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320A -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 Google Patents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320A
KR20230110320A KR1020237020690A KR20237020690A KR20230110320A KR 20230110320 A KR20230110320 A KR 20230110320A KR 1020237020690 A KR1020237020690 A KR 1020237020690A KR 20237020690 A KR20237020690 A KR 20237020690A KR 20230110320 A KR20230110320 A KR 2023011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mpound
group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메인 다숑
게기니트 아멜리 프레보
마코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212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98751A/ja
Priority claimed from FR2100459A external-priority patent/FR3118877B1/fr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23011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ulfur as an exocyclic substituent, e.g. pyridine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적어도 1종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조성물이 고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경시적인 안정성이 증강되고, 또한 조성물에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첨가한 직후의 황변이 저감되는,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본 발명은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에 관한 것이다.
인생의 다양한 시기에, 사람들은 자신들의 피부, 보다 상세하게는 손에, 피부에 이질감을 부여하는 보다 검은 및/또는 보다 유색인 색소반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색소반은 특히, 피부의 표면에 위치하는 케라티노사이트 중의 고농도 멜라닌에 기인한다.
색소 침착의 색소반을 처치하는 목적을 위해서는, 고효능의 무해한 국소적 탈색소 물질의 사용이 가장 특정적으로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알부틴, 나이아신아미드, 및 코지산은 피부 탈색소제로서 알려져 있다.
한편, WO2017/102349는 신규의 탈색소제 또는 미백제, 즉,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저감함으로써 강력한 탈색소 또는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특히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고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조성물 중에서 경시적으로 불안정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 및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한 직후에 강한 황색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조성물이 고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경시적인 안정성이 증강되고, 또한 조성물에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첨가한 직후의 황변이 저감되는,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식 (I)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및
c) 포화 분지형 C3∼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메틸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지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식 (I)의 화합물은,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02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식 (I)의 화합물은,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03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5중량%여도 된다.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은,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및 네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3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2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 물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e) 적어도 1종의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미백을 위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 바람직하게는 미백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a)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조성물의 황변을 저감하기 위한,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사용으로서,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사용이다.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히 조성물이 고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에도,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경시적인 안정성이 증강되고, 또한 조성물에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첨가한 직후의 황변이 저감되는,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아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이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이라고 칭할 수 있다),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을 포함하며,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증강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성"이라는 용어는, 특정 기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증강된 "안정성"이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에 있어서의 경시적인 변화가 더욱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경시적으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증강된 안정성은,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의 경시적인 감소가 한정되거나 또는 보다 적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을 45℃ 등의 고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예를 들면, 2개월간 유지하는 경우에도, 당해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증강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을 25℃ 등의 실온하에서, 비교적 장시간, 예를 들면, 2개월간 유지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증강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위 조건 및 고온 조건의 모두에서, 특히 고온 조건하에서도 장시간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증강된 안정성은, 탈색소제 또는 미백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개선된 또는 강화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강화된 또는 개선된 탈색소 또는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한 직후에 저감된 황변도 나타낼 수 있다.
이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황변의 저감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황색을 은폐 또는 숨길 수 있는,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에 의한 진주 광택 또는 진주 구조의 형성에 적어도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의 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한 직후에, 허용되는 레벨에서 조성물의 황변을 은폐 또는 숨기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사용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을 포함하고,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이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다른 특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단일 타입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또는 상이한 타입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제품 중의 활성 성분 또는 활성 화합물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활성" 성분 또는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UV 필터 효과, 및 항균 효과 등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활성 특성을 갖는 성분 또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탈색소제, 표백제 또는 미백제로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백 제품으로서, 또는 케라틴 물질을 미백하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특히, 색소 침착 또는 노화성 색소반을 제거하기 위해 및/또는 안티태닝제로서, 피부, 체모, 속눈썹 또는 두발, 나아가서는 입술 및/또는 손발톱,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탈색소, 표백 또는 미백하기 위한 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이하의 식 (I):
Figure pct00006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에 의해 나타내고,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이다.
식 (I)의 화합물의 염에는, 상기 화합물의 통상적인 비독성염, 예를 들면, 산 또는 염기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의 염으로는,
식 (I)의 화합물(이것이 산성기를 포함하는 경우)을
무기 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리튬, 및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칼슘 또는 탄산수소염 등에,
또는
유기 염기, 예를 들면, 1차, 2차, 또는 3차 알킬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또는 부틸아민에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염을 들 수 있다. 이 1차, 2차, 또는 3차 알킬아민은 1개 이상의 질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해도 되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해도 되며, 특히,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예로는, 리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글루타민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염도 들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식 (I)의 화합물(이것이 산성기를 포함하는 경우)의 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으로부터,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되는 화합물의 허용되는 용매화물은, 용매가 존재하는 결과로서 상기 화합물의 제조 중에 형성되는 것 등의 통상적인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예로서, 물의 존재, 또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존재에 기인하는 용매화물을 들 수 있다.
광학이성체는 특히,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이성체이다.
우선적으로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및 데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우선적으로는, 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로부터 선택되어도 된다.
화합물 a)는 PubCHEM 데이터 베이스(No. 47329290)
http://pubchem.ncbi.nlm.nih.gov/compound/47329290?from=summary#section=Top entry: 2010-11-26에 개시되어 있다.
화합물 b) CAS>1240664-41-8은 간행물:
Synthesis of N-(2-mercaptopyridyl-3-formyl)-N-alkyl glycine and the corresponding disulfides
Luo, Y. L.; Yang, Z. X.; Peng, S. X.
Div. Med. Chem., China Pharm. Univ., Nanjing, 210009, Peop. Rep. China
Yaoxue Xuebao (1990), 25(5), 374∼8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a) 식 (I)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이하의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및
c) 포화 분지형 C3∼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 식 (I)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이하의 의미를 갖는다:
R1은
a) 수소 원자, 및
b) 메틸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지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a) 식 (I)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07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식 (I)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08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N-[(2-티옥소-1,2-디히드로 피리딘-3-일)카르보닐]글리신이어도 된다.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예를 들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WO2017/10234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3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5중량%의 범위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3중량%∼3중량%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지방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이하, "(b) 지방산"이라고 칭할 수 있다)을 포함한다. 각각이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b) 지방산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단일 타입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또는 상이한 타입의 각각이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b) 지방산의 조합을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지방산"은 지방족 탄소의 장쇄를 갖는 카르복실산을 의미한다.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이고,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으로서, 1가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산 또는 다가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산을 사용해도 된다.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산의 불포화 잔기로서, 탄소간 이중 결합 또는 탄소간 삼중 결합을 들 수 있다.
