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202A -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202A
KR20140069202A KR20147010471A KR20147010471A KR20140069202A KR 20140069202 A KR20140069202 A KR 20140069202A KR 20147010471 A KR20147010471 A KR 20147010471A KR 20147010471 A KR20147010471 A KR 20147010471A KR 20140069202 A KR20140069202 A KR 2014006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electrode
lamin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657B1 (ko
Inventor
도시히코 오가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9958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6920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접착시키기 위한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로서,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갖고,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25 ℃ 이하인 접착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ADHESIVE RESIN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용 부재로서,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적층시킨 부재가 알려져 있다 (요시오 마사키/오자와 아키야 편「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제 2 판 -재료와 응용-」, 일간 공업 신문사, 2001년 8월, p.173-177).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접착시키기 위한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로서,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갖고,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25 ℃ 이하인 접착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
<2>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위인 <1> 에 기재된 조성물.
<3> 접착 수지가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조성물.
<4> 추가로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5> 접착 수지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 30 질량부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0 질량부인 <4> 또는 <5> 에 기재된 조성물.
<7> 유기 용제가 알코올인 <4>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8>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알코올인 <7> 에 기재된 조성물.
<9>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또는 이차 전지용 전극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닥터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9> 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부재의 제조 방법.
(a)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을 압착시키는 공정
<12>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부재의 제조 방법.
(a')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전극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접착층을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압착시키는 공정
<13>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또는 이차 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적층체.
<14>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용 부재.
<15>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
도 1 은 본 발명의 적층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이하, 조성물이라고 한다) 은,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이하, 세퍼레이터라고 한다) 와 이차 전지용 전극 (이하, 전극이라고 한다) 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조성물은 접착 수지를 함유한다.
조성물은 추가로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접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2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20 ℃ 이하이다.
접착 수지는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갖는다. 접착 수지는, 추가로 방향족 비닐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방향족 비닐 모노머는, 방향족 고리와 비닐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이다. 방향족 비닐 모노머로는, 스티렌, 아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고,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라우릴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크릴로니트릴;등을 들 수 있다.
접착 수지로는,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1,3-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다디엔-이타콘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푸마르산 공중합체, 스티렌-1,3-부다디엔-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1,3-부다디엔-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푸마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n-부틸-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n-부틸-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머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알코올;
프로필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부틸에테르, 이소부틸에테르, n-아밀에테르, 이소아밀에테르, 메틸부틸에테르, 메틸이소부틸에테르, 메틸n-아밀에테르, 메틸이소아밀에테르, 에틸프로필에테르, 에틸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부틸에테르, 에틸이소부틸에테르, 에틸n-아밀에테르, 에틸이소아밀에테르 등의 포화 지방족 에테르;
알릴에테르, 에틸알릴에테르 등의 불포화 지방족 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페닐에테르, 벤질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디옥산 등의 고리형 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에테르;
포름산, 아세트산, 무수 아세트산, 아크릴산, 시트르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포름산부틸, 포름산아밀,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제2부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부틸시클로헥실,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아밀, 부티르산부틸, 탄산디에틸, 옥살산디에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부틸, 인산트리에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아세톤, 에틸케톤, 프로필케톤, 부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메틸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헵타논 등의 케톤;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운데칸이산, 피루브산, 시트라콘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1,4-디옥산, 푸르푸랄,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고,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 ∼ 4 의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알코올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 및/또는 1-부탄올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물>
물은 순수이어도 되고,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는 수돗물이어도 된다.
