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237A -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237A
KR20140053237A KR1020147005032A KR20147005032A KR20140053237A KR 20140053237 A KR20140053237 A KR 20140053237A KR 1020147005032 A KR1020147005032 A KR 1020147005032A KR 20147005032 A KR20147005032 A KR 20147005032A KR 20140053237 A KR20140053237 A KR 2014005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urbine
rails
rail
rail system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126B1 (ko
Inventor
디르크 뮐러
안드레아스 그리세
지몬 푸어슈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5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7Assembling combustion chamber liners or sub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18Repairing or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2Turbomachin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means to relatively position plural wor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Gas Burn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터빈의 부품, 바람직하게는 버너(50) 또는 트랜지션 파이프를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설치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22)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레일 시스템(23) 및 이 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캐리지(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캐리지에는 이동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품 캐리어 유닛(40)을 구비한 삽입 유닛(36)이 배치된다. 가스 터빈의 부품들을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매우 공간 절약적이면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레일 시스템(23)이 2트랙으로서 형성되고, 이동축은 레일들(25, 26) 사이에 펼쳐진 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두 레일(25, 26)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Description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DEVICE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COMPONENT ON OR IN A STATIONARY GAS TURBIN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COMPONENT OF A STATIONARY GAS TURBINE}
본 발명은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정 가스 터빈은 종래 기술에 오래전부터 광범위하게 공지되어 있다. 종래 고정 가스 터빈의 일 유형은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연소기들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들 연소기는 각각 관형 연소기 또는 캔형 연소기라 칭한다. 이러한 각 관형 연소기는 항상 버너 파이프를 가지는, 가스 터빈 하우징에 설치된 버너를 포함하며, 버너 파이프에는 트랜지션(transition) 파이프가 연결된다. 트랜지션 파이프는 개개의 원통형 버너 파이프 안에서 발생하는 고온 가스를 환형 덕트 안으로 유도한다. 이를 위해 트랜지션 파이프는 버너 측에서 원형 횡단면을 가지며, 이 횡단면은 유출구 측에서 섹터 형상 횡단면으로 바뀐다. 모든 트랜지션 파이프의 섹터 형상 횡단면들은 일반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접하므로, 개개의 관형 연소기들 안에서 발생된 고온 가스가 적은 손실로 가스 터빈의 환형 덕트 안으로 유도될 수 있다. 터빈에 배치되어 있는 터빈 블레이드들이 단계적으로 환형 덕트 안에 배치되어 있다.
보수 시에, 버너들, 버너 파이프들 또는 트랜지션 파이프 중 하나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현재는 설치자가 관련 가스 터빈 부품의 고정을 풀어야 했고 그 후 하우징에 배치된 버너 개구를 통해 이를 손으로 또는 호이스트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었다.
그 후 그리고 가스 터빈의 조립 동안, 삽입하려는 정상 기능의 부품들이 역시 호이스트를 이용해 가스 터빈 쪽으로 옮겨지고 이후 그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하측 하우징 절반부에 또는 그 안에서 풀거나 또는 고정하려는 부품들은 호이스트에 의해 자신의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지만 만족스럽지 않은데, 가스 터빈 하우징이 호이스트 또는 이의 케이블 또는 체인의 경로를 부분적으로 막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국 특허 5,921,075호에는 버너 교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인접한, 가스 터빈 하우징의 2개 부품의 원주 방향 플랜지 연결부에 하나의 레일이 고정되어, 복합 구조의 캐리지가 조립하려는 버너의 이송을 위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 캐리지는 관절 장치 및 병진 운동할 수 있는 버너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스 터빈의 개별 버너들이 자신의 목적지로 이송될 수 있다. 종래 버너 교체 시스템을 이용하면 트랜지션 파이프 역시 가스 터빈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고 또는 가스 터빈의 내부로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 장치에서의 단점은 이 장치가 매우 크고 가스 터빈 하우징 주변에서 비교적 큰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때, 자유로운 작업 공간은, 이의 최외측 반경이 가스 터빈 하우징의 최외측 반경보다 훨씬 더 클 정도로 커야한다. 그러나 이런 작업 공간이 항상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종래 장치의 다른 단점은 캐리지에서 로드 어셈블리가 비교적 길으며 또 자유단을 가지기 때문에 그리고 교체하려는 부품들, 예컨대 버너 및 트랜지션 파이프의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들이, 이들을 가스 터빈 안으로 삽입할 때 통과하여야 하는 부품 개구와 관련하여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기에는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US 5,921,075호에 공지된 장치의 추가 개선이 US 6,141,862호로부터 공개되었다. 기존에는 노출되어 돌출되어 있단 캐리지 단부를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 압축기의 중앙 영역에 제2의 무한 환형 레일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 변형예는 공간 제약적인 구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이는 버너 제거 장치의 조립 전에 환형 연료 분배기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EP 2 236 939 A1호에는 가스 터빈의 연소기 부품을 제거하기 위한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공구는 가스 터빈 안으로 연소기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신축 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구는 각 삽입 개구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 작업은 비교적 복잡하다.
