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718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718A
KR20140065718A KR1020120131909A KR20120131909A KR20140065718A KR 20140065718 A KR20140065718 A KR 20140065718A KR 1020120131909 A KR1020120131909 A KR 1020120131909A KR 20120131909 A KR20120131909 A KR 20120131909A KR 20140065718 A KR20140065718 A KR 2014006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driving
transistor
insulating film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352B1 (ko
Inventor
박경민
박지용
김태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52B1/ko
Priority to US13/961,050 priority patent/US9349781B2/en
Publication of KR2014006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3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different composition, shape, layout or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or i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스위칭 반도체층, 구동 반도체층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덮고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과 중첩하고 있는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고 있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구동 게이트 전극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덮고 있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캐소드, 애노드 및 유기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Capacitor)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구동 전류(Id)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는 빛이 검은색(black)에서 흰색(white)으로 표현될 때, 검은색을 표현하는 게이트 전압과 흰색을 표현하는 게이트 전압간의 간격을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로 정의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고해상도로 갈수록 하나의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화소당 흐르는 전류량이 감소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driving range)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풍부한 계조를 가지도록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s)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를 넓혀 풍부한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스위칭 반도체층, 구동 반도체층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덮고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과 중첩하고 있는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고 있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구동 게이트 전극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덮고 있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2X1011 내지 5X1013 개/cm3 이고,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9X1010 개/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과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은 서로 동일한 타입의 도핑 불순물일 수 있다.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과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각각 서로 다른 타입의 도핑 불순물일 수 있다.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선, 상기 스캔선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데이터선 및 구동 전압선, 상기 스캔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스위칭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반도체층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구동 반도체층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캔선과 이격되어 있는 발광 제어선에 의해 전달된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 전달하는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전달하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과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의 동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스캔 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보상 트랜지스터, 상기 스캔선과 이격되어 있는 이전 스캔선을 통해 전달받은 이전 스캔 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상기 이전 스캔선과 인접하고 있는 초기화 전압선을 통해 전달받은 초기화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에 전달하는 초기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트랜지스터 및 상기 초기화 트랜지스터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상 트랜지스터의 보상 반도체층 및 상기 초기화 트랜지스터의 초기화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리지 축전판, 상기 제1 스토리지 축전판을 덮고 있는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토리지 축전판과 중첩하고 있는 제2 스토리지 축전판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선은 상기 제2 스토리지 축전판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에 제1 채널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차단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도체층에 제2 채널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제1 게이트 절연막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에 소스 및 드레인 도핑을 진행하여 구동 반도체층, 스위칭 반도체층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 절연막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과 상기 제2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은 서로 동일한 타입의 도핑 불순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과 상기 제2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각각 서로 다른 타입의 도핑 불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만을 형성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를 넓혀 풍부한 계조를 표현하는 동시에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를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과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간의 문턱 전압(Vth)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나의 화소의 구체적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V'선 및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8, 10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V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X-I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II-X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1)는 복수의 신호선(121, 122, 123, 124, 171, 172),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hin film transistor)(T1),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스캔 신호(Sn)를 전달하는 스캔선(121), 초기화 트랜지스터(T4)에 이전 스캔 신호(Sn-1)를 전달하는 이전 스캔선(122),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에 발광 제어 신호(En)를 전달하는 발광 제어선(123), 스캔선(12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동 전압선(172),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선(124)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Cst1)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은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은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신호(Dm)를 전달받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G2)은 스캔선(121)과 연결되어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S2)은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2)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을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스캔선(12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Sn)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선(171)으로 전달된 데이터 신호(Dm)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상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G3)은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Cst1),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보상 트랜지스터(T3)는 스캔선(12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Sn)에 따라 턴 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과 드레인 전극(D1)을 서로 연결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킨다.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G4)은 이전 스캔선(122)과 연결되어 있고,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S4)은 초기화 전압선(124)과 연결되어 있으며,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Cst1),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이전 스캔선(122)을 통해 전달받은 이전 스캔 신호(Sn-1)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전달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의 전압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G5)은 발광 제어선(123)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소스 전극(S5)은 구동 전압선(172)와 연결되어 있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D5)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S2)에 연결되어 있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G6)은 발광 제어선(123)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소스 전극(S6)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 및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과 연결되어 있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D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선(123)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제어 신호(En)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어 구동 전압(ELVDD)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전달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Id)가 흐르게 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타단(Cst2)은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cathode)는 공통 전압(ELVSS)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1)로부터 구동 전류(Id)를 전달받아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초기화 기간 동안 이전 스캔선(122)을 통해 로우 레벨(low level)의 이전 스캔 신호(Sn-1)가 공급된다. 그러면, 로우 레벨의 이전 스캔 신호(Sn-1)에 대응하여 초기화 트랜지스터(T4)가 턴 온(Turn on)되며, 초기화 전압선(124)으로부터 초기화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초기화 전압(Vint)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초기화 전압(Vint)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1)가 초기화된다.
