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35B1 -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35B1
KR100899335B1 KR1020070121550A KR20070121550A KR100899335B1 KR 100899335 B1 KR100899335 B1 KR 100899335B1 KR 1020070121550 A KR1020070121550 A KR 1020070121550A KR 20070121550 A KR20070121550 A KR 20070121550A KR 100899335 B1 KR100899335 B1 KR 10089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mantane derivative
formula
acid
elastase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흥수
박우람
유재원
김동현
노호식
김준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2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33/0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33/0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5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1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또는 -CONH-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아다만탄 유도체 * 항노화 * 엘라스테아제 저해 * 탄력 개선

Description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damantane derivative having elastase inhibition effect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2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또는 -CONH-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모든 생명체는 나이를 먹으면서 노화되며 피부에서도 마찬가지로 노화의 과 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노화를 지연하고자 하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며, 이에 따라 노화의 본질이 무엇이며 노화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의문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피부의 노화는 그 요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하나인 자연적인 노화(Intrinsic aging)는 피부의 구조와 생리적인 기능이 나이를 먹으면서 계속적인 감퇴를 일으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인 외적 노화(Extrinsic aging)는 태양광선 등 누적된 외부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태양광은 잘 알려진 노화 원인의 하나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의 주요 구성요소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변성되어 피부의 탄력성을 잃어가게 된다. 이처럼 피부의 노화현상은 여러 가지 기능적,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
우선 노화에 따른 피부의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면, 피부의 구성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피부의 탄력과 인장을 담당하는 진피 조직의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ar matrix) 성분이 변화하게 된다. ECM은 크게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ECM 전체의 약 2∼4%를 차지하는 탄력섬유(elastic fiber)이며, 또 다른 하나는 ECM 전체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이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의 탄력성이 크게 감소되는 데 이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에 기인한다. 이러한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조절되는데,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테아제(elastase) 같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atrix metallo protease)의 발현으로 인하여 생성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분해되어 결과적으로 피부 내의 콜라겐 함량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 게 된다. 진피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줄어들면, 피부의 표피는 거칠어지며 노화현상인 탄력감소가 나타난다.
이러한 탄력감소의 원인이 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안은 레티놀과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방안이다. 이러한 레티놀과 레티노익산 등의 레티노이드의 주름개선 또는 탄력개선 효과는 문헌을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Dermatology therapy, 1998, 16, 357∼364). 하지만 이들 레티노이드는 주름개선 또는 탄력개선이라는 긍정적인 효과와 더불어, 소량만을 피부에 적용하여도 자극이 나타난다는 단점을 가지며, 또한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 변질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레티노이드를 안정화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피부에 대한 자극 즉 안전성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테아제(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며 이러한 효소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해제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콜라겐과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인 엘라스테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가 피부 주름 생성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짐에 따라 이를 피부 주름 개선의 타겟으로 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엘라스테아제의 활성도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항노화 원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중, 아다만탄 유도체 중 특정 구조의 화합물이 높은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매우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보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아다만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3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또는 -CONH-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다만탄 유도체는 피부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엘라스테아제에 대해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4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또는 -CONH-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5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A 단계) 혹은 -CONH- (B 단계)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A) 1-아다만탄카르복실산염과 메틸 4-아미노벤조에이트를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하여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산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구조식(II)의 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는 산할로겐화법, 활성에스테르법 및 산무수물(acid anhydride)법이 모두 가능하나, 산할로겐화법을 이 용하여 여기에 친유기를 가진 아민인 메틸 4-아미노벤조에이트로 치환한 후 산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II)를 제조한다. 상기 친유기를 가진 아민의 당량비는 1.1-1.3 이 바람직하다. 당량비가 1:1 미만이면 목적하는 생성물의 양이 적다.
