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414A -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 Google Patents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414A
KR20140051414A KR1020147006595A KR20147006595A KR20140051414A KR 20140051414 A KR20140051414 A KR 20140051414A KR 1020147006595 A KR1020147006595 A KR 1020147006595A KR 20147006595 A KR20147006595 A KR 20147006595A KR 20140051414 A KR20140051414 A KR 2014005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argo carrier
cargo loading
loading bar
carri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114B1 (ko
Inventor
안데르스 룬드그렌
Original Assignee
툴레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툴레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툴레 스웨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05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2Carriers comprising elongate members extending only transversely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이러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를 갖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에 관한 것이다. 화물 캐리어 푸트는 웨지 부재(43) 및 장력 부재(41)를 포함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에 화물 적재 바(23)를 로킹하는 로크 배열체(40)를 갖는다. 웨지 부재(43)는 장력 부재(41)의 동작 시에 장력 부재(41)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핑 부재가 장력 부재(41)와 협력하여 동작되도록 추가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로킹할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측의 작은 공간을 요구하는 로크 배열체(40)를 갖는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를 제공하고, 본 발명은 화물 캐리어 푸트가 복수개의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에 부착되게 하고, 본 발명은 화물 적재 바가 동일한 장력 부재를 사용하여 차량에 부착되게 하면서 동시에 화물 캐리어 푸트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A LOAD CARRIER FOOT AND A LOAD CARRYING ROOF RACK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AD CARRIER FOOT}
본 발명은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푸트에 관한 것이다. 화물 적재 루프 래크는 사용 중에 차량의 루프(roof)의 표면을 횡단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 바(load carrying bar)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1개의 화물 캐리어 푸트를 갖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에 관한 것이다. 화물 캐리어 푸트는 웨지 부재(wedge member) 및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displaceable locking member)를 사용하여 적어도 1개의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를 부착 또는 고정하는 로크 배열체(lock arrangement)를 포함한다.
화물 캐리어 루프 래크로서 또한 알려져 있는 차량 루프 래크는 최근에 특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안정성 및 용이한 취급이 여전히 핵심어이지만, 바람 저항(wind resistance) 및 공기 난류(air turbulence)가 점점 더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화물 적재 바 또는 횡단 크로스 바(transverse cross bar)는 차량이 이동 중일 때에 바람 난류를 제공한다.
차량이 이동됨에 따라 그리고 바람이 화물 적재 바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의 난류 유동이 생성되고; 이것은 특별히 화물 캐리어 루프 래크가 화물을 적재하지 않을 때의 경우이다. 공기의 난류 유동은 소음을 생성하고, 차량의 전체적인 바람 저항 그에 따라 연료 소모를 증가시킨다.
특허 공개 제DE 10012905 (A1)호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하향-지향 공기력을 생성하도록 유선형 프로파일(액적-형상 또는 타원형)을 갖는 횡단 부재 또는 크로스 부재를 갖는 루프 래크를 개시하고 있다. 난류 배리어(turbulence barrier) 또는 유동 차단 모서리(flow breakaway edge)가 바람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크로스 부재의 상부 및 저부에 끼워진다.
공지된 종래 기술에 일부의 결점이 있다. 화물 캐리어 푸트와 화물 캐리어 바 사이의 연결이 별로 정교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공간을 소모하는 경향을 갖고, 그에 의해 낮은 바람 저항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과 화물 캐리어 푸트에 화물 캐리어 바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능력 사이의 절충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체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목적은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를 위한 화물 캐리어 푸트에 의해 충족된다. 화물 캐리어 푸트는 길이 방향 연장부, 높이 및 폭을 갖는 화물 적재 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부착하는 로크 배열체는 웨지 부재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는 보유 위치로 화물 적재 바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웨지 부재를 변위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장력 부재(tensioning member)를 포함한다. 보유 배열체가 차량에 화물 캐리어 푸트를 보유한다. 장력 부재는 추가로 보유 배열체를 동작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화물 적재 바의 내부측에서 특별히 화물 적재 바의 높이 및/또는 폭 방향으로 작은 공간을 소모하는 로킹 배열체를 갖는 화물 캐리어 푸트를 제공하고, 한편 동시에 본 발명은 장력 부재를 사용하여 동시에 조여질 수 있는 차량에 대한 양호한 부착 능력을 제공하고, 즉 단지 1회의 작업이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고정 즉 로킹하는 작업 그리고 차량에 화물 캐리어 푸트를 고정 즉 로킹하는 작업의 양쪽 모두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된다.
