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958A -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958A
KR20140081958A KR1020120150243A KR20120150243A KR20140081958A KR 20140081958 A KR20140081958 A KR 20140081958A KR 1020120150243 A KR1020120150243 A KR 1020120150243A KR 20120150243 A KR20120150243 A KR 20120150243A KR 20140081958 A KR20140081958 A KR 2014008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extract
cordyceps
butanol fraction
bsb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웅
성재모
조재열
성기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958A/ko
Publication of KR2014008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뎅이동충하초(Beauveria sungii)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은 염증반응의 중요인자로 알려진 iNOS, COX-2에 의한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IkB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NFkB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COX-2 발현을 억제하며, BSBF는 ROS생성을 억제하여 NFKB와 p38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pha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eauveria sungii extract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활성을 갖는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 특히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충하초는 곤충군의 유충, 번데기, 성충의 전 시기에 걸쳐 침입하여 이를 기주로 하여 충체 전반에 걸쳐 자실체와 포자과를 형성한다. 대표적인 동충하초는 Cordyceps균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약 30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동충하초는 800년경 Fungus-born wasp라는 책에 기록된 이후 중국에서는 불노장생의 비약으로 결핵, 황달 등의 치료와 강장제로서의 효과가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병후의 보양 및 강장제, 폐병의 치료제, 아편 해독제, 천연미생물 농약제재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동충하초는 균주에 따라 암, 뇌졸중, 심장병 등 성인병에 대한 예방 및 개선효과가 최근 발견되어 잠재력이 무한한 품목이며, 국내에서는 번데기동충하초와 눈꽃동충하초로 인공 버섯을 만드는데 성공하여 이에 대한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번데기동충하초 이외에도 Cordyceps martialis , C. sobolifera , C.ophioglossoides 등이 매니톨 형성, 말라리아 치료제, 혈액순환효과, 폐와 신창 치료제로서 높은 의약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풍뎅이동충하초(Beauveria sungii)는 국내외에 거의 알려지지 않아서 그 생리활성을 탐색함으로써 신규한 항염성 물질을 개발하고, 항염제, 기능성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 풍뎅이동충하초의 제조방법에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362901호에는 풍뎅이동충하초 자실체의 대량생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또, 국내등록특허 제10-0530843호에는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서 인터루킨-1의 생산을 억제하여 피부염증을 억제하는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으며, "피부 소양증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노랑다발 동충하초의 알콜추출물"(등록특허 제10-1013061)에서는 혈청 중 IgE 농도를 감소시키는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또, "번데기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치료제"(공개특허 제10-2007-0102227호)에서는 염증유발물질을 억제하는 코디세핀이 개시된 바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0-0100489호에는 노랑다발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염증활성 약학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으나,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항염증활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을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염증물질인 nitrite(NO), iNOS 및 COX-2를 억제하는 항염효과가 있는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을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풍뎅이동충하초 자실체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부탄올로 분획한 다음,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NO, iNOS, COX-2, TNF-α, IL-1β, IkB, p65, Akt, p38의 억제효과와 ROS생성억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 특히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활성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은 염증반응의 중요인자로 알려진 iNOS, COX-2를 통한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반응 매개인자 IkB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ROS의 생성과 NF-kB 활성화를 조절하는 신호분자 Akt, p38의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풍뎅이동충하초 자연산(왼쪽), 인공자실체(오른쪽)의 사진이다.
도 2는 풍뎅이동충하초의 추출 및 분획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풍뎅이동충하초 분획물의 항염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nitrite, iNOS 및 COX-2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이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NO 및 iNOS mRNA 발현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TNF-α및 IL-1β mRNA의 발현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IkBα 인산화 활성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에 의한 NFkB의 subunit인 p65의 핵으로 translocation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에 의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Akt, Erk 및 p38의 인산화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ROS 생성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항염기작을 나타낸 도이다.
