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89A - 모발 화장료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3389A KR20140063389A KR1020130091414A KR20130091414A KR20140063389A KR 20140063389 A KR20140063389 A KR 20140063389A KR 1020130091414 A KR1020130091414 A KR 1020130091414A KR 20130091414 A KR20130091414 A KR 20130091414A KR 20140063389 A KR20140063389 A KR 20140063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hair cosmetic
- cosmetic composition
- ester
- branched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양호하며, 또한, 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그 후에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로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로서는,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또는 2-에틸헥산산세틸이 바람직하다.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그 후에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로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로서는,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또는 2-에틸헥산산세틸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린스,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등으로서 이용되는 모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샴푸 후의 젖은 모발에 도포하고,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린스,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에는, 마무리시의 모발의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성분이 배합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 화장료의 배합 성분의 하나로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는, 예컨대 모발 화장료를 증점시켜 그 조작성(모발에의 도포시의 조작성)을 높이는 작용을 갖고 있다. 그러나, 반면에, 이것을 배합한 모발 화장료는, 마무리 후의 모발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 마무리시의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성분을 더 배합한 경우, 마무리시에 모발의 정돈이나 매끄러움이 저하되거나, 모발 화장료의 조작성이 손상되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도 있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판명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는, 그 조작성 향상 작용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마무리시의 모발에, 부드러움, 정돈감 및 매끄러운 느낌을 밸런스 좋게 부여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한, 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그 후에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한, 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서는,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의 작용에 의해 점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모발에의 도포를 용이하게 하여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에 덧붙여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의 작용에 의해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의 상기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고 마무리시(모발 화장료를 도포한 모발을 헹구어 건조시켰을 때)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밸런스 좋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로는 예컨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리놀레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2-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2-옥틸도데실 등의 직쇄 지방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에틸,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등의 분지 지방산과 직쇄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2-헥실데실,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디메틸옥탄산2-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2-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2-옥틸도데실 등의 분지 지방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등의 지방산과 1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및 호호바 오일 중 어느 한쪽만이 배합되어 있으면 좋고, 양자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의 경우에는, 상기 예시한 각 에스테르 중 어느 1종만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로서는,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또는 2-에틸헥산산세틸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며,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의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배합량(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와 호호바 오일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 배합량.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의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배합량에 대해서, 이하 동일함)은, 이들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의 모발 화장료 중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의 향상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의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로는 예컨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에는, 상기 예시한 것 중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복수 종을 병용하여도 좋지만, HEC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HEC의 경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1 질량% 농도의 수용액에서의 점도가 1500∼2500 m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모발 화장료 중의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의 향상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배합량은, 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물을 용매로서 사용한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물의 배합량은 예컨대 5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상기한 각 성분 이외에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모발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는 예컨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실리콘, 고급 알코올, 저급 알코올, 보습제, pH 조정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C12-18)디메틸암모늄(디알킬 뒤의 괄호 안의 수치는 알킬의 탄소수를 의미하고 있음) 등의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의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0.5∼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르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3)소르비트,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2∼10)글리세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디메티코놀,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규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실리콘-9 등을 들 수 있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실리콘의 배합량은 예컨대 0.1∼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직쇄상의 포화 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등의 분지형의 포화 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불포화 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2∼22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의 고급 알코올의 배합량은 예컨대 0.5∼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벤질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7 이하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보습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다가 알코올, 당알코올, 당(벌꿀, 물엿, 트레할로오스 등), 세틸 PG 히드록시에틸팔미타미드(PG는, 프로필렌글리콜의 약칭임) 등의 의사(擬似) 세라미드, 천연 세라미드, 아미노산,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시트르산, 인산, 말산, 타르타르산, 젖산 등의 산;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등의 알칼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pH가 2∼7인 것이 바람직하고, pH 조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발 화장료의 pH가 이러한 값이 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안식향산 및 그의 염(나트륨염 등);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등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및 그의 염(나트륨염 등); 살리실산 및 그의 염; 소르브산 및 그의 염;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상기한 각 첨가 성분 이외에도 상기한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 유성 성분, 킬레이트제, 향료, 착색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샴푸 후에 모발에 도포하고, 그 후에 씻어내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린스,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등이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샴푸로 세정한 후의 모발에 대하여 적량 도포하고, 그 후 수세하는 방법에 의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를 도포하기 전에 모발의 세정에 사용되는 샴푸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각종 샴푸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후기의 표 1 및 표 2에서는 모발 화장료 전체 100%가 되도록, 표 4에서는 샴푸 전체 100%가 되도록 각각 각 성분의 배합량을 %로 나타내지만, 그 %는 모두 질량%이며, 또한, 이들 표 내에서는 그 %의 표시를 생략하고,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만으로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는 특별히 거절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질량%)이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8
실시예 1∼4 및 비교예 1∼8의 모발 화장료를, 표 1∼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조제하고, 하기 (1)∼(5)의 절차에 따라 평가를 행하였다.
