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376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376A
KR20140056376A KR1020147008481A KR20147008481A KR20140056376A KR 20140056376 A KR20140056376 A KR 20140056376A KR 1020147008481 A KR1020147008481 A KR 1020147008481A KR 20147008481 A KR20147008481 A KR 20147008481A KR 20140056376 A KR20140056376 A KR 2014005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evice
oil cooler
radiator
core
flow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5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제1 냉각 장치는, 엔진룸 내에서 엔진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2 냉각 장치는, 제1 냉각 장치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3 냉각 장치는, 제2 냉각 장치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공기 배관은, 엔진과 제3 냉각 장치를 접속한다. 공기 배관은,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위쪽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폐색 부재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공간의 주위를 폐쇄한다. 폐색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INDUSTRIAL VEHICLE}
일반적으로, 작업 차량의 냉각 장치는, 엔진룸 내에서 공기류에 노출되기 때문에, 더스트가 부착되기 쉽다. 그러므로, 냉각 장치의 청소를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작업 차량에서는, 오일 쿨러와, 라디에이터와, 팬 슈라우드(fan shroud)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와 라디에이터와 팬 슈라우드는,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의 청소 시에는, 작업자는,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를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를 제외하고,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를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린다. 그리고,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를 차체로부터 분리해 낸 후에,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의 청소를 행한다.
일본 공개특허 평11―123940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 장치의 청소를 행하기 위해, 냉각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해 내고 있었던 것은, 청소 시의 작업이 번거롭다. 특히, 냉각 장치를 매달아 올려 분리해 내는 경우, 냉각 장치의 위쪽에 배관이 배치되어 있으면, 배관을 분리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된다. 또한, 냉각 장치의 위쪽에 배치되는 배관이, 엔진에 접속되는 공기 배관인 경우에는, 공기 배관을 분리해 냄으로써, 공기 배관 내에 이물질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공기 배관 내의 이물질은,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장치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청소 작업에 의한 엔진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작업 차량은, 차량 본체와, 엔진과,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 제3 냉각 장치와, 공기 배관과, 폐색(閉塞) 부재와,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차량 본체는, 엔진룸을 가진다. 엔진은, 엔진룸 내에 배치된다. 제1 냉각 장치는, 엔진룸 내에서 엔진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2 냉각 장치는, 제1 냉각 장치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3 냉각 장치는, 제2 냉각 장치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공기 배관은, 엔진과 제3 냉각 장치를 접속한다. 공기 배관은,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위쪽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폐색 부재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공간의 주위를 폐쇄한다. 폐색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에는, 개구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냉각 장치의 두께 또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2 냉각 장치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냉각 장치의 두께와 제2 냉각 장치의 두께와의 합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커버 부재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4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커버 부재의 일부는, 공기 배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내지 제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차량으로서, 유압 펌프와, 유압 액추에이터와 오일 쿨러를 구비한다. 유압 펌프는,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액추에이터는,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오일 쿨러는, 작동유를 냉각시킨다. 제1 냉각 장치는, 오일 쿨러의 제1 코어이다. 제2 냉각 장치는, 오일 쿨러의 제2 코어이다. 제1 코어와 제2 코어와의 사이의 공간은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6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엔진의 냉각액을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라디에이터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일 쿨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7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오일 쿨러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는, 라디에이터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8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고정 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은, 오일 쿨러와 라디에이터를 서로 고정시킨다. 고정 프레임은,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가진다. 제1 고정부에는, 라디에이터가 고정된다. 제2 고정부에는, 오일 쿨러가 고정된다.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부보다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6 태양의 작업 차량으로서, 제3 냉각 장치는, 애프터 쿨러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커버 부재를 이동시켜 개구를 여는 것에 의해, 청소 장치의 노즐을 개구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를 차량 본체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아도,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장치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관을 분리해 내지 않고 청소가 가능하므로, 청소 작업에 의한 엔진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사이의 공간에, 청소 장치의 노즐을 위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커버 부재의 일부가, 공기 배관의 바로 아래에서 개구를 폐쇄한다. 따라서, 공기 배관의 바로 아래에 폐색 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색 부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오일 쿨러의 제1 코어와 제2 코어와의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가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선한 공기가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와의 양쪽으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와의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오일 쿨러의 제1 코어와 제2 코어와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고정 프레임에 의해, 형상이 상이한 오일 쿨러와 라디에이터를 일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관한 작업 차량에서는, 애프터 쿨러가 제1 냉각 장치 및 제2 냉각 장치보다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애프터 쿨러의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애프터 쿨러와 엔진을 접속하는 공기 배관을 분리해 내지 않고, 제1 냉각 장치와 제2 냉각 장치와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엔진룸 내에 배치되는 기기(機器)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엔진룸 내에 배치되는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냉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V―V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은 오일 쿨러로부터 커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냉각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작업 차량(100)의 사시도이다. 작업 차량(100)은,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이다. 작업 차량(100)은, 차량 본체(1)와 작업기(2)를 가진다. 차량 본체(1)는, 선회체(旋回體)(3)와 주행 장치(5)를 가진다. 선회체(3)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모터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운전실(4)과, 엔진룸(9)과,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6)를 가진다. 운전실(4)은 선회체(3)의 앞부분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룸(9)은, 운전실(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16)는, 엔진룸(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주행 장치(5)는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5a, 5b)을 가지고 있고, 크롤러 트랙(5a, 5b)가 회전함으로써 작업 차량(100)이 주행한다.
