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072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072A
KR20140062072A KR1020147007394A KR20147007394A KR20140062072A KR 20140062072 A KR20140062072 A KR 20140062072A KR 1020147007394 A KR1020147007394 A KR 1020147007394A KR 20147007394 A KR20147007394 A KR 20147007394A KR 20140062072 A KR20140062072 A KR 2014006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housing
c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 우버슐라거
Original Assignee
멀티-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멀티-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6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특히 다수의 플러그 커넥터는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한 접촉 세그먼트(21) 및 핀 세그먼트(20)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10) 안에 내장되는 플러그 소자(2)와 절연 플러그 하우징(10)을 갖는 플러그 측과,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한 접촉 세그먼트(41) 및 소켓 세그먼트(40)를 갖는 소켓 하우징(3) 안에 내장된 소켓 소자(4)와 절연 소켓 하우징(30)을 갖는 소켓 측을 포함하고, 플러그 하우징(10)은 플러그 방향(S)으로 소켓 하우징(30)과 함께 끼워질 수 있어, 플러그 소자(2)의 핀 세그먼트(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 영역(K1, K2)의 소켓 소자(4)의 소켓 세그먼트(40) 안으로 돌출되어 전기 접촉이 소켓 세그먼트(40) 및 핀 세그먼트(20)를 통해 소켓측(3)과 플러그측(1)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고, 다수의 소켓 하우징(30)은 서로의 옆에 배치되고, 한 쌍의 소켓 소자(4) 및 플러그 소자(2)당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보호 소자(5)가 소켓 하우징(30)과 플러그 하우징(10) 안에 배치되고, 물리적 보호 소자(5)는 대응하는 한 쌍의 소켓 소자(4) 및 플러그 소자(2)를 외부의 영향력으로부터 보호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을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서로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연결부를 갖는 다중 또는 다극의 플러그 커넥터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히 상이한 극성을 갖는 다수의 전기 연결은 단일 플러그-인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부터 알려진 다중 또는 다극의 플러그 커넥터는 전기 이동성 분야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날씨 영향력에 무방비의 방식으로 노출되는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의 사용 결과, 소켓 측과 플러그 측 사이에 습기가 지속적으로 스며들어, 소켓 측과 플러그 측 사이의 전기 연결 및 전체적인 신뢰성이 손상된다.
게다가, 다극의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 특히 에너지 전송 또는 신호 전송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여 특히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치명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다는 위험도 존재한다. 이것은 특히 자동차 제어에 영향을 주는 신호 전송의 경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작동을 피하도록 신뢰할 수 있게 설계된 플러그 커넥터, 특히 다중 플러그 커넥터를 명시하는 것이다.
또한, 모듈 방식으로 쉽게 연장될 수 있는, 다중 플러그 커텍터 형태인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 소켓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 안에 내장되고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는 소켓 소자를 갖는 소켓 측과; 절연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 안에 내장되고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한 접촉부 및 핀부를 갖는 플러그 소자를 갖는 플러그 측을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은 플러그 하우징과 함께 플러그-인 방향으로 꽂힐 수 있다. 함께 꽂힌 상태(plugged together state)에서, 플러그 소자의 핀 부분은 접촉 영역의 소켓 소자의 소캣부안으로 돌출되어, 소켓측과 플러그측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소켓부 및 핀부분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중 소켓 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배치되고 다중 플러그 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소켓 소자 및 플러그 소자당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보호 소자가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데, 여기에서 물리적 보호 소자는 대응하는 한 쌍의 소켓 소자 및 플러그 소자를 외부의 영향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소켓 소자 및 플러그 소자의 각각의 개별 쌍 또는 각각의 개별 극(pole)은 각각 개별 쌍 또는 개별 극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해당 보호 소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보호된다. 이것은 소켓측 및 플러그측에 적용하지 않는 모듈식 설계형태가 한편으로는 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유익하다. 게다가, 마찬가지로 유익하게, 각각의 극은 개별적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더욱 믿을 수 있도록 작용하는 다중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소자의 배치로 인해, 외부 영향력에 대해 더욱 튼튼하고 더욱 잘 견디는 다중 플러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당, 즉 플러그 소자 및 소켓 소자 한 쌍 당, 이 극에 연관된 해당 보호 소자에 제공되고, 다중 플러그의 모듈성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 소자 및 플러그 소자의 다양한 모듈형 배치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 있는 탈착식 다중 플러그 커넥터의 소켓측과 플러그측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연결되거나 함께 꽂힌 상태에 있는 도1에 따르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은 도1에 따르는 플러그 소자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4는 도1에 따르는 소켓 소자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5는 연결된 상태에 있는 다중 플러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도1에 따르는 플러그측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7은 도1에 따르는 소켓측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8a-8c는 제 1 차폐 소자 형태인 보호 소자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9a-9b는 제 2 차폐 소자 형태인 보호 소자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10은 고정 소자를 구비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플러그 커넥터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11은 독립 고정 소자를 구비한 도10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12는 도10 및 도11에 따르는 독립 고정 소자를 나타낸다.
도13은 도10 내지 도12에 따르는 고정 소자를 통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4는 도10에 따르는 케이블의 축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 또는 다중 플러그 커넥터의 극의 단면도가 도1 내지 도4에 나타나 있다. 플러그 커넥터 또는 다중 플러그 커넥터는 평면도 및 투시도로 각각 도5 내지 7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다중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세개의 극 또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세 개의 극 또는 플러그 커넥터는 모두 단일 플러그-인 프로세스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다중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특히 상이한 포텐셜의 다수의 극이 동시에 스위칭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오직 단일 극에 대해서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언급된다. 플러그측(1) 및 소켓측(3)은 전기 도통 외부 소자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된다. 특히 전기 도통 외부 소자는 케이블(100) 또는 전기 디바이스,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액츄에이터 등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극은 각각 단일 플러그-인 연결 또는 플러그-인 이동에 의해 그에 맞춰 연결될 수 있다. 극은 에너지 전송 및 신호 전송 모두에 대해 쓰일수 있다.