(b) 지방산은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b) 지방산은 C18∼C30 지방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8∼C26 지방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18∼C24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면, C18∼C30 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을 사용해도 된다. C18∼C30 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으로서, 스테아르산(C18), 노나데칸산(C19), 아라키돈산(C20), 베헨산(C22), 및 리그노세르산(C24)을 들 수 있다.
한편, (b) 지방산으로서 예를 들면, C18∼C30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을 사용해도 된다. C18∼C30 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으로서, 올레산(C18), 리놀레산(C18), 리놀렌산(C18), 아라키돈산(C20), 및 네르본산(C24)을 들 수 있다.
(b)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및 네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b) 지방산은 그의 유리산의 형태 또는 그의 염의 형태여도 된다. 지방산의 염으로서, 무기염,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염(마그네슘염, 칼슘염 등), 그리고 유기염, 예를 들면, 암모늄염(4차 암모늄염 등) 및 아민염(트리에탄올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단일 타입의 지방산염 또는 상이한 타입의 지방산염의 조합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리산의 형태의 1종 또는 복수의 지방산과, 염의 형태의 1종 또는 복수의 지방산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1종 또는 복수 타입의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특히 모든 지방산이 유리산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6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35중량%, 바람직하게는 12중량%∼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2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6중량%∼20중량%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에 대한 중량비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어도 된다.
(오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해도 된다. 2종 이상의 (c) 오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오일"은 대기압(760mmHg)하, 실온(25℃)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비고체)의 형태의 지방 화합물 또는 지방 물질을 의미한다. 오일로서, 화장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오일은 휘발성이어도, 비휘발성이어도 된다.
(c)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의 비극성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 또는 에테르 오일 등의 극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할 수 있다.
(c) 오일은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해도 된다.
식물성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아마씨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넛 오일, 옥수수유, 밍크 오일, 올리브유, 아보카도 오일, 산다화유, 피마자유, 홍화유,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유, 아몬드 오일, 유채씨유, 참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동물성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스쿠알렌 및 스쿠알란을 들 수 있다.
합성 오일의 예로서 알칸 오일, 예를 들면,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 에스테르 오일, 에테르 오일, 그리고 인공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C26 지방족 1산 또는 다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C26 지방족 1가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의 액상 에스테르이고, 이들의 에스테르의 합계 탄소 원자수는 1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에스테르가 유래하는 알코올 및 산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분지형이다.
1산 및 1가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중에서도, 팔미트산에틸, 팔미트산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탄산디카프릴릴, 미리스트산알킬,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또는 미리스트산에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네오펜탄산이소데실, 및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을 들 수 있다.
C4∼C22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C1∼C22 알코올의 에스테르, 그리고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비당 C4∼C26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테트라히드록시, 또는 펜타히드록시 알코올의 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들 수 있는 것은, 세바스산디에틸,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비스(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n-프로필,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비스(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스테아릴, 말레산비스(2-에틸헥실), 구연산트리이소프로필, 구연산트리이소세틸, 구연산트리이소스테아릴, 트리락트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글리세릴, 구연산트리옥틸도데실, 구연산트리올레일, 디헵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이소노난산디에틸렌글리콜이다.
에스테르 오일로서,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 지방산의 당 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용어 "당"이 알데히드 또는 케톤 관능기를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지 않는, 또한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산소 함유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 상기된다. 이들 당은 단당, 올리고당, 또는 다당일 수 있다.
들 수 있는 적합한 당의 예로는, 수크로오스(또는 사카로오스),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푸코오스, 말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및 락토오스, 그리고 이들의 유도체, 특히 알킬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 유도체, 예로는, 메틸글루코오스가 있다.
지방산의 당 에스테르는 특히, 상술한 당과, 직쇄형 또는 분지형이고,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불포화인 경우에는, 1∼3개의 공액 또는 비공액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이 변형 형태에 따른 에스테르는 또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해도 된다.
이들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올레산에스테르, 라우르산에스테르, 팔미트산에스테르, 미리스트산에스테르, 베헨산에스테르, 코코넛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리놀레산에스테르, 리놀렌산에스테르, 카프르산에스테르, 및 아라키돈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면, 특히, 올레오팔미트산, 올레오스테아르산, 및 팔미트스테아르산의 혼합 에스테르, 그리고 테트라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특히,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의 모노올레산에스테르 또는 디올레산에스테르,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베헨산에스테르, 올레오팔미트산에스테르, 리놀레산에스테르, 리놀렌산에스테르, 및 올레오스테아르산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들 수 있는 예는 디올레산메틸글루코오스인, Amerchol사에 의해 명칭 Glucate® DO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옥틸, 헥산산2-에틸헥실, 라우르산에틸, 옥탄산세틸, 옥탄산옥틸도데실, 네오펜탄산이소데실, 프로피온산미리스틸, 2-에틸헥산산2-에틸헥실, 옥탄산2-에틸헥실, 카프릴산/카프르산2-에틸헥실, 팔미트산메틸, 팔미트산에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탄산디카프릴릴,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팔미트산에틸헥실, 라우르산이소헥실, 라우르산헥실,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올레산이소데실,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숙신산2-에틸헥실, 세바스산디에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인공 트리글리세리드의 예로서, 예를 들면, 카프릴카프릴릴글리세리드,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리놀렌산글리세릴, 트리라우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르산/카프릴산)글리세릴, 및 트리(카프르산/카프릴산/리놀렌산)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 예를 들면, 직쇄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은 액상 폴리디알킬실록산, 특히, 액상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적어도 하나의 아릴기를 포함하는 액상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또한, 유기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변성 실리콘은, 위에 정의한 실리콘 오일이고, 구조 중에, 탄화수소계기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유기 관능기를 포함한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Walter Noll의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1968년) Academic Press에 있어서 상세하게 정의되어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휘발성이어도, 비휘발성이어도 된다.