작업기(2)는, 차량 본체(1)의 앞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붐(boom)(6)과, 암(arm)(7)과, 버킷(bucket)(8)을 가진다. 붐(6)의 기단부(基端部)는, 붐 핀(13)을 통하여 차량 본체(1)의 앞부분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암(7)의 기단부는, 암 핀(14)을 통하여 붐(6)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암(7)의 선단부에는, 버킷 핀(15)을 통하여 버킷(8)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2)는, 붐 실린더(10)와, 암 실린더(11)와, 버킷 실린더(12)를 가진다. 붐 실린더(10)와 암 실린더(11)와 버킷 실린더(12)는, 유압 펌프(17)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는, 엔진룸(9) 내에 배치되는 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지면(紙面) 좌측은,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지면 우측은, 작업 차량(100)의 후방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은, 작업 차량(100)의 전방 및 후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엔진룸(9) 내에 배치되는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9) 내에는, 엔진(18)과, 유압 펌프(17)와, 냉각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18)은, 흡기 매니폴드(181)와, 배기 매니폴드(182)와, 과급기(183)를 가진다. 유압 펌프(17)는, 엔진(18)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동유를 토출한다. 유압 펌프(17)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11), 버킷 실린더(12)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냉각 유닛(20)은, 엔진(18)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20)은, 냉각팬(21)을 가지고 있다. 냉각팬(21)은, 엔진룸(9) 내에 있어서 냉각 유닛(20)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엔진룸(9) 내의 공기의 흐름은, 차폭 방향을 따라 흐른다. 공기의 흐름은, 냉각 유닛(20)으로부터 엔진(18)을 향해 흐른다. 따라서, 냉각 유닛(20)은, 엔진(18)에 대하여, 엔진룸(9)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류측」이란, 엔진룸(9) 내의 공기의 흐름에서의 상류측을 의미한다. 또한, 「하류측」이란, 엔진룸(9) 내의 공기의 흐름에서의 하류측을 의미한다. 냉각 유닛(20)은,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와, 애프터 쿨러(24)와, 고정 프레임(25)과, 슈라우드(26)를 가진다.
오일 쿨러(22)는, 작동유를 냉각시킨다. 오일 쿨러(22)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 쿨러(22)는, 전술한 운전실(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22)는, 오일 출구부(31)와, 도시하지 않은 오일 입구부를 가진다. 오일 출구부(31)는, 오일 쿨러(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오일 입구부는, 오일 쿨러(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는, 엔진(18)의 냉각액을 냉각시킨다. 라디에이터(23)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일 쿨러(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라디에이터(23)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일 쿨러(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라디에이터(23)는, 오일 쿨러(2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애프터 쿨러(24)는, 오일 쿨러(22) 및 라디에이터(23)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애프터 쿨러(24)는, 제1 브래킷(32) 및 제2 브래킷(33)에 의해 고정 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다. 애프터 쿨러(24)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일 쿨러(22) 및 라디에이터(2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프터 쿨러(24)의 높이 치수는, 오일 쿨러(22)의 높이 치수, 및 라디에이터(23)의 높이 치수보다 작다. 애프터 쿨러(24)의 바닥부는, 오일 쿨러(22) 및 라디에이터(23)의 바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애프터 쿨러(24)는, 오일 쿨러(22) 및 라디에이터(23)의 상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애프터 쿨러(24)는, 입구부(241)와 출구부(242)와 본체부(243)를 가진다. 입구부(241)는, 본체부(243)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출구부(242)는, 본체부(243)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25)은,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를 서로 고정시킨다. 고정 프레임(2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라우드(26)는, 오일 쿨러(22) 및 라디에이터(2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슈라우드(26) 내에는, 전술한 냉각팬(21)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9) 내에는, 제1 라디에이터 호스(34)와, 제2 라디에이터 호스(35)와, 애프터 쿨러 입구 배관(36)과,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과, 오일 쿨러 출구 배관(3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9) 내에는, 오일 쿨러 입구 배관(39)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라디에이터 호스(34)와 제2 라디에이터 호스(35)와의 각각에는, 엔진(18)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액이 흐른다. 제1 라디에이터 호스(34)와 제2 라디에이터 호스(35)와의 각각은, 엔진(18)과 라디에이터(23)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라디에이터 호스(34)와 제2 라디에이터 호스(35)와의 각각은, 엔진(18)으로부터 라디에이터(23)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3)의 하류측의 면에 접속되어 있다.
