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186B1 -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186B1
KR102632186B1 KR1020230126160A KR20230126160A KR102632186B1 KR 102632186 B1 KR102632186 B1 KR 102632186B1 KR 1020230126160 A KR1020230126160 A KR 1020230126160A KR 20230126160 A KR20230126160 A KR 20230126160A KR 102632186 B1 KR102632186 B1 KR 10263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p
skin
expression level
equation
itac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자운
한성수
Original Assignee
(주)예그리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그리나 filed Critical (주)예그리나
Priority to KR102023012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93Di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부세포 독성이 없어서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having skin anti-wrinkle and Cometics compr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인정하는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으며, 2019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18년(15조 5,028억 원) 대비 4.9% 증가하여 성장세가 꾸준히 보이고 있고, 기능성 화장품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8.5%로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기능성 화장품의 2019년 생산실적은 5조 3,448억 원으로 전년대비 7.3%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 생산실적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도 38.9%에 달했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성장률도 8.5%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5년간 성장세를 보면 복합 기능성과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제품은 대체로 지속 성장세를 보인 반면에, 미백 제품은 2016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 시장은 2026년 초고령사회 도래가 예측됨에 따라 타 산업과 비교하여 지속적인 수요가 요청되는 산업이며, 우리나라 또한 고령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항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식약처의 화장품법 시행법규에 따르면 주름개선 화장품이란 피부에 탄력을 주고, 피부 주름을 완화 내지 개선기능을 가진 모든 화장품 (침적 마스크 포함)을 말하며, 주름 개선 소재의 1세대 레틴올(retinol), 2세대 레틴올을 안정화한 유도체, 3세대로서는 2000년대를 시작으로 다양한 종류와 기능의 천연물에서 추출한 식물과 약초, 효모추출물, 그리고 화학유도체를 통한 유효물질 등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제품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포 성장인자(EGF), RG-II, 펩타이드(Peptide) 등으로 다양해지는 추세임.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장 대표적 연구내용으로는 활성산소(active oxygen)의 제거, 진피의 결합조직인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성장을 촉진, 그리고 히알루론산(hyaluronicacid)의 첨가물질, 마지막으로 섬유아세포의 콜라젠 합성 증가에 도움을 주는 물질 등이 있고, 이 중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레티노이드(retinoid acid, tretinoin)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듦에 따라 생기는 내인성 노화와 UV A와 B에 의한 외인성 노화로 구분되는데 노화된 피부는 피부 주름이라는 특징적 변화를 보이며, 피부에 주름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인 자외선은 피부의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콜라겐은 피부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구조 단백질로,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줌으로써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의 노화 및 주름 생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양이 감소하며,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을 촉진시킨다.
MMP(matrix metalloproteinases)는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약 20여종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지지 구조체인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들을 가수분해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는 결합조직들을 파괴함으로써 주름 및 피부의 처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MMP 중 MMP-1은 콜라게나제(collagenase) 1으로 알려져 있으며, type 1,3 콜라겐(collagen)을 기질로 한다. MMP-3는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 1이라고 하며, 기저막의 type 4 콜라겐(collagen)을 분해하여 효소원(zymogen)인 proMMP-1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MMP-9은 겔라티나아제(gelatinase) B로 콜라게나제(collagenase)에 의해 분해된 산물을 더 작게 가수분해 한다. 그리고, 자외선에 의해 MMP-1이 type1,3 collagen을 분해, 해체하고, MMP-3, MMP-9이 증가하여 피부 주름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MMP-1, MMP-3, MMP-9 등이 피부 세포 내 발현을 억제하는 새로운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66374호(공개일: 2004.07.27) 한국 공개특허 제10-2022-0011768호(공개일: 2022.01.28) 한국 공개특허 제10-2022-0120948호(공개일: 2022.08.31)
본 발명은 기존 프로드러그(prodrug)로 사용되는 이타코네이트 화합물의 피부세포 내 MMP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로서 적용하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Di(C2~C4 alkyl)itacon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이타코네이트(itaconate)에 C2~C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산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가열 및 교반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는 1단계; 1단계의 반응용액을 중화시켜서 반응을 종료시키는 2단계; 2단계를 수행한 반응용액을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여 유층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유층액 내 용매를 제거한 후, 재결정 공정을 수행하여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으로서, 상기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Di(C2~C4 alkyl)itaconate)를 화장품의 화장료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거나 매우 낮아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MMP-1, MMP-3 및/또는 MMP-9의 피부 새포 내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 및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바, 콜라겐 생성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응용, 적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화장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피부 세포 안정성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실험예 3에서 실시한 MMP 발현 억제 효과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의 A 및 B는 실험예 4에서 실시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및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시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용어인 " C2~C4의 알킬”의 C2~C4는 탄소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Di(C2~C4 alkyl)itaconate)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디에틸이타코네이트 및 디프로필이타코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높은 피부 투과성 측면에서 디에틸이타코네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는 피부 세포 내 MMP(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내 콜라겐 감소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MMP는 MMP-1, MMP-3 및 MMP-9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1에 따른 HaCaT 세포(인간 피부 각질 세포) 내 MMP-1의 발현 억제율이 35.00 ~ 5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MMP-1의 발현 억제율이 39.11 ~ 48.58%일 수 있다.