이들이 휘발성인 경우에는, 실리콘은 보다 상세하게는, 60℃에서 260℃ 사이의 끓는점을 갖는 것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하로부터 선택된다:
(i) 3∼7개, 바람직하게는 4∼5개의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디알킬실록산. 이들은 예를 들면, 특히 Union Carbide사에 의해 명칭 Volatile Silicone® 7207로 판매되고 있는, 또는 Rhodia사에 의해 명칭 Silbione® 70045 V2로 판매되고 있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Union Carbide사에 의해 명칭 Volatile Silicone® 7158로 판매되고 있는, Rhodia사에 의해 Silbione® 70045 V5로 판매되고 있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사에 의해 명칭 Silsoft 1217로 판매되고 있는 도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다. 디메틸실록산/메틸알킬실록산 등의 타입의 시클로 코폴리머, 예를 들면, 다음 식의 Union Carbide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Silicone Volatile® FZ 3109도 또한 들 수 있다.
고리형 폴리디알킬실록산과 유기 규소 화합물의 혼합물, 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과 테트라트리메틸실릴펜타에리스리톨의 혼합물(50/50), 및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과 옥시-1,1'-비스(2,2,2',2',3,3'-헥사트리메틸실릴옥시)네오펜탄의 혼합물을 들 수도 있다.
(ii) 2∼9개의 규소 원자를 함유하고, 25℃에 있어서 5×10-6㎡/s 이하인 점도를 갖는, 직쇄형 휘발성 폴리디알킬실록산. 예는 특히 Toray Silicone사에 의해 명칭 SH 200으로 판매되고 있는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이다. 이 분류에 속하는 실리콘은 Cosmetics and Toiletries, 제91권, 1976년 1월, 27∼32페이지, Todd & Byers, Volatile Silicone Fluids for Cosmetics에 공표되어 있는 논문에도 기재되어 있다. 실리콘의 점도는 ASTM 규격 445 부록서 C에 따라 25℃에 있어서 측정된다.
비휘발성 폴리디알킬실록산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비휘발성 실리콘은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디알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중에서는, 주로 트리메틸실릴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디알킬실록산 중에서, 이하의 시판 제품을 비한정적으로 들 수 있다:
- Rhodia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Silbione® 오일의 47 및 70 047 시리즈 또는 Mirasil® 오일, 예를 들면, 70 047 V 500 000 오일;
- Rhodia사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Mirasil®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 제조의 200 시리즈의 오일, 예를 들면, 점도 60000㎟/s의 DC200; 및
- General Electric사 제조의 Viscasil® 오일 및 General Electric사 제조의 SF시리즈의 특정의 오일(SF 96, SF 18).
명칭 디메티콘올(CTFA)로 알려져 있는, 디메틸실라놀 말단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예를 들면, Rhodia사 제조의 48 시리즈의 오일도 들 수 있다.
아릴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중에서도, 폴리디아릴실록산, 특히 폴리디페닐실록산 및 폴리알킬아릴실록산, 예를 들면, 페닐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다.
페닐 실리콘 오일은 이하의 식의 페닐 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 중,
R1∼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이고, 직쇄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의 C1∼C30 탄화수소계기, 바람직하게는 C1∼C12 탄화수소계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6 탄화수소계기,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기이고,
m, n, p, 및 q는 서로 독립적으로, 양단을 포함하여 0∼900, 바람직하게는 양단을 포함하여 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단을 포함하여 0∼100의 정수이며,
단, n+m+q의 합계는 0이 아니다).
들 수 있는 예로는, 이하의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 있다:
- Rhodia사 제조의 Silbione® 오일의 70 641 시리즈,
- Rhodia사 제조의 Rhodorsil® 70 633 및 763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 제조의 오일인 Dow Corning 556 Cosmetic Grade Fluid,
- Bayer사 제조의 PK 시리즈의 실리콘, 예를 들면, PK20 제품,
- General Electric사 제조의 SF 시리즈의 특정의 오일, 예를 들면, SF 1023, SF 1154, SF 1250, 및 SF 1265.
페닐 실리콘 오일로서, 페닐트리메티콘(위의 식 중, R1∼R10은 메틸이고, p, q, 및 n=0이며, m=1이다)이 바람직하다.
유기 변성 액상 실리콘은 특히, 폴리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기를 함유해도 된다. 이에 따라, Shin-Etsu사에 의해 제안되고 있는 실리콘 KF-6017, 및 Union Carbide사 제조의 오일 Silwet® L722 및 L77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이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직쇄형 또는 분지형, 선택적으로 고리형의 C6∼C16 저급 알칸(들 수 있는 예로는, 헥산,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및 이소파라핀, 예로는,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데칸이 있다), 및
- 16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유동 바셀린, 폴리데센, 및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예를 들면, Parleam®, 및 스쿠알란.
탄화수소 오일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예를 들면,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스쿠알란, 광유(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또는 페트롤라툼, 나프탈렌 등;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이소에이코산, 및 데센/부텐 코폴리머;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지방 알코올에 있어서의 용어 "지방"은, 비교적 큰 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이, 지방 알코올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지방 알코올은 포화여도 불포화여도 된다. 지방 알코올은 직쇄형이어도, 분지형이어도 된다.
지방 알코올은 구조 R-OH(식 중, R은 4∼4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30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및 불포화의, 직쇄형 및 분지형의 기로부터 선택된다)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서는, R은 C12∼C20 알킬기 및 C12∼C20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R은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실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지방 알코올의 예로서,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리놀레일 알코올, 팔미트올레일 알코올, 아라키도닐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포화 지방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방 알코올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이고,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2∼C20 알코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포화 지방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여기서는, 장쇄의 지방족 포화 탄소 사슬을 갖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포화 지방 알코올은 어느 하나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 중에서도,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2∼C20 지방 알코올이 바람직하게는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C16∼C20 지방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분지형 C16∼C20 지방 알코올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포화 지방 알코올의 예로는,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를 들면,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을 포화 지방 알코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지방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세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c) 오일은 600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c) 오일은 600g/mol 미만 등의 저분자량을 갖고, 탄화수소 단쇄(C1∼C12)를 갖는 에스테르 오일(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및 팔미트산에틸헥실), 실리콘 오일(예를 들면, 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휘발성 실리콘), 탄화수소 오일(예를 들면,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스쿠알란), 옥틸도데칸올 및 올레일 알코올 등의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지방 알코올(C12∼C30)형 오일, 그리고 디카프릴릴에테르 등의 에테르 오일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c) 오일은 휘발성 오일, 비휘발성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 오일은 극성 오일 및 비극성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오일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의 비휘발성 에스테르 오일, 및 디메티콘 등의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c)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15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5중량%여도 된다.
