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708A -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 Google Patents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708A
KR20180096708A KR1020187020640A KR20187020640A KR20180096708A KR 20180096708 A KR20180096708 A KR 20180096708A KR 1020187020640 A KR1020187020640 A KR 1020187020640A KR 20187020640 A KR20187020640 A KR 20187020640A KR 20180096708 A KR20180096708 A KR 2018009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agents
alkyl group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104B1 (ko
Inventor
사비에 마라
아멜리 게기니아
세바스띠앙 그레구아르
진주 쉬
파트리시우 게헤이루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8009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ulfur as an exocyclic substituent, e.g. pyridine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의 탈색, 담색화 및/또는 표백을 위한 미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33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또한 케라틴 물질의 표백, 담색화 및/또는 탈색용 제제로서의 화합물 (I)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본 발명은 티오피리디논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미용 처리 방법, 특히 피부의 탈색 및/또는 표백을 위한 미용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개인들은 삶의 다양한 기간에 이들의 피부, 보다 구체적으로 손에서 더 진한 및/또는 더 색상을 띄는 반점의 출현을 보게 되며, 이는 피부를 불균일하게 만든다. 이러한 반점은 특히 피부 표면에 위치하는 각질형성세포 내의 고농도 멜라닌에 기인한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색소침착 반점의 처리 목적을 위해 우수한 효능을 갖는 무해한 국소 탈색 물질의 사용이 요망된다.
피부 색소침착 형성, 즉 멜라닌 형성의 기전은 특히 복잡하며, 다음의 주요 단계가 체계적으로 관여된다:
티로신 ---> 도파 ---> 도파퀴논 ---> 도파크롬 ---> 멜라닌
티로시나제(모노페놀 디하이드록실 페닐알라닌: 산소 산화환원효소 EC 1.14.18.1)는 이 반응 순서에 관여되는 필수 효소이다. 이는 특히 하이드록실라제 활성에 의한 티로신의 도파(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로의 전환 반응, 및 옥시다제 활성에 의한 도파의 도파퀴논으로의 전환 반응을 촉매한다. 이 티로시나제는 이것이 소정 생물학적 인자의 작용 하에 성숙 형태에 있는 경우에만 작용한다.
물질이 멜라닌 형성이 일어나는 표피 멜라닌세포의 생활성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 및/또는 멜라닌 형성에 관여되는 효소 중 하나의 억제에 의해 또는 멜라닌 합성 연쇄의 화학적 화합물 중 하나의 구조적 유사체로서의 자체 삽입에 의해 멜라닌 생합성 단계 중 하나를 방해하는 경우, 이러한 물질이 탈색되고 있는 것으로 인지되며, 연쇄가 차단됨으로써 탈색을 확보할 수 있다.
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및 누룩산(kojic acid)은 피부 탈색제로서 알려져 있다.
효과적인 탈색 작용, 특히 알부틴, 니아신아미드 및 누룩산보다 큰 작용을 갖는 물질이 탐색되어 왔다.
이에 관해, 본 출원인은 놀랍고 예상치 못하게, 소정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이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탈색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에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의 탈색, 담색화 및/또는 표백을 위한 비-치료적 미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의 표백, 담색화 및/또는 탈색용 제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비-치료적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인간 피부를 효율적으로 탈색 및/또는 담색화하거나 심지어 표백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갈색빛 색소침착 반점 또는 노화 반점을 보유하는 개인의 피부로, 또는 멜라닌 형성으로 인한 갈색빛 색상 출현을 방지하기 원하는 개인의 피부로 적용하려는 것이다.
이는 또한 체모, 속눈썹, 모발, 및 또한 입술 및/또는 손발톱을 탈색하고/하거나 담색화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또한 피부, 체모, 속눈썹 또는 모발, 및 또한 입술 및/또는 손발톱,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표백 및/또는 탈색용 제제로서, 특히 색소침착 반점 또는 노화 반점의 제거용 제제로서, 및/또는 항-태닝제로서, 전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미용 용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아래의 화학식 (I),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에 해당한다:
[화학식 I]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10 알킬기;
d) C1-C6 페닐알킬기, 예컨대 벤질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상기 화합물의 통상적인 무독성 염, 예컨대 산 또는 염기로부터 형성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으로서,
미네랄 염기, 예컨대 나트륨 하이드록시드, 칼륨 하이드록시드, 칼슘 하이드록시드, 암모늄 하이드록시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시드, 리튬 하이드록시드, 및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하이드로겐 카보네이트;
또는 유기 염기, 예컨대 1차, 2차 또는 3차 알킬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부틸아민으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산 기를 포함하는 경우)의 첨가에 의해 수득되는 염이 언급될 수 있다. 이 1차, 2차 또는 3차 알킬아민은 하나 이상의 질소 및/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킬 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예를 들어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염이 언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산 기를 포함하는 경우)의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 암모늄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합물의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통상적인 용매화물, 예컨대 용매의 존재 때문에 상기 화합물의 제조 동안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물 또는 선형 또는 분기형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존재에 기인하는 용매화물이 언급될 수 있다.
