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72A -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72A
KR20140050872A KR1020120117242A KR20120117242A KR20140050872A KR 20140050872 A KR20140050872 A KR 20140050872A KR 1020120117242 A KR1020120117242 A KR 1020120117242A KR 20120117242 A KR20120117242 A KR 20120117242A KR 20140050872 A KR20140050872 A KR 2014005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oid derivative
composition
cream
rti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현
이소연
유병삼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0872A/ko
Publication of KR2014005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는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진피의 섬유아세포 및 피부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률을 현저히 증가시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MPRISING RETINOIDS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을 저해하고, 손상된 부위의 세포 이동을 증진하여 상처 조직의 재상피화를 촉진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또는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이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그리고, 피하(hypodermis)로 나누어진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생체의 자연 치유 작용에 의해 상처자리를 혈액이 채우게 되고 혈소판의 과립감소와 하게만 인자(hageman factor)의 활성화가 시작되어 상처 치유 과정이 진행된다. 혈액의 응고는 임시 방어 작용으로서, 노출된 상처 조직들을 보호하고 치유 과정 동안 세포들이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상처 치유 과정은 크게 염증기, 재상피화기, 증식기 및 성숙기의 4단계로 구분된다. 염증기 동안에는 상처 자리에 면역 세포들이 출현하는데, 이 세포들은 혈관으로부터 상처 부위로 이동한 것이다. 이어 과립조직 형성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와 신호전달 물질들이 분비된다. 중대한 감염이 없는 상태에서는 염증기가 일반적으로 짧게 진행된다. 염증기는 상처치료 과정에 꼭 필요한 단계이다. 증식기는 재상피화기와 비슷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상처 부위에서 과립 조직들이 형성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과립조직들은 섬유아세포(fibroblasts) 및 염증성 세포 (inflammatory cells)와 함께 미성숙 콜라겐(immaturity collage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의 세포외기질 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과립조직들이 상처부분을 빠르게 채우고 조직적인 구조를 갖추는 것이 상처치료에 중요하다. 벗겨진 상처 표면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층에 의해 덮이면서 새로운 표피가 생성되고 상피층이 재건되게 된다. 세포들은 상처 가장자리 또는 남겨진 피부의 진피 잔여물에서 상처를 통하여 떠올라 딱지 아래와 살아있는 결합 조직 위를 통하여 이주를 시작한다.
상처의 재상피화가 완료되면 결합조직의 증가와 재편성을 통해 상처 면적이 감소되는 일련의 과정들이 진행된다. 그 후, 성숙기 동안에는 회복기 조직의 엉긴 세포들과 모세혈관들이 조금씩 사라지며 이런 조직들이 과형성되거나 정상적으로 분해되지 않을 경우 흉터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일반적인 상처치료 과정이다. 상처 치유과정에서는 상처를 빠르게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작용이나 흉터 없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염증의 억제와 성장 인자들의 발현 조절을 통해 조직세포들이 균형 있게 채워져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물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9119호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피부내 세포성장인자인 EFG(Epidermal growth factor) 및 FGF(Fibroblast growth factor)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고, 각질형성세포의 증식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보습효과가 뛰어난,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630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상처 치유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레티놀로부터 합성된 신규한 레티노이드 유도체가 진피와 표피층의 세포 이동을 증진하여 상처 조직의 재상피화를 촉진함으로써 상처 치유 효과가 뛰어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을 저해하고, 손상된 부위의 세포 이동을 증진하여 상처 조직의 재상피화를 촉진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티노이드 유도체는 진피와 표피층의 세포 이동을 증진하여 상처 조직의 재상피화를 촉진하고,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을 저해하여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처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진피층의 상처 치유 측정법(in vitro wound healing assay)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1,5-비스 레틴아미도 2-메틸 펜탄 처리농도에 따른 진피층의 세포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이주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표피층의 상처 치유 측정법(in vitro wound healing assay)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1,5-비스 레틴아미도 2-메틸 펜탄 처리농도에 따른 표피층의 세포인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이주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함유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레티노이드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기이고 R2 수소의 1,5-비스 레틴아미도 2-메틸 펜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Y는 히드록시 또는 할로겐이고,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이다.)