(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 물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9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8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95중량%, 바람직하게는 60중량%∼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8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d) 물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5중량%∼80중량%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e) 적어도 1종의 계면 활성제를 포함해도 된다. 2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임의의 계면 활성제를 본 발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중에서 사용되는 (e)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에 따라, 단일 타입의 계면 활성제, 또는 상이한 타입의 계면 활성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e)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선택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C6∼C30) 알킬황산염, (C6∼C30) 알킬에테르황산염, (C6∼C30) 알킬아미도에테르황산염, 알킬아릴폴리에테르황산염, 및 모노글리세리드황산염; (C6∼C30) 알킬설폰산염, (C6∼C30) 알킬아미드설폰산염, (C6∼C30) 알킬아릴설폰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및 파라핀설폰산염; (C6∼C30) 알킬인산염; (C6∼C30) 알킬설포숙신산염, (C6∼C30) 알킬에테르설포숙신산염, 및 (C6∼C30) 알킬아미드설포숙신산염; (C6∼C30) 알킬설포아세테이트; (C6∼C24) 아실사르코시네이트; (C6∼C24) 아실글루타메이트; (C6∼C30) 알킬폴리글리코시드카르복실에테르; (C6∼C30) 알킬폴리글리코시드설포숙신산염; (C6∼C30) 알킬설포숙시나메이트; (C6∼C24) 아실이세티오네이트; N-(C6∼C24) 아실타우레이트; C6∼C30 지방산염; 코코넛 오일산염 또는 수소화 코코넛 오일산염; (C8∼C20) 아실락틸레이트; (C6∼C30) 알킬-D-갈락토시드우론산염; 폴리옥시알킬렌화 (C6∼C30)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알킬렌화 (C6∼C30) 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및 폴리옥시알킬렌화 (C6∼C30) 알킬아미도에테르카르복실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C6∼C30) 알킬황산염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C6∼C30)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염의 형태로 있고,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예로는 나트륨)의 염; 알칼리 토류 금속(예로는 마그네슘)의 염; 암모늄염; 아민염; 및 아미노 알코올염 등이다. 조건에 따라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산의 형태로 있어도 된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양쪽성 또는 쌍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비한정적 열거), 아민 유도체, 예를 들면, 지방족 2차 또는 3차 아민, 및 선택적으로 4차화 되어 있는 아민 유도체여도 되고, 여기서, 지방족 기는 8∼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여 적어도 1개의 수가용화 음이온성기(예를 들면, 카르복실레이트,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이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베타인 및 아미도아민카르복실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알킬베타인, 설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및 알킬아미도알킬설포베타인, 구체적으로는 (C8∼C24) 알킬베타인, (C8∼C24) 알킬아미도 (C1∼C8) 알킬베타인, 설포베타인, 및 (C8∼C24) 알킬아미도 (C1∼C8) 알킬설포베타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C8∼C24) 알킬베타인, (C8∼C24) 알킬아미도 (C1∼C8) 알킬설포베타인, 설포베타인, 및 포스포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된다.
들 수 있는 비한정적인 예로는, CTFA 사전, 제9판, 2002에 있어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명칭 코코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세틸베타인, 코코/올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팔미타미도프로필베타인, 스테아라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미도에틸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히드록시설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히드록설타인, 코코히드록시설타인, 라우릴히드록시설타인, 및 코코설타인으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베타인 및 알킬아미도알킬베타인, 특히, 코코베타인 및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다.
아미도아민카르복실화 유도체 중에서도, 미국 특허 제2,528,378호 및 제2,781,354호에 기재되고, CTFA 사전, 제3판, 1982(그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에 있어서 분류되어 있는, Miranol의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 Amphocarboxyglucinates 및 Amphocarboxypropionates의 명칭으로 각 구조가 이하의 제품을 들 수 있다:
R1-CONHCH2CH2-N+(R2)(R3)(CH2COO-)
(식 중,
R1은 가수분해 코코넛 오일 중에 존재하는 산 R1-COOH의 알킬기, 헵틸, 노닐 또는 운데실의 각 기를 나타내고,
R2는 β-히드록시에틸기를 나타내며,
R3은 카르복시메틸기를 나타낸다), 및
R1'-CONHCH2CH2-N(B)(C)
(식 중,
B는 -CH2CH2OX'를 나타내고,
C는 -(CH2)z-Y'를 나타내며, z=1 또는 2이고,
X'는 -CH2CH2-COOH기, -CH2-COOZ', -CH2CH2-COOH, -CH2CH2-COOZ'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Y'는 -COOH 기, -COOZ' 기, -CH2-CHOH-SO3Z' 기 또는 -CH2-CHOH-SO3H 기를 나타내고,
Z'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 암모늄 이온, 또는 유기 아민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을 나타내며,
R1'는 코코넛 오일 중, 또는 가수분해 아마씨유 중에 존재하는 산 R1'-COOH의 알킬기, C7, C9, C11 또는 C13 알킬기 등의 알킬기, C17 알킬기 및 그 이소형, 또는 불포화 C17 기를 나타낸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가 (C8∼C24) 알킬암포모노아세테이트, (C8∼C24)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 (C8∼C24) 알킬암포모노프로피오네이트, 및 (C8∼C24) 알킬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CTFA 사전, 제5판, 1993에 있어서, 명칭 코코암포디초산2나트륨, 라우로암포디초산2나트륨, 카프릴암포디초산2나트륨, 카프릴로암포디초산2나트륨, 코코암포디프로피온산2나트륨, 라우로암포프로피온산2나트륨, 카프릴암포디프로피온산2나트륨, 카프릴암포디프로피온산2나트륨,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온산, 및 코코암포디프로피온산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로서, Rhodia Chimie사에 의해 Miranol® C2M 농축물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화되어 있는, 1차, 2차 또는 3차 지방 아민염,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들 수 있는 4차 암모늄염의 예로는, 이하의 것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식 (I)의 것:
Figure pct00011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1∼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여 산소, 질소, 황, 및 할로겐 등의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직쇄형 및 분지형의 지방족 기로부터 선택된다. 지방족 기는 예를 들면, 알킬, 알콕시, C2∼C6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아미드, (C12∼C22) 알킬아미도 (C2∼C6) 알킬, (C12∼C22) 알킬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알킬의 각 기; 그리고 방향족 기, 예를 들면, 아릴 및 알킬아릴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X-는 할로겐화물 이온, 인산 이온, 초산 이온, 락트산 이온, (C2∼C6) 알킬황산 이온, 및 알킬설폰산 이온, 또는 알킬아릴설폰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미다졸린의 4차 암모늄염, 예를 들면, 다음 식 (II)의 것:
Figure pct00012
(식 중,
R5는 8∼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케닐기 및 알킬기, 예를 들면, 수지 또는 코코넛의 지방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C1∼C4 알킬기, 및 8∼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케닐기 및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R7은 C1∼C4 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및 C1∼C4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인산 이온, 초산 이온, 락트산 이온, 알킬황산 이온, 알킬설폰산 이온, 및 알킬아릴설폰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R5 및 R6은 예를 들면, 수지의 지방산 유도체 등의 12∼21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케닐기 및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의 혼합물이고, R7은 메틸이며, R8은 수소이다. 이러한 제품의 예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Witco사에 의해 "Rewoquat®" W75, W90, W75PG, 및 W75HPG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는, 쿼터늄-27(CTFA 1997년) 및 쿼터늄-83(CTFA 1997년);
식 (III)의 디4차 암모늄염:
Figure pct00013
(식 중:
R9는 16∼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기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또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또는 (R16a)(R17a)(R18a)N(CH2)3기로부터 선택되며,
R11, R12, R13, R14, R16a, R17a, 및 R18a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수소 및 1∼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X-는 할로겐화물 이온, 초산 이온, 인산 이온, 질산 이온, 에틸황산 이온, 및 메틸황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디4차 암모늄염의 예는, FINETEX사의 FINQUAT CT-P(쿼터늄-89), 또는 FINETEX사의 FINQUAT CT(쿼터늄-75)이다; 그리고
적어도 1개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4차 암모늄염, 예를 들면, 다음 식 (IV)의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4
(식 중,
R22는 C1∼C6 알킬기, 그리고 C1∼C6 히드록시알킬기 및 디히드록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R23은 이하의 기:
Figure pct00015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C22 탄화수소계기 R27, 그리고 수소로부터 선택되고,
R25는 이하의 기:
Figure pct00016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C6 탄화수소계기 R29, 그리고 수소로부터 선택되며,
R24, R26, 및 R28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7∼C21 탄화수소계기로부터 선택되며,
r, s, 및 t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2∼6의 범위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r1 및 t1의 각각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0 또는 1이며, r2+r1=2r 또한 t1+2t=2t이고,
y는 1∼10의 범위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x 및 z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0∼10의 범위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X-는 단순한 및 착체의, 유기 및 무기의 음이온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합계 x+y+z는 1에서 15의 범위이며, x가 0인 경우, R23은 R27을 나타내고, z가 0인 경우, R25는 R29를 나타낸다). R22는 직쇄형 및 분지형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R22는 직쇄형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R22는 메틸기, 에틸기, 히드록시에틸기, 및 디히드록시프로필기로부터 선택되고, 예를 들면, 메틸기 및 에틸기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합계 x+y+z는 1∼10의 범위이다. R23이 탄화수소계기 R27인 경우, 이는 장쇄로서, 12∼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되고, 또는 단쇄로서,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R25가 탄화수소계기 R29인 경우, 이는 예를 들면, 1∼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일 실시형태에서는, R24, R26, 및 R28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1∼C21 탄화수소계기로부터 선택되며, 예를 들면,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1∼C21 알킬기 및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x 및 z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0 또는 1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y는 1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r, s, 및 t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2 또는 3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2와 동일하다. 음이온 X-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물 이온, 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및 요오드화물 이온; 그리고 C1∼C4 알킬황산 이온, 예를 들면, 메틸황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메탄설폰산 음이온, 인산 음이온, 질산 음이온, 토실산 음이온, 유기산에서 유래하는 음이온, 예를 들면, 초산 음이온 및 락트산 음이온, 그리고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암모늄과 적합성이 있는 임의의 다른 음이온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의 다른 비한정적인 예이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음이온 X-는 염화물 이온 및 메틸황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식 (IV)의 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식 중,
R22는 메틸기 및 에틸기로부터 선택되고,
x 및 y는 1과 동일하며,
z는 0 또는 1과 동일하고,
r, s, 및 t는 2와 동일하며,
R23은 이하의 기:
Figure pct00017
메틸기, 에틸기, 및 C14∼C22 탄화수소계기, 그리고 수소로부터 선택되고,
R25는 이하의 기:
Figure pct00018
및 수소로부터 선택되며,
R24, R26, 및 R28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3∼C17 탄화수소계기로부터 선택되며, 예를 들면, 직쇄형 및 분지형의, 포화 및 불포화 C13∼C17 알킬기 및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탄화수소계기는 직쇄형이다.
