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138B1 -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138B1
KR101244138B1 KR1020110041171A KR20110041171A KR101244138B1 KR 101244138 B1 KR101244138 B1 KR 101244138B1 KR 1020110041171 A KR1020110041171 A KR 1020110041171A KR 20110041171 A KR20110041171 A KR 20110041171A KR 101244138 B1 KR101244138 B1 KR 10124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skin
growth factor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801A (ko
Inventor
추정하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4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페이미닌, 다이하이드로몰루긴, 크리소파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보습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를 활성화시켜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본 발명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페이미닌, 다이하이드로몰루긴, 크리소파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보습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피세포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hEGF)는 5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의 시스테인(cysteine)이 3개의 다이설파이트(disulfite) 결합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이다.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에 결합하고, 상기 수용체에 존재하는 타이로신 키나아제(tyrosine kin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 내 신호전달이 일으킨다. 그 결과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 예를 들면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 해당작용(glycolysis) 증가, 단백질 합성,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가 작용하는 유전자 발현 증가 등이 일어나 궁극적으로 DNA 합성 및 세포 성장이 진행된다.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여러 조직에 작용하지만, 특히 피부의 세포 증식, 이동, 결합, 염증반응을 조절하며(Pastore, S. et al., 2008, J. Invest . Dermatol ., 128: 1365-1374, Schneider M.R. et al.,2008, Cytokein Growth Factor Rev ., 19: 173-181), 상처 치유 과정(Buckley, A. et al., 1985 Proc . Natl . Acad . Sci . USA., 82: 7340- 7344)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발현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피부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이 감소하게 되어, 피부 노화, 피부 주름, 탄력 저하가 발생하는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자체를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 원료로 사용하여 피부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의약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상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안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으며, 생산성이 낮아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자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피부 내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한 결과, 페이미닌, 다이하이드로몰루긴 또는 크리소파놀의 효과적인 활성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6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페이미닌(Peiminine)으로서, 상기 페이미닌은 패모(Fritillaria verticillata Willd . var . thunbergii Bak .) 등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이하이드로몰루긴 (Dihydromollugin)으로서, 상기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은 꼭두서니(Rubia cordifolia L.) 등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크리소파놀(Chrysophanol)으로서, 안트라퀴논(anthraguinone)의 한 형태이며, 상기 크리소파놀은 장엽대황(Rheum Palmatum L.) 등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들은 용매화물, 전구약물(pro-drug)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형태일 수 있으며, 용매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수화물 및 에탄올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은 피부 세포를 비롯한 세포 내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단백질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세포를 비롯한 세포 내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이 촉진되면, 상피세포 성장인자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세포 내 신호전달이 일어나고, 그 결과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 및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가 작용하는 다양한 유전자 발현 증가 등이 일어나며 궁극적으로 DNA 합성 및 세포 성장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특히 피부의 세포 증식, 이동, 결합을 증진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며,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보습 등을 통한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화상이나 여드름 등의 흉터 개선용 피부 외용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가 필요한 다른 질환 또는 증상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페이미닌, 다이하이드로몰루긴 또는 크리스파놀이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의 프로모터를 활성화시켜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단백질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페이미닌, 다이하이드로몰루긴 또는 크리스파놀을 처방한 후 피부주름 개선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상기의 조성물은 담체와 함께 제제화 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 제형의 경우, 예를 들면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elixirs)로 제제화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와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될 수 있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경피 투여 형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등의 주사용 형태 등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 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횟수는 처방, 필요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레이저 등의 외과적 방법과 병행하여 처방될 수도 있다. 또한, 깁스, 붕대, 드레싱, 거즈 패드, 및 유사한 품목에 혼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로션, 젤,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연고, 스틱, 패취,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급성 또는 만성 보습제(예를 들면 습윤제, 밀폐제, 및 피부의 자연 보습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제제 포함), 산화 방지제, UVA 및/또는 UVB 보호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제, pH 조절제, 연화제, 자극방지제, 비타민, 미량 금속, 항균제, 식물성 추출물, 향료, 및/또는 염료 및 색 성분과 같은 다른 유익한 제제 및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상용성 혼합물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또한 조성물의 pH에 따라 음이온 또는 양이온의 특성을 갖는 양성(ampholytic) 또는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트로프는 다른 화합물의 물 용해성을 증진시키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이다. 하이드로트로프의 특정 예는 나트륨 큐멘 설포네이트, 암모늄 큐멘 설포네이트, 암모늄 크실렌 설포네이트, 칼륨 톨루엔 설포네이트, 나트륨 톨루엔 설포네이트, 나트륨 크실렌 설포네이트, 톨루엔 술폰산 및 크실렌 술폰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용한 하이드로트로프는 나트륨 폴리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나트륨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 나트륨 메틸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나트륨 캠퍼 설포네이트, 및 디나트륨 숙시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증점제 또는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 또는 겔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불포화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 검, 콜로이드성 실리케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친수성 실리카겔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차단제로는 예를 들어 4-tert-부틸-4'-메톡시 디벤조일메탄 또는 2-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또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상기 화합물들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05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0.00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고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를 활성화시켜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피부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hEGF) 프로모터 영역을 pGL3 벡터에 클로닝하여 재조합된 벡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벡터를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에 형질전환시키고,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를 각각 처리 후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에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을 각각 처리하고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의 발현을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들에 있어 시료 1은 페이미닌(Peiminine), 시료 2는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시료 3은 다이하이드로몰루긴(Dihydromollugin)를 지칭하며, 각각 섬서주강생물유한공사(陝西舟康生物有限公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의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프로모터 활성 평가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프로모터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리포터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 게놈 DNA로부터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프로모터 영역(-890 ~ +80)을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이 때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
정방향 CGGGGTACCCCCATCGTGCATCAAATCTGCTAT (서열번호 1)
역방향 ATCCAAGGGTTGTAGCTGGAACTCCATGGCATG (서열번호 2)
증폭된 DNA를 KpnI과 Nco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자르고 루시퍼레이즈를 발현하는 pGL3 벡터에 클로닝 하였다(도 1).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에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프로모터와 루시퍼레이즈를 결합한 상기 벡터를 리포펙타민(lipofectamine)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transfection)을 통해 세포 내로 주입하였다.