플러그측(1)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러그 하우징(10), 및 플러그 하우징(10) 안에 내장된 플러그 소자(2)를 포함한다. 다수의 플러그 하우징(1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 및/또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플러그 소자(2)는 해당 극을 구성한다. 플러그 소자(2)는 핀부(20) 및 접촉부(2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접촉부(21)는 전술한 외부 소자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되고, 핀부(20)는 소켓측(3) 상의 전기 도통 부분의 접촉을 위해 쓰인다.
소켓측(3)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소켓 하우징(30) 및 소켓 하우징(30) 안에 내장된 소켓 소자(4)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켓 하우징(30)이 서로 인정하게 배치 및/또는 상호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소켓 소자(4)는 해당 극을 구성한다. 소켓 소자(4)는 소켓부(40) 및 접촉부(4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접촉부(41)는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100)로의 전기 도통 연결을 위해 쓰인다. 예를 들어, 케이블(100)은 구리 케이블 또는 알루미늄 캐이블이다. 소켓부(40)는 전술한 전기 도통 부분을 구성하고, 핀부(20)는 소켓부(40) 안으로 돌출되며, 여기에서 플러그측(1) 및 소켓측(3) 사이의 전기 접촉은 소켓부(40) 및 핀부(20)를 통해 전달된다.
플러그 하우징(10) 및 스켓 하우징(30)은 함께 끼워질 수 있다. 플러그-인 이동은 여기에서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방향(S)로 수행된다. 여기에서, 플러그-인 방향은 소켓부(40) 및 핀부(20)에 평행이거나 소켓부(40) 및 핀부(20)의 각각의 중심축(M)에 각각 평행으로 진행된다. 함께 꽂힌 상태에서, 플러그 소자(2)의 핀부(20)은 소켓 소자(4)의 소켓부(40)안으로 돌출되고 전기 접촉은 따라서 소켓측(3) 및 플러그측(1) 사이에서 전달된다.
플러그 소자(2) 당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보호 소자(5)가 플러그 하우징(10)안에 배치되고 해당 플러그 소자(2)와 결합된다. 소켓 소자(4) 당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보호 소자(5)가 마찬가지로 소켓 하우징(30)안에 배치되고 해당 소켓 소자(4)와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플러그 소자(2) 및 각각의 소켓 소자(4)는 각각의 플러그 소자(2) 또는 소켓 소자(4) 각각에 관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자신의 개별 보호 소자(5)를 포함한다. 다르게 말하면, 단일 플러그 소자(2) 및 단일 소켓 소자(4)로부터 제공된 극 당, 상기 극과 결합된 하나의 보호 소자(5)가 제공되고 해당 극을 보호한다고 말할 수 있다. 물리적 보호 소자(5)는 극 또는 상기 극과 결합된 플러그 소자(2) 및 상기 극과 결합된 소켓 소자(4)를 외부 영향, 특히 유체 또는 전자기장으로부터 각각 보호한다.
플러그측(1)에 대해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차모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측(1)은 플러그 하우징(10), 플러그 소자(2) 및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소자(5)를 반드시 포함한다. 해당 소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플러그 하우징(10)은 도5 및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하우징(10)은 중심축(M)에 대해 대체로 회전 대칭하도록 설계되고 주변 측벽(12)을 갖는 중공 원기둥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측벽(12)은 외부면(13) 및 중공 원기둥의 내부(15)로 이어지는 내부면(14)을 갖는다. 측벽(1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내부(15)는 기본적으로 소켓측(3)의 일부 및 플러그 소자(2)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소자(2)는 여기에서 장착 소자(8)를 통해 플러그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장착 소자(8)는 장착 소자(8)를 따라 중심으로 이어지는 개구(80)를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10)과 유사하게, 장착 소자(8)도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다. 개구(80)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부분, 특히 장착부(81) 및 접촉부(82)를 갖는다. 여기에서, 접촉부(82)는 기본적으로 플러그측(3)의 해당 소자와 함께 접촉 영역(K1)을 제공한다.
그렇지않으면, 플러그 소자(2)는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직접, 즉 장착 소자(8)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플러그 소자(2)의 설계형태는 도1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소자(2)는 핀부(20) 및 접촉부(2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플러그 소자(2)는 대체로 그 중심축(M)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설계되고 중심 축(M)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에서, 핀부(20)는 장착 소자(8)의 개구(80)의 접촉부(82)에서 멈추며, 접촉부(21)는 장착부(81)에서 멈춘다. 그러면 외부 소자, 예를 들어 여기에 예시되지 않은 케이블 및 플러그 소자(2) 사이의 접촉부(82) 안에 전기 접촉이 제공된다. 플러그 소자(2)는 플러그 하우징 안에 장착되는데, 소켓부(20) 및 접촉부(21)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핀부(20)는 소켓 소자(4) 안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소켓측(3) 및 플러그측(1)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생성한다. 핀부(20)는 볼트(43)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8)를 더 포함한다.
접촉부(21)의 영역 안에, 플러그 소자(2)는 개구(29)를 더 갖는다. 외부 소자, 예를 들어 케이블,은 이 개구(29)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여기에서 플러그 소자(2)에 기계적으로 또는 일체로 전기적으로 도통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소켓측(3)의 설계형태는 도1, 2 및 4의 도움으로 설명된다. 소켓 하우징(30)은 중심축(M)에 대해 대체로 외전 대칭으로 설계되고 측벽(32)을 구비한 중공의 원기등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측벽(32)은 중공의 원기둥의 내부(35)를 향해 바라보는 내부 면(34) 및 외부면(33)을 갖는다. 측벽(32)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내부(35)는 기본적으로 소켓 소자(4) 및 함께 꽂힌 상태의 소켓측(1)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소켓 소자(4)는 장착 소자(9)를 통해 소켓 하우징(30) 안에 장착된다. 장착 소자(9)는 여기에서 소켓 하우징(30)에 연결된다. 소켓 소자(4)는 중심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관해 고정적으로 장착 소자(9) 안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장착 소자(9)는 장착 소자(9)를 따라 중심으로 이어지는 개구(90)를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10)처럼, 장착 소자(9)도 대체로 회전 대칭하도록 설계된다. 개구(90)는 반드시 두 개의 부분,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착부(91) 및 접촉부(92)를 갖는다. 여기에서, 접촉부(92)는 반드시 플러그측(1)의 해당 소자와 함께 접촉부(K1)을 제공한다.
