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903A -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 Google Patents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903A
KR20140051903A KR1020147001461A KR20147001461A KR20140051903A KR 20140051903 A KR20140051903 A KR 20140051903A KR 1020147001461 A KR1020147001461 A KR 1020147001461A KR 20147001461 A KR20147001461 A KR 20147001461A KR 20140051903 A KR20140051903 A KR 2014005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lithium ion
lithium
activ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804B1 (ko
Inventor
클리브 피. 보스냑
커트 더블유. 스워거
Original Assignee
몰레큘라 레바 디자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4205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519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몰레큘라 레바 디자인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레큘라 레바 디자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5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48Energy storage/generating using nanostructure, e.g. fuel cell,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산화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그래핀 또는 산소화 그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LITHIUM ION BATTERIES USING DISCRETE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본 출원은 2011년 6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61/500,560 (발명의 명칭: "LITHIUM ION BATTERIES USING DISCRETE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가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배터리의 개선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discrete carbon nanotube)에 관한 것이다.
배경
리튬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 장비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풍력 및 태양 에너지의 전기 백업을 제공하는 데 점점 더 이용되고 있다. 캐소드 물질로 코발트, 니켈 또는 망가니즈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리튬 이온 (Li-이온) 재충전식 배터리는 그의 불량한 전기전도성 및 불량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고, 이것은 불량한 사이클링 (충전/방전) 능력을 초래한다. 올리빈(olivine) 구조, 예컨대 리튬 철 포스페이트 LiFePO4 또는 리튬 망가니즈 포스페이트 LiMnPO4는 더 높은 충전 및 방전 속도로 작동하지만, 낮은 전기전도성 및 Li-이온 확산 속도에 의해 여전히 제한된다.
상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는 리튬 염의 나노결정이라고 불리는 나노 크기 결정뿐만 아니라 리튬 염 및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의 합성을 포함하였다. 탄소 나노튜브 및 리튬 염의 나노결정의 혼합물은 충전/방전 속도에서 개선을 나타내지만, 이전에 이용된 탄소 나노튜브는 본질적으로 개별형이라고, 즉, 개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튜브라고 여겨지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기상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50 내지 200 ㎛의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갖는 튜브들의 얽힌 다발을 형성한다. 또한, 활성 물질의 친밀한 전자 이동 및 증진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리튬 나노결정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 이온 결합에 의해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부착되는 것도 아니다. 통상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시에는 나노결정이 팽창하고 수축한다. 많은 사이클을 거치면서 이것은 결국 활성 물질의 층에 미세균열 형성을 초래하고, 이 때문에 높은 내부저항 및 배터리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결정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에 결합되어 그와 상호연결된다면, 심한 기계적 진동, 굽힘, 또는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미세균열 형성이 지연될 것이다.
또한, 입자간 전기전도성을 증진하기 위해 리튬 염을 나노미터 크기의 매우 얇은 코팅으로 탄소 코팅하였지만, 탄소 코팅은 리튬 이온 운반을 더디게 할 수 있고,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리하게 전해질과 반응할 수 있다. 탄소 코팅은 무정형 구조라고 여겨지고, 전해질과 반응할 가능성이 탄소 나노튜브의 결정성 탄소 구조보다 더 높다. 마찬가지로, 입자간 전도성을 증진하기 위해 리튬 염의 결정에 탄소 입자를 첨가하였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배터리에서 건조된 페이스트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켜서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 및 감소된 성능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나노 크기 결정 또는 나노 크기 층을 개별적인, 관능화된 및 잘 분산된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특히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안의 물질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낮은 전기전도성에 관한 어려움, 개선된 리튬 이온 운반에 관한 어려움, 및 잠재적으로 해를 끼치는 화학적 부반응의 경감에 관한 어려움을 극복한다.
