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931A -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931A
KR20140072931A KR1020120136942A KR20120136942A KR20140072931A KR 20140072931 A KR20140072931 A KR 20140072931A KR 1020120136942 A KR1020120136942 A KR 1020120136942A KR 20120136942 A KR20120136942 A KR 20120136942A KR 20140072931 A KR20140072931 A KR 2014007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veyor
carrier
peeling
br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301B1 (ko
Inventor
손후현
김창수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생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3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글래스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를 이송하는 박리용 컨베이어;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글래스를 탈착하는 흡착 유닛; 탈착된 상기 글래스를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핀업 컨베이어; 및 판정받은 상기 글래스를 상기 핀업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하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glasses with function of processing broken glasses}
본 발명은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래스를 가공 생산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글래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화면의 전면에 평판형 글래스(유리 기판)이 장착된다. 이러한 글래스의 생산 공정에서, 글래스는 고무 재질의 캐리어(패드)와 같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소정의 가공 공정을 거치며 그 후 캐리어에서 박리(분리)되어 다음 단계의 처리를 위해 이송된다.
그런데 글래스를 캐리어에서 박리할 때 글래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글래스 파손 발생시 종래에는 글래스 생산 공정의 컨베이어로부터 파손된 글래스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취출하여 폐기하였다. 그러나 전체 자동화 공정에서 글래스 파손시 수동으로 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전체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파손된 글래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글래스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글래스 박리 중에 발생된 파손 글래스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글래스 제조 과정에서 파손 글래스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를 이송하는 박리용 컨베이어;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글래스를 탈착하는 흡착 유닛; 탈착된 상기 글래스를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핀업 컨베이어; 및 판정받은 상기 글래스를 상기 핀업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하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이송 시스템을 이용한 글래스 이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에서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로부터 글래스를 박리하는 단계; 제2 컨베이어에서 박리된 상기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3 컨베이어에서 상기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글래스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글래스 박리 중에 발생된 파손 글래스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글래스 제조 과정에서 파손 글래스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정상 글래스를 처리할 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파손 글래스를 처리할 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a 내지 도4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 컨베이어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 컨베이어에서 핀이 상승하였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6a 내지 도6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컨베이어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7a 및 도7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컨베이어에서 글래스 이송 방향을 전환시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8a 내지 도8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 글래스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그리고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직접적 연결을 의미할 뿐 아니라 다른 제3의 구성요소를 매개로 한 간접적 연결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2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정상 글래스를 처리할 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100)은 글래스(10)를 이송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컨베이어는 공급 컨베이어(20), 박리용 컨베이어(30), 핀업 컨베이어(40), 방향전환 컨베이어(50),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 및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컨베이어(20)는 고무 재질의 캐리어(도시 생략) 위에 흡착되어 놓여진 글래스(10)를 글래스 이송 시스템(100)의 박리용 컨베이어(30)로 전달한다. 박리용 컨베이어(30)는 캐리어 위에 놓여진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박리(탈착)한다. 이를 위해 박리용 컨베이어(3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흡착 유닛(33)과 이 흡착 유닛(33)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흡착 유닛(33)은 아래 표면, 즉 글래스(10)를 바라보는 표면에 흡착부를 구비하며 지지 프레임(31)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로 움직임 가능할 뿐 아니라 박리용 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을 따라 앞뒤로도 이동가능하다. 