로크 배열체가 실질적으로 화물 적재 바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것은 화물 적재 바의 위치가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에 대해 조정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화물 적재 루프 래크는 이처럼 상이한 크기의 상이한 차량에 끼워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본 발명은 화물 적재 루프 래크가 플러시형 바 화물 적재 루프 래크(flush bar load carrying roof rack)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보유 배열체는 클램핑 부재(clamp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고, 클램핑 부재는 장력 부재를 동작시킬 때에 차량의 제1 표면과 클램핑 부재 사이에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부여하고 그에 의해 차량에 화물 캐리어 푸트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웨지 부재는 중간 부재와 웨지 결합되어 화물 적재 바의 내부 표면에 인접되고 그에 의해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푸트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 등의 적어도 1개의 중간 부재와 협력하여 동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중간 부재 또는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화물 적재 바가 차량 상에 장착될 때에 화물 적재 바의 폭 및/또는 높이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웨지 부재의 변위 시에, 웨지 부재는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바의 내부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1개의 표면에 인접된다. 웨지 부재 및 화물 적재 푸트는 이처럼 화물 적재 바의 적어도 1개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및/또는 화물 적재 바의 적어도 1개의 표면에 대해 웨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지 부재가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로킹하도록 화물 적재 푸트의 표면에 대해 그리고 화물 적재 바의 내부 표면에 대해 인접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 큰 거리만큼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웨지 부재는 로킹 위치로의 변위 중에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로킹 부재가 화물 캐리어 푸트의 본체로부터 연장되게 하고 그에 따라 화물 캐리어 바의 단부에서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슬릿(slit) 또는 추가의 구멍이 화물 적재 바 내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에 화물 캐리어 바를 로킹하는 데 요구되지 않는다. 화물 적재 바는 돌출 방식으로 화물 캐리어 푸트를 지나 연장될 필요가 없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플러시형" 화물 캐리어 푸트로서 불린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웨지 부재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웨지 부재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바의 높이를 따라 및/또는 화물 적재 바의 폭을 따라 힘 성분을 부여한다. 웨지 부재가 형성되는 방법 그리고 화물 적재 바의 내부 표면이 형성되는 방식 또는 중간 부재가 형성되면 중간 부재가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웨지 기능이 화물 적재 바의 상부 및 하부 내부 표면들 및/또는 화물 적재 바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동작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크기의 광범위하게 상이한 차량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유연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캐리어 푸트는 슬레지(sledge)를 추가로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는 장력 부재의 동작 시에 슬레지 및 웨지 부재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도록 슬레지를 거쳐 그리고 장력 부재를 거쳐 슬레지와 협력하여 동작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실제로 슬레지와 웨지 부재 사이에 상대 운동이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클램핑 부재가 충분한 클램핑력을 축적할 정도로 충분한 거리만큼 슬레지가 변위되는 동안에, 웨지 부재가 클램핑 부재를 조이는 데 요구되는 대항력을 제공하도록 2개의 표면 사이에서 핀 결합(pinned) 즉 웨지 결합될 것만이 요구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슬레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화물 캐리어 푸트는 해제 가능한 클램핑 부재를 가짐으로써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슬레지가 대신에 장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경계 내에 있다. 클램핑 부재는 이처럼 제1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에 그리고 슬레지에 부착될 수 있거나 제1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에 및/또는 슬레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슬레지는 장력 부재가 연장되는 구멍 또는 슬롯(slot)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슬레지는 화물 캐리어 푸트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되지만, 슬레지는 다른 수단에 의해 변위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캐리어 푸트는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을 포함하고, 슬레지는 장력 부재를 동작시킬 때에 화물 캐리어 푸트의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 상에서 활주된다.
슬레지는 유리하게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C자형의 단면을 갖는 화물 캐리어 푸트의 일부 내에서 활주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장력 부재는 나사 등의 회전 가능한 장력 부재이다. 슬레지의 길이 방향 변위가 요구된 적절한 클램핑력을 제공하기만 하면, 장력 부재를 가압 또는 견인함으로써 동작되는 장력 부재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웨지 부재는 장력 부재와 나사산 결합되고, 그에 의해 화물 적재 바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른 장력 부재의 회전 시의 웨지 부재의 변위를 가능케 한다. 웨지 부재는 이처럼 장력 부재의 나사산 섹션과 협력하는 나사산 구멍을 포함한다. 나사산 연결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한 수준의 토크가 장력 부재를 거쳐 웨지 부재로 전달되게 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캐리어 푸트는 공동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공동은 화물 적재 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의 공동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에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푸트 예컨대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와 협력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로크 배열체는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1개의 일체형 재료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은 또한 화물 캐리어 푸트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그에 부착되는 별개의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캐리어 푸트의 본체와 일체로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화물 캐리어 푸트는 용이한 방식으로 폼 성형(form molded)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로크 배열체는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별개의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웨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을 포함한다. 슬레지 및 웨지 부재는 변위 중에 즉 장력 부재가 동작될 때에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의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 상에서 활주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들)의 활주 표면은 홈에 의해 형성된다. 홈은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 상에 배열되고, 일반적으로 웨지 부재가 오정렬 또는 핀칭(pinched)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지 부재를 안내하는 목적을 수행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클램핑 부재는 스트랩 요소(strap element)에 의해 또는 강성 브래킷 부재(rigid bracket member)에 의해 형성된다. 스트랩 요소 또는 강성 브래킷의 일부가 슬레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장력 부재는 나사 등의 회전 가능한 장력 부재이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캐리어 푸트는 본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것은 매우 적은 부품을 갖는 화물 캐리어 푸트를 제공하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조립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이다.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는 변형 후에 그 원래 형태로 복귀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에서,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 큰 정도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웨지 부재는 로킹 위치로의 변형 중에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제1항에 따른,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서의 또는 여기에서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적재 바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 중 적어도 하나는 화물 캐리어 푸트에 대해 복수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화물 적재 푸트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크기의 다양한 차량에 끼워지도록 조정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적재 루프 래크는 제1 및 제2 화물 적재 푸트에 대해 정상 상태 위치를 향해 화물 적재 바를 편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적재 바는 전방 내부 표면 및 후방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화물 적재 바의 전방 내부 표면 또는 후방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때에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화물 적재 바는 상부 내부 표면 및 하부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웨지 부재는 화물 적재 바의 상부 내부 표면 및 하부 내부 표면을 향해 힘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로크 배열체는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후방 내부 표면에 대해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화물 적재 바의 전방 내부 표면에 대해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더 상세하게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화물 적재 바를 부착 상태로 포함하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를 갖는 차량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2는 화물 적재 바가 없고 노출된 기구 그리고 차량의 레일(rail)의 일부가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캐리어 푸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화물 적재 바가 있고 노출된 기구 그리고 차량의 레일의 일부가 있는 상태의 도 2로부터의 화물 캐리어 푸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화물 적재 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3으로부터의 화물 캐리어 푸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로부터의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3으로부터의 화물 캐리어 푸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의 D-D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화물 적재 바의 제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의 본체의 공동을 향한 관점으로부터의 도 2로부터의 화물 캐리어 푸트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차량의 레일에 장착되기 전의 화물 캐리어 푸트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차량의 레일에 장착되기 전의 선 D2-D2를 따른 화물 캐리어 푸트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차량의 레일에 장착된 후의 도 10a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차량의 레일에 장착된 후의 선 D3-D3을 따른 도 10a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차량의 레일에 장착된 후의 도 10a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루프(11)를 갖는 차량(1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를 갖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가 루프(11)에 배열된다. 화물 적재 바(23)가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도 1에서 도면 부호 D에 의해 지시된 거리는 상이한 크기의 차량에 따라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를 조정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형태의 화물 적재 루프 래크에 적용될 수 있지만, 플러시형 화물 적재 루프 래크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플러시형 화물 적재 루프 래크는 일반적으로 크로스바의 단부가 루프의 레그(leg)를 넘어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크로스바의 각각의 단부가 그 단부에서 화물 적재 바(23)를 지지하는 루프 래크의 각각의 레그와 동일 높이에 있다는 것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루프 래크는 본 명세서에서 "플러시형 바" 루프 래크 또는 플러시형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로서 불린다. 플러시형 화물 적재 루프 래크의 화물 적재 바의 길이는 루프 래크가 부착될 차량의 폭보다 작다.