풍뎅이동충하초(Beauveria sungii)는 딱정벌레목의 풍뎅이 성충을 기주로 하여 기주의 두부와 복부마디로부터 1∼2본의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는 곤봉형의 머리부분과 이를 지지하는 원주형의 자루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지상부는 25~40×3~4mm로 담황색을 띠고 자루부분은 15~20mm이다. 유공자낭각은 달걀형으로 머리부분에 반쯤 돌출형태로 밀생하고 550~600×180~200㎛이다. 자낭은 135~150×4㎛이고 자낭포자는 사상으로 방출 후 격막이 분열하여 이차포자를 형성한다.
풍뎅이동충하초는 완전세대와 불완전세대로 나뉘어지는데 완전세대에는 Cordyceps scarabaeicola이 해당되고 불완전세대에는 Beauveria sungii가 해당된다. 풍뎅이동충하초의 불완전 세대는 Beauveria속의 포자와 유사한 형태의 포자를 생산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풍뎅이동충하초는 불완전 세대에 속하는 Beauveria sungii이며 강원도 양양군 갈천에서 채집하였다(도 1 참조).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세포배양( Cell culture )
본 실험예에서는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ATCC에서 구입)를 10% FBS DMEM배지[페니실린(100units/㎕) + 스트렙토마이신(100㎍/㎖)]에 배양하였고 배양조건은 5% CO2, 37℃로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60mm 배양접시에 2×106개의 세포를 심고 24시간 배양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풍뎅이동충하초의 각 분획을 DMSO에 100㎎/㎕로 녹인 후, 각각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배지로 희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시료를 세포에 가하기 전에 LPS(1㎍/㎖)를 세포에 가한 후 각각의 시료를 세포에 첨가하였다.
Nitrite ( NO )의 측정
NO의 생성은 나이트라이트(Nitrite) 측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세포에 시료를 투여한지 16시간 후에 배지(100㎕)를 걷어서 A, B의 Griess reagent(A:1% sulfanilamide와 B:0.1% naphtylenediamine를 포함한 5%(v/v) phosphoric acid)를 섞은 시약(50㎕+50㎕=100㎕)과 반응시킨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이트라이트 기준물질로 소듐 나이트라이트를 사용하여 RAW264.7 세포의 나이트라이트 분비를 측정하였다.
웨스턴 블랏팅( Western blotting )
대식세포에서 PGE2, NO의 생성 단백질인 COX-2 및 iNOS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일정시간 후 수거하여, PBS(PBS, 시그마 케미칼컴퍼티, 미국)로 2회 가볍게 세척하였다. 그 다음 PBS를 완전히 제거한 후 세포용해 및 염색시약인 RIPA 버퍼 200㎕를 각각의 접시에 넣고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긁었다. 그 다음 BCA assay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7% SDS-PAGE를 통하여 전기이동하고, 전기이동한 SDS-PAGE젤의 단백질을 PVDF막으로 이동시켰다.
단백질 이동이 완료된 PVDF막을 상온에서 PBS-T(in 100mM NaCl, 10mM Tris, 0.1%(v/v) Tween-20, pH 7.4 (PBS-T) containing 5% milk)로 블록킹하였다. 그 다음 PBS-T를 사용하여 5분간 3회 세척한 후 5% 탈지분유를 녹인 PBS-T에 1차항체를 붙였다. 그리고 2차항체를 붙이기 전에 PBS-T로 충분히 세척하였다. 40분 동안 방치한 후 역시 PBS-T로 20분씩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ECL detection system(애머샴,영국)을 사용하여 특정 단백질의 양 및 위치를 확인하였다. 단백질 양의 보정은 PVDF막을 재활용(stripping)하여 액틴단백질의 양을 확인함으로써 동량임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항체는 비디사(BD co.) 및 케이맨사(Cayman co.)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 풍뎅이동충하초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 및 분획
본 실시예에 사용된 풍뎅이동충하초(Beauveria sungii) 자실체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성재모교수 연구실의 유전자은행에서 균주를 분양받아 (주)머쉬텍에서 재배된 것(도 1 우측)을 건조하여 가늘게 세절한 후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풍뎅이동충하초를 50℃ 드라이오븐에서 건조한 후 블랜더로 잘게 갈아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70℃에서 추출(동충하초 30g/에탄올 500mL)하고 여과한 후 감압증류(60℃)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고 장기적인 실험을 위해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이를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생리활성을 보이는 부분만을 정제하기 위하여 풍뎅이동충하초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차에 따라서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물로 분획하였다. 분리된 각각의 용매 분획물을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분획 농축물을 얻었다(표 1).
