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086A -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086A
KR20140098086A KR1020147013724A KR20147013724A KR20140098086A KR 20140098086 A KR20140098086 A KR 20140098086A KR 1020147013724 A KR1020147013724 A KR 1020147013724A KR 20147013724 A KR20147013724 A KR 20147013724A KR 20140098086 A KR20140098086 A KR 2014009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guide rail
flaps
guide
guidan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죵-루키 안드레
Original Assignee
뉴티엘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티엘르 filed Critical 뉴티엘르
Publication of KR2014009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62D1/265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especially adapted for guiding road vehicles carrying loads or passengers, e.g. in urban networks for public transpor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각각의 측면에 상응한 롤러(13)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하나의 측면 요소(33)를 포함하며, 측면 요소는 하부(51)가 레일 헤드 하부로 연장하는 하부 위치와 하부가 레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지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피봇트되게 굴절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49)을 포함한다.
상기 플랩의 피봇트 축(55)은 상부로 경사지고 상기 하부 위치에서 상기 하부(51) 위로 플랩의 후방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플랩은 이를 하부 위치에 유지시키나 복귀력보다 큰 상향력이 그 하부에 가해지면 상부 위치로 피봇트시키는 하향력을 받는다.

Description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DERAILMENT-PREVENTING AND RERAILING SAFETY DEVICE FOR A GUIDE UNIT HAVING ROLLERS ROLLING ON A GUIDE RAI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지상에서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에 의해서 안내되는 로드 차량의 가이던스 시스템용 재결합 장치를 겸비한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익하게는, 가이던스 시스템이 안내 레일로부터 사고로 이탈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의 작동은 안내 레일의 상부 주위에서 하향력에 따른 자동 재결합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안내 레일 주위에서의 재결합용 지지부가 개방되어 탈선방지 안전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별하지만 전적인 의미는 아니지만, 한 셋트의 안내 롤러에 의해서 안내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도시 대중 운반 교통 차량에 대해 좀 더 특별히 적합하지만 다른 것에 대해 전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내를 보장하도록, 이러한 형태의 가이드 대중 운반 차량은 예를 들어, 차량의 경로를 따라서 지상의 연속적인 안내 레일을 계속 따르는 가이던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던스 시스템은 예를 들어, V형 경사 안내 롤러들 또는 안내 레일의 헤드의 상부에 제공되는 트랙위를 구르는 수평축을 가지는 수직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레일은 돌출 측면을 가지고 그 하부에 요부가 있는 레일 헤드를 포함한다.
차량과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근본적으로 차량에 의해 탑재된 가이던스 시스템과 안내 레일 사이에, 다시 말해서 차량 주행 중에는 안내 롤러와 롤링 트랙사이에 접촉이 보장된다.
이를 위해서, 안내 롤러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 장착된 아암에 의한 하향 탄성 복귀력 또는 가이던스 헤드의 중력 복귀력에 의해서 안내 레일에 종래와 같이 눌려진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상의 환경에서 충분한 반면, 하향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이던스 시스템에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예외의 경우도 있다. 이러한 힘은 가이던스 시스템을 안내 레일위로 들어올리고 이를 안내 영역으로부터 이동시킨다. 상기 안내 롤러는 안내 레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차량이 전진하면 탈선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 어떤 종류의 물체가 안내 레일위에 또는 레일 헤드의 측면의 홈이 있으면 이 홈에 위치하면 발생한다.
결국, 안내 트랙이 날씨와 주변 환경에 노출되면 안내 레일 그리고 그 측방 홈이 모든 종류, 초목, 얼음, 눈, 돌 또는 사고, 파괴에 의한 외부 물체 또는 안내 롤러의 통과에 장애가 되고 이들을 들어올려 레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국부적으로 방해받는 일이 통상 발생한다.
안내 롤러를 들어올리고 가이던스 시스템을 레일의 안내 영역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큰 문제, 특히 가이던스 시스템의 탈선 그리고 차량의 경로 이탈을 일으키는 사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가이던스 시스템의 리프팅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종래에는 외부 표면을 덮고 주변 연장부에서 종료하는 플랜지를 구비한 안내 롤러가 제공된다.
이러한 플랜지는 종래에는 안내 롤러와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제조되며 상기 롤러와 동시에 회전한다.
안내 롤러의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플랜지의 각각의 주변 연장부가 레일 헤드의 상응한 돌출 측면 하부의 안내 레일의 상부 아래의 요부에 결합하고 롤러의 상승력으로 인한 가이던스 시스템의 철수에 대항한다.
그러나, 차량이 전진할 때 이러한 플랜지는 안내 롤러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플랜지가 측방력하에 레일의 측면에 눌릴 때 발생하는 메슁 현상으로 인해 이탈로부터의 그 동력이 비교적 약하다. 본 발명은 플랜지의 회전을 제거하고 이를 측방력하에 트랙의 림을 누르는 고정 베어링력으로 대체한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가이던스 시스템이 안내 레일로부터 분리되면 재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한다.
경사 롤러를 가지는 가이던스 시스템용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LOHR INDUSTRE 명의의 프랑스 특허 제2,910,423호에 개시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각각의 롤러는 회전시 고정되는 페어링 부품을 가지며 그 기저부는 사용 위치에서 안내 레일의 상응한 돌출 측면 하부로 연장하는 하부 연장부를 구비하여 가이던스 시스템에 작용하는 어떠한 분리력에 대해 저항한다.
종래의 플랜지와는 달리, 상기 페어링 부품은 안내 롤러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며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슁 현상이 제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던스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뽑아내는데 필요한 힘은 더 커진다.
그러나, 이러한 탈선방지 시스템이 종래의 시스템보다는 효과적이고 유익하기는 하나, 아직도 단점을 가진다.
