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670A -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 Google Patents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670A
KR20140066670A KR1020137034667A KR20137034667A KR20140066670A KR 20140066670 A KR20140066670 A KR 20140066670A KR 1020137034667 A KR1020137034667 A KR 1020137034667A KR 20137034667 A KR20137034667 A KR 20137034667A KR 20140066670 A KR20140066670 A KR 2014006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partition plate
melting furnace
molten metal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421B1 (ko
Inventor
겐조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겐조 다카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조 다카하시 filed Critical 겐조 다카하시
Publication of KR2014006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4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of multiple-hearth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hearth-type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소형이고 설치 스페이스도 적게 완료되며, 저가이고 관리도 용이한 것으로 한다.
용탕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로 본체와, 상기 로 본체의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와실을 갖는 와실체를 구비하고, 상기 와실체는 상기 와실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로서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과의 연통측에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와,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와실 내측의 선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의 내벽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Description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METAL MELTING FURNACE VORTEX CHAMBER BODY AND METAL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Al, Cu, Zn,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2개의 합금, 또는 Mg합금 등의 전도체(도전체)의 금속의 용해로에 이용하는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와실체의 외주에 전자 코일을 배치하거나, 와실체의 아래쪽에 영구 자석식 이동 자계 발생 장치를 배치하여 와실체 내부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있었다. 와실체와 로 본체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플랜지 조인트 방식으로 접속하거나 한 것도 있었다.
이들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와실체와 로 본체는 로 본체의 로벽에 뚫은 용탕의 입구 및 출구용의 구멍을 통하여 접속해 있었다. 와실체의 내부에서는 용탕이 고속 회전을 하고 있으며, 또, 미용해물이 고속 회전하는 것에서, 와실체의 내벽의 마모가 심하고, 관리 불충분한 경우에는 용탕 누출 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이것은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원리가 용탕 외주 구동 방식이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와실 벽두께를 두껍게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용탕 누출 사고는 로 본체의 용탕을 누출하는 것에 직결되어 있으며, 그 경우에는, 대량의 용탕이 로외로 나오기 때문에, 대단히 위험하여 중대 사고로 직결되고 있었다.
그래서 와실은 내용연수가 되면 교환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만일 운전 중 용탕 누출 사고를 일으켜도 안전하게 작업 정지할 수 있는 급속 용해로용 와실의 출현이 기다려지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급속 용해로에서는 로 본체와 와실체의 양쪽이 내부의 용탕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문제 등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설치 스페이스도 적게 완료되며, 저가이고 관리도 용이한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용탕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로 본체의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와실을 갖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는,
상기 와실체의 상기 와실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drop weir)로서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과의 연통측에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와,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와실 내측에 있는 선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의 내벽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금속 용해로는,
용탕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로 본체와,
상기 로 본체의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와실을 갖는 와실체를 구비하고,
상기 와실체는 상기 와실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로서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과의 연통측에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와,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와실 내측의 선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의 내벽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낙하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를 파단한 측면 설명도.
도 5는 도 1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낙하보부의 블라인드 낙하보의 정면도.
도 6는 도 1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낙하보부의 개구형 낙하보의 정면도.
도 7(a)(b)(c)는 부착구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도 8(a)(b)는 이동 자계 발생 장치의 종단 설명도, 자석의 배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 설명도.
도 11은 도 9의 비철 금속 용해로의 일부를 파단한 우측면도.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비철 금속 용해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비철 금속 급속 용해로는 예를 들면, Al, Cu, Zn, 또는 이들 중의 적어도 2개의 합금, 또는 Mg합금 등의 전도체(도전체)의 비철 금속, 또는 임의의 금속을 투입하고,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용해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는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 본체(1)와 와실체(2)를 별개체로 구성하고, 이들을 로 본체(1)의 측벽(1A)에 뚫은 개구(1B)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부착구(5)로 기계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로 본체(1)는 예를 들면, 수톤에서 수십톤의 용량을 갖고, 비철 금속 등의 잉곳 등을 버너로 가열 용융하여 비철 금속 등의 용탕(M)을 만드는 것이다. 이 로 본체(1)는 용탕(M)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C)을 갖고 있다.