상기 (A) 단계에서 사용하는 염기는 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으나,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응온도는 10-70℃ 정도가 적절하나, 10-40℃ 정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사용하는 산은 염산 및 황산과 같은 유기산이 바람직하며, 반응용매는 에스테르화하는 치환기에 맞게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C) 1-아다만탄아민과 모노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하여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산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는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구조식(II)의 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는 산할로겐화법, 활성에스테르법 및 산무수물(acid anhydride)법이 모두 가능하나,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를 이용하여 산무수물 상태로 치환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여기에 친유기를 가진 아민인 1-아다만탄 아민으로 치환한 후 산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II)을 제조한다. 상기 친유기를 가진 아민의 당량비는 1.1-1.3 이 바람직하다. 당량비가 1:1 미만이면 목적하는 생성물의 양이 적다.
상기 (C) 단계에서 사용하는 염기는 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응온도는 10-120℃가 적절하나, 10-40℃ 정도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사용하는 산은 염산 및 황산과 같은 유기산이 바람직하며, 반응용매는 에스테르화하는 치환기에 맞게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학식 1의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에틸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프로필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에틸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프로필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상기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은 항노화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항노화 작용 및 주름개선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각종의 비제한적인 제형, 예를 들면 크림, 로션, 화장수, 마사지 크림 또는 에센스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그의 제형에 따라 다른 통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통상의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의 항노화 작용을 위해, 상기한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이외에 다른 기존의 항노화 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존의 항노화 성분들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에틸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메틸 4-아미노벤조에이트 100g(0.66mol)을 1000㎖의 다이클로로메탄에 녹인 다음 트리메틸아민 67g(0.67mol)을 넣고 5분간 환류시킨 후 1-아다만탄카르복실산염 131g(0.73mol)을 적가한 다음 반응온도 4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에 물 1000㎖를 넣어 씻어준 다음 1M HCl 용액 500ml으로 씻어준 후, 무수 망간(100g)으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여과물 176g(수율 = 85%)을 얻었다. 이 화합물 100g(0.32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메탄올(1:1) 용매 500㎖에 녹인 뒤 15%의 수산화칼륨 100ml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다음 산을 가하여 중화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킨 후 초산에틸 1000ml을 넣고 녹인 다음 물 1000ml로 씻어준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다음 여과하여 생성물 86g(수율 = 90%)을 얻었다. 이 생성물 50g(0.17mol)을 에탄올 용매 200㎖에 녹인 뒤 황산 10ml을 넣고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결된 후 염을 가하여 중화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킨 다음 초산에틸 500ml을 넣고 녹인 후 물 500ml로 씻어준 다음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목적물 38g(수율 70%)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Rf = 0.63.
1H NMR(DMSO-d6, δ) : 9.29(s, NH, 1H), 7.88(d, 2H), 7.77(d, 2H), 4.30(q, 2H), 1.97(s, 6H), 1.85(s, 3H), 1.72(s, 6H), 1.29(t, 3H).
[실시예 2] 프로필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에스테르화 반응시 에탄올 대신에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목적물 48g(수율 84%)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Rf = 0.66.
1H NMR(DMSO-d6, δ) : 9.29(s, NH, 1H), 7.88(d, 2H), 7.77(d, 2H), 4.30(t, 2H), 1.97(s, 6H), 1.91(m, 2H), 1.85(s, 3H), 1.72(s, 6H), 0.90(t, 3H).
[실시예 3] 이소프로필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에이트
에스테르화 반응 시 에탄올 대신에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목적물 39g(수율 68%)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Rf = 0.71.
1H NMR(DMSO-d6, δ) : 9.29(s, NH, 1H), 7.88(d, 2H), 7.77(d, 2H), 5.24(m, 1H), 1.97(s, 6H), 1.85(s, 3H), 1.72(s, 6H), 1.32(d, 6H).
[실시예 4] 에틸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모노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g(0.56mol)을 100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다음 트리에틸아민 67g(0.67mol)을 적가한 후 여기에 1.3 당량의 에틸클로로포르메이 트 73g(0.72mol)을 천천히 적가시킨 다음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1-아다만탄 아민 85g(0.56mol)과 트리에틸아민 84.3ml(0.60m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700ml에 열을 가하여 녹인 후 천천히 적가한 다음 3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여과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 1500ml에 다시 녹인 후 증류수 500ml로 씻어준 다음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500ml로 씻어준 후 무수 망간 100g으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130g(수율 = 75%)을 얻었다. 이 화합물 100g(0.32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메탄올을 1:1 부피비로 용매 500㎖에 녹인 다음 15%의 수산화칼륨 100ml을 넣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산을 가하여 중화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킨 다음 초산에틸 1000ml을 넣고 녹인 후 물 1000ml로 씻어준 다음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86g(수율 = 90%)을 얻었다. 이 화합물 50g(0.17mol)을 에탄올 용매 200㎖에 녹인 다음 황산 10ml을 넣고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결된 후 염을 가하여 중화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킨 다음 초산에틸 500ml을 넣고 녹인 후 물 500ml로 씻어준 다음 여과하고 농축하여 헥산으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목적물 45g(수율 82%)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Rf = 0.63.