Y가 히드록시인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용매 중에서 축합제 및 유기 아민 촉매의 존재 하에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축합제로 N,N,N',N'-테트라메틸-(벤조트리아졸-1-일)-우로니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EDC),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C) 또는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유기 아민 촉매로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또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로는 무수 유기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통상 질소 대기 하에서 빛과 수분이 차단된 상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 내지 가온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Y가 할로겐인 경우,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용매 중에서 유기 아민의 존재 하에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염기로 작용하는 유기 아민으로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로는 무수 유기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유기아민은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 당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통상 질소 대기 하에서 빛과 수분이 차단된 상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 내지 가온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Y가 할로겐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레티노인산을 삼염화인, 티오닐클로라이드 및 옥살릴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겐화제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의 분리, 정제 방법, 예를 들어 재결정이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진피와 표피층의 세포 이동을 증진하여 상처 조직의 재상피화를 촉진하고,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을 저해하여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한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또는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으로 외용액제, 에멀젼, 연고제 등의 경피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 상기 화학식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한다. 이렇게 제조된 약학조성물은 1회 당 0.00001㎎/㎏ 내지 400㎎/㎏의 유효함량으로 사용하고,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최소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레티노이드 유도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5- 비스 레틴아미도 2- 메틸 펜탄의 합성
Figure pat00005
레틴인산 35 g(0.0116 mol)을 무수 톨루엔 150 ㎖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삼염화인(PCl3) 16.3 g(0.0116 mol)을 적가하고 상온에서 빛과 수분을 차단한 채 질소 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레티노인산클로라이드 용액을 2-메틸-1,5-디아미노펜탄 6.77 g(0.058 mol) 및 트리에틸아민 11.8 g(0.117 mol)이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 ㎖에 용해된 용액에 얼음 냉각하에서 30분간 적가해준 후 계속해서 5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250 ㎖에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SiO2, 200~400 메쉬, 에탈아세테이트/헥산=1:3, v/v)하여 표제화합물 56.1 g(수욜 : 71%)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섬유 아세포의 이주능 ( migration ) 확인
1-1.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의 배양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는 Gibco사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DMEM 배지(Gibco사) 중에서 37 ℃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부착된 세포들이 80% 합류(confluence) 때까지 유지하고 80 % 합류시기에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합류 때까지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상기 계대 배양은 배양액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하고 0.25 % 트립신-EDTA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한 후, 세포 수를 측정하고, 배양액에서 다시 3 배로 계대 배양하였다.
1-2. 피부 섬유 아세포의 이주능 ( migration ) 측정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 (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섬유아세포 1 X 106를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켰다. 각각의 웰을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마이크로 팁(micro tip)을 이용하여 세포에 상처를 만들어 긁힘 손상을 유도하였다. 세포층을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 처리(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 0.1, 1, 10 ug/mL 처리군)한 배양 배지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긁힘 상처가 회복되는 정도를 마이크로이미지 비디오 카메라(Boyertown, PA)가 장착된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녹이는데 사용한 DMSO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레티놀 및 레티노산을 각각 동량 처리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대조군이 처리된 세포의 상처는 24 시간 후에 상대적으로 치유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는데 반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0.1 ug/mL, 1 ug/mL, 5ug/mL 농도처리된 세포에서는 상처 가장자리의 세포 증식과 이동으로 상처가 치유되어 세포이동능이 각각 50%, 71%, 66% 증가 되었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레티놀 및 레티노산에 의한 효과인 15%, 20%보다 현저히 뛰어났다.
실험예 2: 피부 각질 형성세포의 이주능 ( migration ) 확인
2-1. 피부상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인간 피부 상피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는 Gibco사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EpiLife 배지 (Gibco사) 중에서 37 ℃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부착된 세포들이 80% 합류(confluence) 때까지 유지하고 80 % 합류시기에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합류 때까지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상기 계대 배양은 배양액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하고 0.25 % 트립신-EDTA(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한 후, 세포 수를 측정하고, 배양액에서 다시 3 배로 계대 배양하였다.
2-2. 피부 각질 형성세포의 이주능 ( migration ) 측정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 혈청이 첨가된 Epilife 배지 (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 1 X 106 를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켰다. 각각의 웰을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마이크로 팁(micro tip)을 이용하여 세포에 상처를 만들어 긁힘 손상을 유도하였다. 세포층을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 0.1, 1, 10 ug/mL 처리군)한 배양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긁힘 상처가 회복되는 정도를 마이크로이미지 비디오 카메라(Boyertown, PA)가 장착된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녹이는데 사용한 DMSO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레티놀 및 레티노산을 각각 동량 처리하였다.
