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드록삼산(Hydroxamic acid)은 금속이온 킬레이터(chelator)로 널리 알려진 물질이다. 히드록삼산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와 이웃한 히드록실 아민의 히드록시기가 금속이온과 킬레이션을 형성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히드록실 아민의 히드록시기가 쉽게 음이온을 형성하여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과 유사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히드록삼산의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레티노이드를 합성하였고, 레티노익산 수용체(retinoic acid receptor)에 아고니스트(agonist)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히드록삼산의 구조를 가지면서 레티노이드로 작용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레티노이드의 일종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히드록삼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 중에서, R1 은 CONH, NHCO, CONR4 또는 NR4CO 이고;
여기서, 상기 R4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고;
R2는 -(CH)n- 이며, n = 0 또는 1이고; 및
R3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1) 아다만탄 카복실릭산과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또는 4-아미노 페닐 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와 반응시켜 아미드 결합을 만드는 단계; 또는 모노 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아다만타민을 반응시켜 아미드 결합을 만드는 단계;
2)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벤즈아미드의 아미드결합을 알킬로 치환하는 단계;
3)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벤즈아미드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벤즈아미드의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4) 상기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된 산을 히드록삼산 또는 아민에 알킬기가 치환된 히드록삼산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보호/탈보호 반응을 거치지 않고 한 단계로 반응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레티노이드인 히드록삼산 유도체는 하기에서 구체적인 예로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제조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제조공정 1은
a) 아다만탄 카복실릭산과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또는 4-아미노 페닐 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와 반응시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생성된 벤즈아미드의 아미드 결합을 알킬로 치환하는 단계 ;
c) 생성된 벤즈아미드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가지고 있는 메틸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과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또는 N-메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을 반응시켜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하기 반응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조공정 1은 하기 반응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 중에서, R2는 -(CH)n- 이며, n = 0 또는 1이고;
R3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며; 및
R4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다.
우선 에틸 클로로포름산염을 아다만탄 카복실릭산에 대해 1.2 당량 사용하여 아다만탄 카복실릭산을 무수화합물로 전환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피리딘, N-메틸 모르폴린 등이 있다. 이 단계에서 합성한 무수화합물을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또는 4-아미노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와 반응하여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생성한다. 이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피리딘, N-메틸 모르폴 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에서는 트리에틸 아민을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또는 4-아미노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2 당량 만큼 함께 사용하여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온도는 10∼20℃가 가장 이상적이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반응물인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또는 4-아미노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가 남아 반응 생성물로부터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반면에 20℃ 이상의 온도에서는 무수화합물이 가수분해되어 반응생성물의 수득율이 줄어들게 된다.
합성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에서 알킬 할라이드와 반응하여 아미드결합에 알킬기가 치환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때,염기로는 소디움 하이드라이드(sodium hydride)를 벤즈아미드의 1.2 당량비로, 알킬 할라이드도 벤즈아미드의 1.2 당량비로 사용한다. 또한 알킬 할라이드로는 브로모 메탄, 브로모 에탄, 브로모 프로판, 브로모 이소프로판, 브로모 부탄, 브로모 tert-부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아미드결합에 알킬기가 치환되지 않은 벤즈아미드와 아미드 결합에 알킬기가 치환된 벤즈아미드 화합물들이 가지고 있는 메틸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으로 전환한다. 생성된 산을 에틸 클로로포름산염을 사용하여 무수화합물로 전환하고, 이때 에틸 클로로포름산염의 양은 산에 대해서 1.2 당량으로 사용한다. 이 때에도 용매로는 피리딘, N-메틸 모르폴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합성한 무수화합물을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또는 N-메틸 히드 록실 아민 염산염과 반응하여 히드록삼산 화합물을 생성한다. 이 반응에서도 용매로는 피리딘, N-메틸 모르폴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에서는 트리에틸 아민을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의 1.2 당량의 양 만큼 함께 사용하여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매로 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온도는 0∼10℃가 가장 이상적이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반응물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또는 N-메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이 남아 반응생성물의 수득율이 줄어들게 되고,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히드록실아민 또는 N-메틸 히드록실 아민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는 부 생성물이 얻어져 반응 생성물로부터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인 제조공정 2는
a) 아다만타민과 모노 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반응시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생성된 벤즈아미드의 아미드 결합을 알킬로 치환하는 단계;
c) 생성된 벤즈아미드 또는 알킬기가 치환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가지고 있는 메틸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제조된 산과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또는 N-메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을 반응시켜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이를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식 중에서, R2는 -(CH)n- 이며, n = 0 또는 1이고;
R3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며; 및
R4는 수소 또는 C1-10의 알킬이다.