와실체(2)는 예를 들면, 수백킬로그램의 용탕(M)을 수납 가능한 용량을 갖고,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의 절분 등과 같이 가벼워서 용탕(M) 중의 표면에 떠 버리고, 용탕에는 용융하지 않는 원료로서의 비철 금속을 용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와실체(2)에 있어서는, 로 본체 내에서 버너 등으로 가열 승온하면서 용탕(M)을 소용돌이로서 고속 회전시키고, 이 소용돌이 중에 원료로서의 비철 금속의 절분 등을 끌어넣어서 용해시키는 것이다. 이 와실체(2)는 용탕(M)을 수납하기 위한 와실(2C)을 갖고 있다.
이 와실체(2)는 일단을 해방단, 타단을 폐쇄단으로 한 채널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해방단은 상기 수납 공간(1C)과 연통시켜지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로 본체(1)와 와실체(2)는 서로 연통해 있으며, 각각으로 용해시킨 비철 금속의 용탕(M)은 서로의 액면 레벨이 일치하도록 왕래하게 된다.
상기 부착구(5)는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상기 와실체(2)를 상기 로 본체(1)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도 7(a)(b)(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실체(2)와 마찬가지로, 일단을 해방단, 타단을 폐쇄단으로 한 채널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구(4)는 이른바 채널 형상의 부착구 본체(4A)와, 채널을 폐쇄하는 폐쇄판(4B)과, 해방측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본체(4A)를 외측으로 꺾은 플랜지(4C)를 구비하고, 이들에 의하여 와실체 지지 공간(4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 본체(4A)에는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4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해방단측은 로 본체(1)로의 부착에 사용되는 플랜지(4C)로 되어 있다. 즉, 이 부착구(4)는 이른바 채널 형상이 필연적으로 갖는 와실체 지지 공간(4D)을 구비한다. 부착구(4)의 와실체 지지 공간(4D)에 와실체(2)를 수납하고, 이 상태에서 로 본체(1)에 상기 플랜지(4A)를 볼트(5, 5, ㆍㆍ)로 고정함으로써 와실체(2)가 로 본체(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실체(2)의 와실(2C)이 개구(1B)를 통하여 로 본체(1)의 상기 수납 공간(1C)과 연통해 있다.
또한, 와실체(2)는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비상시에 용탕(M)을 빼내기 위한 드레인 탭(2D)을 갖고 있다. 이 드레인 탭(2D)과 연통하는 상기 개구(4E)가 부착구(4)에 뚫어져 있다.
또한, 와실체(2)에는 낙하보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낙하보부(6)는 2장의 보판(堰板)으로서의 블라인드 낙하보(7)와 개구형 낙하보(8)를 구비하고, 이들이 와실체(2)의 측벽(2A)의 내측에 형성한 세로홈(2B)에 개별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즉, 블라인드 낙하보(7)는 로 본체(1)측에, 개구형 낙하보(8)는 로 본체(1)와 반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보(堰)(7, 8)는 상하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와실체(2)로부터 완전히 빼낼 수 있도록 편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들의 보(7, 8)를 와실체(2)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로 본체(1)와 와실체(2)의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로 본체(1)와 와실체(2)에 있어서는, 운전에 동반하여 산화물 등의 이른바 찌꺼기가 모이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보(7, 8)를 양쪽 모두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청소를 하기 쉽다는 잇점이 있다.
블라인드 낙하보(7)와 개구형 낙하보(8)는 각각 도 5, 도 6에 나타내어진다.
블라인드 낙하보(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상부에 손잡이(7A)가 부착되어 있다. 개구형 낙하보(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판의 하부 좌우에 노치로서의 입구 개구(8B)와 출구 개구(8C)를 구비하고 있다. 즉, 개구형 낙하보(8)의 판형상의 보 본체(8a)의 하단측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출구 개구(8C)와 입구 개구(8B)가 형성되어 있다. 8A는 손잡이이다.
