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448A -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448A
KR20140063448A KR1020130138131A KR20130138131A KR20140063448A KR 20140063448 A KR20140063448 A KR 20140063448A KR 1020130138131 A KR1020130138131 A KR 1020130138131A KR 20130138131 A KR20130138131 A KR 20130138131A KR 20140063448 A KR20140063448 A KR 2014006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processing
color
calibration
processing meth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529B1 (ko
Inventor
아사코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51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416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51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99830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67Post-processing of the composed and rasterized print image
    • G06K15/1872Image enhancement
    • G06K15/1878Adjusting colou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5Reproduc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23Colou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1Testing, i.e. determining the result of a t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4Measuring, i.e. determining a quantity by comparison with a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63Methods therefor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itself, e.g.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04N1/603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involving periodic tests or tests during use of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04N1/6038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for controlling interaction among colo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H04N1/6044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involving a sensor integrated in the machine or otherwise specifically adapted to read the test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59Image density detection o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63Colo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67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본 발명의 칼라화상처리장치는,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복수종류의 유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칼라화상을 측색하는 측색부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형성하는 단색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 사용된 복수의 화상처리방법보다도 적은 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을 상기 측색부에 의해 측색 하고,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형성부가 형성하는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색을 보정하기 위한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칼라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사진장치의 성능향상에 따라 잉크젯 인쇄기와 동등한 화질을 실현한 기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사진장치 특유의 불안정성 때문에, 전자사진장치는 색의 변동량이 잉크젯 인쇄기보다 크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전자사진장치로는 여러가지 캘리브레이션 기술이 있다.
종래의 전자사진장치(전자 인쇄기)의 일 캘리브레이션 기술은, 일차 색의 보정을 행하는데 사용되고,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토너들의 각각에 대해 1차원의 계조 보정용의 룩업 테이블(LUT)을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LUT는, 특정한 간격으로 분할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한 출력 데이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며, 연산식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비선형 특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일의 시안(C), 마젠타(M), 옐로(Y) 또는 블랙(K)의 토너를 사용해서 나타낸 색을 말하는 "단색"(이하,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함)에 의해, 최대농도 및 계조등의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최근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254350에는, 4차원의 LUT를 사용해서 "혼색(multi-color)"의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혼색"이란, 시안, 마젠타 및 옐로 중 2색으로 이루어진 레드, 그린, 블루나, 시안, 마젠타 및 옐로로 이루어진 그레이 등의 복수의 토너를 사용하여 생성된 색의 표현이다. 특히, 전자사진 시스템에서는, 1차원의 LUT로 단색의 계조특성을 보정해도, 복수의 토너를 사용해서 생성된 "혼색" 표현은, 비선형 차분을 보이기도 한다. 혼색의 캘리브레이션은, 복수색의 토너의 조합(중첩 등)으로 표현된 혼색의 화상의 색재현 특성을 보정한다.
"혼색"의 캘리브레이션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의 작업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색"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기 위해서, 단색으로 형성되는 차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용지등의 기록 매체에 패치(patch) 화상을 인쇄한다. 이 패치 화상은, 단일의 농도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측정용의 화상이다. 이 패치 화상을, 다른 색으로 여러개 생성하여, 기록 매체 위로 인쇄한다. 이렇게 형성된 화상을, "패턴 화상"이라고 한다. 패턴 화상이 위에 인쇄된 용지등의 기록 매체를 스캐너나 센서로 주사해서, 패치 화상을 판독한다. 이 패치 화상을 판독해서 얻어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치와 비교해서 목표치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1차원의 LUT를 작성한다. 그 후, "혼색"의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기 위해서, 먼저 작성한 1차원의 LUT를 반영한 혼색 차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패치 화상을 인쇄하고, 스캐너나 센서를 사용하여 이 패치 화상을 판독한다. 패치 화상을 판독해서 얻어진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치와 비교해서 그 목표치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4차원의 LUT를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장치(전자 인쇄기)로부터 출력되는 색의 재현성의 관점에서, 의사계조방법인 다른 화상처리방법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화상처리방법은, 주로, 의사계조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오차확산이나 디더링의 2종류를 포함한다. 화상처리방법이 오차확산과 디더링에 대해서 계조특성이 다르다. 화상처리방법이 다르면 색의 재현성도 다르다. 이 때문에, 각각의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보정용LUT가 사용된다. 즉, 모든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고 있다. 또한, 용지와 토너등의 많은 소모재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행하기 위한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101836에는,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고, 그 밖의 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의 보정용LUT는, 미리 실험에 의해 작성된 화상처리방법의 변환 테이블을 사용해서 작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작업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LUT를 작성하여도 된다.
선행 기술에서는, 그 외에는, 화상처리방법마다 행해야 할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될 수 있는 한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간략화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 개시된 기술은,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같은 방식으로 행하면, 사용하는 용지의 매수나 토너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혼색 캘리브레이션은, 용지와 토너 등의 소모재를 필요로 하고, 또한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실질적인 양의 시간과 유저의 수고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칼라 화상처리장치는,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부;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도록 구성된 측색부; 및 상기 측색부가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칼라 화상처리장치가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때,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고, 모든 화상처리방법들보다 적은 화상처리방법의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해, 용지와 토너의 소비의 증가와 유저 작업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효율적으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2는 화상처리의 작업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작업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작업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및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하는 차트 화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의 흐름도다.
도 7은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의 흐름도다.
도 8은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 순서의 흐름도다.
도 9a 및 9b는 디더(dither) 매트릭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및 혼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차트 화상의 재구성의 예들의 설명이다.