<그 밖의 첨가제>
조성물은 도포성이나 전지 성능을 대폭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접착 수지, 유기 용제 및 물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물에 용해 또는 팽윤되는 점도 조정제;
바인더 보조제;
알킬벤젠술폰산소다, 알킬술포숙시네이트 등의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술포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등의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알루미나, 실리카, 제올라이트 등의 세라믹;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수지의 함유량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8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 ∼ 10 질량부의 범위이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접착 수지의 미립자가 유기 용제 및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이다. 접착 수지의 미립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05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50 ㎛ 이다. 접착 수지의 입경은,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제 및 물을 제거한 후, 전자 현미경으로 100 개의 입자의 장경과 단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접착 수지와 유기 용제와 물과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임의의 순서로 혼합하고, 교반하는 방법;
용융시킨 접착 수지를 수중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유기 용제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방법;
접착 수지와 유기 용제의 혼합 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 용액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접착 수지를 함유하는 에멀션에 유기 용제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통상적으로 방향족 비닐 모노머와, 방향족 비닐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를, 물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유화 중합은,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은, 유화제와 물의 혼합물 중에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승온시키고, 중합시킴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로는, 알킬벤젠술폰산소다, 알킬술포숙시네이트 등의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술포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등의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20 ∼ 95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접착층>
본 발명의 접착층은 조성물을 함유한다. 접착층은 세퍼레이터 및 전극을 접착시키는 층으로, 세퍼레이터와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다. 접착층은 실질적으로 접착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층은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접착층과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을 포함한다. 적층체 중 적어도 하나의 최표면이 접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접착 수지를 접착층으로서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에 첩부하는 방법;이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는 이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는, 비스코스 레이온, 천연 셀룰로오스 등의 초지 (抄紙);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초지하여 얻어지는 혼초지;
전해지;크래프트지;마닐라지;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유리 섬유, 다공질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다공질 폴리에틸렌,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다공질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파라계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과 6불화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불소 고무 등의 함불소 수지 등의 부직포 또는 다공질막;
프로톤 전도형 폴리머의 막;등을 들 수 있고, 전해지, 비스코스 레이온 또는 천연 셀룰로오스의 초지,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스테르의 섬유를 초지하여 얻어지는 혼초지, 크래프트지, 마닐라지,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마닐라삼 시트, 유리 섬유 시트, 다공질 폴리올레핀의 부직포 또는 다공질막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는 미세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미세 구멍의 구멍 직경은 통상 0.01 ∼ 10 ㎛ 이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1 ∼ 300 ㎛, 바람직하게는 5 ∼ 30 ㎛ 이다.
세퍼레이터는 공극률이 상이한 다공질막을 적층한 것이어도 되고, 다공질 폴리올레핀과 다공질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가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는, 다공질막과 내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다공질 필름이어도 된다. 막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폴리올레핀의 다공질막이다.
내열층으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계 폴리머;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이미드계 폴리머;필러 입자를 함유하는 층;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1 종의 내열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내열층을 가져도 된다.
필러 입자로는,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 입자에 함유되는 무기물로는, 탄산칼슘, 탤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하이드로탈사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제올라이트,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입자에 함유되는 유기물로는, 스티렌, 비닐케톤,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틸 등의 공중합체;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4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불소계 수지;멜라민 수지;우레아 수지;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등을 들 수 있다. 2 종류 이상의 입자나 상이한 입도 분포를 갖는 동종의 입자를 혼합하여, 필러 입자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내열층은 결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결착제는 필러 입자끼리 또는 필러 입자 및 내열층을 결착시키는 제이다. 결착제로는, 전지의 전해액에 불용이고, 또한 전지의 사용 범위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결착제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폴리머;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나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함불소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이소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천연 고무,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1,3-부타디엔-이소프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1,3-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1,3-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다디엔-이타콘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푸마르산 공중합체, 스티렌-1,3-부다디엔-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1,3-부다디엔-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1,3-부타디엔-메타크릴산메틸-푸마르산 공중합체 등의 디엔계 폴리머;
디엔계 폴리머의 수소화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염소화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n-부틸-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n-부틸-이타콘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에테르아미드 등의 에테르계 폴리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의 함황 폴리머;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이미드계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폴리머;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이들의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스티렌-부타디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알긴산, 그 암모늄염 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등을 들 수 있다.