마찬가지로, 리튬 배터리 애노드 물질의 경우, 많은 이익, 예컨대 개선된 용량, 전자 및 이온 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활성 애노드 물질, 예컨대 탄소 입자, 산화주석 또는 규소를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네트워크는 리튬 배터리의 캐소드 또는 애노드 물질의 나노 크기 입자 또는 층의 지지 및 공간적 안정화를 제공하는 것 외에 추가로, 다른 이익은 열 유도 폭주를 피하는 개선된 열 전달 매질, 제조 동안에 페이스트에 구조적 강도, 및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중량 당 높은 표면적을 포함한다. 또한, 개별 튜브의 균일한 분산은 캐소드 또는 애노드 층을 가로질러서 더 균일한 전압 구배를 제공할 것이고, 따라서, 국소 영역에서 가속된 성능 감퇴를 야기할 수 있는 국소적으로 높은 전기저항 영역의 발생 가망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개요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이다. 캐소드의 경우,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은 철, 망가니즈, 코발트, 구리, 니켈, 바나듐, 티타늄 또는 그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리튬 금속 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올리빈 결정 구조를 갖는 리튬 금속 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의 경우,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은 탄소, 주석, 규소, 구리, 안티모니, 알루미늄, 게르마늄, 티타늄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종횡비가 10 내지 500이고,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 수준이 1 내지 15 중량%이다. 조성물은 그래핀 또는 산소화 그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그래핀 대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는 0.1:99.9 내지 99.9:0.1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종횡비 10 내지 500 및 산화 수준 1 내지 15 중량%의 탄소 나노튜브를 선택하는 단계,
b) 탄소 나노튜브를 고비점 액체, 및 임의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는 단계,
c) 임의로, 탄소 나노튜브 액체 혼합물을 음파처리하는 단계,
d) 요망되는 리튬 염이 합성되도록 시약을 정확하게 균형 맞춰 첨가하는 단계,
e) 혼합물을 음파처리하는 동안에 리튬 염을 형성하는 요망되는 온도에서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f) 고체 염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g) 올리빈 결정 구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 하에, 부착된 리튬 염을 갖는 고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건조시키고 어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측면은
a) 종횡비 10 내지 500 및 산화 수준 1 내지 15 중량%의 탄소 나노튜브를 선택하는 단계,
b) 탄소 나노튜브 및 요망되는 리튬 염을 액체에서 계면활성제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
c) 탄소 나노튜브/리튬 염 액체 혼합물을 음파처리하는 단계,
d) 고체 염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e) 올리빈 결정 구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 하에, 부착된 리튬 염을 갖는 고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건조시키고 어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측면은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탄소 나노튜브는 리튬 염에 대한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가 0.1% 내지 10%인,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 또는 층 형태의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표면에 부착된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고, 탄소 나노튜브가 클러스터형성 없이 1 ㎛ 미만의 치수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측면은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이 이온 결합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표면에 부착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이다.