이들의 블라인드 낙하보(7), 개구형 낙하보(8)는 특히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하로 슬라이딩하고, 하부 이동 위치와 상부 이동 위치를 각각 안정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상태에 있어서는, 와실체(2)와 로 본체(1)는 차단 상태에 있고, 도 4의 상태에 있어서는, 와실체(2)와 로 본체(1)는 입구 개구(8B)와 출구 개구(8C)를 통하여 연통 상태를 취한다.
2장의 블라인드 낙하보(7), 개구형 낙하보(8)의 상하 구동 방식은 체인식, 스크류식, 수동식, 전동식 등, 여러가지로 생각되는데, 이들의 보(7, 8)는 매우 경량이기 때문에 어느 쪽의 방식을 취해도 구동 기구는 단순한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는 구체적 방식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블라인드 낙하보(7), 개구형 낙하보(8)의 재질에 대해서는, 비철 금속 등에 내식성을 갖고, 또한, 열전도성이 높은 내화재이면 무엇이어도 좋다. 가능한 한 저가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판되고 있는 내화재로 충분하다.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실체(7)의 외부 아래쪽에는 영구 자석식의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는 전자석식의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는 도 8(a)(b)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도 8(a)(b)에 있어서, 비자성의 케이싱(51) 중에 회전 자석체(52)를 설치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회전 자석체(52)에 있어서는, 케이스(54) 중에 모터(53)를 설치하고, 모터(53)의 축(53a)을 베어링(54a)으로 지지하고, 이 모터(53)로 원반상의 마그넷 베이스(55)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마그넷 베이스(55) 상에 복수의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을 90도 간격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들의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은 상하면측이 자극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도 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은 서로의 극성이 다르게 자화되어 있다. 이들의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은 비자성의 커버(57)로 피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으로부터의 자속(자력선)(MF)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실(6) 내의 용탕(M)을 관통하거나, 또는 용탕(M)을 관통한 자속(MF)이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에 들어간다. 이 상태로 영구 자석(56, 56, ㆍㆍㆍ)이 회전함으로써 자속(MF)도 용탕(M) 내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전자력에 의해 용탕(M)도 회전한다.
이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와실체(2) 내의 용탕(M)은 와전류에 의해 이른바 소용돌이를 일으켜서 예를 들면, 200―300rpm의 고속 회전을 시작한다. 고속 회전하는 용탕(M)은 원심력에 의해 와실체(2) 내에서 외주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로 된다. 그 힘은 와실체(2)의 하부가 강하다. 그 결과, 개구형 낙하보(8)의 출구 개구(8C)로부터 용탕은 배출되어 로 본체(1) 내에 들어가고, 또, 로 본체(1) 내의 용탕(M)은 입구 개구(8B)로부터 와실체(2)로 되돌아간다. 와실체(2)의 이 소용돌이 중에 비철 금속의 절분 등을 투입하면, 절분 등은 소용돌이 중으로 끌어넣어져서 급속 용해가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서, 로 본체(1)는 와실체(2)와는 별도의 예를 들면, 이동 자계 발생 장치를 갖고, 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20―30rpm으로 용탕(M)을 회전시키고 있다. 또, 로 본체(1)로부터 제품으로서의 용탕(M)을 외부로 도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 설명한 금속 용해로의 운전 동작을 설명한다.