이에 따라, 흡착부가 글래스(10)를 흡착한 뒤 흡착 유닛(33)이 상승함으로써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박리용 컨베이어(30)의 좌우측에는 박리용 컨베이어(30)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공기 노즐 및/또는 워터 노즐이 설치될 수 있고, 이 노즐들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및/또는 물에 의해 글래스(10)가 캐리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핀업(pin-up) 컨베이어(40)는 캐리어로부터 탈착된 글래스(10)를 박리용 컨베이어(30)에서 이송받은 후, 후속 공정(60)으로 이송하기 전에 글래스(10)의 파손 여부를 검사한다. 핀업 컨베이어(40)에 대해서는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방향전환 컨베이어(50)는 핀업 컨베이어(40)로부터 이송받은 글래스(10)가 정상 글래스인지 파손 글래스인지 여부에 따라 글래스(10)의 이송 방향을 다르게 하여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방향(제1 방향)을 따라 이송 되어온 글래스(10)가 파손되지 않은 정상 글래스인 경우 글래스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계속 진행시키고, 이송받은 글래스(10)가 파손된 글래스인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다른 방향(제2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대안적으로, 이송받은 글래스(10)가 정상 글래스인 경우 글래스를 제2 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진행시키고, 이송받은 글래스(10)가 파손된 글래스인 경우 제1 방향으로 계속 진행시킬 수도 있다.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 대해서는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는 글래스(10)를 지지하는 캐리어(도시 생략)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는 박리용 컨베이어(3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박리용 컨베이어(30)에서 캐리어로부터 글래스(10)가 탈착된 이후 이 캐리어가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만일 글래스(10)가 캐리어로부터 탈착되기 이전부터 이미 파손된 상태인 경우, 파손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탈착하지 않은 채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손 글래스(10)를 그대로 실은 캐리어는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를 따라 진행하여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로 이송된다.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는 파손 글래스를 싣고 이송되어 온 캐리어로부터 파손 글래스를 분리한다. 파손 글래스를 분리하는 일 예로서 캐리어를 경사지게 틸팅하여 글래스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에 대해서는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글래스 이송 시스템에서, 정상 글래스를 처리할 때의 흐름이 도2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글래스(10)는 화살표(①)로 표시한 것처럼 박리용 컨베이어(30)를 따라 진행하면서 흡착 유닛(33)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탈착된다. 그 후 글래스(10)는 화살표(②)로 표시한 것처럼 핀업 컨베이어(40)로 진입하고 여기서 글래스(10)의 정상 유무를 판정한 후 정상 글래스이면 방향전환 컨베이어(50)를 따라 후속 공정(60)으로 이송된다.
만일 글래스가 파손된 경우라면 글래스(10)는 도3에 도시한 흐름으로 처리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파손 글래스를 처리할 때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글래스(10)는 화살표(①)로 표시한 것처럼 박리용 컨베이어(30)를 따라 진행하면서 흡착 유닛(33)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탈착된다. 그 후 글래스(10)는 화살표(②)로 표시한 것처럼, 핀업 컨베이어(40)로 진입하고 여기서 글래스(10)의 정상 유무를 판정한 후 파손 글래스이면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서 이송 방향이 변경되어 파손 글래스 처리부로 진행한다.
만일 글래스(10)가 캐리어로부터 탈착되기 이전부터 이미 파손된 상태인 경우라면, 화살표(③)로 표시한 것처럼 파손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탈착하지 않은 채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를 거쳐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로 이송한다. 그 후 화살표(④)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에서 파손 글래스를 캐리어에서 분리한다. 일 예로서 도시한 것처럼, 분리된 파손 글래스는 예컨대 수거박스(91)에 실린 뒤 레일(90)을 따라 파손 글래스 처리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핀업 컨베이어(4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4a 내지 도4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 컨베이어(40)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a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핀업 컨베이어(40)는 지지대(41), 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축(48), 및 롤러축(48)에 결합된 다수의 롤러(47)를 포함한다.
다수의 롤러축(48)는 지지대(41)의 상면의 양쪽 변을 따라 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롤러축(48)에 결합된 다수의 롤러(47)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롤러축(48)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글래스(10)가 핀업 컨베이어(40) 상부, 즉 다수의 롤러(47)에 놓여져서 소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핀업 컨베이어(40)는 하나 이상의 승강 유닛(42), 및 이 승강 유닛(42)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운동가능한 다수의 핀(46)을 더 포함한다. 도4a 및 도4c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승강 유닛(42)의 각각은 핀업 컨베이어(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수평 연결바(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수의 핀(46)은 핀 지지바(45)에 부착되어 지지되며, 핀 지지바(45)는 수직 연결바(44)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 연결바(43)와 결합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핀 지지바(45)가 수평 연결바(4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핀 지지바(45)가 직접 승강 유닛(42)에 연결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유닛(42)의 동작에 의해 핀 지지바(45)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다수의 핀(46)이 롤러(47)의 상부로 돌출하거나 롤러(47)보다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핀업 컨베이어에서 핀이 상승하였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4c 및 도5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도5에서 수평 연결바(43)가 승강 유닛(42)의 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수평 연결바(43)에 연결된 핀 지지바(45)도 상승하여 다수의 핀(46)이 롤러(47)보다 