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897A -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897A
KR20140094897A KR1020130007523A KR20130007523A KR20140094897A KR 20140094897 A KR20140094897 A KR 20140094897A KR 1020130007523 A KR1020130007523 A KR 1020130007523A KR 20130007523 A KR20130007523 A KR 20130007523A KR 20140094897 A KR20140094897 A KR 2014009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aximum
current
load torqu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804B1 (ko
Inventor
이주형
노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804B1/ko
Priority to CN201410015474.3A priority patent/CN103944486B/zh
Priority to EP14151092.5A priority patent/EP2760125B1/en
Priority to US14/161,359 priority patent/US9257935B2/en
Publication of KR2014009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모터 및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소자;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부하 토크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토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을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모터가 포화(Saturation)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모터에 발생하는 가진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가진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1), 모터(1)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부(2), 토크패턴(TP)이 저장되는 저장부(3), 및 제어부(10)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10)는, 모터 속도가 지령 속도를 추종하도록 지령전류크기를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11), 지령전류크기를 토크패턴(TP)에 맞추어서 보상하는 보상부(12), 보상된 지령전류크기를 지령전류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13), 및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지령전류에 추종하도록 지령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제어부(14)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의 토크패턴(TP)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이 발생되도록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모터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모터는 정속으로 제어되며, 모터의 정속 운전은 가진의 발생을 줄여 압축기의 소음 및 고장 발생을 줄인다.
다만,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가 포화(Saturation)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포화(Saturation)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는 수용할 수 있는 최대 모터 출력을 갖는데 토크패턴(TP)으로 입력된 부하 토크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이 최대 모터 출력 보다 더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가 너무 커서 모터를 정속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모터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전류값 보다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터에 최대 전류값 보다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할 수는 없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90052605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모터의 포화(Saturation) 상태에서도 적용가능한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모터 및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소자;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부하 토크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토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을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토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과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을 비교하는 최대 토크 비교부; 상기 부하 토크와 상응하는 모터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모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전류값을 산출하는 토크 보상 산출부; 및 상기 최대 토크 비교부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토크 보상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하는 수정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값 산출부는,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수정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토크 보상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롤링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모터의 회전시 상기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전력소자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경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모터를 흐르는 전류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인 경우,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모터의 정속 회전을 위해 상기 부하 토크와 상응하는 모터 출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일회전은, 베인과 롤링 피스톤이 흡입측에서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1 구간;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2 구간; 및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베인과 상기 롤링 피스톤이 배출측에서 만나는 지짐까지인 제 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상기 토크 보상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과 같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모터가 포화(Saturation)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모터에 발생하는 가진을 최소화한다.
모터에 발생되는 가진이 최소화됨에 따라, 소음이 감소하며 고장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가 적용되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의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 수행시 부하 토크 및 모터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b)는 (a)에서 부하 토크 및 모터 출력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가 적용되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의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 수행시 부하 토크 및 모터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b)는 (a)에서 부하 토크 및 모터 출력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100), 전원 공급부(200), 전력소자(300), 부하 토크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0)는, 전력이 공급되면 모터(100)와 연결된 타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모터(100)는, 일례로서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롤링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는, 모터(도 3의 100 참조), 회전축(110), 롤링 피스톤(120), 실린더(130), 및 베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0)는 회전축(110)과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며,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10)과 연결된 롤링 피스톤(120)도 회전하게 된다. 롤링 피스톤(120)은 실린더(13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여 실린더(130) 내부의 냉매를 압축한다. 베인(140)은 실린더(130) 내부를 흡입공간과 압축공간으로 구분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롤링 피스톤(120)의 압축행정시 그 롤링 피스톤(120)의 외주면이 실린더(13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롤링 피스톤(120)과 결합한 회전축(110)이 가진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에 적용되는 경우 그 효용성이 크다.
