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359A -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359A
KR20140058359A KR1020130132679A KR20130132679A KR20140058359A KR 20140058359 A KR20140058359 A KR 20140058359A KR 1020130132679 A KR1020130132679 A KR 1020130132679A KR 20130132679 A KR20130132679 A KR 20130132679A KR 20140058359 A KR20140058359 A KR 2014005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dth
stacking tray
processing apparatus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563B1 (ko
Inventor
유조 하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40Separate receivers, troughs, and like apparatus for knocking-up complet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국면의 시트 처리장치는, 시트에 대해서 정합 처리를 행하는 정합부재가 설치된 적재 트레이를 구비한다. 시트 처리장치는, 시트를 배출할 때에, 배출 대상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된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이미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출 대상의 시트의 폭과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출 대상의 시트의 배출처를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다.

Description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SHEE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적재 트레이에 적재되는 시트를 정합하는 기능을 가진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시트를 적재하는 시트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시트를 높은 정밀도로 배출 및 정합하는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06331호에는, 적재 트레이 위에 정합 부재(정합 기구)를 설치하고, 시트 배출 방향과 평행한 시트의 단면에 정합 부재를 접리(接籬)시켜서 시트 단면의 위치를 라인 업(line up)하는 시트 정합 처리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적재 트레이 위에 이미 적재된 인쇄물(시트) 위에 새롭게 적재되고, 그 새롭게 적재된 시트와는 다른 폭의 시트에 대해서 정합 처리를 실행할 경우에, 상기의 정합 기구가 이미 적재된 시트와 접촉함으로써, 이미 적재된 시트 위의 토너 또는 잉크가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인쇄물의 화상품질이 저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 처리장치에서, 시트의 정합 처리를 실행하고, 시트의 화상품질을 유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시트를 적재하는 제1의 적재 트레이 및 적어도 제2의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상기 적재된 시트의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하는 정합부재를 포함하는 정합 수단과, 제1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된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제2의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를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지 않도록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트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시트를 적재하는 제1의 적재 트레이 및 제2의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상기 적재된 시트의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하는 정합부재를 포함하는 정합 수단을 구비하는 시트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된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제2의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를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시트 처리장치에서, 시트의 화상품질을 유지하면서, 시트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시트의 정합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이나 단 한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개의 실시예로부터의 특징 또는 소자의 조합이 유익한 경우나 필요한 경우에 그것의 특징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 및 호스트 컴퓨터(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시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13)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시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든 조합이 반드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제1의 실시예]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01)에 접속되어 있다. 인쇄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3)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101)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네트워크(103)는, LAN(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전화 회선망 등을 포함한다.
인쇄 시스템(100)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200)와, 시트 적재장치인 배지부(115)와, 급지부(205)(급지부 E)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시트 처리장치를, 인쇄장치(200)에 배지부(115) 및 급지부(205)가 접속된 상태의 인쇄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를 배출해서 적재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시트 처리장치이면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인쇄 시스템(100)뿐만 아니라 인쇄장치(200) 및 배지부(시트 적재장치)(115)도, 각각 시트 처리장치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01)는 PC(Personal Computer)인 것으로 한다. 호스트 컴퓨터(101)(PC)는 일반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HDD(Hard Disk Drive), RAM(Random Acces스텝 SMemory), 각종 입출력 기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1)는, 네트워크 I/F(105)을 구비하고 있어, 네트워크 I/F(105)을 통해서 네트워크(103)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I/F(105)는,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외부기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통신하기 위한 통신 제어를 행한다. 네트워크 I/F(105)는, 예를 들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방식을 사용한 인터넷 통신과, 인쇄 시스템(10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01)에는, 프린터 드라이버(104)가 인스톨되어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104)는, 호스트 컴퓨터(101)를 제어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다. 프린터 드라이버(104)는, 0S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PDL(Page Description Language)를 이용해서 표현해서 인쇄 잡을 생성하고, 생성한 인쇄 잡을 인쇄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인쇄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I/F(106), CPU(107), RAM(108), 기억부(109), 판독부(110), 인쇄 잡 처리부(111), 화상형성부(112), 조작부(113), 급지부(114),및 배지부(115)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 시스템(100) 내의 이들 유닛은, 시스템 버스(117)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배지부(115)는, 그 서브시스템으로서, 정합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시스템(100)을, 복사기, 프린터, FAX 기기 등의 기능을 가진 MFP(Multi-Function Peripheral)로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인쇄 시스템(100)은 프린터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SFP(single-Function Perioheral)여도 된다.