소켓부(40)에서, 소켓 소자(4)는 소켓 소자(2)의 중심축(M)을 따라 연장되는 소켓 개구(48)를 갖는다. 이 소켓 개구(48)는 플러그 소자(2)의 핀부(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플로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 사이의 전기 접촉을 전달하는 전기 도통 접촉 소자(여기에 예시되지 않음)는 바람직하게는 소켓 개구(48) 안에 배치된다. 접촉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라멜라(lamella)의 형태를 갖는데, 여기에서 접촉 라멜라는 다수의 편향 웨브(web)를 포함한다. 플러그측과 소켓측이 함께 연결되면, 이 웨브는 핀부(20)에 의해 소켓 개구(48)의 벽에 대해 눌려지고, 따라서 소켓 개구(48)와 핀부(20) 사이의 전기 접촉을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안내 볼트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촉 간섭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볼트(43)는 소켓 개구(48) 안으로 연장되어, 소켓 개구(48) 안에 닿는 것이 불가능하다.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43)는 플러그 소자(2)의 개구(28) 안으로 돌출된다.
물리적 보호 소자(5)는 바람직하게는 밀폐 소자(6)의 형태 및/또는 차폐 소자(7)의 형태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 형태의 물리적 보호 소자는 도6a 내지 6c에 의해 도면에서 표시되고, 도1 내지 4를 참고로 지금부터 설명된다. 여기에서, 일폐 소자(6)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특히 공기 및 물처럼 유체의 침투로부터 플러그 하우징(10)의 플러그 소자(2)를 사용하여 내부(15)를 밀폐하고 소켓 하우징(30)의 소켓 소자(4)를 사용하여 내부(35)를 밀폐한다. 여기에서, 밀폐 효과는 각각 함께 끼워지거나 조립된 상태, 즉 소켓측(3)이 플러그 측(1)에 연결되는 경우에 제공된다. 특히, 접촉부(K1), 즉 핀부(20)가 소켓부(40) 안으로 돌출되는 영역에서 유체에 EI해 밀폐된다.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의 각각의 개별적인 쌍은 여기에서 단독으로 또는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의 인접하는 쌍이 독립적으로 밀폐되어, 추가로 개조하지 않고도, 각각 소켓측(3) 및 플러그측(1)의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쌍의 모듈식 설계형태가 가능하게 한다. 즉, 서로 나란히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소켓측(3) 또는 플러그측(1)을 포함하는 다수의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극 또는 각각의 쌍은 각각 단독으로 밀폐된다.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 사이의 각각의 접촉 영역은 따라서 단독으로 밀폐된다.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는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한 배치는 도1 내지4를 참고로 제시된다.
도1에 표시된 플러그측은 플러그 하우징(10), 특히 외부 면(13)으로부터 동출되는 플랜지(11)를 갖는다. 이 플랜지(11)는 추가 외부 소자, 예를 들어 자동차의 하우징의 전기 디바이스의 하우징(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소자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10) 사이의 연결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데, 여기에서 견고함을 제공하기 위한 대비가 하우징측에 제공된다. 플랜지(11)와 하우징 사이의 부분은 여기에서 밀폐 소자(6a)에 의해 밀폐된다. 밀폐 소자(6a)를 수용하기 위해, 플랜지(11)는 여기에서 플랜지에서 환형으로 이어지는 홈(groove) 형태를 갖는 수용 소자(16)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은 각진 방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밀폐 소자(6a)는 따라서 수용 소자(16) 안에 배치된다. 플랜지(11)는 선택적으로, 여기에서 플러그측은 밀폐 형상에 대해 소켓측에 대체로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성된다.
추가 밀폐 소자(6b)가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는데, 여기에서 함께 끼워진 상태의 밀폐 소자(6)는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 사이의 간격(101)을 밀폐한다.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면(14)은 바람직하게는 측벽(12)으로 연장되고 밀폐 소자(6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소자(18), 여기에서는 홈을 갖는다.함께 끼워진 상태에서, 밀폐 소자(6b)는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33)과 접촉하여,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면(14)과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33) 사이의 간격(101)이 밀폐된다.