와실체(2)에 의한 용탕(M)의 용해의 운전 개시 전에는 로 본체(1) 내의 용탕(M)과 와실체(2) 내의 용탕(M)의 액면 레벨은 일치해 있다.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에 의해 와실체(2) 내의 용탕(M)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와실체(2)에 원료의 비철 금속의 절분 등을 투입한다. 절분 등은 고속 회전하는 와실체(2) 내의 용탕(M)의 소용돌이 중으로 끌어넣어지고, 효율 좋게 용해하면서 다시 회전한다. 와실체(2) 내에서 회전하는 용탕(M)은 출구 개구(8C)로부터 로 본체(1)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로 본체(1)의 용탕(M)의 액면 레벨이 와실체(2) 내의 용탕(M)의 액면 레벨보다도 높아진다. 이들의 액면 레벨이 같아지도록 로 본체(1) 내의 용탕(M)은 입구 개구(8B)를 통하여 와실체(2)에 흘러들어간다. 즉, 로 본체(1)와 와실체(2)의 용탕(M) 레벨 간에는 항상 레벨차, 즉 헤드가 발생하고, 용탕(M)은 순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자계 발생 장치(10)에서 와실체(2) 내의 용탕(M)을 회전 구동하도록 했기 때문에 투입 원료로서의 절분 등을 소용돌이 중에 끌어넣어서 효율 좋게 용해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특장은 긴급시 대책에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와실체(2) 내에서는 용탕(M)이 고속 회전하고 있으며, 또한, 원료인 미용해물도 동일하게 고속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용해의 원료가 와실체(2)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 결과로서, 와실체(2)의 내벽은 현저히 마모되고, 벽이 얇아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덧붙여서, 와실체(2)의 내벽은 항상 열에 의한 팽창, 수축 등의 스트레스가 반복하여 가해진다. 이 스트레스에 의해 얇아진 와실체(2)의 내벽에 균열이 생겨서, 와실체(2) 내의 용탕(M)이 누출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이 경우, 로 본체(1)의 용탕(M)도 누출되는 것에 연계되어, 이 경우에는 대형 사고에 이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장치에 따르면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실체(2)가 손상된 경우에는, 즉시 블라인드 낙하보(7)를 내려서 와실체(2)와 로 본체(1)의 사이를 차단하고, 로 본체(1) 내의 다량의 용탕(M)의 유출구(22)를 저지 가능하다.
또한, 블라인드 낙하보(7)에 의한 차단 후에 와실체(2) 내에 남은 용탕(M)은 드레인 탭(2D) 및 부착구(4)의 개구(4E)에 의해 신속히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실체(2) 내에 용탕(M)이 남고, 그것이 냉각되어 와실체(2) 내에서 고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실체(2) 내에서 용탕(M)이 고화해 버리면, 와실체(2) 및 로 본체(1)의 재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큰 손실로 되는데,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실체(2)의 형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자형)으로 했지만, 원형, 반원형, 타원형 등으로 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9,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평면 설명도, 정면 설명도,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9, 도 10, 도 11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3과 동등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의 도면과 도 1, 도 2, 도 3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낙하보(구획판)(9)로서, 노치가 없는 단순한 1장의 판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낙하보(9)의 도면 중 좌단이 와실(2C)의 길이(2L)의 절반 부분에 오도록 하고 있다. 이 절반의 부분이 용탕(M)의 회전의 중심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와실체(2)의 상기 와실(2C)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로서의 구획판(9)을 구비한다. 상기 구획판(9)은 상기 와실(2C)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1C)과의 연통측(2C0)에 상기 구획판(9)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CD)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2C0)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9)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1C)과 상기 와실(2C)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2C1)와, 상기 수납 공간(1C)과 상기 와실(2C)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2C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획판(9)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선단 부분(9a)과, 상기 선단 부분(9a)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2)의 내벽(2E)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2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획판(9)의 상기 연통 방향(CD)을 따른 상기 선단 부분(9a)은 상기 와실(2C)의 상기 연통 방향(CD)의 길이(2L)의 절반의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9)은 상기 와실체(2)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판(9)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 손상이 없는 새로운 별도의 구획판과 교환할 수도 있다. 또, 구획판(9)으로서 다른 여러 가지 것을 준비해 두고, 용탕(M)의 종류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한 전자력에 의해 용탕(M)은 도면 중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와실(2C)에서의 용탕(M)의 흐름이 로 본체(1)에 유입, 유출되는 것에서, 로 본체(1)는 개별의 전자 교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로 본체(1) 내의 용탕(M)은 회전 구동된다. 즉, 로 본체(1)에는 반드시 전자 교반 장치는 필요 없어진다. 이에 따라,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구조가 단순 소형화하는 것에서,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완료되며, 또한 실기(實機)의 설치 상 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비철 금속뿐만 아니라, 그 밖의 금속의 용해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2L: 길이