네트워크 I/F(106)는,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01) 등의 외부기기와 접속 및 통신하고,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통신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I/F(106)는, TCP/IP 방식을 사용한 인터넷 통신과, 호스트 컴퓨터(10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CPU(107)는,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RAM(108)에 로드 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연산 처리, 정보처리, 기기제어 등을 실행한다. RAM(108)은, CPU(107)로부터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일반적인 휘발성 기억장치이며, CPU(107)의 워킹 에어리어(working area)로서, 또는 일시적인 데이터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기억부(109)는, 본 실시예에서는 HDD이며, 호스트 컴퓨터(101)로부터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접수된(수신된) 인쇄 잡을, 일시적으로 또는 영속적으로 기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판독부(110)는, 종이원고를 광학방식으로 판독하는 스캐너다. 판독부(110)는, 원고 조명 램프와 주사 미러를 포함하고, 글래스판 위에 놓인 원고를 광주사한다.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주사 미러 및 반사 미러에 의해 렌즈로 인도된다. 해당 렌즈를 통과한 빛은 고체 촬영소자로 인도된다. 고체촬영소자로 인도된 빛은, 고체촬영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화상신호로서 인식된다. 또한, 고체촬영소자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방식이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을 이용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카피, PDL, FAX 등의 인쇄 잡을 처리해서 인쇄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화상형성부(112)에 전송한다. 또한, 페이지 기술 언어(PDL:page description language)는, 페이지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기술하기 위한 언어이다. 페이지 기술 언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PS(Post Script) 및 PCL(Printer Control Language)이 있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을 수신하면, 수신한 인쇄 잡의 인쇄 속성에 따라 이 화상 데이터에 화상 처리를 적용해서 페이지마다 수신한 인쇄 잡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로 변환함으로써, 인쇄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형성부(112)는, 인쇄 잡 처리부(111)로부터 전송된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 래스터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트에 대한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 엔진이다. 화상형성부(112)는, 인쇄 잡 처리부(111)가 RIP(Raster Image Processor) 처리를 통해서 생성한 래스터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시트에 형성함으로써, 인쇄물을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부(112)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엔진이지만, 잉크젯 방식 등의 다른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엔진이어도 된다.
조작부(113)는, 인쇄장치의 조작이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UI다.
급지부(114)는, 인쇄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시트를 수용하는, 복수의 카세트 또는 데크(deck)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를 급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급지부는, 인쇄 잡의 용지 속성 및 인쇄 시스템(100) 자체의 설정 또는 상태에 의존해서 변하고, 인쇄 잡 처리부(111)는 어느 유닛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급지부(114)로부터 급지된 시트는, 화상형성부(112)에 반송되고, 이들 시트 위에 화상이 인쇄된다. 그 결과, 인쇄물이 생성된다.
배지부(115)는, 화상형성부(112)에 의해 화상이 형성(인쇄)된 시트(인쇄물)를 인쇄 시스템(100)의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피니셔(finisher)이다. 배지부(115)는, 복수의 적재 트레이를 시트의 배출처로서 구비하고 있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이하와 같이 배지 제어를 실행한다. 인쇄 잡의 속성에 따라 시트의 배출처를 결정한 후, 인쇄 잡 처리부(111)는, 결정한 배출처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배지부(115)에 지시한다. 또한, 배지부(115)는, 피니셔 대신에, 스태커(stacker) 등의 다른 배지장치여도 된다.