Figure pat00001
상기 분획결과를 통해 헥산 및 물 추출물의 분획 양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풍뎅이동충하초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염효과
풍뎅이동충하초를 사용하여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각각의 4가지 분획물인 헥산(hexane), 부탄올(butanol),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water) 분획물을 150㎍/㎖ 첨가할 경우 염증생성물질인 NO의 생성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EA 및 물 분획물은 NO의 생성억제에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헥산(hexane) 분획물 및 부탄올(Bu-OH) 분획물의 경우 NO의 생성이 상당히 억제됨을 보였다(도 3). 헥산(hexane)분획물보다 부탄올(Bu-OH)분획물이 염증작용물질인 NO를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3.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 농도에 따른 염증억제효과
상기 실험에서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이 가장 좋은 항염효과를 보인 결과에 따라, 본 실험예에서는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만을 선택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부탄올분획물을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염증유발인자인 NO와 iNOS 및 COX-2를 비교하였다.
또,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부탄올분획물(BSBF)의 NO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탄올분획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첨가하였다.
부탄올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의 생성량이 줄어들었고 NO를 생성하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또, 염증 유발단백질인 COX-2의 발현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경우 10㎍/㎖를 처리하였을 때, LPS로 인해 염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약 95%로 NO 분비량이 감소하였고, 50㎍/㎖을 처리하였을 때, LPS로 인해 염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75%미만으로 NO 분비량이 감소하였으며, 100㎍/㎖을 처리하였을 때 LPS로 인해 염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40%미만으로 NO 분비량이 감소하였고, 150㎍/㎖을 처리하였을 때 LPS로 인해 염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25% 수준으로 NO 분비량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4.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 iNOS , TNF -α와 IL -1β mRNA 의 전사억제효과
iNOS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는 mRNA수준에서 전사가 억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RT-PCR을 수행한 결과 BSBF농도에 따라 mRNA의 양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도 5). 또 LPS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염증 유발물질인 TNF-α와 IL-1β mRNA을 실험한 결과 TNF-α mRNA는 BSBF농도에 따라서 억제되었으나 IL-1β mRNA에는 효과가 없었다(도 6).
실시예 5.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 (BSBF)의 IkB 의 인산화 억제 및 NFkB subunit의 translocation 저해효과
염증유발 단백질의 발현은 세포내 신호기작을 통해서 발현이 조절되어지는데 특히 LPS로 유발되는 염증유발 단백질은 NFkB 경로를 통해서 발현된다. NFkB 신호단백질은 up-stream에 IkB가 인산화되면서 활성화되어 특정 DNA의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발현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IkB의 인산화를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웨스턴 블럿팅을 한 결과,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농도에 따라 IkB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도 7), NFkB의 subunit인 p65이 핵내로 translocation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8).
실시예 6.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Akt , p38 , Erk 의 인산화 저해효과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kBα를 활성화시키는 Akt가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Erk, p38 및 JNK의 MAPK활성이 유도된다. 풍뎅이동충하초를 처리하였을 경우 Erk는 저해되지 않았지만, p38는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COX-2의 발현은 여러 세포의 신호전달에 의해서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은 Erk를 저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kBα upstream에 있는 Akt를 저해함으로써 NFkB p65의 핵 내로의 translocation을 억제하여 염증유발 단백질의 발현 및 전사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도 9).