광학 이성질체는 특히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기형 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및 데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화 선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 (a)는 PubCHEM 데이터베이스(No. 47329290) http://pubchem.ncbi.nlm.nih.gov/compound/47329290?from=summary#section=Top entry : 2010-11-26에 개시되어 있다.
화합물 (b) CAS> 1240664-41-8은 문헌[Synthesis of N-(2-mercaptopyridyl-3-formyl)-N-alkyl glycine and the corresponding disulfides Luo, Y. L.; Yang, Z. X.; Peng, S. X. Div. Med. Chem., China Pharm. Univ., Nanjing, 210009, Peop. Rep. China Yaoxue Xuebao (1990), 25(5), 374-8]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는 다음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는 다음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b) 메틸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기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신규한 화합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I)의 신규한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2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10 알킬;
c) 포화 분기형 C3-C10 알킬기;
d) C1-C6 페닐알킬기, 예컨대 벤질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단 다음 두 화합물 (a) 및 (b) 및 이의 호변이체는 예외이다:
Figure pct00003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는 다음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단 다음 화합물 (a) 및 이의 호변이체는 예외이다:
Figure pct00004
보다 구체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는 다음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b) 메틸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기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단 다음 화합물 (a) 및 이의 호변이체는 예외이다:
Figure pct00005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중,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다음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Figure pct00006
이들 화합물 중,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취해지는 화합물 1 및 2, 및 또한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가 보다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2-머캅토니코틴산 및 화학식 (V)의 아민을, 특히 커플링제 또는 염기, 예컨대 카보닐디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
[화학식 V]
Figure pct00007
R1 및 R2는 상술된 의미를 갖는다.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W)의 형태로 카복실산을 활성화시킨 후, 공지된 방식으로, 2-머캅토니코틴산 또는 2-클로로니코틴산을 화학식 (V)의 아민과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R1 및 R2는 상술된 의미를 갖는다):
[화학식 W]
Figure pct00008
식 중, X는 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예를 들어, 문헌[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 by R. Larock, published by Wiley VCH, in the chapter Interconversion of nitriles,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에 기재됨)에 따라 카복실산의 활성화를 위한 제제의 존재 하에 2-클로로니코틴산의 카복실기의 활성화에 의해 산 할라이드, 혼합 무수물, 카밤이미데이트 또는 아실포스포네이트를 형성한다. 산 클로라이드를 형성할 수 있게 만드는 카복실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제(예를 들어, 티오닐 또는 옥살릴 클로라이드, 또는 1-클로로-N,N,2-트리메틸-1-프로펜아민을 사용함) 또는 혼합 무수물을 형성할 수 있게 만드는 카복실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제(알킬 또는 아릴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함)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거나 카밤이미데이트 또는 아실포스포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카보디이미드 또는 디에틸 시아노포스페이트를 사용한다(문헌[Phosphorus in organic synthesis - XI, Amino acids and peptides - XXI, Reaction of diethyl phosphorocyanidate with carboxylic acids. A new synthesis of carboxylic esters and amides, Tetrahedron, 32, 1976, 2211-2217]).
2-클로로니코틴산이 시작 시약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득되는 화학식 (Y)의 클로로아미드가 NaSH, 티오우레아, Bunte 염,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또는 티오아세트산과 같은 시약에 의해 염소 및 황 간의 교환 반응에서 사용된다(염기성 매질 중).
아래의 전체 합성 반응식을 따른다:
Figure pct00009
식 중, R1, R2 및 X는 앞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최종 화합물 (I) 및 (II)가 R2 라디칼 상에 자유 카복실산을 갖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해당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또는 무기 염기, 예컨대 NaOH 또는 LiOH를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 예컨대 에탄올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물의 존재 하에 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사용하는 해당하는 에스테르의 비누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되는 염은 미네랄 또는 유기 산, 예컨대 염산 또는 시트르산으로 산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 및/또는 (II)의 화합물은 미용 분야에서 상당히 특정한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상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및/또는 (II)의 화합물을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포함한다.