그 외에도, EP 2070663A1호에는 가스 터빈의 연소기 부품들의 설치 또는 제거를 위한 크레인 해법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제거 또는 설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장치를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관련 부품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 과제는 제1항의 장치 특징들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방법 과제는 제1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장치 및 방법의 유리한 개선점들이 각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다르게 표시되지 않았으면, 상이한 종속항들의 특징들이 임의적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캐리지를 구비한 레일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캐리지에는 이동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품용 캐리어 유닛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이 배치되며, 레일 시스템은 2트랙으로서 형성되며 - 즉, 2개의 레일을 포함하며 -, 레일 시스템의 양 레일들은 삽입 개구를 구비한 가스 터빈 벽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계되며, 이동축이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레일들 사이에 펼쳐진 면에 대해 수직으로 양 레일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프레임 캐리지, 삽입 유닛 및 캐리어 유닛은 - 이들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부품과 함께 또는 그러한 부품을 배제하고 - 하기에서 이동 유닛이라고도 칭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레일 시스템을 가스 터빈의 하우징 플랜지에 고정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레일 시스템을 삽입 개구 근처에 고정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훨씬 더 유리하다. 그러나 하우징의 이 부분에서는 가용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2트랙 레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삽입 개구들도 배치되어 있는 동일한 벽에 고정되는 2트랙 레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경우, 레일들 및 이들 레일 위를 슬라이딩하거나 구르는 부품들은 레일을 하나로만 설계했을 때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특히 작은 장치를 얻기 위해, 양 레일이 가스 터빈의 하우징에서 관련 부품을 위한 삽입 개구 양측에 - 즉, 가스 터빈의 기기 축과 관련하여 더 안쪽 및 더 바깥쪽에 - 고정될 수 있다. 그런 경우 설치하려는 그리고 제거하려는 부품이 양 레일들 사이를 지나 설치될 수 있도록, 캐리어 유닛이 이동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축은 횡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레일 사이에 펼쳐진 면에 수직으로 놓인다. 그 결과, 레일들은 서로 넓게 떨어져 있어서 장치가 가스 터빈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삽입 개구가 완전히 자유롭다. 그럼에도 양 레일들은 삽입 개구에 아주 근접하여 위치한다. 관련 부품은 용이하게 이동축을 따라 양 레일들 사이를 지나 가스 터빈 안으로 또는 가스 터빈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2트랙 레일 시스템을 이용하면 동시에 이 장치에서 훨씬 더 큰 강성 및 강도가 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데, 이는 부품 및 장치 자체의 중량이 캐리어 유닛, 지지 레일 및 프레임 캐리지에 의해 복수의 접촉점을 통해 레일 시스템 안으로 그리고 거기로부터 가스 터빈의 하우징 안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장점은 종래 기술에서처럼 가스 터빈의 중앙축과 관련하여 설치 장치의 작업 공간을 위한 큰 직경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인데, 이는 레일 시스템의 외측 레일이 가스 터빈의 하우징의 최외측 직경 안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들이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레일 시스템은 무한 원형 궤도로서 또는 원호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레일 시스템이 무한 원형 궤도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이 무한 원형 궤도를 이용해 프레임 캐리지 및 이것에 배치된 삽입 유닛 및 캐리어 유닛이 가스 터빈에 배치된 각 삽입 개구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 시스템이 원호로서 형성된 경우 이는 반복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다른 원주 위치에 다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구성 모두, 고정 가스 터빈에서 또는 그 안에서 부품의 설치 또는 제거의 준비를 위한 셋업 시간을 단축한다.