실시예 7.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BSBF)의 ROS 생성억제효과
대식세포에 LPS로 염증을 유발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인 ROS가 생성된다. 인 비트로에서 DPPH법을 통해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ROS 또한 저해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LPS를 처리한 후 DCF-DA를 처리하여 hydroxyl radical을 측정하였다. LPS을 처리한 후에는 ROS가 대조군에 비해서 많이 생성되었으나, 여기에 풍뎅이동충하초를 처리한 후에는 ROS의 생성이 억제됨을 보였다. 따라서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ROS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NFkB와 p38은 ROS sensitive하게 발현이 유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0).
실시예 8.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 (BSBF)의 항염기작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BSBF의 항염기작은 도 11의 모식도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풍뎅이동충하초를 사용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분획을 하였을 때,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이 염증물질인 nitrite(NO), iNOS 및 COX-2를 억제하는 항염효과가 가장 좋았고 염증 유발물질인 TNF-α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은 농도에 따라 IkB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NFkB의 subunit인 p65가 핵으로 translocation되는 것을 억제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이 Akt, p38, Erk의 인산화 저해작용에 의해 염증억제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 BSBF이 ROS 생성을 억제하므로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BSBF가 ROS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또, NFkB와 p38은 ROS sensitive하게 발현이 유도되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이 생리활성 물질로서 항염제로의 사용 및 기능성 식품 혹은 제약제재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항염 조성물은 염증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은 일반적인 염증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일 예로 상기 염증질환은 각종 피부염, 알레르기,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췌장염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알레르기는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응용되거나, 상기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일 예로 상기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전체 식품중량의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은 상기 항염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약제로 사용되거나, 의약 또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 내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사용태양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한 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cream), 로션제(lotions), 연고제(onitments), 경고제(plasters), 액제(liquids and soul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유동엑스제(fruidextracts), 엘릭서(elixir), 침제(infusions), 향낭(sachet), 패취제(patch) 또는 주사제(injections)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또는 풍뎅이동충하초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염증제는 상기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은 항염증제 전체에 대해 0.1 중량%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통상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염 성분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6)

  1.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Beauveria sungii extract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이 헥산 또는 부탄올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염증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정제,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 환제, 산제, 과립제,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이 특징인 약학적 조성물.
  5.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뎅이동충하초 추출물이 헥산 또는 부탄올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20150243A 2012-12-21 2012-12-21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1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243A KR20140081958A (ko) 2012-12-21 2012-12-21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243A KR20140081958A (ko) 2012-12-21 2012-12-21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958A true KR20140081958A (ko) 2014-07-02

Family

ID=5173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243A KR20140081958A (ko) 2012-12-21 2012-12-21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9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01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10155899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55900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01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10155899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55900A (ko) * 2020-06-17 2021-12-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5007B (zh) 包含獼猴桃(Actinidia)之組成物及其使用方法
KR100896700B1 (ko) 뇌 신경세포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 활성화 기능을 갖는부추 추출물
WO2011019239A2 (ko)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90003421A (ko) 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5124A (ko) 개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에 함유된 호모해링토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40081958A (ko) 풍뎅이동충하초의 부탄올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4550B1 (ko) 장미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51150A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20180130268A (ko) 괭생이모자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9419787A (zh) 一种松香烷型二萜类化合物的用途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1545495B1 (ko) 삼백초 추출물과 그 유효성분인 쿼세틴을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그리고 삼백초 추출물 추출 방법
KR20110117531A (ko)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KR20090082739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동 및증식 억제용 조성물
KR100965305B1 (ko)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TWI551291B (zh) 一種具降低癌細胞抗藥性之樟芝菌絲體萃取物及其醫藥或食品組合物
KR20130115727A (ko) 퓨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1370A (ko) 대나물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548424B1 (ko)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신경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0044B1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