애프터 쿨러 입구 배관(36)은, 엔진(18)과 애프터 쿨러(24)를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애프터 쿨러 입구 배관(36)은, 과급기(183)와 애프터 쿨러(24)의 입구부(241)를 접속하고 있다. 애프터 쿨러 입구 배관(36)에는, 과급기(183)로부터 애프터 쿨러(24)에 보내지는 공기가 흐른다. 애프터 쿨러 입구 배관(36)은, 냉각 유닛(20)의 전방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은, 엔진(18)과 애프터 쿨러(24)를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은, 애프터 쿨러(24)의 출구부(242)와 흡기 매니폴드(181)를 접속하고 있다.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에는, 애프터 쿨러(24)로부터 흡기 매니폴드(181)에 보내지는 공기가 흐른다.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은, 오일 쿨러(22)의 위쪽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 입구 배관(39)은, 오일 입구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오일 쿨러 입구 배관(39)에는, 오일 쿨러(22)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에 보내지는 작동유가 흐른다. 오일 쿨러 출구 배관(38)은, 오일 출구부(31)에 접속된다. 오일 쿨러 출구 배관(38)에는, 유압 실린더(10, 11, 12)로부터 오일 쿨러(22)에 보내지는 작동유가 흐른다.
다음에 냉각 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냉각 유닛(2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쿨러(22)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 Ta는, 라디에이터(23)의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 Tb보다도 크다. 그러므로, 오일 쿨러(22)의 하류측의 면(221)은, 라디에이터(23)의 하류측의 면(231)보다도 하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쿨러(22)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 폐색 부재(43)와, 커버 부재(44)를 가진다.
제1 코어(41)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평판 상의 형상을 가진다. 제2 코어(42)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평판 상의 형상을 가진다. 제2 코어(42)는, 제1 코어(41)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도 5는, 도 4에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코어(41)의 두께 T1보다도 크다. 또한,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2 코어(42)의 두께 T2보다도 크다. 또한,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제1 코어(41)의 두께 T1과 제2 코어(42)의 두께 T2와의 합 이상이다. 즉, D≥T1+T2이다.
폐색 부재(43)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주위를 폐쇄한다. 즉, 폐색 부재(43)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 부재(43)는,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와 상면부(47)를 가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색 부재(43)는, 바닥면부(48)를 가진다. 제1 측면부(45)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공기의 흐름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을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부(45)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전방을 폐쇄한다. 제2 측면부(46)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공기의 흐름에 수직인 방향의 다른 쪽을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부(46)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후방을 폐쇄한다. 바닥면부(48)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아래쪽을 폐쇄한다. 상면부(47)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위쪽을 폐쇄한다. 단, 상면부(47)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49)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오일 쿨러(22)로부터 커버 부재(44)가 분리된 상태의 냉각 유닛(2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커버 부재(44)는, 개구(49)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 부재(44)는, 착탈(着脫) 가능하게 오일 쿨러(22)에 장착된다. 커버 부재(44)는, 오일 쿨러(22)에 장착된 상태로,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44)의 일부는,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도 7은, 커버 부재(44)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4)는, 실링 부재(51)와 지지 부재(52)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부재(51)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를 밀폐한다. 실링 부재(51)는, 고무 등의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52)는, 실링 부재(5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2)는, 위쪽으로 돌출된 볼록부(53)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53)의 상면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54, 55)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쿨러(22)는, 제1 프레임부(61)와 제2 프레임부(62)를 가진다. 제1 프레임부(61)와 제2 프레임부(62)는, 각각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61)는, 제1 코어(41)의 위쪽에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61)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6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62)는, 제2 코어(42)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부(62)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6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5)은, 상측 프레임부(63)와, 제1 측프레임부(64)와, 제2 측프레임부(65)를 가진다. 상측 프레임부(63)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부(63)는,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와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부(63)는,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부(63)는, 오목부(631)를 포함한다.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은, 이 오목부(631)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부(63)는,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와의 상면에 있어서, 상류측의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는, 라디에이터 브래킷(66)을 통하여 상측 프레임부(63)에 고정된다. 라디에이터 브래킷(66)은, 라디에이터(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3)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라디에이터 브래킷(66)은, 상측 프레임부(63)에 고정된다. 이로써, 라디에이터(23)의 상부가 고정 프레임(25)에 고정된다.