도 2의 결과에서, 음성 대조군이 처리된 세포의 상처는 24 시간 후에 상대적으로 치유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는데 반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0.1 ug/mL, 1 ug/mL, 5 ug/mL 농도처리된 세포에서는 상처 가장자리의 세포 증식과 이동으로 상처가 치유되어 세포이동능이 각각 22%, 52%, 127% 증가 되었다. 이는 양성대조군인 레티놀 및 레티노산에 의한 효과인 4%, 15%보다 월등히 뛰어났다.
실시예 3: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에서 염증인자 IL -8 및 MCP -1 발현 확인
48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 (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섬유아세포 2 x 104를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 ㎕로 1회 세척하고, 우태아 혈청이 함유되지 않는 DMEM배지 200 ㎕를 넣어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우태아 혈청이 함유되지 않는 DMEM 배지로 평가하고자 하는 시험물질인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와 양성 대조군인 레티놀 및 레티노산을 각각 1 ug/mL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 50 ㎕를 취하여 ELISA 법을 이용하여 IL-8, MCP-1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이들 염증 매개인자인 IL-8과 MCP-1을 평가하였다. 표준물질인 rh IL-8, rh MCP-1의 흡광도를 토대로 표준 곡선을 그려 흡광도와 표준물질 간의 반응식을 구한 후, 처리 물질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이들 염증 매개인자의 분비량을 얻었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가 처리된 세포에서는 염증 매개인자인 IL-8과 MCP-1의 분비가 음성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양성대조군인 레티놀 및 레티노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염증 매개 인자인 IL-8 및 MCP-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IL-8 및 MCP-1의 분비 억제율을 나타내어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피부 외용연고,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피부 외용연고
하기의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10
디에틸 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셀린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 ( 스킨 )
하기의 표 2와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1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베타인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에탄올 5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0
쉐어버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
광물유 5
스쿠알란 3
사이클로메치콘 2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보머 0.12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트리에탄올아민 0.1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
스테아린산 1.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사이클로메치콘 5
디메치콘 1
초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탄올아민 1
산탄검 0.0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
스쿠알란 5
광물유 35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
1,3-부틸렌글리콜 3
트리에탄올아민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 에센스
하기의 표 6과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3
글리세린 6
베타인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0.6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세라마이드 0.2
옥틸도데칸올 3
스쿠알란 3
폴리소르베이트 60 0.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7과 같이 실시예 1의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레티노이드 유도체 1
폴리비닐알콜 15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
PEG 1500 2
베타인 2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틸기이고 R2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틸기이고 R2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17242A 2012-10-22 2012-10-22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14005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42A KR20140050872A (ko) 2012-10-22 2012-10-22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42A KR20140050872A (ko) 2012-10-22 2012-10-22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72A true KR20140050872A (ko) 2014-04-30

Family

ID=5065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242A KR20140050872A (ko) 2012-10-22 2012-10-22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08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112A (ko) * 2015-08-13 2017-02-22 코웨이 주식회사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90106132A (ko) * 2018-03-07 2019-09-1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신규 카로틴노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112A (ko) * 2015-08-13 2017-02-22 코웨이 주식회사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90106132A (ko) * 2018-03-07 2019-09-1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신규 카로틴노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668B1 (ko)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KR101527280B1 (ko) 항노화 기능을 갖는 해파리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44277B1 (ko)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2943478B1 (fr) Nouveaux dérivés de l'acide sinapinique
KR20120014788A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0872A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JP3403780B2 (ja) 化粧料
KR20170088420A (ko) N-아실아미노-아미드 부류의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용도
KR100539965B1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4138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US8722729B2 (en) Unsaturated fatty acid monoesters and diesters on ascorbic acid and cosmetic uses thereof
KR20100109618A (ko)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50455B1 (fr) Derives amides des acides polycafeoylquiniques,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20120027440A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2400114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32415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0653B1 (ko) 복합 비타민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20220046360A (ko)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lauroyl methylglucamide laur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0869A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9504B1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7222655A (zh) 环状糖氨基酸衍生物
KR100899335B1 (ko)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3824A (ko) Sac 유도체 또는 smc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40077515A (ko)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