러(17)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컨트롤러(17)는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을 판정하여, 전환 스위치(19)가 오프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각 팬(4)이 정회전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5)를 L 위치(정회전측)로 전환함과 함께, 릴리프 세트압을 정회전용 설정압(P1)으로 설정한다. 한편,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각 팬(4)이 역회전하도록,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함과 함께, 릴리프 세트압을 역회전용 설정압(P4)으로 설정한다.
즉, 컨트롤러(17)는, 스텝 S101에 있어서,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릴리프 세트압이 정회전용 설정압(P1) 또는 역회전용 설정압(P4)이 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값(지시값) Ai를 출력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23)로부터 제어 라인(21)을 통해 컨트롤러(17)에 입력되는 피드백 전류값 Af의 정보, 및, 냉각 팬(4)의 회전 방향의 정보, 즉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 정보를 취득하여,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는,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제어 라인(20, 21)]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7)는, 스텝 S101에서 릴리프 밸브(23)로 출력된 전류값(지시값) Ai와, 스텝 S102에서 검출된 릴리프 밸브(23)로부터 컨트롤러(17)로 복귀되어 오는 피드백 전류값 Af를 비교한다. 컨트롤러(17)는,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미만인 경우(|Ai―Af|<At)에는 비단선 상태, 즉 정상으로 판정한다. 한편,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이상인 경우(|Ai―Af|≥At)에는 단선 상태, 즉 이상으로 판정한다.
스텝 S106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제어 라인(20, 21)]의 접속 상태가 정상으로 판정되면 스텝 S111로 진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스텝 S101에서 검출된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 정보로부터 냉각 팬(4)이 정회전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1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냉각 팬(4)이 정회전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스텝 S116으로 진행하여,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역회전측으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즉 전환 스위치(19)의 온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116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정격 회전수 Nr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키기 위해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S121로 진행한다. 스텝 S121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특성에 따라 릴리프 세트압이 정회전용 설정압(P1)으로부터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되도록, 릴리프 밸브(23)로 제어 신호(전류값 Ai)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1에서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되면, 릴리프 세트압이 시점 T1로부터 시점 T3 사이에서 정회전용 설정압(P1)으로부터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저하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제어 신호(전류값 Ai)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펌프 토출압 Pp는 릴리프 세트압의 저하에 수반하여 감소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스텝 S123에서는, 압력 센서(14)에서 검출된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의 정보를 취득하고, 스텝 S126에서는, 검출된 펌프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인 P2 이하(Pp≤P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6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펌프 토출압 Pp가 P2 이하(Pp≤P2)라고 판정되면, 스텝 S131로 진행한다. 스텝 S126에서 부정 판정되면, 즉 펌프 토출압 Pp가 P2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스텝 S123으로 복귀되어 펌프 토출압 Pp의 정보를 취득한다. 즉, 컨트롤러(17)는, 스텝 S121에서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릴리프 세트압을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행함과 함께, 펌프 토출압 Pp를 감시하여, 릴리프 세트압의 저하에 따라 펌프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P2)까지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7)는, 스텝 S131에서 팬 모터(3)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환 신호(전류 또는 전압)를 방향 전환 밸브(5)로 출력하여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하고, 다음 스텝 S136에서 컨트롤러(17)에 내장된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2에 있어서, 압력 센서(14)에서 펌프 토출압 Pp가 P2 이하까지 저하된 것이 검출되고,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면, 방향 전환 밸브(5)의 스풀(도시하지 않음)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팬 모터(3)의 입구측 압력 Pp는, 언더 슈트에 의해, P3 이하까지 감소된 후, 방향 전환 밸브(5)의 스풀의 이동에 수반하여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을 상회하지만, 방향 전환 밸브(5)나 릴리프 밸브(23), 팬 모터(3)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압력까지 급격하게 상승하는 일은 없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는, 스텝 S141에 있어서,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 t가 미리 정해진 설정 시간 T 이상(t≥T)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 시간 T는, 방향 전환 밸브(5)의 위치가 전환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에 상당하는 값(예를 들어, T=2초)으로 되어, 미리 컨트롤러(17)의 ROM 또는 RAM에 기억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17)는,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1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t≥T)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S1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6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특성에 따라 릴리프 세트압이 전환용 설정압(P3)으로부터 역회전용 설정압(P4)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하도록, 릴리프 밸브(23)로 제어 신호(전류값 Ai)를 출력하고, 리턴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4에 있어서,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즉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의 완료가 판정되면, 릴리프 세트압이 시점 T4로부터 시점 T5 사이에서 전환용 설정압(P3)으로부터 역회전용 설정압(P4)까지 상승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제어 신호(전류값 Ai)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펌프 토출압 Pp는 릴리프 세트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역회전용 압력(P4)까지 상승한다. 그 결과, 냉각 팬(4)이 정격 회전수 Nr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열교환기에 부착되는 먼지가 날려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11에서 부정 판정되면, 즉, 냉각 팬(4)이 역회전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스텝 S216으로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 S116 내지 스텝 S146까지는 정회전하는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처리 내용이지만, 스텝 S216 내지 스텝 246까지는 역회전하는 냉각 팬(4)을 정회전시키는 반전 동작에 대한 처리 내용이고, 상술한 스텝 S116 내지 스텝 S14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스텝 S216에서는, 전환 스위치(19)가 오프 조작(정회전측으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즉 전환 스위치(19)의 오프 조작을 감시한다.