이 후, 데이터 프로그래밍 기간 중 스캔선(121)을 통해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Sn)가 공급된다. 그러면,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Sn)에 대응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보상 트랜지스터(T3)가 턴 온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 보상 트랜지스터(T3)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그러면, 데이터선(171)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Dm)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만큼 감소한 보상 전압(Dm+Vth, Vth는 (-)의 값)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양단에는 구동 전압(ELVDD)과 보상 전압(Dm+Vth)이 인가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양단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된다. 이 후, 발광 기간 동안 발광 제어선(123)으로부터 공급되는 발광 제어 신호(En)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된다. 그러면, 발광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의 발광 제어 신호(En)에 의해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가 턴 온된다.
그러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구동 전압(ELVDD) 간의 전압차에 따르는 구동 전류(Id)가 발생하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통해 구동 전류(Id)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된다. 발광 기간동안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은 '(Dm+Vth)-ELVDD'으로 유지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전류-전압 관계에 따르면, 구동 전류(Id)는 소스-게이트 전압에서 문턱 전압을 차감한 값의 제곱 '(Dm-ELVDD)2'에 비례한다. 따라서 구동 전류(Id)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Vth)에 관계 없이 결정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도 1과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하나의 화소의 구체적인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V'선 및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캔 신호(Sn), 이전 스캔 신호(Sn-1), 발광 제어 신호(En) 및 초기화 전압(Vint)을 각각 인가하며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스캔선(121), 이전 스캔선(122), 발광 제어선(123) 및 초기화 전압선(124)을 포함하고, 스캔선(121), 이전 스캔선(122), 발광 제어선(123) 및 초기화 전압선(124) 모두와 교차하고 있으며 화소에 데이터 신호(Dm) 및 구동 전압(ELVDD)을 각각 인가하는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또한, 화소에는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그리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반도체층(131)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131)은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도체층(131)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31)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반도체층(131)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이 되어 있는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에 형성되어 있으며 채널 영역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평면상 구조에 대해 우선 상세히 설명하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적층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는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그리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며, 이들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는 반도체층(131)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도체층(131)은 구동 트랜지스터(T1)에 형성되는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트랜지스터(T2)에 형성되는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트랜지스터(T3)에 형성되는 보상 반도체층(131c), 초기화 트랜지스터(T4)에 형성되는 초기화 반도체층(131d),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에 형성되는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에 형성되는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구동 반도체층(131a), 구동 게이트 전극(125a), 구동 소스 전극(176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a)을 포함한다. 구동 소스 전극(176a)은 구동 반도체층(131a)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구동 소스 영역(176a)에 해당하고, 구동 드레인 전극(177a)은 구동 반도체층(131a)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구동 드레인 영역(177a)에 해당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25a)은 구동 반도체층(131a)과 중첩하고 있으며, 구동 반도체층(131a)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구동 게이트 전극(125a)은 스캔선(121), 이전 스캔선(122),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b), 보상 게이트 전극(125c), 초기화 게이트 전극(125d) 및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스위칭 반도체층(131b),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b), 스위칭 소스 전극(176b)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b)을 포함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b)은 데이터선(171)에서 돌출된 부분이며,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b)은 스위칭 반도체층(131b)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스위칭 드레인 영역(177b)에 해당한다.