전원 공급부(200)는 모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200)는 후술할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모터(100)에 다양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력소자(300)는 모터(100)와 전원 공급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전력소자(300)에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퓨즈가 끊어져 전력소자(300)를 통해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여기서, 전력소자(300)의 전류 최댓값은 모터(100)가 감당할 수 있는 전류의 최댓값 보다 같거나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 토크 감지부(400)는, 모터(100)의 회전시 모터(100)에 발생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하 토크 감지부(400)는 모터(100)에 발생되는 부하 토크를 롤링 피스톤(110)의 회전각 0° 내지 360°를 하나의 주기로 하는 토크패턴(TP)의 형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주기로 감지된 토크패턴(TP)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부하 토크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전력소자(300)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경우 모터(10)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을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모터(10)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모터의 일회전은, 베인(140)과 롤링 피스톤(120)이 흡입측에서 만나는 지점부터 롤링 피스톤(120)이 회전하여 모터(100)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가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1 구간(Ι), 부하 토크가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부터 롤링 피스톤(120)이 회전하여 부하 토크가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2 구간(Ⅱ), 및 부하 토크가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부터 롤링 피스톤(120)이 회전하여 베인(140)과 롤링 피스톤(120)이 배출측에서 만나는 지짐까지인 제 3 구간(Ⅲ)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의 제 2 구간(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부하 토크가 아무리 크더라도 전력소자(300)의 퓨즈가 끊어지지 않도록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모터(100)로 공급되는 것을 막는다.
여기서, 전력소자(300)의 전류 최댓값은 도 5의 (a)에서의 최대 모터 출력과 대응하게 된다. 모터 출력이란 모터(100)에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 값이며, 최대 모터 출력은 모터(100)에 전류 최댓값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 값이기 때문이다.
다만, 제 2 구간(Ⅱ)에서는 부하 토크의 크기가 모터 출력의 크기 보다 커지는바 모터 회전 속도는 감속되게 된다.
제어부(500)는 제 2 구간(Ⅱ)에서 감속된 모터 회전 속도를 제 1 구간(Ⅰ) 및 제 3 구간(Ⅲ)에서 극복하여 하나의 주기(롤링 피스톤(110)의 회전각 0° 내지 360°) 내에서는 모터 회전 속도의 총 감속량 및 총 가속량의 합이 0이 되도록 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모터 회전 속도의 총 감속량(B)는 모터 회전 속도의 총 가속량(A+C)과 같다.
제어부(500)의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모터(100)가 다수의 주기를 작동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주기의 모터 평균 회전 속도는 같도록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전류 산출부(510), 최대 토크 비교부(520), 토크 보상 산출부(530), 및 수정값 산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산출부(510)는, 모터(100)의 회전 속도를 입력하면 모터(100)에 공급되어야 할 전류를 산출한다.
최대 토크 비교부(520)는, 부하 토크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과 전력소자(200)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토크를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토크 보상 산출부(530)는, 전류 산출부(510)에 의해 산출된 모터(100)에 공급되어야할 전류에 부하 토크를 보상하여 전류의 크기를 산출한다. 즉, 모터(100)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와 모터(100)에서 발생하는 모터 출력의 크기가 대응하도록 전류의 크기를 산출한다.
수정값 산출부(540)는, 최대 토크 비교부(520)에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전력소자(200)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토크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토크 보상 산출부(530)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수정값 산출부(540)는,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이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수정하고 모터(100)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토크 보상 산출부(530)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한다.
수정값 산출부(540)는, 수정값을 산출하기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ΔTmin을 구한다. ΔTmin은 제 1 구간(Ι) 및 제 3 구간(Ⅲ)에서 최대 모터 출력과 실제 모터 출력의 차이값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여 ΔTmin의 산출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2 구간(Ⅱ)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B)를 산출한다. 제 2 구간(Ⅱ)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B)은 부하 토크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를 기초로 산출가능하다.
이후, 제 1 구간(Ι)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A) 및 제 3 구간(Ⅲ)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C)의 합이 제 2 구간(Ⅱ)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B)과 같아지도록, 제 1 구간(Ι)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A) 및 제 3 구간(Ⅲ)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C)를 결정한다. 이때, 제 1 구간(Ι) 및 제 3 구간(Ⅲ) 모두에서 모터 출력의 최솟값을 ΔTmin으로 같아지도록 ΔTmin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ΔTmin을 산출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 및 모터 토크의 최솟값의 차이인 토크 오차(D)가 최소화되어 발생되는 가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모터 제어 방법은 압축기의 운전을 시작함으로써 시작된다(S100).