이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이러한 탈선방지 시스템이 안내 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상황은 안내 레일의 헤드가 부분적으로 손상되거나 안내 레일이 마모되어 불완전하게 또는 간헐적으로 차량의 경로를 이탈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탈선방지 시스템의 페어링 부품은 강한 수직력으로 인해 그 하부 연장부에 매우 강한 힘과 스트레스를 받아서 마모되거나 변형되거나 비틀려 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 자갈 또는 얼음과 같은 예외적인 물체가 차량의 바퀴밑에 또는 안내 레일 옆의 틈새에 부딪히면 가이던스 시스템에 가해지는 수직력은 안내 레일로부터의 분리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탈선방지 시스템은 안내 레일 주위에서의 자동 재결합 수단을 갖추지 못한다. 더욱 나쁜 것은, 상기 페어링 부품의 고정된 하부 연장부의 존재 때문에 안내 레일 주위의 가이던스 시스템의 어떠한 재결합도 방해된다.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은 더 이상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차량이 더 이상 가이드되지 않으면 사고의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페어링 부품이 종래의 단점을 가지지 않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시스템의 우연한 분리의 결과로 안내 레일 주위의 가이던스 시스템의 자동 재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유익하게 포함한다.
상기 재결합 수단은 작동기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차량이 2방향 안내 로드 차량일 때 유용하다. 레일로부터 고의로 분리시키도록 플랩의 개방을 지시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를 가지는 로드 차량용 가이던스 시스템의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롤러는 돌출 측면을 가지는 안내 레일 헤드의 상부를 따라서 구르게 설계되며, 각각의 측면은 요부를 통해서 레일 몸체와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던스 시스템은 가이던스 헤드를 안내 레일의 헤드에 유지시키는 가요성 연결부를 통하여 차량에 연결된다.
상기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각각의 측면에 상응한 롤러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측면 요소를 구비하며, 그 기저부는 사용시 가이던스 시스템의 이탈을 야기시키는 힘에 반작용하도록 안내 레일의 상응한 돌출 측면 하부에 위치하게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각각의 측면 요소는 안내 레일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플랩 또는 경사 궤적에 있는 플랩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는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플랩의 피봇트 축의 경사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랩은 그 하부가 사용시 안내 레일의 상응한 돌출 측면 하부로 연장하여 가이던스 시스템의 이탈에 대항하는 하부 안전 위치와 그 하부가 사용시 안내 레일의 상응한 돌출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져서 안내 레일과의 수직 통로를 허용하고 가이던스 시스템의 재결합을 허용하는 상승 재결합 위치사이에서 피봇트 축 주위로 피봇트 굴절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플랩의 피봇트 축은 플랩이 하강할 때 플랩이 안내 레일의 몸체를 향한 결합 궤적을 가지도록 안내 레일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진다. 이것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플랩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플랩이 하부 안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봇트 축은 플랩의 하부 위에 위치하며, 플랩 하부는 안내 레일의 돌출 모서리 하부로 연장한다.
따라서, 플랩은 2개의 특별 위치가 있다: 플랩의 하부가 안내 레일의 헤드를 잡는 통상 주행 위치인 하부 안전 위치와 플랩의 하부가 레일 헤드가 통과하게 충분히 분리된 상승 재결합 위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단지 하나인 경사 플랩이 하부 안전 위치에서 이를 유지하는 하향 복귀력을 받으나, 상향 재결합력이 하향 복귀력을 초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플랩의 하부에 가해지면 플랩을 상승 재결합 위치를 향하여 피봇트시킨다.
상기 플랩을 상기 폐쇄된 안전 위치에 유지되게 구속하는 이러한 복귀력은 플랩의 무게에 의해서, 설계로 플랩의 형상과 피봇트 핀의 위치에 따라서 가해지는 단순한 중력 복귀력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강하게 하는 탄성 복귀력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에 하향 복귀력을 가하는, 양호하게는 스프링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추력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귀력은 가이던스 시스템을 차량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또는 가이던스 헤드의 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안내 레일을 향한 압력보다는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내 레일 주위의 가이던스 시스템의 자동 재결합 수단을 제공하여 이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이 레일 위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 플랩의 기저부는 안내 트랙위에 존재하고 차량의 안내를 방해하는 물체를 퇴출시키는 비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용하게는, 이들 플랩의 기저부가 그 피봇트 축 하부에 있고 이들 축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플랩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플랩이 레일의 요부에 부딪힌 외부 물체를 만나면 충격이 상기 플랩의 기저부에서 후방을 향한 수평력을 가하고 이것은 플랩의 굴절축 하부로 가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힘은 문제의 플랩을 그 하부 안전 위치를 향하여 하향 피봇트시켜 가이던스 헤드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의 요부에 물체가 부딪히면 본 발명에 따라서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안전하게 닫힌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에 따르면, 경사 플랩의 피봇팅 성질을 고려하여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은 매우 쉽게 해체가능하거나 최소한 철수가능하여 후방에 위치된 가이던스 시스템의 부품, 특히 타이어를 정규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경사 롤러를 포함한 부품으로의 접근을 쉽게 한다.
따라서, 보수작업이 매우 빠르며 종래의 탈선방지 시스템보다 쉽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보면 알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시스템을 구비한 경사진 안내 롤러들 셋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경사 롤러를 가지는 가이던스 시스템이 하부 안전 위치에서 안내 레일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의 기본 실시예로서 하부 안전 위치에서 가이던스 시스템에 장착되고 모두가 경사진 플랩과 롤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3의 평면 V - V 에 따른 경사 롤러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평면 VI - VI 에 따른 경사 플랩의 피봇트축을 통과하는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7은 도3에 도시된 시스템의 경사 플랩 만이 도시되는 측면도이다.
