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540B1 -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40B1
KR102450540B1 KR1020220029057A KR20220029057A KR102450540B1 KR 102450540 B1 KR102450540 B1 KR 102450540B1 KR 1020220029057 A KR1020220029057 A KR 1020220029057A KR 20220029057 A KR20220029057 A KR 20220029057A KR 102450540 B1 KR102450540 B1 KR 10245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aded
unfolded state
vertic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일남
Original Assignee
곽일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일남 filed Critical 곽일남
Priority to KR102022002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6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changing orientation or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Landscapes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은 공급된 일정크기의 종이와 골판지를 합지하여 전개상태의 상자가 되도록 하는 합지부분과, 상기 합지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가압하는 가압부분과, 상기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된 후 이송되도록 하는 제1이송부분과, 상기 제1이송부분과 연계되어 이송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후 특정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송부분은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되도록 하는 임시적재장치와, 상기 임시적재장치와 연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주기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상하반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부분에는 상기 상하반전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와 상기 상하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교차하여 적재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Box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ystem}
본 발명은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의 제조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는 합지, 인쇄, 재단, 제함의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제조된다.
상자는 제함 공정에 이르기 전까지 전개된 상태로 각 공정을 거치게 되며, 합지와 인쇄 공정이 완료된 상자는 적재된 후 재단 공정으로 이송되거나 특정 위치에 보관 또는 대기할 수 있다.
여기서, 합지와 인쇄 공정이 완료된 상자는 상하 또는 전후 반전 없이 적재되어 적재시 특정부위에 눌림 또는 휨이 발생하거나 합지가 들뜨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정 수량씩 반전시킬 수 있으나,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속도 저하나 수작업을 통한 반전으로 인해 상자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8643호(2020.09.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개된 상자를 자동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적재된 다수의 전개상태의 상자를 특정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은 공급된 일정크기의 종이와 골판지를 합지하여 전개상태의 상자가 되도록 하는 합지부분과, 상기 합지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가압하는 가압부분과, 상기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된 후 이송되도록 하는 제1이송부분과, 상기 제1이송부분과 연계되어 이송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후 특정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송부분은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되도록 하는 임시적재장치와, 상기 임시적재장치와 연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주기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상하반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부분에는 상기 상하반전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와 상기 상하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교차하여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상하반전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브래킷을 축으로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방향과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일체화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의 너비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상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구속하는 제1구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는 일체화된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분은 상기 이송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이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이송장치와, 상기 롤러이송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장치와, 상기 롤러이송장치 또는 상기 방향전환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롤러이송장치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이송되는 롤러장치와, 상기 롤러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임시적재장치와 상기 상하반전장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주기적으로 전후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전후반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후반전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제2브래킷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브래킷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일체화되는 제2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의 하면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수평부재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구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구속하는 제2구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는 상기 제2수직부재가 상기 제2브래킷을 축으로 상 방향으로 움직였을 시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구속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판 형상의 기초플레이트와,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돌기와, 상기 하부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전개된 상자를 자동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재된 다수의 전개상태의 상자를 특정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의 제1이송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이송부분의 상하반전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의 제2이송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후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후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의 제1이송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이송부분의 상하반전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은 공급된 일정크기의 종이와 골판지를 합지하여 전개상태의 상자(20)가 되도록 하는 합지부분(100)과, 합지부분(100)과 연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를 가압하는 가압부분(200)과, 가압부분(200)과 연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일정량 적재된 후 이송되도록 하는 제1이송부분(300)과, 제1이송부분(300)과 연계되어 이송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적재된 후 특정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부분(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목적이나 시기 등에 따라 전개상태의 상자(20)를 재단하는 재단부분과, 재단 후 박스형태로 접는 제함부분이 추가로 연계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합지부분(100)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공급되는 인쇄된 종이와 골판지를 접착제를 통해 합지하여 전개상태의 상자(20)가 되도록 되고, 가압부분(200)에서는 인쇄된 종이와 골판지가 합지 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가압하여 부착력을 높이며, 제1이송부분(300)에서는 가압부분(200)을 통과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일정량 적재된 후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송부분(300)에서는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일정량 적재된 이후 상하방향으로 반전시켜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전개상태의 상자(20)가 다량으로 적재되었을 시 발생하는 눌림, 휨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이송부분(300)은 가압부분(200)과 연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일정량 적재되도록 하는 임시적재장치(310)와, 임시적재장치(310)와 연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320)와, 이송장치(3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주기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상하반전장치(330)를 구비할 수 있다.