위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핀업 컨베이어(40)로 글래스(10)가 진입하면 승강 유닛(42)의 동작에 의해 글래스(10)를 다수의 핀(46)으로 들어올려 지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예컨대 카메라 또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글래스 파손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수단은 어느 특정 구성이나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지수단의 일 예로서 핀업 컨베이어(40)의 위쪽에 광 조사수단이 설치되고 핀업 컨베이어(40)의 아래쪽에 광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조사수단이 글래스(10)를 향해 빛을 비추면 광센서가 글래스(10)의 표면에 의해 굴절되는 빛을 인식하여 글래스(1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6a 내지 도6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 컨베이어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면, 방향전환 컨베이어(50)는 지지대(51), 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1 롤러축(54)과 이 제1 롤러축(54)에 결합된 다수의 제1 롤러(53), 및 다수의 제2 롤러축(57)과 이 제2 롤러축(57)에 결합된 다수의 제2 롤러(56)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롤러축(54)은 지지대(51)의 상면의 양쪽 변을 따라 각기 하나씩 설치된 두 개의 제1 롤러축 지지바(52)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 롤러축(54)에 결합된 다수의 제1 롤러(53)는 모두 동일한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2 롤러축(57)은 지지대(51)의 상면의 나머지 양쪽 변을 따라 각기 하나씩 설치된 두 개의 제2 롤러축 지지바(55)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 롤러축(57)에 결합된 다수의 제2 롤러(56)는 모두 동일한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90도 각도를 이룬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및 제2 방향이 90도가 아닌 다른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제1 롤러축(54)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장치, 및 다수의 제2 롤러축(57)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롤러축 지지바(55)는 제1 롤러축 지지바(52)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배치되고, 제2 롤러축 지지바(55)는 구동수단(59)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제2 롤러축 지지바(55)가 아래쪽에 하강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제1 롤러(53)가 제2 롤러(56)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있다가 구동수단(59)에 의해 제2 룰러축 지지바(55)가 상승하면 제2 롤러(56)가 제1 롤러(53)보다 위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7a 및 도7b는 방향전환 컨베이어(50)의 제2 롤러축 지지바(55)가 상승하여 글래스(1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6a와 도7a의 비교 및 도6c와 도7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도7a 또는 도7b에서 제2 롤러축 지지바(55)가 상승함으로써 제2 롤러(56)가 제1 롤러(53)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글래스(10)가 제1 롤러(53)에 의해 제1 방향(화살표 ①)에서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 진입하고, 글래스(10)가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 구동수단(59)에 의해 제2 롤러축 지지바(55)가 상승하여 글래스(10)가 제2 롤러(56)에 의해 접촉되고 지지되면서 제2 방향(화살표 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수단(59)에 의한 제2 롤러축 지지바(55)의 상하 운동은 핀업 컨베이어(40)에서의 글래스(10)의 파손 여부를 판정한 결과에 따라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글래스(10)가 파손되지 않은 정상 글래스인 경우 제2 롤러축 지지바(55)는 상승하지 않고 하강한 채로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을 따라 방향전환 컨베이어(50)로 진입한 글래스(10)는 제1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된다. 그러나 파손되었다고 판정받은 글래스(10)가 제1 방향을 따라 방향전환 컨베이어(50)로 진입하면, 제2 롤러축 지지바(55)가 상승하고 글래스(10)는 제2 롤러(56)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글래스가 배출되는 방향을 다르게 상기 실시예와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 글래스인 경우 제1 방향을 따라 계속 진행하고 파손되지 않은 정상 글래스인 경우 제2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하여 글래스를 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도8을 참조하여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8a 내지 도8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 글래스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c를 참조하면,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는 지지 프레임(81), 틸팅바(82), 및 구동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81)은 힌지부(83)에 의해 틸팅바(82)와 힌지 결합되어 틸팅바(82)를 지지한다. 틸팅바(82)는 힌지부(83)에 결합되고 구동부(84)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틸팅바(82)는 수평 위치와 소정 각도(예컨대 45도)로 틸팅된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틸팅바(82)가 수평 위치에 있을 때,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로부터 이송된 캐리어(즉, 파손된 글래스를 흡착하고 있는 캐리어)가 틸팅바(82)의 상부로 진입할 수 있다. 그 후 구동부(84)에 의해 틸팅바(82)를 대략 45도로 틸팅하여 캐리어를 경사지게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파손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는 지지 프레임(81)의 상부에 배치된 노즐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85)는 예컨대 공기 노즐 및/또는 워터 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 노즐과 워터 노즐은 캐리어를 향해 각각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부(85)는, 틸팅바(82)가 완전히 틸팅된 위치, 즉 대략 45도로 경사된 위치로 틸팅되었을 때, 이 틸팅바(82)가 지지하는 캐리어와 이 캐리어가 흡착하고 있는 글래스(10) 사이에 상기 압축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경사진 상태에서 압축공기 및/또는 물의 분사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분리된 글래스(10)는 경사면을 따라 수거박스(91)로 떨어지고, 그 후 수거박스(91)는 레일(90)을 따라 파손 글래스 처리부로 반출된다.