도8은 보수를 위해서 하부 위치에 있는 경사 롤러와 경사 플랩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9 및 10은 안내 레일과 결합된 사용 위치에서의 도3의 장치의 상응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1 내지 20은 도3의 장치의 일련의 자동 재결합의 연속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상응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하부 안전 위치에서 가이던스 시스템에 장착된 측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장치의 측면 요소 중 하나의 2개의 경사 플랩이 후방으로부터 도시되는 플랩의 평면 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3 및 24는 각각 안내 레일과 결합한 사용 위치에서 도21의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5 내지 32는 도21의 장치의 일련의 자동 재결합의 연속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상응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33 및 34는 경사 플랩의 평면을 통과하는 도29의 선 XXXIII - XXXIII 와 도31의 선 XXXIV - XXXIV 에 따른 횡단면에서 도시되는 도21의 장치의 횡단면도로서, 경사 플랩은 상승 재결합 위치와 하부 안전 위치에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시스템이 도1 내지 34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여러 도면의 상응한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진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상부 및 하부, 저부 및 상부 개념이 여러 도면에서 정한 방향에 따라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시스템은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안내 시스템(1)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가이던스 헤드(2)가 피봇팅 마운팅(3)상에 피봇트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은 예를 들어 스프링(7) 또는 피스톤 혹은 단순 중력 복귀력에 의한 하향 탄성력을 받는 2개의 피봇팅 아암(4).(5) 그리고 연결부(6)에 의해서 차량에 피봇트 설치된다. 이러한 가동 조립체는 변형 사변형의 형태인 가이던스 헤드(2)가 다수개의 피봇팅 굴절부를 가지고 2개의 굴절 아암(8),(9)에 의해 부여되는 복귀력을 받게 한다.
물론, 이러한 기계적인 마운팅 및 굴절 조립체는 본 발명의 본성을 이탈하지 않고 상응한 시스템 또는 별개의 기능적으로 상응한 시스템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도시된 가이던스 헤드(2)는 마운팅(12)에 고정된 2개의 롤러 베어링 조립체(10),(11)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축(15),(16)상의 회전 경사 롤러(13),(14)를 탑재하며 각각의 축상에는 경사진 베어링(17),(18)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는 양호하게는, 합성 재료인 타이어(21),(22)를 가지는 경량 림(19),(20) 형태이다.
이러한 조립체는 지상에서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듯이 안내 레일(23)을 따라서 가이던스 시스템을 구성하고 헤드(24)는 2개의 돌출 측면(25),(26)을 가지며, 각각은 상부에 가이던스 시스템의 롤러(13),(14)용 경사 롤링 트랙(27),(28)을 구비하고 하부에 각각의 돌출 측면(25),(26)이 레일의 몸체(31)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요부(29),(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던스 시스템(1)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 또는 명령 재결합되는 탈선방지 안전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이 도시된다.
각각의 측면에는, 가이던스 헤드(2)상에 설치되나 상응한 경사 롤러(13),(14)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측면 부재(33),(34)가 위치한다.
도3 내지 20에 도시된 기본적인 본 발명에서는, 이들 각각의 측면 부재(33) 또는 (34)는 각기 경사 플랩(36) 또는 (35)을 포함한다.
기본적인 발명 실시예에서는, 이들 플랩의 하나는 굴절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들 플랩(35),(36)은 상응한 경사 안내 롤러(13),(14)의 하부밑에 위치된다. 이들은 서로를 향하여, 다시 말해서 안내 레일(23)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져 있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하나의 수직 롤러에 대해 작동되지만, V형태로 경사진 2개의 안내 롤러들이 사용되면 플랩은 상응한 경사 롤러(13),(14)의 경사에 상응한 경사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시스템이 가이던스 시스템의 이탈력에 반작용해야 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도록 약간 커지는 것이 좋다. 물론, 중요한 것은 플랩의 굴절축의 경사이다.
이러한 플랩(35),(36)은 평면이면 좋고, 예를 들어 전방 코너가 도시되듯이 모따진 또는 모따지지 않더라도 전체가 사각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의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명백하게는, 플랩(35),(36)은 사용시 최대로 극심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에서 큰 두께를 가지는 부분을 지닐 수 있다.
상기 경사 플랩(35),(36)은 안내 롤러(13),(14)의 하부를 덮는 덮개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들 탈선방지 기능에 덧붙여서 롤링 중에 롤러가 물체와 부딪쳐 빠져나오지 않게 현저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랩의 전방부는 예컨대 매끈한 방법으로 덮개 벤드(37),(38)에 의해서 연장될 수 있다. 단지 중력만으로 구동되는 플랩의 하향 귀환의 경우에는, 이러한 형태는 플랩의 하부 안전 위치로의 하향 귀환력, 다시 말해서 귀환을 증대시키고 이것이 시스템의 폐쇄위치이다.
그러나, 경사 롤러(13),(14)는 상부에서 밀봉되지 않은 채로 양호하게 유지되어 자연 통풍과 타이어(21),(22)의 마모에 대한 육안 검사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각각의 플랩(35),(36)의 하부(39),(40)는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돌출 측면(25),(26) 하부에 결합되어 탈선방지 크로우로 사용되어 가이던스 시스템(1)에 작동하는 어떠한 이탈력에 대항한다.
또한, 차량의 보호를 방해할 수도 있는 안내 레일의 요부에서 일어나는 물체의 튀어 오름을 허용하여 돌이나 자갈에 대한 가드 아이언의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경사 플랩(35),(36)의 하부(39),(40)의 전방단 또는 하부(39),(40)의 전후방 단이 대칭으로 배출 비크(41)와 같이 유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경사 플랩(35),(36)은 플랩의 후방에 양호하게 매어진 피봇트 핀(42),(43)에 의해서 피봇트 굴절되고, 피봇트 핀은 롤러 마운팅 조립체(10),(11)의 마운팅(12)에 피봇트 연결된다.
이러한 피봇트 핀(42),(43)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플랩의 후방에서 상부로 경사져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 플랩(35),(36)은 경사진 피봇트 축(42),(43) 주위의 각각의 평면에서 피봇트 될 수 있다.
상기 플랩(35),(36)들이 서로를 향하여 수직 하방으로 경사지고 피봇트 축(42),(43)도 경사지기 때문에, 이들이 각각의 평면에서 피봇트되면 플랩(35),(36)의 하부(39),(40)사이의 거리가 하향으로 피봇트되면 좁아지고 상향으로 피봇트되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봇트를 통하여 경사 플랩(35),(36)은 2개의 제한 위치에 도달한다: 도9 및 10에 도시된 하부 안전 위치와 도17 및 18에 도시된 상승 재결합 위치.