먼저, 상기 반응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틸 클로로포름산염을 사용하여 모노 테레프탈레이트를 무수화합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합성한 무수화합물을 아다만타민과 반응하여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생성한다. 추후 진행되는 반응은 반응식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학식 1의 히드록삼산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틸 카복사마이드,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틸-N-메틸 카복사마이드,
아다만틸-N-[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카복사마이드,
아다만틸-N-[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N-메틸-카복사마이드,
N-[4-(N-히드록시카바모일메틸)페닐]아다만틸 카복사마이드,
N-[4-(N-히드록시카바모일메틸)페닐]아다만틸-N-메틸-카복사마이드,
2-[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페닐]-N-히드록시-N-메틸아세트아미드,
2-[4-(아다만틸-N-메틸카보닐아미노)페닐]-N-히드록시-N-메틸아세트아미드,
(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N-아다만틸 카복사마이드,
(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N-아다만틸-N-메틸카복사마이드,
N-아다만틸[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카복사마이드, 및
N-아다만틸[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N-메틸 카복사마이드
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공정에 의해 제조한 화학식 1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는 레티노이드(retinoid)로서 레티노익산 수용체(retinoic acid receptor)에 아고니스트(agonist)로 작용하며, 레티노이드 효과에 기인하여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 및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테아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는 피부의 탄력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의약품 및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삼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틸 카복사마이드의 제조
20.0g의 아다만탄 카복실릭산(0.16mol)을 피리딘 250ml에 녹이고, 10℃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에틸 클로로포름산염 23.1g(0.21mol)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반응액을 여과하여 염을 제거한 후 무수화합물(30.2g, 0.15mol)을 얻었다. 메틸 아미노 벤조에이트 24.1g(0.16mol)을 피리딘 250ml에 녹이고, 10℃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앞 단계에서 얻은 무수화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한 뒤 용매를 증류하고 잔사를 초산에틸 300ml에 녹인 후, 초산에틸 용액을 5% 염산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반응 생성물인 메틸 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34.7g, 85% 수율)를 미색 고체로 얻었다.
다음으로 메틸 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34.7g을 메탄올 500ml에 넣어 녹인 뒤 KOH 10% 용액 50ml를 넣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염산 용액으로 중화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산 화합물인 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벤 조익산 (26.2g, 80% 수율)을 얻었다.
생성된 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벤조익산 (24.1g, 0.10mol)을 피리딘 200ml에 녹이고, 10℃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에틸 클로로포름산염 22.9g(0.13mol)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염을 제거하여 생성된 무수화합물(38.7g, 0.12mol)을 얻었다.
6.9g의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0.10mol)을 피리딘 100ml에 녹이고, 10℃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앞 단계에서 얻은 무수화합물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한 뒤 용매를 증류하고 잔사를 초산에틸 300ml에 녹인 후, 초산에틸 용액을 5% 염산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최종 생성물인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틸카복사마이드 (16.6g, 65% 수율)를 미색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3
1H NMR(DMSO-d6): δ11.22(s, 1H), 9.24(s, 1H), 8.87(s, 1H), 7.76(m, 4H), 1.96(m, 3H), 1.85(m, 6H), 1.64(m, 6H).
