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708A -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708A
KR20140066708A KR1020147004256A KR20147004256A KR20140066708A KR 20140066708 A KR20140066708 A KR 20140066708A KR 1020147004256 A KR1020147004256 A KR 1020147004256A KR 20147004256 A KR20147004256 A KR 20147004256A KR 20140066708 A KR20140066708 A KR 2014006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pring element
spring
componen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868B1 (ko
Inventor
마이클 마테슬
로버트 슐츠
토마스 일레디츠
우베 하우어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6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1), 무빙 워크 또는 엘리베이터의 구성요소(5')에 관한 것으로, 이 구성요소(5')는 스프링 요소(20), 스프링 요소(20)를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30) 및 체결될 부착물(7")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31)를 포함하는 체결 장치(18)를 가진다. 스프링 요소(20)는 구성요소(5') 상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20)는 잠금 위치(30)에 고정되고, 부착물(7")은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 요소(20)에 의해 지지 위치(31)에 대하여 가압된다.

Description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COMPONENT HAVING A FASTENING APPARATUS FOR ADD-ON PAR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lif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프링 요소, 스프링 요소를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 지점(detent point) 및 체결될 부착물의 지지를 위한 지지 지점을 갖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 설비는 리프트 샤프트 내에 배치되고 리프트 케이지의 안내를 위해 기능하는 가이드 레일 및 리프트 샤프트 내에 가동되게 배치되는 보상추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샤프트 프레임에 배치되거나 벽 장착부에 의해 (콘크리트) 샤프트 벽과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은 보통 클램핑 클로(clamping claw)에 의해 벽 장착부에 단단히 클램프 된다.
EP 1 679 280호는 횡 방향 버팀대(strut)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지지 측벽 또는 프레임 워크 벽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설명한다. 트랙 레일은 측벽에 배치된다. 이러한 트랙 레일은 제1 편향 구역과 제2 편향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스텝 체인의 안내를 위한 기능을 한다. 그에 상응하게,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벨트는 전진 런(forward run) 및 복귀 런(return run))을 가지며, 여기서 두 개의 각각의 트랙 레일은 전진 런 및 복귀 런 각각을 위해 제공된다. 트랙 레일은 복수의 스프링 클립에 의해 측벽에 단단히 연결된다. 스프링 클립을 이용하여 측벽 또는 횡 방향 버팀대에 트랙 레일을 체결하는 것은, 이러한 구성요소의 용접 또는 나사 연결에 비해, 조립을 상당히 단순화하고 실제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EP 1 679 280호에 개시된 스프링 클립을 구비한 체결 장치의 단점은 고(high)-클램핑력 및 이에 의해 측벽과 트랙 레일의 확실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프링 클립의 스프링 상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스프링 클립은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해머를 이용해서 때리는 것과 같이 상당한 힘을 소모해서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립 도구, 예를 들면 해머의 보조는 스프링 클립에 소성 변형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프링 클립의 클램핑력의 부분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될 부분은 매우 정밀하게 생산되어야 하는데, 이는 스프링 클립의 높은 스프링 상수로 인해 응력 상태에서 변형 이동 또는 스프링 이동에서의 작은 차이라도 개별 연결 지점들에 존재하는 클램핑력에서의 큰 차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지된 스프링 클립에 의해 트랙 및 트랙 레일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트랙 및 트랙 레일이 설계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비싼 중공형 프로파일 부재의 형태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체결 장치를 구비한 구성요소를 제조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의 구성요소에 의해 충족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스프링 요소, 스프링 요소를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 지점 및 체결될 부착물의 지지를 위한 지지 지점을 포함하는 체결 장치를 가진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구성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응력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는 멈춤 지점에서 멈춰지며, 부착물은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 요소에 의해 지지 지점에 대하여 가압된다.
여기서 설명된 체결 장치는 문제점 없는 장착을 가능하게 하지만, 또한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손으로 부착물의 신속한 장착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제조시에 뿐만 아니라 빌딩 내에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를 설치할 때에 그리고 정비 작업의 경우에 명확한 장점이 된다. 트랙, 트랙 레일 및 가이드 레일과 같은 낡은 부착물은 짧은 시간, 예를 들면 몇(a few) 시간 안에 체결 장치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더욱이, 스프링 요소가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스프링 클립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스프링 상수를 가질 때에라도 고-클램핑력이 부착물 상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구성요소에 스프링 요소를 피봇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 요소의 피봇 축선은 스프링 요소의 레버 베어링으로서 작용하고, 스프링 요소 자체는 클램핑 레버로서 작용한다.