배향의 목적을 위해, 화물 적재 바(23)는 차량(10)의 루프(11)를 횡단하여 연장되는 길이 Ll, 높이 Hl 및 폭 Wl을 갖는다. 화물 적재 바(23)의 폭 Wl은 차량(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Z 축은 차량(10)의 높이 Hv 및 화물 적재 바(23)의 높이 Hl에 대응하고; X 축은 차량(10)의 폭 Wv 및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Ll에 대응하고; Y 축은 차량(10)의 길이 Lv 및 화물 적재 바(23)의 폭 Wl에 대응한다.
도 2는 제1 화물 적재 푸트(21)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고; 이후에서 화물 적재 푸트(21)로서만 불린다. 화물 적재 푸트(21)는 차량(10)의 제1 표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표면(25)을 갖는 본체(24)를 포함한다. 차량(10)의 제1 표면은 차량(10)의 루프(11)의 표면 또는 선택 사항으로 레일, 플러시형 레일 등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표면일 수 있다. 지지 표면(25)은 보유 배열체(30)와 협력하여 차량(10)에 화물 적재 푸트(21)를 보유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보유 배열체(30)는 클램핑 타입(clamping type) 예컨대 스트래핑 어라운드 타입(strapping around type) 또는 브래킷 타입(bracket type), 지점 고정물 타입(fix point type), 또는 임의의 다른 보유 기구 등의 상이한 타입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래핑 어라운드 타입 또는 스트랩 타입(strap type)의 보유 배열체가 설명될 것이다.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화물 적재 바(23)는 로크 배열체(40)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에 로킹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거리 D가 변화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로크 배열체(40)는 또한 요구되기만 하면 단일의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바(23)를 로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로크 배열체(40)는 로크 배열체(40)가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장력 부재(4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력 부재는 회전 가능한 부재 이러한 경우에 나사(42)이다.
장력 부재(41)는 웨지 부재(43)와 협력하여 동작된다. 장력 부재(41)가 동작될 때에, 웨지 부재(43)가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나사(42)의 경우에; 나사(42)가 회전될 때에, 웨지 부재(43)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장력 부재(41) 즉 나사(42)는 화물 적재 바(23)와의 조립 후에 나사(42)가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으로 즉 X 축 및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Ll을 따라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이것은 나사(42)가 회전 시에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Ll을 따른 방향으로 웨지 부재(43)를 변위시킬 수 있게 한다.
웨지 부재(43)는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에 중간 부재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와 협력하여 동작되도록 추가로 배열된다.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는 화물 적재 바(23)의 표면과 더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부재(44)가 화물 적재 바(23)의 표면과 적절하게 결합될 때에, 화물 적재 바(23)가 화물 캐리어 푸트(23)에 고정되어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와 화물 적재 바(23)의 표면 사이의 결합 수단은 마찰일 수 있다. 로킹 부재(44)가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의 마찰 및 로킹 능력을 개선하도록 플랜지(flange) 또는 주름형 표면(corrugated surface)과 협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웨지 부재(43)는 웨지 부재(43)의 변위 시에 협력하는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상에서 활주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43s)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활주 표면(43s)은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지만, 중간 재료 층 또는 중간 부재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웨지 부재(43)는 실질적으로 긴 평탄한 형태를 갖는다. 웨지 부재(43)의 긴 연장부는 조립 후에 Y 축 즉 화물 적재 바(23)의 폭 Wl을 따라 연장된다. 웨지 부재(43)의 평탄한 형태는 화물 적재 바(23)의 제한된 높이 Hl로 인해 유리하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지 부재(43)는 웨지 부재(43)의 제1 및 제2 단부에 배열되는 2개의 활주 표면(43s)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웨지 부재(43)의 중심에 그리고 2개의 활주 표면(43s) 사이에 장력 부재(41) 이러한 경우에 나사(42)가 나사산 결합되는 나사산 구멍이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웨지 부재(43)의 활주 표면이 웨지 부재(43)의 다른 부분 또는 섹션 상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는 도 2에서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은 화물 적재 바(23)의 폭 Wl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된다. 이것은 화물 적재 바(23)가 매우 작은 높이 Hl로써 제조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결국 차량(10)을 주행시킬 때에 바람 저항을 감소시킨다.
화물 캐리어 푸트(21)에는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 선택 사항으로 적어도 2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가 배열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지 부재(43)는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사이에서 연장된다. 웨지 부재(43)가 변위될 때에,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양쪽 모두가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에 각각 인접하도록 변위된다.
도 3은 화물 적재 바(23)와의 조립 후의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도시하고 있다. 명료화를 위해, 기구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화물 적재 바(23)는 압출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캐리어 푸트를 사용하면, 화물 적재 바가 화물 캐리어 푸트에 부착될 특정한 개구 또는 공동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화물 적재 바(23)는 예컨대 압출 중에 또는 압출 부품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후에 마스터 부품(master piece)으로부터 화물 적재 바를 절단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화물 적재 바의 제조를 단순화시켜 그 비용을 감소시킨다.