이 실시예에서, 밀폐 소자(6b)는 각각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15)를 향해, 특히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면(14)에 의해 그리고 장착 소자(8)의 외부면(83)에 의해 제공되는 환형 공간(17)을 향해 방향이 정해지거나 배치된다. 그렇지 않으면, 밀폐 소자(6b)는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33)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렇지않으면, 소켓측(3), 즉 소켓 하우징(30)은 소켓측(3)이 외부 소자, 예를 들어 하우징에 연결되는 경우 해당 플랜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c)는 외부 소자(100), 특히 케이블과 소켓 하우징(30) 사이의 플러그 측에 배치된다. 이 밀폐 소자(6c)는 따라서 소켓 하우징(30) 및 외부 소자(100) 사이의 간극(102)을 밀폐한다. 이 배치는 플러그측(1)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밀폐 소자(6c)는 하우징(30) 상에 배치되는 홈 형태의 수용 소자(36) 안에 놓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면부의 소켓 하우징(30)은 소켓 하우징(30) 안으로 삽입되어 거기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어댑터 소자(103)를 갖는다. 어댑터 소자(103)는 마찬가지로 하우징(30)과 어댑터 소자(103)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는 밀폐(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용 소자(36)는 어댑터 소자(103)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지만, 선택적 어댑터 소자(103)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하우징(30) 상에 직접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4 및 8 내지 9에 대한 참조로 하여, 차폐 소자(7) 형태의 물리적 보호 소자(5)가 설명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밀폐 소자에 대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물리적 보호 소자(5)는 외부 또는 내부 영향력, 특히 전자기장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는 차폐 소자(7)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차폐 소자(7)는 각각의 플러그 소자(2) 또는 소켓 소자(4)를 개별적으로 둘러싸고,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의 해당 쌍은 따라서 외부 영향력에 대해 보호된다. 다시 말해, 단일 플러그 소자(2) 및 단일 소켓 소자(4)로 구성된 각각의 개별적인 극은 차폐 소자(7)에 의해 개별적으로 둘러싸이고 차폐된다. 이 차폐는 바깥에서 안으로 및 안에서 바깥으로의 차폐 또는 보호 소자의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상이한 차폐 소자(7) 실시예가 도8a 내지 8c 및 9a 내지 9c에 표시된다. 도8a 내지 8c에 따르는 차폐 소자(7a)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측(1)에 사용되는 반면 도9a 내지 9c에 따르는 차폐 소자(7)는 바람직하게는 소켓측(2)에 사용된다.
두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소자(7)는 접촉부(70), 서로 접한 장착부(71) 및 장착부(71)에 서로 접하는 연결부(72)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차폐 소자(7)는 중심축(M)에 대해 대체로 회전 대칭으로 설계된다.
접촉부(70)는 다른 차폐 소자(7)에 전기적으로 도통 접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차폐 소자(7a)의 접촉부(70)는 차폐 소자(7b)의 접촉부(70)에 연결된다. 그 결과, 두 개의 차폐 소자(7), 예를 들어 도8a 내지 8c에 따르는 차폐 소자(7a) 및 도9a 내지 9b에 따르는 차폐 소자(7b)는 접촉부(70)를 통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게다가, 접촉부(70)는 외부 영향력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장착부(71)는 기본적으로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 안에 차폐 소자(7)를 장착하는 역할을 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면(75) 및 외부면(77)을 포함하는 주변 중공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게다가, 장착부(71)는 외부 영향력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연결부(72)는 외부 소자, 예를 들어 케이블(100) 또는 하우징의 해당 차폐 소자에 차폐 소자를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연결부(72)는 플랜지(11)의 영역 안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다.
차폐 소자(7a)의 접촉부(70)가 플러그-인 방향(S)으로의 각으로 연장되는 탭(tab, 73)의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도8a 내지 8c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탭(73)은 각각 외부면(77)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또는 중심 축(M)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제 1 부분 이상으로 연장되어, 모든 탭(73)의 직경이 커진다. 제 2 부분 위에서, 탭(73)은 결과적으로 중심 축(M)을 향해 연장되어, 모든 탭(73)의 직경이 다시 작아진다. 중심 축(M)에 수직인 단면에서, 탭((73)은 따라서 외부면(77)에 관해 아치형의 방식으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탭(73)은 플러그-인 방향(S)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다수의 탭(73)은 중공 원기둥 주변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표준 거리로 배치된다.
탭(73)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탭(73)이 중심 축(M)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해당하는 힘이 중단되면 원래 위치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훌륭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접촉이 이러한 탄성 특성 때문에 획득될 수 있다.
도9a 내지 9b에서 다른 차폐 소자(7)의 접촉부(70)는 중공-원기둥 내부 벽 또는 내부면(75)의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플러그측(1)이 소켓측(3)과 함께 끼워지는 경우, 탭(73)은 따라서 중공 원기둥의 내부면(75)과 접촉한다. 탭(73)이 중공 원기둥 안으로 삽입될 때, 그에 따라 탭은 방향을 바꾸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따라서 탭(73)은 언제나 접촉부(70)와 접촉하여, 차폐물은 연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플러그-인 연결을 제공하는 동안, 탭(73)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방향(S)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접촉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원뿔(74)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에서, 원뿔은 탭(73)의 우수한 편향도를 보장한다.
차폐 소자(7)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주기 동안에는 소켓 소자(4)가 접촉하기 전에 차폐 소자(7, 7a, 7b)가 플러그 소자(2)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분리(unplugging) 주기 동안에는, 차폐 소자(7, 7a, 7b)의 접촉은 소켓 소자(4) 및 플러그 소자(2) 사이의 전기 연결 분리 이후에 결과적으로 발생한다. 소켓측(3)의 차폐 소자 및 플러그측(1)의 차폐 소자 사이의 접촉은 추가 접촉 영역(K2)을 구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접촉부(70)는 중공 원기둥의 형상 대신에 원뿔모양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72)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탭(76)의 형상을 갖는다. 연결 탭(76)은 외부 소자의 차폐물, 예를 들어 케이블(100)의 차폐물(105) 또는 하우징의 차폐물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된다.
도8a 내지 8c에 따르는 차폐 소자(7a)의 실시예에 따르는 연결 탭(76)은 중심 축(M)에 직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다른 방향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따라 생각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연결 탭(76)은 설치 프로세스 동안에 변형가능하다. 어떻게 연결 탭(76)이 플러그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는지 도1 및 3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러그 하우징(10)은 해당 개구를 갖는다. 연결 탭(76)은 차폐 소자(7) 또는 중공 원기둥 각각의 주변부 위의 그룹에 분산되는 방식으로 여기에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연결 탭(76)을 포함하는 세 개의 그룹이 제공된다. 오직 하나의 그룹, 두 그룹 또는 세 개 이상의 그룹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중심 축(M)의 방향에서 보면, 연결 탭(76)은 중공 원기둥의 전단에 대해 양간 뒤로 설치되고 슬롯(79)은 연결 탭(76)으로부터 중공 원기둥안으로 연장된다. 이 형상은 차폐 소자(7)가 쉽게 생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반드시 갖는다.