화합물 (I) 및/또는 (II)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은 인간 케라틴 물질, 예컨대 신체 또는 얼굴의 피부, 입술, 점막, 속눈썹, 손발톱, 두피 및/또는 모발과 상용성인 매질을 의미하려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미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물; 유기 용매, 특히 C1-C6, 보다 바람직하게는 C2-C6 알코올 및 C2-C10 카복실산 에스테르; 미네랄, 동물 및/또는 식물 기원의 오일, 특히 탄화수소계 오일 및/또는 실리콘 오일; 왁스, 안료, 충전제, 염료, 계면활성제, 유화제; 미용 또는 피부 활성 제제, UV-차단제, 중합체,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증점제, 보존제, 방향제, 살균제, 세라마이드, 냄새 흡수제 및 항산화제가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미용 보조제는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4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이러한 보조제 및 이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리한 특성이 고려되는 첨가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활성제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내로 탈피제(desquamating agent); 진정제, 유기 또는 무기 광 보호제, 보습제; 탈색제 또는 전색소침착제(propigmenting agent); 항당화제(anti-glycation agent); 일산화질소-합성효소 억제제(NO-synthase inhibitor);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하거나 이의 분해를 방지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및/또는 각질형성세포 증식을 자극하거나 각질형성세포 분화를 자극하는 제제; 근이완제 및/또는 피부 탈수축제(dermo-decontracting agent); 긴장제(tensioning agent); 방오제(anti-pollution agent) 및/또는 자유-라디칼 스캐빈저; 모세혈관 순환에 작용하는 제제;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작용하는 제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화합물의 예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토코페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니코틴산 및 이의 전구체, 예컨대 니코틴아미드; 유비퀴논; 글루타치온 및 이의 전구체, 예컨대 L-2-옥소티아졸리딘-4-카르복실산; 식물 추출물, 특히 식물 단백질 및 이의 가수분해물, 및 또한 식물호르몬; 해양 추출물, 예컨대 조류 추출물; 박테리아 추출물; 디오스게닌과 같은 사포게닌 및 이를 함유하는 야생 마(Wild Yam) 추출물; 세라마이드; 하이드록시산, 예컨대 살리실산 및 5-n-옥타노일살리실산; 레스베라트롤; 올리고펩티드 및 수도디펩티드(pseudodipeptide) 및 이의 아실화 유도체; 망간염 및 마그네슘염, 특히 글루코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다.
용어 “탈피제”는 다음 작용을 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하려는 것이다:
- 박리를 촉진함으로써 탈피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 예컨대 β-하이드록시산, 특히 살리실산 및 이의 유도체(5-n-옥타노일살리실산 포함); α-하이드록시산, 예컨대 글리콜산, 시트르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또는 만델산; 요소; 겐티스산; 올리고푸코스; 신남산; 사포라 자포니카(Saphora japonica)의 추출물; 레스베라트롤;
- 또는 탈피 또는 코르네오데스모좀의 분해에 관여되는 효소, 글리코시다제, 각질층 키모트립신 효소(SCCE) 또는 다른 프로테아제(트립신, 키모트립신-유사)에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 미네랄 염 킬레이트화제: EDTA; N-아실-N,N',N'-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아미노설폰산 화합물, 특히 (N-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설폰산(HEPES); 2-옥소티아졸리딘-4-카복실산(프로시스테인) 유도체; 글리신 유형의 알파-아미노산의 유도체(EP 0 852 949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 또한 상표명 Trilon M 하에 BASF에 의해 판매되는 나트륨 메틸 글리신 디아세테이트); 꿀; 당 유도체, 예컨대 O-옥타노일-6-D-말토스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언급될 수 있다.
탈피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진정제로서,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펜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예를 들어 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추출물, 예를 들어 β-글리시레틴산 및 이의 염 및/또는 유도체(글리시레틴산 모노글루쿠로니드,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 3-스테아로일옥시글리시레트산), 울소르산 및 이의 염, 올레아놀산 및 이의 염, 베툴린산 및 이의 염, 패오니아 서프루티코사(Paeonia suffruticosa) 및/또는 락티플로라(lactiflora)의 추출물, 살리실산 염, 특히 아연 살리실레이트, Codif사의 피코사카라이드, 라미나리아 사카리나(Laminaria saccharina)의 추출물, 캐놀라 오일, 비사볼롤 및 카모마일 추출물, 알란토인, SEPPIC의 Sepivital EPC(비타민 E 및 C의 인산 디에스테르), 오메가-3 불포화 오일, 예컨대 머스크 로즈 오일, 블랙커런트 오일, 에키움(ecchium) 오일, 어류 오일, 플랑크톤 추출물, 카프릴로일글리신, SEPPIC의 Seppicalm VG(나트륨 팔미토일프롤린 및 님페아 알바(Nymphea alba)), 파이검(Pygeum) 추출물,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 추출물, 센티페다 컨닝해미(Centipeda cunninghami) 추출물, 헬리안써스 안누우스(Helianthus annuus) 추출물, 리눔 우시타티씨멈(Linum usitatissimum) 추출물, 토코트리에놀, 콜라 니티다(Cola nitida) 추출물, 피페로날, 정향 추출물, 에필로비움 앙구스티폴리움(Epilobium angustifolium) 추출물, 알로에 베라(Aloe vera), 바코파 모니에라(Bacopa moniera) 추출물, 피토스테롤,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인도메타신 및 베타메타손이 언급될 수 있다.