체결 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베어링 지점을 포함하며 이 베어링 지점에 의해 스프링 요소가 구성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스프링 요소는 클램핑 지점 및 레버 단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짧은 레버 암은 베어링 지점과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기다란 레버 암은 클램핑 지점과 레버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에 응력이 가해질 때, 부착물은 지지 지점과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치된다. 짧은 레버 암과 기다란 레버 암 사이의 각각의 선택된 병진 비율에 따라, 스프링 요소는 클램핑력이 미리 결정된 경우에 더 많거나 더 적은 힘을 소모하여 멈춤 지점에서 멈출 수 있다. 클램핑 레버로서 스프링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체결 장치는 특히 구성요소, 스프링 요소 및 부착물의 허용오차 차이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두 개 체결 장치의 제조 치수에서의 상대적으로 큰 차이조차도 부착물 상에 작용하는 클램핑력에서 단지 작은 차이만을 초래한다.
체결 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길이 방향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구성되고 베어링 지점을 가지며, 이 베어링 지점에 의해 스프링 요소가 구성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다. 더욱이, 스프링 요소는 거울 대칭을 갖는 구성을 통하여, 두 개의 스프링 림(limb)을 가지며, 각각의 스프링 림은 클램핑 지점 및 레버 단부를 가진다. 각각의 짧은 레버 암은 베어링 지점과 각각의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기다란 레버 암은 클램핑 지점과 레버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에 응력이 가해질 때, 구성요소는 스프링 림 사이에 배치되고, 부착물은 지지 지점과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모든 장점을 갖는다. 제2 실시예는 또한 스프링 요소가 클램핑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구성요소에 의해 포착되고 따라서 스프링 요소 상에 작용할 수 있는 가로 방향 힘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추가의 장점을 가진다. 그에 상응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제1 실시예보다 의도치 않게 느슨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훨씬 더 높은 정도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갖는다.
스프링 요소는 구성요소와 일체로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형 구성은 설계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데, 이는 구성요소가 보통 구조 강(constructional steel), 예를 들면 S235JR+AR(EN 10025-2:2004-10에 따른 인장 강도 360 N/mm2)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 강은 스프링 강, 예를 들어 1300 내지 160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38Si7보다 낮은 인장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구성요소 및 스프링 강은 바람직하게는 개별 부품으로서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구성요소는 구조 강 및 스프링 강의 스프링 요소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 지점은 생산하기에 간단한 각진 접힘부(angled fo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클램핑 지점이 부착물을 향하는 레이디어싱(radiusing)을 가지며 클램핑 동안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 지점과 부착물의 표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각진 접힘부에 의해서는 부착물에서 클램핑력의 힘 도입 지점이 충분한 정밀도를 가지고 주어진다.
스프링 요소의 장착 및 클램핑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다란 레버 암은 짧은 레버 암보다 적어도 두 배 길다.
체결 장치는 구성요소의 연결을 위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 내의 다수의 지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지지 구조 또는 프레임 워크일 수 있고, 이는 부하-지지 측벽 및 횡 방향 버팀대로 형성되며, 부착물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모듈 또는 프레임일 수 있다. 보통 프레임으로서 지정된 것은 지지 구조로부터 그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여기에 트랙 레일, 가이드 레일 및 트랙과 같은 부착물이 배치될 수 있는 평편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부착물은 보통 지지 구조를 특히 비틀림 강도와 관련해서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섹션들이 모듈로 불린다. 이들은 그 기능에 상응하는 상이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듈은 스텝 체인의 편향 구역을 가질 수 있고, 제2 모듈은 스텝 체인의 구동 및 편향 구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벽 및 횡 방향 버팀대를 구비한 추가의 동일한 중간 모듈이 존재할 수 있다. 중간 모듈은 또한 트랙 레일, 주행 레일(running rail) 및/또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모듈은 기존의 지지 구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모듈을 함께 연결하는 것을 통하여, 스텝 체인의 두 개의 편향 구역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모듈 또는 프레임은 이제 심지어 추가의 부착물을 위한 추가의 체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또는 모듈은 구성요소이고 부착물은 트랙 레일, 주행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이다.
그러나, 체결 장치는 또한 리프트 구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리프트 샤프트 내에 배치된 벽 장착부 또는 리프트 샤프트 내에 배치된 샤프트 프레임일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의 주행 레일 및/또는 보상추는 부착물로서 체결 장치에 의해 벽 장착부 또는 샤프트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멈춤 지점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멈춤 지점은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멈춤 지점은 구성요소에 체결 가능한 삽입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부분 및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면 후크 형태의 돌출부 및 오목부(recess)에 의해, 상기 삽입 부분이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그리고 구성요소에 대한 스프링 림의 지지력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력은 상이하게 설계된 삽입 부분에 의해서 사용 상태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클램프 될 스프링 요소의 멈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프레더 웨지(spreader wedge)가 멈춤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레더 웨지는 구성요소에, 그러나 또한 삽입 부분에도 구성될 수 있다.
멈춤 지점은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의 작동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진동이 감쇠됨에 따라 작동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멈춤 지점은 명백하게 또한 상이하게 구성된 감쇠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요소와 멈춤 지점 사이의 접촉 구역에 배치되는 플라스틱 재료 삽입부도 또한 가능하다.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력이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부착물의 적어도 하나의 운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합 지점을 갖는다. 접합물은 구성요소에 대한 부착물의 하나 이상의 운동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조립 보조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레일은 프레임의 지지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접합 지점은 주행 레일이 지지 지점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슬리핑(slipping) 현상을 방지한다.