상기 하부 안전 위치에서는, 경사 플랩(35),(36)의 하부(39),(40)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실제로 이들은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돌출 측면(24),(26) 하부로 연장하고 안내 레일(23)의 요부(29),(30)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경사 플랩(35),(36)은 가이던스 시스템(1)의 탈선을 막고 이들의 조합 작동으로 요구되는 탈선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을 도모한다.
상기 상승 재결합 위치에서는, 경사 플랩(35),(36)의 하부(39),(40)는 서로로부터 떨어진다. 실제로, 이들은 안내 레일(23)의 돌출 측면(25),(26)으로부터 측방으로 멀어진다. 따라서, 안내 레일(23)의 헤드(24)가 통과하고, 연속적으로 설명되듯이 안내 레일(23) 주위에 가이던스 시스템(1)이 재결합하게 한다.
상기 피봇트 축(42),(43)은 차량의 전방 주행 방향에서 경사 플랩(35),(36)의 후방부에 양호하게 위치하고, 예를 들어 이들이 실시예의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일반적인 삼각형 형태 또는 육각형 형태로 되면 플랩(35),(36)의 후방 코너(44)에 위치한다.
이들 축들은 경사져있다. 이러한 배향은 플랩의 결합/재결합 궤도를 얻으려면 중요하다.
따라서, 경사 플랩(35),(36)이 물체 또는 자갈에 부딪혀서 하향 피봇트되면 경사 플랩(35),(36)의 하부(39),(40)는 모이게 되고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에 의한 가이던스 헤드(2)의 고정력은 증대된다.
상기 경사 플랩(35),(36) 각각은 예를 들어 상응한 경사 롤러(13),(14)의 축(15),(16) 위치에 놓이는 둥근 또는 다각형 형태의 절단부(45),(46)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경사진 안내 롤러(13),(14)의 축(15),(16) 각각은 이러한 절단부(45),(46)중 하나를 통과할 수 있고 상응한 경사 플랩(35),(36)을 지나 연장한다.
이러한 축(15),(16)들은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어 상기 시스템의 특수한 최대 위치 모두에서 경사 플랩(35),(36)의 피봇트에 대한 주행 제한구로 작동한다. 결국, 이들은 절단부(45),(46)의 상부 림(47)이 축(15),(16)의 상부에 맞닿아서 경사 플랩(35),(36)의 하부 안전 위치에서 하부 주행 제한구로, 또한 절단부(45),(46)의 하부 림(48)이 축(15),(16)의 하부에 맞닿아서 경사 플랩(35),(36)의 상승 재결합 위치에서 상부 주행 제한구로 된다.
또한, 이들은 양호하게 측방력에 의해 플랩이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점이 된다. 이것은 측방력이 플랩의 하부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하기 때문이다. 견부를 가지는 상응한 롤러의 축(15),(16)이 이를 유지하고 이에 덧붙여 요부변형이 플랩의 피봇팅 굴절에 의해 제공된다.
분명하게 이들 절단부(45),(46)가 축(15),(16)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서 적당한 형태와 크기를 가져야 하고, 따라서 경사 플랩(35),(36)은 본 발명에 따라서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의 적당한 작동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롤러의 축(15),(16)의 견부와 상응한 경사 플랩(35),(36)사이에는 작은 틈새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주행 제한구에 국한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전문가들은 시스템의 2개의 특수한 제한 위치를 설정하도록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 다른 많은 수단의 주행 제한구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 마운팅 조립체(10),(11)의 마운팅(12)으로부터 올라오는 고정 주행 제한구들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플랩의 전방에 굴절축에 대항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제안하여 횡단 변형 중에 요부변형을 증대시킬 수 있다.
서두에 언급했듯이,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은 쉽게 해체 또는 철수된다. 도8에 도시되듯이, 축(15)을 쉽게 제거하고 경사 플랩(35)을 하부로 완전히 피봇트시키면 더 이상 주행 제한은 유지되지 않으며 경사 안내 롤러(13)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도21 내지 3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측면 요소(33) 또는 (34)는 하나가 아닌 2개의 경사 플랩과 조립된다.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 이다.
설명을 쉽게 하도록,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의 제1 측면 요소(33)만이 하기에 설명된다. 제2 측면 요소(34)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한 부품들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랩(49),(50)들은 일반적으로 전체가 삼각형이며 서로에 대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기본 예인 하나의 플랩(35),(36)과 근사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전방 플랩(49) 및 후방 플랩(50)의 각각의 하부(51),(52)는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돌출 측면(24) 또는 (26) 하부에 결합하여 가이던스 헤드(2)에 가해지는 어떠한 이탈력에 대항하는 탈선방지 크로우로 작동한다.
도시된 삼각형 플랩(49),(50)에서는, 하부(51),(52)가 특히 전방 플랩(49)의 후방 하부 코너와 후방 플랩(50)의 전방 하부 코너의 면적부에 상응한다.
가드 아이언으로 작동하려면, 전방 플랩(49)의 하부(51)의 전방단과 후방 플랩(50)의 하부(52)의 후방단도 배출 비크(53),(54)로 형성된다.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 각각은 경사 피봇트 축(55),(56)에 의해서 각기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피봇트 굴절되고, 상기 피봇트 축은 플랩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마운팅(12)에 피봇트 결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진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은 이들 경사 피봇트 축(55),(56) 주위의 각각의 평면에서 피봇트되어 2개의 제한 위치에 도달한다. 도23 및 24에 도시된 하부 안전 위치에서는 하부(51),(52)가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돌출 측면(25) 하부로 연장하고, 도29 및 30에 도시된 상승 재결합 위치에서는 하부(51),(52)가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돌출 측면(25)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져 가이던스 시스템(1)의 재결합을 허용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전방 플랩(49)의 피봇트 축(55)이 그 전방부에, 양호하게는 전방 플랩(49)의 전방 코너(57)에 위치하고 후방 플랩(50)의 피봇트 축(56)은 후방 플랩(50)의 후방부에, 양호하게는 후방 코너(58)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제1 플랩, 즉 전방 플랩(49)이 물체 또는 자갈에 의해 전방 충격이 있으면 상부로 피봇트되고 제2 플랩, 즉 후방 플랩(50)이 반대로 하방 피봇트되면 이를 잡아당기는 효과를 가져서 상응한 하부(52)는 제2 측면 요소(34)에 속하게 되어 분리에 대한 시스템의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상기에 언급된 기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 각각은 실제로 반원형의 절단부(59),(60)을 가지며, 어떤 경우에는 전방 플랩(49)의 후방 모서리(61)에서 개방되고 다른 경우에는 후방 플랩(50)의 전방 모서리(62)에서 개방된다.