임시적재장치(310)에는 임시적재장치(310)에 적재되는 양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일정량이 적재되었을 시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하반전장치(330)는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고,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는 다시 이송장치(320)를 통해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반전장치(330)는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마다 반전시키지 않고 주기적으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반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임시적재장치(310)에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는 상하반전장치(330)를 거치지 않고 이송장치(320)를 통해 임시적재장치(310)에서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고, 다음 순서로 임시적재장치(310)에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는 상하반전장치(3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후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고, 다음 순서로 임시적재장치(310)에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는 다시 상하반전장치(330)를 거치지 않고 이송장치(320)를 통해 임시적재장치(310)에서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이송부분(400)에는 상하반전장치(3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와 상하반전장치(330)와 무관하게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교차하여 적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하반전장치(330)는 이송장치(320)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331)과, 한 쌍의 제1브래킷(331)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브래킷(331)을 축으로 이송장치(320)의 이송방향과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수직부재(332)와, 양단이 한 쌍의 제1수직부재(332)와 연결되어 한 쌍의 제1수직부재(332)와 일체화되는 제1수평부재(333)와, 제1수평부재(333)의 너비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의 상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구속하는 제1구속장치(3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브래킷(331)은 상하반전장치(330)가 이송장치(3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하반전장치(330)를 이송장치(320)로부터 이격하는 역할을 하고, 제1수직부재(332)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제1브래킷(331)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브래킷(331)을 축으로 이송장치(320)의 이송방향과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수평부재(333)는 한 쌍의 제1수직부재(332)와 함께 'n'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이격공간(335)을 구비함으로써 상하반전장치(330)와 무관하게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이격공간(335)을 통과하여 제2이송부분(4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구속장치(33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구속할 수 있으며, 제1구속장치(334)의 형태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반전장치(330)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상하반전장치(330)와 무관하게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도록 할 시 제1구속장치(334)가 기립한 형태가 되도록 하여 이격공간(335)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이격공간(335)을 통한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고,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상하반전되어 이송되도록 할 시에는 제1구속장치(334)를 임시적재장치(310)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측으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안착되도록 하며, 안착된 이후에는 제1구속장치(334)를 제2이송부분(400)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이송장치(320)를 통해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의 제2이송부분(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의 제2이송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의 제2이송부분(400)은 이송장치(320)와 연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410)와,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연계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이동장치(420)와, 베이스플레이트(4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베이스플레이트(410)에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일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이송장치(430)와, 롤러이송장치(4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적재된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장치(440)와, 롤러이송장치(430) 또는 방향전환장치(440)와 연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적재된 베이스플레이트(410)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대차(450)와, 대차(450)의 하부에 구비되어 대차(45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4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하이동장치(420)는 최초 상 방향에 위치하여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베이스플레이트(410)에 적재되도록 한 후 상하이동장치(420)와 연계되는 센서(미도시)와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적재되는 양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410)가 일정하게 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이송장치(430)는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일단이 제2이송부분(400)과 연계되며, 타단이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의 외부에 위치하여 하 방향으로 이동된 베이스플레이트(410)가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의 외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롤러이송장치(430)는 주변 환경이나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방향전환장치(440)는 롤러이송장치(430)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적재된 베이스플레이트(410)가 이송되는 롤러장치(441)와, 롤러장치(441)의 하부에 구비되어 롤러장치(44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442)를 구비하여 이송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주변환경이나 