다른 유리한 일 개선점에 따르면 레일 시스템은 각 레일을 위해 가스 터빈에 레일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레일 홀더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레일 홀더는 모듈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이 버너의 삽입 개구들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레일 시스템은 삽입 개구들 옆에도, 예컨대 볼트를 통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유리한 다른 일 개선점에 따르면 프레임 캐리지는 레일 시스템의 레일마다 각 레일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롤러 캐리지를 포함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 이상의 롤러를 포함한다. 가스 터빈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캐리지의 탈선을 막는 보조 수단들이 없어도 총 4개 롤러 캐리지 그리고 총 8개 롤러를 이용해 롤러 캐리지를 2트랙 레일 시스템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롤러 캐리지가 4개의 롤러를 가지므로 프레임 롤러는 총 16개의 롤러를 가지며 프레임 롤러는 자신의 4개 코너에서 관련 레일의 양측에서 지지된다. 또한, 이동 유닛 및 설치하려는 부품의 중량들이 프레임 캐리지의 4개 코너점에 의해 - 정확하게 말하면 8개의 롤러에 의해 - 종래 기술보다 훨씬 더 넓게 분포되어 레일 시스템 및 가스 터빈 하우징 안으로 퍼질 수 있다. 이는 장치를 위한 더 큰 부품들을 필요로 할 수 있는 하중 집중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들이 각각 다른 레일을 대향하는 레일의 측면들에서 구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롤러들은 자신의 구름면으로 각 레일의 내측을 누르므로, 원칙적으로 양 레일들은 롤러에 의해 약간 눌린다. 롤러들은 바람직하게는 편향 롤러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구름면이 양측에서 휠 플랜지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동시에 각 레일과 관련 롤러 사이에 형상 결합이 제공되므로, 레일 시스템 위 프레임 캐리지의 각 원주 위치를 위해 레일 시스템으로부터 프레임 캐리지의 탈선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다른 유리한 일 개선점에 따르면 삽입 유닛은 2개 이상의 선형 레일을 가지는 지지 레일을 포함하며, 이것을 따라 지지 유닛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스 터빈 안으로 삽입할 때 또는 가스 터빈으로부터 꺼낼 때 부품의 유도된 이동이 보장된다. 이는 부품 및 하우징의 원치 않는 임의의 접촉을 억제하며, 이는 양 부품들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 또 다른 특징들 및 이 특징들을 수반하는 장점들이 하기의 도면 설명에 제공된다.
도 1은 고정 가스 터빈을 위한 하우징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에 고정된 레일 시스템과 이 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를 구비한 가스 터빈의 하우징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일 시스템의 일 대안예이다.
도 4는 가스 터빈 부품들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해 가스 터빈 하우징에 고정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프레임 캐리지 상에 상이하게 고정된 2가지 롤러 캐리지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레일 시스템 대신 프레임 캐리지가 가스 터빈의 하우징과 직접 고정되는 한 대안적 구성에 관한 도이다.
동일한 부품들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에는 고정 가스 터빈의 하우징(10)의 일 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하우징 부분은 하측 절반부(12)와 상측 절반부(14)를 포함하며, 이들은 플랜지에 의해 분할 평면(16)에서 서로 접하며 이들의 플랜지가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절반부는 동축의 벽 영역(17)과 이것에 경사져 배치된 벽 영역(21)을 갖는다. 각 절반부(12, 14)의 벽 영역(21)에 개구들(18)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개구들은 전부 모두 기기 축(19)과 동심을 이루는 가상의 원 위에 있다. 개구들(18)은 버너 개구 또는 삽입 개구이다. 하측 절반부(12)에서 개구들(18) 중 하나의 개구 안에 버너(20)가 삽입되므로, 이 개구(18)는 폐쇄된다. 하우징(10)의 상측 절반부(14)를 들어올리기가 너무 힘들면, 이 개구(18)를 통해 가스 터빈의 다른 부품들 역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런 부품들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버너 파이프 혹은 트랜지션 파이프일 수도 있다.
