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054A - 와이어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054A
KR20140079054A KR1020120148594A KR20120148594A KR20140079054A KR 20140079054 A KR20140079054 A KR 20140079054A KR 1020120148594 A KR1020120148594 A KR 1020120148594A KR 20120148594 A KR20120148594 A KR 20120148594A KR 20140079054 A KR20140079054 A KR 2014007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
main frame
frame
regulating plate
angl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473B1 (ko
Inventor
송형
손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54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actuated by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롤을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이동시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와이어롤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롤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ing wire-roll}
본 발명은 와이어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각도조절판을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게 와이어롤을 이송할 수 있는 와이어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Si-Wire, Ti-Wire 등의 와이어가 롤(Roll) 형태로 감겨진 와이어롤(10)을 이송할 때, 와이어 로프(Wire-Rope)(2)를 와이어롤(10) 및 와이어롤(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에 건 후에, 이 와이어 로프(2)를 크레인 후크(5)에 걸어서 이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와이어 로프(2)의 흔들림 또는 파손으로 인해서 와이어롤(10)의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2)는 그 강도가 약해서 정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공간이 협소해 와이어 로프(2)를 걸 때마다 작업자의 부담감이 많고, Ca-Si-Wire, Ti-Wire 등 와이어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2)의 위치조정을 해야하는데, 이런 위치조정 또한 쉽지 않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8413호(2004.04.03.)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와이어 로프의 위치조정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와이어 롤을 이송할 수 있는 와이어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롤을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이동시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와이어롤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판;을 포함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롤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판은 상기 각도조절판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이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판은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대응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크레인의 후크가 연결되는 후크걸이와; 상기 후크걸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판은 상기 가이드봉상에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통하여 상기 이동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신속하게 와이어롤을 이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회전프레임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전 프레임의 위치조정을 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각도조절판이 해제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메인프레임의 결합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도조절판의 삽입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도조절판의 해제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가 와이어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가 와이어롤을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Ca-Si-Wire, Ti-Wire 등의 와이어가 롤(Roll) 형태로 감겨져서 내부에 중공부(12)가 형성된 와이어롤(10)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00), 복수의 회전프레임(200) 및 각도조절판(3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는 원통형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이 중공부(110)는 후술할 가이드봉(400)이 삽입되어 중공부(110) 내를 이동 가능하다.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프레임(130)에는 회전프레임(200)의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200)은 일측이 메인프레임(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에 결합된다. 즉, 회전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100)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및 하부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이런 회전프레임(200)은 회전프레임(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와이어롤(10)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210)은 바닥면에 닿았을 때 회전프레임(200)이 삽입부(310)에서 미끄러짐으로 인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걸림턱(210)의 하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도조절판(300)은 회전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메인프레임(100)을 향해 이동시 회전프레임(200)의 타측이 와이어롤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회전프레임(200)의 내면과 접하여 수직 이동함으로써 회전프레임(200)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판(300)은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및 회전프레임(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런 각도조절판(300)이 회전프레임(200)의 내면과 접하여 상승하면 회전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함으로써 회전프레임(200)은 펼쳐지게 되고, 각도조절판(300)이 회전프레임(200)의 내면과 접하여 하강하면 회전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함으로써 회전프레임(200)은 접혀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도조절판(300)은 각도조절판(300)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회전프레임(200)이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삽입부(31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판(300)은 가이드봉(400)을 회전시킴으로써 삽입부(310)가 회전프레임(200)에 대응되는 삽입위치 또는 삽입부(310)가 회전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해제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600)이 메인프레임(100)의 삽입홀(120)을 통해서 가이드봉(400)의 삽입홈(410)에 삽입되는 위치로 가이드봉(400)을 회전시키면 이 위치가 삽입위치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가이드봉(400), 후크걸이(500) 및 고정핀(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걸이(500)는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크레인의 후크(5)에 연결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100)의 중공부(110)를 통해서 가이드봉(400)에 연결된다. 이때, 후크걸이(500)는 크레인의 후크(5) 방향에 따라 후크(5)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봉(400)은 메인프레임(100)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중공부(110) 내를 이동 가능하며, 일단이 후크걸이(500)에 연결된다. 이런 가이드봉(400)상에는 각도조절판(300)이 결합되며, 이때, 각도조절판(300)은 가이드봉(40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봉(400)과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봉(4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410)에는 고정핀(6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런 삽입홈(410)은 가이드봉(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600)은 메인프레임(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홀(120)을 통하여 가이드봉(4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봉(400)을 메인프레임(100)에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각도조절판을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게 와이어롤을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롤 이송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판(300)에 연결된 가이드봉(400)을 회전하여 각도조절판(300)을 삽입부(310)가 회전프레임(200)에 대응되는 삽입위치로 전환 시킨 후, 회전프레임(200)을 각도조절판(300)의 삽입부(310)에 삽입시키고, 고정핀(600)을 메인프레임(100)의 삽입홀(120)을 통해 가이드봉(400)의 삽입홈(410)에 삽입시킴으로써 가이드봉(400)을 메인프레임(100)을 고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5)에 후크걸이(500)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를 와이어롤(10)의 중공부(12)에 삽입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5의 고정핀(600)을 가이드봉(400)의 삽입홈(410)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된 가이드봉(400)을 고정 해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400)을 회전시켜 각도조절판(300)을 삽입부(310)가 회전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해제위치로 전환 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5)에 연결된 후크걸이(500)를 들어올리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후크걸이(500)에 연결된 가이드봉(400)과 가이드봉(400)에 연결된 각도조절판(30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각도조절판(300)이 회전프레임(200)의 내면과 접하여 상승함에 따라서 회전프레임(200)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렇게 펼쳐진 회전프레임(200)의 걸림턱(210)이 와이어롤(10)의 중공부(12)의 내면에 접하면서 내면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게 되어 와이어롤(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와이어롤(10)을 이송하고자 하는 목표위치에 안착시킨 후, 후크걸이(500)를 하강시키면, 후크걸이(500)에 연결된 가이드봉(400)과 가이드봉(400)에 연결된 각도조절판(300)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며, 각도조절판(300)이 회전프레임(200)의 내면과 접하여 하강함에 따라서 회전프레임(200)은 내측으로 접혀진다.따라서, 회전프레임(200)은 더 이상 와이어롤(10) 중공부(12)의 내면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게 않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봉(400)을 회전시켜서 각도조절판(300)을 삽입위치로 전환시킨 후에, 회전프레임(200)을 각도조절판(300)의 삽입부(310)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고정핀(600)을 메인프레임(100)의 삽입홀(120)을 통해 가이드봉(400)의 삽입홈(410)에 삽입시킴으로써 가이드봉(400)을 메인프레임(100)을 고정시킨 후에, 와이어롤 이송장치를 와이어롤(10)의 중공부(12)에서 인출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다른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수행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게 와이어롤을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 와이어 로프 5: 크레인 후크
3: 지지대 10: 와이어롤
12: 와이어롤 중공부 100: 메인프레임 110: 중공부 120: 삽입홀 130: 연결프레임 200: 회전프레임 210: 걸림턱 300: 각도조절판 310: 삽입부 320: 중공부 400: 가이드봉 410: 삽입홈 500: 후크걸이 600: 고정핀