제1 예시적 실시예
우선, 본 예시적 실시예의 특징이 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비교해서 설명한다. 이전의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색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될 때, 단색 캘리브레이션이 완료해 단색의 계조성이 보정되어 있는 것이 기대된다.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화상처리방법의 영향을 보다 받기 쉽기 때문에, 단색 캘리브레이션은 화상처리방법의 종류마다 행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하이라이트 색의 불안정한 색재현성으로 인해,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의 패치 화상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혼색 화상에서,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색판이 겹치므로, 상기 화상에서의 색은 인쇄처리에서 전사나 정착단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혼색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형성되는 혼색 패치 화상은 색판이 겹치기 때문에, 망점비율이 높다(10∼15%이상). 따라서, 화상처리방법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색의 차이가, 단색 패치 화상 형성시보다도 적다.
이에 따라, 화상처리방법에 의한 차이를 보정하거나 계조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과는 달리, 혼색 캘리브레이션은 엔진 상태의 변화가 초래하는 재현 특성의 편차를 보정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또한,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단색을 사용하는 까닭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에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이 혼합된 색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인쇄하는 토너 사용량은,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인쇄하는 토너량보다 많아지는 것은 용이하게 예측된다.
또한,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화상처리방법마다 실행하면, 출력하는 차트 화상이 인쇄된 용지의 매수도 증가하는 것은 용이하게 예측된다.
이에 따라,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은 모든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행하는 반면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은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만으로 행한다. 이에 따라,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유지하고, 용지나 토너의 소비를 최소화하거나 줄인 효율적인 캘리브레이션 작업 흐름이 이루어져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다. 시안, 마젠타, 옐로, 블랙(이하, 각각 "C", "M", "Y", "K"라고 함)의 토너를 사용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인 다기능 프린터(MFP)(101)는 네트워크(123)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기반 기기와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PC)(124)는 네트워크(123)를 통해 MFP(101)와 접속되어 있다. PC(124)내의 프린터 드라이버(125)는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제, MFP(10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122)는 인쇄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콘트롤러(102)는 중앙처리장치(CPU)(103), 렌더러(renderer)(112) 및 화상처리부(114)로 구성된다. CPU(103)내에서, 인터프리터(104)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 기술언어(PDL) 부분을 해석하고, 중간언어 데이터(105)를 생성한다.
색 관리 시스템(CMS)(106)에서는 소스 프로파일(107) 및 데스티네이션 프로파일(108)을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하고, 중간언어 데이터(CMS후)(111)를 생성한다. CMS는, 후술하는 프로파일의 정보를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스 프로파일(107)은 RGB이나 CMYK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색공간을 국제조명 위원회(CIE)가 규정한 L*a*b*(이하, Lab)이나 XYZ등의 디바이스 비의존의 색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XYZ색공간은, Lab색공간과 같이 디바이스 비의존의 색공간이며, 3자극치를 사용하여 색을 표현한다. 데스티네이션 프로파일(108)은 디바이스 비의존 색공간을 디바이스(프린터115)에 의존한 CMYK색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이에 대하여, CMS(109)에서는 디바이스 링크 프로파일(110)을 사용해서 색 변환을 행하고, 중간언어 데이터(CMS후)(111)를 생성한다. 디바이스 링크 프로파일(110)은 RGB나 CMYK등의 디바이스 의존 색공간을 디바이스(프린터115)에 의존한 CMYK색공간으로 직접 변환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CMS106과 CMS109 중 어느쪽의 CMS가 선택될지는 프린터 드라이버(125)에 있어서의 설정에 의존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의 종류(프로파일 107, 108 및 110)에 의해 CMS(106 및 109)를 분류한다. 이와는 달리, 1개의 CMS에서 복수종류의 프로파일을 취급해도 된다. 프로파일의 종류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든 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프린터(115)에 의존한 CMYK색공간을 사용하는 한, 어떤 종류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도 된다.
렌더러(112)는 생성한 중간언어 데이터(CMS후)(111)로부터 래스터(raster) 화상(113)을 생성한다. 화상처리부(114)는 래스터 화상(113)이나 스캐너(119)로 판독한 화상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114)에 대해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콘트롤러(102)와 접속된 프린터(115)는 C, M, Y 및 K등의 유색 토너를 사용해서 용지상에 출력 데이터에 의거해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다. 프린터(115)는 급지를 행하는 급지부(116), 화상형성된 종이를 배출하는 배지부(117) 및 측정부(126)를 구비한다.
측정부(126)는, 분광 반사율, Lab이나 XYZ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의 값을 취득하는 측색부인 센서(127)를 가지고, 프린터(115)를 제어하는 CPU(129)에 의해 제어된다. 측정부(126)는 프린터(115)로 용지등의 기록 매체 위에 인쇄된 패치 화상을 측정한다. 이 패치 화상은, 단일농도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측정용의 화상이다. 이 패치 화상을, 색을 달리해 여러개 생성하여, 기록 매체 위에 인쇄한다. 이렇게 형성된 화상을 "패턴 화상"이라고 부른다. 이 패턴 화상을 측정부(126)에 구비된 센서(127)로 판독하고, 판독된 값의 수치정보를 콘트롤러(102)에 송신한다. 콘트롤러(102)는 그 수치정보를 사용해서 연산을 행하고, 이 연산의 결과를 이용해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나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표시장치(118)는 유저에게 제시된 지시나 MFP(101)의 상태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다. 그 표시장치(118)는 후술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이나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이용된다.
스캐너(119)는 오토 도큐먼트 피더를 포함하는 스캐너다. 스캐너(119)는 다발형의 혹은 한 장의 원고화상을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원고반사 화상을 렌즈를 사용하여 전하결합소자(CCD) 센서 등의 고체촬상소자 위에 결상한다. 또한, 스캐너(119)는, 고체촬상소자로부터 래스터형의 화상 판독신호를 화상 데이터로서 얻는다.
입력장치(120)는 유저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일부의 입력장치(120)를 터치패널로서 형성하여도 되고, 표시장치(118)와 일체화해도 된다.