버너(20), 버너 파이프 또는 트랜지션 파이프의 간편하고 안전한 제거를 가능케 하는 동시에 공간 절약적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가스 터빈 부품들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한 장치(22)(도 2)가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가스 터빈의 버너 설치만을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장치(22)는 버너의 제거에도 적합하다. 또한, 버너 대신에 트랜지션 파이프 역시 이 장치(22)를 이용해 설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 및 가스 터빈과 관련성이 없는 부품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개구들(18)은 가스 터빈 하우징(10)의 벽 영역(21)에 위치하며, 이 벽 영역은 기기 축(19)의 방사 방향과 관련하여 비교적 약간만 기울어져 있다.
장치(22)는 2개의 레일, 즉 외측 레일(25)과 내측 레일(26)을 갖는 레일 시스템(23)을 포함한다. "내측" 및 "외측"의 개념은 가스 터빈의 기기 축(19)을 기준으로 한다. 각 레일(25, 26)은 복수의 레일 홀더(28)에 의해 벽 영역(21)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 레일(26)은 보충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동축의 벽 영역(17)에도 고정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이 장치(22)는 레일(25, 2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유닛(35)을 포함한다. 유닛(35)은 프레임 캐리지(30), 이 프레임 캐리지(30)에 고정된 삽입 유닛(36) 및 이것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 유닛(40)을 가지고 있다. 설치를 위해 가스 터빈의 관형 연소기용 부품이 - 도 2에 따르면 버너(50) - 캐리어 유닛(40)에 나사 체결된다. 개구들(18) 중 하나의 개구에 이미 또 다른 버너(50)가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대한 대안으로 도 3에 도시된 대안적 장치(22)는, 레일 시스템(23)이 가스 터빈 하우징(10)의 둘레의 일부 원호에 걸쳐서만 연장해 있고, 도 2에서처럼 무한 원형 궤도로서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장치(22)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특히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처럼, 프레임 캐리지(30)의 각 코너(27)에 각각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캐리지(32)가 제공되어 있다. 롤러들(34)은 편향 롤러의 형태로, 즉 양측에서 휠 플랜지를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러들(34)은 레일(25, 26)로부터 측면으로 미끄러질 수 없다. 그러므로 프레임 캐리지(30) 및 캐리어 유닛(40)을 포함하는 삽입 유닛(36) 역시 레일(25, 26)을 따라 가스 터빈 하우징(10)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이중 화살표(52)로 표시되어 있다. 동시에, 캐리어 유닛(40)은 레일 시스템(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이중 화살표(54)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 캐리지(30)의 주행 경로와 캐리어 유닛(40)의 이동축은 서로 교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장치(22)를 이용하면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 예컨대 버너(50)를 비교적 간단하게, 그리고 딱 맞게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 터빈의 하우징(10)에 버너(50)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레일(25, 26)을 가지는 레일 시스템(23)이 가스 터빈의 하우징(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프레임 캐리지(30)에 배치된 삽입 유닛(36) 및 이동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캐리어 유닛(40)을 포함하는 프레임 캐리지(30)가 레일 시스템(23) 안에 삽입된다. 동시에, 이동 유닛(35)의 후크(56)에 피복 케이블이 고정되고, 그러면 이 피복 케이블에 유닛(35)이 걸려 있게 된다. 피복 케이블의 도움으로 유닛(35)은, 설치자가 유닛(35) 및 버너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 없이,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12시 위치에서 버너(50)는 이송 경로의 마지막 영역을 위해 일시적으로 캐리어 유닛(40)에 고정될 수 있다. 피복 케이블의 길이가 가변적이므로, 버너(50)는 이동 유닛(35)에 의해 상기 버너(50)가 고정되어야 하는 개구(18)로 이송될 수 있다. 거기에서 유닛(35)은 더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는 한편으로 피복 케이블의 부하를 경감시키며 다른 한편으로 개구(18)에 대한 버너(50)의 매우 정확한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캐리어 유닛(40)이 자신의 이동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그동안 버너(50)는 부품 손상을 가져오는 접촉 없이 개구(18)를 통해 가스 터빈의 내부로 진입된다. 최종 위치에 도달한 후 버너(50)에 배치된 플랜지(51)는 개구(18) 둘레에 놓인 플랜지(58)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버너(50)가 캐리어 유닛(40)으로부터 분리되고, 관련 버너(50)의 설치가 종료된다. 그 후, 이동 유닛(35)은 적재 위치로 되돌아가고, 거기에서 다음으로 설치될 부품이 캐리어 유닛(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매우 바람직하게는, 설치될 부품들이 "적재 위치" 내 접근성이 좋은 지점에서 이동 유닛(35)에 설치될 수 있고, 일종의 리볼버 시스템을 통해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는 설치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하측 하우징 절반부에 배치된 개구들(18)은 비교적 접근하기 어렵게 단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개구들에는 상기 유형의 장치(22)의 제공 없이 적재 크레인에 의해서는 버너(50)를 충분히 만족스럽게 장착할 수 없다. 상기 장치(22)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설치 단계들이 부분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즉, 예컨대 프레임 캐리지(30)에 의해 포지셔닝된 버너(50)는 먼저 임시로 자신의 개구(18)에 고정된 다음, 캐리어 유닛(40)에의 고정이 풀어진다. 이어서 캐리어 유닛(40)을 포함해서 프레임 캐리지(30)는 다음으로 설치될 버너(50)를 장착하는 데 이용되며, 그러는 사이 처음에 임시로 고정되었던 버너(50)가 동시에 프레임 캐리지(30)에 다음 버너(50)를 적재하는 동안 하우징(10)에 규정에 맞게 추가로 고정된다.