상기 플랩(49),(50)이 사용 위치에 있으면 이들 절단부(59),(60)는 서로 마주보게 연장하고 상호 상응하여 상응한 경사진 안내 롤러(13),(14)의 축(15) 또는 (16)이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축(15) 또는 (16)은 도33 및 34에 도시되듯이 2개의 경사 플랩(49),(50)이 2개의 제한 위치로 피봇트하게 하는 주행 제한구로서 작동한다.
결국, 하부 안전 위치(도34)에서는 전방 경사 플랩(49)과 후방 경사 플랩(50)이 이들 절단부(59),(60)의 상부 림(63),(64)과 축(15)의 상부와 맞닿고, 반면에 상승 재결합 위치(도33)에서는 절단부(59),(60)의 하부 림(65),(66)과 축(15)의 하부와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은 쉽게 해체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축(15),(16)을 제거하고 각각의 측면 요소(33),(34)의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을 해체하면 이들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을 하향 피봇트시켜 경사 롤러(13),(14)에 직접 접근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경사 플랩(35,36,49,50)은 이들이 하부 안전 위치에 지지되는 하향 복귀력을 받는다.
이러한 복귀력은 플랩의 무게로 야기되는 단순한 중력 구동 복귀력이다. 예를 들면, 도3 내지 20에 도시된 기본 실시예는 이 경우 이다.
별도의 탄성 복귀력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측면 요소(33),(34)는 각기 탄성 추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에 이러한 하향 복귀력을 가한다.
이러한 탄성 추력 시스템(67),(6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21 내지 34에 명백하게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력 스프링(69),(70)이 상응한 경사 안내 롤러(13),(14)의 축(15),(16) 단부에 고정된 마운팅(71)상에 설치된다.
상기 추력 스프링(69),(70) 각각은 예를 들어, 완전히 눌려진 피스톤(73),(72)(평판 또는 삼각형 로드)에 의해서 상응한 측면 요소(33),(34)의 전방 경사 플랩(49)과 후방 경사 플랩(50)의 상부에 눌려서 이들을 하방으로 누르고 이들을 하부 안전 시스템 내부에 유지시킨다.
2개의 삼각형 플랩을 가지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69),(70)은 특히 전방 플랩(49)의 상부 후방 코너(74)의 면적부와 각각의 측면 요소(33),(34)의 후방 플랩(50)의 전방 상부 코너(75)의 면적부위에서 모두 눌린다. 따라서, 하나의 스프링(69) 또는 (70)은 각각의 측면 요소(33),(34)에 설치되며 이러한 측면 요소(33),(34)의 2개의 플랩을 동시에 누른다.
그러나, 각각의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용 하나의 스프링, 즉 측면 요소(33),(34)당 2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69),(70)들은 상응한 경사 플랩(49),(50)과 동일한 경사로 위치되어 트랙의 일반적인 평면에 상응한 방향으로 이들에 하향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양호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력 스프링(69),(70)의 마운팅(71)은 측벽(76)까지 늘어나서 상응한 경사 플랩을 넘어서 시스템의 측면에 연장한다, 이러한 측벽(76)은 경사 플랩의 상부의 측면, 특히 2개의 삼각형 플랩을 가지게 도시된 실시예의 전방 플랩(49)의 상부 후방 코너(74)와 후방 플랩(50)의 상부 전방 코너(75)의 측면에 대한 평평한 지지벽으로 유익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압력은 경사 플랩의 비틀림 저항을 유익하게 개선시키며 더우기 이들 피봇트 축(42,43,55,56)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이들 모든 경사 플랩(35,36) 또는 (49,50)은 단순한 중력 또는 탄성 추력 시스템(67,68)의 하향 복귀력을 받으며 가이던스 시스템(1)을 차량에 연결하는 탄성력 연결부(6)에 의해서 또는 가이던스 헤드의 무게에 의해서 작용하는 안내 레일을 향한 압력으로 가이던스 시스템(1)이 안내 레일(23)에 그리고 그 주위에 자동 재결합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재결합 수단은 탈선방지 장치(32)가 안내 레일(23)과의 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그 위를 통과할 때 작동한다.
이러한 자동 재결합 수단이 작동하도록 플랩, 적당한 장소의 탄성 추력(67,68)의 수단들은 수직한 하향 복귀 요소의 합이 가이던스 시스템(1)을 차량에 연결하는 탄성력 연결부(6) 또는 가이던스 헤드의 무게에 의해서 가해지는 안내 레일을 향한 압력의 힘보다 약하게 유지되는 크기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결합 장치(32)를 가지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의 작동은 상기에 언급한 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지고 기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9 내지 20을 참조로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23 내지 34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9,10 및 23,24에는, 상기 장치가 통상 사용 상태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상황은 장치의 만족스러운 안내에 상응하고, 가이던스 시스템(1)의 가이던스 헤드(2)는 2개의 경사 롤러(13),(14)를 통해 지상의 안내 레일(23)과 결합하며, 안내 롤러는 안내 레일(23)의 헤드(24)의 경사진 롤링 트랙(27),(28)위를 구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측면 요소(33),(34)의 경사 플랩(35,36) 또는 (49,50)은 하부 안전 위치에 있고 그 하부(39,40) 또는 (51,52)는 안내 레일(23)의 돌출 측면(25,26) 하부로 연장한다.
상기 하부(39),(40) 또는 하부(51,52)와 다른 측면 요소의 상응부 사이의 거리는 안내 레일(23)의 헤드(24)가 이를 가로지르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가이던스 헤드(2)는 안내 레일(23)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2개의 경사 롤러(13),(14)들은 안내 레일(23)의 헤드(24)의 경사 롤링 트랙(27,28)과의 롤링 접촉을 유지한다.