최적의 이송거리 등에 맞는 이송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방향전환에 소요되는 노동력이나 시간 등을 저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에 구비되는 전후반전장치(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후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후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10)은 이송장치(320)의 상단에 구비되되 임시적재장치(310)와 상하반전장치(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주기적으로 전후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전후반전장치(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후반전장치(500)는 상하반전장치(330)와 서로 다른 축으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반전시킴으로써 전개상태의 상자(20)가 다량으로 적재되었을 시 발생하는 눌림, 휨 또는 들뜸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후반전장치(500)는 이송장치(320)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510)과, 한 쌍의 제2브래킷(510)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2브래킷(510)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제2수직부재(520)와, 양단이 한 쌍의 제2수직부재(520)와 연결되어 한 쌍의 제2수직부재(520)와 일체화되는 제2수평부재(530)와, 제2수평부재(530)의 하면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제2수평부재(530)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판(540)과, 회전판(540)의 하면에 구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의 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를 구속하는 제2구속장치(5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브래킷(510)은 전후반전장치(500)가 이송장치(3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전후반전장치(500)를 이송장치(320)로부터 이격하는 역할을 하고, 제2수직부재(520)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제2브래킷(510)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2브래킷(510)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수평부재(530)는 한 쌍의 제2수직부재(520)와 함께 'n'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에 회전판(540)과 제2구속장치(550)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수평부재(530)의 하부에는 제2수직부재(520)가 상 방향으로 움직였을 시 하부공간(560)이 형성되어 전후반전장치(500)와 무관하게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하부공간(560)을 통과하여 제2이송부분(4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판(540)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2수평부재(530)에 고정되어 회전판(540)과 결합하는 회전축을 통해 제2수평부재(530)로부터 회전함으로써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전후반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구속장치(550)는 회전판(540)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판 형상의 기초플레이트(551)와, 기초플레이트(551)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돌기(552)와, 하부돌기(552)의 일단에서 하부돌기(552)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기초플레이트(551)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개상태의 상자(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55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돌기(552)는 네 개의 하면 테두리 중에서 임시적재장치(31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개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어 세 개의 하면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하부돌기(552)에 의해 형성된 제2구속장치(550)의 내측에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후반전장치(500)를 통한 전후반전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후반전장치(500)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전후반전장치(500)와 무관하게 이송장치(320)를 통해 이송되도록 할 시 상 방향으로 움직여 하부공간(560)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하부공간(560)을 통한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고,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전후반전 되어 이송되도록 할 시에는 하 방향으로 움직여 제2구속장치(550)의 내측으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안착되도록 하며, 안착된 이후에는 다시 상 방향으로 움직이고 회전판(540)을 회전시킨 후 다시 하 방향으로 움직여 전후반전 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전개상태의 상자(20)가 이송장치(320)를 통해 제2이송부분(400)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20: 전개상태의 상자
100: 합지부분 200: 가압부분
300: 제1이송부분 310: 임시적재장치
320: 이송장치 330: 상하반전장치
331: 제1브래킷 332: 제1수직부재
333: 제1수평부재 334: 제1구속장치
335: 이격공간 400: 제2이송부분
410: 베이스플레이트 420: 상하이동장치
430: 롤러이송장치 440: 방향전환장치
441: 롤러장치 442: 회전장치
450: 대차 460: 레일
500: 전후반전장치 510: 제2브래킷
520: 제2수직부재 530: 제2수평부재
540: 회전판 550: 제2구속장치
551: 기초플레이트 552: 하부돌기
553: 지지돌기 560: 하부공간

Claims (5)

  1. 공급된 일정크기의 종이와 골판지를 합지하여 전개상태의 상자가 되도록 하는 합지부분과,
    상기 합지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가압하는 가압부분과,
    상기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된 후 이송되도록 하는 제1이송부분과,
    상기 제1이송부분과 연계되어 이송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후 특정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이송부분은 가압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정량 적재되도록 하는 임시적재장치와, 상기 임시적재장치와 연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주기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상하반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부분에는 상기 상하반전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반전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와 상기 상하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교차하여 적재되고,