이후, 압축기의 모터(도 3의 100 참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한다(S200). 부하 토크의 감지는 부하 토크 감지부(400)에 의할 수 있다.
이후,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전력소자(도 3의 300 참조)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0 단계는 제어부(500)의 최대 토크 비교부(520)에 의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에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한다(S400).
여기서,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라 함은, 모터(100)를 흐르는 전류의 최댓값이 전력소자(300)의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모터(100)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도 5의 제 1 구간(Ι) 및 제 3 구간(Ⅲ) 동안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후술할 토크 보상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도 5의 제 1 구간(Ι)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제 3 구간(Ⅲ)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의 합이 제 2 구간(Ⅱ)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과 같도록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도 5의 제 1 구간(Ι)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제 3 구간(Ⅲ)에서의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이 같아지도록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에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한다(S500).
여기서, 토크 보상 제어는, 모터(100)의 정속 회전을 위해 부하 토크와 상응하는 모터 출력이 발생되도록 모터(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살핀 바와 같이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최대 모터 출력 보다 큰 경우(포화(Saturation) 상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터 및 압축기에 발생하는 가진을 감소시켜 소음 및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터
200 : 전원 공급부
300 : 전력소자
400 : 부하 토크 감지부
500 : 제어부
510 : 전류 산출부
520 : 최대 토크 비교부
530 : 토크 보상 산출부
540 : 수정값 산출부

Claims (10)

  1.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모터 및 상기 전원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류 최댓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소자;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시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부하 토크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토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을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토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부하 토크의 최댓값과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을 비교하는 최대 토크 비교부;
    상기 부하 토크와 상응하는 모터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모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전류값을 산출하는 토크 보상 산출부; 및
    상기 최대 토크 비교부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토크 보상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하는 수정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값 산출부는,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수정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토크 보상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전류값을 수정하는,
    모터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원피스톤 로터리 압축기의 롤링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모터인,
    모터 제어 장치.
  5. (a) 모터의 회전시 상기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모터와 연결된 전력소자의 전류 최댓값에 의한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이상인 경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모터를 흐르는 전류의 최댓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터의 일회전 동안 발생되는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과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이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부하 토크의 최댓값이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인 경우, 토크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모터의 정속 회전을 위해 상기 부하 토크와 상응하는 모터 출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일회전은,
    베인과 롤링 피스톤이 흡입측에서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1 구간;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이 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까지인 제 2 구간; 및
    상기 부하 토크가 상기 최대 모터 출력 미만이 되는 지점부터 상기 롤링 피스톤이 회전하여 상기 베인과 상기 롤링 피스톤이 배출측에서 만나는 지짐까지인 제 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상기 전류 최댓값 미만이 되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이 상기 토크 보상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의 합이 상기 제 2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감속량과 같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토크 보상 제어는, 상기 제 1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 및 상기 제 3 구간에서의 상기 모터 회전 속도의 가속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방법.