도9a 내지 9b에 따르는 차폐 소자(7)의 실시예에 따르는 연결 탭(72)은 플러그-인 방향(S)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마주보는 연결 탭(72) 사이의 간격은 장착부(7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부분에 걸쳐 작아지고 장착부(7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 2 선택적인 부분에 걸쳐 다시 커진다.
차폐 소자(7, 7a, 7b)는 바람직하게는 천공 프로세스 이후 그에 따라 변형되는 천공 부분으로부터 생성된다. 차폐 소자가 중첩 영역(104)을 갖는 것은 도8c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펀칭 부분은 각각 변형 또는 재형성 프로세스 이후 함께 적합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중첩 영역(104)은 기계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차폐 소자(7, 7a, 7b)를 완벽하게 닫아, 우수한 차폐 효과가 보장된다.
플러그측(1) 또는 소켓측(3) 안에 각각 차폐 소자(7, 7a, 7b)를 설치하는 것은 이하 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측(1)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소자(2)를 둘러싸고 소켓 하우징(10)에 의해 결과적으로 둘러싸이는 장착 소자(8)를 갖는다. 여기에서, 장착 소자(8)는 플러그 하우징(10) 및 플러그 소자(2) 사이의 내부(15) 안으로 중공-원기둥형 벽을 통해 돌출된다. 이 내부(15)는 따라서 장착 소자(8)에 의해 분할되어, 공간(17 및 19)이 제공된다. 이 공간(17)은 소켓 하우징(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19)은 기본적으로 플러그측(3)의 장착 소자(9)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소켓측(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말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장착 소자(9)는 소켓 하우징(30)의 내부 안으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이 내부를 분할하여, 공간(37 및 39)이 생성된다. 공간(37)은 플러그 하우징(10), 여기에서는 장착 소자(8)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39)은 플러그 소자(2)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차폐 소자(7)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베어링 소자(8, 9)의 벽(84, 94)의 외부면(83, 93)상에 장착된다. 베어링 소자(8, 9)는 따라서 차폐 소자(7)에 결과적으로 연결된다. 그렇지 않으면 또는 동시에, 차폐 소자(7)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측벽(12)의 내부면(14) 상에 장착되거나 플러그 하우징(10)의 측벽(32)의 내부면(3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차폐 소자(7)는 해당 장착 소자(8, 9) 및 소켓 하우징(30) 또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측벽(12, 32) 사이에 각각 고정된다.
차폐 소자(7)는 바람직하게는 차폐 소자(7)가 외부 영향력으로부터 보호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밀폐 소자(7)에 대해 배치된다. 밀폐 소자(6) 형상의 보호 소자(5)는 따라서 결과적으로 유체로부터 차폐 소자(7)를 밀폐한다.
플러그 커넥터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수용 개구(202)를 갖는 하우징 프레임(200)을 포함한다는 것을 도5 내지 7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소켓 하우징(30) 또는 플러그 하우징(10)은 각각 수용 개구(202) 안에 장착된다. 하우징 프레임(202)은 따라서 기본적으로 소켓 하우징(30) 및 플러그 하우징(1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 개구(202)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된다. 소켓측(3) 및 플러그측(1)은 모두 해당 하우징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코딩 소자(700)는 소켓측(3)의 하우징 프레임(200) 및 플러그측(1)의 하우징 프레임(200) 상에 배치된다. 코딩 소자는 잘못된 끼움(plugging)을 방지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코딩 소자(70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프레임(200) 중 하나로부터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므로, 다른 하우징 프레임은 해당 코딩 소자(700)를 갖는다. 코딩 소자(700)의 배치는 다수의 플러그가 한꺼번에 잘못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극성 반전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코딩 소자(700)는 모듈식으로 플러그 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코당 소자(700)는 핌(704)이 끼워질 수 있는 해당 개구(702)를 갖는다. 개구(702)는 바람직하게는 융각형의 핀과 원형 핀이 모두 끼워질 수 있는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여기에서, 육각형 핀은 코딩 소자 역할을 하므로, 원형 핀도 가이드 소자 또는 비틀림방지(anti-twist) 소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켓 하우징(10) 및 플러그 하우징(30)은 바람직하게는 전류를 전도하지 않는,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된다.
소켓측(3) 및 플러그측(1)에 대해 전술된 형상은 도6 및 7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장착 소자(8, 9)는 전술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접촉에 대해 보호하는 역할도 동시에 하여, 전기 도통 소자를 손으로 잡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면에서,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에는 절연물질로 구성된 해당 보호 캡(300)이 제공되어 접촉에 대한 보호가 더 개선된다.
물리적 보호 소자의 추가 실시예는 도10 내지 14를 참고로 제시된다. 유사한 부품에는 유사한 참고 부호가 제공되는데, 특히 플러그측(1) 및 소켓측(3)에 대해 적용된다. 보호 소자(5)는 플러그측(1) 및 소켓측(3)에 연결되는데, 여기에서 플러그측(1) 및 소켓측(3)은 대체로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다. 이 추가 실시예에서 보호 소자(5)는 고정 소자(801)의 형상을 갖는다.
도11에서 처럼,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은 물리적 보호 소자(5)를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에 각각 연결 또는 고정시키기(fastening) 위한 수용부(800)를 포함한다. 물리적 보호 소자(5)는 고정 소자(801)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외부 소자(100)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케이블의 형상을 갖는다. 고정 소자(801)는 케이블(100) 상에서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고정 소자(801)는 케이블(100)을 지지하여,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의 영역 각각에 어떤 꼬임도 없을 수 있다. 게다가, 그에 따라 고정 소자(801)가 케이블(100)을 조이는(clamp) 경우 고정 소자(801)는 케이블(100)에 대한 변형방지 장치(strain relief)도 구성할 수 있다.