지지 지점은 또한 미끄럼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특히 리프트 샤프트의 가이드 레일을 위해 중요하다. 콘크리트 건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수축을 보여주며, 이는 리프트 샤프트 길이의 단축을 초래한다. 리프트 샤프트 내의 벽 장착부들 사이의 거리도 또한 이에 상응하게 변화한다. 강으로 된 가이드 레일은 이러한 수축을 하지 않는다. 벽 장착부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리프트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지 않다면, 가이드 레일 또는 벽 장착부는 변형되거나 심지어 파괴될 것이다. 콘크리트 및 강이 상이한 열 팽창 계수를 가지기 때문에, 리프트 샤프트 내의 온도 변동에 의해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미끄럼 표면은 지지 지점의 매끄러운 표면일 수 있지만 플라스틱 재료 중간 층은 또한 지지 지점과 부착물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료 중간 층의 경우에 재료의 허용 가능한 표면 압력은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력이 크리프(creep)에 의해 수용 불가능하게 감소되지 않을 정도로 관측될 것이다. 또한, 구성에 의한 치수 차이의 보상은 플라스틱 재료 중간 층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이한 두께의 플라스틱 재료 중간 층의 세트가 요구된다. 플라스틱 재료 중간 층은 슬라이드 슈 또는 슬라이드 삽입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 지점은 또한 미끄럼 방지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수단은 특히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 워크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랙 레일, 주행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환경이 유사하게 보통 강이고 프레임, 횡 방향 버팀대 및 측방 부분과 같은 구성요소와 이러한 부착물의 강성 연결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슬립 방지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지지 지점에서 치형 프로파일 또는 날카로운 지점을 갖는 프로파일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지지 지점의 치형부는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의 결과로서 부착물의 접촉 표면 내로 관통한다. 추가로, 예를 들면 지지 지점에 도포되는 연마 코팅과 같은 거친 표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체결 장치는 바람직하게 부착물 상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반동력이 부착물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의 클램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의해 외력은 클램핑력에 대항하지 않게 되고, 외력이 클램핑력을 극복하는 것은 결코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 지점으로부터 부착물의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의 구성요소가 예들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트랙 레일 및 스텝 벨트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며;
도 2는 트랙 레일의 베어러(bearer)로서 프레임을 구비한,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며;
도 3은 프레임 워크 또는 지지 구조와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 장치의 구성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하며;
도 4는 트랙, 주행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트랙 및 주행 레일은 체결 장치에 의해 프레임에 체결되며;
도 5는 트랙, 주행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을 평면도로 도시하며;
도 6은 지지 지점의 제1 설계를 구비한 도 5에 표시된 상세부 B를 확대된 축척으로 그리고 평면도로 도시하며;
도 7a는 구성요소에 구성된 지지 지점의 제2 설계 가능성을 단면 평면도로 도시하며,
도 7b는 구성요소에 구성된 지지 지점의 제3 설계 가능성을 단면 평면도로 도시하며;
도 8은 구성요소에 구성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멈춤 지점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하며,
도 9는 리프트 샤프트(미도시) 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가이드 레일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핸드 레일(2.1)을 지지하는 난간(2) 및 기부판(3)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안내되는 스텝(4)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1)를 도시한다. 에스컬레이터(1)는 제1 층(E1)을 제2 층(E2)과 연결한다. 스텝(4)의 가이드 롤러(4.1)는 체결 장치(8)에 의해 프레임(7)에 체결되는 트랙 레일(6.3", 6.4") 또는 트랙(6.1", 6.2") 상에서 이동한다. 추가로, 두 개의 가이드 레일(6.5)은 또한 체결 장치(8)에 의해 프레임(7)에 고정된다. 이러한 체결 장치(8)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프레임(7)은 예를 들면 나사 연결, 용접 연결, 가압-끼워 맞춤 연결, 리벳 연결 또는 관통-이음(through-joining)(클린칭)에 의해 에스컬레이터(1)의 프레임 워크(5)와 연결된다.
도 3에서 3차원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7")로서의 프레임은 또한 체결 장치(18)에 의해 구성요소(5')로서의 프레임 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체결 장치(18)가 신속하게 해제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이 프레임 워크에 부착물(7")로서 체결되는 이러한 형태의 체결은 노화로 인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에 새로운 트랙 및/또는 프레임이 장착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헤아릴 수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체결 장치(18)는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 및 베어링 지점(22)을 구비한 스프링 요소(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림(20.1, 20.2)은 클램핑 지점(23) 및 레버 단부(24)를 갖는다. 각각의 짧은 레버 암(25)은 베어링 지점(22)과 클램핑 지점(23)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기다란 레버 암(26)은 클램핑 지점(23)과 레버 단부(24)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20)는 자신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울 대칭을 갖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거울 평면은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 사이에 그리고 베어링 지점(22)의 피봇 축선(27)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추가로, 구성요소(5')에 구성되는 멈춤 지점(30), 지지 지점(31) 및 장착 리셉터클(32)은 체결 장치(18)에 속한다. 도 3에 도시된 멈춤 지점(30)은 구성요소(5')에 형성된 두 개의 요크(30.1, 30.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각각의 요크(30.1, 30.2)는 스프링 요소(20)에 응력이 가해질 때 각각의 기다란 레버 암(26)을 수용한다.