(1) 동일 인물로부터 채취한 인모 모속(毛束)(길이가 25 ㎝인 인모로 이루어진 모속이며, 1모속 당 5g)을 복수 준비하고,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샴푸로 세정하여 물로 헹궈내었다.
(2) 우선, 기준품으로서, 비교예 8의 모발 화장료 0.5 g을 손에 덜어, 이것을, 샴푸로 세정하고 물로 헹궈낸 상태의 상기 모속에 도포하고, 물로 헹군 후에 건조시키고 나서,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의 용이성과, 도포시의 조작성(점도가 적정하여 손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등, 모발에의 도포가 용이한지 여부)을, 전문 평가자 5명이 각각 평가하였다.
(3) 다음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 중 어느 한 모발 화장료에 대해서, 비교예 8의 모발 화장료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마무리시의 모발의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의 용이성과, 도포시의 조작성을, 상기한 평가자 5명 각각이 비교예 8의 모발 화장료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이것보다 양호한지 여부로 평가하였다.
(4) 상기한 각 평가 결과에 대해서 양호하다고 한 평가자가 5명 전원이었을 경우를 「◎」, 양호하다고 한 평가자가 4명이었을 경우를 「○」, 양호하다고 한 평가자가 1∼3명이었을 경우를 「△」, 양호하다고 한 평가자가 1명도 없었을 경우를 「×」로 하여 정리하였다.
(5)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의 모든 모발 화장료에 대해서 상기한 (1)∼(4)의 절차로 평가를 행하였다.
상기한 각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병기한다.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물의 란의 「합계 100으로 함」이란, 샴푸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더하여 100%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PPG-2부테스-1」 및 「PPG-3카프릴릴에테르」에 있어서의 「PPG」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약칭이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HEC(1)」은, 1% 농도의 수용액에 대해서, B형 점도계를 사용하고, 로터 No.3을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한 60초 후의 점도가 1800 mPa·s이며, 「HEC(2)」는, 1% 농도의 수용액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점도가 3500 mPa·s이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있어서의 「공통 성분」은, 표 3에 나타낸 조성이다.
표 3에 기재된 각 성분의 배합량은,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모발 화장료 전체를 100%으로 했을 때의 배합량이다. 또한, 표 3에 기재된 「폴리옥시에틸렌(16)라우릴에테르」의 괄호 안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의미하고 있다(후기의 표 4도 동일함).
표 4에 있어서, 물의 란의 「합계 100으로 함」이란, 샴푸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더하여 100%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표 4에 기재된 「POE(120)디올레산메틸글루코시드」에 있어서의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의 약칭이며, 그 뒤의 괄호 안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또한, 표 4에 있어서의 수산화나트륨 및 시트르산의 란의 「적량」이란, 샴푸의 pH가 6이 되는 양으로 사용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표 4에 기재된 성분은 이하와 같다.
(a) 폴리쿼터늄52: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b)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c) 방부제: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액(농도 0.015%).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는 실시예 1∼4의 모발 화장료는, 기준품으로 한 비교예 8의 모발 화장료(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나 호호바 오일을 배합하지 않는 모발 화장료)보다도, 조작성이 양호하며, 또한 마무리시의 모발에,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밸런스 좋게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나 호호바 오일 대신에 다른 유성 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1∼6의 모발 화장료 및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나 호호바 오일 대신에 다른 유성 성분을 배합하고,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대신에 수성 제제를 증점시키는 작용을 갖는 재료로서 알려져 있는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을 배합한 비교예 7의 모발 화장료에서는, 조작성이 뒤떨어져 있거나 또는 조작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더라도, 마무리시의 모발에, 부드러움, 정돈, 및 매끄러움을 밸런스 좋게 부여할 수 없다.
Claims (6)
-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고, 그 후에 씻어내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로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호호바 오일과,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 제1항에 있어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모발 화장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또는 2-에틸헥산산세틸인 모발 화장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이소노난산과 분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인 모발 화장료.