(전극)
전극으로는, 정극 (正極) 과 부극 (負極) 을 들 수 있다. 전극은 집전체를 갖고, 통상적으로 집전체 중 적어도 일방의 면 (바람직하게는 양면) 에 전극 활물질 및 필요에 따라 도전재가 결착제를 개재하여 도포되어 있다.
전극 활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활물질이다. 전극 활물질로는, 정극 활물질과 부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정극 활물질로는, 리튬과 철, 코발트, 니켈 및 망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ixMO2 (단, M 은 1 종 이상의 천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Co, Mn 및 Ni 중 적어도 1 종을 나타내고, 1.10 > x > 0.05 이다), LixM2O4 (식 중, M 은 1 종 이상의 천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Mn 을 나타내고, 1.10 > x > 0.05 이다) 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LiCoO2, LiNiO2, LixNiyCo(1-y)O2 (식 중, 1.10 > x > 0.05, 1 > y > 0 이다), LixNiyCozMn(1-y-z)O2 (식 중, 1.10 > x > 0.05, 1 > y > 0, 1 > z > 0 이다), LiMn2O4 등을 들 수 있다.
부극 활물질로는, SiO2 등의 규소 산화물;탄소질 물질;금속 복합 산화물;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모르퍼스 카본, 그라파이트, 천연 흑연, MCMB, 피치계 탄소 섬유, 폴리아센 등의 탄소질 재료;AxMyOZ (식 중, A 는 Li, M 은 Co, Ni, Al, Sn 및 Mn 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 O 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x, y, z 는 각각 1.10 ≥ x ≥ 0.05, 4.00 ≥ y ≥ 0.85, 5.00 ≥ z ≥ 1.5 의 범위의 수이다)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재로는,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활성탄 등의 도전성 카본;천연 흑연, 열팽창 흑연, 인상 흑연, 팽창 흑연 등의 흑연계 도전재;기상 성장 탄소 섬유 등의 탄소 섬유;알루미늄, 니켈, 구리, 은, 금, 백금 등의 금속 미립자 혹은 금속 섬유;산화루테늄 혹은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센 등의 도전성 고분자 를 들 수 있고,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및 케첸블랙이 바람직하다.
도전재의 함유량은,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에 대하여, 0 ∼ 5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 ∼ 3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집전체의 재료로는, 니켈, 알루미늄, 티탄, 구리, 금, 은, 백금,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탄소 소재 또는 활성탄 섬유에, 니켈, 알루미늄, 아연, 구리, 주석, 납 또는 이들의 합금을 플라즈마 용사 또는 아크 용사함으로써 형성된 집전체;고무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SEBS) 등의 수지에 도전재를 분산시킨 도전성 필름;등을 들 수 있다.
결착제로는, 상기의 결착제를 들 수 있다.
(도포 방법)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의 표면의 전체면에 대략 균일하게 도포하는 방법 (이하 「연속 도포」라고 한다);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의 표면의 일부에 도포하는 방법 (이하 「불연속 도포」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슬롯다이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법, 딥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아법, 키스 코트법, 익스트루젼법, 비드법, 커튼 코트법, 도트법, 포러스 코트법, 슬롯 코트법, 스프레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서미트 스프레이법, 침지, 브러시 도포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닥터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키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도트법, 포러스 코트법, 슬롯 코트법, 스프레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서미트 스프레이법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닥터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키스 코트법, 포러스 코트법, 스프레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또는 서미트 스프레이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닥터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또는 스프레이법이다.
연속 도포는 상기 어느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불연속 도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아법, 커튼 코트법, 도트법, 포러스 코트법, 스프레이법, 스파이럴 스프레이법, 서미트 스프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방법)
적층체는, 추가로 건조시켜, 적층체의 접착층으로부터 유기 용제 및 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방법으로는,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진공 건조;적외선, 원적외선,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를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는 30 ∼ 200 ℃ 가 바람직하고, 4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후의 접착층의 막두께는 0.00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 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 ∼ 1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 후의 접착층의 피복률은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피복률이란, 세퍼레이터 또는 전극의 도포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접착층의 면적의 비율이다. 접착층의 피복률은, 마이크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1 ∼ 1000 배의 시야로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연속 도포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의 경우, 건조 후의 접착층의 피복률은 3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연속 도포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의 경우, 건조 후의 접착층의 피복률은 5 ∼ 8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6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막두께 및 도포 면적이 상기의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상승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차 전지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부재 (이하, 부재라고 한다) 는, 조성물에 의해 전극과 세퍼레이터가 접착된 부재로, 전극과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다.