스텝 S216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정격 회전수 Nr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냉각 팬(4)을 정회전시키기 위해 전환 스위치(19)가 오프 조작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S221로 진행한다. 스텝 S221에서는, 도 3의 (c)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특성에 따라서 릴리프 세트압이 역회전용 설정압(P4)으로부터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되도록, 릴리프 밸브(23)로 제어 신호(전류값 Ai)를 출력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6에서 전환 스위치(19)가 오프 조작되면, 릴리프 세트압이 시점 T6으로부터 시점 T8 사이에서 역회전용 설정압(P4)으로부터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저하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제어 신호(전류값 Ai)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펌프 토출압 Pp는 릴리프 세트압의 저하에 수반하여 감소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스텝 S223에서는, 압력 센서(14)에서 검출된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의 정보를 취득하고, 스텝 S226에서는, 검출된 펌프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인 P2 이하(Pp≤P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26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펌프 토출압 Pp가 P2 이하(Pp≤P2)라고 판정되면, 스텝 S231로 진행한다. 스텝 S226에서 부정 판정되면, 즉 펌프 토출압 Pp가 P2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스텝 S223으로 복귀되어 펌프 토출압 Pp의 정보를 취득한다. 즉, 컨트롤러(17)는, 스텝 S221에서 전환용 설정압(P3)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릴리프 세트압을 저하시키는 제어를 실행함과 함께, 펌프 토출압 Pp를 감시하고, 릴리프 세트압의 저하에 따라 펌프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인 P2까지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7)는, 스텝 S231에서 팬 모터(3)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환 신호(전류 또는 전압)를 방향 전환 밸브(5)로 출력하여 방향 전환 밸브(5)를 L 위치(정회전측)로 전환하고, 다음 스텝 S236에서 컨트롤러(17)에 내장된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7에 있어서, 압력 센서(14)에서 펌프 토출압 Pp가 P2 이하까지 저하된 것이 검출되어,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 제어가 실행되면, 방향 전환 밸브(5)의 스풀(도시하지 않음)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팬 모터(3)의 입구측 압력 Pp는, 언더 슈트에 의해, P3 이하까지 감소된 후, 방향 전환 밸브(5)의 스풀의 이동에 수반되어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릴리프 세트압을 상회하지만, 방향 전환 밸브(5)나 릴리프 밸브(23), 팬 모터(3)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압력까지 급격하게 상승하는 일은 없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7)는, 스텝 S241에 있어서,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 t가 미리 정해진 설정 시간 T 이상(t≥T)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 시간 T는, 방향 전환 밸브(5)의 위치가 전환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에 상당하는 값(예를 들어, T=2초)으로 되고, 미리 컨트롤러(17)의 ROM 또는 RAM에 기억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17)는,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41에서 긍정 판정되면, 즉,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t≥T)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S2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46에서는, 도 3의 (d)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고, 미리 설정된 특성에 따라 릴리프 세트압이 전환용 설정압(P3)으로부터 정회전용 설정압(P1)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제어 신호(전류값 Ai)를 출력하고, 리턴한다.
도 6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T9에 있어서, 계측 시간 t가 설정 시간 T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즉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의 완료가 판정되면, 릴리프 세트압이 시점 T9로부터 시점 T10 사이에서 전환용 설정압(P3)으로부터 정회전용 설정압(P1)까지 상승하도록, 릴리프 밸브(23)에 제어 신호(전류값 Ai)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펌프 토출압 Pp는, 릴리프 세트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P1까지 상승한다. 그 결과, 냉각 팬(4)이 정격 회전수 Nr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열교환기에 냉각풍을 유도하여 냉각수 및 작동유를 냉각한다.