캐리어에서 글래스가 완전히 탈착되면 틸팅부(82)가 다시 수평 위치로 회전한 뒤 캐리어를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로 전달하고,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는 이 캐리어를 소정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제 도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이송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9를 참조하면, 글래스 이송 시스템(100)은 단계(S110)에서 글래스 파손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예컨대 공급 컨베이어(20)에서 박리용 컨베이어(30)로 캐리어를 이송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글래스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는 종래에 사용되는 임의의 판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10)를 흡착 지지하고 있는 캐리어의 상부에서 빛을 조사한 뒤 글래스로(10)부터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글래스(10)의 파손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 결과 글래스가 파손되었다면(단계 S120-Y), 단계(S130)로 진행한다. 즉, 파손 글래스(10)를 캐리어로부터 탈착하지 않은 채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70)를 거쳐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로 이송한다.
그 후 단계(S140)에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80)에서 캐리어로부터 파손 글래스를 탈착하여 파손 글래스 처리부로 이송한다.
만일 상기 판정 결과 글래스가 파손되지 않았다면(단계 S120-N), 글래스(10)는 박리용 컨베이어(30)를 따라 진행하면서 흡착 유닛(33)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탈착된다(단계 S150).
분리된 글래스(10)는 핀업 컨베이어(50)로 이송되고, 핀업 컨베이어(50)에서 글래스(10)의 파손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단계 S160). 이 때 구체적 예로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핀(46)에 의해 글래스(10)를 들어올린 후 빛을 조사함으로써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 결과 글래스가 파손되었다면(단계 S170-Y), 단계(S180)로 진행하여 파손 글래스(10)의 이송방향을 전환한다. 즉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글래스(10)를 방향전환 컨베이어(50)로 이송한 뒤 방향전환 컨베이어(50)에서 글래스(1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고, 그 후 파손 글래스(10)를 파손 글래스 처리부로 이송한다(단계 S140).
만일 상기 판정 결과 글래스가 파손되지 않았다면(단계 S170-N) 글래스는(10)는 계속하여 후속 처리 공정으로 이송된다. 즉 핀업 컨베이어(40)에서 방향전환 컨베이어(50)를 거쳐 후속 공정(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로부터 글래스를 박리하기 전이나 박리하는 도중 글래스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 글래스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글래스 20: 공급 컨베이어
30: 박리용 컨베이어 33: 흡착 유닛
40: 핀업 컨베이어 50: 방향전환 컨베이어
60: 후속 공정부 70: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
80: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 90: 레일
100: 글래스 이송 시스템

Claims (16)

  1. 글래스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를 이송하는 박리용 컨베이어;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글래스를 탈착하는 흡착 유닛;
    탈착된 상기 글래스를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핀업 컨베이어; 및
    판정받은 상기 글래스를 상기 핀업 컨베이어에서 이송받아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하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업 컨베이어는, 글래스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수단, 및 글래스 표면에서 굴절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빛에 기초하여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1 롤러가 결합된 다수의 제1 롤러축;
    상기 다수의 제1 롤러축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1 롤러축 지지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제2 롤러가 결합된 다수의 제2 롤러축; 및
    상기 다수의 제2 롤러축을 회전가능하게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2 롤러축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축 지지바는 상기 제1 롤러축 지지바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롤러축 지지바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제2 롤러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글래스와 접촉되고,
    상기 제2 롤러축 지지바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제1 롤러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글래스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에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되지 않은 정상 글래스인 경우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출하고, 상기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된 글래스인 경우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에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되지 않은 정상 글래스인 경우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출하고, 상기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된 글래스인 경우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이송 시스템이,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에서 글래스를 탈착할 수 있는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글래스가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에 진입하기 전에 파손된 경우, 상기 박리용 컨베이어가 상기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캐리어 이송 컨베이어는 이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틸팅바; 및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틸팅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바는 수평 위치와 소정 각도로 틸팅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바의 수평 위치에서 캐리어가 상기 틸팅바의 상부로 진입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틸팅바가 상기 소정 각도의 틸팅 위치까지 회전한 뒤 상기 캐리어로부터 글래스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틸팅 컨베이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된 노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캐리어를 향해 공기 및/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송 시스템.
  12. 글래스 이송 시스템을 이용한 글래스 이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에서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로부터 글래스를 박리하는 단계;
    제2 컨베이어에서 박리된 상기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3 컨베이어에서 상기 글래스의 파손 여부에 따라 글래스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에서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글래스에 광을 조사하고 이 글래스로부터 굴절되는 빛을 감지하여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에서 배출하는 단계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컨베이어에 진입한 글래스가 정상 글래스이면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출하고, 상기 진입한 글래스가 파손된 글래스이면 상기 글래스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글래스를 박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글래스의 파손 여부를 판정("박리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전 판정 단계에서 상기 글래스가 파손되었다고 판정되면,
    상기 글래스를 흡착 지지하는 캐리어를 제4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상기 제4 컨베이어에서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글래스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이송 방법.