[식 1]
MMP-1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1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2에 따른 HaCaT 세포 내 MMP-3 발현 억제율이 0.30 ~ 1.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MMP-3의 발현 억제율이 0.50 ~ 1.30%일 수 있다.
[식 2]
MMP-3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2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3에 따른 HaCaT세포 내 MMP-9발현 억제율이 8.0 ~ 1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MMP-9의 발현 억제율이 9.0 ~ 11.50%일 수 있다.
[식 3]
MMP-9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3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12시간 경과시의 HaCaT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12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ELISA(효소면역측정법)방법으로 측정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율이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1]
15.00% ≤ (A-B) ≤ 26.00%, 바람직하게는 15.11% ≤ (A-B) ≤ 25.34%,
방정식 1의 A 및 B는 ELISA 방법으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A는 농도 10μM인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B는 대조군인 농도 10μM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ELISA(효소면역측정법)방법으로 측정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억제율이 하기 방정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방정식 2]
22.00% ≤ (C-D) ≤ 37.00%, 바람직하게는 23.37% ≤ (C-D) ≤ 35.73%
방정식 2의 C 및 D는 ELISA 방법으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C는 농도 10μM인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D는 대조군인 농도 10μM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타코네이트(itaconate)에 C2~C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산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가열 및 교반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는 1단계; 1단계의 반응용액에 중화시켜서 반응을 종료시키는 2단계; 2단계를 수행한 반응용액을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여 유층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유층액 내 용매를 제거한 후, 재결정 공정을 수행하여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수득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의 산은 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황산, 인산 및 염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1단계의 상기 가열은 60 ~ 75℃까지, 바람직하게는 65 ~ 73℃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68 ~ 73℃가 될 때까지 수행하며,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교반시켜서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반응용액을 수득한다. 알코올로서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의 일례를 들면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이때, 가열 및 반응시 온도가 60℃ 미만이면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려서 최종 반응생성물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5℃를 초과하면 원치 않는 부가 반응에 의해 부가 생성물이 많이 발생하여, 최종 반응생성물의 순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응식 1]
그리고, 2단계는 1단계의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반응용액에 알칼리 성분을 첨가하여, 촉매 성분은 산 성분을 중화시켜서 반응을 종료시킨다.
상기 알칼리 성분으로는 NaHCO3, NaOH , KO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aHCO3 및 NAO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는 2단계를 수행한 반응용액을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여 유층액을 수득하는 공정으로서,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면 반응용액 내 잔존하는 산 성분, 알코올 성분은 수층으로 분리되고, 반응생성물은 유층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유층으로부터 유층액을 수득한 다음, 유층액에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용매(solvent)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4단계의 재결정 공정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첨가한 후, 헥센(hexane)을 천천히 부어서 섞어주면, 고체가 생성 및 성장하여 재결정화된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1 ~ 4단계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는 수율 75 ~ 85% 및 순도 95% 이상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형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아로마 디퓨저, 손 소독제, 핸드크림, 탈취제, 고령친화형 식품베이스 등의 응용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장료를 이용한 화장품으로서, 크림 제형 화장품의 일례를 들면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함량(중량%)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0.5 ~ 3.0, 바람직하게는 0.7 ~ 2.5
글리세린 6.5 ~ 10.0, 바람직하게는 7.0 ~ 9.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2 ~ 2.0, 바람직하게는 0.4 ~ 1.8
에틸헥실팔미테이트 5.0 ~ 9.0, 바람직하게는 5.8 ~ 8.5
시어버터 3.0 ~ 7.0, 바람직하게는 4.0 ~ 6.5
프로판다이올 2.5 ~ 6.0, 바람직하게는 3.0 ~ 5.5
세틸알코올 1.0 ~ 3.0, 바람직하게는 1.5 ~ 2.5
스테아릴알코올 0.5 ~ 2.5, 바람직하게는 0.8 ~ 2.3
베헤닐알코올 0.2 ~ 2.0, 바람직하게는 0.4 ~ 1.5
아라키딜알코올 0.1 ~ 1.0, 바람직하게는 0.3 ~ 0.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 3.5, 바람직하게는 0.7 ~ 3.2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 2.0, 바람직하게는 0.4 ~ 1.8
비닐다이메티콘 0.5 ~ 3.0, 바람직하게는 0.7 ~ 2.6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 1.5, 바람직하게는 0.3 ~ 1.2
잔탄검 0.05 ~ 0.50, 바람직하게는 0.07 ~ 0.40
트로메타민 0.1 ~ 0.9, 바람직하게는 0.2 ~ 0.8
1,2-헥산다이올 1.0 ~ 3.5, 바람직하게는 1.4 ~ 3.0
디에틸이타코네이트 0.1 ~ 0.6, 바람직하게는 0.2 ~ 0.5
정제수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 대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한정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디에틸이타코네이트의 제조
이타코네이트(itaconate) 0.25g에 에탄올(Ethanol) 223.78ml를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 및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용해액에 H2SO4 5ml를 천천히 첨가 후 70℃까지 가열한 다음,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 반응을 수행하였다.