M: 용탕
1: 로 본체
1C: 수납 공간
2: 와실체
2C: 와실
2C0: 연통측
2C1: 제 1 와실 개구
2C2: 제 2 와실 개구
2F: 간극
6: 낙하보부
7: 블라인드 낙하보
8: 개구형 낙하보
8B, 8C: 노치
9: 구획판(낙하보)
9a: 선단 부분

Claims (9)

  1. 용탕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로 본체의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와실을 갖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로서,
    상기 와실체의 상기 와실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로서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과의 연통측에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와,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상기 와실 내측에 있는 선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의 내벽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선단 부분의 위치를 상기 와실의 상기 연통 방향을 따른 길이의 절반의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체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실체의 외측 아래쪽에 상기 와실체 내의 용탕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 자석에 의한 이동 자계 발생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5. 용탕을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로 본체와,
    상기 로 본체의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와실을 갖는 와실체를 구비하고,
    상기 와실체는 상기 와실 내에 세워 설치된 낙하보로서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 공간과의 연통측에 상기 구획판의 길이 방향이 연통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통측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1 와실 개구와,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와실의 양쪽에 연통하는 제 2 와실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와실 내측의 선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와실체의 내벽의 사이에 용탕 선회용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선단 부분의 위치를 상기 와실의 상기 연통 방향을 따른 길이의 절반의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와실체로부터 떼어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실체에는 용탕을 빼내기 위한 드레인 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실체의 외측 아래쪽에 상기 와실체 내의 용탕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 자석에 의한 이동 자계 발생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용해로.
KR1020137034667A 2012-09-27 2013-05-31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KR101699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3683A JP5795296B2 (ja) 2012-09-27 2012-09-27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JPJP-P-2012-213683 2012-09-27
PCT/JP2013/065154 WO2014050212A1 (ja) 2012-09-27 2013-05-31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670A true KR20140066670A (ko) 2014-06-02
KR101699421B1 KR101699421B1 (ko) 2017-01-25

Family

ID=5038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667A KR101699421B1 (ko) 2012-09-27 2013-05-31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88415B2 (ko)
EP (1) EP2765381B1 (ko)
JP (1) JP5795296B2 (ko)
KR (1) KR101699421B1 (ko)
CN (2) CN103712443B (ko)
AU (1) AU2013237734B2 (ko)
CA (1) CA2840774C (ko)
WO (1) WO2014050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04A (ko) * 2014-07-23 2016-02-02 정강희 칩용해 교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6572B2 (ja) * 2011-09-30 2015-08-19 高橋 謙三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JP5795296B2 (ja) * 2012-09-27 2015-10-14 高橋 謙三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JP5813693B2 (ja) 2013-04-23 2015-11-17 高橋 謙三 溶湯金属循環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メインバス
JP6039010B1 (ja) * 2015-04-23 2016-12-07 高橋 謙三 導電性金属溶解炉及びそれを備えた導電性金属溶解炉システム並びに導電性金属溶解方法