Claims (7)

  1. 와이어롤을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프레임;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해 이동시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와이어롤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판;을 포함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롤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판은
    상기 각도조절판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이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판은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대응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크레인의 후크가 연결되는 후크걸이;및
    상기 후크걸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판은 상기 가이드봉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롤 이송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통하여 상기 이동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롤 이송장치.
KR1020120148594A 2012-12-18 2012-12-18 와이어롤 이송장치 KR10146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594A KR101461473B1 (ko) 2012-12-18 2012-12-18 와이어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594A KR101461473B1 (ko) 2012-12-18 2012-12-18 와이어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54A true KR20140079054A (ko) 2014-06-26
KR101461473B1 KR101461473B1 (ko) 2014-11-13

Family

ID=5113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594A KR101461473B1 (ko) 2012-12-18 2012-12-18 와이어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75B1 (ko) * 2014-07-17 2015-02-12 장충석 강판 코일 클램핑 장치
CN110371845A (zh) * 2019-08-23 2019-10-25 河南华洋铜业集团有限公司 一种线盘吊装压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0163A (zh) * 2015-08-21 2015-12-02 安徽宇晟浩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绕线轮吊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377U (ko) * 1977-03-30 1978-10-21
JPS60126481U (ja) * 1984-01-31 1985-08-26 北田 進 重量物揚持運搬用治具
JPH0733889Y2 (ja) * 1989-05-31 1995-08-02 昭和海運株式会社 油清浄機の洗浄装置
JP2000086144A (ja) 1998-09-14 2000-03-28 Mitsuboshi Belting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75B1 (ko) * 2014-07-17 2015-02-12 장충석 강판 코일 클램핑 장치
CN110371845A (zh) * 2019-08-23 2019-10-25 河南华洋铜业集团有限公司 一种线盘吊装压紧装置
CN110371845B (zh) * 2019-08-23 2024-01-16 河南华洋铜业集团有限公司 一种线盘吊装压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473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644B2 (en) Method for replacing sloped cables,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loped cables
KR101461473B1 (ko) 와이어롤 이송장치
JP2016152698A (ja) ケーブル吊り上げ器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101634798B1 (ko) 크레인의 보조붐 연결구조
KR100939837B1 (ko) 에어모터가 장착된 롤 통
JP2015083511A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US9487380B2 (en) Hoist assembly
US20160031262A1 (en) Tire holder apparatus
CN105565146A (zh) 吊钩保持结构、起重机及吊钩固定方法
US3103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JP2006219265A (ja) 自動調芯吊具、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KR200478647Y1 (ko) 클램핑기구
JP5702018B1 (ja) ロール状物リフト装置
JP2009012936A (ja) 吊り治具
KR101492775B1 (ko) 강판 코일 클램핑 장치
JP2011240998A (ja) 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荷の吊り上げ搬送方法
JP2004269096A (ja) 重量物用吊具
JP2015030657A (ja) 坩堝吊上げ具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JP4967528B2 (ja) 丸鋸刃搬送装置
KR20130055092A (ko) 모터교체용 지그 어셈블리
KR20150084409A (ko) 케이블 포설장치
JP4461549B2 (ja) ロールスタンドの吊装置及びロール替え方法
US20210077328A1 (en) Overhead subject lift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CN103171980A (zh) 塔式起重机及其引进横梁和引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