교반 반응 개시 후 12시간 경과된 시점에 NaHCO₃ 0.032g을 투입 및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다음으로, 산 성분이 중화되어 반응이 종료된 반응용액을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였다. 이때, 반응용액 내 잔존하는 산 성분과 에탄올은 수층으로 분리되었고, CHCl₂를 이용하여 분리된 유층에는 디에틸 이타코네이트를 포함하는 유층액으로 분리되었다.
유층액을 수득한 후, MgSO₄를 첨가하여 용매(solvent)를 제거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헥센(hexane)을 천천히 부어서 혼합시켰으며, 고체가 생성 및 성장하여 재결정물인 디에틸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수득하였다(수율 약 80%, 순도 98%).
실험예 1 : 피부 세포 안정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의 피부 세포 안정성을 측정을 다*과 같이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피부세포안정성 측정은 식약처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MTT 법을 수행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100μM 농도에서는 약 16%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10μM부터 약한 독성이 나타났으나, 10μM 이하에서는 피부 세포 안정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1차 피부 자극 테스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의 피부 자극 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피부 자극 테스트는 PCPC(Personare l CaProducts Council) Safety Testing Guidelines 및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 ICDRG)에서 제시하는 시험방법 평가기준에 따라 시행하였다.
30명 이상의 임상자원자를 대상으로 등 부위에 1시간 및 24시간 첩포 후에 나타내는 반응을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총 3회 홍반 반응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임상자원자 모두에게서 피부 자극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예 3 : MMP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의 피부 세포 안정성을 측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의 A~C에 나타내었다.
(1) MMP-1 측정방법
RT-PCR(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식 1에 의해 MMP-1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이때, RT-PCR은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뒤 cDNA로 합성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표적유전자의 증폭을 통해 반응 속도에 따라 양을 측정하는 실험법이다.
[식 1]
MMP-1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1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에틸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간 경과시의 HaCaT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다.
(2) MMP-3 측정방법
RT-PCR(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식 2에 의해 MMP-3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식 2]
MMP-3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2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24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에틸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다.
(3) MMP-9 측정방법
RT-PCR(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식 3에 의해 MMP-9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식 3]
MMP-9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100%
식 3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12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에틸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12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다.
구분 MMP 발현량 24시간 경과시 발현 억제율(%)
0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24시간
MMP-1 대조군 1.0 1.06 1.08 0.85 0.63 0
실시예 1 1.0 1.06 1.02 0.86 0.35 48.58
MMP-3 대조군 1.0 1.03 1.02 1.00 0.99 0
실시예 1 1.0 1.03 0.98 0.93 0.98 1.30
MMP-9 대조군 1.0 1.09 1.02 0.99 0.94 0
실시예 1 1.0 1.09 1.01 0.88 0.98 11.11(12시간 경과시 발현율)
실험예 4 :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및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의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및 엘라스타제 활성 측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3의 A와 B에 나타내었다.