고정 소자(801)는 제 1 고정부(802) 및 제 2 고정부(803)를 포함하는데, 두 고정부(802, 803)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소자(804)에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802, 803)는 각각 케이블(100)을 지지 또는 조인다. 연결 소자(804)는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연결 소자는 여기에서 개구(814)를 통해 고정부(802, 803)로 돌출된다.
각각의 고정부(802, 803)는 바람직하게는 수용될 케이블(100)의 단면에 대체로 대응하는 리세스(recess, 805)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리세스(805)가 3극 플러그에 대해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나 고정부(802)를 1극 플러그에 대해 설계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러면 오직 하나의 리세스(805)만 제공된다.
고정부(802)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 핀(808)을 포함하고, 다른 고정부(803)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 개구(809)를 포함한다. 배치 핀(808)은 배치 개구(809) 안으로 돌출되어, 두 고정부(801, 802)가 서로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도12 내지 14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처럼, 리세스(805)에는 돌출부(807), 바람직하게는 서로 떨어져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807)가 있다. 단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돌출부(807)는 케이블(100)의 중심축(M)에 대체로 수직으로 작용한다. 돌출부는 케이블(100)에 조임력(clamping force)을 인가하는 작용을 하여, 케이블이 고정 소자(801)를 통해 각각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100) 주변으로 연장되는 슬리브(sleeve, 806)가 고정 소자(801) 및 케이블(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도11 및 도14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고정 소자(801)는 슬리브(806)를 통해 케이블(100) 상에 작용한다. 그 결과, 조임력이 슬리브(806)를 통해 전달된다.
슬리브(806)는 예를 들어 고무 유사 물질 또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수용부(800)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810)에 배치된 리세스(811)를 갖는다. 이 리세스는 도11 및 14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고정 소자(801)는 리세스(811)에서 맞물리는 리지(ridge, 812)를 갖는다. 고정 소자(801)가 소켓 하우징(30) 또는 플러그 하우징(10)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 리지(812)는 리세스(811)에서 맞물려서, 하우징(10 또는 30) 각각 및 고정 소자(801) 사이에 연결이 각각 생성된다. 따라서 이것은 연동(interlocking) 연결이다.
선택적인 클램핑 부(813)를 통해 하우징(10, 30) 상에 고정 소자(801)가 추가로 조여질 수 있다는 것을 도14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슬리브(806)도 바람직하게는 이 클램핑부(813) 안으로 유시하게 연장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장점을 알 수 있다.
- 보호 소자의 배치로 인해, 외부 영향력에 대해 더욱 튼튼하고 더욱 잘 견디는 다중 플러그가 제공된다.
- 극당, 즉 플러그 소자 및 소켓 소자 한 쌍 당, 이 극에 연관된 해당 보호 소자에 제공되고, 다중 플러그의 모듈성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 또한, 소켓 소자 및 플러그 소자의 다양한 모듈형 배치가 가능하다.
1 : 소켓측 2 : 플러그 소자
3 : 플러그측 4 : 소켓 소자
5 : 보호 소자 6 : 밀폐 소자
7 : 차폐 소자 8, 9 : 장착 소자
10 : 소켓 하우징 11 : 플랜지
12, 32 : 측벽 13, 33, 77, 83, 93, 810 : 외부면
14, 34, 75 : 내부면 15, 35 : 내부
16, 18, 36, 39 : 수용 소자 17, 19, 37 : 공간
20 : 핀부 21, 41, 70, 82, 92 : 접촉부
22, 42, 71, 81, 91 : 장착부 29, 80, 90, 702, 814 : 개구
30 : 소켓 하우징 38, 48 : 소켓 개구
40 : 소켓부 43 : 볼트
72 : 연결부 73 : 탭
74 : 원뿔 76 : 연결 탭
78 : 전단 79 : 슬롯
84, 94 : 벽 100 : 케이블
101, 102 : 간극 103 : 어댑터 소자
104 : 중첩 영역 105 : 케이블 차폐물
200 : 하우징 프레임 202 : 수용 개구
300 : 보호캡 700 : 코딩 소자
704 : 핀 800 : 수용부
801 : 고정 소자 802 : 제 1 고정부
803 : 제 2 고정부 804 : 연결 소자
805, 811 : 리세스(recess) 806 : 슬리브
807 : 돌출부 808 : 배치핀
809 : 배치 개구 812 : 리지(ridge)
813 : 클램핑부 K1 : 접촉 영역
K2 : 접촉 영역 차폐물 S : 플러그-인 방향
M : 중심축

Claims (22)

  1. 절연 플러그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한 핀부(20) 및 접촉부(21)를 구비한 플러그 소자(2)를 갖는 플러그측(1), 및
    절연 소켓 하우징(30)과, 소켓 하우징(30)에 내장되고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하기 위해 소켓부(40) 및 접촉부(41)를 구비한 소켓 소자(4)를 갖는 소켓측(3)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은 플러그-인 방향(S)을 따라 소켓 하우징(30)과 함께 끼워질 수 있고,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 플러그 소자(2)의 핀부(20)는 접촉 영역(K) 안의 소켓 소자(4)의 소켓부(40) 안으로 돌출되어 소켓부(40) 및 핀부(20)를 통해 소켓측(3) 및 플러그측(1) 사이에 전기 접촉이 전달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보호 소자(5)가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당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 안에 배치되고, 상기 물리적 보호 소자(5)는 외부 영향력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의 쌍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은 각각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에 물리적 보호 소자(5)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보호 소자(5)는 고정 소자(801)의 형상을 갖고, 상기 외부 소자(100)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되는 케이블(100)이고, 상기 고정 소자(801)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 각각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10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자(801)는 제 1 고정부(802) 및 제 2 고정부(803)를 포함하고, 두 고정부(802, 803)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소자(804)에 연결가능하고, 두 고정부(802, 803)는 상기 케이블(100)을 각각 지지 또는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부(802, 803)는 수용된 케이블(100)의 단면에 대체로 대응하는 리세스(80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부 중 하나(802)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핀(808)을 포함하고 고정부 중 다른 하나(803)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 개구(809)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핀(808)은 상기 배치 개구(809) 안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두 개의 고정부(802, 803)는 서로에 대해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05)는 단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케이블(100)의 중심축(M)에 대체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돌출부(807)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7. 