진정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유기 광 보호제는 특히 안트라닐레이트; 신남산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캄포르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예컨대 특허 출원 US 4 367 390, EP 863 145, EP 517 104, EP 570 838, EP 796 851, EP 775 698, EP 878 469, EP 933 376, EP 507 691, EP 507 692, EP 790 243 및 EP 944 624에 기재된 것들; 벤조페논 유도체; 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이미다졸린; 특허 EP 669 323 및 US 2 463 26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스-벤즈아졸릴 유도체; p-아미노벤조산(PABA) 유도체; 출원 US 5 237 071, US 5 166 355, GB 2 303 549, DE 197 26 184 및 EP 893 119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메틸렌비스(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차단 중합체 및 차단 실리콘, 예컨대 특히 특허 WO 93/04665에 기재된 것들; α-알킬스티렌계 이량체, 예컨대 특허 출원 DE 198 55 649에 기재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무기 광 보호제는 특히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금속 옥시드 안료 또는 나노안료(일차 입자의 평균 크기는 일반적으로 5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50 nm), 예를 들어, 모두 UV-광보호제로 널리 공지되어 있는, 티타늄 옥시드(무정형 또는 금홍석 및/또는 예후석 형태로 결정화된 것), 철 옥시드, 아연 옥시드, 지르코늄 옥시드 또는 세륨 옥시드 나노안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코팅제는 또한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이다. 이러한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금속 옥시드 나노안료는 특히 특허 출원 EP-518 772 및 EP-518 773에 기재되어 있다.
광 보호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미용 분야에서 보통 사용되는 임의의 생약 형태, 특히 선택적으로 겔화된, 수성 또는 수성-알코올계 용액, 선택적으로 2-상 분산액인, 로션 유형의 분산액, 수중유 또는 유중수 또는 다중(예를 들어 W/O/W 또는 O/W/O) 에멀젼, 수성 겔, 소구체에 의한 수성 상 중 오일 분산액으로서, 이들 소구체는 중합체 나노입자, 예컨대 나노구체 및 나노캡슐이거나, 또한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유형의 지질 소포체일 수 있는 오일 분산액; 수성 또는 유성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에멀젼, 특히 수중유 에멀젼 형태의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스킨케어 조성물, 특히 얼굴, 손, 발, 주요 해부학적 접힘 부분 또는 신체용 클렌징, 보호, 처리 또는 케어 크림(예를 들어 데이 크림, 나이트 크림, 메이크업-제거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또는 태양광-차단 크림); 플루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제거 밀크, 보호 또는 케어 바디 밀크 또는 태양광-차단 밀크; 스킨케어 로션, 겔 또는 무스, 예컨대 클렌징 로션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보다 상세하게 예시된다.
실시예 1: 화합물 3 - 에틸 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시네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10
경로 1: 2-머캅토니코틴산 경유
Figure pct00011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티오니코틴산을 아세토니트릴에 이어 카보닐디이미다졸(CDI) 내로 도입한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한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되돌리고 에틸 글리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3시간 동안 60℃에서, 이어서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가열이 권장된다.
하룻밤 동안의 기간 후, 반응 매질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취해 2 N HCl로 2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한 후 증발시키고, 실리카, 97/3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상에서 정제한다.
분획을 증발시킨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37%
경로 2: 2-클로로니코틴산 경유
Figure pct00012
3-목 플라스크에, 2-클로로니코틴산(250.0 g, 1.587 mol)을 에틸 아세테이트(500 ml) 및 SOCl2(210.0 g, 1.761 mol) 내로 적가하여 도입한다. 완전 전환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물을 환류한다. 매질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375 ml)로 희석한다. 이어서 물(400 ml) 중 희석된 에틸 글리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65.8 g, 1.904 mol)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393.5 g, 3.88 mol)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3 내지 4 h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진공 하에 제거한다. 수득된 수용액을 물(1250 ml)로 희석하고 3 N HCl(25 ml)로 산성화한다. 나트륨 티오설페이트(1379 g, 5.555 mol)를 생성 용액에 충전하고 혼합물을 6 h 동안 환류한다. 10℃로 냉각 후, 황색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물(3×750 ml)로 세척한다.
미정제 산물을 75/25 에탄올/물 혼합물 중 카본 블랙으로 취한다. 카본 블랙을 고온 조건 하에 여과 제거하고 에탄올을 증발 제거한다. 산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한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88%.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은 구조와 일치한다.