기억장치(121)는 콘트롤러(102)로 처리된 데이터, 콘트롤러(102)가 받은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측정기(128)는 네트워크(123) 또는 PC(124)에 접속된 외부의 측정용 디바이스다. 측정부(126)와 마찬가지로, 측정기(128)는, 분광 반사율과, Lab이나 XYZ등의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의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화상처리부(114)의 작업 흐름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래스터 화상(113)이나 스캐너(119)로 판독한 화상에 대하여 행하는 화상처리의 작업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2의 처리의 작업 흐름은 화상처리부(114)내에 있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주문형 반도체(ASIC)가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201에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S202에서, 그 수신한 데이터가 스캐너(119)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인가 프린터 드라이버(125)로부터 전달된 래스터 화상(113)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한다.
그 수신된 데이터는 스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렌더러(112)에 의해 비트맵 전개된 래스터 화상(113)이며, 이 래스터 화상(113)은 CMS에 의해 프린터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CMYK로 변환된 CMYK화상(211)으로 변환된다.
그 수신된 데이터는 스캔 데이터인 경우에는, RGB화상(203)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단계S204에서 색 변환처리를 행하여, 공통RGB화상(205)을 생성한다. 그 공통RGB화상(205)은,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RGB색공간으로 정의되고, 연산에 의해 Lab등의 디바이스 비의존 색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문자판정 처리를 행하여, 문자판정 데이터(207)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화상의 엣지 등을 검출해서 문자판정 데이터(207)를 생성한다.
그 후, 단계S208에서, 공통RGB화상(205)에 대하여 문자판정 데이터(207)를 사용해서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문자판정 데이터(207)를 사용해서 문자부와 비문자부에서 다른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그 후, 단계S209에서 배경 제거 처리를 행하고, 추가로 단계S210에서 색 변환처리를 행해서 그 배경을 제거한 CMYK화상(211)을 생성한다.
그 후, 단계S212에서, 4D-LUT(217)를 사용하여 혼색의 보정처리를 행한다. 4D-LUT는, C, M, Y 및 K 토너를 출력하는데 사용된 신호 값의 특정 조합을, 다른 C, M, Y 및 K 토너의 신호 값의 조합으로 변환하는 4차원의 룩업 테이블(LUT)이다. 이 4D-LUT(217)는, 후술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4D-LUT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토너를 사용하여 생성된 색으로 나타낸 "혼색"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S212에서 혼색의 보정을 완료한 후, 화상처리부(114)는 단계S213에서 1D-LUT(218)를 사용해서 C, M, Y 및 K의 각 단색의 계조특성을 보정한다. 1D-LUT는 C, M, Y 및 K의 각각의 색(단색)을 보정하는데 사용된 1차원의 룩업 테이블(LUT)이다. 이 1D-LUT는, 후술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그 후, 단계S214에서, 화상처리부(114)는 스크린 처리나 오차확산 처리와 같은 하프톤 처리를 행해서 CMYK화상(이진값)(215)을 작성한다. 단계S216에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15)에 송신한다.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된 단색 화상의 계조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최대농도특성 및 계조특성등의 단색 화상의 색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터(115)에서 사용된 C, M, Y 및 K 토너의 각각의 색의 재현 특성은, 캘리브레이션 처리 실행시에 함께 보정된다. 즉, C, M, Y, K의 각 색에 따라 도 3의 처리가 한번에 실행된다.
도 3은 단색의 계조특성을 보정하는데 사용된 1D-LUT(218)를 작성하는 처리의 작업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처리의 작업 흐름은, CPU(103)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고, 그 작성된 1D-LUT(218)는 기억장치(121)에 보존된다. 추가로, 표시장치(118)에 의해 유저에 제시된 지시를 UI에 표시하고, 입력장치(120)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단계S301에서, 기억장치(121)에 격납된 차트 데이터(A) 302를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A) 302는 각각의 단색의 최대농도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고, C, M, Y 및 K의 "단색"의 최대농도 데이터를 얻는 신호 값(예를 들면, 255)을 갖는다.
그 후, 단계S303에서, 차트 데이터(A) 302에 대하여 화상처리부(114)가 화상처리를 실행해서, 프린터(115)로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A) 304를 인쇄한다. 일례를 도 5a에 나타낸다. 도 5a의 501은 차트 데이터(A) 302를 인쇄하는 예를 나타내고, 패치 화상 502, 503, 504, 505는 각각 C, M, Y 및 K 색 각각의 최대농도로 인쇄된다. 이렇게,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A) 304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화상처리부(114)는 단계S214에서 하프톤 처리를 행하지만 단계S213의 1D-LUT보정처리나 단계S212의 4D-LUT보정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그 후, 단계S305에서, 스캐너(119)나 측정부(126)내의 센서(127)를 사용해서 차트 화상(A) 304의 인쇄된 버전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치(A) 306을 얻는다. 측정치(A) 306은 C, M, Y 및 K 각색의 농도값이다. 그 후, 단계S307에서, 측정치(A) 306과 미리 설정된 최대농도값의 목표치(A) 308을 사용해서 각색의 측정치(A) 306의 최대농도를 보정한다. 여기에서는, 최대농도가 목표치(A) 308에 근접하도록 프린터(115)의 디바이스 설정 값, 예를 들면 레이저 출력이나 현상 바이어스 등을 조정한다.