구성요소(5')로의 부착물(7")의 체결은 매우 간단하다. 처음에, 스프링 요소(20) 또는 이의 베어링 지점(22)은 장착 리셉터클(32) 내로 삽입되는데, 특히 구성요소(5')가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 사이에 배치되도록 삽입된다. 그러나, 두 개의 기다란 레버 암(26)은 아직까지 멈춤 지점(30)에서 멈추지 않을 수 있다.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이 시작 위치(38)로 이동함으로써 부착물(7")은 지지 지점(3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부착물(7")은 그 결과 지지 지점(31) 내로 삽입되어 정렬된다. 이때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은 피봇될 수 있고, 요크(30.1, 30.2) 위로 상승될 수 있으며, 요크(30.1, 30.2) 아래에서 멈출 수 있다. 피봇 축선(27)을 중심으로 하는 스프링 요소(20)의 피봇을 통하여 클램핑 지점(23)이 부착물(7")에 대하여 세워지고, 스프링 림(20.1 20.2)이 멈춤 지점(30)에 도달하기 전까지 계속해서 부착물을 지지 지점(31)에 대하여 가압한다. 짧은 레버 암(25) 및 기다란 레버 암(26)의 레버 병진 운동에 의해, 수동 조립에도 불구하고 부착물(7") 상에 작용하는 매우 높은 클램핑력 또는 편향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주행 레일, 트랙 및 가이드 레일이 부착된 도 2의 개별 프레임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프레임은 따라서 구성요소(7')이며, 주행 레일은 부착물(6.1", 6.2")이며, 트랙은 부착물(6.3", 6.4")이고, 가이드 레일은 유사하게 부착물(6.5")이다. 체결 장치(8)는 상이하게 설계된 멈춤 지점(41)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체결 장치(18)에 상응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동일한 특징을 위해 사용되었다. 스프링 요소(20)의 멈춤 지점(41)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얇은 판금으로 제조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9.1. 9.2)이 구성요소(7')에 배치된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롤러 또는 스텝 롤러가 부착물(6.1", 6.2")로부터 상승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U-형상 가이드 레일(9.1, 9.2)은 작은 판금 두께에 의해 길이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퍼질 수 있으며 구성요소(7')에 형성되는 도브테일 피트(10) 내에서 힘의 큰 소모 없이도 멈춰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9.1, 9.2)은 또한 체결 장치(8)에 의해 구성요소(7')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부착물(6.1", 6.2", 6.3", 6.4", 6.5")로서 트랙, 주행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또는 구성요소(7')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클램프된 스프링 요소(20)를 구비한 체결 장치(8)를 실질적으로 더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유효 레버 길이(L1, L2)는 또한 부착물(6.1)의 예(주행 레일)에서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요소(20)의 각진 접힘부(angled fold; 29) 및 구성요소(7')에서의 스프링 요소(20)의 배치에 의해 이들 길이는 관련 레버 암(25, 26)보다 짧다. 기다란 레버 암(26)의 유효 레버 길이(L2)는 멈춤을 위해 가해질 수동력(FH)의 방향에 확실히 의존한다. 각진 접힘부(29)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 지점(23)이 제조 허용오차에 의해 설계 위치와 상이한 위치를 가질 때에는 짧은 레버 암(25)의 유효 레버 길이(L1)가 단지 약간만 변화한다. 설계 위치는 허용오차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스프링 요소(20), 구성요소(7') 및 부착물(6.1")의 모든 치수를 고려하였을 때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스프링 요소(20)의 이론적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명백하게, 클램핑 지점(23)은 사점(dead center)을 결코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작은 레버(25)의 유효 레버 길이(L1)는 절대로 0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사점이 초과되고 이에 따라 유효 레버 길이(L1)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 요소(20)에 응력이 가해질 수 없는데, 이는 스프링 요소(20)의 피봇 각도가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구성요소(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클램핑 지점(23)이 부착물(6.1")로부터 멀리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에 상응하게, 체결 장치(8)는 고장에 대한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갖는다. 이는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스프링 요소(20)가 조립 동안 즉시 인식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 예를 들면 클램핑 지점(23)과 부착물(6.1") 사이에 판을 삽입하는 조치가 즉시 착수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주어진다. 파손 또는 변형된 스프링 요소(20)는 클램핑력의 부재(absence)로 인해 검사 및/또는 보수 작업 동안 즉시 인식되고 교체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걸친 체결 장치(8)의 개수는 개별 스프링 요소(20)가 고장인 경우에도 기능적인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트랙 및 주행 레일 상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스프링 요소(20)의 유리한 위치설정은 도 5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외력(FS), 스프링 요소(20)의 클램핑력(FF), 외력(FS)에 의해 야기되는 굽힘 모멘트(ML) 및 반동력(FR)에 의한 모멘트(ML)의 지지는 부착물(6.2")의 예(트랙)에 의해 도시된다. 외력(FS)은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또는 무빙 워크 판의 지탱될 질량 및 부하에 의해 가이드 롤러(4.1)를 경유하여 부착물(6.2") 상에 작용한다. 이와 같은 작용은 구성요소(7')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여기에서는 구성요소의 레일 지지부(7.1)의 설계에 의해 굽힘 모멘트(ML)가 구성요소(7') 내에 존재하고, 레일 지지부(7.1)의 작은 탄성 변형 또는 작은 티핑(tipping)이 굽힘 모멘트(ML)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티핑은 레일 지지부(7.1)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지지 지점(31)에 의한 부착물(6.2")의 접힘을 통해서도 대응된다. 지지 지점(31) 상에 작용하는 이러한 반동력(FR)은 스프링 요소(20)의 클램핑력(FF)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다. 추가로, 유사하게 가이드 롤러(4.1)를 경유하여 부착물(6.2") 상에 작용할 수 있는 횡 방향 힘(FQ)은 또한 지지 지점(31)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상세부 B를 더 큰 축척의 도면으로 보여준다. 이는 두 개의 부착물(6.3", 6.4")이 또한 하나의 체결 장치(8)에 의해 구성요소(7')에 체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명백하게는, 3개 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부착물이 또한 체결 장치(8)에 의해 구성요소(7')에 체결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큰 제조 허용오차에 대한 체결 장치(8)의 불감성(lack of sensitivity)이 유지된다.