화물 적재 바(23)는 다양하게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화물 적재 바(23)의 단면도이다. 관찰되는 것과 같이, 단면은 화물 적재 바(23)에 날개형 프로파일을 제공하여 바람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액적 형태로 형성된다. 화물 적재 바(23)는 외부 표면(26) 및 내부 표면(27)을 갖는다. 화물 적재 바(23)의 높이 Hl 및 폭 Wl이 화살표로써 도시되어 있다.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27)은 전방 내부 표면(28) 및 후방 내부 표면(29)을 갖고, 내부 표면은 상부 내부 표면(27u) 및 하부 내부 표면(27l)을 추가로 갖고, 하부 내부 표면은 차량에 의도된 것과 같이 장착된 후에 상부 내부 표면(27c)보다 차량 루프에 근접하도록 의도된다. 전방 내부 표면(28)은 사용 중에 즉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가 차량(10)과 조립된 후에 주 주행 방향을 향해 그에 따라 차량(10)의 전방을 향해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후방 내부 표면(29)은 사용 중에 즉 화물 적재 루프 래크(10)가 차량(10)과 조립된 후에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도 5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섹션 C-C를 따른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단면도이다. 화물 적재 바(23)는 각각이 림(rim)(23r)(그 중 하나만이 도6에 도시되어 있음)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단부(23a, 23b)를 갖는다.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의 림(23r)은 도 5-8에 도시되어 있고, 제1 단부(23a)에서 슬릿 또는 절결부가 없으므로, 림(23r)은 도 6 및 8에서 일점쇄선에 의해 지시된 단일 평면 P를 한정한다. 로크 배열체(40)는 화물 적재 바(23)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단일 평면 P를 통해 연장되고 그에 따라 단일 평면 P와 교차된다. 로크 배열체(40)는 이처럼 도 6-8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로부터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보이드(interior void) 내로 연장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지 부재(43)가 변위될 때에,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양쪽 모두가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 이러한 경우에 전방 내부 표면(28) 및 후방 내부 표면(29)에 각각 인접되도록 변위된다. 그러나, 화물 운반 바(23)의 단면은 예컨대 화물 적재 바(23)에 강성을 제공하도록 1개 이상의 내부 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중 적어도 하나가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벽인 것으로 또한 간주되는 화물 적재 바(23)의 구획 벽에 인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일 수 있다. 용어 "변형 가능한"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화물 적재 바(23)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28, 29)에 인접되도록 웨지 부재(43)가 변위될 때에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각각은 제1 및 제2 단부(50a, 50b, 51a, 51b)를 갖는 긴 본체(50, 51)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1 단부(50a, 51a)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와 합체된다. 웨지 부재(43)가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를 향해 변위됨에 따라, 제2 단부(50b, 51b)가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27)에 인접되도록 변위되고, 한편 제1 단부(50a, 51a)는 상당한 정도로 변위되지 않는다. 웨지 부재(43)가 장력 부재(41)를 사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즉 화물 적재 바(23)의 제2 단부(23b)를 향해 변위되면,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가 화물 적재 바(23)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28, 29)과 결합 해제되어 그 원래 위치로 복귀될 것이다.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변형은 이처럼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가 제조되는 재료의 탄성에 의존한다. 적절한 재료는 1개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 보강 열가소성 재료 등의 탄소 섬유 보강 재료, 유리 섬유 등일 수 있다. 스프링강, 알루미나 등의 금속이 또한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웨지 부재(43)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사이에서 연장되고, 변위 중에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상에 각각 배열되는 제1 및 제2 활주 표면(60, 61) 상에서 활주된다. 웨지 부재(43)는 이처럼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상에 배열된 제1 및 제2 활주 표면(60, 61) 사이에서 연장된다.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각각은 제1 및 제2 부분(44a, 44b, 45a, 45b)을 포함한다. 제1 부분(44a, 45a)은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2 부분(44b, 45b)보다 큰 거리만큼 변위 또는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웨지 부재(43)는 로킹 위치를 향해 변형 중에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1 부분(44a, 45a)으로부터 제2 부분(44b, 45b)으로의 방향으로 그리고 로킹 해제 위치를 향해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위치에 도달될 때에, 웨지 부재(43)가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에 의한 추가의 이동 그리고 화물 적재 바(23)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28, 29)과의 그 상호 작용이 물리적으로 제한된다.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서로와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와 일체형 재료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에 별개의 재료 부품으로서 부착될 수 있다.
장력 부재(41)는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레지(70)와 협력한다. 슬레지(70)는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에 대해 그리고 웨지 부재(43)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관찰되는 것과 같이, 슬레지(70)는 장력 부재(41)의 동작 중에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를 따라 연장되는 활주 표면(60, 61) 상에서 활주되고 그에 따라 웨지 부재(43)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슬레지(70) 및 웨지 부재(43)는 (도 9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된) 동일한 평면 P2에서 정렬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평면 P2는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1 및 제2 홈(62, 63)에 의해 한정되고, 그와의 조립 후에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Ll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장력 부재(41)는 웨지 부재(43)와 슬레지(70) 사이에서 연장되고, 웨지 부재(43) 및 슬레지(70)와 협력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력 부재(41)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42)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사(42)는 이러한 경우에 슬레지(70) 상의 개구(71)를 통해 삽입되는 스위블 연결(swivel connection)로써 슬레지(70)와 연결되면서 웨지 부재(43)와 나사산 결합되고, 그에 의해 나사(42)의 헤드와 함께 스위블 연결을 제공한다.
도 9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제1 및 제2 활주 표면(60, 61)은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내의 제1 및 제2 홈(62, 63) 내에 각각 배열된다. 제1 및 제2 홈(62, 63)은 변위 중에 웨지 부재(43)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웨지 부재(43)가 오정렬될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 내에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홈 대신에, 안내 핀 또는 안내 벽이 가능하다.