다음에, 단계S309에서, 기억장치(121)에 받아들여진 차트 데이터(B) 310을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B) 310은 C, M, Y 및 K의 "단색"의 계조 데이터의 신호 값을 갖는다. 이 차트 데이터(B) 310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인쇄된 패치 화상을 가지는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B) 312의 예를 도 5b에 나타낸다. 도 5b에서, 506은 차트 데이터(B) 310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인쇄된 패치 화상을 가지는 차트 화상(B) 312의 인쇄 버전의 일례를 보이고 있다. 도 5b에 표시되는 패치 화상(507, 508, 509, 510) 및 오른쪽으로 계속되는 계조 데이터 항목은, C, M, Y 및 K 각색의 계조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렇게,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B) 312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그 후, 단계S311에서, 차트 데이터(B) 310에 대하여 화상처리부(114)에서 화상처리를 실행해서 프린터(115)를 사용하여 차트 화상(B) 312를 인쇄한다. 화상처리부(114)는, 단계S214에서 하프톤 처리를 행하지만, 단계S213의 1D-LUT보정처리나 단계S212의 4D-LUT보정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115)는, 단계S307에서 최대농도보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농도가 목표치(A) 308과 동등한 값을 나타내게 한다.
그 후, 단계S313에서, 스캐너(119)나 센서(127)를 사용해서 측정을 행하고, 측정치(B) 314를 얻는다. 측정치(B) 314는 C, M, Y 및 K 각색의 계조로부터 얻어진 농도값이다. 다음에, 단계S315에서, 측정치(B) 314와 미리 설정된 목표치(B) 316을 사용해서 단색의 계조를 보정하는 1D-LUT(218)을 작성한다.
다음에,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되는 혼색 화상의 특성을 보정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색의 토너의 조합(중첩 등)으로 표현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다. 이하의 처리의 작업 흐름은 콘트롤러(102)내의 CPU(103)가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이 취득된 4D-LUT(217)는 기억장치(121)에 보존된다. 또, 표시장치(118)에 의해 유저에 제시된 지시를 UI에 표시하고, 입력장치(120)를 거쳐 유저의 지시를 접수한다.
혼색 캘리브레이션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완료 후에 프린터(115)로부터 출력된 혼색 화상을 보정한다. 이를 위해,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한 직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1에서, 기억장치(121)에 격납된 "혼색" 차트 데이터(C) 402의 정보를 취득한다. 차트 데이터(C) 402는 혼색 보정에 사용된 데이터이며, C, M, Y 및 K의 조합으로 형성된 "혼색"의 신호 값을 갖는다. 이 차트 데이터(C) 402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인쇄된 복수의 패치 화상을 가지는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C) 404의 일례를 도 5c에 나타낸다. 도 5c의 511은 차트 데이터(C) 402의 인쇄 버전의 예를 나타내고, 패치 화상(512) 및 그 예 511 위에 인쇄된 모든 패치 화상은 C, M, Y 및 K의 조합으로 형성된 혼색 화상이다. 이렇게, 패턴 화상인 차트 화상(C) 404는, 복수의 패치 화상을 포함한다.
그 후, 단계S403에서는, 화상처리부(114)는 차트 데이터(C) 402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해서 프린터(115)를 사용하여 차트 화상(C) 404를 인쇄한다. 혼색 캘리브레이션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시 후의 디바이스의 혼색특성을 보정하기 때문에, 화상처리부(114)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시에 작성된 1D-LUT(218)을 사용하여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단계S405에서, 스캐너(119)나 측정부(126)내의 센서(127)를 사용해서 차트 화상(C) 404의 인쇄 버전의 혼색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치(C) 406을 취득한다. 측정치(C) 406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시 후의 프린터(115)의 혼색특성을 가리킨다. 또한, 측정치(C) 406은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에서의 값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Lab색공간으로서 실현된다. 스캐너(119)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3D-LUT등을 사용해서 RGB값을 Lab값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단계S407에서, 기억장치(121)에 격납된 Lab→CMY의 3D-LUT(409)을 취득하고, 측정치(C) 406과 미리 설정된 목표치(C) 408과의 차분을 반영시켜서 Lab→CMY의 3D-LUT(보정 후)(410)을 작성한다. Lab→CMY의 3D-LUT는, 입력된 Lab값에 대응하는 CMY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구체적인 작성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Lab→CMY의 3D-LUT(409)의 입력측의 Lab값에 대하여 측정치(C) 406과 미리 설정된 목표치(C) 408과의 차분을 더하고, 그 차분을 반영하는 Lab값에 대하여 Lab→CMY의 3D-LUT(409)를 사용해서 보간연산을 실행한다. 이 결과, Lab→CMY의 3D-LUT(보정후)(410)을 작성한다.
다음에, 단계S411에서, 기억장치(121)에 격납된 CMY→ Lab의 3D-LUT(412)을 취득하고, Lab→CMY의 3D-LUT(보정후)(410)을 사용해서 연산을 행한다. 이에 따라, CMYK→CMYK의 4D-LUT(217)을 작성한다. CMY→Lab의 3D-LUT는, 입력된 CMY값에 대응하는 Lab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CMYK→CMYK의 4D-LUT(217)의 구체적인 작성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CMY→Lab의 3D-LUT(412)과 Lab→CMY의 3D-LUT(보정후)(410)로부터 CMY→CMY의 3D-LUT를 작성한다. 그 후, K의 입력값과 출력값이 일치하도록 CMYK→CMYK의 4D-LUT(217)을 작성한다. CMY→CMY의 3D-LUT는, 입력된 CMY값에 대응하는 보정후의 CMY값을 출력하는 3차원의 LUT다.
도 6은, 단색 캘리브레이션 및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UI표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UI화면(1001)은 표시장치(118)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버튼 1002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시작을 접수하는데 사용되고, 버튼 1003은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시작을 접수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버튼 1004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후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캘리브레이션의 시작 접수 버튼이다.
버튼 1004가 선택되면, 단색 캘리브레이션이 시작 및 실행된다. 그 후, 혼색 캘리브레이션이 시작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색 캘리브레이션 종료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용의 차트 화상(C) 404를 인쇄함으로써,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한다. 또는, 유저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을 UI화면에 표시하고, 그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려진 후 혼색 캘리브레이션이 시작되어도 된다.