구성요소(7')와 접촉 부착물(6.3") 사이에서 부착물(6.3". 6.4")의 길이 방향의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요소(7')의 지지 지점(51)은 적절한 성형(shaping), 예를 들어 치형 프로파일(43)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부착물(6.3")의 재료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요소(20)에 응력이 가해질 때, 치형 프로파일(43)의 돌출 치형부는 부분적으로 부착물(6.3")의 재료 내부로 관통한다. 이러한 기계적 형상 맞춤 결합(positive coupling)은 스프링 요소(20)의 클램핑력(FF)의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구성요소(7')와 부착물(6.3") 사이에서 임의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해준다. 여기에서는 또한 상이한 관통 깊이에 대한 체결 장치(8)의 불감성도 중요한 특성이 되는 것으로 증명된다. 도시된 치형 프로파일(43)은 단지 예에 불과하며, 명백하게는 또한 추가의 적절한 치형 프로파일(43) 또는 날카로운 지점을 갖는 프로파일도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미끄럼-방지 코팅, 예를 들어 화염 용사 탄화 경질-재료 코팅 또는 미끄럼-방지 또는 슬립(slip)-저항 중간 층이 또한 치형 프로파일(43) 대신에 지지 지점(51)과 부착물(6.3")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7')에 배치되고 부착물(6.3", 6.4")의 운동 방향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제한하는 접합 지점(34, 35)은 또한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다.
더욱이, 구성요소(7') 내에 형성되는 장착 리셉터클(32)의 설계도 또한 분명하다. 장착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 보어로서가 아니라 슬롯형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장착 리셉터클(32)의 개방 단부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20)의 지지력(FP)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설계는 구성요소(7') 내로의 스프링 요소의 간단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7a는 구성요소(7')에 형성되는 지지 지점(61)의 추가의 설계 가능성을 단면 평면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이의 길이 방향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물(6.1")의 상대적 운동이 바람직하다. 부착물(6.1")은 단지 예로서만 언급되며 다른 부착물(미도시) 또한 적절히 설계된 체결 장치에 의해 구성요소(7')에 고정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도시된 스프링 요소(20)가 구성요소(7')를 관통하는 멈춤 지점 및 베어링 지점(둘 다 미도시)에 의해 구성요소(7')에서 정지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인 운동은 아무런 문제없이 허용될 수 있다. 가능한 상대적 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슈(52)가 부착물(6.1")과 지지 지점(61)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슈는 고 강도 및 저 크리프 특성을 가진 합성 재료, 예를 들면 유리 섬유-강화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합성 재료의 슬라이드 슈(52)는 또한 감쇠 진동 특성을 가진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0)의 클램핑 지점(23)과 부착물(6.1") 사이에서 미끄럼 특성 및/또는 진동 감쇠 특성을 개선하는 미끄럼 삽입부(53)를 스프링 요소(20)와 부착물(6.1")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하다. 또한, 클램핑 지점(23)은 가로 방향 이동(drift)을 회피하도록 미끄럼 삽입부(53)에 의해 미끄럼 운동 방향(X)으로 상호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구성요소(7')에 형성되는 멈춤 지점(41)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명료성 때문에 구성요소(7')에 형성된 장착 리셉터클이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전체 스프링 요소(20) 및 이의 베어링 지점(22)을 볼 수 있다. 멈춤 지점(41)은 구성요소(7')에 형성되는 후크(71) 및 통로(72.1)를 구비한 삽입 부분(72)을 포함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후크(71)는 통로(72.1)를 관통해서 연장된다. 삽입 부분(72)은 또한 스프링 요소(20)의 지지력(FA)에 의해 후크(71) 내에 고정된다. 삽입 부분(72)이 베어링 지점(22)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수록, 삽입 부분(72)에 작용하는 스프링력(FA)은 그만큼 더 낮아진다. 삽입 부분(72)은 금속, 예를 들면 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또한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합성 재료로 제조된 삽입 부분(72)은 체결 장치 내의 진동이 감쇠되어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의 작동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삽입 부분(72)은 두 개의 가로 방향 챔퍼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레더 웨지(72.2)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20)에 응력이 가해지면 이의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은 삽입 부분(72)에 형성된 두 개의 오목부(72.3, 72.4) 내에 파선으로 표시된 시작 위치(Y)로부터 멈춰져야 한다. 스프레더 웨지(72.2)가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의 벌어짐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두 개의 스프링 림은 삽입 부분(72)의 러그(72.5, 72.6) 위로 어려움 없이 상승되어 오목부(72.3, 72.4) 내에서 멈출 수 있게 된다.