정합부(116)는, 배지부(115)의 서브시스템이며, 배지부(115)에 포함된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의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를 행한다. 정합부(116)는, 복수의 정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정합부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적재된 트레이에 적재된 복수의 시트를, 반송 방향과 평행한 (양쪽의) 측면 사이에 한 쌍의 부재를 두고, 해당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한다. 이에 따라, 각 정합부재는, 적재된 복수의 시트의 단부를 라인 업해서 다발로 정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 처리부(111)는, 처리 대상의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제1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지정되어 있는 배지부(115)의 적재 트레이에, 선행해서 배출된 시트(제2의 시트)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되어 있는 적재 트레이에 시트가 여전히 존재하면, 지정된 시트의 폭(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주주사 폭)이,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가 처리 대상의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의 폭과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인쇄 잡 처리부(111)는, 시트의 배출처를, 배지부(115)의 복수의 적재 트레이 중, 지정된 적재 트레이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한다. 그리고, 인쇄 잡 처리부(111)는, 다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는 동시에, 정합부(116)에 의한 정합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인쇄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장치(200)와, 인쇄장치(200)에 접속되어 있는 배지부(115) 및 급지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장치(20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기억부(109), 판독부(110), 인쇄 잡 처리부(111), 화상형성부(112) 및 조작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장치(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급지부 201~204(급지부 A~D), 및 인쇄장(200)의 외부에 설치된 급지부(205)(급지부 E)는, 급지부(114)(도 1)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부 201~204는 복수의 용지 카세트로 구성되고, 급지부(205)는 용지 데크로 구성되어 있다. 배지부(115)에는, 배출된 시트를 각각 적재하는 복수의 적재 트레이로서, 적재부 206~208(적재부 A~C)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 반송 경로(209)는, 인쇄 잡 처리부(111)에 의한 인쇄 제어의 시작 후에, 시트가 급지부 201~205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급지되어 화상형성부(112)를 통해서 배지부(115)(적재부 206~208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배지부(115)의 구성>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를 시트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배지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적재부(적재 트레이), 즉 적재부 206~208(적재부 A~C)를 가지고 있다. 적재부 206~208은 각각 정합부 301~303(정합부 A~C)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부(115)는, 3개의 적재 트레이로서 적재부 206~208를 가지고 있지만, 배지부(115)가 1개 이상의 적재 트레이를 포함하는 한은, 배지부(115)에 포함되는 적재 트레이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적재부 206~208는, 스택커(stacker)여도 된다.
배지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셔이며, 화상형성부(112)를 통해서 인쇄장치(200)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배지부(115)는, 수신한 복수의 시트에 적용된 정합부 301~303에 의한 정합 처리, 수신한 시트를 스테이플러(stapler)를 이용해서 바인딩(binding)하는 스테이플(staple) 처리, 및 수신한 시트에 구멍을 뚫는 펀치 처리 등, 수신한 복수의 시트에 대한 각종 후처리를 행함으로써 인쇄물을 생성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 트레이에, 또는, 인쇄 잡 처리부(111)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 결정한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배지제어를 행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에 의한 인쇄 제어의 시작 후에, 급지부 201~205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급지되어 화상형성부(112)에 의한 인쇄가 행해진 시트는, 인쇄 잡 처리부(111)에 의한 배지 제어에 의해, 적재부 206~208 중 어느 하나에 배출된다.
정합부 301~303은, 복수의 적재부 206~208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를, 반송 방향과 평행한 적재된 시트의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하는 복수의 정합부재에 해당한다. 각 정합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정합부 301~303은, 정합부(116)(도 1)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를, 시트의 반송 방향과 반대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합부(정합부재) 301~303은, 각각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복수의 시트가 인쇄물 401로서 적재부 206에 배출되어 적재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정합부(301)의 2개의 부재는, 시트의 배출 전에, 시트의 폭보다도 넓은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시트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정합부(301)의 2개의 부재는, 시트의 배출 후, 시트의 중심방향으로(시트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간격을 좁히도록) 이동하고, 적재되어 있는 복수의 시트의 양쪽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해당 적재된 복수의 시트의 양단을 라인 업한다. 