들 수 있는 식 (IV)의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염, 예를 들면, 디아실옥시에틸-디메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메틸황산염, 디아실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메틸황산염, 모노아실옥시에틸-디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메틸황산염, 트리아실옥시에틸-메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메틸황산염, 모노아실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디메틸-암모늄의 염화물 및 메틸황산염,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아실기는 14∼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해도 되고, 예를 들면,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팜유 및 해바라기유에서 유래해도 된다. 화합물이 복수의 아실기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기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이들 생성물은 예를 들면, 선택적으로 옥시알킬렌화되어 있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알킬디에탄올아민, 또는 알킬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지방산에, 또는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지방산의 혼합물에 직접 에스테르화함으로써, 또는 이들의 메틸에스테르를 에스테르 교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에스테르화 후에, 알킬화제를 사용하여 4차화해도 되고, 당해 알킬화제는 할로겐화 알킬, 예를 들면, 할로겐화 메틸 및 할로겐화 에틸; 황산디알킬, 예를 들면, 황산디메틸 및 황산디에틸; 메탄설폰산메틸: 파라-톨루엔설폰산메틸; 글리콜클로로히드린; 및 글리세롤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면, Cognis사에 의해 명칭 Dehyquart®로, Stepan사에 의해 명칭 Stepanquat®로, Ceca사에 의해 명칭 Noxamium®로, 또한 Rewo-Goldschmidt사에 의해 명칭 "Rewoquat® WE 18"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암모늄염의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4,874,554호 및 제4,137,180호에 기재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하는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의 4차 암모늄염 중에서, 식 (I)에 상당하는 것, 예를 들면, 테트라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예로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여기서, 알킬기는 약 12∼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Van Dyk사에 의해 명칭 "Ceraphyl® 70"으로 판매되고 있는 스테아라미도프로필디메틸(초산미리스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4차 암모늄염, 예를 들면,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83, 쿼터늄-87, 쿼터늄-22,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라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그 자체 또는 단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다(예를 들면, 이에 관해서는, "Handbook of Surfactants", M.R.Porter, Blackie & Son 출판(Glasgow and London), 1991년, 116∼178페이지를 참조). 이에 따라,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 알코올, α-디올, 알킬페놀,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에톡실화, 프로폭실화, 또는 글리세롤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8∼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지방 사슬을 갖고, 에틸렌옥사이드기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기의 수가 2∼50개의 범위이며, 글리세롤기의 수가 1∼30개의 범위인 것이 가능하다. 말토오스 유도체도 또한 들 수 있다.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코폴리머;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지방 알코올과의 축합물; 예를 들면, 2∼30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톡실화 지방 아미드; 예를 들면, 1.5∼5개, 예를 들면, 1.5∼4개의 글리세롤기를 포함하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아미드; 2∼30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소르비탄의 에톡실화 지방산에스테르; 식물 유래의 에톡실화된 오일; 수크로오스의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롤 (C6∼C24)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폴리에톡실화 지방산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N-(C6∼C24) 알킬글루카민 유도체; (C10∼C14) 알킬아민옥사이드 또는 N-(C10∼C14) 아실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도 또한 비한정적으로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모노옥시알킬렌화, 폴리옥시알킬렌화,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옥시알킬렌 단위는 보다 상세하게는,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 단위,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 단위이다.
들 수 있는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C8∼C24) 알킬페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C8∼C30 알코올,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C8∼C30 아미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C8∼C30산과,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에스테르,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C8∼C30산과, 소르비톨의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에스테르,
포화 또는 불포화의, 모노옥시알킬렌화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화 식물성 오일,
특히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의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축합물.
계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1에서 100의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2에서 50의 사이의 몰수의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함유한다. 유리하게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일절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옥시알킬렌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지방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에스테르(지방산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과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에스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들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또는 C8∼C30 알코올)의 예로는, 라우릴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특히 2∼5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 보다 상세하게는 2∼2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라우레스-2에서 라우레스-20), 베헤닐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특히 2∼5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 보다 상세하게는 2∼2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베헤네스-2에서 베헤네스-20), 세테아릴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세틸 알코올과 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 특히 2∼3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세테아레스-2에서 세테아레스-30), 세틸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특히 2∼3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세테스-2에서 세테스-30), 스테아릴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특히 2∼5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 보다 상세하게는 2∼2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스테아레스-2에서 스테아레스-20), 이소스테아릴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특히 2∼5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CTFA명에서는 이소스테아레스-2에서 이소스테아레스-50),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들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산에스테르의 예로는,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의 에스테르와의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물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9∼100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는 것, 예를 들면, PEG-9에서 PEG-50 라우레이트(CTFA명: PEG-9 라우레이트에서 PEG-50 라우레이트), PEG-9에서 PEG-50 팔미테이트(CTFA명: PEG-9 팔미테이트에서 PEG-50 팔미테이트), PEG-9에서 PEG-50 스테아레이트(CTFA명: PEG-9 스테아레이트에서 PEG-50 스테아레이트), PEG-9에서 PEG-50 팔미트스테아레이트, PEG-9에서 PEG-50 베헤네이트(CTFA명: PEG-9 베헤네이트에서 PEG-50 베헤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EO 모노스테아레이트(CTFA명: PEG-100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 알코올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9개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지방 알코올, 및 10∼30개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지방 알코올을 함유한다.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C8∼C40 알코올이 바람직하게는 사용된다.
특히,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C8∼C40 알코올은, 다음 식에 대응한다:
RO-[CH2-CH(CH2OH)-O]m-H 또는 RO-[CH(CH2OH)-CH2O]m-H
(식 중, R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C8∼C40, 바람직하게는 C8∼C30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m은 1∼30, 바람직하게는 1.5∼10의 범위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의 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서, 4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라우릴 알코올(INCI명: 폴리글리세릴-4라우릴에테르), 1.5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라우릴 알코올, 4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올레일 알코올(INCI명: 폴리글리세릴-4올레일에테르), 2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올레일 알코올(INCI명: 폴리글리세릴-2올레일에테르), 2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세테아릴 알코올, 6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세테아릴 알코올, 6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올레오세틸 알코올, 및 6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옥타데칸올을 들 수 있다.
m의 값이 통계값을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알코올은 알코올의 혼합물을 나타내도 되고, 이는 시판품에 있어서, 복수종의 폴리글리세롤화 지방 알코올이 혼합물의 형태로 공존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알코올 중에서, 1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C8/C10 알코올, 1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C10/C12 알코올, 및 1.5mo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C12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글리세롤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C8∼C40 지방 에스테르는, 다음 식에 대응할 수 있다:
R'O-[CH2-CH(CH2OR''')-O]m-R'' 또는 R'O-[CH(CH2OR''')-CH2O]m-R''
(식 중, R', R'', 및 R'''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C8∼C40, 바람직하게는 C8∼C30 알킬-CO- 또는 알케닐-CO- 기를 나타내고, 단, R', R'', 및 R'''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가 아니며, m은 1∼30, 바람직하게는 1.5∼10의 범위의 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8∼18의 HLB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일 수 있다. HLB는 분자 중의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 사이의 비이다. 이 HLB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The HLB system. A time-saving guide to emulsifier selection"(ICI Americas Inc.사 발행, 1984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계면 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계면 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e) 계면 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3중량%여도 된다.
(다른 선택적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면,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 폴리머, 용매, 증점제, 분산제, 항산화제, 성막제, 보존제, 방향제, 중화제, pH 조정제, 방부제, UV 차폐제, 성분 (a) 이외의 화장용 활성제, 예를 들면, 비타민, 보습제, 피부연화제, 또는 콜라겐 보호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선택적 첨가제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상기의 선택적 첨가제의 성질 및 양을, 원하는 화장 특성이 당해 첨가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통상의 방법이다.