용융점: 151℃(모세관)
실시예 2: 화합물 1의 합성
화합물 3으로부터의 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신
Figure pct00013
에틸 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시네이트(48 g, 0.317 mol), 95% EtOH(48 ml)을 3-목 플라스크 내로 도입하고 10℃로 냉각한다. 물 144 ml 중의 NaOH(16 g) 용액을 적가한다. 유기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pH를 3~4로 조정한다. 생성 산물을 0~10℃로 냉각하고 여과한다. 산물을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한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96%.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은 구조와 일치한다.
용융점: 241.0~241.8℃(모세관)
실시예 3: 화합물 4 - 에틸 N-메틸-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시네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14
경로 1: 2-머캅토니코틴산 경유
Figure pct00015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티오니코틴산을 아세토니트릴에 이어 카보닐디이미다졸(CDI) 내로 도입한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한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되돌리고 에틸 사르코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3시간 동안 60℃에서, 이어서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가열이 권장된다.
하룻밤 동안의 기간 후, 반응 매질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실리카, 20/80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상에서 정제한다.
분획을 증발시킨 후 산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취해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침전시킨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22%.
경로 2: 2-클로로니코틴산 경유
Figure pct00016
3-목 플라스크에, 2-클로로니코틴산(300.0 g, 1.904 mol)을 에틸 아세테이트(600 ml) 및 SOCl2(249.0 g, 2.095 mol) 내로 적가하여 도입한다. 완전 전환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물을 환류한다. 매질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450 ml)로 희석한다. 이어서 물(480 ml) 중 희석된 에틸 사르코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351 g, 2.285 mol) 및 트리에틸아민(481.8 g, 4.76 mol) 용액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3 내지 4 h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진공 하에 제거한다. 수득된 수용액을 물(1500 ml)로 희석하고 3 N HCl(30 ml)로 산성화한다. 나트륨 티오설페이트(1796 g, 7.24 mol)를 생성 용액에 충전하고 완전 전환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물을 환류한다. 10℃로 냉각 후, 황색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물(3×900 ml)로 세척한다.
미정제 산물을 75/25 에탄올/물 혼합물 중 카본 블랙으로 취한다. 카본 블랙을 고온 조건 하에 여과 제거하고 에탄올을 증발 제거한다. 산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한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69%.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은 구조와 일치한다.
용융점: 175℃(모세관)
실시예 4: 화합물 4로부터 화합물 2의 합성
N-메틸-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신
Figure pct00017
에틸 N-메틸-N-[(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카보닐]글리시네이트(50 g, 0.317 mol), 95% EtOH(100 ml) 및 물(80 ml)을 3-목 플라스크 내로 도입한다. 혼합물을 10℃로 냉각한다. 물 70 ml 중의 NaOH(23.6 g) 용액을 적가한다. 완전 전환 후, 유기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pH를 2~3으로 조정한다. 생성 산물을 0~10℃로 냉각하고 여과한다. 산물을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한다. 담황색 분말이 수득된다: 수율: 45%.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은 구조와 일치한다.
용융점: 210.9~221.8℃(모세관)
실시예 5 : 구성적 멜라닌 형성에 대한 활성의 실증
피부의 색소침착 방지 또는 감소 및/또는 피부의 담색화 효과의 평가를 위해, 실시예를 다음 방식으로 수행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탈색(멜라닌 생산 감소) 활성의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시험관내 정상 인간 멜라닌 세포를 검정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정상 인간 멜라닌 세포를 배양하고 384웰 내로 분배한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평가될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지로 대체하였다. 세포를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멜라닌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는 최종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광범위한 농도 범위의 평가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용량-효과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농도 및 멜라닌 측정이 대응하게 만들어서, IC50(μM): 멜라닌 합성의 50% 감소가 달성되는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평가에서 사용된 최고 농도는 200 μM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강학 탈색 효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8
다른 캠페인에서, 화합물 3을 특허 FR 2 968 661에 기재된 선행 기술의 가장 비슷한 화합물과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19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멜라닌 형성 감소에 있어서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화합물(CAS 1379867-59-0)의 활성보다 큰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6: 미용 조성물
다음을 포함하는 피부 탈색 조성물을 제조한다(그램):
화합물 번호 4 2 g
PEG 400 68 g
에탄올 30 g
피부에 적용된 조성물은 갈색 반점의 표시가 덜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7: 겔
다음을 포함하는 피부 탈색 겔을 제조한다(중량%):
화합물 번호 1 0.5%
카보머(Lubrizol의 Carbopol 981) 1%
보존제 적량
물 100%가 되도록 적량
피부에 적용된 조성물은 갈색 반점의 표시가 덜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8:
색소침착된 재구축 표피 샘플에 대한 평가
DMSO 중 300 μM의 화합물 1, 2, 3 또는 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색소침착된 재구축 표피 샘플(cf. EP 1 878 790)에 적용하였다. 대조군은 DMSO이다. 멜라닌을 Fontana Masson 염료로 염색 후 조직 슬라이스 상에서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량하였다. 각각의 유색 표피 샘플을 현미경에 연결된 카메라를 사용해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촬영한다. 멜라닌이 경계가 되며 멜라닌 픽셀의 수를 자동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각 필드에서 측정한다. 측정의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해 비-파라미터 통계 평가를 수행한다(Mann-Whitney 평가).