버튼 1002가 선택되면, 단색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버튼 1003이 선택되면, 혼색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된다.
이제,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다른 버튼이 사용되는 이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혼색 캘리브레이션 실행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C) 404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으로 작성한 1D-LUT(218)을 사용하여 인쇄된다. 따라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직후,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보정된 직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고,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2종류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면, 유저가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데 걸린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유저의 조작 환경에 따라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혼색 캘리브레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그 2종류의 캘리브레이션의 실행 빈도가 다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단색 인쇄를 행하는 기회가 많은 유저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빈도가 낮다. 사진 인쇄와 같은 혼색 인쇄를 행하는 기회가 많은 유저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빈도가 높다.
또한, 이 색보정 메뉴의 선택이 가능한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보통, 화상처리장치는, 야간에 오프상태에 있고, 낮에는 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MFP(101)의 메인 전원 스위치가 온이 되고, 전원이 투입될 때에, 유저가 버튼 1004만 선택하게 한다. 또는, 유저는, 소정의 시간내에,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지 않으면, 버튼 1004만 선택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는, 소정의 매수의 용지를 사용해서 인쇄가 실행되기 전에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지 않으면, 버튼 1004만 선택하게 하여도 된다.
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거나, 소정의 매수의 용지를 사용해서 인쇄가 실행되거나,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단색 캘리브레이션과 혼색 캘리브레이션이 순차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렇게, 특정의 타이밍에서는, 유저가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때에, 버튼 1004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소정의 시간간격마다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 직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 실행을 촉진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해서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지, 단색 캘리브레이션, 혼색 캘리브레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지를 선택하여도 된다. 이 선택에 의해, 유저가 활용하기를 원하는 용도에 적합한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로, 일정 시간간격으로 양쪽의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만 유저가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캘리브레이션만 실행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생긴 재현 특성의 보정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10의 버튼 1004의 선택에 응답하여 단색 캘리브레이션 실행후에 혼색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되는 지시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동작을 실행한다.
도 6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작업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예시적 실시예를 실현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장치(121)에 격납되어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로드 되어서, CPU(103)에 의해 실행된다.
도 6의 흐름도의 작업 흐름을 따라 상술한 수법을 설명한다. 우선, 단계S600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단계S311에서의 화상처리의 실행 및 출력에서는, 화상처리부(114)가 원하는 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을 행하고, 단계S315 후에 1D-LUT(218)이 작성된다. 그 후, 단계S601에서, 적용하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에 대해 1D-LUT(218)가 생성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적용하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의 1D-LUT(218)가 갱신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600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계속 행한다. 이 경우에, 최대농도의 보정(단계S301∼단계S307)을 건너뛰지 않으면서 단계S309의 계조보정의 처리를 시작하는데, 왜냐하면, 1D-LUT를 갱신하기 위해서 차트 화상을 출력하는데 어느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최대농도의 보정결과가 같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단계S311의 화상처리의 실행 및 결과 출력에서는, 화상처리부(114)는 아직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차트 화상을 아직 출력하고 있지 않은 화상처리방법을 선택한다.
스캔 데이터의 처리에 적용되는 화상처리방법, PDL잡에서 비트맵등의 래스터 데이터의 처리에 적용되는 화상처리방법, 및 문자부의 처리에 적용되는 화상처리방법 등의 복수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종류의 이용 가능한 화상처리방법에 대응하는 1D-LUT(218)을 갱신하기 위해서, 단계S600의 처리를 여러 번 반복한다. 미리 용도를 지정해서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된 용도의 화상처리방법으로 출력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캘리브레이션이 완료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행하여도 된다.
화상처리방법의 구체적인 예들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선수 및 다른 각도의 디더 매트릭스를 사용해서 실행되는 의사계조처리로 생성된 디더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다. 가장 선수가 낮은 화상처리방법 1은 안정성이 높고, 보다 선수가 높은 화상처리방법 2는 그 화상처리방법 1보다도 입력 화상이 가지는 주기와 간섭이 일어나기 어렵다. 가장 선수가 높은 화상처리방법 3은 문자 엣지의 높은 평활도를 실현한다. 이렇게, 각 개개의 화상처리방법에는 고유한 특징이 있고, 출력 화상의 잡 종류나 오브젝트에 따라 최적의 화상처리방법이 사용된다. 혼색 차트용 화상처리방법에 관해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601에서 모든 화상처리방법의 1D-LUT(218)이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S602의 처리로 진행되어,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의 화상처리방법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이 이용가능하고,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도 되거나, 미리 혼색보정용의 화상처리방법을 설정해두어도 된다. 도 9a는 전자의 경우에 사용된 디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작성하는데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중 1개인 선수가 중간적인 화상처리방법 2를 선택하고,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도 9b는 후자의 경우에 사용된 디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하는데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은,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작성하는데 사용된 화상처리방법들과는 별개이다. 이 경우, 사용가능한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 제1 화상처리방법이외의 화상처리방법들은,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제1 화상처리방법은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또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할 때에 선택하는 화상처리방법은, 통상은 미리 결정되고, 유저가 임의로 바꾸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각 화상처리방법에 사용된 디더 패턴은, 통상, C, M, Y 및 K에 따라 다르다. 도 9a 및 도 9b에는 화상처리방법들의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대표적인 종류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소정의 조합의 C, M, Y 및 K 각각의 화상처리방법을 세트로서 선택하게 된다. 이후, "화상처리방법"은, C, M, Y 및 K 각각의 화상처리방법의 세트를 말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602에서 화상처리방법이 결정된 후, 단계S603의 처리로 진행되어,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단계S603에서 실행된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상세한 것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단계S403에서 화상처리를 실행할 때에, 단계S602에서 결정한 혼색 화상처리방법을 적용하여서 화상처리를 행한다. 혼색 화상의 색변화는, 화상처리방법들간의 차이보다도, 엔진 상태의 변화를 보다 크게 반영한다. 이 때문에, 각 색은,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만으로 보정되어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효과를 얻는다. 추가로, 화상처리방법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더링법뿐만 아니라, 오차확산법이나 주파수 변조(FM) 스크린법을 포함하는 복수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서 출력된 복수의 차트 화상을 사용하는 대신에 선택된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서 출력된 차트 화상만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한다. 상기 보정은, 상기 보정의 효과를 얻으면서 사용되는 용지나 토너의 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고, 유저가 노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기도 한다.