보상 트랜지스터(T3)는 보상 반도체층(131c), 보상 게이트 전극(125c), 보상 소스 전극(176c) 및 보상 드레인 전극(177c)을 포함하고, 보상 소스 전극(176c)은 보상 반도체층(131c)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보상 소스 영역(176c)에 해당하고, 보상 드레인 전극(177c)은 연결 부재(174)에서 돌출된 부분이다.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초기화 반도체층(131d), 초기화 게이트 전극(125d), 초기화 소스 전극(176d) 및 초기화 드레인 전극(177d)을 포함한다. 초기화 소스 전극(176d)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으로 형성된 접촉 구멍(61)을 통해 초기화 전압선(124)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초기화 드레인 전극(177d)은 연결 부재(174)의 타단으로서,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으로 형성된 접촉 구멍(63)을 통해 초기화 반도체층(131d)과 연결되어 있다.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는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25e), 동작 제어 소스 전극(176e)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77e)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 소스 전극(176e)은 구동 전압선(172)의 일부분이며 접촉 구멍(71)을 통해 동작 제어 소스 영역(132e)과 연결되고,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77e)은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동작 제어 드레인 영역(177e)에 해당한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 발광 제어 소스 전극(17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을 포함한다. 발광 제어 소스 전극(176f)은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에서 불순물이 도핑된 발광 제어 소스 영역(176f)에 해당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반도체층(131a)의 일단은 스위칭 반도체층(131b) 및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반도체층(131a)의 타단은 보상 반도체층(131c)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소스 전극(176a)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b) 및 동작 제어 드레인 전극(177e)과 연결되고, 구동 드레인 전극(177a)은 보상 소스 전극(176c) 및 발광 제어 소스 전극(176f)과 연결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과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유전체가 되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26, 127) 사이의 전압에 의해 스토리지 캐패시턴스(Storage Capacitance)가 결정된다.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은 발광 제어선(123), 초기화 전압선(124),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25e) 및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은 스캔선(121), 이전 스캔선(122), 구동 게이트 전극(125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b), 보상 게이트 전극(125c) 및 초기화 게이트 전극(125d)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과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은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탄탈륨(Ta), Al-Ni-La 합금 및 Al-Nd 합금 중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어느 하나의 축전판을 반도체층으로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스토리지 캐패시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와 중첩하며 지나가는 구동 전압선(172)은 초기화 전압선(124), 이전 스캔선(122)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와 교차하며 지나간다. 구동 전압선(172)의 일부는 동작 제어 소스 전극(176e)에 해당되며 접촉 구멍(71)을 통해 동작 제어 소스 영역(132e)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 전압선(172)의 다른 일부는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6)을 통해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전압선(172)과 평행하게 동일한 층에 연결 부재(17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74)는 구동 게이트 전극(125a)과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 부재(174)의 일단(174a)은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7)을 통해 구동 게이트 전극(125a)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 부재(174)의 타단(177d)은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초기화 드레인 전극(177d)에 해당하며,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하여 형성된 접촉 구멍(63)을 통해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초기화 반도체층(131d)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는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드레인 전극(177c)에 해당하며,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하여 형성된 접촉 구멍(68)을 통해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반도체층(131c)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는 스토리지 개구부(127a)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8)을 통해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은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 및 타단(177d)을 통해 각각 보상 반도체층(125c) 및 초기화 반도체층(125d)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174)의 일단(174a)을 통해 구동 게이트 전극(125a)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은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6)을 통해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에는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와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을 연결하기 위한 스토리지 개구부(12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전압선(172)을 통해 전달된 구동 전압(ELVDD)과 구동 게이트 전극(125a)의 게이트 전압간의 차에 대응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턴스가 저장된다.
한편,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b)은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스위칭 소스 전극(176b)은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b)은 구동 트랜지스터(T1) 및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은 보호막(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181)를 통해 유기 발광 다이이드(70)의 화소 전극(191)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해 적층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중심으로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보상 트랜지스터(T3)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구동 트랜지스터(T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적층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적층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반도체층(131a)은 구동 채널 영역(131a1) 및 구동 채널 영역(131a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구동 소스 영역(176a) 및 구동 드레인 영역(177a)을 포함하고, 스위칭 반도체층(131b)은 스위칭 채널 영역(131b1) 및 스위칭 채널 영역(131b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스위칭 소스 영역(132b) 및 스위칭 드레인 영역(177b)을 포함하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 발광 제어 소스 영역(17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영역(133f)을 포함한다.