이렇게 하여, 정합부(301)는, 적재부 206에 적재된 복수의 시트를 정합하는 정합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시트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적재부 207 및 208에 각각 대응해서 설치된 정합부 302 및 303은, 인쇄 잡 처리부(111)에 의한 배지 제어에 의해, 대응하는 적재부 207 및 208에 시트가 배출될 때까지, 각각 홈(home) 위치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도 5는, 도 4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를, 시트의 반송 방향과 반대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시트가 인쇄물 401로서 적재부 206에 배출 및 적재되어 있다. 인쇄물 401에는, 정합부(301)에 의해 이미 정합 처리가 실행되어 있다. 또한, 인쇄물 401을 구성하는 시트보다도 폭이 작은 복수의 시트가, 인쇄물 501로서, 인쇄물 401 위에 배출 및 적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합부(301)에 의해, 인쇄물 401 위에 적재된 인쇄물 501에 대하여 정합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 경우, 정합부(301)의 2개의 부재의 저면을, 적재된 인쇄물 401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 상태에서, 정합부(301)의 2개의 부재를 시트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2개의 부재가 이미 적재된 인쇄물 401을 문지른다. 이에 따라, 인쇄물 401 위의 토너가 벗겨지는 동시에, 벗겨진 토너가 정합부(301)에 부착되고, 인쇄물 401의 백지부분에 해당 토너가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물 401의 화상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의 배출처로서 지정되어 있는 적재부(본 예에서는, 적재부 206)에 이미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의 배지 제어 및 정합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지부(115)를, 시트의 반송 방향과 반대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복수의 시트가 인쇄물 401로서 적재부 206에 배출 및 적재되어 있다. 인쇄물 401에는, 정합부(301)에 의해 이미 정합 처리가 실행되어 있다. 여기에서,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로서, 적재부 206가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된 적재부 206에,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인쇄물 401(제2의 시트)이 적재되어 있으면, 이들 인쇄물 401의 폭과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제 1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지정된 적재부 206와는 다른 적재부 207 또는 208로 변경한다. 도 6의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이미 적재되어 있는 인쇄물 401의 폭보다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인쇄물601)의 폭이 작기 때문에, 해당 시트의 배출처를 적재부 206로부터 적재부 207로 변경한다.
인쇄물 601이 적재부 207에 배출 및 적재되면, 배지부(115)는, 적재부 207에 대응해서 설치된 정합부 302에 의해, 적재된 인쇄물 601에 대한 정합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지정된 적재부 206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복수의 시트의 폭보다도 작은 폭의 시트를 새롭게 배출할 경우에, 다른 적재부로 배출처를 변경하고, 해당 기타의 적재부에 있어서, 적재된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새롭게 적재된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에 기인한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화상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시트의 폭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시트 배출처를 다른 배출처로 변경함으로써, 시트의 적재 및 정합 처리를 중단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트 처리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도 6은, 정합 처리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시트의 배출처를, 적재부 206로부터 적재부 207로 변경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낸 것이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복수의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할 경우에는, 정합 부재에 의한 정합 처리가 실행 가능한 복수의 적재부 중 어느 하나를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정합부가 설치된 복수의 적재부 중, 지정되어 있는 적재부와 다른 적재부 및 현재 시트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적재부, 또는 배출하는 시트의 폭과 동일한 폭의 시트가 현재 적재되어 있는 적재부를, 배출처로서 결정하면 된다. 즉, 적재부가 지정되어 있는 적재부와 달라도, 배출하는 시트와 다른 폭의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 적재부를, 배출처로서 결정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면 된다.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 위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와 동일한 폭의 시트를 새롭게 적재하면, 새롭게 적재되어 있는 시트에 대해서 정합 처리를 실행하는 동안에 정합부(정합 부재)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정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화상품질의 저하가 생기는 일이 없다.
<인쇄 시스템(100)에 의한 시트 처리의 순서>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시트 처리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의 플로차트의 각 스텝의 처리는, 인쇄 잡 처리부(111)가, 기억부(109)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8)에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인쇄 시스템(100)에서 실현된다.
우선, 스텝 S701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을 접수하는 접수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접수한 인쇄 잡에 근거하는 처리를 시작한다. 인쇄 잡은,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101)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잡, 인쇄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는 카피 잡, 및 외부기기로부터 네트워크(103)(전화회선 등)를 통해서 송신되는 FAX 잡이다. 인쇄 잡의 또 다른 예로서는 기억부(109)에 기억된 데이터를, 조작부(11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인쇄하는 보존 데이터 잡이 있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접수한(수신한) 인쇄 잡을, 기억부(109)에 일시적으로 스풀(spool)한다.