[실시예 2]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타닐-N-메틸 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실시예 1의 중간 단계에서 얻은 메틸 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4.7g, 0.16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0ml에 녹이고, 10℃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소디움 하이드라이드(20.7g, 0.16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ml에 녹여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 반응액에 브로모 메탄(32g, 0.16mol)을 적가하고 반응액을 1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한 뒤 용매를 증류하고 잔사를 초산에틸 300ml에 녹인 후, 초산에틸 용액을 5% 염산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과 활성탄을 가하여 건조, 탈색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켜 반응 생성물인 N-(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아다만틸카복사마이드 (33.5g, 85% 수율)를 미색 고체로 얻었다. 이 이후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2.8g, 38%)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3
1H NMR(DMSO-d6): δ11.20(s, 1H), 9.23(s, 1H), 7.76(m, 4H), 3.74 (s, 3H), 1.96(m, 3H), 1.85(m, 6H), 1.64(m, 6H).
[실시예 3] 아다만틸-N-[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카복사마이드의 제조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대신에 N-메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2g, 43%)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0
1H NMR(DMSO-d6): δ9.98(s, 1H), 9.12(s, 1H), 7.55(m, 4H), 3.09(s, 3H), 1.94(m, 3H), 1.87(m, 6H), 1.62(m, 6H).
[실시예 4] 아다만틸-N-[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N-메틸-카복사마이드의 제조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 대신에 N- 메틸 히드록실 아민 염산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4g, 39%)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4) Rf = 0.54
1H NMR(DMSO-d6): δ9.95(s, 1H), 7.57(m, 4H), 3.72(s, 3H), 3.07(s, 3H), 1.94(m, 3H), 1.87(m, 6H), 1.62(m, 6H).
[실시예 5] N-[4-(N-히드록시카바모일메틸)페닐]아다만틸카복사마이드의 제조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4-아미노 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9g, 44%)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2
1H NMR(DMSO-d6): δ11.22(s, 1H), 9.25(s, 1H), 8.87(s, 1H), 7.76(m, 4H), 3.27(s, 2H), 1.96(m, 3H), 1.87(m, 6H), 1.63(m, 6H).
[실시예 6] N-[4-(N-히드록시카바모일메틸)페닐]아다만틸-N-메틸-카복사마이드의 제조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4-아미노 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4.3g, 48%)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0
1H NMR(DMSO-d6): δ11.20(s, 1H), 9.23(s, 1H), 7.76(m, 4H), 3.74 (s, 3H), 3.27(s 2H), 1.96(m, 3H), 1.85(m, 6H), 1.64(m, 6H).
[실시예 7] 2-[4-(아다만틸카보닐아미노)페닐]-N-히드록시-N-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4-아미노 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2.8g, 41%)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3
1H NMR(DMSO-d6): δ9.95(s, 1H), 9.12(s, 1H), 7.55(m, 4H), 3.27(s, 2H), 3.09(s, 3H), 1.94(m, 3H), 1.84(m, 6H), 1.60(m, 6H).
[실시예 8] 2-[4-(아다만틸-N-메틸카보닐아미노)페닐]-N-히드록시-N-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4-아미노 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8g, 4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1
1H NMR(DMSO-d6): δ9.94(s, 1H), 7.57(m, 4H), 3.72(s, 3H), 2.25(s, 2H), 3.07(s, 3H), 1.94(m, 3H), 1.87(m, 6H), 1.62(m, 6H).
[실시예 9] (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N-아다만틸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아다만탄 카복실릭산 대신에 모노 테레프탈레이트,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아다만타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8g, 4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1
1H NMR(DMSO-d6): δ11.20(s, 1H), 9.21(s, 1H), 8.87(s, 1H), 7.73(m, 4H), 1.94(m, 3H), 1.84(m, 6H), 1.62(m, 6H).
[실시예 10] (4-(N-히드록시카바모일)페닐)-N-아다만틸-N-메틸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아다만탄 카복실릭산 대신에 모노 테레프탈레이트,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아다만타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8g, 4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1
1H NMR(DMSO-d6): δ11.22(s, 1H), 9.22(s, 1H), 7.74(m, 4H), 3.71 (s, 3H), 1.93(m, 3H), 1.83(m, 6H), 1.63(m, 6H).
[실시예 11] N-아다만틸[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아다만탄 카복실릭산 대신에 모노 테레프탈레이트,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아다만타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8g, 4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1
1H NMR(DMSO-d6): δ9.99(s, 1H), 9.10(s, 1H), 7.53(m, 4H), 3.10(s, 3H), 1.91(m, 3H), 1.83(m, 6H), 1.60(m, 6H).