제1 측프레임부(64)와 제2 측프레임부(6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측프레임부(64)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일 쿨러(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프레임부(64)는, 오일 쿨러(22)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 측프레임부(65)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라디에이터(2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프레임부(65)는, 라디에이터(23)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4)는, 브래킷(68)을 통하여 고정 프레임(25)에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68)은, L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브래킷(68)은, 평면부(681)와 벽부(682)를 가진다. 평면부(681)는, 제1 프레임부(61)와 제2 프레임부(62)와의 사이에 걸쳐 배치된다. 즉, 평면부(681)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에 걸쳐 배치된다. 평면부(681)에는, 커버 부재(44)의 구멍(54, 5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683, 68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4)의 구멍(54)과 브래킷(68)의 구멍(683)에 볼트(71)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44)가 브래킷(68)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 부재(44)의 구멍(55)과 브래킷(68)의 구멍(684)에 볼트(72)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44)가 브래킷(68)에 고정된다. 평면부(681)에는, 제1 프레임부(61)의 구멍(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68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부(62)의 구멍(62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686)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611)과 구멍(685)에 볼트(73)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68)이, 오일 쿨러(22)의 제1 프레임부(61)에 고정된다. 구멍(621)과 구멍(686)에 볼트(74)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68)이, 오일 쿨러(22)의 제2 프레임부(62)에 고정된다. 벽부(682)에는, 구멍(687)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상측 프레임부(63)에는, 벽부(682)의 구멍(687)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63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687)과 구멍(632)에 볼트(75)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68)이, 상측 프레임부(63)에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5)은, 바닥 프레임부(69)를 가진다. 바닥 프레임부(69)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바닥 프레임부(69)는,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부(69)는,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고정 프레임(25)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부(69)는, 제1 고정부(81)와 제2 고정부(82)를 가진다. 제1 고정부(81)에는, 라디에이터(23)가 고정된다. 제1 고정부(81)에는, 구멍(811, 812)이 형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는, 라디에이터(23)의 바닥부에 설치된 핀이 구멍(811, 812)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제1 고정부(81)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82)에는, 오일 쿨러(22)가 고정된다. 제2 고정부(82)에는, 구멍(821, 822)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 쿨러(22)의 바닥부에 설치된 핀이 구멍(821, 822)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오일 쿨러(22)가 고정된다. 제2 고정부(82)는, 제1 고정부(81)보다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즉, 제1 고정부(81)와 제2 고정부(82)는, 라디에이터(23)의 두께와 오일 쿨러(22)의 두께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부(82)는, 제1 고정부(81)보다 하류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볼트(73, 74, 75)를 벗김으로써, 커버 부재(44)를 오일 쿨러(22)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49)가 개방된다. 청소 시에는, 청소 장치의 노즐을 개구(49)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오일 쿨러(22)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유닛(20)을 차량 본체(1)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아도, 오일 쿨러(22)의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이로써, 오일 쿨러(22)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을 분리해 내지 않고 오일 쿨러(22)의 청소가 가능하므로, 청소 작업에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엔진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제1 코어(41)의 두께 T1보다 크고, 또한 제2 코어(42)의 두께 T2보다도 크다. 또한,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제1 코어(41)의 두께 T1와 제2 코어(42)의 두께 T2와의 합 이상이다. 이와 같이,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오일 쿨러(22)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개구(49)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 위치하므로,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에, 청소 장치의 노즐을 위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냉각 유닛(20)의 전방의 공간이 좁아도, 냉각 유닛(20)의 위쪽으로부터 용이하게 청소를 행할 수 있다.