용매로는, 1종 또는 여러 종류의 화장품으로서 허용되는 유기 용매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알코올, 특히 1가 알코올, 예를 들면,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 다른 폴리올, 예를 들면, 글리세롤, 당, 및 당 알코올; 그리고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에테르, 그리고 부틸렌글리콜모노메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에테르여도 된다.
유기 용매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15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 적어도 1종의 산성화제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염기성화제(알칼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산성화제는 예를 들면, 광산 또는 유기산, 예로는, 염산, 인산, 카르복실산, 예로는, 주석산, 구연산, 및 락트산, 또는 설폰산으로 할 수 있다.
염기성화제 즉, 알칼리제는 예를 들면, 화장료 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무기 또는 유기의 염기성제, 예를 들면, 암모니아; 알칸올아민, 예를 들면,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등의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요소, 구아니딘,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이하의 구조로 설명되는 것 등의 디아민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식 중,
R은 선택적으로 히드록실 또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는 프로필렌 등의 알킬렌을 나타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C1∼C4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며, 이는 1,3-프로판디아민 및 그 유도체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산성화제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염기성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해도 된다.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의 필수 성분과 선택적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중의
(a) 적어도 1종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 성분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은 실온(예를 들면, 20∼25℃, 바람직하게는 25℃),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등의 임의의 온도로 실시할 수 있다. pH 조정제 등의 상술한 선택적 성분의 어느 하나와 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W/O 에멀션, O/W 에멀션, 겔, 용액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에멀션, 바람직하게는 O/W 에멀션, 보다 바람직하게는 O/W 겔 에멀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화장용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라틴 물질을 위한 화장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케라틴 물질로는, 피부, 두피, 모발, 입술 등의 점막, 및 손발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 예를 들면 피부를 위한 탈색소, 표백 또는 미백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백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케라틴 물질, 예를 들면 피부, 두피, 및/또는 입술,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대한 적용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 바람직하게는 미백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로션, 유액, 크림, 젤, 페이스트, 세럼, 거품,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의 국소용의 화장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본 발명은 또한,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20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a)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조성물의 황변을 저감하기 위한,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사용으로서,
조성물 중의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사용에도 관한 것이다.
용어 "안정화시키다"는 안정성을 증강시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주위 조건 및 고온 조건 모두에서, 특히 고온 조건하에서도, 장시간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또한,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한 직후,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황변을 저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외관의 품질을 증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외관을, 주위 조건 및 고온 조건 모두에서, 특히 고온 조건하에서도,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은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한 직후, 조성물의 황변을 저감 또는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a)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b) 지방산에 관한 상기 설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선택적 성분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제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의 각각을, 이하의 단계 1∼8에 따라, 표 1에 나타나는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했다.
1. 상 A의 성분을 혼합하고, 80℃+/-5℃까지 가열하여, 상 A의 혼합물을 얻었다.
2. 상 B의 성분을 혼합하고, 80℃+/-5℃까지 가열하여, 상 B의 혼합물을 얻었다.
3. 상 B의 혼합물을 상 A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결과로서 얻어진 혼합물을 8,000rpm하, 80℃+/-5℃에서 10분간, 호모지나이저(TK robomix, PRIMIX)를 이용하여 균질화했다.
4. 상 C의 성분을, 단계 3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에 추가로 첨가한 후, 8,000rpm하에서 10분간,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질화했다.
5. 단계 4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60℃+/-5℃까지 냉각했다.
6. 상 D의 성분을 혼합하여 상 D의 혼합물을 얻었다.
7. 상 D의 혼합물을, 단계 5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면서 충분히 혼합했다.
8. 단계 7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했다.
성분의 양의 수치는 전부, 활성 원료의 "중량%"에 기초한다.
Figure pct00021
[평가]
(티오피리디논 정량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따른 각 조성물의 티오피리디논의 양은, 이하의 타이밍에서 HPLC-UV 분석에 의해 결정했다.
(1)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T0)
(2) 제조로부터 2개월 후, 조성물이 실온에서 유지된 상태
(3) 제조로부터 2개월 후, 조성물이 45℃에서 유지된 상태
HPLC-UV 분석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장치/시약
HPLC 조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색 평가)
(1) 기기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따른 각 조성물 10g을, 제조 직후에, 투명한 20㎖의 유리병에 충전했다. 조성물의 CIE1976에 기초하는 b*값은 분광 비색계 CM-700d(Konica Minolta사 제조)에 의해 병을 개재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있어서의 "b*T0"의 행에 나타낸다.
(2) 육안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따른 각 조성물 10g을, 제조 직후에, 투명한 20㎖의 유리병에 충전했다. 조성물의 색을 이하의 스코어 기준에 따라,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윤안적으로 평가하여, 스코어를 평균했다.
0: 백색
1: 매우 약한 황색
2: 약한 황색
3: 다소 황색
4: 황색
5: 강한 황색
결과를 표 2에 있어서의 "외관"의 행에 나타낸다.
(결과)
각각이 티오피리디논 화합물 및 스테아르산(C18)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 실시예 1∼3에 따른 조성물은 안정적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3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비교예 1∼4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과 비교하여, 실온 및 고온하 모두에서 경시적으로 보다 안정적이었다.
또한, 실시예 1∼3에 따른 조성물의 색은 약한 황색이었을 뿐이다.
비교예 1은 스테아르산의 양(7중량%)이 고온하에서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경시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실시예 1∼3에 나타내는 레벨까지 황변을 저감하기에는 불충분했던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는 또한, 스테아르산의 양(4중량%)이 고온하에서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경시적으로 안정화시키기에는 불충분했던 것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은 강한 황변을 나타냈다.
비교예 3은 스테아르산 대신에 미리스트산(C14)을 사용한 것이,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실시예 1∼3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과 비교하여, 실온 및 고온하 모두에서 경시적으로 불안정했다. 또한,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은 강한 황변을 나타냈다.
비교예 4는 스테아르산 대신에 팔미트산(C16)을 사용한 것이,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4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은, 실시예 1∼3에 따른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과 비교하여, 고온하에서 경시적으로 불안정했다. 또한, 비교예 4에 따른 조성물은 강한 황변을 나타냈다.