도 9는 리프트 샤프트(미도시) 내에 배치되는 리프트의 가이드 레일을 3차원 도면으로 도시한다. 리프트 케이지 및/또는 보상추 또는 균형추는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에서 안내된다. 부착물(80")로서의 가이드 레일은 벽 장착부의 형태로 구성요소(90')에 의해 리프트 샤프트의 샤프트 벽에 체결된다. 구성요소(90')는 이어서 체결 장치(28)를 포함한다. 앞에 기술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지지 지점(91), 멈춤 지점(92) 및 장착 리셉터클(93)이 구성요소(90')에 형성된다. 멈춤 지점(92)은 두 개의 평행한 섹션에 의해 제한된 구성요소(90')의 일 구역의 S-형상 접힘부에 의해 구성된다. 구성요소(90')는 부가적으로 부착물(80")의 이동 자유를 제한하기 위한 접합 지점(94)을 가진다.
도시된 스프링 요소(95)는 단지 하나의 스프링 림(95.1)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의 스프링 요소와 상이하다. 클램핑 지점(95.9), 레버 단부(95.4), 베어링 지점(95.2), 짧은 레버 암(95.5) 및 기다란 레버 암(95.3)과 같은 특징은 이러한 스프링 요소(95)에도 존재한다. 추가로, 이러한 체결 장치(28)의 기능 방식 및 조립 순서는 선행 실시예에 상응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의 도시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예를 들면 개별 실시예의 특징을 서로 조합하고 및/또는 실시예의 개별 기능 유닛을 교체함으로써 실시예의 다양한 추가 변형예가 본 발명의 지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프링 요소는 모든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스프링 림을 가질 수 있다. 명백하게는, 모든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슈, 슬라이드 삽입부, 감쇠 삽입부, 치형 프로파일 또는 날카로운 지점을 갖는 프로파일 및 그와 동일한 것이 더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구성요소에 체결되는 부착물이 상이하게 설계된 체결 장치에 의해서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체결 장치 중 하나는 치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모든 다른 체결 장치는 슬라이드 슈를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응하게 설계된 체결 장치는 본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의해 포괄된다.