부재로는, 부극 및 세퍼레이터만이 접착된 부재 (도 2);정극 및 세퍼레이터가 접착된 부재;부극, 세퍼레이터, 정극 및 세퍼레이터가 이 순서로 반복하여 접착된 부재 (단, 2 개의 최표면은 부극 및 정극이다) (도 3); 등을 들 수 있다.
부재의 제 1 제조 방법은,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한다.
(a) 조성물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전극을 압착시키는 공정
부재의 제 2 제조 방법은,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한다.
(a') 조성물을 전극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를 압착시키는 공정
(a), (b), (a') 및 (b') 에 있어서의 도포 및 건조는, 상기의 도포 방법 및 건조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c) 및 (c') 에 있어서의 압착은, 가압에 의한 압착이어도 되고 감압에 의한 압착이어도 된다.
압착시의 온도는 2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200 ℃ 이다.
도 3 에 나타낸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제 1 제조 방법을 복수 회 반복하는 방법;제 2 제조 방법을 복수 회 반복하는 방법;제 1 제조 방법과 제 2 제조 방법을 조합하여 복수 회 반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접착 방법>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접착 방법은, (a), (b) 및 (c) 또는 상기 (a'), (b') 및 (c') 를 포함한다.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접착시키기 위한 조성물의 사용>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접착시키기 위한 조성물의 사용은, (a), (b) 및 (c) 또는 (a'), (b') 및 (c') 를 실시하는 사용 방법이다.
<이차 전지>
부재와 전해액을 갖는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이차 전지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정극 및 부극의 양극에 있어서 리튬의 산화·환원이 실시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방출하는 전지이다.
(전해액)
전해액으로는, 리튬염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 등을 들 수 있다. 리튬염으로는, LiClO4, LiPF6, LiAsF6, LiSbF6, LiBF4, LiCF3SO3, LiN(SO2CF3)2, LiC(SO2CF3)3, Li2B10Cl10, 저급 지방족 카르복실산리튬염, LiAlCl4 등을 들 수 있고, 불소를 함유하는 리튬염이 바람직하고, LiPF6, LiAsF6, LiSbF6, LiBF4, LiCF3SO3, LiN(CF3SO2)2, 및 LiC(CF3SO2)3 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해액에서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1,2-디(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탄 등의 카보네이트류;1,2-디메톡시에탄, 1,3-디메톡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디플루오로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포름산메틸, 아세트산메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3-메틸-2-옥사졸리돈 등의 카르바메이트류;술포란, 디메틸술폭사이드, 1,3-프로판술톤 등의 함황 화합물, 또는 상기의 유기 용매에 불소 치환기를 도입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이들 중 2 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와 전극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얻어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대폭 상승시키지 않고, 이차 전지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적층체의 제조)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 (Tg;7 ℃, 입경;0.2 ㎛) 2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0 질량부 및 물 78 질량부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자전·공전 믹서 「아와토리 렌타로」(주식회사 싱키 제조;등록 상표) 를 사용하여, 실온하에서 2000 rpm, 30 초 교반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위에, 핸드 타입형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스프레이법에 의해 불연속 도포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65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KEYENCE 주식회사 제조, VHX-500F) 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접착층을 200 배의 배율로 계측한 결과, 접착층의 피복률은 21 % 였다.