    상기 상하반전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제1브래킷을 축으로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방향과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일체화되는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의 너비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상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구속하는 제1구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는 일체화된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이송부분은 상기 이송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상하이동장치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일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이송장치와, 상기 롤러이송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장치와, 상기 롤러이송장치 또는 상기 방향전환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특정위치로 이송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롤러이송장치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가 적재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이송되는 롤러장치와, 상기 롤러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임시적재장치와 상기 상하반전장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주기적으로 전후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전후반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후반전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제2브래킷에 체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브래킷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부재와 일체화되는 제2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의 하면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2수평부재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 구비되어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하면과 접촉하여 반전시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를 구속하는 제2구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반전장치와 무관하게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일정량으로 적재된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는 상기 제2수직부재가 상기 제2브래킷을 축으로 상 방향으로 움직였을 시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2이송부분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판 형상의 기초플레이트와,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돌기와,
    상기 하부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개상태의 상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KR1020220029057A 2022-03-08 2022-03-08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KR10245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57A KR102450540B1 (ko) 2022-03-08 2022-03-08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57A KR102450540B1 (ko) 2022-03-08 2022-03-08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40B1 true KR102450540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057A KR102450540B1 (ko) 2022-03-08 2022-03-08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535B1 (ko) 2023-01-19 2023-07-18 (주)더담패키지 박스 제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403A (ko) * 1991-06-20 1993-01-15 쿠라우찌 노리타카 유리모재의 화염연마방법
KR200325888Y1 (ko) * 2003-05-28 2003-09-13 권송희 골판지의 자동 반전장치
KR20130085390A (ko) * 2012-01-19 2013-07-29 장유민 완전 정렬이 가능한 공간 활용형 용지 반전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판지 합지장치
KR101473301B1 (ko) * 2012-11-29 2014-12-18 주식회사 신생테크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643B1 (ko) 2020-02-19 2020-09-22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를 뒤집는 반전 시스템
KR102274632B1 (ko) * 2021-02-09 2021-07-07 주식회사 삼성칼라팩 박스 반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403A (ko) * 1991-06-20 1993-01-15 쿠라우찌 노리타카 유리모재의 화염연마방법
KR200325888Y1 (ko) * 2003-05-28 2003-09-13 권송희 골판지의 자동 반전장치
KR20130085390A (ko) * 2012-01-19 2013-07-29 장유민 완전 정렬이 가능한 공간 활용형 용지 반전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판지 합지장치
KR101473301B1 (ko) * 2012-11-29 2014-12-18 주식회사 신생테크 파손 글래스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글래스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643B1 (ko) 2020-02-19 2020-09-22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를 뒤집는 반전 시스템
KR102274632B1 (ko) * 2021-02-09 2021-07-07 주식회사 삼성칼라팩 박스 반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535B1 (ko) 2023-01-19 2023-07-18 (주)더담패키지 박스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5046A5 (ko)
JP3343234B2 (ja) 薄板の様な品物の搬送用装置
JP2004525046A (ja) フレキシブルな帯状体の折重装置及び方法
KR102450540B1 (ko) 박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KR102173674B1 (ko) 시트재 취급 방법, 및 시트재 취급 장치
US20040226803A1 (en) Transport system for containers, and corner transfer unit for such a transport system
WO2019102905A1 (ja) 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システム
KR20070015742A (ko) 컨베이어 장치
US3142388A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KR100753682B1 (ko) 용지 반전 적재장치
JP4784416B2 (ja) 板状体整列設備
CN106219216A (zh) 一种流水线式加工设备
JPH0930638A (ja) 搬送装置における乗継装置
KR101712131B1 (ko) 판지 이송용 반전 장치
JP4290201B2 (ja) 給紙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219548A (ja) 薄板搬送システム
JP2000233854A (ja) 積み重ねシートの反転装置
JPH05306017A (ja) 細長物品用パレタイザー
JP3891376B2 (ja) 搬送用パレット
CN217375119U (zh) 一种装箱机构
CN212580901U (zh) 一种具有实现直角过程的双工位拨杆机构
JP2597533B2 (ja) Ptpシートの搬送装置
JP2598343B2 (ja) シート材の積層体の揃え装置
KR20230083052A (ko) 시트형 더미 적재 장치
JPH02415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