Claims (15)

  1.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25

    (식 중,
    R1은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는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 및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및
    c) 포화 분지형 C3∼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a) 수소 원자, 및
    b) 메틸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
    c) 포화 분지형 C3∼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및 이소부틸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식 (I)의 화합물이,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26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식 (I)의 화합물이, 이하의 화합물:
    Figure pct00027

    그리고,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라세미체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a) 식 (I)의 화합물의 양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5중량%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이, 3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이,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및 네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3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25중량%인,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d)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e) 적어도 1종의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미백용인, 조성물.
  14.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위한 화장 방법, 바람직하게는 미백 방법 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상기 케라틴 물질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a) 적어도 1종의 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28

    (식 중,
    R1이
    a) 수소 원자, 및
    b) 포화 직쇄형 C1∼C6 알킬기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키고,
    R2가
    a) 수소 원자,
    b) 포화 직쇄형 C1∼C10 알킬기,
    c) 포화 분지형 C3∼C10 알킬기, 및
    d) C1∼C6 페닐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가리킨다),
    또는, 이들의 염,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광학이성체, 또는 이들의 라세미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상기 (a)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상기 조성물의 황변을 저감하기 위한, (b) 적어도 1종의,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사용으로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b)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양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이상인, 사용.
KR1020237020690A 2020-12-22 2021-12-10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KR20230110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2330A JP2022098751A (ja) 2020-12-22 2020-12-22 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を含む組成物中の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の安定化及び組成物の黄変低減
JPJP-P-2020-212330 2020-12-22
FR2100459 2021-01-18
FR2100459A FR3118877B1 (fr) 2021-01-18 2021-01-18 Stabilisation d’un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réduction du jaunissement de la composition le comprenant
PCT/JP2021/046653 WO2022138471A1 (en) 2020-12-22 2021-12-10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yellowing reduction of composition compri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320A true KR20230110320A (ko) 2023-07-21

Family

ID=7931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90A KR20230110320A (ko) 2020-12-22 2021-12-10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2132A1 (ko)
EP (1) EP4267098A1 (ko)
KR (1) KR20230110320A (ko)
WO (1) WO2022138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9008A1 (fr) * 2022-08-24 2024-03-01 L'oreal Solubilisation de composé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comprenant ce dernier
WO2023245461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Composition for delivery of active compound
FR3138036A1 (fr) * 2022-07-22 2024-01-26 L'oreal Stabilisation de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composé
WO2023245459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Anti-oxid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 thiopyridinone compound
WO2023249122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R3141624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composé de type thiopyridinone et des émulsifiants à base de polyglycéryle
FR3138310A1 (fr) * 2022-07-26 2024-02-02 L'oreal Stabilisation de composé thiopyridinone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WO2023249121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3245462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ed composition comprising thiopyridinone compound
JP2024000769A (ja) * 2022-06-21 2024-01-09 ロレアル 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及び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を含む組成物の安定化
WO2023249912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ilic antioxidants and thiopyridinone compounds
FR3141622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émulsifiants naturel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FR3141623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antioxydants hydrophiles et des composés de thiopyridinone
WO2023248248A1 (en) * 2022-06-21 2023-12-28 L'oréal Solu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3248935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3245463A1 (en) * 2022-06-21 2023-12-28 L'oreal A stabilized composition comprising a thiopyridinone compound and chelating agent
FR3141621A1 (fr) * 2022-11-04 2024-05-10 L'oreal Améliorer la photostabilité du composé thiopyridinone sans l'utilisation de filtres uv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8378A (en) 1947-09-20 1950-10-31 John J Mccabe Jr Metal salts of substituted quaternary hydroxy cycloimidinic acid metal alcoholat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same
US2781354A (en) 1956-03-26 1957-02-12 John J Mccabe Jr Imid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GB1567947A (en) 1976-07-02 1980-05-21 Unilever Ltd Esters of quaternised amino-alcohols for treating fabrics
DE3623215A1 (de) 1986-07-10 1988-01-21 Henkel Kgaa Neue quartaere ammonium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JPH05124924A (ja) * 1991-04-09 1993-05-21 Sansho Seiyaku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DE102005022292A1 (de) * 2005-05-13 2006-11-16 Basf Ag Verwendung von Peroxidzersetzern i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Mitteln zur Behandlung der Haut
FR2968661B1 (fr) * 2010-12-14 2016-01-01 Oreal Procede de depigmentation des matieres keratiniques a l'aide de composes thiopyridinones
FR3045604B1 (fr) 2015-12-18 2018-01-26 L'oreal Procede de depigmentation des matieres keratiniques a l'aide de composes thiopyridin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8471A1 (en) 2022-06-30
US20240082132A1 (en) 2024-03-14
EP4267098A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0320A (ko)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티오피리디논 화합물의 안정화 및 조성물의 황변 저감
US11260000B2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nano or micro emulsion or with lamellar structure
US20210251867A1 (en) Foaming composition
JP2014118400A (ja) 無水化粧料組成物
BR112019022772B1 (pt) Composição, método para cuidar de um material de queratina em um animal e método para preparar a composição
KR102490687B1 (ko) 클렌징 적합 조성물
FR3118877A1 (fr) Stabilisation d’un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réduction du jaunissement de la composition le comprenant
US20170172903A1 (en) Composition with optical effects
WO2021085197A1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emulsion
JP2022171810A (ja) 超微細o/w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ケラチン繊維のためのシリコーン非含有組成物
ES2901764T3 (es) Composición oxidante para tratar fibras queratínicas, que comprende una goma de escleroglucano y un agente secuestrante a base de fósforo
JP2016113435A (ja) ケラチン繊維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
TW202308591A (zh) 化妝料
US20150320650A1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CN110022843B (zh) 非粘性稳定组合物
JP2022098751A (ja) 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を含む組成物中のチオピリジノン化合物の安定化及び組成物の黄変低減
JP2021084898A (ja) 安定性組成物
JP2021050186A (ja) W/o型組成物
JP2015129095A (ja) 組成物
JP2023090301A (ja) ケラチン繊維を処置するためのポリフェノール及び植物由来のタンパク質の使用
JP2023090302A (ja) ケラチン繊維を処置するためのポリフェノール及び水溶性ポリマーの使用
JP2024071575A (ja) 超微細o/w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ケラチン繊維のためのシリコーン非含有組成物
JP2021084886A (ja) 安定性組成物
JP200917958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