상기 경사 플랩(35,36) 또는 (49,50)들은 하부 안전 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되며, 제1 경우에는 그들 자신의 무게에 의해서 밀어 붙여지고 상부로 기울어지며 아니면 제2 경우에는 탄성 추력 시스템(67,68)에 의해서 경사 플랩(49,50) 위에 연속적으로 눌리고 하부로 밀쳐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2개의 측면 요소(33,34)의 경사 플랩(35,36) 또는 (49,50)들은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을 저지하고 이들의 합쳐진 작용으로 바람직한 탈선방지 안전을 제공한다.
예외적으로 가이던스 시스템이 안내 레일로부터 이탈되면, 본 발명의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의 재결합 수단이 기본 실시예에서는 도11 내지 20에 도시되듯이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도24 내지 34에 도시되듯이 자동적으로 또는 명령에 의해 작동된다.
이탈의 결과로, 가이던스 헤드(2)가 도11,12 및 25,26에 도시되듯이 레일 헤드(24)위에 위치된다. 경사 플랩(35,36)의 무게와 추력 스프링(69,70)의 압력은 어떤 반대되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경사 플랩위에 작용한다. 이것은 경사 플랩이 하부로 피봇트되고 이들을 하부 안전 위치에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사 플랩의 하부(39,40,51,52)들이 상응부들을 향하여 밀쳐지나 레일과는 결합하지 않는다.
가이던스 헤드(2)를 차량에 연결하는 연결부(6)가 가이던스 헤드(2)에 힘을 가하고 이를 안내 레일을 향하여 누르기 때문에 가이던스 헤드(2)는 자동으로 하부로 밀쳐지고 한번 더 안내 레일(23)을 향하여 내려간다.
상기 측면 요소(33,34)의 경사 플랩(35,36,49,50)들은 하부 안전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부(39,40) 또는 하부(51,52)와 다른 측면 요소의 상응부 사이의 거리는 안내 레일(23)의 헤드(24)가 가이던스 헤드(2)의 하강 중에 경사 플랩 사이를 통과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경사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는 레일 헤드(24)에 접하게 되고 특히 도13,14 및 도27,28에 도시되듯이 안내 레일(23)의 경사 롤링 트랙(27,28)에 접하게 된다.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 특히 도시된 실시예의 경사 롤링 트랙(27,28)은 경사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에 반발력을 가하고 경사 플랩들은 가이던스 헤드(2)의 하향 복귀력에 대항한다. 이러한 상향 반발력은 강도가 가이던스 헤드에 의해서 가해지는 복귀력과 같은 상향 재결합력을 이룬다.
설계에 따르면, 경사 플랩(35,36,49,50)과 적당한 장소의 탄성 추력 시스템(67,68)은 경사 플랩에 가해지는 그 수직 하향 복귀 요소의 합이 가이던스 헤드(2)의 하향 복귀력 보다 적게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이 합은 레일 헤드에 의해서 반응하는 재결합력 보다 적다.
상기 재결합력은 경사 플랩(35,36,49,50)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하향 복귀력에 반작용하며 이들 플랩의 하부(39,40,51,52)를 하부로 밀어붙인다. 따라서, 경사 플랩(35,36,49,50)은 이들이 도17,18,29,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재결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이던스 헤드(2)가 도15,16,29,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가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상부로 피봇트된다.
이들 피봇트 축은 경사져 있어 플랩은 개방된다. 만약 축들이 수평이면 플랩들은 경사져 있더라도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플랩(35,36,49,50)의 상향 피봇팅과 그 회전축의 경사로 인해서 각각의 측면 요소(33,34)의 하부(39,40,51,52)는 이들이 상승 재결합 위치에 올 때까지 이들 마주보는 상응부로부터 점차적으로 분리되고 안내 레일의 헤드(24)가 이들 사이를 통과하기에 충분하게 거리가 벌어진다.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수직 롤러를 가지는 가이던스 시스템에서는 경사 트랙(27,28)의 안내 레일(23)의 헤드(24)가 있으면 유리한데 이는 이러한 경사 트랙(27,28)들이 플랩의 피봇팅 이동을 도와주고 점차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램프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 플랩(35,36,49,50)들이 상승 재결합 위치에 있을 때 안내 레일의 헤드(24)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의 측면 요소(33,34)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가이던스 헤드(2)는 안내 롤러(13,14)가 안내 레일(23)의 헤드(24) 위에서 각각의 롤링 트랙(27,28)과 한번 더 접촉할 때까지 연속해서 하향이동 할 수 있다.
상기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가 안내 레일(23)의 돌출 측면(24,26)을 지나자마자, 경사 요소위에 가해지는 상향 반발력은 사라진다.
상향 재결합력이 사라지면, 경사 플랩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하향 복귀력에 대항하는 것도 없어진다. 경사 플랩의 무게 또는 추력 스프링(69,70)에 의해 발생하는 이러한 복귀력은 이들이 하부 안전 위치에 올 때까지 경사 플랩의 하향 피봇팅을 일으키고 이들 하부(39,40,51,52)는 도19,20,3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23)의 돌출 측면(25,26) 하부로 연장한다.
그리고 재결합은 완료된다.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은 상기에 언급된 통상 안내 상태로 다시 오고 경사 플랩(35,36,49,50)들이 하부 안전 위치에서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은 요구되는 탈선방지 안전 기능을 다시 한번 수행한다.
상기 플랩 또는 각각의 플랩의 복귀 스프링은 명령에 의해서 개폐되는 작동기와 교체 가능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안내 레일로부터 의도적으로 분리시키는데 유용하다.