다음에, 스텝 S702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접수한 인쇄 잡을 해석함으로써 접수한 인쇄 잡의 종류 및 인쇄 설정(특히, 시트의 배출처의 지정을 나타내는 배출처 지정 정보)을 얻는다. 또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접수한 인쇄 잡에 의해 배출처가 구체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신의 판단에 의해 배출처로서 기능하는 적재부(적재 트레이)를 선택하고, 배출처 지정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시스템(1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적재부를, 배출처로서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스텝 S704에서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미리 정해진 적재부에 대해서 판정 처리를 행하게 된다.
스텝 S702 뒤의 스텝 S703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접수한 인쇄 잡에 포함된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실행하여, RIP 처리 후의 래스터 데이터를 얻는다. 그 후에,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7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704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702에서 얻은 배출처 지정 정보에 의거하여 지정된 적재부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적재부에 시트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정된 적재부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다고 판정한다. 한편,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된 적재부에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 폭과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각 적재부에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적재된 시트의 폭을 나타내는 정보는, 인쇄 잡 처리부(111)에 의해 예정보다 빨리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으면 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나중에 기억부(109)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각 시트 적재부에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지 유무와, 적재된 시트의 시트의 폭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704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과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적재부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스텝 S705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705에서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를 배출처로서 결정하고, 스텝 S70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704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과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정된 적재부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고, 스텝 S70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706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합부(정합부재)가 설치되고 정합 처리를 실행가능한 복수의 적재부 중에서,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부를 시트의 배출처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지정된 적재부 이외의 모든 적재부에 이미 시트가 적재되어 있고, 또 이들 적재된 시트의 폭이, 모두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의 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출처를 변경할 수 없다. 그러한 경우에, 인쇄 잡 처리부(111)는,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고, 스텝 S7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스텝 S707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706의 처리로부터 스텝 S704의 처리로 되돌아갈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를 시작하지 않고,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제거하도록 조작부(113)를 통해서 유저에게 통지하면 된다.
스텝 S707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706에서 선택된 적재부를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하고, 스텝 S708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705 또는 스텝 S707의 처리로부터 스텝 S708의 처리로 진행시키면, 스텝 S708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에 대응하는 래스터 데이터를 화상형성부(112)에 전송하고, 해당 래스터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2)에 지시한다. 최종적으로, 스텝 S709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화상형성부(112)로부터 배지부(115)로 반송시킨다. 또한, 인쇄 잡 처리부(111)는, 화상형성부(112)로부터 반송된 시트를, 결정한 배출처에 해당하는 적재부에 배출하고, 배출되어 적재된 시트에 대하여 후처리로서 정합 처리를 실행하도록, 배지부(115)에 지시한다. 그 후에,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에 근거하는 인쇄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시스템(100)은, 각각 시트의 정합 처리를 행하는 정합부재가 설치된 복수의 적재부(적재 트레이)를 구비한다. 인쇄 시스템(100)은, 시트를 배출할 때에, 시트의 배출처로서 지정되어 있는 적재 트레이에 이미 시트가 적재되어 있으면, 배출 대상의 시트의 폭과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쇄 시스템(100)은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복수의 적재 트레이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지정되어 있는 적재 트레이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한다. 또한, 인쇄 시스템(100)은 변경된 배출처에 시트를 적재해서 정합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재 트레이에 새롭게 적재되는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에 기인한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화상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시트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한 후에 시트의 적재 및 정합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시트 처리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일도 없다.
상기의 제 1의 실시예는, 특히, 배출 대상의 시트의 폭이,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로서 지정된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보다도 작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특히, 이미 적재되어 있는 폭이 큰 시트 위에 폭이 작은 시트를 적재한 후에 정합 처리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해당 정합 처리 중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에 정합부재가 접촉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미 적재되어 있는 폭이 작은 시트 위에 폭이 큰 시트를 적재한 후에 정합 처리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해당 정합 처리 중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에 정합부재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에 정합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롭게 적재된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에 기인하여, 이미 적재된 시트의 정합 성능이 열화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새롭게 적재된 시트의 단면에 대한 정합 부재의 접리(接離)에 기인한 진동에 의해, 이미 적재된 시트의 단면의 위치가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의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함으로써 이미 적재된 시트의 정합 성능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다음에,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의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가능한 한 생략함으로써, 설명을 간략화하고 있다.