도 1은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상에 나노 층으로 코팅된 리튬 염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5%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갖는 LiMnO4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 결정을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본원에서 사용되는 "탄소 나노튜브"라는 용어는 실린더형 나노 구조를 갖는 탄소의 동소체를 의미한다. 나노튜브는 단일벽, 이중벽 또는 다중벽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라는 용어는 분리되어 개개의 튜브를 제공할 수 있는 탄소 나노튜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그래핀"이라는 용어는 개개의 원자 두께 탄소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산화된 그래핀"이라는 용어는 그래핀 플레이트를 산화시킨 생성물을 의미한다. 산화된 종은 일반적으로 그래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라는 용어는 탄소 나노튜브를 산화시킨 생성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산화된 종은 카르복실, 케톤 또는 히드록실 관능기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중량 퍼센트" 또는 "퍼센트 중량" 또는 "중량%"라는 용어는 시약 첨가 후 시약이 첨가된 혼합물의 총 중량으로 시약의 중량을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예를 들어, 1 g의 시약 A를 99 g의 시약 B에 첨가함으로써 100 g의 혼합물 A+B을 형성하면, 혼합물에 1 중량 퍼센트의 시약 A를 첨가하는 것을 구성할 것이다.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단일벽, 이중벽 및 다중벽 구성일 수 있음)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나노튜브를 단편으로 절단하고, 제조업체로부터 받은 탄소 나노튜브의 내부에 있는 잔여 촉매 입자를 용해한다. 이러한 튜브 절단은 박락을 돕는다. 튜브의 절단은 튜브의 길이를 탄소 나노튜브 단편으로 감소시키고, 이 단편을 여기서는 몰레큘러 리바(Molecular Rebar)라고 정의한다. 촉매 입자 유형 및 탄소 나노튜브에서의 촉매 입자 분포와 관련된 탄소 나노튜브 공급원료의 적절한 선택은 결과적으로 얻는 개개의 튜브 길이 및 전체 튜브 길이 분포의 더 많은 조절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선택은 내부 촉매 부위가 균등하게 이격된 경우 및 촉매가 가장 효율적인 경우이다. 선택은 전자현미경 및 박락된 튜브 분포의 결정을 이용해서 평가할 수 있다. 몰레큘러 리바는 다른 물질에 첨가될 때 몰레큘러 리바가 없는 물질에 비해 유리한 기계적 및 운반 성질을 제공한다.
이동성 이온 및 이온 활성 물질의 유형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에 부착될 수 있는 이온 활성 물질은 여기서는 이온이 이온 활성 물질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동하는 이온은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이고, 바람직하게는 이용가능한 이동성 이온의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이고, 총 이동성 이온의 100 몰% 정도로 높을 수 있다. 다른 이동성 이온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 아연, 망가니즈, 나트륨, 칼륨, 납, 수은, 은, 금, 니켈, 카드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활성 물질의 예는 리튬 철 포스페이트, 리튬 망가니즈 포스페이트, 리튬 코발트 옥시드, 실리카, 이산화망가니즈, 카드뮴, 이산화티타늄 및 탄소이다.
이온 활성 물질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이온 활성 물질 중의 이온 종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상이할 수 있다. 이동성 이온의 혼합물을 이용할 때, 리튬 이온이 혼합물의 이온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성 이온의 혼합물이 이용될 때, 혼합물은 2 개의 상이한 이온일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비율의 3 개 이상의 상이한 이온일 수 있다. 추가로, 이온 혼합물은 동일 이온의 다양한 원자가 (또는 산화) 상태, 예컨대 Fe2 + 또는 Fe3 +일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에 부착하기 위해 이온 활성 물질을 혼합할 때, 혼합물은 단지 우발적일 수 있거나, 예컨대, 자연 상태의 이온 활성 물질 화합물로부터 얻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혼합물은 상이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상태의 것을 포함해서 상이한 이온 활성 물질의 의도적 혼합일 수 있다. 리튬 이온을 이용하는 이동성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일부 경우에서는, 리튬 이온이 혼합물의 소수의 이온 성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보통 바람직한 구성은 아니다. 하나 초과의 이온이 이용될 때, Li 이온 대 나머지 전체 이온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또는 3:1, 또는 10:1이고, 25:1 (몰비) 정도로 높을 수 있다.
또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에 부착된 이온 활성 물질은 연료 전지, 센서, 축전기, 광전지 및 촉매 같은 응용에 유용할 수 있다.