[실시예 12] N-아다만틸[4-(N-히드록시-N-메틸카바모일)페닐]-N-메틸 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아다만탄 카복실릭산 대신에 모노 테레프탈레이트, 메틸 4-아미노 벤조에이트 대신에 아다만타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물(11.8g, 46%)을 미색의 고체로 얻었다.
TLC(초산에틸:헥산 = 1:1); Rf = 0.51
1H NMR(DMSO-d6): δ9.93(s, 1H), 7.59(m, 4H), 3.70(s, 3H), 3.05(s, 3H), 1.92(m, 3H), 1.86(m, 6H), 1.60(m, 6H).
[시험예 1]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친화력 측정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의 레티노익산 수용체 친화력을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수용체 발현 플라스미드(plasmid), pECE-RAR alpha 와 pECE-RAR gamma 는 선행방법(Mol. Cell. Biol. 1996, 16, 1138-1149)에 의해서 제조하였다. RARE reporter인 RARE-tk-Luc는 b-RARE-tk-CAT로부터 얻은 RARE 단편(fragment)을 pGL3 루시퍼라아제 기본 벡터(Luciferase basic vector)에 삽입하여 얻었다. CV-1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 부터 얻었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CV-1 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후 LipofectaminPlus(GIBCO BRL, grand island, NY)를 이용하여 pECE-RAR alpha (10ng), pECE-RAR gamma (10ng)를 리포터 플라스미드(reporter plasmid, 100ng), 베타-갈락토시다아제(beta-galactosidase) 발현 벡터(100ng)를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24시간 경과 후 상기 실시예 1∼12의 히드록삼산 유도체, 레티놀은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레티노익산을 이보다 10배 낮은 농도인 10-5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물질 |
루시퍼라아제 활성 RAR alpha |
루시퍼라아제 활성 RAR gamma |
물질 |
루시퍼라아제 활성 RAR alpha |
루시퍼라아제 활성 RAR gamma |
비처리군 |
1000 |
5000 |
실시예 6 |
17000 |
11100 |
레티놀 |
2500 |
6000 |
실시예 7 |
13400 |
11000 |
레티노익산 |
25000 |
10000 |
실시예 8 |
12200 |
10400 |
실시예 1 |
11000 |
12000 |
실시예 9 |
18900 |
10600 |
실시예 2 |
12500 |
11200 |
실시예 10 |
22500 |
11000 |
실시예 3 |
11600 |
10000 |
실시예 11 |
23100 |
10700 |
실시예 4 |
12100 |
12400 |
실시예 12 |
13400 |
11000 |
실시예 5 |
18000 |
10000 |
|
|
|
이와 같은 레티노익산 수용체 친화력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은 레티노이드 화합물로 간주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 공(well)에 1 공 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12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들,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을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보았다.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으며,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물질 |
합성능(%) |
물질 |
합성능(%) |
비처리군 |
100 |
실시예 6 |
121 |
레티놀 |
120 |
실시예 7 |
112 |
레티노익산 |
125 |
실시예 8 |
121 |
실시예 1 |
106 |
실시예 9 |
130 |
실시예 2 |
118 |
실시예 10 |
121 |
실시예 3 |
110 |
실시예 11 |
107 |
실시예 4 |
120 |
실시예 12 |
108 |
실시예 5 |
125 |
|
|
[시험예 3] 콜라게나아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저 해능을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12의 히드록삼산 유도체,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위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에서의 콜라게나아제 발현의 저해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이 in vitro 에서 콜라게나아제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현 저해능은 비처리군의 합성능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물질 |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 |
물질 |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 |
비처리군 |
100 |
실시예 6 |
74 |
레티놀 |
85 |
실시예 7 |
70 |
레티노익산 |
60 |
실시예 8 |
67 |
실시예 1 |
75 |
실시예 9 |
77 |
실시예 2 |
69 |
실시예 10 |
83 |
실시예 3 |
81 |
실시예 11 |
83 |
실시예 4 |
77 |
실시예 12 |
85 |
실시예 5 |
79 |
|