KR1020130007523A 2013-01-23 2013-01-23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23A KR102136804B1 (ko) 2013-01-23 2013-01-23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410015474.3A CN103944486B (zh) 2013-01-23 2014-01-14 马达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EP14151092.5A EP2760125B1 (en) 2013-01-23 2014-01-14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4/161,359 US9257935B2 (en) 2013-01-23 2014-01-22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523A KR102136804B1 (ko) 2013-01-23 2013-01-23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97A true KR20140094897A (ko) 2014-07-31
KR102136804B1 KR102136804B1 (ko) 2020-07-22

Family

ID=4991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23A KR102136804B1 (ko) 2013-01-23 2013-01-23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7935B2 (ko)
EP (1) EP2760125B1 (ko)
KR (1) KR102136804B1 (ko)
CN (1) CN10394448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2828A (zh) * 2015-02-11 2015-06-03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电机功率限制方法和电机控制系统
KR20190059362A (ko) * 2017-11-23 2019-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0802B (zh) * 2014-10-17 2016-12-07 南京理工大学 一种电梯防溜车驱动控制系统及驱动控制方法
CN105680738B (zh) * 2014-11-19 2018-05-1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永磁同步磁阻电机的电流控制方法及系统
TWI602390B (zh) * 2016-05-04 2017-10-11 金寶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馬達裝置及馬達控制方法
JP7188871B2 (ja) * 2017-06-28 2022-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貨物自動車
JP6566105B2 (ja) * 2017-09-29 2019-08-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109974910B (zh) * 2017-12-27 2021-01-2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扭矩检测方法及装置
CN109713983A (zh) * 2018-12-29 2019-05-03 常州朗奇威电器有限公司 过流保护系统、控制器及过流保护方法
JP7010261B2 (ja) * 2019-03-22 2022-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と制御方法
CN114719476B (zh) * 2022-03-03 2023-12-15 上海海立(集团)股份有限公司 压缩机及其运行控制方法和系统、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773A (ja) * 1993-06-30 1995-03-31 Fujitsu General Ltd 無整流子電動機の制御方法
KR20050065094A (ko) * 2003-12-24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109826A (ja) * 2006-10-27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制御装置並びに冷凍空調装置
KR20090039832A (ko) * 2006-08-31 2009-04-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제어장치
KR20090061478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42031A (ja) * 2008-12-12 2010-06-24 Hitachi Appliances Inc 磁石モ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2011050244A (ja) * 2010-12-07 2011-03-10 Daikin Industries Ltd 圧縮機駆動方法および圧縮機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3429A (ko) * 1973-08-31 1975-05-29
US4085355A (en) * 1976-04-26 1978-04-18 Fradella Richard B Variable-speed regenerative brushless electric motor and controller system
DE2648150C2 (de) * 1976-10-25 1982-09-30 Danfoss A/S, 6430 Nordborg Anordnung zur Steuerung der Drehzahl eines über einen Zwischenkreisumrichter gespeisten Asynchronmotors
US4305471A (en) * 1979-04-19 1981-12-1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implified fastening technique using the logarithmic rate method
US4306449A (en) * 1979-12-05 1981-12-22 Caterpillar Tractor Co.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ember
JPS5846413A (ja) * 1981-09-14 1983-03-17 Hitachi Ltd 電気サ−ボ機構
US4427930A (en) * 1981-12-23 1984-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vehicle current regulator
US4659976A (en) * 1985-04-24 1987-04-21 Dresser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utilization of an electric motor under load
US5272429A (en) * 1990-10-01 1993-12-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Air gap flux measurement using stator third harmonic voltage and uses
JP3297073B2 (ja) * 1992-03-31 2002-07-0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3084928B2 (ja) * 1992-05-29 2000-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位置制御装置
JP3399134B2 (ja) * 1994-12-12 2003-04-21 株式会社明電舎 極数切替電動機の運転制御装置
MY122977A (en) * 1995-03-14 2006-05-31 Panasonic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ntrol and brushless motor starter used in same
EP0982844B1 (en) * 1996-08-19 2009-06-03 Daikin Industries, Limited Synchronous motor driving device
GB9715248D0 (en) * 1997-07-18 1997-09-24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Starting of single-phase motors
US6075332A (en) * 1998-05-14 2000-06-13 Mccann; Roy A. Predictive conductive angle motor control system for brake-by-wire application
KR100312772B1 (ko) * 1998-12-15 2002-11-22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속도제어장치
DE10106243A1 (de) * 2001-01-31 2002-08-01 Behr Gmbh & Co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Kompressors
EP1389817A1 (en) * 2002-07-26 2004-02-18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a torque variation of an electric DC motor