Claims (16)

  1. 에스컬레이터(1), 무빙 워크 또는 리프트의 구성요소(5', 7', 90')로서,
    상기 구성요소(5', 7', 90')는 스프링 요소(20, 95), 상기 스프링 요소(20, 95)의 멈춤을 위한 멈춤 지점(30, 41, 92) 및 체결될 부착물(6.1”, 6.2”, 6.3”, 6.4”, 6.5”, 7”, 80”)의 지지를 위한 지지 지점(31, 51, 61, 91)을 포함하는 체결 장치(8, 18, 28)를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20, 95)는 구성요소(5', 7', 90')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고, 응력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요소(20, 95)는 상기 멈춤 지점(30, 41, 92)에서 멈춰지며, 상기 부착물(6.1”, 6.2”, 6.3”, 6.4”, 6.5”, 7”, 80”)은 상기 지지 지점(31, 51, 61, 91)에 대하여 상기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 요소(20, 95)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요소(5', 7', 9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95)는 베어링 지점(95.2)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 지점에 의해 상기 스프링 요소(95)가 구성요소(5', 7', 90')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95)는 클램핑 지점(95.9) 및 레버 단부(95.4)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짧은 레버 암(95.5)은 상기 베어링 지점(95.2)과 클램핑 지점(95.9) 사이에 배치되고, 기다란 레버 암(95.3)은 상기 클램핑 지점(95.9)과 상기 레버 단부(95.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95)에 응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부착물(6.1”, 6.2”, 6.3”, 6.4”, 6.5”, 7”, 80”)이 상기 지지 지점(31, 51, 61, 91)과 상기 클램핑 지점(95.9)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5', 7', 9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20)는 자신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구성되고 베어링 지점(22)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 지점에 의해 상기 스프링 요소(20)가 상기 구성요소(5', 7', 90')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20)는 두 개의 스프링 림(20.1, 20.2)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스프링 림(20.1, 20.2)은 클램핑 지점(23) 및 레버 단부(24)를 가지며, 각각의 짧은 레버 암(25)은 베어링 지점(22)과 각각의 클램핑 지점(23)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기다란 레버 암(26)은 상기 클램핑 지점(23)과 상기 레버 단부(2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성요소(5', 7', 90')는 스프링 림(20.1, 2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20)에 응력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부착물(6.1”, 6.2”, 6.3”, 6.4”, 6.5”, 7”, 80”)이 상기 지지 지점(31, 51, 61, 91)과 상기 클램핑 지점(23)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5', 7', 9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20, 95)의 상기 클램핑 지점(23, 95.9)은 각진 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요소(5', 7', 90').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레버 암(26, 95.3)은 상기 짧은 레버 암(25, 95.5)의 길이의 적어도 두 배인, 구성요소(5', 7', 9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5', 7', 90')는 에스컬레이터(1) 또는 무빙 워크의 지지 프레임 워크(5')이며, 상기 부착물(7”)은 에스컬레이터(1) 또는 무빙 워크의 프레임 또는 모듈인, 구성요소(5', 7', 9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5', 7', 90')는 에스컬레이터(1) 또는 무빙 워크의 프레임(7') 또는 모듈이며, 상기 부착물(6.1”, 6.2”, 6.3”, 6.4”, 6.5”)은 트랙 레일, 주행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인, 구성요소(5', 7', 90').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90')는 리프트 샤프트 내에 배치된 벽 장착부이고, 상기 부착물(80")은 리프트 케이지의 주행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및/또는 보상추인, 구성요소(5', 7', 9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지점(30, 92)이 상기 구성요소(5', 7', 9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5', 7', 9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지점(41)이 삽입 부분(72)을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레더 웨지(72.2)가 상기 멈춤 지점(41)에 형성되는, 구성요소(5', 7', 9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지점(41)이 감쇠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지점(31, 51, 61, 91)은 상기 부착물(6.1”, 6.2”, 6.3”, 6.4”, 6.5”, 7”, 80”)의 운동 방향의 제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합 지점(34, 35, 94)을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지점(31, 61, 91)은 미끄럼 표면, 미끄럼 삽입부(53) 또는 슬라이드 슈(52)를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지점(31, 51, 91)이 슬립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요소(5', 7', 9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상에 작용하는 외력(FS, FQ)에 대한 반동력(FR)은 상기 부착물 상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 요소(20, 95)의 클램핑력(FF)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구성요소(5', 7', 90').
KR1020147004256A 2011-07-21 2012-07-09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 KR102072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4899.2 2011-07-21
EP11174899A EP2548832A1 (de) 2011-07-21 2011-07-21 Bauteil mit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Anbauteile
PCT/EP2012/063361 WO2013010838A1 (de) 2011-07-21 2012-07-09 Bauteil mit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anbaute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708A true KR20140066708A (ko) 2014-06-02
KR102072868B1 KR102072868B1 (ko) 2020-02-03

Family

ID=4646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256A KR102072868B1 (ko) 2011-07-21 2012-07-09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664220B2 (ko)
EP (2) EP2548832A1 (ko)
KR (1) KR102072868B1 (ko)
CN (1) CN103764534B (ko)
AU (1) AU2012286046B2 (ko)
BR (1) BR112014001215A2 (ko)
CA (1) CA2842496C (ko)
CL (1) CL2014000152A1 (ko)
CO (1) CO6870024A2 (ko)
ES (1) ES2539911T3 (ko)
HK (1) HK1196117A1 (ko)
MX (1) MX338637B (ko)
PL (1) PL2734465T3 (ko)
RU (1) RU2590842C2 (ko)
WO (1) WO2013010838A1 (ko)
ZA (1) ZA201401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8521A1 (en) 2015-04-16 2018-05-03 Inventio Ag Escalator having common return rails
EP3081521A1 (de) 2015-04-16 2016-10-19 Inventio AG Fahrtreppe mit gemeinsamen rücklaufschienen