실험 실시예
본 게재물의 특별한 측면들을 입증하기 위해 다음 실험 실시예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다음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들이 본 게재물의 예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게재물에 비추어서 본 게재물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기술된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많은 변화를 가할 수 있고 여전히 같은 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실시예 1
리튬 이온 배터리 애노드 물질에 적당한, 부착된 산화구리 나노입자를 갖는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102 ㎎의 약 8 중량 퍼센트 산화되고 약 60의 종횡비를 갖는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씨나노(CNano), 등급 C9000)를 100 ㎎의 황산구리, 640 ㎎의 나트륨 EDTA, 15 ㎎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568 ㎎의 황산나트륨 및 60 ㎖의 탈이온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음파처리한 후 40℃로 가열하였다. 3 ㎖의 포름알데히드 (37% 용액) 및 500 ㎎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가 12.2가 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85℃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5 ㎛ PVDF 필터를 이용해서 여과하고 200 ㎖의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얻은 코팅된 다중벽 튜브는 구리빛 색을 나타내었다. 전자 현미경 사진은 잘 분산된 탄소 나노튜브로 상호연결된 직경 약 50 내지 150 ㎚의 산화구리 입자를 보여준다.
실시예 2
리튬 이온 배터리 캐소드 물질에 적당한, 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리튬 철 포스페이트를 갖는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0.2 g의 약 8 중량 퍼센트 산화되고 약 60의 종횡비를 갖는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씨나노, 등급 C9000)를 23.5 g의 디에틸렌 글리콜에 첨가하고 15 분 동안 음파처리하였다. 용액은 회색이었다. 4 ㎖의 탈이온수에 용해된 1.16 g의 아세트산철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교반 하에 음파처리하면서 가열하였다. 140℃에서 1 시간 후, 4.2 ㎖의 탈이온수 중의 0.65 g의 아세트산리튬 및 0.74 g의 인산암모늄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30 분 동안 온도를 약 185℃로 올린 후, 185℃에서 4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110℃로 냉각하고 5 분 동안 음파처리한 후, 교반하면서 주위 온도로 더 냉각시켰다. 원심분리로 혼합물로부터 고체를 분리한 후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얻은 분말을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상업적으로 얻은 샘플은 19,000 ohm-㎝인 것으로 결정됨에 비해, 이렇게 해서 얻은 건조 분말은 2,000 ohm-㎝의 저항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3
막자사발에서 리튬 염 대 탄소 나노튜브 5:1 및 1:1의 중량비로 상업적으로 얻은 리튬 철 포스페이트를 약 8 중량% 산화되고 약 60의 종횡비를 갖는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씨나노, 등급 C9000)와 함께 갈았다. 이어서,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SDS)를 탄소 나노튜브와 비교해서 0.7: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얻은 혼합물에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리튬 염 및 계면활성제 존재 하의 탄소 나노튜브의 0.5 중량 퍼센트 용액을 제공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음파처리한 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필터 (0.2 ㎛)를 이용해서 고체를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리튬 이온 포스페이트로 코팅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현미경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분말의 저항의 결과를 표 1에 제공하였고, 저항의 단위는 ohm-㎝이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4
5 중량%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 존재 하의 리튬 망가니즈 포스페이트의 제조
37.439 g의 아세트산망가니즈(II)를 5.0 ㎖의 물에 용해시키고, 반응 용기에 이미 들어 있는 589 ㎖의 디에틸렌 글리콜 (DEG)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 및 온화한 질소 흐름 하에서 140℃의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여 물을 증류하였다. 1.119 g의 4%의 산화 및 60의 평균 종횡비를 갖는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 (원래는 씨나노, 등급 C9000, 평균 직경 13 ㎚)를 222.2 ㎖의 디에틸렌 글리콜 (0.5% w/v)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음파처리를 이용해서 분산시켰다. 추가로, 14.4434 g의 아세트산리튬 및 16.4497 g의 인산이수소암모늄을 90 ㎖의 물에 용해하였다.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 아세트산리튬 및 인산이수소암모늄의 분산액을 교반 하에 음파처리하면서 반응 매질에 첨가하였다. 일정한 질소 흐름을 유지하면서, 가열을 증가시켜 3 시간 동안 180℃의 목표 온도를 유지하였다. 반응 종결 후, 가열 및 음파처리는 중지하였지만, 계가 실온으로 냉각될 때까지 교반 및 질소는 유지하였다.