한층 더,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작성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측정한 결과를 사용해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한다.
따라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은 정밀하게 보정될 수 있으므로, 단색 캘리브레이션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보정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제2 예시적 실시예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유저의 동작 상태의 해석에 따라, 가장 빈번히 이용된 화상처리방법으로 출력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한다.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은 화상처리방법의 차이에 의해 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연히, 캘리브레이션용의 차트 화상을 출력했을 때에 사용한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가장 정밀한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빈번히 사용하는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용의 차트 화상을 출력함으로써, 유저에게 가장 효과적인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작업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의 차이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전에 단계S701에서 유저의 동작 상태를 해석하는 것이다. 단계S701에서 유저의 동작 상태의 해석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단계S701에서 유저의 동작 상태를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의 작업 흐름을 나타낸다. 단계S701에서 유저의 동작 상태를 해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억장치(121)에 격납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AM에 로드되어서, CPU(103)에 의해 실행된다. 프린터 드라이버(125)로부터 보내진 래스터 화상(113)을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단계S801에서, 1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때에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이 복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 즉 인쇄 대상의 1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형성할 때에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은 일반적으로 입력 화상의 화상영역 데이터에 따라 행해지므로, 그 화상영역 데이터를 참조해서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혹은, 설령 가능하다면, 그 밖의 출력 설정을 사용하여,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된다. 단계S801에서, 페이지내에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8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4에서, 출력동작에 사용되는 화상처리방법 1종류만을 카운트한다. 카운트 결과는, 기억장치(121)에 격납된다. 단계S801에서, 페이지내에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8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802에서, 페이지내에 있어서의 각종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페이지내 사용률")을 취득한다.
"페이지내 사용률"이란, 1페이지의 인쇄에 대한 각 화상처리방법의 사용율을 나타낸다.
단계S802에서 취득한 각 화상처리방법의 각 페이지내 사용률이 역치이상일 경우에는, 단계S8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리고, 단계S803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을 카운트한다. 단계S802에서 취득한 각 화상처리방법의 페이지내 사용률 중, 특정한 화상처리방법의 페이지내 사용률이 상기 역치이상일 경우에는, 단계S804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리고, 단계S804에서, 페이지내 사용률이 높은 특정한 화상처리방법만을 카운트한다. 각 페이지내 사용률이 높은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사용된 역치는 미리 정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역치가 30%에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페이지내 사용률이 30%이상의 화상처리방법은 페이지내 사용률이 높은 화상처리방법이라고 판정하고, 페이지내 사용률이 30%이하의 화상처리방법은 페이지내 사용률이 낮은 화상처리방법이라고 판정한다.
도 7의 작업 흐름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S702에서는, 단계S701에서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기간에 가장 빈번히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을 결정한다.
각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은, 모든 화상처리방법이 사용된 횟수(총 카운트)에 대하여, 각 화상처리방법이 사용된 횟수(카운트)의 비율을 결정하여서 얻어진다. 또한, 카운트하는 기간(데이터를 수집하는 기간)은, 전회의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부터, 단계S701에서 유저의 동작 상태의 해석까지의 기간이거나, 1개월등의 소정의 기간이어도 된다. 전자사진장치(전자 인쇄기)를 공유하는 인원수가 적을 경우에는, 단기간에 취득된 카운트 수를 사용하는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
그 후, 단계S703의 처리로 진행되어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단계S403에서 화상처리를 실행할 때에, 단계S702에서 결정한 화상처리방법을 적용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페이지의 인쇄에 대해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해서, 화상처리방법을 카운트하는 기술의 맥락에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한 빈도를 추출하는 임의의 다른 효과적인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카피 잡과 PDL잡에 다른 화상처리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잡 종류마다 화상처리방법의 전환을 카운트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유저의 동작 상태의 해석에 의해 가장 빈번히 이용된 화상처리방법으로 작성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자주 보는 특징의 화상에 최적이 되도록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제3 예시적 실시예
이제,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와 차이만을 설명한다. 제3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저의 동작 상태를 해석한다. 그 동작 상태에 따라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화상처리방법은 비교적 다수의 패치 화상을 인쇄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한다. 사용 빈도가 낮은 화상처리방법은 패치 화상의 수를 절감해서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작업 흐름은 도 7과 같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혼색 차트용의 화상처리방법을 결정하는 단계S702에서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차트 화상의 재구성
도 7의 단계S701에서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의 취득이 완료된 후, 단계S7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의 화상처리방법의 결정을 아래와 같이 행한다. 즉, 각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에 따라,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에 포함된 패치 화상들을 재배치하고, 그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우선, 단계S701에서 취득한 사용률로부터, 각종 화상처리방법의 사용 횟수의 카운트의 비율을 취득한다. 단계S702에서는, 단계S701에서 얻어진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에 따라 혼색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혼색 차트 화상을 재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서 재구성전보다 적은 용지매수로 차트 화상을 출력하여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구체적인 예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프린터(115)가, 3종류의 화상형성A, 화상형성B, 화상형성C의 화상처리방법을 지원한다. 추가로, 재구성전에, 각 화상처리방법에 대하여 실행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은 1매이며, 그 차트 화상에 형성되는 패치수는 200패치일 경우를 생각한다. 화상처리방법이 3종류 사용가능하므로, 차트 화상을 재구성하기 전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인쇄하는 차트 화상은 총 3매다.