화물 적재 푸트(21)의 본체(24)는 예컨대 도 3, 5 및 7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조립 후에 화물 적재 바(23)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 푸트(21)의 본체(24)는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가 삽입될 수 있는 도 9에 더 명확하게 도시된 공동(8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화물 적재 푸트(21)에 화물 적재 바(23)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의 공동(80)과 함께 변형 가능한 슬롯 부분(81)을 형성한다. 공동(80)은 단독으로 또는 로크 배열체(40)의 일부와 함께 화물 적재 바(23)에 안내 기능 또는 안내 배열을 제공한다. 이러한 안내 기능은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때에 유리하다.
조립 중에, 화물 적재 바(23)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또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의 제조 중에 공장 환경에서 화물 적재 푸트(21)의 공동(80) 내로 삽입된다.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는 그 후에 차량(10)의 루프(11)를 횡단하여 위치되고,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의 지지 표면(25)은 차량(10)의 적절한 표면 상에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10)의 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도 2 및 8에서 추가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제1 및 제2 단부(91, 92)를 갖는 스트랩 요소(90a)가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10)에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스트랩 요소(90a)의 제1 단부(91)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에 부착되고, 제2 단부(92)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슬레지(70)에 분리 가능하게 배열된다.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의 레일 주위에 스트랩 요소(90a)를 포위하고 그 후에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슬레지(70)에 스트랩 요소(90a)의 제2 단부(92)를 부착함으로써 차량(10)에 부착된다. 스트랩 요소(90a)는 또 다른 요소 주위에 포위 또는 절첩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가요성이다. 스트랩 요소(90a)는 탄성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스트랩 요소(90a)는 바람직하게는 매우 높은 하중을 허용하도록 보강된 강철 와이어이다.
클램핑 부재(90)는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는 복수개의 사전 한정 위치(101, 102, 103, 104)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에 부착될 수 있다. 사전 한정 위치는 클램핑 부재(90) 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 부재(90)가 주로 적절한 길이로 조정되게 하고, 그에 의해 레일 주위에 포위되게 한다. 클램핑 부재(90)의 길이가 조정된 때에, 클램핑 부재가 슬레지에 부착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차량에 화물 캐리어 푸트를 부착하도록 조여질 수 있다.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차량의 선택된 표면 예컨대 레일 상에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지지 표면(25)을 위치시킴으로써 예컨대 레일에 장착되고, 길이는 선택된 차량에 끼워지도록 적절한 길이로 화물 캐리어 푸트(2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2)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된다. 편의 부재(96)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97)이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정상 상태 위치로 화물 적재 바를 자동적으로 조정한다.
장력 부재(41) 즉 나사(42)가 회전됨에 따라, 슬레지(70)가 도 2에서 화살표 A2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스트랩 요소(90a)를 조이도록 웨지 부재(43)를 향해 변위되고, 일부 지점에서 스트랩 요소(90a)가 추가로 조여질 수 없다. 슬레지(70)는 스위블 연결부에서 나사(42)를 제한하고, 웨지 부재(43)는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가 화물 적재 바(23)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28, 29)에 인접되는 제2 위치로 변위되었다. 웨지 부재(43)의 변위 중에,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2 단부(50b, 51b)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변형된다.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의 제2 단부(50b, 51b)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제2 단부(50b, 51b)가 결국 화물 적재 바(23)의 전방 및 후방 내부 표면(28, 29)에 인접되고 그에 따라 화물 적재 푸트(21)에 화물 적재 바(23)를 고정할 것이다.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이처럼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에 화물 적재 바(23)를 고정하는 작업 또는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표면(27)으로부터 제1 및 제2 변형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를 결합 해제하는 작업 중 어느 한쪽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나사(42)가 회전될 때에 동시에 변형된다.
차량(10)의 루프(11)에 화물 적재 푸트(21)를 고정하는 스트랩 요소(90a) 대신에, 클램핑 브래킷이 사용될 수 있다. 클램핑 브래킷은 대개 화물 캐리어 푸트의 지지 표면과 협력하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고정하도록 클램핑 브래킷의 일부와 지지 표면 사이에 클램핑력을 부여한다.
스트랩 요소 및 클램핑 브래킷에 대한 대체물로서, 화물 캐리어 푸트는 지점 고정물 예컨대 나사를 사용하여 차량(10)에 부착될 수 있다. 장력 부재(41) 및 나사(42)는 그 경우에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에 스위블 연결로써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본체(24)에는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가 삽입될 수 있는 공동이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는 사용 중에 화물 적재 바 지지 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화물 적재 바(23)의 제1 단부(23a)는 여전히 로크 배열체(40)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위한다.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의 제2 화물 적재 푸트(22)는 제1 화물 캐리어 푸트(21)와 동일한 타입으로 되어 있거나 선택 사항으로 종래의 타입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개별의 변형이 또한 가능하다.
도 10a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대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특징부에 사용된다. 화물 적재 바의 일부가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특징부를 더 명확하게 보여주도록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0b는 선 D2-D2를 따른 도 10a의 단면도이다. 도 10a-10b를 참조하면,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차량(10)의 제1 표면에 대해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지지 표면(25)을 갖는 본체(24)를 포함한다. 차량(10)의 제1 표면은 차량(10)의 루프(11)의 표면 또는 선택 사항으로 레일, 플러시형 레일 등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표면일 수 있다. 지지 표면(25)은 보유 배열체(30)와 협력하여 (도 1에 도시된) 차량(10)에 화물 적재 푸트(21)를 보유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랩 요소(90a)의 형태로 되어 있는 클램핑 부재(90)가 차량(10)에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보유하는 데 사용된다.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화물 적재 바(23)가 로크 배열체(40)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에 로킹될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사이의 (도 1에서 지시된) 거리 D가 변화될 수 있게 즉 변동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로크 배열체(40)는 또한 요구되기만 하면 단일의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바(23)를 로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로크 배열체(40)는 로크 배열체(40)가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장력 부재(41)를 포함한다. 도 10a-1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력 부재는 회전 가능한 부재 이러한 경우에 나사(42)이다.
