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755A -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755A
KR20140069755A KR1020120137437A KR20120137437A KR20140069755A KR 20140069755 A KR20140069755 A KR 20140069755A KR 1020120137437 A KR1020120137437 A KR 1020120137437A KR 20120137437 A KR20120137437 A KR 20120137437A KR 20140069755 A KR20140069755 A KR 2014006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wheel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관도
예상돈
하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2013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9755A/ko
Publication of KR2014006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 등에서 무거운 물체를 운반 대차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운반할 때 물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정지마찰력을 이기고 운반 대차를 작은 힘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한 대차프레임와, 상기 대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사람의 힘에 의해 회전 또는 직선 운동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운동을 상기 바퀴 또는 바퀴 축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Starting Aid Device for Carrier}
본 발명은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 등에서 무거운 물체를 운반 대차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운반할 때 물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정지마찰력을 이기고 운반 대차를 작은 힘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산업현장에서 공정의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까지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자동화가 필요치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자동화가 필요없는 경우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산업용 대차가 필요하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산업현장에서는 부품이나 생산품 등의 물품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운반 대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용 운반 대차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전동식과 사람이 직접 이동시키는 수동식이 있는데,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공정 및 환경이 적절하지 못하거나 산업용 운반 대차의 작업 이동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전동식 운반 대차보다 수동식의 운반 대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동식 운반 대차를 이용하여 고하중의 물품을 운반해야 할 경우, 정지 상태에 있는 운반 대차를 이동시키는데 매우 큰 힘이 요구되어 한 사람의 힘으로는 쉽게 움직이지 않아 여러 사람의 조력이 필요하거나 별도의 견인장치의 도움을 받아야 운반 대차를 출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하중의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정지 상태에 놓여져 있는 수동식의 운반 대차의 바퀴 또는 바퀴 축에 사람의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여, 작은 힘으로 운반 대차를 출발시킬 수 있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한 대차프레임와, 상기 대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사람의 힘에 의해 회전 또는 직선 운동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운동을 상기 바퀴 또는 바퀴 축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 대차에 무거운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자가 페달을 밟으면 동력전달부를 통해 바퀴 또는 바퀴 축에 힘이 전달되어 정지마찰력을 이기고 바퀴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큰 하중의 운반 대차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운반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동 보조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동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시동 보조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시동 보조장치의 변형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시동 보조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운반 대차는 이동 대상 물품(6)이 적재되는 적재부(2)를 구비한 대차프레임(1)과, 상기 대차프레임(1)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3)와, 시동(始動) 보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프레임(1)는 강철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핸들(5)이 구비된다.
상기 바퀴(3)는 대차프레임(1)의 전방부와 후방부 각각에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는데, 전,후방의 바퀴(3)들은 대차프레임(1)의 하단부를 가로지르는 바퀴 축(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첫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시동 보조장치는 상기 바퀴(3)들 중 후방에 위치한 2개의 바퀴(3)에 직접 미는 힘을 가하여 바퀴(3)를 출발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시동 보조장치는 상기 대차프레임(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람의 힘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페달(10)과, 상기 페달(10)의 회전운동을 상기 바퀴(3)에 전달하여 바퀴(3)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페달(10)에 연결되고 양측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수평한 회전축(22)을 중심을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1)와, 상기 작동로드(21)의 양측 끝단부에 힌지핀(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 상기 바퀴(3)의 후단부와 접촉하여 바퀴(3)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26)가 구비된 푸쉬로드(25)와, 상기 대차프레임(1)과 푸쉬로드(25)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푸쉬부(26)가 바퀴(3)와 접촉하지 않고 바퀴(3)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푸쉬부(26)를 후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21)는 