1H NMR(DMSO-d6, δ) : 8.14(d, 2H), 7.90(d, 2H), 7.74(s, NH, 1H), 4.30(q, 2H), 2.25(s, 6H), 1.87(s, 3H), 1.72(s, 6H), 1.29(t, 3H).
[실시예 5] 프로필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에스테르화 반응시 에탄올 대신에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목적물 37g(수율 73%)을 미황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 : 헥산 = 1 : 1) Rf = 0.64.
1H NMR(DMSO-d6, δ) : 8.14(d, 2H), 7.90(d, 2H), 7.74(s, NH, 1H), 4.30(t, 2H), 2.25(s, 6H), 1.91(m, 2H), 1.87(s, 3H), 1.72(s, 6H), 0.90(t, 3H).
[실시예 6] 이소프로필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에이트
에스테르화 반응시 에탄올 대신에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목적물 40g(수율 70%)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 에틸:헥산 = 1:1) Rf = 0.70.
1H NMR(DMSO-d6, δ) : 8.14(d, 2H), 7.92(d, 2H), 7.74(s, NH, 1H), 5.24(m, 2H), 2.25(s, 6H), 1.87(s, 3H), 1.72(s, 6H), 1.32(d, 3H).
[시험예 1]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에 대한 저해 활성
상기 실시예 1∼6으로부터 얻은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들의 엘라스테아제 활성 저해능을 엘라스테아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엘라 스테틴알(Biomaterials, Vol. 27, Issue 20, July 2006, pp. 3855-3862; 및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 47, Issue 2, 4 August 1997, pp. 113-121 참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85340506-pat00006
1M NaCl 및 0.001% Brij-35(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함유하는 HEPES{[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틸술폰산)], pH 7} 완충액 용액 100mM에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최종농도: 0.2U/mL, Elastine Product Co. Inc.)와 실시예 1∼6의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또는 엘라스테틴알(최종농도 : 100μmol)를 각각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7℃에서 3분간 예비-항온배양하였다. 거기에 MeO-Suc-Ala-Ala-Pro-Val-pNA(메톡시숙시닐-알라닐-알라닐-프롤릴-발릴-p-니트로아닐리드(Sigma Chemical Co.))를 기질로서 최종농도 0.5mM로 첨가하고 반응을 시작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반응생성물 p-니트로아닐리드(p-NA)의 생성율을 404nm에서 3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저해 활성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엘라스테아제활성 억제율(%)=[1-(상기물질 처리시 흡광도 증가 / 비처리군의 흡광도 증가)]x100
엘라스테아제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에 의한 아다만탄 유도체들은 in vitro 에서 엘라스테아제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질 엘라스테아제 활성 저해율(%)
비처리군 100
엘라스테틴알 50
실시예 1 62
실시예 2 47
실시예 3 56
실시예 4 60
실시예 5 43
실시예 6 52
[제형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아다만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아다만탄 유도체 적량
8.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9. 스쿠알렌 5.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세테아릴 알코올 1.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트리에탄올 아민 0.1
[제형예 2]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아다만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영양크림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3.0
4. 유동파라핀 7.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아다만탄 유도체 적량
8.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9. 스쿠알렌 5.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폴리솔베이트 1.2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트리에탄올 아민 0.1
[제형예 3] 맛사지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아다만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유동파라핀 4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아다만탄 유도체 적량
8.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9. 밀랍 4.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12. 바세린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트리에탄올 아민 0.1
[제형예 4] 연고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아다만탄 유도체를 함유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글리세린 8.0
3. 부틸렌글리콜 4.0
4. 유동파라핀 15.0
5. 베타글루칸 7.0
6. 카보머 0.1
7. 아다만탄 유도체 적량
8.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9. 스쿠알렌 1.0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12. 스테아릴 알코올 1.0
13. 방부제 적량
14. 향 적량
15. 색소 적량
16. 밀랍 4.1
본 발명에 의한 아다만탄 유도체 중 특정 구조의 화합물들은 피부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엘라스테아제에 대해 높은 저해 효과를 보임으로써 항노화 및 주름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 및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11285819-pat00007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 또는 -CONH-이고,
    R은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다만탄 유도체는 엘라스테아제 활성 저해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