구동 채널 영역(131a1)은 P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oron, B)으로 도핑될 수 있으며, 구동 소스 영역(176a) 및 구동 드레인 영역(177a)은 N형 불순물 예컨대 인(Phosphorus, P)으로 도핑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채널 영역(131b1) 및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으며, 구동 소스 영역(176a), 구동 드레인 영역(177a), 발광 제어 소스 영역(176f) 및 발광 제어 드레인 영역(133f)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채널 영역(131a1)의 도핑 농도는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핑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구동 게이트 전극(125a)과 구동 반도체층(131a)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형성하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과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만을 형성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과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문턱 전압간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이 커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과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문턱 전압간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의 마진(margin)이 감소하게 되어 이로 인한 얼룩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동 채널 영역(131a1)의 도핑 농도를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농도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과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문턱 전압간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 채널 영역(131b1)의 도핑 농도는 구동 채널 영역(131a1)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으며, 보상 반도체층(131c)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구동 채널 영역(131a1)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모든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이 서로 동일한 타입의 도핑 불순물로 형성되었으나, 구동 채널 영역(131a1) 및 스위칭 채널 영역(131b1)의 도핑 불순물과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불순물은 서로 반대되는 타입의 도핑 불순물로 도핑될 수도 있다. 즉, 구동 채널 영역(131a1) 및 스위칭 채널 영역(131b1)의 도핑 불순물이 P형 불순물이고,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불순물은 N형 불순물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구동 채널 영역(131a1) 및 스위칭 채널 영역(131b1)의 도핑 불순물이 N형 불순물이고, 발광 제어 채널 영역(131f1)의 도핑 불순물은 P형 불순물일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1a), 구동 반도체층(131b),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 위에는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된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25e) 및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을 포함하는 발광 제어선(123), 초기화 전압선(124) 및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배선(123, 125e, 125f, 124, 1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배선(123, 125e, 125f, 124, 126)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는 구동 게이트 전극(125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b) 및 보상 게이트 전극(125c)을 포함하는 스캔선(121), 이전 스캔선(122) 및 제2 스토리지 축전판(127)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배선(125a, 125b, 125c, 121, 122, 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반도체층(131a)과 구동 게이트 전극(125a)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 반도체층(131a)과 구동 게이트 전극(125a) 사이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구동 게이트 전극(125a)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driving range)는 넓어지게 된다.
제2 게이트 배선(125a, 125b, 125c, 121, 122, 127)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등의 세라믹(ceramic)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스위칭 소스 전극(176b)를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초기화 드레인 전극(177d) 및 보상 드레인 전극(177c)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174),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 구동 제어 소스 전극(176e)을 포함하는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72)을 통해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의 발광 제어 드레인 영역(133f)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하여 형성된 접촉 구멍(68)을 통해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6)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 부재(174)의 중간 돌출부(177c)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층간 절연막(160)에 연속하여 형성된 접촉 구멍(68)을 통해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보상 반도체층(131c)과 연결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 상에는 데이터 배선(171, 172, 174, 177f)을 덮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에 형성된 접촉구(181)을 통해 화소 전극(191)은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과 연결된다.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 및 보호막(180) 위에는 격벽(350)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350)은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격벽 개구부(351)를 가진다. 격벽(350)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으로 만들 수 있다.
격벽 개구부(351)로 노출된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층(37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370) 상에는 공통 전극(27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70)가 형성된다.
여기서, 화소 전극(19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이며, 공통 전극(27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화소 전극(191)이 캐소드가 되고, 공통 전극(270)이 애노드가 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370)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층(37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 발광층(37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양극인 화소 전극(191)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므로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된다. 반사형 물질로는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8, 10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VII-V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X-I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XIII-X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우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에 버퍼층(120)을 형성한다. 기판(110)은 유리, 석영,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규소의 단일막 또는 질화규소와 산화규소의 적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등의 방법으로 기판(110) 위에 전면 증착된다.
그리고, 버퍼층(120) 위에 반도체층(131)을 형성한다. 반도체층(131)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 실리콘은 비정질 규소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정화 방법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 레이저, 주울(Joule)열, 전기장, 또는 촉매 금속 등을 이용하여 비정질 규소막을 결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층(131)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한다. 이로써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초기화 반도체층(131d),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을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초기화 반도체층(131d),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에 N형 불순물로 제1 채널 도핑(CD1)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채널 도핑(CD1)을 N형 불순물로 진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형 불순물로 제1 채널 도핑(CD1)을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막(120) 위에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초기화 반도체층(131d),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을 형성한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고,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등의 방법으로 버퍼층(120) 위에 전면 증착된다.
그리고,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제1 게이트 금속층을 형성한다. 제1 게이트 금속층은 구리(Cu), 구리 합금, 알루미늄(Al),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게이트 금속층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제1 게이트 배선(123, 125e, 125f, 124, 126)을 형성한다. 이 때,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과 중첩하는 위치에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을 형성하고,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과 중첩하는 위치에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25e)를 형성한다.