지렛대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중간부분이 회전축(22)에 의해 대차프레임(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25)는 상단부가 힌지핀(23)에 의해 작동로드(21)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작동로드(21)의 회전에 의해 전방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하단부의 푸쉬부(26)가 바퀴(3)를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푸쉬부(26)가 바퀴(3)와 접촉하여 바퀴(3)를 밀어낼 때 바퀴(3)에 더 큰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푸쉬부(26)의 전방면에는 바퀴(3)의 외주면 홈(3a)에 삽입되거나 바퀴(3)의 외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치상돌기(2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8)는 인장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동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운반 대차의 대차프레임(1)의 적재부(2) 상에 고하중의 물품(6)을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5)을 잡고 전방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발로 페달(10)을 밟으면, 작동로드(21)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21)의 전단부는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작동로드(21)의 전단부에 연결된 푸쉬로드(25)가 전방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푸쉬로드(25) 하단의 푸쉬부(26)가 바퀴(3)와 접촉하면서 바퀴(3)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바퀴(3)가 움직여 대차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대차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작업자가 페달(10)을 밟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8)의 작용에 의해 푸쉬로드(25)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작동로드(21)가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사람이 페달(10)을 밟는 힘을 바로 바퀴(3)에 전달하였지만, 도 3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페달(10)을 밟아 페달(10)이 회전하는 힘을 바퀴 축(4)에 전달하여 바퀴(3)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달(10)과 연결된 동력전달부가 바퀴 축(4)에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페달(10)에 연결되고 양측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수평한 회전축(122)을 중심을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121)와, 상기 작동로드(121)의 양측 끝단부에 힌지핀(1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 구동기어부(126)가 형성된 기어로드(125)와, 상기 바퀴 축(4)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부(126)와 치합되면서 회전하는 종동기어부(127)와, 상기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작동로드(21)를 원상태로 복귀시켜 구동기어부(126)와 종동기어부(127)를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28)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탄성부재와 마찬가지로 인장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부(127)는 구동기어부(126)와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확실한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래치트기어(ratchet gear)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동 보조장치는 작업자가 페달(10)을 밟으면 작동로드(121)가 회전하게 되고, 작동로드(121)의 끝단부와 연결된 기어로드(125)가 상측 전방으로 들려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어로드(125) 하단의 구동기어부(126)가 종동기어부(127)와 접촉하여 맞물리면서 종동기어부(127)에 힘을 가하게 되고, 종동기어부(127)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바퀴 축(4) 및 이에 결합된 바퀴(3)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세번째 실시예의 시동 보조장치는 페달(10)이 대차프레임(1)(도 1참조)에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페달(10)과 연결된 동력전달부가 래크기어(221)와 피니언기어(222), 일방향베어링(223), 가이드부재(224), 탄성부재(225)로 구성된다.
상기 래크기어(221)는 연결샤프트(226)를 통해서 상기 페달(1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222)는 상기 바퀴 축(4)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래크기어(221)와 치합하여 래크기어(221)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한다. 상기 래크기어(221)와 바퀴 축(4) 사이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223)이 개재된다. 상기 일방향베어링(223)은 상기 피니언기어(222)와 결합된 외륜이 전방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후방으로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베어링(223)은 래크기어(221)가 전방으로 진행할 때는 회전이 구속되어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이 바퀴 축(4)에 전달되어 피니언기어(222)와 바퀴 축(4)이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래크기어(221)가 후방으로 복귀할 때에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이 바퀴 축(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24)는 대차프레임(1)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샤프트(226) 및 래크기어(221)가 관통하면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22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24) 내측에는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래크기어(221)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래크기어(22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25)가 설치된다.
이와 구성된 세번째 실시예의 시동 보조장치는 작업자가 페달(10)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 페달(10) 및 이에 연결된 래크기어(221)가 전방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래크기어(221)와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22)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일방향베어링(223)은 전방으로의 회전이 구속되기 때문에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이 일방향베어링(223)을 통해 바퀴 축(4)에 전달되어 바퀴 축(4)이 회전하게 된다.