제 2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 주변으로 연장되는 슬리브(806)가 고정 소자(801) 및 케이블(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소자(801)는 상기 슬리브(806)를 통해 케이블(100) 상에 작용하고, 상기 슬리브(806)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 위의 부분으로 연장되고 클램핑부(813)의 고정 소자(801)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에 대해 추가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8. 제 2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800)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소자(801)는 리세스(811)에서 결합되는 리지(812)를 갖고, 또는 상기 고정 소자(801)는 클램핑부(813)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상기 소켓 하우징(30)에 대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보호 소자(5)는, 외부 영향력, 특히 유체의 영향력 방지에 관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의 플러그 소자(2)를 구비한 내부 및 상기 소켓 하우징(30)의 소켓 소자(4)를 구비한 내부(35), 특히 접촉 영역(K1, K2)를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10) 및/또는 소켓 하우징(30)은 해당 하우징(10, 30)으로부터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에 대한 수용 소자를 갖는 플랜지(11)를 갖고, 상기 밀폐 소자(6)는 하우징과 같은 추가 소자의 표면에 대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표면은 상기 플랜지(11)에 병렬로 이어지고, 그렇게 함으로써 표면과 플랜지(11) 사이의 부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1. 제 9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소자(6)는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고 플러그 하우징(10) 및 소켓 하우징(30) 사이의 간극(101)을 밀폐하고,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면(14)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소자(18)를 갖고, 함께 끼워진 상태에서 밀폐 소자(6)는 소켓 하우징(30)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내부면(14) 및 외부면(13) 사이의 간극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밀폐 소자(6)가 외부 소자(100), 특히 케이블 및 플러그 하우징(10) 및/또는 소켓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 보호 소자(5)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플러그 소자(2) 또는 각각의 소켓 소자(4)를 개별적으로 둘러싸는 차폐 소자(7, 7a, 7b)의 형상을 갖고, 따라서 외부 영향력, 특히 전자기장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소자(2) 및 소켓 소자(4) 쌍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소자(7, 7a, 7b)는 접촉부(70), 장착부(71) 및 연결부(72)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70)는 추가 차폐 소자(7, 7a, 7b)에 전기적으로 도통 접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장착부(71)는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 안에 차폐 소자(7, 7a, 7b)를 장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부(72)는 외부 소자, 특히 케이블 또는 하우징의 차폐물에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5. 제 13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차폐 소자(7, 7a, 7b)의 접촉부(70)는 플러그-인 방향(S) 및/또는 플러그-인 방향(S)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탭(73)의 형상을 갖고, 다른 차폐 소자(7)의 접촉부(70)는 중공-원기둥 내부면(75)의 형상 또는 내부면(75)을 갖는 원뿔 형상을 갖고, 전기적으로 도통 접촉이 상기 내부면(75) 및 탭(73) 사이에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2)는 플러그-인 방향(S) 및/또는 플러그-인 방향(S)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연결 탭(76)의 형상을 갖고, 상기 연결 탭(76)은 특히 플러그-인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연결 탭(76)은 플러그-인 방향에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연결 탭(76) 사이의 간격이 장착부(7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부분에 걸쳐 작아지고 장착부(7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 2 선택적인 부분에 걸쳐 다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2)는 플러그 하우징(10) 및/또는 소켓 하우징(30)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되어, 상기 연결부(72)가 외부 소자의 차폐물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측(1)은 플러그 소자(2)를 둘러싸고 소켓 하우징(10)에 의해 결과적으로 둘러싸이는 장착 소자(8)를 갖고, 장착 소자(8)는 플러그 하우징(10) 및 플러그 소자(2) 사이의 내부(15) 안으로 중공-원기둥형 벽(84)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이 내부(15)를 분할하여, 공간(17)이 제공, 및/또는
    소켓측(3)은 소켓 소자(4)를 둘러싸고 소켓 하우징(30)에 의해 결과적으로 둘러싸이는 장착 소자(9)를 갖고, 장착 소자(9)는 소켓 하우징(30) 및 소켓 소자(4) 사이의 내부(35) 안으로 중공-원기둥형 벽(94)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이 내부(35)를 분할하여, 공간(3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소자(8, 9)의 벽(84, 94)의 외부면(83, 93)은 차폐 소자(7)의 일부(71)를 지지, 및/또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측벽(12)의 내부면(14)은 차폐 소자(7)의 일부(71)를 지지, 및/또는 소켓 하우징(30)의 측벽(32)의 내부면(34)은 차폐 소자(7)의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다수의 수용 개구(202)를 갖는 하우징 프레임(200)을 포함하고, 플러그 하우징(10) 또는 소켓 하우징(30)은 각각 상기 수용 개구(202) 안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 개구(202)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방향(S)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소자(7)는 외부 영향력으로부터 상기 차폐 소자(7)가 보호되는 방식으로 상기 밀폐 소자(6)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플러그 하우징(1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소켓 하우징(3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플러그 하우징(10)은 플러그 소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소켓 하우징(30)은 소켓 소자(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플러그 커넥터.