여기에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하는 차트 화상을 총 2매로 삭감하도록 차트 화상을 재구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 삭감 후의 차트 화상의 매수는 2매에 한정되지 않고, 재구성하기 전과 비교해서 차트 화상의 매수가 적으면 된다.
단계S701에서 취득된 화상형성A, 화상형성B, 화상형성C의 화상형성방법이 사용된 횟수의 카운트의 비율이 6:1:3인 제 1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화상형성B의 화상형성방법의 사용 빈도가 낮으므로, 이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방법에 의해 형성된 차트 화상은,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으로부터 제외된다. 이렇게, 패치 화상의 배치를 재구성하지 않고,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의 매수를 총 2매로 감소하여도 된다.
단계S701에서 취득된 화상형성A, 화상형성B, 화상형성C의 화상형성방법이 사용된 횟수의 카운트의 비율이 3:3:4인 제 2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모든 화상처리방법은,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서 간주된다. 따라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화상처리방법C를 사용할 때에 인쇄하는 패치수를 우선도가 높게 할당하고, 200패치인채로 하고 화상처리방법A와 B를 사용할 때에 인쇄하는 패치수를 100패치씩 감소한다. 이렇게 하여,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인쇄되는 차트 화상에 배치하는 패치 화상을 재구성한다. 이러한 재구성에 의해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의 수가 총 2매로 감소된다. 패치 화상의 재구성시에, 1매당 인쇄되는 패치수를 200패치로부터 패치 화상을 균등하게 솎아 내서 100패치로 감소하여도 된다. 또는, 차트 화상당 인쇄되는 패치수가 100패치일 경우의 패치 데이터를, 미리 기억장치(121)에 보존해두고 판독하여도 된다.
차트 화상의 재구성시에,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 패치수를 이하로 감소시킬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200패치 형성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정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 패치수는, 80∼100정도다.
본 기술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거나, 우선도가 높은 화상처리방법은, 비교적 다수의 패치 화상을 인쇄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한다. 그러나, 사용 빈도가 낮거나, 우선도가 낮은 화상처리방법은, 패치수를 절감해서 재구성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하여도 된다. 이것은, 용지와 토너의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고, 유저의 노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효율적인 보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기술을 사용한 단계S703의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상세한 것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다. 그렇지만, 단계S403에서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차트 화상을 출력할 때에, 단계S702에서 재구성한 혼색 차트 화상을 사용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1종류이상의 화상처리방법으로 4D-LUT(217)이 작성된다. 그렇지만, 단계S701에서 취득한 동작 상태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패치 화상이 형성되지 않아 4D-LUT(217)이 작성되지 않는 화상처리방법이 있기도 하다.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서, 4D-LUT(217)의 작성에 사용되지 않은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는 출력을 보정할 경우에, 임의의 다른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작성된 4D-LUT(217)을 대용한다. 이 경우에, 가장 많은 패치수로 보정된 화상처리방법의 4D-LUT(217)로 대용해도 되거나, 화상처리방법의 특징이 유사한 4D-LUT(217)로 대용해도 된다.
이에 따라,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유저의 동작 상태를 해석한 결과에 따라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차트 화상을 재구성한다. 이러한 재구성에 의해, 다른 환경에서 동작하는 유저가 공유한 전자사진장치(전자 인쇄기)에 있어서도, 복수의 유저가 자주 보는 화상의 특징에 대해 최적이 되도록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한층 더,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모든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작성된 차트 화상을 사용해서 측정 결과를 사용해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한다. 따라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은 정밀하게 보정되어서, 단색 캘리브레이션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보정의 정밀도가 유지될 수도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부;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도록 구성된 측색부; 및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형성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 사용된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종류의 수보다 적은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상기 측색부가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칼라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는 화상처리단계;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는 측색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단색 캘리브레이션에서 사용된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종류의 수보다 적은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상기 측색단계에서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 칼라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들을 전자사진장치(전자 인쇄기)의 맥락에서 예로 들어 설명을 했지만, 잉크젯 프린터나 써멀 프린터 등의 다른 프린터를 사용하여도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종류의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사진인쇄의 토너의 맥락에서 예로 들어 기록제를 설명한다. 인쇄에 사용하는 기록제는 토너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등 기타의 기록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한 종류의 기록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9)

  1.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부;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도록 구성된 측색부; 및
    상기 측색부가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라 화상처리장치가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때,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고, 모든 화상처리방법들보다 적은 화상처리방법의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도록 구성된, 칼라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 동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혼색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패턴 화상은, 상기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형성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 동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혼색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패턴 화상은 제1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상처리방법은 상기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은, 디더링법 또는 오차확산법을 포함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취득부; 및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률에 따라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출력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한 화상의 형성을 위한 소정의 기간에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한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한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한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취득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 역치이상인 페이지내 사용률을 갖는 화상처리방법만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고, 상기 페이지내 사용률이 1페이지의 화상 형성을 위해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인, 칼라 화상처리장치.
  10. 칼라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는 화상처리단계;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는 측색단계; 및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상기 측색단계에서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고, 또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단색 화상의 재현 특성을 보정하는 단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 화상처리장치가 캘리브레이션을 행할 때,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고, 모든 화상처리방법들보다 적은 화상처리방법의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는,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 동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혼색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패턴 화상은, 상기 단색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 1종류의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형성되는,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 동안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혼색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패턴 화상은 제1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상처리방법은 상기 단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은, 디더링법 또는 오차확산법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취득단계; 및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사용률에 따라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해서 출력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의 화상의 형성을 위한 소정의 기간에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의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의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각각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단계에서 1페이지의 화상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취득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 역치이상인 페이지내 사용률을 갖는 화상처리방법만을 사용한 횟수의 카운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의 각각의 사용률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내 사용률이 1페이지의 화상 형성을 위해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인, 제어 방법.