생성물은 고점성 암회색 유체였다. 리튬 망가니즈 포스페이트로 코팅된 탄소 나노튜브를 원심분리하고, 고체를 무수 에탄올로 3회 세척하였다. 생성물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는, 대부분의 튜브가 약 20 - 40 ㎚ 두께의 리튬 망가니즈 포스페이트 코팅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코팅은 실시예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매끈하지 않았다.
실시예 5
리튬 배터리에서 애노드 활성 물질로 유용한 조성물 - 전구체인 티타늄 이소프로폭시드로부터 TiO2로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 조성물의 계내 합성
0.179 g의 약 4 중량% 산화되고 약 60의 종횡비를 갖는 탄소 나노튜브 (원래는 씨나노, 등급 C-9000)를 27.3 ㎖의 NMP 및 2.7 ㎖의 RO 물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음파처리하여 완전히 박락된 용액을 얻었다. 3.41 ㎖의 티타늄 이소프로폭시드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를 18 ㎖의 이소프로판올 (울트라 퓨어 솔루션즈, 인크.(Ultra Pure Solutions, Inc.))에 첨가함으로써 19 %v/v 용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음파처리하는 동안에 박락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용기를 밀폐하고, 1 시간 동안 실온보다 약간 높게 온화하게 가열하였다. 전체 반응 기간 동안 음파처리 및 매질 교반 속도를 유지하였다. 진공 하에서 부흐너 필터로 여과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NMP를 제거하고, 진공 중에서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을 얻었다. 도 3의 전자 현미경 사진은 잘 분산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에 결합된 50 - 100 ㎚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결정을 나타낸다.

Claims (13)

  1.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리튬 금속 염, 및 철, 망가니즈, 코발트, 구리, 니켈, 바나듐, 티타늄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리튬 금속 염이 올리빈(olivine)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주석, 규소, 구리, 안티모니, 알루미늄, 게르마늄, 티타늄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종횡비가 10 내지 500이고, 탄소 나노튜브 산화 수준이 1 중량% 내지 15 중량%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그래핀 또는 산소화 그래핀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그래핀 대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가 0.1:99.9 내지 99.9:0.1의 범위인 조성물.
  8. a) 종횡비 10 내지 500 및 산화 수준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탄소 나노튜브를 선택하는 단계,
    b) 탄소 나노튜브를 고비점 액체와 혼합하는 단계,
    c) 리튬 염이 합성되도록 시약을 정확하게 균형 맞춰 첨가하는 단계,
    d) 혼합물을 음파처리하면서 리튬 염 형성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e) 고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염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f) 올리빈 결정 구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 하에, 고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 염을 건조시키고 어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9. a) 종횡비 10 내지 500 및 산화 수준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탄소 나노튜브를 선택하는 단계,
    b) 탄소 나노튜브 및 리튬 염을 액체에서 계면활성제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
    c) 액체 탄소 나노튜브/리튬 염 혼합물을 음파처리하는 단계,
    d) 고체 염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e) 올리빈 결정 구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 하에, 부착된 리튬 염을 갖는 고체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건조시키고 어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0.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탄소 나노튜브는 리튬 염에 대한 탄소 나노튜브의 중량비가 0.1% 내지 10%인,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
  11.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탄소 나노튜브는 클러스터형성 없이 1 ㎛ 미만의 치수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된 것인,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
  12.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표면에 부착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유용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활성 물질의 결정 또는 층이 분산될 수 있는 산화된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부착된 것인 조성물.