커버 부재(44)의 일부가,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의 바로 아래에서 개구(49)를 폐쇄한다. 따라서, 애프터 쿨러 출구 배관(37)의 바로 아래에 폐색 부재(43)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색 부재(43)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오일 쿨러(22)의 두께 Ta가 라디에이터(23)의 두께 Tb와 다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 상이한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를, 상기와 같은 고정 프레임(25)을 사용함으로써 일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100)으로서 유압 셔블이 예시되어 있지만, 휠 로더(wheel loader)나 불도저(bulldozer) 등 다른 종류의 작업 차량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액추에이터로서,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11), 버킷 실린더(12) 등의 작업기의 유압 실린더가 예시되어 있지만, 유압 액추에이터는, 주행용의 유압 모터나 선회용(旋回用)의 유압 모터 등의 다른 장치라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44)는, 오일 쿨러(22)의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개구(49)를 개폐하지만, 다른 냉각 장치의 사이의 개구를 개폐해도 된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가 공기의 흐름 방향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경우에는,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와의 사이의 개구를 커버 부재가 개폐해도 된다. 이로써,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와의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장치로서, 오일 쿨러(22)와 라디에이터(23)와 애프터 쿨러(24)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들과 다른 종류의 냉각 장치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엔진룸(9)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은, 차폭 방향과 일치하고 있지만, 차체 전후 방향이라도 된다.
커버 부재(44)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공간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위쪽 이외의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라디에이터(23)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일 쿨러(22)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23)가,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오일 쿨러(2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오일 쿨러(22)의 두께는, 라디에이터(23)의 두께 이하라도 된다. 단,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간격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오일 쿨러(22)의 두께는, 라디에이터(23)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프레임(25)의 형상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82)는, 제1 고정부(81)보다 상류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라도 된다.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제1 코어(41)의 두께 T1와 제2 코어(42)의 두께 T2와의 합보다 작게 해도 된다. 또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제1 코어(41)의 두께 T1, 또는 제2 코어(42)의 두께 T2 이하라도 된다. 단, 노즐을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제1 코어(41)와 제2 코어(42)와의 사이의 거리 D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장치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청소 작업에 의한 엔진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1 차량 본체
9 엔진룸
10, 11 유압 액추에이터
17 유압 펌프
18 엔진
22 오일 쿨러
23 라디에이터
24 애프터 쿨러
25 고정 프레임
39 오일 쿨러 입구 배관
41 제1 코어
42 제2 코어
43 폐색 부재
44 커버 부재
49 개구
81 제1 고정부
82 제2 고정부
100 작업 차량

Claims (10)

  1. 엔진룸을 가지는 차량 본체;
    상기 엔진룸 내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룸 내에서 상기 엔진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 냉각 장치;
    상기 제1 냉각 장치에 대하여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냉각 장치;
    상기 제2 냉각 장치에 대하여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3 냉각 장치;
    상기 엔진과 상기 제3 냉각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제1 냉각 장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위쪽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공기 배관;
    상기 제1 냉각 장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 사이의 공간의 주위를 폐쇄하는 폐색(閉塞) 부재; 및
    상기 폐색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부재;
    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장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냉각 장치의 두께, 또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두께보다 큰, 작업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장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냉각 장치의 두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두께와의 합 이상인, 작업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냉각 장치와 상기 제2 냉각 장치 사이의 상기 공간의 위쪽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일부는, 상기 공기 배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액추에이터; 및
    상기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 장치는 상기 오일 쿨러의 제1 코어이며,
    상기 제2 냉각 장치는 상기 오일 쿨러의 제2 코어인, 작업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냉각액을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오일 쿨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작업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쿨러의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의 두께보다 큰, 작업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쿨러와 상기 라디에이터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라디에이터가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오일 쿨러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보다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 고정부를 가지는, 작업 차량.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냉각 장치는 애프터 쿨러인, 작업 차량.