WO2016194910A1 (ja) 2015-06-03 2016-12-08 謙三 高橋 導電性金属溶解炉及びそれを備えた導電性金属溶解炉システム並びに導電性金属溶解方法
EP3086069B1 (en) * 2015-04-23 2019-06-05 Digimet 2013 Sl Furnace for melting and treating metal and metallic waste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585A (ko) * 1999-09-07 2001-04-06 이종훈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329367A (ja) * 2002-05-09 2003-11-19 Miyamoto Kogyosho Co Ltd 溶解炉
KR20090007166U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알텍캐스트 다이캐스팅 용해로의 칸막이형 도가니
JP2010281474A (ja) * 2009-06-02 2010-12-16 Miyamoto Kogyosho Co Ltd 溶解炉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278A (ja) * 1984-03-15 1985-10-02 株式会社宮本工業所 アルミニウム溶湯炉
JPS6172986A (ja) * 1984-09-18 1986-04-15 神鋼電機株式会社 溶解炉
JPH05156378A (ja) * 1991-10-07 1993-06-22 Miyamoto Kogyosho:Kk アルミニウム廃材の溶解方法と溶解炉
JP2008196807A (ja) * 2007-02-14 2008-08-28 Kenzo Takahashi 溶解炉用原料押込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溶解炉システム
WO2009047624A1 (en) * 2007-10-09 2009-04-16 Abb Ab Device for submerging material into liquid metal by an electromagnetic stirrer
JP2010007971A (ja) * 2008-06-27 2010-01-14 Miyamoto Kogyosho Co Ltd 溶解炉
JP4995234B2 (ja) * 2008-12-26 2012-08-08 株式会社ヂーマグ 非鉄金属溶湯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非鉄金属溶解炉
JP5546974B2 (ja) 2010-04-07 2014-07-09 株式会社ヂーマグ 非鉄金属溶湯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溶解炉システム
JP5766572B2 (ja) * 2011-09-30 2015-08-19 高橋 謙三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US9051623B2 (en) * 2012-05-29 2015-06-09 Gors Ltd. Apparatus for melting a solid metal
JP5795296B2 (ja) * 2012-09-27 2015-10-14 高橋 謙三 金属溶解炉用渦室体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溶解炉
JP5813693B2 (ja) * 2013-04-23 2015-11-17 高橋 謙三 溶湯金属循環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メインバ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585A (ko) * 1999-09-07 2001-04-06 이종훈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329367A (ja) * 2002-05-09 2003-11-19 Miyamoto Kogyosho Co Ltd 溶解炉
KR20090007166U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알텍캐스트 다이캐스팅 용해로의 칸막이형 도가니
JP2010281474A (ja) * 2009-06-02 2010-12-16 Miyamoto Kogyosho Co Ltd 溶解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04A (ko) * 2014-07-23 2016-02-02 정강희 칩용해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381A1 (en) 2014-08-13
US20140284854A1 (en) 2014-09-25
CA2840774C (en) 2016-10-04
CA2840774A1 (en) 2014-03-27
WO2014050212A1 (ja) 2014-04-03
JP5795296B2 (ja) 2015-10-14
EP2765381B1 (en) 2019-08-14
CN103712443A (zh) 2014-04-09
AU2013237734A1 (en) 2014-04-10
EP2765381A4 (en) 2014-12-17
US9488415B2 (en) 2016-11-08
CN203550552U (zh) 2014-04-16
JP2014066481A (ja) 2014-04-17
KR101699421B1 (ko) 2017-01-25
CN103712443B (zh) 2016-04-27
AU2013237734B2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639B1 (ko)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KR101699421B1 (ko)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JP5546974B2 (ja) 非鉄金属溶湯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溶解炉システム
BR112016026739B1 (pt) método de fundição de metal
JP2013103229A (ja) 攪拌装置付き連続鋳造用鋳型装置
JP2014213333A (ja) 溶湯金属循環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メインバス
JP2006189229A (ja) 攪拌装置及び攪拌装置付溶解炉
JP5496647B2 (ja) 非鉄金属溶湯ポンプ
EP3831509B1 (en) Apparatus and metallurgica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feeding of semi-solid magnesium alloys in a quasi-liquid state for casting injection machines
SE410284B (sv) Forfaringssett for omrorning av metalliska smelta samt anordning for genomforande av detta forfaringssett
RU2281185C1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еремешиватель металла
EP4111120A1 (en) Multi-purpose pump system for a metal furnace and related methods
KR101438753B1 (ko) 용융물의 임시 보관을 위한 성형 틀 및 이를 가진 성형 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