실시예 2 (적층체의 제조)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 (Tg;-15 ℃, 입경;0.2 ㎛) 1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0 질량부, 1-부탄올 10 질량부 및 물 69 질량부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자전·공전 믹서 「아와토리 렌타로」(주식회사 싱키 제조;등록 상표) 를 사용하여, 실온하에서 2000 rpm, 30 초 교반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위에,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연속 도포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65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의 접착층을 계측한 결과, 접착층의 피복률은 100 % 였다.
실시예 3 (적층체의 제조)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 (Tg;-15 ℃, 입경;0.2 ㎛) 1 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0 질량부, 1-부탄올 10 질량부 및 물 69 질량부를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자전·공전 믹서 「아와토리 렌타로」(주식회사 싱키 제조;등록 상표) 를 사용하여, 실온하에서 2000 rpm, 30 초 교반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두께 19 ㎛, 공극률 54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위에, 그라비아 코터에 의해 연속 도포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65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접착층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시험예 1 (투기 저항도[air resistance (Gurley)])
JIS P 8117 에 준거하여 얻어진 적층체 및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퍼레이터의 투기 저항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2 에서 사용한 세퍼레이터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를 비교예 1 로 한다.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세퍼레이터 (두께 19 ㎛, 공극률 54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를 비교예 2 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투기 저항도가 클수록 얻어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상승시킨다. 실시예 1 및 2 의 투기 저항도와 비교예 1 의 투기 저항도 사이에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3 의 투기 저항도와 비교예 2 의 투기 저항도 사이에 큰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세퍼레이터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와, 세퍼레이터와 접착층과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를 비교하여도, 이차 전지의 내부 저항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시예 4 (부재의 제조)
실시예 1 에서 얻은 적층체의 접착층과 단책상 (短冊狀) 으로 절단한 부극[흑연/폴리불화비닐리덴 (질량비 100/7.5)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60 ℃ 에서 5 분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5 (부재의 제조)
실시예 2 에서 얻은 적층체의 접착층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질량비 100/1.5/1)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60 ℃ 에서 5 분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6 (부재의 제조)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접착층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정극[LiNi0 .3 Co0.3Mn0.3O2/카본블랙/폴리불화비닐리덴 (질량비 93/4/3) 을 알루미늄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정극]을, 롤 타입 라미네이터 (후지플라 주식회사 제조, 후지 라미파커 LPP6512) 를 사용하여 70 ℃ 에서 열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7 (부재의 제조)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접착층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질량비 100/1.5/1)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롤 타입 라미네이터 (후지플라 주식회사 제조, 후지 라미파커 LPP6512) 를 사용하여, 70 ℃ 에서 열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비교예 3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폴리불화비닐리덴 (질량비 100/7.5) 를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60 ℃ 에서 5 분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비교예 4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스티렌-1,3-부타디엔공중합체/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질량비 100/ 1.5/1)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60 ℃ 에서 5 분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비교예 5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정극[LiNi0.3Co0 .3Mn0 .3O2/카본블랙/폴리불화비닐리덴 (질량비 93/4/3) 을 알루미늄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정극]을, 롤 타입 라미네이터 (후지플라 주식회사 제조, 후지 라미파커 LPP6512) 를 사용하여, 70 ℃ 에서 열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비교예 6
두께 19 ㎛, 공극률 54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과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질량비 100/1.5/1)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을, 롤 타입 라미네이터 (후지플라 주식회사 제조, 후지 라미파커 LPP6512) 를 사용하여, 70 ℃ 에서 열 압착시켜 부재를 얻었다.
시험예 2 (박리 강도)
얻어진 부재의 전극측과 유리 에폭시 수지판을 양면 접착 테이프로 첩부하여 박리 강도 측정기에 고정시키고, 소형 탁상 시험기 (시마즈 제조, EZ Test EZ-L) 를 사용하여 두께 방향으로 박리시켜, 부재에 포함되는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박리시키는 데에 필요로 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때의 힘의 크기를 세퍼레이터의 폭 (2 ㎝) 으로 나눈 값을 박리 강도 (N/m) 로 하였다. 실시예의 부재는 박리 강도가 양호하였다. 실시예의 부재에 의하면, 이차 전지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8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폴리불화비닐리덴 (질량비 100/7.5)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위에, 핸드 타입형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스프레이법에 의해 불연속 도포한다. 얻어지는 적층체를 건조시켜, 접착층과 부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다.