KR1020147001461A 2011-06-23 2012-06-21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KR102055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0560P 2011-06-23 2011-06-23
US61/500,560 2011-06-23
PCT/US2012/043534 WO2012177865A1 (en) 2011-06-23 2012-06-21 Lithium ion batteries using discrete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903A true KR20140051903A (ko) 2014-05-02
KR102055804B1 KR102055804B1 (ko) 2019-12-13

Family

ID=4642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461A KR102055804B1 (ko) 2011-06-23 2012-06-21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10153483B2 (ko)
EP (3) EP2724403B1 (ko)
JP (1) JP6210980B2 (ko)
KR (1) KR102055804B1 (ko)
CN (1) CN103748712B (ko)
CA (1) CA2839614A1 (ko)
ES (1) ES2955519T3 (ko)
HU (1) HUE063512T2 (ko)
IN (1) IN2014DN00143A (ko)
SA (1) SA112330630B1 (ko)
TW (1) TW201301643A (ko)
WO (1) WO2012177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98B1 (ko) * 2011-08-29 2021-02-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리튬 이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작 방법
US11479652B2 (en) 2012-10-19 2022-10-2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Covalent conjugates of graphene nanoparticles and polymer chains and composite materials formed therefrom
CN103112846B (zh) * 2013-02-06 2014-12-10 华中科技大学 一种石墨烯-碳纳米管-纳米二氧化锡三维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
US9159999B2 (en) * 2013-03-15 2015-10-13 Nano One Materials Corp. Complexometric precursor formulation methodology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fine and ultrafine powders and nanopowders for lithium metal oxides for battery applications
JP2014225508A (ja) 2013-05-15 2014-1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電極、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
WO2015178479A1 (ja) * 2014-05-23 2015-11-26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正極材料、二次電池、正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5140461A (zh) * 2014-06-04 2015-12-09 清华大学 锂硫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EP3263330A4 (en) * 2015-02-23 2018-10-03 Lintec of America, Inc. Adhesive sheet
JP6304198B2 (ja) * 2015-11-04 2018-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CA3020462C (en) * 2016-04-07 2023-01-17 Molecular Rebar Design, Llc Discrete carbon nanotubes with targeted oxidation levels and formulations thereof
JP2019513861A (ja) 2016-04-07 2019-05-30 モレキュラー レバー デザイン,エルエルシー 油田用途での分解性化学物質のナノチューブ媒介
US11702518B2 (en) 2016-07-22 2023-07-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In situ bonding of carbon fibers and nanotubes to polymer matrices
KR102524930B1 (ko) * 2017-10-11 2023-04-26 몰레큘라 레바 디자인 엘엘씨 표적화된 산화 수준을 갖는 이산 탄소 나노튜브 및 그의 제제를 사용한 차폐 제제
WO2019079457A2 (en) * 2017-10-20 2019-04-25 Northwestern University ANHYDROUS LIQUID PHASE EXFOLIATION OF ELECTROCHEMICALLY ACTIVE PRISTINE NANOFEIL
WO2019143662A1 (en) 2018-01-16 2019-07-2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Use of graphene-polymer composites to improve barrier resistance of polymers to liquid and gas permeants
CN110342493B (zh) * 2018-04-03 2021-07-30 清华大学 过渡金属氧化物/碳纳米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350144B (zh) 2018-04-03 2021-07-30 清华大学 电池电极、电池电极的制备方法及混合储能器件
CN112533867A (zh) * 2018-05-22 2021-03-19 钢筋分子设计有限责任公司 使用高表面积纳米管的改进型锂离子电池
CN109273689B (zh) * 2018-09-19 2021-09-24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异质结构硅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DE202018106258U1 (de) 2018-10-15 2020-01-20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Nano-Graphitische Schwämme
US11807757B2 (en) 2019-05-07 2023-11-07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Economical multi-scale reinforced composites
US11508966B2 (en) 2019-10-25 2022-11-22 Lyten, Inc. Protective carbon layer for lithium (Li) metal anodes
CN111106334B (zh) * 2019-12-16 2022-07-0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复合负极片及其制备方法