KR1020120136942A 2012-11-29 2012-11-29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42A KR101473301B1 (ko) 2012-11-29 2012-11-29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42A KR101473301B1 (ko) 2012-11-29 2012-11-29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31A true KR20140072931A (ko) 2014-06-16
KR101473301B1 KR101473301B1 (ko) 2014-12-18

Family

ID=5112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942A KR101473301B1 (ko) 2012-11-29 2012-11-29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30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7587A (zh) * 2015-12-30 2016-04-27 常州数控技术研究所 灯具性能检测装置
CN108099024A (zh) * 2016-11-24 2018-06-01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吸附式纵向玻璃掰断分离装置
CN108910536A (zh) * 2018-09-19 2018-11-30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传送装置及玻璃清洗机
CN109720831A (zh) * 2018-11-15 2019-05-07 彩虹(合肥)光伏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生产线之间衔接的自动化连线装置
CN110723543A (zh) * 2018-07-16 2020-01-24 法视特(上海)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盖板玻璃传输设备
KR102081900B1 (ko) * 2019-06-13 2020-02-26 김천래 유리판 로딩장치
CN114408459A (zh) * 2021-12-30 2022-04-29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工厂的配合料碎玻璃输送系统
CN114814150A (zh) * 2022-04-29 2022-07-2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棒材联合探伤线安全检测装置
CN115744296A (zh) * 2022-10-19 2023-03-07 江苏宏芯亿泰智能装备有限公司 辊道传输装置和玻璃基板输送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540B1 (ko) * 2022-03-08 2022-09-30 곽일남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7587A (zh) * 2015-12-30 2016-04-27 常州数控技术研究所 灯具性能检测装置
CN105527587B (zh) * 2015-12-30 2019-01-29 常州数控技术研究所 灯具性能检测装置
CN108099024A (zh) * 2016-11-24 2018-06-01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吸附式纵向玻璃掰断分离装置
CN110723543A (zh) * 2018-07-16 2020-01-24 法视特(上海)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盖板玻璃传输设备
CN110723543B (zh) * 2018-07-16 2021-06-22 法视特(上海)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盖板玻璃传输设备
CN108910536A (zh) * 2018-09-19 2018-11-30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传送装置及玻璃清洗机
CN109720831A (zh) * 2018-11-15 2019-05-07 彩虹(合肥)光伏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生产线之间衔接的自动化连线装置
KR102081900B1 (ko) * 2019-06-13 2020-02-26 김천래 유리판 로딩장치
CN114408459A (zh) * 2021-12-30 2022-04-29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工厂的配合料碎玻璃输送系统
CN114814150A (zh) * 2022-04-29 2022-07-2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棒材联合探伤线安全检测装置
CN114814150B (zh) * 2022-04-29 2024-03-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棒材联合探伤线安全检测装置
CN115744296A (zh) * 2022-10-19 2023-03-07 江苏宏芯亿泰智能装备有限公司 辊道传输装置和玻璃基板输送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301B1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301B1 (ko)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22280B1 (ko) 기판 투입 시스템
KR101365074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CN114733796A (zh) 一种智能硅片分选系统和分析方法
CN112830251B (zh) 柔性显示器制造用一批膜分离及检查装置
KR101459297B1 (ko) 반전기
KR20170115635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353465B1 (ko) 기판 분단시스템
JP2007076965A (ja) 分断された基板の仕分け取り上げ装置
CN114538101B (zh) 一种钢化玻璃生产线
KR101144769B1 (ko) 스크린 프린팅 시스템
US6793067B1 (en)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CN205442002U (zh) 一种液晶玻璃基板去残输送装置
CN204866585U (zh) 灯检装置
KR100831620B1 (ko) 필름 낱장공급장치
KR101146345B1 (ko) 배터리용 필터 조립장치
KR101550655B1 (ko) 패널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반전 방법
KR20170115636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731261B1 (ko) 기립형 기판 이송시스템
KR100500171B1 (ko) 기판의 경사 이송장치 및 경사 이송방법과 이를 적용한 기판의 처리방법
US6915894B2 (en)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KR101316792B1 (ko) 판유리 이송장치
JP2020155629A (ja) 基板搬送装置
KR101579818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0852140B1 (ko) 편광필름 낱장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