KR1020147008481A 2012-05-24 2012-09-04 작업 차량 KR20140056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8722 2012-05-24
JP2012118722A JP5349647B1 (ja) 2012-05-24 2012-05-24 作業車両
PCT/JP2012/072494 WO2013175646A1 (ja) 2012-05-24 2012-09-04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376A true KR20140056376A (ko) 2014-05-09

Family

ID=4962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481A KR20140056376A (ko) 2012-05-24 2012-09-04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7018B2 (ko)
JP (1) JP5349647B1 (ko)
KR (1) KR20140056376A (ko)
CN (1) CN103561984B (ko)
DE (1) DE112012000307B4 (ko)
WO (1) WO2013175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3390B2 (ja) * 2014-05-16 2018-07-25 株式会社ティラド 複数熱交換器の接続構造
JP6604365B2 (ja) * 2017-08-29 2019-11-1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タクーラの配管構造
KR20220146407A (ko) * 2020-02-27 2022-11-01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냉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5065B2 (ja) * 1997-03-17 2005-11-09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作業車のオイルクーラ取付構造
JP3676580B2 (ja) 1997-08-08 2005-07-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装置
EP0896138B1 (en) * 1997-08-08 2003-04-23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ol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US6216778B1 (en) * 1998-12-30 2001-04-17 Case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n off-highway vehicle
JP2000310119A (ja) 1999-04-28 2000-11-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冷却装置
JP3885415B2 (ja) * 1999-06-10 2007-02-21 日立建機株式会社 熱交換器設置部のサーキュレーション防止装置
JP2001227343A (ja) * 2000-02-18 2001-08-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1336423A (ja) * 2000-05-26 2001-12-07 Suzuki Motor Corp 車両の前部構造
JP2002067707A (ja) * 2000-08-30 2002-03-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ラジエータユニット
JP2006316673A (ja) * 2005-05-11 2006-11-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多重構造冷却装置の異物排出構造
JP2006329014A (ja) * 2005-05-24 2006-12-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ダクト付き多重構造冷却装置
JP2008067635A (ja) * 2006-09-13 2008-03-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DE102007006928A1 (de) * 2007-02-05 2008-08-14 Same Deutz- Fahr Deutschland Gmbh Kühlanlage
JP2008261270A (ja) * 2007-04-11 2008-10-30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冷却風排気構造
EP2248694A1 (en) * 2008-02-15 2010-11-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KR100974278B1 (ko) * 2008-03-18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장비의 엔진실
JP2010030472A (ja) * 2008-07-29 2010-02-1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10058591A (ja) * 2008-09-02 2010-03-18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の整流板,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の整流板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US8403089B2 (en) * 2008-12-23 2013-03-26 Deere & Company Use of fan shroud to ventilate engine compartment
DE102009039364A1 (de) * 2009-08-29 2011-03-03 Daimler Ag Fahrzeug mit wenigstens einem Kühlkreislauf zum Kühlen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JP5234693B2 (ja) * 2009-10-16 2013-07-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578834B2 (en) * 2009-12-18 2013-11-12 Hardwire, Llc Vehicle with structural vent channels for blast energy and debris dissipation
JP5600020B2 (ja) * 2010-03-16 2014-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8347994B2 (en) * 2011-04-13 2013-01-08 Deere & Company Tractor hood airflow system
US8453776B2 (en) * 2011-08-29 2013-06-04 Deere & Company Trapezoidal cooling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0307B4 (de) 2021-02-18
WO2013175646A1 (ja) 2013-11-28
CN103561984B (zh) 2014-10-01
CN103561984A (zh) 2014-02-05
US8827018B2 (en) 2014-09-09
JP5349647B1 (ja) 2013-11-20
US20140216833A1 (en) 2014-08-07
DE112012000307T5 (de) 2014-05-15
JP2013244789A (ja)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308B1 (ko) 유압 셔블
JP5172381B2 (ja) 建設機械
US8973692B1 (en) Work vehicle having reducing agent tank, battery and partition plate positioned between tank and battery
KR101446646B1 (ko) 건설기계
US8505499B2 (en) Cooling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US8857384B2 (en) Construction machine
WO2009101935A1 (ja) 建設機械
US10487476B2 (en) Construction machine
JP2015134999A (ja) 建設機械
KR20140056376A (ko) 작업 차량
WO2014088033A1 (ja) 建設機械
JP2006242077A (ja)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
JP6907736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KR101896579B1 (ko) 건설 기계
JP6973114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3011679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5484917B2 (ja) 建設機械
JP6816642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16188549A (ja) 作業機
JP6911524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5699066B2 (ja) 建設機械
JP6810082B2 (ja) 建設機械
JP7236879B2 (ja) 建設機械
JP4484573B2 (ja) 旋回作業機
US20210040712A1 (en) Constru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