장력 부재(41)는 웨지 부재(43)와 협력하여 동작된다. 장력 부재(41)가 동작될 때에, 웨지 부재(43)가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변위된다. 나사(42)의 경우에; 나사(42)가 회전될 때에, 웨지 부재(43)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변위된다. 웨지 부재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력 부재(41) 이러한 경우에 나사(42)가 협력 방식으로 연장되는 나사산 구멍을 포함하는 바(43b)에 의해 형성된다. 장력 부재(41) 즉 나사(42)는 화물 적재 바(23)와의 조립 후에 나사(42)가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으로 즉 화물 적재 바(23)의 (도 1에 도시된) X 축을 따라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이것은 나사(42)가 회전 시에 화물 적재 바(23)와 평행한 방향으로 웨지 부재(43)를 변위시켜 결합 방식으로 화물 적재 바(23)와 상호 작용하고 그에 의해 화물 적재 바(23)에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로킹할 수 있게 한다.
장력 부재(41)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레지(70)와 또한 협력한다. 슬레지(70)는 웨지 부재(43) 및 화물 캐리어 푸트(21)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관찰되는 것과 같이, 슬레지(70)는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 연장부 L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주 표면 상에서 활주되도록 배열된다. 슬레지(70) 및 웨지 부재(4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정렬된다. 장력 부재(41)는 웨지 부재(43)와 슬레지(70) 사이에서 연장되고, 웨지 부재(43) 및 슬레지(70)와 협력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력 부재(41)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42)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사(42)는 이러한 경우에 슬레지(70) 상의 개구(71)를 통해 삽입되는 스위블 연결로써 슬레지(70)와 연결되면서 웨지 부재(43)와 나사산 결합되고, 그에 의해 나사(42)의 헤드와 함께 스위블 연결을 제공한다. 슬레지(70)는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에 연결되어 차량에 예컨대 차량의 레일에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부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웨지 부재(43)는 웨지 부재(43)의 변위에 의해 부여되는 힘 성분 F를 나타내는 도 10b에서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화물 적재 바(23)의 상부 및 하부 내부 측면(27u, 27i)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힘 성분 F는 이처럼 화물 적재 바(23)의 Z 축 및 높이 Hl의 방향으로 부여된다. 도 10b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웨지 부재(43)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웨지 부분(144)을 포함한다.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이처럼 웨지 부재(43)와 화물 적재 바의 내부 표면 사이에 중간 부재를 형성한다. 웨지 부분(144)은 장력 부재(41)가 슬레지(70)를 향한 방향으로 웨지 부재(43)를 변위시킴에 따라 웨지 부재(43)와 핀 결합되는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측의 이용 가능한 높이를 계속하여 감소시킨다.
장력 부재(41)가 회전됨에 따라, 슬레지(70)가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Ll을 따라 (도 1에서 관찰되는)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2)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된다.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는 이처럼 조여져 레일에 대한 견고한 파지를 제공한다.
도 11a-11c는 장력 부재(41)가 조여진 후의 도 10a의 화물 캐리어 푸트(21)를 도시하고 있다. 웨지 부재(43)는 이제 보유 위치 즉 웨지 부재(43)가 화물 적재 푸트(21)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 즉 고정하는 위치에 있다. 화물 적재 바는 이처럼 변위로부터 로킹되고 즉 로킹 위치에 있다. 화물 적재 바(23)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특징부를 더 양호하게 보여주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도 11b는 선 D3-D3을 따른 도 11a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사시도이다. 언급된 것과 같이, 화물 캐리어 푸트(21)는 화물 캐리어 푸트(21)의 내부를 더 양호하게 시각화하도록 커버 또는 하우징이 없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a는 도 10a와 비교될 때에 웨지 부재(43)와 슬레지(7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 것을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슬레지(70)는 차량의 레일 R에 대해 포위되는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를 조이도록 변위되었다.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는 후크형 돌출부(hook like protrusion)(72)에 의해 슬레지(70)에 후크 결합되는 클램핑 부재(90) 내의 2개의 구멍(95)을 거쳐 슬레지(7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0b를 재차 참조하면, 클램핑 부재(90) 이러한 경우에 스트랩 요소(90a)는 복수개의 사전 한정 위치(101, 102, 103, 104)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에 부착될 수 있다. 사전 한정 위치는 클램핑 부재(90) 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 부재(90)가 주로 적절한 길이로 조정되게 하고, 그에 의해 레일 주위에 포위되게 한다. 클램핑 부재(90)의 길이가 조정된 때에, 클램핑 부재가 슬레지에 부착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차량에 화물 캐리어 푸트를 부착하도록 조여질 수 있다.
언급된 것과 같이, 웨지 부재(43)는 실질적으로 화물 적재 바(23)의 단부(23r)에 대해 도 10a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웨지 부재(43)는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의 상부 측면(27i)을 향해 웨지 결합될 정도로 충분한 짧은 거리만큼만 변위된다. 화물 적재 바(23)의 단면은 예컨대 화물 적재 바(23)에 강성을 제공하도록 1개 이상의 내부 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웨지 부재(43)가 화물 적재 바(23)의 내부 벽으로서 또한 간주되는 화물 적재 바(23)의 구획 벽에 인접되는 것이 가능하고, 중요한 사항은 웨지 부재(43)에 의해 부여되는 힘 성분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바(23)의 높이 Hl을 따라 유도된다는 것이다.