색소침착된 재구축 표피의 표준 연구 모델은 다음 문헌[Regnier M, Duval C, Galey JB, Philippe M, Lagrange A, Tuloup R, Schmidt R,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1999, 45, 7, 969-980: "Keratinocyte-Melanocyte co-cultures and pigmented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models to study modulation of melanogenesis"]에 공개되었다.
Figure pct00020
유의미한 탈색 활성을 화합물 1 및 2에 대해 100 μM에서 평가하였다(p 값 < 0.05: 유의미한 탈색 활성).
Figure pct00021
유의미한 탈색 활성을 화합물 3 및 4에 대해 300 μM에서 평가하였다(p 값 < 0.05: 유의미한 탈색 활성).

Claims (16)

  1.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중,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담색화 및/또는 표백을 위한 비-치료적 미용 방법:
    [화학식 I]
    Figure pct00022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10 알킬기;
    d) C1-C6 페닐알킬기, 예컨대 벤질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a) 수소 원자;
    b) 메틸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기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다음,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Figure pct00023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다음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Figure pct00024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물; 유기 용매, 특히 C1-C6 알코올 및 C2-C10 카복실산 에스테르; 미네랄, 동물 및/또는 식물 기원의 탄소계 및/또는 실리콘 오일; 왁스, 안료, 충전제, 염료, 계면활성제, 유화제, 공동-유화제; 미용 또는 피부 활성 제제, UV-차단제, 중합체,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증점제, 보존제, 방향제, 살균제, 세라마이드, 냄새 흡수제,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탈피제(desquamating agent); 진정제, 유기 또는 무기 광 보호제, 보습제; 탈색제 또는 전색소침착제(propigmenting agent); 항당화제(anti-glycation agent); 일산화질소-합성효소 억제제(NO-synthase inhibitor);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하거나 이의 분해를 방지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및/또는 각질형성세포 증식을 자극하거나 각질형성세포 분화를 자극하는 제제; 근이완제 및/또는 피부 탈수축제(dermo-decontracting agent); 긴장제(tensioning agent); 방오제(anti-pollution agent) 및/또는 자유-라디칼 스캐빈저; 모세혈관 순환에 작용하는 제제;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작용하는 제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제를 포함하는 방법.
  9. 케라틴 물질의 표백, 담색화 및/또는 탈색을 위한 제제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비-치료적 미용 용도.
  10.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
    [화학식 II]
    Figure pct00025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10 알킬기;
    d) C1-C6 페닐알킬기, 예컨대 벤질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낸다),
    단 다음 두 화합물 (a) 및 (b) 및 이의 호변이체는 예외임.
    Figure pct00026
  11. 제10항에 있어서,
    R1이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4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며;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선형 C1-C6 알킬기;
    c) 포화 분기형 C3-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을 나타내고,
    단 다음 화합물 (a) 및 이의 호변이체는 예외인,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
    Figure pct00027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또한 이의 호변이체, 이의 염,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
    Figure pct00028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미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다음 반응식에 따르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9

    (식 중, R1, R2 및 X는 앞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16. 제15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i) 화학식 (W)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W]
    Figure pct00030

    (식 중, X는 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카복실산의 활성화를 위한 제제의 존재 하에 2-클로로니코틴산의 카복실기의 활성화에 의해 산 할라이드, 혼합 무수물, 카밤이미데이트 또는 아실포스포네이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ii) 화학식 (Y)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화합물 (W)를 화학식 (V)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
    [화학식 V]
    Figure pct00031

    (식 중 R1 및 R2는 제1항에 기재된 것들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화학식 Y]
    Figure pct00032

    이어서
    iii) 나트륨 디설파이트, 티오우레아,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또는 티오아세트산과 같은 시약에 의한 염소 및 황 간의 교환으로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어서 선택적으로
    iv) R2 라디칼이 수소를 나타내는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직접 또는 산성화 후 무기 염기를 사용하는 해당하는 에스테르의 추가적인 비누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단계.