US6690139B1 (en) * 2002-09-19 2004-02-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motor current at low frequencies
JP4274800B2 (ja) * 2003-01-07 2009-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ータの制御装置、その制御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および冷蔵庫
KR100632689B1 (ko) * 2005-02-18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토크제어장치 및 방법
JP5010827B2 (ja) * 2005-11-16 2012-08-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DE102006040660A1 (de) * 2006-08-30 2008-03-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hrfrequenten Ansteuerung eines Gleichstrommotors
US7495409B2 (en) * 2006-10-30 2009-02-24 David Coutu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stall and cogging in multi-phase stepping motors
JP5149695B2 (ja) * 2008-05-15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装置
US8604735B2 (en) * 2008-05-16 2013-12-1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n AC electric motor with field weakening
US8102133B2 (en) * 2008-07-09 2012-01-24 System General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BLDC motors
JP4582466B2 (ja) * 2008-09-12 2010-1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EP2251972B1 (en) * 2009-05-14 2014-07-02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hardware system for driving a stepper motor in feed-forward voltage mode
DE102009040139B4 (de) * 2009-09-05 2012-10-04 Trinamic Motion Control Gmbh & Co. K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ensorlosen Motorlasterfassung und zur lastwertabhängigen Motorstromregelung bei Schrittmotoren
EP2529480A2 (de) * 2010-01-30 2012-12-05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wirkungsgrades bei einem mehrphasigen motor, und motor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US8657585B2 (en) * 2010-02-08 2014-02-2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riving compressor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2158159B (zh) * 2011-04-29 2014-03-26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电动机驱动和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US9281770B2 (en) * 2012-01-27 2016-03-08 Ingersoll-Rand Company Precision-fastening handheld cordless power tool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773A (ja) * 1993-06-30 1995-03-31 Fujitsu General Ltd 無整流子電動機の制御方法
KR20050065094A (ko) * 2003-12-24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39832A (ko) * 2006-08-31 2009-04-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제어장치
JP2008109826A (ja) * 2006-10-27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制御装置並びに冷凍空調装置
KR20090061478A (ko) * 2007-12-11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42031A (ja) * 2008-12-12 2010-06-24 Hitachi Appliances Inc 磁石モ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2011050244A (ja) * 2010-12-07 2011-03-10 Daikin Industries Ltd 圧縮機駆動方法および圧縮機駆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2828A (zh) * 2015-02-11 2015-06-03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电机功率限制方法和电机控制系统
KR20190059362A (ko) * 2017-11-23 2019-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4486A (zh) 2014-07-23
EP2760125A3 (en) 2018-01-10
EP2760125B1 (en) 2021-01-13
US9257935B2 (en) 2016-02-09
CN103944486B (zh) 2016-08-17
US20140203747A1 (en) 2014-07-24
KR102136804B1 (ko) 2020-07-22
EP2760125A2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4897A (ko)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33909B2 (ja) 電動機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747622B2 (ja) 給水ポンプ制御装置
JP5291325B2 (ja) 圧縮機に接続されたモータの制御装置
JPWO2010103627A1 (ja) 交流回転機の制御装置
JP5211869B2 (ja) 電動機制御装置およびオフセット判定方法並びにオフセット補正方法
JP2010093995A (ja) モータ制御装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アコンディショナ
US10389289B2 (en) Generating motor control reference signal with control voltage budget
US11353830B2 (en) Servo control method
KR101539539B1 (ko) 유도전동기 제어장치
JP5752546B2 (ja) モータ制御装置、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
KR10048011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WO2019049987A1 (ja) 圧縮気体供給装置及び圧縮気体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2015220944A (ja) 同期電動機のセンサレス駆動装置
JP2020043631A (ja) 同期電動機制御装置
JP200409682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20152785A1 (ja) モータ制御方法、及び、モータ制御装置
JP7171446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8257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4140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3111498A (ja) 誘導電動機の速度センサレス制御装置
JP6786446B2 (ja) モータ制御装置
WO2020152830A1 (ja) 太陽光発電駆動システムおよび太陽光発電駆動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203909B2 (ja) 誘導モータ制御方法と装置
JPH1117838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5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26

Effective date: 2020051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