스텝 S106에서 부정 판정되면, 즉,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제어 라인(20, 21)]이 단선되는 등, 그 접속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스텝 S3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0에서는,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기 위해 통지 램프 등의 통지부를 작동(점등)시켜, 상술한 반전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리턴한다. 또한, 통지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 대신에, 통지음을 발생시켜도 된다.
즉,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의 접속 상태가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 팬(4)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19)가 역회전측(온)으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컨트롤러(17)는, 방향 전환 밸브(5)를 M 위치(역회전측)로 전환하는 전환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냉각 팬(4)은 현재의 회전 방향(정회전)을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의 접속 상태가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 팬(4)이 역회전되어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19)가 정회전측(오프)으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컨트롤러(17)는 방향 전환 밸브(5)를 L 위치(정회전측)로 전환하는 전환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냉각 팬(4)은 현재의 회전 방향(역회전)을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냉각 팬(4)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19)가 역회전측으로 조작(온 조작)되면, 컨트롤러(17)가, 릴리프 밸브(23)의 설정압을 제어하여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P2)까지 저하되도록 하였다. 압력 센서(14)에서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P2)까지 저하된 것이 검출되면, 컨트롤러(17)가 방향 전환 밸브(5)를 L 위치(정회전측)로부터 M 위치(역회전)로 전환하여, 유압 펌프(2)로부터 팬 모터(3)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컨트롤러(17)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의 완료가 판정되면, 컨트롤러(17)가, 릴리프 밸브(23)의 설정압을 제어하여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를 역회전용 압력(P4)까지 상승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유압 펌프(2)의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P2)까지 저하된 것을 압력 센서(14)에 의해 검출한 후에 팬 모터(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므로, 냉각 팬(4)의 반전 동작 시,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릴리프 밸브(23)나 방향 전환 밸브(5), 팬 모터(3) 등의 내구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정회전되어 있는 냉각 팬(4)을 원활하게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처리를 역회전되어 있는 냉각 팬(4)을 반전 동작시킬 때도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내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역회전되어 있는 냉각 팬(4)을 원활하게 정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전환 스위치(19)가 온 조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펌프 토출압 Pp를 검출하지 않고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키는 기술(이하, 비교예라고 기재함)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비교예에서는, 컨트롤러(17)나 릴리프 밸브(23)의 오작동 등에 의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펌프 토출압 Pp가 전환용 압력(P2)까지 저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냉각 팬(4)을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냉각 팬(4)의 반전 동작 시에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이 급상승하고, 방향 전환 밸브(5)나 릴리프 밸브(23), 팬 모터(3)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방향 전환 밸브(5)나 릴리프 밸브(23), 팬 모터(3)의 내구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로드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는 경우는, 그만큼 고비용이 된다.
비교예에서는, 팬 모터(3)의 입구측 압력이 충분히 저하된 것을 전환 스위치(19)의 온 조작 후의 경과 시간에 의해 추정하여 반전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므로, 전환 스위치(19)의 온 조작 후의 시간에 충분한 여유도를 예상해 둘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냉각 팬(4)의 반전 동작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2) 릴리프 밸브(23)와 컨트롤러(17) 사이의 접속 선[제어 라인(20, 21)]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환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에 관계없이, 방향 전환 밸브(5)를 전환하는 전환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냉각 팬(4)의 현재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즉, 단선 등에 의해 접속 상태가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반전 동작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릴리프 밸브(23)와 컨트롤러(17)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만, 반전 동작 처리를 행하여, 펌프 토출압 Pp(모터 구동압)를 안정적으로 저하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3) 정회전용 설정압(P1)을 역회전용 설정압(P4)보다도 높게 정하여, 정회전 시의 유압 펌프 토출압 Pp가 역회전 시의 유압 펌프 토출압 Pp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정격 회전수 Nr로 정회전되었을 때의 송풍량에 비해, 정격 회전수 Nr로 역회전되었을 때의 송풍량의 쪽이 작은 일반적인 냉각 팬(4)을 사용하는 경우에, 팬 모터(3)나 냉각 팬(4)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팬 모터(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고, 변형예의 하나, 또는 복수를 상술한 실시 형태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1) 상술한 설명에서는,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이상이었던 경우에는,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의 접속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이상으로 된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에,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의 접속 상태가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오검출이 방지된다. 또한, 이 경우, 접속 선이 단선되어 걸려 있는 것을 판정할 수도 있다. 접속 선이 단선되어 걸려 있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도, 상술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단선되어 걸려 있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기 위해 통지 램프 등의 통지부를 동작시켜, 냉각 팬(4)의 반전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이상인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에,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의 접속 상태가 이상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2) 상술한 설명에서는, 컨트롤러(17)와 릴리프 밸브(23) 사이의 접속 선의 접속 상태의 판정을 출력 전류값 Ai와 피드백 전류값 Af의 차가 소정값 At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압값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3) 상술한 설명에서는, 팬 모터(3)의 정회전용 설정압(P1)을 역회전용 설정압(P4)보다도 높게 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회전 시의 풍량과, 역회전 시의 풍량에 큰 차가 없는 냉각 팬(4)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회전용 설정압과 역회전용 설정압을 동일한 값으로 해도 된다.