Claims (24)

  1. 차량(10)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를 위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로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는 길이 방향 연장부(Ll), 높이(Hl) 및 폭(Wl)을 갖는 화물 적재 바(23)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는 차량(10)의 제1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지지 표면(25)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로킹하는 로크 배열체(40)를 포함하고, 로크 배열체(40)는 웨지 부재(43)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는 보유 위치로 적어도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 연장부(Ll)를 따라 웨지 부재(43)를 변위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장력 부재(42)를 포함하고, 보유 배열체(30)가 차량(10)에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를 보유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있어서,
    로크 배열체(40)의 장력 부재(42)는 추가로 상기 보유 배열체(30)를 동작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
  2. 제1항에 있어서, 웨지 부재(43)의 변위 시에, 웨지 부재(43)는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바(23)의 적어도 1개의 내부 표면(27, 27u, 27i, 28, 29)에 인접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웨지 부재(43)의 변위 시에, 웨지 부재(43)는 화물 적재 바(23)의 적어도 1개의 내부 표면(27, 27l, 27u, 28, 29)을 향해 중간 부재와 웨지 결합되고 그에 의해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도록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의 일부 등의 중간 부재에 인접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4. 제3항에 있어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의 중간 부재는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에 의해 형성되고,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는 제1 부분(44a, 45a) 및 제2 부분(44b, 45b)을 포함하고, 제1 부분(44a, 45a)은 제2 부분(44b, 45b)보다 큰 거리만큼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웨지 부재(43)는 보유 위치를 향한 변위 중에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의 제1 부분(44a, 45a)으로부터 제2 부분(44b, 45b)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지 부재(43)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웨지 부재(43)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도록 화물 적재 바(23)의 높이(Hl)를 따라 및/또는 화물 적재 바(23)의 폭(Wl)을 따라 힘 성분을 부여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배열체(30)는 클램핑 부재(90)를 포함하고, 클램핑 부재(90)는 장력 부재(42)를 동작시킬 때에 차량(10)의 제1 표면과 클램핑 부재(90) 사이에 클램핑력을 부여하고 그에 의해 차량(10)에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7. 제6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90)는 슬레지(70)를 거쳐 동작 가능하고, 웨지 부재(43)는 장력 부재(41)의 동작 시에 슬레지(70) 및 웨지 부재(43)가 서로에 대해 변위되도록 장력 부재(41)를 거쳐 슬레지(70)와 협력하여 동작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8. 제7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90)의 적어도 일부가 슬레지(7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슬레지(70)는 장력 부재(41)가 연장되는 구멍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레지(70)는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는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61, 62)을 포함하고, 슬레지(70)는 장력 부재(41)를 동작시킬 때에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의 적어도 1개의 활주 표면(61, 62) 상에서 활주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의 활주 표면은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레지(70)는 실질적으로 C자형의 단면을 갖는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의 일부 내에서 활주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레지(70)는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 연장부(Ll)를 따라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90)는 제1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그리고 슬레지(70)에 부착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90)는 제1 위치에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및/또는 슬레지(7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 부재(41)는 나사(42) 등의 회전 가능한 장력 부재인 화물 캐리어 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웨지 부재(43)는 장력 부재(41)와 나사산 결합되고, 그에 의해 화물 적재 바(23)의 길이 방향 연장부(Ll)를 따른 장력 부재(41)의 회전 시의 웨지 부재(43)의 변위를 가능케 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보유 배열체(30)는 슬레지(70)를 거쳐 동작 가능하고, 회전 가능한 장력 부재는 스위블 연결을 거쳐 슬레지(70)에 연결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물 캐리어 푸트(21, 22)는 공동(80)을 갖는 본체(24)를 포함하고, 공동(80)은 화물 적재 바(2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캐리어 푸트.
  21. 제20항에 있어서, 본체(80)의 공동(80)은 로킹 위치에서 화물 적재 푸트(21, 22)에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도록 적어도 1개의 변위 가능한 로킹 부재(44, 45)와 협력하는 화물 캐리어 푸트.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그리고 화물 적재 바(23)를 포함하는 차량(10)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화물 캐리어 푸트(21, 22) 중 적어도 하나는 화물 캐리어 푸트(21, 22)에 대해 복수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화물 적재 바(23)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화물 적재 푸트(21, 22)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크기의 차량에 끼워지도록 조정될 수 있게 하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화물 적재 바(23)는 상부 내부 표면(27u) 및 하부 내부 표면(27l)을 포함하고, 웨지 부재(43)는 화물 적재 바(23)의 상부 내부 표면(27u) 및 하부 내부 표면(27l)을 향해 힘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 루프 래크(20).