EP3081522A1 (de) 2015-04-16 2016-10-19 Inventio AG Fahrtreppe mit gemeinsamen rücklaufschienen
EP3205781A1 (en) * 2016-02-12 2017-08-16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Female part, retaining device and pin system for excavators and the like
EP3687934B1 (de) * 2017-09-27 2021-09-08 Inventio AG Ausricht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ührungsschiene in einem aufzugschacht einer aufzuganlage
EP4353656A1 (de) * 2022-10-10 2024-04-17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Tragstruktur für eine fahrweg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0692A1 (de) * 1966-03-24 1969-04-03 S Cox Darwin Loesbare Einbau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2900A (en) 1951-08-30 1955-02-02 Mills Jam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il fastenings
US3187856A (en) * 1961-05-01 1965-06-08 Eastern Prod Corp Acoustical ceiling suspension fastening system
US3102614A (en) 1961-12-01 1963-09-03 Eastern Prod Corp Suspended ceiling clip
US3614340A (en) * 1969-10-17 1971-10-19 Johan L Harmsen Securing means for power rail and/or shield
US3867802A (en) * 1971-07-06 1975-02-25 Vercon Products Floor support assembly for building structures
CH561659A5 (en) * 1972-12-08 1975-05-15 Kuenzler Ernst Ag Lift running rail attachment - using a support element with bearing sections having adjustable spring loaded clamps
US3984960A (en) * 1975-03-03 1976-10-12 Stearns Product Development Corporation Utility building system
JPS5864677U (ja) * 1981-10-26 1983-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機器の締結金具
SU1000369A1 (ru) * 1981-11-18 1983-02-28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Монтаж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Гипротехмонтаж"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направл ющей лифта
SU1027128A1 (ru) * 1982-03-31 1983-07-07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Всесоюзног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лифт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направл ющей лифта
US4559751A (en) * 1984-03-01 1985-12-24 Crystaplex Plastics Ltd. Corrosive resistant grid construction for a suspended ceiling
JPH01127586A (ja) * 1987-11-12 1989-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ブラケット
JPH1077172A (ja) * 1996-09-04 1998-03-24 Toshiba Fa Syst Eng Kk エレベータ
US6327758B1 (en) * 1999-11-01 2001-12-11 Juno Manufacturing, Inc. Resilient unitary lighting clip
US6371249B1 (en) * 2000-06-02 2002-04-16 Otis Elevator Company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DE10210383B4 (de) * 2002-03-08 2007-03-29 Preh Gmbh Befestigungsfeder
EP1679280B1 (de) 2005-01-07 2014-09-24 Inventio AG Einrichtung zur Befestigung von Bauteilen
US7381006B2 (en) * 2005-01-07 2008-06-03 Inventio Ag Device for fastening compon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0692A1 (de) * 1966-03-24 1969-04-03 S Cox Darwin Loesbare Einbau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96117A1 (zh) 2014-12-05
MX338637B (es) 2016-04-25
CL2014000152A1 (es) 2014-07-11
CO6870024A2 (es) 2014-02-20
EP2734465B1 (de) 2015-03-25
MX2014000733A (es) 2014-02-19
ES2539911T3 (es) 2015-07-07
KR102072868B1 (ko) 2020-02-03
US20130177351A1 (en) 2013-07-11
AU2012286046B2 (en) 2017-07-27
EP2548832A1 (de) 2013-01-23
US9664220B2 (en) 2017-05-30
WO2013010838A1 (de) 2013-01-24
ZA201401051B (en) 2015-10-28
RU2014103497A (ru) 2015-11-20
AU2012286046A1 (en) 2014-02-06
PL2734465T3 (pl) 2015-08-31
CA2842496C (en) 2019-04-02
RU2590842C2 (ru) 2016-07-10
CN103764534B (zh) 2016-02-17
BR112014001215A2 (pt) 2017-02-21
EP2734465A1 (de) 2014-05-28
CA2842496A1 (en) 2013-01-24
CN103764534A (zh)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6708A (ko) 부착물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가지는 구성요소
TWI428492B (zh) 彈性張力夾鉗及其軌道固定配置
TW201803797A (zh) 將手扶梯或移動步道現代化之方法
US20160355379A1 (en) Pallet for a moving walk or step for an escalator
TWI641547B (zh) 電扶梯、自動走道、生產及組裝電扶梯或自動走道的支撐件之方法、現代化電扶梯或自動走道之方法
WO2013172296A1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継目板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装置
JP4779769B2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ガイドシュー装置
US20060151286A1 (en) Device for fastening components
JP201614772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
JP5587846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9104575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1020877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施工方法
CN103359579B (zh) 用于联接电梯导轨的设备、电梯导轨的接头配置以及电梯
EP1867598A1 (en) Step mechanism of carrying device
CN110562823A (zh) 一种隔振导轨支架装置
WO2013182750A1 (en) Intermediate beam of an elevator and intermediate beam arrangement for an elevator system
JP7468604B1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および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施工方法
JP2014037279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立設方法
JP6169425B2 (ja) 乗客コンベア
KR20130062074A (ko) 클램프를 이용한 핸드레일 고정유닛
JP2016037389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立設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て立設された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CN116685550A (zh) 用于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导轨分段的轨道固定装置
CN112638812A (zh) 电梯受拉构件端部封端
WO2017037910A1 (ja) 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おもり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おもり装置の改修方法
JP2019085183A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