그리고,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125f) 및 동작 제어 게이트 전극(125e)를 차단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층(131)에 제2 채널 도핑(CD2)을 진행한다. 이 때, 제2 채널 도핑(CD2)에 사용되는 불순물은 제1 채널 도핑(CD1)에 사용되는 불순물과 동일한 타입의 불순물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채널 도핑(CD1)에 사용되는 불순물이 N형 불순물이므로 제2 채널 도핑(CD2)에 사용되는 불순물도 N형 불순물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에만 제2 채널 도핑(CD2)이 진행되고,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에는 제2 채널 도핑(CD2)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의 도핑 농도는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의 도핑 농도보다 크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제1 게이트 배선(123, 125e, 125f, 124, 126)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제2 게이트 금속층을 형성한다. 제2 게이트 금속층은 구리(Cu), 구리 합금, 알루미늄(Al),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2 게이트 금속층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제2 게이트 배선(125a, 125b, 125c, 125d, 121, 122, 127)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채널 도핑 및 제2 채널 도핑에 사용된 N형 불순물과 반대되는 타입의 불순물인 P형 불순물을 모든 반도체층(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에 소스 및 드레인 도핑(SD)하여 모든 반도체층(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을 각각 채널 영역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 때, 모든 게이트 전극(125a, 125b, 125c, 125d, 125e, 125f)은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될 때 채널 영역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크며, 구동 반도체층(131a), 스위칭 반도체층(131b), 보상 반도체층(131c) 및 초기화 반도체층(131d)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2X1011 내지 5X1013 개/cm3 일 수 있고, 동작 제어 반도체층(131e)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131f)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9X1010 개/cm3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제2 게이트 배선(125a, 125b, 125c, 125d, 121, 122, 127)을 덮는 층간 절연막(160)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60)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되며, 전면 증착된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으로 층간 절연막(160),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패터닝하여 복수개의 접촉 구멍(61, 63, 66, 67, 68, 69, 71, 72)을 형성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60) 위에 데이터 금속층을 형성한다. 데이터 금속층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과, 몰리브덴과 몰리브덴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금속층은 Mo/Al/Mo의 삼중막 또는 Mo/Cu/Mo의 삼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마스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금속층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한다. 이로써 층간 절연막(160) 위에 스위칭 소스 전극(176b)를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연결 부재(174),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60) 상에 데이터 배선(171, 172, 174, 177f)을 덮는 보호막(180)을 형성하고, 제6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 공정으로 보호막(180)에 접촉 구멍(81)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층을 형성하고, 제7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 공정으로 화소 전극층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접촉 구멍(81)을 통해 발광 제어 드레인 전극(177f)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191)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호막(180) 상에 화소 전극(191)을 덮는 격벽(350)을 형성하고, 제8 마스크를 이용하여 격벽(350)에 화소 전극(191)의 일부를 드러내는 격벽 개구부(351)를 형성한다. 그리고, 격벽(350)의 격벽 개구부(351)를 통해 드러난 화소 전극(191) 상에 유기 발광층(370)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370) 상에 공통 전극(270)을 형성하여 유기 발광 소자(70)를 완성한다. 공통 전극(270)은 격벽(350) 위에도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에 걸쳐 형성된다.
공통 전극(27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70)를 보호하는 봉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며, 봉지 부재는 실런트에 의해 기판(110)에 밀봉될 수 있으며,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및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런트를 사용하지 않고 공통 전극(270) 상에 무기막과 유기막을 증착하여 봉지 박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21: 스캔선 122: 이전 스캔선
123: 발광 제어선 124: 초기화 전압선
125a: 구동 게이트 전극 125b: 스위칭 게이트 전극
131a: 구동 반도체층 131a1: 구동 채널 영역
131b: 스위칭 반도체층 131b1: 스위칭 채널 영역
131f: 발광 제어 반도체층 131f1: 발광 제어 채널 영역
141: 제1 게이트 절연막 142: 제2 게이트 절연막
171: 데이터선 172: 구동 전압선

Claims (14)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스위칭 반도체층, 구동 반도체층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덮고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과 중첩하고 있는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고 있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구동 게이트 전극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덮고 있는 층간 절연막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2X1011 내지 5X1013 개/cm3 이고,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9X1010 개/cm3 이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과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은 서로 동일한 타입의 도핑 불순물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과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불순물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각각 서로 다른 타입의 도핑 불순물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선,
    상기 스캔선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데이터선 및 구동 전압선,
    상기 스캔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스위칭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반도체층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구동 반도체층과 상기 구동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스캔선과 이격되어 있는 발광 제어선에 의해 전달된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 전달하는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전달하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과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의 동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스캔 신호에 의해 턴 온되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보상 트랜지스터,
    상기 스캔선과 이격되어 있는 이전 스캔선을 통해 전달받은 이전 스캔 신호에 따라 턴 온되어 상기 이전 스캔선과 인접하고 있는 초기화 전압선을 통해 전달받은 초기화 전압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게이트 전극에 전달하는 초기화 트랜지스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트랜지스터 및 상기 초기화 트랜지스터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상 트랜지스터의 보상 반도체층 및 상기 초기화 트랜지스터의 초기화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와 동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리지 축전판, 상기 제1 스토리지 축전판을 덮고 있는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토리지 축전판과 중첩하고 있는 제2 스토리지 축전판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압선은 상기 제2 스토리지 축전판과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기판 위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에 제1 채널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을 차단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도체층에 제2 채널 도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발광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제1 게이트 절연막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에 소스 및 드레인 도핑을 진행하여 구동 반도체층, 스위칭 반도체층 및 발광 제어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 절연막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구동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는 상기 발광 제어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제1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과 상기 제2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은 서로 동일한 타입의 도핑 불순물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서,