KR1020147006595A 2011-09-16 2012-08-01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KR10162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1665.8 2011-09-16
EP11181665.8A EP2570304B1 (en) 2011-09-16 2011-09-16 A load carrier foot for a vehicle roof rack
PCT/EP2012/065015 WO2013037558A1 (en) 2011-09-16 2012-08-01 A load carrier foot and a load carrying roof rack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ad carrier f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414A true KR20140051414A (ko) 2014-04-30
KR101629114B1 KR101629114B1 (ko) 2016-06-09

Family

ID=4660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595A KR101629114B1 (ko) 2011-09-16 2012-08-01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21918B2 (ko)
EP (2) EP2570304B1 (ko)
JP (1) JP5883934B2 (ko)
KR (1) KR101629114B1 (ko)
CN (1) CN103857561B (ko)
AU (1) AU2012307737B2 (ko)
BR (1) BR112014005814B1 (ko)
CA (1) CA2847043C (ko)
WO (1) WO20130375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533A (ko) * 2018-07-02 2021-03-09 툴레 스웨덴 에이비 화물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0304B1 (en) 2011-09-16 2017-06-14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for a vehicle roof rack
US9085266B2 (en) * 2013-12-02 2015-07-21 Pu-Lun Chang Structure of roof rack
DE102016221726A1 (de) 2016-11-07 2018-05-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dachträgerfuß, hiermit ausgestatteter Dachträger sowie hier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DE102016223890B4 (de) 2016-12-01 2023-1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achbox mit Blende sowie hier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CN108128254B (zh) * 2017-12-06 2024-04-05 温州市路搏汽车配件有限公司 车载行李架横杆组件
EP3501904B1 (en) * 2017-12-19 2020-10-1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foot
PL3552881T3 (pl) * 2018-04-11 2020-11-02 Thule Sweden Ab Bagażnik
EP3594065B1 (en) * 2018-07-13 2020-11-0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USD929930S1 (en) * 2019-04-18 2021-09-07 Hyundai Mobis Co., Ltd. Roof cross bar for vehicle
US10773655B1 (en) * 2019-05-15 2020-09-15 Strona Industrial Inc. Vehicle roof rack structure
US11299104B1 (en) 2020-11-25 2022-04-12 Dus Operating Inc. Universal crossmember assembly for a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US11577658B2 (en) 2020-11-25 2023-02-14 Plasman Us Holdco Llc Crossmember assembly with a scotch yoke for an adjustable roof rack of a motor vehicle
DE102021107430A1 (de) 2021-03-24 2022-09-29 Thule Sweden Ab Lastenträgerfuß und Lastenträgeranordnung
CZ2021528A3 (cs) 2021-11-23 2022-11-23 Acl Technology S.R.O. Profil příčného nosiče, zejména pro připevnění k podélným střešním nosičům dopravních prostředk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944A (ja) * 1999-07-16 2001-02-20 Fabio Pedrini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ア
WO2004024506A1 (en) * 2002-09-13 2004-03-25 Mont Blanc Industri Ab Load carrier device for vehicles
JP2009190721A (ja) * 2008-02-12 2009-08-27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ループキャリアクロス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7459A1 (de) * 1972-06-06 1973-12-20 Herbert Dipl Ing Lucke Anordnung zum unterbringen von gepaeck auf einem dachstaender eines kraftfahrzeuges
JPH07132778A (ja) * 1992-07-13 1995-05-23 Fabio Pedrini 自動車の屋根用荷物キャリヤー
FR2723046B1 (fr) * 1994-07-27 1996-09-20 Peugeot Dispositif de support de charge, formant notammentgalerie porte-bagages pour toit de vehicule automobile
US5806735A (en) * 1995-09-26 1998-09-15 Industri Ab Thule Load carrier
US5685686A (en) * 1996-03-22 1997-11-11 Yakima Products Article-carrying rack and mount for mounting the same
DE10012905A1 (de) 2000-03-16 2001-09-20 Anton Lechner Dachträger für Fahrzeuge
NZ520043A (en) * 2002-08-09 2005-04-29 Hubco Ind Ltd Vehicle roof rack
CN2883086Y (zh) * 2006-01-18 2007-03-28 马永涛 防盗夹紧支架
SE0701110L (sv) * 2007-05-09 2008-11-10 Thule Sweden Ab Lasthållarfot för fastspänning av en lasthållare
US8393508B2 (en) * 2008-06-23 2013-03-12 Yakima Products, Inc. Rack tower for securing crossbars on top of a vehicle
CN201176143Y (zh) * 2008-07-02 2009-01-07 马永涛 汽车行李架
EP2570304B1 (en) 2011-09-16 2017-06-14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for a vehicle roof r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944A (ja) * 1999-07-16 2001-02-20 Fabio Pedrini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ア
WO2004024506A1 (en) * 2002-09-13 2004-03-25 Mont Blanc Industri Ab Load carrier device for vehicles
JP2009190721A (ja) * 2008-02-12 2009-08-27 Hyundai Motor Co Ltd 車両用ループキャリアクロス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533A (ko) * 2018-07-02 2021-03-09 툴레 스웨덴 에이비 화물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4850A1 (en) 2014-08-14
EP2755863B1 (en) 2017-01-18
CN103857561B (zh) 2016-08-31
US9421918B2 (en) 2016-08-23
WO2013037558A1 (en) 2013-03-21
AU2012307737A1 (en) 2014-03-06
KR101629114B1 (ko) 2016-06-09
CA2847043A1 (en) 2013-03-21
CN103857561A (zh) 2014-06-11
BR112014005814B1 (pt) 2020-12-15
EP2755863A1 (en) 2014-07-23
CA2847043C (en) 2020-03-24
BR112014005814A2 (pt) 2017-03-28
EP2570304B1 (en) 2017-06-14
JP2014526414A (ja) 2014-10-06
AU2012307737B2 (en) 2016-10-06
EP2570304A1 (en) 2013-03-20
JP5883934B2 (ja) 2016-03-15
RU2014114936A (ru) 201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114B1 (ko) 화물 캐리어 푸트 그리고 화물 캐리어 푸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화물 적재 루프 래크
CN106608216B (zh) 包含标准接口板连接的棘轮栓系装置
US7845887B2 (en) Vehicle rail clamp mount
US9713987B2 (en) Carrier basket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a carrier basket net
US6336580B1 (en) Vehicle load carrier and fastening mechanism
US9022264B2 (en) Reconfigurable roof rack attachment assembly for a vehicle
JP6552958B2 (ja) スキーキャリアクランプ
KR20060117193A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
US8235266B2 (en) Rack strap extension systems for vehicle bike racks
US20180222531A1 (en) Roof structure with integrated roof rack and accessory attachment assemblies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20070286697A1 (en) Multi-channel cross bar for a vehicle cargo management system
US7213730B2 (en) Vehicle roof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cross rail
CA2825604C (en) Roof rack with an indication device for a load carrier foot
JPH06299743A (ja) シャクルロック用ホルダ
US10336238B2 (en) Truck bed rear cargo tie down engagement structure
CN210652909U (zh) 一种锁定件及具有锁定件的安装架
US20020069928A1 (en) Thread guide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RU2588393C2 (ru) Грузонесущая опора и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крыше,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а, включающий грузонесущую опору
US9132767B2 (en) Cargo catch
KR0134160Y1 (ko) 루프캐리어 체결 브래킷
CN112208448A (zh) 一种锁定件及具有锁定件的安装架
KR20230073769A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루프랙용 가로바
KR200412694Y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마운팅용 그로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