US11901580B2 (en) 2020-01-10 2024-02-13 Lyten, Inc. Selectively activated metal-air battery
CN112573511A (zh) * 2020-12-03 2021-03-30 铜仁学院 一种石墨烯的简单制备方法
US11735745B2 (en) 2021-06-16 2023-08-22 Lyten, Inc. Lithium-air battery
WO2023004060A2 (en) * 2021-07-23 2023-01-26 Lyten, Inc. Lithium-sulfur battery cathode formed from multiple carbonaceous reg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392A1 (en) * 2008-12-19 2010-10-14 Bosnyak Clive P Exfoliated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20110104551A1 (en) * 2009-11-05 2011-05-05 Uchicago Argonne, Llc Nanotube composite anode materials suitable for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860A (ja) 1993-09-10 1995-03-31 Hyperion Catalysis Internatl Inc リチウム電池
KR100527322B1 (ko) * 1997-05-06 2006-01-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폴리머겔전해질형성용시트,이를사용한폴리머겔전해질및그의제법
US6872681B2 (en) * 2001-05-18 2005-03-29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Modification of nanotubes oxidation with peroxygen compounds
US7169329B2 (en) * 2003-07-07 2007-01-30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arbon nanotube ad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960702B2 (ja) 2003-09-18 2012-06-27 コモンウェルス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オーガニゼイション 高性能エネルギー蓄積装置
WO2005113434A1 (en) * 2004-03-25 2005-12-01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in acidic media
CN101014851B (zh) 2004-05-21 2014-07-09 埃葛梅崔克斯股份有限公司 电化学电池和生产电化学电池的方法
US20090317710A1 (en) 2008-06-20 2009-12-24 Mysticmd, Inc. Anode, cathode, grid and current collector material for reduced weight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06059794A2 (en) 2004-12-02 2006-06-08 Kabushiki Kaisha Ohara All soli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a solid electrolyte therefor
JP5345300B2 (ja) * 2006-06-27 2013-11-20 花王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複合正極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
US7986509B2 (en) 2008-01-17 2011-07-26 Fraser Wade Seymour Composite electrode comprising a carbon structure coated with a thin film of mixed metal oxide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EP2276698A1 (en) 2008-04-14 2011-01-2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Lithium metal phosphate/carbon nanocomposites as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secondary lithium batteries
CN101335347B (zh) * 2008-08-01 2010-06-02 黄德欢 锂离子电池的高导电性磷酸铁锂正极材料的制备方法
EP3021389B1 (en) 2008-11-18 2018-07-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ical power storage devices
KR20100073506A (ko) * 2008-12-23 201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음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전지
US9093693B2 (en) * 2009-01-13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nano graphene reinforced composite particles for lithium battery electrodes
US9431649B2 (en) 2009-11-23 2016-08-30 Uchicago Argonne, Llc Coated electroactive materials
WO2011068391A2 (ko) * 2009-12-04 2011-06-09 주식회사 루트제이제이 나노 중공 섬유형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FR2957910B1 (fr) 2010-03-23 2012-05-11 Arkema France Melange maitre de nanotubes de carbone pour les formulations liquides, notamment dans les batteries li-ion
CN101916851B (zh) 2010-08-12 2013-10-23 深圳大学 磷酸铁锂-炭纤维复合阴极材料的制备方法和应用
JP2012133959A (ja) 2010-12-21 2012-07-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及び鉛蓄電池
WO2013011516A1 (en) 2011-07-20 2013-01-24 Vulcan Automotive Industries Ltd Funcionalized carbon nanotube composite for use in lead acid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392A1 (en) * 2008-12-19 2010-10-14 Bosnyak Clive P Exfoliated carbon nanotub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20110104551A1 (en) * 2009-11-05 2011-05-05 Uchicago Argonne, Llc Nanotube composite anode materials suitable for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Vadivel Murugan et al., "Dimensionally Modulated, Single-Crystalline LiMPO4 (M= Mn, Fe, Co, and Ni) with Nano-Thumblike Shapes for High-Power Energy Storage", Inorg. Chem. 2009, 48, 946-9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63512T2 (hu) 2024-01-28