KR1020187020640A 2015-12-18 2016-12-01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KR102110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2774A FR3045604B1 (fr) 2015-12-18 2015-12-18 Procede de depigmentation des matieres keratiniques a l'aide de composes thiopyridinones
FR1562774 2015-12-18
PCT/EP2016/079394 WO2017102349A1 (en) 2015-12-18 2016-12-01 Process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thiopyridinone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708A true KR20180096708A (ko) 2018-08-29
KR102110104B1 KR102110104B1 (ko) 2020-05-13

Family

ID=5597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640A KR102110104B1 (ko) 2015-12-18 2016-12-01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380937A1 (ko)
EP (1) EP3390363B1 (ko)
JP (1) JP6629451B2 (ko)
KR (1) KR102110104B1 (ko)
CN (2) CN114533579A (ko)
ES (1) ES2759554T3 (ko)
FR (1) FR3045604B1 (ko)
WO (1) WO2017102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5207B1 (fr) 2020-10-15 2022-10-07 Oreal Utilisation de composés thiopyridinones pour prévenir la formation des points noirs cutanés
FR3118871B1 (fr) 2021-01-19 2024-03-01 Oreal stabilisation d’un composé de thiopyridinone dans une composition du type E/H
KR20230110321A (ko) 2020-12-22 2023-07-21 로레알 W/o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FR3118877B1 (fr) 2021-01-18 2023-11-17 Oreal Stabilisation d’un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réduction du jaunissement de la composition le comprenant
KR20230110320A (ko) 2020-12-22 2023-07-21 로레알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CN114940662A (zh) * 2022-06-21 2022-08-26 湖北广富林生物制剂有限公司 一种烟嘧磺胺的制备方法
FR3141622A1 (fr)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émulsifiants naturel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WO2023248935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3248247A1 (en) 2022-06-21 2023-12-28 L'oré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3249912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ilic antioxidants and thiopyridinone compounds
WO2023245461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Composition for delivery of active compound
WO2023245459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Anti-oxid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 thiopyridinone compound
WO2023249121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R3141623A1 (fr)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antioxydants hydrophile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FR3138310A1 (fr) 2022-07-26 2024-02-02 L'oreal Stabilisation de composé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WO2023248248A1 (en) 2022-06-21 2023-12-28 L'oréal Solu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R3139008A1 (fr) 2022-08-24 2024-03-01 L'oreal Solubilisation de composé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comprenant ce dernier
WO2023245463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A stabilized composition comprising a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helating agent
FR3138869A1 (fr) 2022-08-22 2024-02-23 L'oreal Stabilisation de composé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comprenant ce dernier
FR3141624A1 (fr)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mposé de type thiopyridinone et des émulsifiants à base de polyglycéryle
WO2023249122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R3138036A1 (fr) 2022-07-22 2024-01-26 L'oreal Stabilisation de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composé
WO2023245462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ed composition comprising thiopyridinone compound
JP2024000769A (ja) 2022-06-21 2024-01-09 ロレアル 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及び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を含む組成物の安定化
WO2023249915A1 (en) 2022-06-21 2023-12-2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mulsifiers and thiopyridinone compounds
FR3141621A1 (fr) 2022-11-04 2024-05-10 L'oreal Améliorer la photostabilité du composé thiopyridinone sans l'utilisation de filtres uv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0075A1 (en) * 2010-12-14 2012-06-21 L'oreal Process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thiopyridinon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3264A (en) 1942-12-23 1949-03-01 Ciba Ltd Derivatives of cyclic amidines and process of making same
CH614878A5 (ko) 1977-03-11 1979-12-28 Charmilles Sa Ateliers
LU84491A1 (fr) * 1982-11-26 1984-06-13 Oreal Composition anti-acneique contenant en tant que compose actif un derive d'isothiazolo-(5,4b) pyridine one-3
JPH01228908A (ja) * 1988-03-10 1989-09-12 Sansho Seiyaku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薬剤
US5237071A (en) 1991-01-22 1993-08-17 Fairmount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eparing 2,2'-methylene-bis(6-(2H-benzotriazol-2-yl)-4-hydrocarbyl phenols)
US5166355A (en) 1991-02-04 1992-11-24 Fairmount Chemical Co., Inc.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2,2'-methylene-bis-[6-(2H-benzotriazol-2-yl)-4-hydrocarbyl-phenols]
FR2674851B1 (fr) 1991-04-04 1995-02-10 Oreal Derives s-triaziniques portant des substituants benzylidene camphre, compositions cosmetiques filtrantes et leur utilisation pour proteger la peau et les cheveux du rayonnement ultraviolet.
FR2674850B1 (fr) 1991-04-04 1993-07-02 Oreal Derives s-triaziniques portant des substituants benzalmalonates, compositions cosmetiques filtrante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pour proteger la peau et les cheveux du rayonnement ultraviolet.
JPH05124924A (ja) * 1991-04-09 1993-05-21 Sansho Seiyaku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IT1247973B (it) 1991-06-04 1995-01-05 Sigma Prod Chim Derivati di 1,3,5-triazina, loro preparazione e uso come filtri solari
FR2677543B1 (fr) 1991-06-13 1993-09-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trante a base d'acide benzene 1,4-di(3-methylidene-10-camphosulfonique) et de nanopigments d'oxydes metalliques.