작업자가 페달(1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래크기어(221)는 탄성부재(22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재(224)의 가이드홀(224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일방향베어링(223)은 후방으로의 회전이 허용되기 때문에 피니언기어(222)가 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이 바퀴 축(4)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피니언기어(222)는 바퀴 축(4)의 중앙부에 1개만 설치되고, 래크기어(221) 역시 대차프레임(1)(도 1참조) 중앙부에 1개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변형례로서 나타낸 것과 같이 바퀴 축(4)의 양측부에 전방으로 회전은 구속되고 후방으로의 회전은 허용된 일방향베어링(223)(도 5 참조)을 매개로 2개의 피니언기어(222)를 설치하고, 운반 대차 대차프레임(1)(도 1참조)의 양측부에 상기 피니언기어(222)들과 각각 치합하는 2개의 래크기어(221)를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하며, 페달(10)과 래크기어(221) 사이에 페달(10)의 운동을 2개의 래크기어(221)에 전달하는 전달부재(227)를 설치하여 시동 보조장치의 동력전달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퀴 축(4)의 양측 각각에 피니언기어(222)와 래크기어(221)들을 구성하면 중앙에 1개만 구성할 경우에 비하여 바퀴 축(4)에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 세번째 실시예와 네번째 실시예에서 페달(10)은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8에 또 다른 실시예와 도시된 것과 같이 페달(10)이 대차프레임(1)에 회전 운동하고 페달(10)과 래크기어(221) 사이에 페달(10)의 회전 운동을 래크기어(22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장치를 구성하여 지렛대 원리로 래크기어(221)에 힘을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이 다섯번째 실시예의 시동 보조장치는 페달(10)과 연결된 회전부재(321)의 대략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설치되는 수평축(32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321)의 끝단부에 기어가압부재(325)가 힌지핀(3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기어가압부재(325)와 대차프레임(1) 사이에 인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26)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페달(10)을 밟아 회전부재(321)를 수평축(32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321)의 전단부에 연결된 기어가압부재(325)가 상측 전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하단부가 상기 래크기어(221)의 후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크기어(22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피니언기어(222)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이 일방향베어링(223)을 통해 바퀴 축(4)에 전달되어 바퀴(3)가 회전하여 운반 대차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종동기어부(127) 또는 피니언기어(222)와 같은 기어를 이용하여 바퀴 축(4)에 페달(10)의 힘을 전달하였으나, 이러한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력이 큰 재질의 링이나 패드를 이용하여 바퀴 축(4)에 힘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 대차에 무거운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자가 페달(10)을 밟으면 동력전달부를 통해 바퀴(3) 또는 바퀴 축(4)에 힘이 전달되어 바퀴(3)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큰 하중의 운반 대차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대차프레임 2 : 적재부
3 : 바퀴 4 : 바퀴 축
10 : 페달 21 : 작동로드
22 : 회전축 23 : 힌지핀
25 : 푸쉬로드 26 : 푸쉬부
27 : 치상돌기 28 : 탄성부재

Claims (11)

  1. 이동 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2)를 구비한 대차프레임(1)과, 상기 대차프레임(1)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3)를 포함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사람의 힘에 의해 회전 또는 직선 운동하는 페달(10)과;
    상기 페달(10)의 운동을 상기 바퀴(3) 또는 바퀴 축(4)에 전달하여 바퀴(3)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페달(10)에 연결되고 양측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수평한 회전축(22)을 중심을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21)와, 상기 작동로드(21)의 양측 끝단부에 힌지핀(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 상기 바퀴(3)의 후단부와 접촉하여 바퀴(3)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푸쉬부(26)가 구비된 푸쉬로드(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푸쉬부(26)가 바퀴(3)와 접촉하지 않고 바퀴(3)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푸쉬부(26)를 후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26)에는 바퀴(3)의 외주면 홈(3a)에 삽입되는 치상돌기(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페달(10)에 연결되고 양측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수평한 회전축(122)을 중심을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로드(121)와, 상기 작동로드(121)의 양측 끝단부에 힌지핀(1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에 