인쇄 잡에 있어서의 시트의 배출처 지정의 설정에는, 그 인쇄 잡의 생성자(유저)에 어떠한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인쇄 시스템(100)에 있어서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의 배출처를 또 다른 배출처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의 배출처를 또 다른 배출처로 변경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미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폭이,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로서 지정된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에 관한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이러한 선택은, 조작부(113)를 통해서 접수된다. 또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하고, 다른 적재부에 시트를 적재해서 정합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인쇄 잡 처리부(111)는, 새롭게 배출하는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하지 않는 것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배출처를 변경하지 않고, 지정된 적재부에 시트를 적재해서 정합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를 행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13)의 구성 및 조작부(113)에 대한 유저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113)는, 표시부(801), 입력 키(802), 스타트 키(803), 스톱 키(804), 및 리셋 키(8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표시부(801)에, 경고 메시지(806), OK 버튼(807), 및 대기 버튼(808)이 표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경고 메시지(806)는, 후술하는 도 9의 스텝 S907에 있어서 표시부(801)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고 메시지(806)에 의해,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키(803), 스톱 키(804), 및 리셋 키(805)는, 각각 하드 키로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801)는, 터치스크린식의 LCD이며, 인쇄 시스템(100)의 조작이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UI다. 입력 키(802)는, 수치 입력용의 숫자 키(numeric key)나 입력 소거용의 클리어 키(Clear key) 등을 포함한다. 스타트 키(803)는, 인쇄 동작의 시작 지시를 하기 위한 UI다. 스톱 키(804)는, 인쇄 동작의 중단 지시를 하기 위한 UI다. 리셋 키(805)는, 입력값 및 설정값을 디폴트값으로 리셋하는 지시를 하기 위한 UI다.
<인쇄 시스템(100)에 의한 시트 처리의 순서>
다음에, 도 9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시트 처리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의 플로차트의 각 스텝의 처리는, 인쇄 잡 처리부(111)가, 기억부(109)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8)에 판독해서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인쇄 시스템(100)에서 실현된다.
우선, 스텝 S901~S906은, 스텝 S701~S706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04의 처리로부터 스텝 S906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906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정하면,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07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906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면,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904의 처리로 되돌아갈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를 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제거하도록 조작부(113)를 통해서 유저에게 통지하면 된다.
스텝 S907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배지처의 선택사항과 관련된 표시(경고 메시지 806)를, 조작부(113)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시스템(100)의 유저에 대하여, 조작부(113)를 통한 시트의 배출처의 선택을 촉구한다. 스텝 S907에서는, 경고 메시지(806)에 의해,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와는 다르며 또 스텝 S906에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한 또 다른 적재부로,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할지 혹은 배출처를 변경하지 않고 시트를 지정된 적재부에 배출할지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한다.
다음에, 스텝 S908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조작부(113)를 통해서, 또 다른 적재부로 배출처를 변경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즉, OK 버튼(807)이 눌러졌을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09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909에서는,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707과 같이, 스텝 S906에서 선택된 적재부를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하고, 스텝 S708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908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조작부(113)를 통해서, 배출처를 변경하지 않고 시트를 지정된 적재부에 배출하는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즉, 대기 버튼(808)이 눌러졌을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10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910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된 적재부에서 정합 처리가 실행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다시 판정한다. 이 경우에,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된 적재부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제거되지 않는 한, 지정된 적재부에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하고, 인쇄 잡의 실행을 중단한다. 한편, 인쇄 잡 처리부(111)는, 지정된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시트가 제거되면, 지정된 적재부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한 상태라고 판정하고, 스텝 S911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911에서,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인쇄 잡의 실행을 재개하고, 스텝 S705 또는 스텝 S905과 같이,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를 배출처로서 결정한다.