|
[시험예 4] 엘라스테아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의 엘라스테아제 생성 저해능을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배지로 24시간 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12의 히드록삼산 유도체, 레티놀 및 레티노익산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위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엘라스테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엘라스테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엘라스테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엘라스틴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엘라스테아제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위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에서의 엘라스테아제 발현의 저해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에 의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이 in vitro 에서 엘라스테아제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현 저해능은 비처리군의 합성능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물질 |
엘라스테아제 발현 정도(%) |
물질 |
엘라스테아제 발현 정도(%) |
비처리군 |
100 |
실시예 6 |
80 |
레티놀 |
88 |
실시예 7 |
82 |
레티노익산 |
68 |
실시예 8 |
79 |
실시예 1 |
77 |
실시예 9 |
70 |
실시예 2 |
78 |
실시예 10 |
67 |
실시예 3 |
65 |
실시예 11 |
63 |
실시예 4 |
70 |
실시예 12 |
70 |
실시예 5 |
74 |
|
|
[시험예 5] 동물에 대한 피부 일차자극시험
1) 시험방법
건강한 수컷 토끼 13 마리를 이용하여, 각각 등 부위의 털을 깍은 후 약 2.5㎝×2.5㎝ 정도의 크기로, 좌측 구획은 대조구획으로써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고, 우측 구획에는 실시예 1∼12의 화합물 1% 용액(용매로는 1,3-부틸렌글리콜:에탄올 =7:3 사용)을 0.5㎖씩 도포하였다. 도포한 지 24 시간 및 72 시간 경과 후에 발생하는 홍반과 가피 형성, 부종 형성 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피부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점수화하였다.
또한, 평가결과에 대한 자극성 정도의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Draize의 P.I.I.(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 방법에 따라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점수피부 반응의 정도 |
1) 홍반과 가피 형성 |
홍반이 없음 |
0 |
아주 경한 정도의 홍반(눈에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 |
1 |
명료한 홍반 |
2 |
중등도의 강한 홍반 |
3 |
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 형성 |
4 |
2) 부종 형성 |
부종 없음 |
0 |
매우 가벼운 부종(눈에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 |
1 |
명료한 부종(주위와 명료한 구분이 됨) |
2 |
중등도의 부종(1㎜ 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
3 |
강한 부종(1㎜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상태) |
4 |
시험물질 |
P.I.I. |
판정 |
시험물질 |
P.I.I. |
판정 |
레티노익산 |
1.830 |
경자극 |
실시예 6 |
0.568 |
무자극 |
실시예 1 |
0.375 |
무자극 |
실시예 7 |
0.765 |
무자극 |
실시예 2 |
0.345 |
무자극 |
실시예 8 |
0.234 |
무자극 |
실시예 3 |
0.375 |
무자극 |
실시예 9 |
0.456 |
무자극 |
실시예 4 |
0.350 |
무자극 |
실시예 10 |
0.567 |
무자극 |
실시예 5 |
0.375 |
무자극 |
실시예 11 |
0.678 |
무자극 |
실시예 6 |
0.315 |
무자극 |
실시예 12 |
0.245 |
무자극 |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은 피부자극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히드록삼산 유도체가 종래의 레티놀 또는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탄력 개선 효과는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적어 탄력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광독성 시험
백색의 기니아 피그(guinea pig) 20 마리의 등 부위를 제모한 다음, 고정기로 복위 고정하고, 등의 양쪽에 2㎝×2㎝의 구획으로 각각 3부위씩 6부위를 정하여, 우측 구획을 광차단 대조 부위로 하고, 좌측 구획을 광조사 부위로 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부형제(vehicle; 1,3-부틸렌글리콜:에탄올 = 7:3 사용)를, 양성 대조군으로 0.1% 8-MOP(methoxypsoralene)를 사용하여, 실시예 1∼12의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1,3-부틸렌글리콜:에탄올 = 7:3으로 혼합한 용매에 용해한 1 %(w/v) 용액을 각각 50㎕씩 균등하게 도포하였다.