(4) 상술한 설명에서는, 컨트롤러(17)에서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의 완료를 타이머에 의한 계측 시간에서 판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 위치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설치하여,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7)가 방향 전환 밸브(5)의 전환의 완료를 판정해도 된다.
(5)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동으로 전환 스위치(19)를 온/오프 조작함으로써, 냉각 팬(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팬(4)의 운전 중, 설정 시간 경과마다 냉각 팬(4)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반전 동작시켜도 된다. 반전 동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냉각 팬(4)은 소정 시간만큼 역회전 동작을 계속시킨 후, 정회전 동작으로 복귀된다.
(6) 상술한 설명에서는, 냉각 팬(4)을 반전시킬 때에, 릴리프 세트압을 전환용 압력 P2보다도 낮은 P3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 팬(4)을 반전시킬 때에 설정하는 릴리프 세트압은 전환용 압력 P2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7) 상술한 설명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휠 로더(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포크리프트, 텔레핸들러, 리프트 트럭 등 다른 작업 차량이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다양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생각되는 그 밖의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일본 특허 출원 2011년 제250021호(2011년 11월 15일 출원)

Claims (4)

  1. 냉각 팬 제어 장치이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어, 열교환기에 냉각풍을 송풍하기 위한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의 토출유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유압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밸브와,
    상기 유압 펌프의 토출압을 제어하는 가변 릴리프 밸브와,
    상기 유압 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와,
    상기 냉각 팬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소정의 하한값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시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유압 펌프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된 후에 상기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상기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냉각 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팬이 역회전되어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정회전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소정의 하한값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저하시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유압 펌프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전환용 압력까지 저하된 후에 상기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여 상기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흐름 방향을 정방향으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의 설정 릴리프압을 상기 유압 모터의 정회전용 설정압까지 소정 시간 가하여 상승시키는, 냉각 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모터의 정회전용 설정압은 상기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보다도 높고, 상기 전환용 압력은 상기 유압 모터의 역회전용 설정압보다도 낮은, 냉각 팬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릴리프 밸브와 상기 제어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접속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냉각 팬이 정회전되어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방향 전환 스위치가 역회전측으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상기 방향 전환 밸브를 전환하지 않고 상기 냉각 팬의 현재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는, 냉각 팬 제어 장치.