  19.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칼라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부;
    복수종류의 의사계조를 표현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방법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칼라 화상을 측색하도록 구성된 측색부;
    상기 측색부가 복수색의 기록제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혼색의 패치 화상을 포함하는 패턴 화상의 측색을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혼색 화상의 재현 특성이 상기 측색의 결과를 사용하여 보정되는, 혼색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화상처리부에 의해 실현된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방법 중에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한 화상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 화상처리방법의 사용률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 및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사용률이 낮다고 판정되는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서 형성된 혼색의 패턴 화상에 포함된 패치 화상의 수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사용률이 높다고 판정되는 화상처리방법을 사용하여서 형성된 혼색의 패턴 화상에 포함된 패치 화상의 수보다 적도록, 상기 패턴 화상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부에서 구성한 상기 패턴 화상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혼색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칼라 화상처리장치.
KR1020130138131A 2012-11-16 2013-11-14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7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1884 2012-11-16
JP2012251884A JP6041633B2 (ja) 2012-11-16 2012-11-16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JP-P-2012-251883 2012-11-16
JP2012251883A JP2014099830A (ja) 2012-11-16 2012-11-16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48A true KR20140063448A (ko) 2014-05-27
KR101687529B1 KR101687529B1 (ko) 2016-12-19

Family

ID=4955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131A KR101687529B1 (ko) 2012-11-16 2013-11-14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92719B2 (ko)
EP (2) EP3664427A1 (ko)
KR (1) KR101687529B1 (ko)
CN (1) CN103826029B (ko)
BR (1) BR102013028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0093B2 (ja) * 2012-11-29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495736B2 (en) * 2014-02-03 2016-11-15 Prosper Creative Co., Ltd. Image inspecting apparatus and image inspecting program
US9876943B2 (en) * 2014-08-12 2018-01-23 Xerox Corporation Color managed printing system
WO2016119905A1 (en) 2015-01-30 2016-08-04 Hewlett-Packard Indigo B.V. Measuring color and calibrating printers
JP6168105B2 (ja) * 2015-06-11 2017-07-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507881B2 (ja) * 2015-06-24 2019-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24881B2 (ja) * 2015-10-19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7121483A1 (en) 2016-01-14 2017-07-20 Hewlett-Packard Indigo B.V. Adjusting imaging apparatuses
JP6742752B2 (ja) * 2016-02-19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52583B2 (ja) * 2017-11-14 2021-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91727B2 (ja) * 2018-03-09 2022-06-28 株式会社リコー 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58290B1 (ko) * 2018-08-30 202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2006643A (ja) * 2020-06-24 2022-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52633A (ja) * 2020-09-23 2022-04-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ラーチャートデータ補正方法およびカラーチャートデータ補正プログラム
JP2022099817A (ja) * 2020-12-23 2022-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31849B2 (en) * 2021-03-10 2023-11-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836A (ja) * 1998-09-28 2000-04-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9069606A (ja) * 2007-09-14 2009-04-02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色調整方法
JP2010263345A (ja) * 2009-05-01 2010-11-18 Ricoh Co Ltd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20051768A1 (en) * 2010-08-27 2012-03-01 Hiroomi Nakatsuji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954A (en) * 1993-05-28 1996-12-31 Ricoh Company, Ltd. γ-correction curve selecting apparatus and a γ-correction curve creating apparatus
US5987168A (en) * 1997-03-25 1999-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verting three dimensional colorants to more than three dimensional colorants
JP2000301807A (ja) * 1999-04-19 2000-10-31 Canon Inc テストパターン記録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6898381B2 (en) * 2001-11-09 2005-05-24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158554B2 (ja) * 2003-02-28 2008-10-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ガンマテーブルの補正機能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641469B2 (ja) * 2005-09-06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7124352A (ja) * 2005-10-28 2007-05-1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08133629A1 (en) * 2007-04-30 2008-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lftone printing with different screens
US8305642B2 (en) * 2008-12-19 2012-11-0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of uniformity compensations across halftone screens
JP4725755B2 (ja) * 2008-12-26 2011-07-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リンタ階調補正方法およびカラーパッチ画像
JP5371904B2 (ja) * 2010-01-27 2013-12-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244126A (ja) * 2010-05-17 2011-12-01 Seiko Epson Corp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分光反射率予測装置、及び分光反射率予測方法
JP5631060B2 (ja) * 2010-06-03 201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5737968B2 (ja) * 2011-01-28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812765B2 (ja) * 2011-08-29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文書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836A (ja) * 1998-09-28 2000-04-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9069606A (ja) * 2007-09-14 2009-04-02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色調整方法
JP2010263345A (ja) * 2009-05-01 2010-11-18 Ricoh Co Ltd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20051768A1 (en) * 2010-08-27 2012-03-01 Hiroomi Nakatsuji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36676B2 (en) 2017-12-05
US20150286907A1 (en) 2015-10-08
EP3664427A1 (en) 2020-06-10
CN103826029B (zh) 2017-06-23
KR101687529B1 (ko) 2016-12-19
US20140139883A1 (en) 2014-05-22
EP2733917B1 (en) 2020-03-11
BR102013028969B1 (pt) 2023-01-31
US9092719B2 (en) 2015-07-28
EP2733917A1 (en) 2014-05-21
BR102013028969A2 (pt) 2014-11-18
CN103826029A (zh)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529B1 (ko) 칼라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298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07834B1 (ko) 컬러 화상 처리장치 및 컬러 화상 처리방법
KR10167207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59845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099830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652613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390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1633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