레일 홀딩 장치(28)는 마운트(29) 및 플레이트(31) 그리고 시트(33)를 포함한다. 마운트(29)의 사용은 특히, 버너들이 추가로 개구(18)에 고정되는 가스 터빈에 레일 홀더(28)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 시트(29)의 사용은 불필요하므로, 개구(18)에 버너(50)가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레일(25 또는 26)은 항상 벽 영역(21)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갖게 된다.
또는, 바람직하게 레일 홀딩 장치들(28)이 정면 쪽에서 플랜지(58)에 고정되지 않고 오히려 측면에서 플랜지에, 측면에서 벽 영역(21)에 또는 벽 영역(17)에도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개구(18)에 버너(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어떤 레일 홀딩 장치(28)에 의해서도 막히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2개의 롤러(34)가 배치되어 있는 롤러 캐리지(32)의 2가지 상이한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롤러 케이지는 2개의 롤러 베어링(60)을 가진 적용된 베어링 장치에 의해 축(62)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때 일측 방향으로는 샤프트 숄더에 의해 그리고 타측 방향으로는 그루브 너트에 의해 축방향 고정이 보장된다. 양 축들(62)은 축 홀더(64)에서 너트(65)에 의해 단단하게 조여진다. 양측 롤러들(34)이 항상 레일에 접하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축 홀더(64)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레이디얼 슬라이드 베어링(66)과 그에 매칭되는 2개의 적절한 액셜 슬라이드 베어링을 갖는 베어링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러그에 눌려지는 그루브 너트(67)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때, 종방향 스트럿에 대한 축 홀더(64)의 베어링 장치는 안쪽과 바깥쪽에서 서로 상이하게 달성된다. 종방향 스트럿에 안쪽으로는 레일의 방향으로 롤러 캐리지(3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편심체(69)(도 5)가 제공된다. 동시에 개구들(18)에 대한 이동 유닛(35)의 정렬이 상기 편심체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편심체(69)의 축 상부가 틈새 끼워맞춤에 의해 베어링 시트 내로 삽입된다. 편심체(69)의 축 상부(68)의 정면 및 수나사에 육각 홈붙이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가 소정의 힘으로 내측 레일 쪽으로 가압되어 부품들의 인장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 캐리지(30)를 롤러 캐리지(32) 없이 형성하여 중간 공구(60)에 의해 직접 가스 터빈의 하우징(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가스 터빈의 부품, 바람직하게는 버너(50) 또는 트랜지션 파이프를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22)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레일 시스템(23) 및 이 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캐리지(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캐리지에는 이동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품 캐리어 유닛(40)을 구비한 삽입 유닛(36)이 배치된다. 가스 터빈의 부품들을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매우 공간 절약적이면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레일 시스템(23)이 2트랙으로서 형성되고, 이동축은 레일들(25, 26) 사이에 펼쳐진 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두 레일(25, 26)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펼쳐진 면은 환형이며, 기기 축(19)의 반경 방향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Claims (12)

  1. 부품을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설치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22)이며,
    상기 장치는 레일 시스템(23) 및 이 레일 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 캐리지(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캐리지에는 이동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품 캐리어 유닛(40)을 구비한 삽입 유닛(36)이 배치되며, 상기 레일 시스템(23)은 2트랙으로서 형성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레일 시스템(23)의 양 레일들(25, 26)은 삽입 개구(18)를 가진 가스 터빈 벽 영역(2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은 레일들(25, 26) 사이에 펼쳐진 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두 레일(25, 26)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 시스템(23)이 무한 원형 궤도로서 또는 원호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일 시스템(23)이 각 레일(25, 26)을 위해 가스 터빈에 레일 시스템(23)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레일 홀더(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캐리지(30)는 레일 시스템(23)의 레일(25, 26)마다 각각의 레일 상에서 동시에 운행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롤러 캐리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롤러 캐리지(32)는 2개 이상의 롤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일(25, 26)은 각각 타측 레일(25, 26)을 향하는 내측을 가지며, 이 내측에서 롤러 캐리지(32)의 롤러들(34)이 구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롤러들(34)은 초기 응력을 받으며 양측 레일(25, 26)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유닛(36)은 지지 레일들(42)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선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선형 레일을 따라 캐리어 유닛(40)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9. 가스 터빈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해 벽 영역(21)에 배치된 다수의 삽입 개구(18)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에 있어서,