스텝 S905, 스텝 S909 또는 스텝 S911로부터 스텝 S912의 처리로 진행하면,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708 및 스텝 S709의 처리와 같은 처리를, 스텝 912 및 스텝 913에서 각각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S907에 있어서, 배지처의 선택을 유저에게 재촉하기 위해서, 조작부(113)에 경고 메시지(806)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일례로서 설명했다. 유저에 의한 선택은, 조작부(113)뿐만 아니라, 유저가 조작하는 호스트 컴퓨터(101)(외부장치)를 통해서 접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인쇄 잡 처리부(111)는, 스텝 S907에서, 인쇄 잡을 송신한 호스트 컴퓨터(101)에 대하여, 시트의 배출처를 다른 적재부로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를 문의한다. 이 경우, 호스트 컴퓨터(101)의 프린터 드라이버(104)는, 인쇄 시스템(100)의 인쇄 잡 처리부(111)로부터의 문의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101)의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806)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면 된다. 호스트 컴퓨터(101)는, 표시부를 통해서 접수한 유저의 선택을 나타내는 응답을, 인쇄 시스템(100)로 보내면 된다. 인쇄 시스템(100)의 인쇄 잡 처리부(111)는, 그 응답 결과에 따라 유저의 선택을 접수한다. 인쇄 잡 처리부(111)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유저의 선택을 접수하고, 유저의 의도에 따른 배출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의 실시예와 같이, 적재 트레이에 새롭게 적재되는 시트에 대한 정합 처리에 기인한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화상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시트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한 후에 시트의 적재 및 정합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시트 처리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유저의 의도를 반영시킨 배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부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 폭과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지정된 적재 트레이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한 상태인지 아닌가를 판정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지정된 적재부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이,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보다 작을 때에는, 지정된 적재부에 인쇄 잡에 근거해서 배출하는 시트를 적재하는 것을 허가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정된 적재 트레이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있어서 정합 처리가 실행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예를 설명했고, 지정된 적재 트레이 이외의 적재 트레이의 모두에 이미 시트가 적재되어 있고, 또 이들 적재된 시트의 폭이, 모두 인쇄 잡으로 지정된 시트의 폭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처를 변경하지 않는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정된 적재 트레이와는 다른 또 다른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시트의 폭이, 인쇄 잡에 의거하여 배출하는 시트의 폭보다 작을 때에는, 그 다른 적재 트레이에 인쇄 잡에 근거해서 배출하는 시트를 적재하는 것을 허가해도 된다. 그것에 의하여, 시트의 화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보다 더 시트 처리를 중단하는 일없이 시트의 정합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인쇄 잡의 실행시에 실행하는 예를 설명했다. 이들 처리는, 인쇄 잡에 포함되는 페이지마다 실행되어 된다. 그것에 의하여, 인쇄 잡이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질 경우에, 또 먼저 적재된 페이지가 인쇄되는 시트가 다음에 적재되는 페이지가 인쇄되는 시트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경우에, 시트의 화상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된 시트의 폭과 이제부터 인쇄하는 시트의 폭의 차에 의거하여 적재 트레이를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된 시트의 사이즈의 정보와 이제부터 인쇄하는 시트의 사이즈의 정보에 의거하여 적재 트레이를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된 인쇄된 시트의 사이즈가 A4이고, 이제부터 인쇄할 시트의 사이즈가 A4일 경우에, 적재 트레이를 변경하지 않고, A4의 시트가 이미 적재된 적재 트레이에 인쇄할 시트를 적재하도록 제어를 행하면 된다. 한편,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된 인쇄된 시트의 사이즈가 A4R이고, 이제부터 인쇄할 시트의 사이즈가 A4일 경우에, 적재 트레이를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면 된다. 또한, 적재 트레이에 이미 적재된 인쇄된 시트의 사이즈가 A4이고, 이제부터 인쇄할 시트의 사이즈가 A5일 경우에, 적재 트레이를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국면들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기능들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혹은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의 스텝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1)

  1. 시트 처리장치로서,
    시트를 적재하는 제1의 적재 트레이 및 적어도 제2의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상기 적재된 시트의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하는 정합부재를 포함하는 정합 수단과,
    제1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된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제2의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를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트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시트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고,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에 상기 제1의 시트를 적재하며, 상기 제1의 시트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에 설치된 정합부재를 이용해서 정합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시트 처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1의 시트의 폭이 상기 제2의 시트의 폭보다도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이 상기 제2의 시트의 폭보다도 작다고 판정되면,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시트 처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는, 시트가 적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동일한 폭의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 적재 트레이인, 시트 처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에 관한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선택 수단을 통해서 유저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선택 수단을 통해서 유저에 의해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변경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시트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처리장치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에 관해서 상기 외부장치에 문의하고, 회답 지시(instruction in return)를 받아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는, 시트 처리장치.