KR1020147007394A 2011-09-20 2012-09-13 플러그 커넥터 KR20140062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2003 2011-09-20
EP11182003.1 2011-09-20
PCT/EP2012/067942 WO2013041439A2 (de) 2011-09-20 2012-09-13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072A true KR20140062072A (ko) 2014-05-22

Family

ID=4683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394A KR20140062072A (ko) 2011-09-20 2012-09-13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213089A1 (ko)
EP (1) EP2748897A2 (ko)
JP (1) JP2014530452A (ko)
KR (1) KR20140062072A (ko)
CN (1) CN103814484B (ko)
BR (1) BR112014006504A2 (ko)
MX (1) MX2014003387A (ko)
WO (1) WO20130414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639A (ko) * 2016-08-04 2019-04-02 스피너 게엠베하 낮은 수동 상호변조 rf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9288B2 (ja) * 2012-09-18 2016-0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5100763A1 (de) * 2015-01-20 2016-07-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Leitungseinführungseinrichtung
CN204361359U (zh) * 2015-01-28 2015-05-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带线缆的端子组件及连接器组件
DE102015122303B3 (de) * 2015-12-15 2017-04-2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buchse
US20210143582A1 (en) * 2018-04-18 2021-05-13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Plug connector
DE102019107523A1 (de) * 2018-05-24 2019-11-28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der Vorrichtung
CN108565644A (zh) * 2018-07-01 2018-09-21 安徽统凌科技新能源有限公司 多功能锂电池放电口
DE102018122848A1 (de) * 2018-09-18 2020-03-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element zur Aufnahme in einem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US10985493B1 (en) * 2019-10-04 2021-04-20 R.A. Phillips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DE102020106243A1 (de) * 2020-03-09 2021-09-09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zum elektrischen Verbinden zweier Kabel
EP3993178B1 (en) * 2020-10-27 2024-01-24 TE Connectivity Industrial GmbH Electrical plug with friction brake device, as well as arrangement and method
CN213660730U (zh) * 2020-11-23 2021-07-09 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22143058A (ja) * 2021-03-17 2022-10-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カバー及び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061A (en) * 1984-11-19 1987-01-27 Itt Corporatio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JPH043415Y2 (ko) * 1986-03-12 1992-02-03
JP2509471Y2 (ja) * 1988-07-19 1996-09-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防水型電気コネクタ
US5266045A (en) * 1991-10-28 1993-11-30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JP2978348B2 (ja) * 1992-12-18 1999-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JP2982100B2 (ja) * 1994-02-03 1999-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5580264A (en) * 1994-08-09 1996-12-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ed connector
JP3032939B2 (ja) * 1994-11-29 2000-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3585061B2 (ja) * 1995-06-06 2004-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3146982B2 (ja) * 1996-07-12 2001-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0162900A (ja) * 1996-10-04 1998-06-1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
US5788534A (en) * 1997-03-18 1998-08-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integral cable clamp
FR2770041B1 (fr) * 1997-10-22 2000-01-07 Aerospatiale Raccord arriere amovible pour un connecteur tel qu'un connecteur electrique circulaire
JP4562161B2 (ja) * 2001-05-23 2010-10-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6663415B1 (en) * 2002-08-09 2003-12-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train relief
US7249969B2 (en) * 2003-07-28 2007-07-31 Andrew Corporation Connector with corrugated cable interface insert
US20060094281A1 (en) * 2004-11-04 2006-05-04 Carlyle, Inc. Latch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112086B1 (en) * 2005-04-08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assembly having cable guide
US7210943B1 (en) * 2005-11-16 2007-05-01 Jess-Link Products Co., Ltd. Connector
JP4775907B2 (ja) * 2006-11-22 2011-09-21 Smk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US7744403B2 (en) * 2006-11-29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for electrical cables
KR100901409B1 (ko) *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DE102008000479A1 (de) * 2008-03-03 2009-09-10 Amad - Mennekes Holding Gmbh & Co. Kg Steckvorrichtung mit Zugentlastung
CN201266730Y (zh) * 2008-04-30 2009-07-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4898855B2 (ja) * 2009-02-04 2012-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413432B1 (en) * 2009-03-24 2018-10-24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FR2944361B1 (fr) * 2009-04-08 2011-05-13 Radiall Sa Systeme d'interconnexion
JP5417954B2 (ja) * 2009-04-09 2014-02-19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01820943U (zh) * 2010-05-20 2011-05-04 Abb公司 电连接器插头
CN201717439U (zh) * 2010-05-28 2011-01-19 吕纪坤 太阳能电池线缆连接用密封螺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639A (ko) * 2016-08-04 2019-04-02 스피너 게엠베하 낮은 수동 상호변조 rf 커넥터
US11158984B2 (en) 2016-08-04 2021-10-26 Spinner Gmbh RF connector with low passive inter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1439A2 (de) 2013-03-28
MX2014003387A (es) 2014-07-09
BR112014006504A2 (pt) 2017-06-27
CN103814484B (zh) 2016-09-28
CN103814484A (zh) 2014-05-21
WO2013041439A3 (de) 2013-06-13
EP2748897A2 (de) 2014-07-02
US20140213089A1 (en) 2014-07-31
JP2014530452A (ja)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2072A (ko) 플러그 커넥터
US8992249B2 (en) Shielded connector
KR101938932B1 (ko) 전기 커넥터
KR102341380B1 (ko) 전기적 연결 장치
US9147508B2 (en) Wire ho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US8277259B2 (en) Connector
JP4837025B2 (ja) プラグハウジング及び駆動電力伝送用電気プラグ
JP7115349B2 (ja) コネクタ
CN104904071A (zh) 汽车充电连接器
JP2013528311A (ja) 電気コネクタ
US11569604B2 (en) Connector
EP3113293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KR20150074033A (ko) 전기 접속 시스템
ES2233545T3 (es) Disposicion de conector para el conexionado de lineas electricas a un dispositivo electrico, en particular a un motor.
JP7200877B2 (ja) コネクタ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CN100583570C (zh) 一种抗干扰电缆插接器及其装配方法
CN113471761B (zh) 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CN113748575B (zh) 连接器
CN221041593U (zh) 电力传输件、连接器模块、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20230062211A1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JP7313905B2 (ja) パッキンの取付構造
JP2024037156A (ja) コンタクト要素を覆うための汎用ハウジング
KR20230117051A (ko) 커넥터 어댑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