30분 경과 후에 동물의 좌측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하고, 자외선 장치(Waldmann)를 이용하여 UVA(320~380㎚)로 약 10㎝의 거리에서 최종 에너지가 15 J/㎠이 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이후 24, 48 및 72 시간 경과 후 기니아 피그의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피부 반응의 평가는 상기 표 5에 따라 홍반과 부종을 각각 0∼4 까지로 점수화하고, 그 합계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는 24, 48 및 72시간 경과 후에 각각 판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낼 때의 값을 선택하여,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동물 피부자극 지수(Irritation index)를 구한 다음,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광독성 지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동물 피부자극 지수(Irritation index)
=(Σ홍반지수의 최대값 + Σ부종 지수의 최대값)/동물수
시험물질 |
광독성 지수 |
판정 |
시험물질 |
광독성 지수 |
판정 |
실시예 1 |
0 |
비-광독성 |
실시예 7 |
0 |
비-광독성 |
실시예 2 |
0 |
비-광독성 |
실시예 8 |
0 |
비-광독성 |
실시예 3 |
0 |
비-광독성 |
실시예 9 |
0 |
비-광독성 |
실시예 4 |
0 |
비-광독성 |
실시예 10 |
0 |
비-광독성 |
실시예 5 |
0 |
비-광독성 |
실시예 11 |
0 |
비-광독성 |
실시예 6 |
0 |
비-광독성 |
실시예 12 |
0 |
비-광독성 |
상기 표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의 광독성 지수가 0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광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기준인 0.5 보다 훨씬 낮은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히드록삼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삼산 유도체가 함유된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또는 바디 세정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의약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1. 정제수 |
To 100 |
2. 글리세린 |
8.0 |
3. 부틸렌글리콜 |
4.0 |
4. 히아루론산 추출물 |
5.0 |
5. 베타글루칸 |
7.0 |
6. 카보머 |
0.1 |
7. 히드록삼산 유도체 |
적량 |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8.0 |
9. 스쿠알란 |
5.0 |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
1.5 |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4 |
12. 세테아릴 알코올 |
1.0 |
13. 방부제 |
적량 |
14. 향 |
적량 |
15. 색소 |
적량 |
16. 트리에탄올아민 |
0.1 |
[제형예 2]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1. 정제수 |
To 100 |
2. 글리세린 |
3.0 |
3. 부틸렌글리콜 |
3.0 |
4. 유동파라핀 |
7.0 |
5. 베타글루칸 |
7.0 |
6. 카보머 |
0.1 |
7. 히드록삼산 유도체 |
적량 |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9. 스쿠알란 |
5.0 |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
1.5 |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4 |
12. 폴리솔베이트 60 |
1.2 |
13. 방부제 |
적량 |
14. 향 |
적량 |
15. 색소 |
적량 |
16. 트리에탄올아민 |
0.1 |
[제형예 3] 맛사지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1. 정제수 |
To 100 |
2. 글리세린 |
8.0 |
3. 부틸렌글리콜 |
4.0 |
4. 유동파라핀 |
45.0 |
5. 베타글루칸 |
7.0 |
6. 카보머 |
0.1 |
7. 히드록삼산 유도체 |
적량 |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9. 밀납 |
4.0 |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
1.5 |
11.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
0.9 |
12. 바세린 |
3.0 |
13. 방부제 |
적량 |
14. 향 |
적량 |
15. 색소 |
적량 |
16. 파라핀 |
1.5 |
[제형예 4] 연고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2에서 제조한 히드록삼산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1. 정제수 |
To 100 |
2. 글리세린 |
8.0 |
3. 부틸렌글리콜 |
4.0 |
4. 유동파라핀 |
15.0 |
5. 베타글루칸 |
7.0 |
6. 카보머 |
0.1 |
7. 히드록삼산 유도체 |
적량 |
8.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9. 스쿠알란 |
1.0 |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
1.5 |
11.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4 |
12. 세테아릴 알코올 |
1.0 |
13. 방부제 |
적량 |
14. 향 |
적량 |
15. 색소 |
적량 |
16. 밀납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