구동기어부(126)가 형성된 기어로드(125)와, 상기 바퀴 축(4)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부(126)와 치합되면서 회전하는 종동기어부(127)와, 상기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작동로드(121)를 원상태로 복귀시켜 구동기어부(126)와 종동기어부(127)를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부(127)는 래치트기어(ratchet g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부가 상기 페달(10)에 연결되어 직선운동하는 래크기어(221)와, 상기 바퀴 축(4)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래크기어(221)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22)와, 상기 피니언기어(222)와 바퀴 축(4) 사이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222)가 전방으로 회전시 구속되어 피니언기어(222)의 회전력을 바퀴 축(4)에 전달하고 피니언기어(222)의 반대 방향 회전은 허용하는 일방향베어링(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축(4)의 양측부에 전방으로 회전은 구속되고 후방으로의 회전은 허용된 일방향베어링을 매개로 2개의 피니언기어(222)가 설치되고, 상기 대차프레임(1)의 양측부에 상기 피니언기어(222)와 각각 치합하는 2개의 래크기어(221)가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페달(10)과 래크기어(221) 사이에 페달(10)의 운동을 2개의 래크기어(221)에 전달하는 전달부재(22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10)과 래크기어(221) 사이에는 일단이 페달(10)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대차프레임(1)에 설치되는 수평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321)와, 상기 회전부재(321)의 끝단부에 힌지핀(32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래크기어(221)의 후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기어가압부재(3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상기 래크기어(22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1)에 대해 상기 래크기어(221)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대차의 시동(始動) 보조장치.
KR1020120137437A 2012-11-29 2012-11-29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KR20140069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437A KR20140069755A (ko) 2012-11-29 2012-11-29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437A KR20140069755A (ko) 2012-11-29 2012-11-29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755A true KR20140069755A (ko) 2014-06-10

Family

ID=5112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437A KR20140069755A (ko) 2012-11-29 2012-11-29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97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50B1 (ko) * 2014-06-23 2014-08-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용 승강장치
CN108556894A (zh) * 2018-04-15 2018-09-21 浙江师范大学 箱体搬运上楼助力装置
CN117486133A (zh) * 2023-12-28 2024-02-02 河北神力索具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智能化搬运车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50B1 (ko) * 2014-06-23 2014-08-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용 승강장치
CN108556894A (zh) * 2018-04-15 2018-09-21 浙江师范大学 箱体搬运上楼助力装置
CN117486133A (zh) * 2023-12-28 2024-02-02 河北神力索具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智能化搬运车及其使用方法
CN117486133B (zh) * 2023-12-28 2024-03-08 河北神力索具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智能化搬运车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6273B (zh) 被动驱动的制动系统
KR20140069755A (ko) 운반 대차의 시동 보조장치
US9266676B2 (en) Low profile, hands free actuation, power assist roll off dolly
US20180229748A1 (en) Carriage
JPH0219045B2 (ko)
KR102041723B1 (ko) 바퀴의 방향 전환 없이 전방향 자율주행이 가능한 중량물 이송장치
CN106627685A (zh) 物流推车以及使用该物流推车的生产线
JP2020023200A (ja) 旋回自在キャス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4625782B2 (ja) 台車移動装置
CN1185133A (zh) 具有在轨道上运行的运输车的运输设备
KR100956139B1 (ko) 운전 기능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JP2010143434A (ja) 重量物運搬用電動ローラー
WO2018064808A1 (zh) 一种无人搬运机器人及其底盘
KR101698902B1 (ko) 중량물 이동용 전동트롤리
JP4188012B2 (ja) クラッチ装置
JP6027385B2 (ja) 簡易移動装置
JP2019151154A (ja) 搬送用台車
JP3226054B2 (ja)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
CN209634475U (zh) 一种电动平车
CN214165033U (zh) 一种用于轴承真空热处理的送料车
JP7040738B2 (ja) 駆動輪ユニットの台車用連結機構
JP2022054832A (ja) 搬送台車
JPH0522341Y2 (ko)
JP4234763B1 (ja) 自走動力式搬送ローラ装置
KR200282750Y1 (ko) 수동 대차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