    레일들(25, 26)이 벽 영역(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10. 제9항에 있어서, 레일들(25, 26)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22)의 레일들(25, 26)로서 형성되는, 가스 터빈.
  11.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의 단계들, 즉
    - 관련 부품을 위한 개구(18)가 양 레일들(25, 26) 사이에 제공되는 방식으로, 가스 터빈의 하우징(10)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22)를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장치(22)를 사용하여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하는 단계 및/또는 가스 터빈의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관련 부품은 가스 터빈의 버너(50)로서 또는 트랜지션 파이프로서 형성되며, 개구(18)는 가스 터빈의 버너 개구들 중 하나인,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05032A 2011-09-02 2012-08-29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1942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7152A EP2565399A1 (de) 2011-09-02 2011-09-02 Vorrichtung zur Montage bzw. Demontage eines Bauteils an bzw. in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von einem Bauteil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EP11007152.9 2011-09-02
PCT/EP2012/066772 WO2013030230A2 (de) 2011-09-02 2012-08-29 Vorrichtung zur montage bzw. demontage eines bauteils an bzw. in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von einem bauteil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237A true KR20140053237A (ko) 2014-05-07
KR101942126B1 KR101942126B1 (ko) 2019-01-24

Family

ID=4680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032A KR101942126B1 (ko) 2011-09-02 2012-08-29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04390B2 (ko)
EP (1) EP2565399A1 (ko)
JP (1) JP5908083B2 (ko)
KR (1) KR101942126B1 (ko)
CN (1) CN103764955B (ko)
CA (1) CA2847324A1 (ko)
MX (1) MX348001B (ko)
WO (1) WO201303023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722B1 (ko) * 2019-10-21 2020-07-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트랜지션피스 케리어를 포함하는 트랜지션피스 조립 지그
KR102204455B1 (ko) * 2019-09-27 2021-01-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서포트를 포함하는 트랜지션피스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연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476B1 (ko) * 2013-07-26 2015-04-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용 연소기 조립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JP6335645B2 (ja) * 2014-05-23 2018-05-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交換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EP2949886A1 (en) * 2014-05-26 2015-12-02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of a turbine component
EP2990616A1 (de) 2014-08-26 2016-03-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einbauen und ausbauen eines bauteils an einer gasturbine
EP2993314B1 (en) * 2014-09-05 2017-11-08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or dismantling,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a can-combustor
EP3067627B1 (en) * 2015-03-12 2019-09-18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for a liner of a gas turbine and a related method
US10088167B2 (en) 2015-06-15 201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ion flow sleeve lifting tool
JP6499947B2 (ja) * 2015-09-07 2019-04-10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分解組立輸送装置
US20170167298A1 (en) * 2015-12-10 2017-06-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lift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to install and remove combustor assemblies
US10208627B2 (en) 2015-12-10 2019-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lift systems
JP6767489B2 (ja) * 2015-12-31 2020-10-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燃焼器アセンブリ用リフト軌道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ーボ機械
WO2017116244A1 (en) * 2015-12-31 2017-07-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lift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to install and remove combustor assemblies
US11873727B2 (en) 2021-04-15 2024-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hoisting gas engine assemblies
US11773772B2 (en) 2021-07-19 2023-10-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r removal of one or more combustion ca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961A (ja) * 1995-10-19 1997-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器の交換装置