FR2677544B1 (fr) 1991-06-14 1993-09-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melange de nanopigments d'oxydes metalliques et de pigments melaniques.
FR2680683B1 (fr) 1991-08-29 1993-11-1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trante contenant un polymere filtre a structure hydrocarbonee et une silicone filtre.
IT1255729B (it) 1992-05-19 1995-11-15 Giuseppe Raspanti Derivati di s-triazina come agenti fotostabilizzanti
EP0669323B2 (de) 1994-02-24 2004-04-07 Haarmann & Reimer Gmbh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phenylen-1,4-bisbenzimidiazolesulfonsäuren
GB9515048D0 (en) 1995-07-22 1995-09-20 Ciba Geigy Ag Sunscreen compositions
DE19543730A1 (de) 1995-11-23 1997-05-28 Ciba Geigy Ag Bis-Resorcinyl-Triazine
FR2744721B1 (fr) 1996-02-12 1999-06-18 Oreal Nouveaux derives insolubles de s-triaz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IT1283295B1 (it) 1996-03-22 1998-04-16 3V Sigma Spa Filtri solari
FR2757163B1 (fr) 1996-12-13 1999-02-05 Oreal Nouveaux derives insolubles de s-triaz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EP0863145B1 (de) 1997-03-03 2003-10-01 F. Hoffmann-La Roche Ag Lichtschutzmittel
TW508247B (en) 1997-03-31 2002-11-01 Shiseido Co Ltd Cosmetic or dermatological topical composition
EP0878469B1 (de) 1997-05-16 2004-10-27 Ciba SC Holding AG Resorcinyl-Triazine
DE19726184A1 (de) 1997-06-20 1998-12-24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Emulsionen, insbesondere O/W-Makroemulsionen, O/W-Mikroemulsionen oder O/W/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lichtschutzwirksamen Benzotriazolderivaten
GB9715751D0 (en) 1997-07-26 1997-10-01 Ciba Geigy Ag Formulations
EP0933376B1 (en) 1998-01-02 2003-08-20 F. Hoffmann-La Roche Ag Silanyl-triazines as light screening compositions
DE19855649A1 (de) 1998-12-03 2000-06-08 Basf Ag Dimere alpha-Alkyl-Styrolderivate als photostabile UV-Filter i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JP2006516605A (ja) * 2003-02-03 2006-07-06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皮膚ライトニング剤のための向上した製剤
KR100611454B1 (ko) * 2004-10-08 2006-08-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로터
FR2903702B1 (fr) 2006-07-13 2012-10-19 Oreal Equivalent d'epiderme capable de se pigmenter obtenu a partir de cellules de la matrice,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0075A1 (en) * 2010-12-14 2012-06-21 L'oreal Process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thiopyridinone compoun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ubChem Compound(http://pubchem.ncbi.nlm.nih.gov/) CID 37714374 (2009.05.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45604B1 (fr) 2018-01-26
US20190380937A1 (en) 2019-12-19
CN114533579A (zh) 2022-05-27
EP3390363A1 (en) 2018-10-24
JP2019500367A (ja) 2019-01-10
KR102110104B1 (ko) 2020-05-13
CN108473432B (zh) 2022-03-15
JP6629451B2 (ja) 2020-01-15
CN108473432A (zh) 2018-08-31
WO2017102349A1 (en) 2017-06-22
ES2759554T3 (es) 2020-05-11
EP3390363B1 (en) 2019-09-18
FR3045604A1 (fr)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104B1 (ko)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사용하는 케라틴 물질의 탈색 방법
US11052028B2 (en) Process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thiopyridinone compounds
EP2651886B1 (en) Method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resorcinol derivatives
EP2861555B1 (en) Process for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sing novel resorcinol-based compounds
SG181702A1 (en) Preventing or ameliorating agent for pigmentation
US20070258921A1 (en) Process for depigmenting the skin
US20100135942A1 (en) Depigmenting keratin materials utilizing dithiolane compounds
JP2020521808A (ja) 美容的使用のための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
US20080287537A1 (en) Composition, Particularly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alkylamino)Alkoxy) Ethanol Ester
WO2013190482A1 (en) Resorcinol derivatives and their cosmetic application
EP3687979A1 (en) Resorcinol derivatives for their cosmetic use
JP6719904B2 (ja) 皮膚を色素除去するための、c−キシロシド化合物、その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0643511B1 (ko) 히드록삼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000727A1 (en) Dithiazocane compounds for the cosmetic use thereof
US20070237734A1 (en)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KR20060058897A (ko) 에시딕 메틸 에스테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