분명하게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되고 여러 개의 도면에 도시된 참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정된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경을 이루고 기타 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가 지상의 안내 레일(23)의 헤드(24)의 상부 면위에서 구르게 설계되고, 각각의 측면(25,26)은 레일의 몸체(31)에 요부(29,30)에 의해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는 가이던스 시스템(1)의 마운팅(12)상의 축(15,16)상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은 상기 안내 레일과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던스 헤드(2)의 이동으로 변형되는 연결부(6)에 의해서 차량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던스 헤드(2)를 상기 안내 레일(23)의 헤드(24)와 접촉하게 유지시키고;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은 각각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측면 요소(33,34)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의 기저부(38,40,51,52)는 사용시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요부(29,30) 하부에 위치하게 설계되어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을 야기시키는 힘에 대응하게 구성된 도로 차량용 가이던스 시스템(1)의 가이던스 헤드(2)의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요소(33,34)는 상기 안내 레일(23)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은 경사진 피봇트 축(42,43,55,56) 주위에서 피봇트 굴절되어, 이것은 다음 위치 사이에서 피봇트되며;
    상기 하부(39,40,51,52)가 사용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요부(29,30) 하부로 연장하여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에 저항하는 하부 안전위치 및;
    상기 하부(39,40,51,52)가 사용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측면(25,26)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안내 레일(23)에 대한 수직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안내 레일(23)로부터 또는 그 위로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 또는 재결합이 이루어지는 상승 재결합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이 상기 하부 안전 위치로 이를 유지시키나 하향력을 초과하는 상향력이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에 가해지거나 이러한 피봇팅이 작동기에 의해서 지시되면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을 상기 상승 재결합 위치로 피봇트시키는 하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의 경사진 상기 피봇트 축(42,43,55,56)은 상기 안내 레일(23)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고 상기 플랩(35,36,49,50)이 하부 안전 위치에 있으면 상기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의 경사진 상기 피봇트 축(42,43,55,56)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4. 상기 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49,50)에 가해지는 하향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49,50)의 무게에 의해서 야기되는 단순한 중력 복귀력이거나 별도의 탄성 하향 복귀력에 의해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요소(33,34)는 추력 스프링(69,70) 또는 별도의 탄성 하향 복귀력을 가하는 다른 추력 탄성 수단(67,69)을 포함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6. 상기 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은 전방 코너가 모따지거나 모따지지 않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의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7. 상기 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의 하부를 덮는 덮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은 페어링 방식으로 덮개 벤드(37,38)에 의해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9. 상기 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의 하부(39,40)의 전방단 또는 전방단 및 후방단은 배출 비크(4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0. 상기 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은 상기 축(15,16)이 통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가 마운팅(12)상에 고정되어 이러한 축(15,16)이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15,16)을 지나 연장하는 절단부(45,4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15,16)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의 하부 안전 위치에서는 상기 절단부(45,46)의 상부 림(47)이 상기 축(15,16)의 상부를 눌러서 저속 주행 제한구로서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플랩(35,36)의 상승 재결합 위치에서는 상기 절단부(45,46)의 하부 림(48)을 상기 축(15,16)의 하부에 눌러서 고속 주행 제한구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요소(33,34)가 2개의 경사 플랩, 즉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을 포함하고 이러한 전후방 플랩(49,50) 각각은 경사 피봇트 축(55,56) 주위로 피봇트되게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굴절되며, 이들 각각은 다음의 위치사이에서 피봇트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51,52)가 사용시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요부(29,30) 하부로 연장하는 하부 안전위치 및;
    상기 각각의 하부(51,52)가 사용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측면(25,26)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안내 레일(23)에 대한 수직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안내 레일(23)로부터 또는 그 위로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 또는 재결합이 이루어지는 상승 재결합 위치;
    이러한 전후방 플랩(49,50)은 상기 하부 안전 위치로 이를 유지시키나 하향력을 초과하는 상향력이 전방 플랩(49)의 하부(51)와 후방 플랩(50)의 하부(52)에 가해지거나 이러한 피봇팅이 작동기에 의해서 지시되면 상기 상승 재결합 위치로 피봇트시키는 하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들이 일반적으로 전체로 삼각형이며 하나의 플랩(35,36)의 형태를 거의 재구성하도록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연장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4. 제12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랩(49)의 경사진 피봇트축(55)이 그 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 플랩(50)의 경사진 피봇트 축(56)이 상기 후방 플랩(5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5. 제12 내지 14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 각각은 하나의 경우에는 상기 전방 플랩(49)의 후방 모서리(61)위에서 개방되고 다른 경우에는 상기 후방 플랩(50)의 전방 모서리(62)위에서 개방되어서 전방 플랩(49)과 후방 플랩(50)이 모두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절단부(59,60)는 서로 반대로 연장하고 서로에 대해 대응하여 상기 축(15,16)이 통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13,14)가 상기 마운팅(12)에 고정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6. 제12 내지 15항들 중 어떤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랩(49)의 하부(51)의 전방단과 후방 플랩(50)의 하부(52)의 후방단에 배출 비크(53,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요소(33,34)의 각각은 상기 레일 안내부(23)를 향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은 다음 위치 사이에 피봇트되는 경사진 피봇트축(42,43,55,56) 주위로 피봇트 굴절되며;
    상기 하부(39,40,51,52)가 사용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요부(29,30) 하부로 연장하여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에 저항하는 하부 안전위치 및;
    상기 하부(39,40,51,52)가 사용시 상기 안내 레일(23)의 상응한 벽(25,26)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안내 레일(23)에 대한 수직 통로를 제공하여 상기 안내 레일(23)로부터 또는 그 위로 상기 가이던스 시스템(1)의 이탈 또는 재결합이 이루어지는 상승 재결합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이 상기 하부 안전 위치로 이를 유지시키나 하향력을 초과하는 상향력이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의 하부(39,40,51,52)에 가해지거나 이러한 피봇팅이 작동기에 의해서 지시되면 적어도 하나의 플랩(35,36,49,50)을 상기 상승 재결합 위치로 피봇트시키는 하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방지 안전 시스템(32).