EP4235854A2 (en) 2023-08-30
EP2724403A1 (en) 2014-04-30
CN103748712B (zh) 2017-05-17
ES2955519T3 (es) 2023-12-04
SA112330630B1 (ar) 2016-03-08
US20150180029A1 (en) 2015-06-25
CA2839614A1 (en) 2012-12-27
US8808909B2 (en) 2014-08-19
US10153483B2 (en) 2018-12-11
US20120328946A1 (en) 2012-12-27
WO2012177865A1 (en) 2012-12-27
JP6210980B2 (ja) 2017-10-11
EP3139429A1 (en) 2017-03-08
US9065132B1 (en) 2015-06-23
CN103748712A (zh) 2014-04-23
JP2014523613A (ja) 2014-09-11
US20140322610A1 (en) 2014-10-30
US20140154577A1 (en) 2014-06-05
KR102055804B1 (ko) 2019-12-13
EP3139429B1 (en) 2023-06-07
IN2014DN00143A (ko) 2015-05-22
TW201301643A (zh) 2013-01-01
US8968924B2 (en) 2015-03-03
EP4235854A3 (en) 2023-11-01
EP2724403B1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804B1 (ko) 개별형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은 생성물
Chu et al. Deeply nesting zinc sulfide dendrites in tertiary hierarchical structure for potassium ion batteries: enhanced conductivity from interior to exterior
Xiao et al. Nanostructured germanium anode materials for advanced rechargeable batteries
Park et al. Sn-based nanocomposite for Li-ion battery anode with high energy density, rate capability, and reversibility
Shi et al. Design of nanostructured hybrid materials based on carbon and metal oxides for Li ion batteries
Ma et al. Enhanced Li–S batteries using amine-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in the cathode
Shao et al. From dispersed microspheres to interconnected nanospheres: carbon-sandwiched monolayered MoS2 as high-performance anode of Li-Ion batteries
Zhu et al. Synthesis of MnO/C composites derived from pollen template for advanced lithium-ion batteries
Peng et al. Facile ultrasonic synthesis of CoO quantum dot/graphene nanosheet composites with high lithium storage capacity
Ji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nanostructured an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Deng et al. Sandwich-stacked SnO2/Cu hybrid nanosheets as multichannel an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Wang et al. Nanostructured hybrid silicon/carbon nanotube heterostructures: reversible high-capacity lithium-ion anodes
Xu et al. A maize-like FePO 4@ MCNT nanowire composite for sodium-ion batteries via a microemulsion technique
US20150364750A1 (en) Carbon nanotube-metal nanocomposites as flexible, free standing, binder free high performance anode for li –ion battery
JP6093570B2 (ja) 剥離マイクロチューブならびに空間制御された付着ナノスケール粒子および層を含有する高性能エネルギー貯蔵および収集装置
Wang et al. Facile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amorphous FePO4/carbon nanomaterials as cathodes of lithium-ion batteries
Ma et al. Composites of layered M (HPO4) 2 (M= Zr, Sn, and Ti) with reduced graphene oxide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Zhang et al. Interface Reduction synthesis of H2V3O8 nanobelts–graphene for high-rate Li-ion batteries
Ma et al. Temperature-dependent Li storage performance in nanoporous Cu–Ge–Al alloy
JP2014053295A (ja) 金属酸化物ナノ粒子−導電剤複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ならびに金属酸化物ナノ粒子−導電剤複合体の製造方法
Huang et al. NiGa2O4/rGO composite as long-cycle-life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Sen et al. Nano dimensionality: a way towards better Li-ion storage
Majeed et al. Silicon-based anod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recent progress, new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Yu et al. Atomically Dispersed and O, N-Coordinated Mn-Based Catalyst for Promoting the Conversion of Polysulfides in Li2S-Based Li–S Battery
Wang et al. Graphene–Inorganic Composit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