KR1020147012671A 2011-11-15 2012-11-15 냉각 팬 제어 장치 KR20140099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0021A JP5868663B2 (ja) 2011-11-15 2011-11-15 冷却ファン制御装置
JPJP-P-2011-250021 2011-11-15
PCT/JP2012/079688 WO2013073631A1 (ja) 2011-11-15 2012-11-15 冷却ファン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236A true KR20140099236A (ko) 2014-08-11

Family

ID=4842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671A KR20140099236A (ko) 2011-11-15 2012-11-15 냉각 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8758B2 (ko)
EP (1) EP2781713B1 (ko)
JP (1) JP5868663B2 (ko)
KR (1) KR20140099236A (ko)
CN (1) CN103946505B (ko)
WO (1) WO2013073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28A (ko) * 2017-11-17 2019-05-27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4207A1 (de) * 2012-12-05 2014-06-05 Hydac Fluidtechnik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Betriebs eines mittels eines Hydromotors antreibbaren Lüfters einer Kühleinrichtung
JP6223840B2 (ja) * 2014-01-21 2017-11-0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CN105625497A (zh) * 2014-11-20 2016-06-01 斗山工程机械(中国)有限公司 一种液压油风扇转速的控制方法、装置及挖掘机
US10056807B2 (en) * 2014-12-23 2018-08-21 Orange Motor Company L.L.C. Electronically commutated fan motors and systems
CN104763695B (zh) * 2015-04-13 2017-08-29 徐州徐工施维英机械有限公司 液压系统、散热系统和工程机械
JP6466824B2 (ja) * 2015-12-04 2019-02-06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モータ制御装置
US10330126B2 (en) * 2016-12-16 2019-06-25 Caterpillar Inc. Fan control system with electro-hydraulic valve providing three fan motor operational positions
US11060262B2 (en) * 2017-11-23 2021-07-1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Drive system for a work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e system
US10479191B2 (en) * 2017-12-19 2019-11-19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o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JP7160646B2 (ja) * 2018-11-22 2022-10-2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
JP7076396B2 (ja) * 2019-03-27 2022-05-27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0778545A (zh) * 2019-11-01 2020-02-11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风扇控制系统及工程机械车
US11555291B2 (en) * 2020-04-06 2023-01-17 Deere & Company Self-propelled work vehicle and method implementing perception inputs for cooling fan control operations
JP7253672B2 (ja) * 2021-03-19 2023-04-06 日立建機株式会社 ダンプト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0623B1 (en) * 2002-12-17 2004-06-15 Caterpillar Inc. Reversible automatic fan control system
JP4390201B2 (ja) * 2004-08-02 2009-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冷却ファン用油圧モータの駆動制御回路
JP2006057601A (ja) * 2004-08-24 2006-03-0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FR2882536B1 (fr) * 2005-02-25 2007-08-24 Koyo Hpi Soc Par Actions Simpl Procede de pilotage de l'inversion du sens de rotation d'un moteur hydraulique et systeme de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7240486B2 (en) * 2005-04-18 2007-07-10 Caterpillar Inc Electro-hydraulic system for fan driving and brake charging
JP4651467B2 (ja) * 2005-07-06 2011-03-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用油圧駆動ファン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7937938B2 (en) * 2008-04-23 2011-05-10 Caterpillar Inc. Hydraulic reversing fan valve and machine using same
DE102010005319A1 (de) * 2009-01-22 2010-07-29 Robert Bosch Gmbh Hydrostatischer Lüfterantrieb
JP2011184911A (ja) * 2010-03-08 2011-09-22 Kcm:Kk 冷却ファンの駆動回路
JP4900625B2 (ja) * 2010-06-24 2012-03-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用ファンの駆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28A (ko) * 2017-11-17 2019-05-27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1713A4 (en) 2015-06-03
US9458758B2 (en) 2016-10-04
CN103946505A (zh) 2014-07-23
EP2781713B1 (en) 2016-09-14
CN103946505B (zh) 2016-11-09
JP2013104386A (ja) 2013-05-30
US20140311140A1 (en) 2014-10-23
JP5868663B2 (ja) 2016-02-24
EP2781713A1 (en) 2014-09-24
WO2013073631A1 (ja)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9236A (ko) 냉각 팬 제어 장치
US6349882B1 (en) Controlling device for hydraulically operated cooling fan
JP4331151B2 (ja) 建設機械の作動流体冷却制御システム
US8966918B2 (en)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cooling fan
JP5518589B2 (ja) 作業機械
JP4651467B2 (ja) 冷却用油圧駆動ファン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1978145A (zh) 风扇驱动控制装置及建筑机械
WO2019188415A1 (ja) 作業車両
KR20140018263A (ko) 건설 기계
JP4900625B2 (ja) 冷却用ファンの駆動制御装置
JP4567236B2 (ja) 冷却用ファンの駆動制御装置
JP2007155092A (ja) 油圧駆動ファンシステム
JP4825006B2 (ja) 油圧回路の制御装置
JP6749877B2 (ja) 冷却ファン制御装置
JP4559663B2 (ja) 冷却用ファンの駆動制御装置
JP7165831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油圧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KR100688661B1 (ko) 건설중장비의 냉각팬 역회전 구동장치
JP4330431B2 (ja) 冷却ファン制御システム
JP2596107B2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装置
JP2009133493A (ja) 建設機械の作動流体冷却制御システム
JP2020159242A (ja) 作業車両
CN217355045U (zh) 散热系统及液压系统、作业机械
WO2024048527A1 (ja) 運搬車両
JP2024032270A (ja) 運搬車両
JPH0791409A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