실시예 9 (부재의 제조)
실시예 8 에서 얻어지는 적층체의 접착층과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는다. 얻어지는 부재는 박리 강도가 양호하다.
실시예 10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단책상으로 절단한 부극[흑연/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질량비 100/1.5/1) 을 구리박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된 시판되는 부극]위에,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연속 도포한다. 얻어지는 적층체를 건조시켜, 접착층과 부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다.
실시예 11 (부재의 제조)
실시예 10 에서 얻어지는 적층체의 접착층과 두께 16 ㎛, 공극률 51 %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을 진공 압착시켜 부재를 얻는다. 얻어지는 부재는 박리 강도가 양호하다.
참고예 1
실시예 4 에서 얻은 부재를 진공 건조시켜 부극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부재를 얻는다. CR2032 형 (IEC/JIS 규격) 의 코인 셀에, 부재와, 정극으로서 리튬박과, 전해액으로서 농도 1.0 몰/리터의 LiPF6/에틸렌카보네이트 및 디에틸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2 극식 셀을 조립한다.
참고예 2
실시예 4 에서 얻은 부재 대신에, 실시예 5 에서 얻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극식 셀을 조립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 부극
b : 접착층
c : 세퍼레이터
d : 정극

Claims (15)

  1.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접착시키기 위한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로서,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갖고,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25 ℃ 이하인 접착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스티렌에서 유래하는 단위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 수지가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수지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 30 질량부인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0 질량부인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제가 알코올인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sec-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알코올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또는 이차 전지용 전극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닥터 블레이드법, 그라비아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부재의 제조 방법.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을 압착시키는 공정
  12. 하기 (a'), (b') 및 (c')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부재의 제조 방법.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차 전지용 전극에 도포하여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
    (b') 상기 (a') 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접착층을 건조시키는 공정
    (c') 상기 (b') 에서 건조된 적층체의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압착시키는 공정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또는 이차 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적층체.
  14.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과 이차 전지용 전극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용 부재.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
KR1020147010471A 2011-09-26 2012-09-24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KR10185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8605 2011-09-26
JPJP-P-2011-208605 2011-09-26
JPJP-P-2011-222673 2011-10-07
JP2011222673 2011-10-07
JPJP-P-2012-058384 2012-03-15
JP2012058384 2012-03-15
PCT/JP2012/075277 WO2013047856A1 (ja) 2011-09-26 2012-09-24 二次電池用接着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202A true KR20140069202A (ko) 2014-06-09
KR101852657B1 KR101852657B1 (ko) 2018-04-26

Family

ID=4799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471A KR101852657B1 (ko) 2011-09-26 2012-09-24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3049B2 (ko)
JP (3) JP6175751B2 (ko)
KR (1) KR101852657B1 (ko)
CN (1) CN103828115B (ko)
TW (1) TW201315785A (ko)
WO (1) WO2013047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3757B2 (en) 2010-12-22 2017-02-28 Enevate Corporation Electrodes,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KR101852656B1 (ko) 2011-09-26 2018-04-2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US10522809B2 (en) 2012-07-18 2019-12-3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dhesive layer, layer, and composition
WO2014119665A1 (ja) * 2013-02-01 2014-08-07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ニオン伝導性材料及び電池
CN105378978B (zh) * 2013-03-12 2018-06-01 新强能电池公司 电极、电化学电池及形成电极和电化学电池的方法
TWI568066B (zh) * 2013-11-04 2017-01-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形成二次電池的黏合層之方法
CN104617246B (zh) * 2015-02-23 2017-01-04 范建国 一种电池隔膜的制备方法
KR101772419B1 (ko) * 2015-03-02 201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과 접착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