KR1020147013724A 2011-11-22 2012-11-20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 KR20140098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0665A FR2982827B1 (fr) 2011-11-22 2011-11-22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a reen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roulant sur un rail de guidage
FR1160665 2011-11-22
PCT/IB2012/056560 WO2013076645A1 (fr) 2011-11-22 2012-11-20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a reen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roulant sur un rail de guid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086A true KR20140098086A (ko) 2014-08-07

Family

ID=4755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724A KR20140098086A (ko) 2011-11-22 2012-11-20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40331887A1 (ko)
EP (1) EP2782807A1 (ko)
JP (1) JP2015501750A (ko)
KR (1) KR20140098086A (ko)
CN (1) CN103946098B (ko)
BR (1) BR112014011763A2 (ko)
CA (1) CA2855737A1 (ko)
CL (1) CL2014001253A1 (ko)
CO (1) CO6960517A2 (ko)
FR (1) FR2982827B1 (ko)
RU (1) RU2014119553A (ko)
WO (1) WO2013076645A1 (ko)
ZA (1) ZA2014034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6863A1 (fr) * 2012-06-20 2013-12-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protection contre une perte de guidage d'un véhicule guidé
JP6789560B1 (ja) * 2020-04-23 2020-11-25 株式会社今井鉄工所 脱輪・落下防止装置
CN114523383A (zh) * 2022-02-28 2022-05-24 绿友集团新能源车辆有限公司 一种车辆配件加工用打磨装置及方法
CN116129374B (zh) * 2023-04-12 2023-07-1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轨旁多功能探伤集群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597A (en) * 1872-07-02 Improvement in railways
US3447481A (en) * 1966-03-14 1969-06-03 Gorham Universal Mfg Co Inc Locomotor and rail apparatus therefor
US5325788A (en) * 1993-01-07 1994-07-05 Smmart Equipment Inc. Safety trolley restraint system for railroad bridges having pivotal clamping rollers
FR2715119B1 (fr) * 1994-01-20 1996-02-23 Lohr Ind Bras perfectionné d'autoguidage d'un véhicule routier le long d'un rail directeur.
AUPM894294A0 (en) * 1994-10-20 1994-11-10 Bishop, Arthur Ernest Railway track
FR2735728B1 (fr) * 1995-06-23 1997-08-08 Lohr Ind Ensemble d'alimentation electrique et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 sol pour vehicule sur roues
FR2759340B1 (fr) * 1997-02-11 1999-04-09 Lohr Ind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FR2778161B1 (fr) * 1998-04-30 2000-07-21 Lohr Ind Ensemble bidirectionnel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torisant un deport lateral pour un essieu routier
US6418856B2 (en) * 1999-11-11 2002-07-16 Raytheon Company Passive steering assembly for a guided vehicle
WO2004002800A1 (en) * 2002-06-26 2004-01-08 Roane Jerry M System of mass transit
FR2846917B1 (fr) * 2002-11-08 2005-01-07 Lohr Ind Dispositif de controle permanent de la mise a la terre pour un ve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electrique sur pneus et autoguide
FR2860480B1 (fr) * 2003-10-02 2007-01-26 Eurodim Sa Systeme de guidage pour vehicule le long d'au moins un rail directeur.
FR2865986B1 (fr) * 2004-02-09 2007-04-13 Lohr Ind Galet incline de guidage a utiliser par pair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le long d'un rail.
JP3800236B2 (ja) * 2004-12-14 2006-07-26 昌人 八川 脱線防止装置
FR2909061B1 (fr) *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FR2910423B1 (fr) * 2006-12-22 2009-02-20 Lohr Ind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pour un ensemble de guidage par deux galets inclines roulant sur un rail.
BR112012001890B1 (pt) * 2009-07-28 2019-12-10 Siemens Sas método e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descarrilhamento adaptado a um veículo guiado
FR2981904B1 (fr) * 2011-10-28 2013-11-01 Lohr Ind Systeme de controle dynamique du roulage du ou des galets de guidag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d'un vehicule le long d'au moins un rail.
EP2641806A1 (fr) * 2012-03-21 2013-09-25 Siemens S.A.S. Dispositif de maintien d'une trajectoire d'un véhicule guidé en cas de déraillement et/ou déguidage.
EP2676863A1 (fr) * 2012-06-20 2013-12-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protection contre une perte de guidage d'un véhicule guid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6098B (zh) 2017-02-22
CL2014001253A1 (es) 2014-11-07
BR112014011763A2 (pt) 2017-05-16
US20140331887A1 (en) 2014-11-13
CA2855737A1 (fr) 2013-05-30
EP2782807A1 (fr) 2014-10-01
WO2013076645A1 (fr) 2013-05-30
FR2982827B1 (fr) 2013-11-29
RU2014119553A (ru) 2015-11-20
CO6960517A2 (es) 2014-05-30
FR2982827A1 (fr) 2013-05-24
JP2015501750A (ja) 2015-01-19
ZA201403459B (en) 2015-07-29
CN103946098A (zh)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8086A (ko) 안내 레일위에서 롤링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 유니트를 위한 탈선방지 및 재차 레일링하는 안전장치
US9187248B2 (en) Roller conveying module with separating device
US4938647A (en) Truck actuated vehicle restraint having a pivotable slide
CN1982195B (zh) 具有可折叠的自锁式轿厢裙板的电梯安全系统
CN103079983A (zh) 升降机竖井门解锁机构
WO2014125040A1 (en) A loading bay docking system
JP2010510923A (ja) 航空機用ローダのための仕切装置
CN113060060A (zh) 自卸料式防爆运输车
CN110901685B (zh) 防跑车装置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EP1999043B1 (de) Werkstückträgersystem
CN111005329B (zh) 基于道路安全的车辆防逆行装置
CN107605298A (zh) 主动弹起式前机盖铰链
CN101486365B (zh) 摩擦驱动搬运装置
CN109422186B (zh) 一种提升机罐笼自动阻车器
CN214141172U (zh) 一种具有挡车器的罐笼
CN211110587U (zh) 一种罐笼内阻车器
CN211945856U (zh) 一种施工升降机翻板门的缓冲结构
CN109677440B (zh) 转向架及具有其的车辆
CN209411563U (zh) 一种物料提升机防护门联动装置
CN207108209U (zh) 罐笼挡车器
JPH0710892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CN213265202U (zh) 一种电梯轿顶检修安全防护装置
CN211711800U (zh) 具有缓冲效果的防滑链构件
CN2347939Y (zh) 输送机紧急停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