- 제4항에 있어서, 분기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인 모발 화장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모발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51153 | 2012-11-15 | ||
JP2012251153A JP6214146B2 (ja) | 2012-11-15 | 2012-11-15 | 毛髪化粧料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965A Division KR20190087362A (ko) | 2012-11-15 | 2019-07-15 | 모발 화장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389A true KR20140063389A (ko) | 2014-05-27 |
Family
ID=508914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414A KR20140063389A (ko) | 2012-11-15 | 2013-08-01 | 모발 화장료 |
KR1020190084965A KR20190087362A (ko) | 2012-11-15 | 2019-07-15 | 모발 화장료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965A KR20190087362A (ko) | 2012-11-15 | 2019-07-15 | 모발 화장료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214146B2 (ko) |
KR (2) | KR2014006338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44133A (ja) * | 2014-08-20 | 2016-04-04 | 株式会社ダリヤ | 毛髪化粧料 |
JP6830639B2 (ja) * | 2016-06-30 | 2021-02-17 | ホーユー株式会社 | 毛髪処理剤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99637A (ja) * | 1992-12-28 | 1994-07-19 | Kao Corp | 毛髪化粧料 |
JPH07228510A (ja) * | 1994-02-17 | 1995-08-29 | Lion Corp | 毛髪化粧料 |
JP2000212046A (ja) * | 1999-01-18 | 2000-08-02 | Shiseido Co Ltd | 毛髪化粧料 |
JP2998027B1 (ja) * | 1999-01-26 | 2000-01-11 | 花王株式会社 | 毛髪化粧料 |
JP2002029937A (ja) * | 2000-07-21 | 2002-01-29 | Kao Corp | 毛髪化粧料 |
JP2002047142A (ja) * | 2000-07-28 | 2002-02-12 | Kao Corp | 毛髪化粧料 |
JP4822089B2 (ja) * | 2000-12-27 | 2011-11-24 | 千葉製粉株式会社 | O/w型乳化組成物 |
DE10129225A1 (de) * | 2001-06-19 | 2003-01-02 | Clariant Gmbh | Neuartig konfektionierte quaternäre Ammoniumverbindungen |
JP3987314B2 (ja) * | 2001-09-14 | 2007-10-10 | 花王株式会社 | 毛髪化粧料 |
JP2003081780A (ja) * | 2001-09-14 | 2003-03-19 | Kao Corp | 毛髪化粧料 |
JP2005089372A (ja) * | 2003-09-18 | 2005-04-07 | Lion Corp | 毛髪化粧料 |
JP2007518751A (ja) * | 2004-01-21 | 2007-07-12 |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 ヘアケア組成物 |
JP2011057560A (ja) * | 2009-09-04 | 2011-03-24 | Shiseido Co Ltd | 毛髪保護用外用組成物 |
JP2012082169A (ja) | 2010-10-13 | 2012-04-26 | Milbon Co Ltd | 毛髪処理剤 |
-
2012
- 2012-11-15 JP JP2012251153A patent/JP6214146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8-01 KR KR1020130091414A patent/KR20140063389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
- 2019-07-15 KR KR1020190084965A patent/KR201900873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362A (ko) | 2019-07-24 |
JP2014097962A (ja) | 2014-05-29 |
JP6214146B2 (ja) | 2017-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2936B1 (ko) | 모발 화장료 | |
EP1584324B1 (en) | 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icarboxylic acid and an edetic acid | |
US8293220B2 (en) | Hair cosmetic | |
TW201919570A (zh) | 液狀染毛劑組合物 | |
TW201919562A (zh) | 液狀染毛劑組合物 | |
TW201919568A (zh) | 液狀染毛劑組合物 | |
EP2213277B1 (en) | Hair care product | |
KR20190087362A (ko) | 모발 화장료 | |
JP2013209313A (ja) | 乳化型皮膚外用剤 | |
EP3435967B1 (en) |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pentaerythritol ester and ppg alkyl ether | |
JP5907608B2 (ja) | 多剤式毛髪処理剤 | |
JP2015013855A (ja) | 毛髪化粧料 | |
JP6211436B2 (ja) | リンス剤 | |
JP2014240381A (ja) | プレシャンプー型毛髪処理剤組成物 | |
JP4969305B2 (ja) | 毛髪化粧料組成物 | |
JP4997079B2 (ja) | 毛髪化粧料 | |
JP6514872B2 (ja) | 毛髪化粧料 | |
JP5037209B2 (ja) | 毛髪化粧料組成物 | |
JP2016008209A (ja) | 毛髪化粧料 | |
JPWO2018180513A1 (ja) | 染毛料組成物 | |
JP6940077B2 (ja) | 毛髪化粧料 | |
JP6276540B2 (ja) | ヘアトリートメント剤 | |
JP6719656B2 (ja) | 染毛料組成物 | |
JP2011105633A (ja) | 毛髪洗浄剤組成物 | |
US20240148631A1 (en) | Agent for enhancing hair-setting 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