JPH09168931A (ja) * 1995-04-06 1997-06-30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分解組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0663A (en) * 1936-05-13 1937-02-16 Calvin W Klein Protective cover for food pans
CN2138116Y (zh) * 1992-10-21 1993-07-14 张英昊 手动载重升降机
JP2877296B2 (ja) 1995-09-11 1999-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取付、取外し装置
GB2306155B (en) * 1995-10-11 1997-11-19 Toshiba K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gas turbine combuster
JPH09210361A (ja) * 1996-02-08 1997-08-12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器の交換装置
DE69621585T2 (de) 1995-10-19 2002-12-19 Mitsubishi Motors Corp Vorrichtung zum auswechseln von brennern
JP2003004233A (ja) * 2001-06-26 200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空気のバイパス弁、およびガスタービン
RU2263247C2 (ru) 2003-10-10 2005-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техноинвест"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турбокомпрессорного агрегата
RU2263807C2 (ru) 2004-01-26 2005-1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двигатель" Газотурбинная установка
EP2070663A1 (de) * 2007-12-14 2009-06-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ntageanordnung
JP5010521B2 (ja) * 2008-03-28 2012-08-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尾筒案内治具及びガスタービンの燃焼器の取り外し方法、並びに製造方法
EP2236939A1 (de) * 2009-03-27 2010-10-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Montage und Demontage eines Bauteils einer Gasturb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931A (ja) * 1995-04-06 1997-06-30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分解組立装置
JPH09108961A (ja) * 1995-10-19 1997-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器の交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455B1 (ko) * 2019-09-27 2021-01-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서포트를 포함하는 트랜지션피스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연소기
KR102138722B1 (ko) * 2019-10-21 2020-07-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트랜지션피스 케리어를 포함하는 트랜지션피스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8083B2 (ja) 2016-04-26
US9404390B2 (en) 2016-08-02
MX348001B (es) 2017-05-03
RU2014112690A (ru) 2015-10-10
JP2014525542A (ja) 2014-09-29
CN103764955B (zh) 2016-04-13
WO2013030230A3 (de) 2013-04-25
MX2014002283A (es) 2014-03-27
US20140215800A1 (en) 2014-08-07
KR101942126B1 (ko) 2019-01-24
EP2565399A1 (de) 2013-03-06
WO2013030230A2 (de) 2013-03-07
CN103764955A (zh) 2014-04-30
CA2847324A1 (en)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126B1 (ko) 고정 가스 터빈에 또는 그 안에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 가스 터빈의 부품을 설치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US9638106B2 (en) Method for pulling a bearing body off the rotor of a gas turbine and tubular shaft extension
US10060449B2 (en) Method for attaching/removing vane ring and auxiliary support device for vane segment used in said method
EP2798163B1 (de) Verfahren zum ziehen und/oder einsetzen eines turbinenlagers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25870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 casing section
KR101217188B1 (ko) 케이블 드럼 장치
CA2767702C (en) Rotor centralization for turbine engine assembly
US201503376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a turbine component
JP6952455B2 (ja) 燃焼器組立体リフトシステム
WO2014132342A1 (ja) 圧縮機の組立方法、および、バンドル案内装置
US20160201725A1 (en) Pre-mounting of a gap-optimized clip ring between inner rings of an anti-friction bearing
RU25751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стационарной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стационарная газовая турбина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стационарной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ES2838674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emplazo de un rodamiento y procedimiento para el desplazamiento axial de un mecanismo de transmisión de una turbina eólica
CN112576632A (zh) 安装工具
CN104550246B (zh) 轧机辊箱装配工装
CN111065797B (zh) 用于处理整流器的方法和推车
CH175218A (fr) Boîte d'essieu avec roulements à aiguil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