  8.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쇄 잡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접수 수단이 접수한 인쇄 잡에 의거해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잡으로 지정된 적재 트레이에 대해서 판정 처리를 행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접수 수단이 접수한 인쇄 잡에 의거해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시트 처리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적재 트레이에 대해서 판정 처리를 행하는, 시트 처리장치.
  9. 시트를 적재하는 제1의 적재 트레이 및 제2의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상기 적재된 시트의 측면과 접촉시켜 정합하는 정합부재를 포함하는 정합 수단을 구비하는 시트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의 시트의 배출처로서 결정된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제2의 시트가 이미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의 시트의 폭과 상기 제2의 시트의 폭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시트를 상기 제1의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의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상기 시트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시트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시트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9 또는 10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제어방법을 상기 시트 처리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30132679A 2012-11-05 2013-11-04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63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3849A JP6077829B2 (ja) 2012-11-05 2012-11-05 シート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2-243849 2012-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359A true KR20140058359A (ko) 2014-05-14
KR101634563B1 KR101634563B1 (ko) 2016-06-29

Family

ID=4944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679A KR101634563B1 (ko) 2012-11-05 2013-11-04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15879B2 (ko)
EP (1) EP2727866B1 (ko)
JP (1) JP6077829B2 (ko)
KR (1) KR101634563B1 (ko)
CN (1) CN1038025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1394A2 (de) * 2015-06-29 2017-01-05 Koenig & Bauer Ag Auslageeinrichtungen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auslageeinrichtungen
JP7372722B2 (ja) 2019-09-30 2023-11-0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媒体排出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22074449A (ja) * 2020-11-04 2022-05-18 株式会社リコー 排紙装置、排紙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718A (ja) * 2008-12-18 2010-07-01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0222079A (ja) * 2009-03-19 2010-10-07 Canon Inc シート積載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6277A (ja) * 2010-08-25 2012-03-08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と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390A (en) 1998-02-11 1999-10-26 Lexmark International, Inc. Sheet aligning apparatus
JP3939957B2 (ja) * 2001-10-18 2007-07-04 東北リコー株式会社 排紙収納装置
JP2003274065A (ja) * 2002-03-18 2003-09-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95341B2 (ja) 2002-05-1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93325A (ja) * 2005-01-17 2006-07-27 Kyocera Mita Corp 用紙排出機構
JP2007099463A (ja) * 2005-10-05 2007-04-19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レイ装置
US7637499B2 (en) 2006-02-09 2009-12-2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926934B2 (en) 2006-02-20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heet containing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sing the same cassette
JP2007276956A (ja) * 2006-04-07 2007-10-25 Komori Corp シート状物異常排出検出装置
JP4593515B2 (ja) 2006-05-01 2010-12-0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67045B2 (ja) * 2006-09-06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4267044B2 (ja) * 2006-09-06 2009-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62753A (ja) * 2006-12-28 2008-07-17 Canon Inc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4851A (ja) 2010-03-24 2011-10-06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718A (ja) * 2008-12-18 2010-07-01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0222079A (ja) * 2009-03-19 2010-10-07 Canon Inc シート積載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6277A (ja) * 2010-08-25 2012-03-08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と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63B1 (ko) 2016-06-29
CN103802500B (zh) 2016-08-17
EP2727866A3 (en) 2014-08-06
US20140125006A1 (en) 2014-05-08
EP2727866B1 (en) 2019-07-03
EP2727866A2 (en) 2014-05-07
CN103802500A (zh) 2014-05-21
US10315879B2 (en) 2019-06-11
JP2014091620A (ja) 2014-05-19
JP6077829B2 (ja)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239B2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 print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er of prin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2949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method of printing sample pri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334771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373068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eiving print jobs including a command to process subsequent print job
JP6376744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251443B2 (en) Printing apparatus that selects paper tray with priority based on presence or absence of sensor
KR101634563B1 (ko) 시트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8948618B2 (en) Jam detection and removal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US9162494B2 (en) Prin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sheet feeding from a grouped plurality of sheet feeding units
US9195195B2 (en)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d executing a print job
US9001341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062943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3376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8876A (ja) シート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506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110825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voiding mixture of prints, image forming method
JP2019005937A (ja) 画像形成装置
US8744613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609394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6237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7147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23101473A (ja) 印刷動作管理方法及び印刷ジョブ管理方法
JP2015073186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707881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