US10833313B2 (en) * 2015-10-22 2020-11-10 Maxell Holdings, Ltd. Positive electrode for nonaq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726584B2 (ja) 2015-10-22 2020-07-22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8448032B (zh) * 2017-02-16 2022-10-18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及非水系二次电池
US20210057703A1 (en) * 2017-12-27 2021-02-25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022042818A (ja) * 2020-09-03 2022-03-1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22160281A1 (zh) * 2021-01-29 2022-08-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剂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CN115960280B (zh) 2021-10-12 2023-12-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剂化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867B2 (ja) 1996-12-18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25871B2 (ja) 1996-12-2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3997573B2 (ja) 1997-01-2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9031750A1 (en) 1997-12-18 1999-06-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dhesive for cells, a cell using the sam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cells
JPH11213981A (ja) 1998-01-27 1999-08-06 Sumitomo Bakelite Co Ltd 電池用セパレーター及び電池
JP2001118558A (ja) 1999-10-19 2001-04-27 Asahi Kasei Corp 部分被覆されたセパレータ
US6881438B2 (en) 2000-03-07 2005-04-19 Teijin Limited Process for production of composite porous film
JP4127989B2 (ja) 2001-09-12 2008-07-30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US6737469B2 (en) * 2001-09-27 2004-05-18 Basf Ag Method of adding water insoluble organic chemicals to styrene-butadiene rubber latex dispersions and resulting styrene-butadiene rubber latex dispersions
US6998193B2 (en) 2001-12-28 2006-02-14 Policell Technologies, Inc. Microporous membrane and its uses thereof
JP2004323827A (ja) 2003-04-09 2004-11-18 Nitto Denko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接着剤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利用
KR100758482B1 (ko) * 2004-12-07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처리된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소자
JP4910287B2 (ja) * 2004-12-10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816599B1 (ko) * 2004-12-13 2008-03-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2차전지
JP4824302B2 (ja) 2004-12-17 2011-1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極用結着剤を含む水性分散体、水素吸蔵合金電極およびその製造法、アルカリ蓄電池、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605467B2 (ja) * 2006-02-23 2011-0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の製造方法
EP2575196B1 (en) * 2006-11-20 2014-05-28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01579330B1 (ko) 2008-02-29 2015-12-21 제온 코포레이션 비수 전해질 2 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 전해질 2 차 전지
JP5646831B2 (ja) * 2009-09-04 2014-12-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JPWO2011096463A1 (ja) 2010-02-03 2013-06-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5462016B2 (ja) * 2010-02-08 2014-04-02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二次電池耐熱保護層用バインダーおよび耐熱保護層用組成物
JP2012089346A (ja) * 2010-10-19 2012-05-10 Teijin Ltd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KR101852656B1 (ko) 2011-09-26 2018-04-2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19005A (ja) 2013-10-24
CN103828115A (zh) 2014-05-28
KR101852657B1 (ko) 2018-04-26
JP2019117800A (ja) 2019-07-18
CN103828115B (zh) 2016-10-26
JP6495952B2 (ja) 2019-04-03
JP6175751B2 (ja) 2017-08-09
US20140242470A1 (en) 2014-08-28
TW201315785A (zh) 2013-04-16
JP2017112119A (ja) 2017-06-22
WO2013047856A1 (ja) 2013-04-04
US9843049B2 (en)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656B1 (ko)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KR101852657B1 (ko) 이차 전지용 접착 수지 조성물
JP6713506B2 (ja) 接着層、及び二次電池用部材
US20150072214A1 (en) Use for binder-resin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for treating surface of substrate for separator for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for nonaqueous-electrolyt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parator,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13093297A (ja) 電極用バインダー、電極用塗料、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889137B1 (ko) 수지의 용도,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KR101892791B1 (ko) 수지 조성물,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
JP2012238489A (ja) 電極用バインダー
JP2012253002A (ja) 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US9783641B2 (en) Resin compositio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