이때,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시험은 식약처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인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효소면역측정법(ELISA)로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2에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B는 농도 10μM의 디에틸이타코네이트를, A는 대조군인 농도 10μM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또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시험은 식약처 기능성 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인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효소면역측정법(ELISA)로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3에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D는 농도 10μM인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C는 대조군인 농도 10μM(단위)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구분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 (24시간)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24시간)
대조군 75.49% (B) 84.75% (D)
실시예 1 53.89% (A) 56.33% (C)
활성 억제율 21.6% 28.42%
제조예 1 : 크림 제형 화장품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이용하여 하기 표 4과 같은 조성의 크림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디에틸이타코네이트 결정체 1.4
글리세린 8.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0
에틸헥실팔미테이트 7.0
시어버터 5.0
프로판다이올 4.0
세틸알코올 1.5
스테아릴알코올 1.5
베헤닐알코올 1.0
아라키딜알코올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
비닐다이메티콘 1.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잔탄검 0.1
트로메타민 0.5
1,2-헥산다이올 2.0
디에틸이타코네이트 0.2
정제수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본 발명의 화장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품은 분말제, 겔제, 분무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피부 점착타입 제형, 크림, 폼,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엣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또는 분사형 액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에서 첨가되는 첨가물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을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Claims (10)

  1.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Di(C2~C4 alkyl)itacon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디에틸이타코네이트 및 디프로필이타코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MMP-1, MMP-3 및 MMP-9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MMP(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내 콜라겐 감소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1에 따른 HaCaT 세포(인간 피부 각질 세포) 내 MMP-1의 발현 억제율이 35.00 ~ 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식 1]
    MMP-1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 X 100%
    식 1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1의 발현량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2에 따른 HaCaT 세포(인간 피부 각질 세포) 내 MMP-3 발현 억제율이 0.3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식 2]
    MMP-3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 X 100%
    식 2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24시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3의 발현량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측정시, 하기 식 3에 따른 HaCaT 세포(인간 피부 각질 세포) 내 MMP-9발현 억제율이 8.0 ~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식 3]
    MMP-9 발현 억제율(%) = (대조군 - 측정대상)/(대조군 발현량) X 100%
    식 3에서, 대조군 발현량은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12시간 경과시의 HaCaT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고, 측정대상 발현량은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12시간 경과시의 HaCaT 세포 내 MMP-9의 발현량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ELISA(효소면역측정법) 방법으로 측정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율이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하고,
    ELISA(효소면역측정법) 방법으로 측정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억제율이 하기 방정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방정식 1]
    15.11% ≤< (A-B) ≤ 25.34%
    방정식 1의 A 및 B는 ELISA(효소면역측정법) 방법으로 피부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B는 농도 10μM인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A는 대조군인 농도 10μM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방정식 2]
    23.37% ≤ (C-D) ≤ 35.73%
    방정식 2의 C 및 D는 ELISA(효소면역측정법)방법으로 피부 세포 내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을 측정한 것으로서, D는 농도 10μM인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를, C는 대조군인 농도 10μM인 레티노이드를 이용하여 측정한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 값이다.
  8. 이타코네이트(itaconate)에 C2~C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산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60 ~ 75℃로 가열 및 교반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는 1단계;
    1단계의 반응용액에 알칼리를 첨가하여 중화시켜서 반응을 종료시키는 2단계;
    2단계를 수행한 반응용액을 용매 상분리를 수행하여 유층액을 수득하는 3단계; 및
    유층액 내 용매를 제거한 후, 재결정 공정을 수행하여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를 수득하는 4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4단계의 상기 디(C2~C4의 알킬)이타코네이트 결정체는 수율 75 ~ 85% 및 순도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품.
KR1020230126160A 2023-09-21 2023-09-21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63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160A KR102632186B1 (ko) 2023-09-21 2023-09-21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160A KR102632186B1 (ko) 2023-09-21 2023-09-21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186B1 true KR102632186B1 (ko) 2024-02-01

Family

ID=8985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160A KR102632186B1 (ko) 2023-09-21 2023-09-21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1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374A (ko)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1109B1 (ko) * 2019-03-25 2019-08-1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소듐폴리이타코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1768A (ko) 2018-12-04 2022-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 및 서방형 레티노이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120948A (ko) 2021-02-24 2022-08-31 이경미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374A (ko)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1768A (ko) 2018-12-04 2022-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 및 서방형 레티노이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1109B1 (ko) * 2019-03-25 2019-08-1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소듐폴리이타코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0948A (ko) 2021-02-24 2022-08-31 이경미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e-Marie Chollet 등,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2년, 제10권, 페이지 531-54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766B2 (ja) 基底膜安定化剤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155224B1 (en) Botanical extracts from oil palm vegetation liquor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s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186B1 (ko)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03095858A (ja) 皮膚外用剤
JP5138262B2 (ja) 皮膚外用剤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2692B1 (ko) 피부미백용조성물
JP2005023021A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KR20070068621A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KR101176524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047230B2 (ja) 皮膚外用剤
KR102062311B1 (ko) 흰들버섯 추출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5468866B2 (ja) 皮膚外用剤
JP5415216B2 (ja) 皮膚外用剤
KR102017053B1 (ko) 신규 α-토코페롤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화장료적 용도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70013588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80806B1 (ko) 아마란스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