    상기 제1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과 상기 제2 채널 도핑에 사용되는 도핑 불순물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각각 서로 다른 타입의 도핑 불순물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20131909A 2012-11-20 2012-1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09A KR102006352B1 (ko) 2012-11-20 2012-1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3/961,050 US9349781B2 (en) 2012-11-20 2013-08-0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09A KR102006352B1 (ko) 2012-11-20 2012-1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718A true KR20140065718A (ko) 2014-05-30
KR102006352B1 KR102006352B1 (ko) 2019-08-02

Family

ID=5072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09A KR102006352B1 (ko) 2012-11-20 2012-11-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49781B2 (ko)
KR (1) KR1020063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18A (ko) * 2014-12-03 2016-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8535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95306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05338A (ko) * 2015-07-03 2017-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42413A (ko) * 2015-10-08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117B1 (ko) * 2015-07-07 2023-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31313A (ko) * 2015-09-10 2017-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1656B1 (ko) * 2016-05-31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92276B1 (ko) * 2016-07-15 2023-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6721B1 (ko) * 2016-11-30 2023-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41552B1 (ko) 2016-11-30 2023-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패널과 유기발광표시장치
US11348524B2 (en) 2017-09-30 2022-05-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10190063B (zh) * 2018-07-02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890387A (zh) * 2019-11-26 2020-03-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259583B (zh) * 2020-10-15 2024-04-0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光控显示装置
CN112785972A (zh) * 2021-03-08 2021-05-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发光器件驱动电路、背光模组以及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165A (en) * 1993-03-16 1997-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sulated gate field effect semiconductor device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5945777A (en) * 1998-04-30 1999-08-31 St. Clair Intellectual Property Consultants, Inc. Surface conduction emitters for use i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KR20110110597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085A (ko) * 2012-01-09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129B1 (ko) 2002-12-28 2005-07-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023335B2 (ja) * 2003-02-19 2007-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100438119C (zh) 2003-12-15 2008-11-26 乐金显示有限公司 双面板型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685831B1 (ko) 2005-04-29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96606B1 (ko) 2006-08-08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338988B1 (ko) 2006-12-13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1458907B1 (ko) 2008-04-18 2014-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24710A (ko) 2008-08-26 2010-03-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63075B1 (ko) * 2008-10-29 2010-06-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1659935B1 (ko) 2008-12-01 2016-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02663B1 (ko) 2008-12-11 2010-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15850B1 (ko) 2009-02-09 2011-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125569B1 (ko) * 2010-02-22 2012-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7264B1 (ko) 2010-04-30 2016-1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165A (en) * 1993-03-16 1997-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sulated gate field effect semiconductor device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5945777A (en) * 1998-04-30 1999-08-31 St. Clair Intellectual Property Consultants, Inc. Surface conduction emitters for use i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KR20110110597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085A (ko) * 2012-01-09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318A (ko) * 2014-12-03 2016-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8535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95306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05338A (ko) * 2015-07-03 2017-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42413A (ko) * 2015-10-08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8644A1 (en) 2014-05-22
KR102006352B1 (ko) 2019-08-02
US9349781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635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701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08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577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669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9061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driving voltage lines
KR1022407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278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4392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4096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923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22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00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5421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7131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36992B1 (ko)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053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2686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21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732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785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775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1547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840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