  3. (A) 1-아다만탄카르복실산염과 메틸 4-아미노벤조에이트를 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하여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4-아다만탄아미도벤조산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는 단계;
    를 거쳐 하기 화학식 1의 아다만탄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11285819-pat00008
    상기 식 중에서,
    X는 -NHCO-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4. (C) 1-아다만탄아민과 모노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하여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산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4-아다만틸카바모일벤조산 화합물을 산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는 단계;
    를 거쳐 하기 화학식 1의 아다만탄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11285819-pat00009
    상기 식 중에서,
    X는 -CONH-이고,
    R은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다.
  5. 제 1항에 의한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21550A 2007-11-27 2007-11-27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KR10089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50A KR100899335B1 (ko) 2007-11-27 2007-11-27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50A KR100899335B1 (ko) 2007-11-27 2007-11-27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335B1 true KR100899335B1 (ko) 2009-05-26

Family

ID=4086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50A KR100899335B1 (ko) 2007-11-27 2007-11-27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3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708A (ko) * 1997-12-05 2001-04-25 다비드 에 질레스 아다만탄 유도체
KR100629712B1 (ko) 2003-08-26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708A (ko) * 1997-12-05 2001-04-25 다비드 에 질레스 아다만탄 유도체
KR100629712B1 (ko) 2003-08-26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estnik Samarskogo Gosudarstvennogo Universiteta, Estestvennonauchnaya Seriya (4), pp.138-144, 2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766B2 (ja) 基底膜安定化剤
KR100844277B1 (ko)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1660437B1 (en) Hydroxamic acid derivatives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WO2016177908A2 (fr) Procede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 partir de derives de c-glycosides amides, acides ou ester, et la composition cosmetique les contenant
KR102334486B1 (ko) 피부 보습 증진용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6106992A1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175466B1 (ko) 아이오논(ionone) 유도체 화합물
FR3026011A1 (fr)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inhibiteur de certaines chimiokines, son procede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ermocosmetique pharmaceutique
FR2845599A1 (fr) Medicament comprenant une thiouree pour son utilisation en tant que depigmentant
KR100899335B1 (ko)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및 그 제조방법
KR100726280B1 (ko)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갖는 3,5-디히드록시벤조산유도체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화장료 조성물
KR100539965B1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8722729B2 (en) Unsaturated fatty acid monoesters and diesters on ascorbic acid and cosmetic uses thereof
KR100786300B1 (ko) 3,4-메틸렌디옥시벤젠 또는 3,4-에틸렌디옥시벤젠 모핵을가지는 4-치환된 벤조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FR3050455B1 (fr) Derives amides des acides polycafeoylquiniques,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US20200179260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 ceramide, a derivative thereof and an extract of hibisci cortex
WO2005121067A1 (fr)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un ester de ((dialkylamino)alcoxy) ethanol
FR2845596A1 (fr) Utilisation d'au moins une amide ou un ester de sucre et d'acide linoleique pour generer de l'acide 13-hydroxyoctadecadienoique dans l'epiderme cutane
FR2944793A1 (fr) Derives de monosaccharides et leur utilisation pour reguler l'homeostasie cutanee
KR100921173B1 (ko) 피부 내에서 히알루론산 생합성을 촉진시키는3,4,5-트리메톡시벤즈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 그 제조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186B1 (ko)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74028B1 (ko) Sac 유도체 또는 smc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50872A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1832415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3511B1 (ko)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