5시간 배양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우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에 각 시료의 농도가 5ppm, 20ppm가 되도록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8시간 처리하였다. 18시간 처리 후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세포 용해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만 추출하여 루시퍼레이즈 어세이를 실시한 후 퍼킨엘머 빅터3 (Perkin Elmer Victor3)로 형광정도(luminescence)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2 및 표 2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시료명 대조군 시료1
5ppm
시료1
20ppm
시료2
5ppm
시료2
20ppm
시료3
5ppm
시료3
20ppm
증가량 100 % 112% 139 % 120% 156 % 122% 157 %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프로모터를 활성화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한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증가 평가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2회 세척하고, 우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에 각 시료의 농도가 5ppm, 20ppm가 되도록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18시간 처리하였다. 18시간 후 배양액만 분리하고, 배양액에 존재하는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의 생성량을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를 실시한 후 UV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도 3 및 표 3에 나타냈다.
시료명 대조군 시료1
5ppm
시료1
20ppm
시료2
5ppm
시료2
20ppm
시료3
5ppm
시료3
20ppm
증가량 100 % 117% 152 % 160% 202 % 136% 181 %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간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이하에서는,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을 피부 에센스에 첨가하여 화장료를 제조하고,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처방하여 나타난 피부주름 개선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조예 1-1, 1-2, 1-3 및 비교예>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1-1 제조예1-2 제조예1-3 비교예
시료1 5 - - -
시료2 - 5 - -
시료3 - - 5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5.0 5.0
에탄올 5.0 5.0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0.1 0.1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피부 에센스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조성의 에센스(표 4)에 대하여 35 ~ 45세의 안면 주름이 있는 45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15명의 피검자 안면 왼쪽 부위에는 각 제조예1-1, 1-2, 1-3 에센스를,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에센스를, 1일 2회씩 아침,저녁으로 세안 후 3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와 비교하여 제조예들의 주름개선 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들이 비교예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를 "뚜렷한 효과 있음", "주름개선 효과 있음", "잘 모르겠음", "없음"의 4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뚜렷한 효과 있음 (명) 주름개선 효과 있음(명) 잘 모르겠음(명) 없음 (명)
제조예 1-1 3 9 2 1
제조예 1-2 4 8 3 0
제조예 1-3 4 7 2 2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1, 1-2, 1-3에 따라 제조된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화장료는 각 피시험자 15명중 최소 11명 이상에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피부 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2℃ 및 상대습도 50%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제조예1-1, 1-2, 1-3 및 비교예의 에센스를 건강한 성인 45명의 목가에 4주간 도포한 후 도표 전, 후의 탄력을 측정하여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15명의 피검자의 목가 왼쪽 부위에는 제조예1-1, 1-2, 또는 1-3 에센스를,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에센스를, 1일 2회씩 아침ㆍ저녁으로 세안 후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C+K,Germany)를 이용하여 각 부위에서의 탄력의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개선 정도는 Ur/Uf를 parameter로 사용하였다.
탄력 개선율(%, n=15)
제조예 1-1 24.8
제조예 1-2 32.5
제조예 1-3 41.9
비교예 3.5
상기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페이미닌, 크리소파놀 또는 다이하이드로몰루긴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보다 피부탄력개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1032249084-pa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 촉진하는 것인,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상 흉터 또는 여드름 흉터를 개선하는 것인,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32249084-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11032249084-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11032249084-pat0001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보습 개선 또는 피부 재생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05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41171A 2011-04-29 2011-04-29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244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71A KR101244138B1 (ko) 2011-04-29 2011-04-29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71A KR101244138B1 (ko) 2011-04-29 2011-04-29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01A KR20120122801A (ko) 2012-11-07
KR101244138B1 true KR101244138B1 (ko) 2013-03-14

Family

ID=4750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171A KR101244138B1 (ko) 2011-04-29 2011-04-29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813B1 (ko) * 2012-05-31 2014-05-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2009339B1 (ko) * 2013-08-14 2019-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8871B1 (ko) * 2013-10-30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페이미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722A (ja) * 1994-12-28 1996-07-16 Kao Corp 老化防止用皮膚化粧料
US5852060A (en) 1996-03-22 1998-12-22 Moady Marzook Antipsoriatic composition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WO2010053340A2 (ko) 2008-11-10 2010-05-14 주식회사 알엔에스 피부미백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722A (ja) * 1994-12-28 1996-07-16 Kao Corp 老化防止用皮膚化粧料
US5852060A (en) 1996-03-22 1998-12-22 Moady Marzook Antipsoriatic composition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WO2010053340A2 (ko) 2008-11-10 2010-05-14 주식회사 알엔에스 피부미백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01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972B2 (ja) 環状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MX2010009485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o cosmeticas que comprenden inhibidores de metaloproteinasa.
JP2020525529A (ja) 皮膚、毛髪、爪および/または粘膜の処置および/またはケアに有用な化合物
KR101772574B1 (ko) 모낭 세포의 재생과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변이체 및 노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US20150164754A1 (en) Anti-ageing composition containing dehydrogenated abiet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1186130B1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4138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0315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11A (ja) Scf分泌抑制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1753874B1 (ko) 데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226200B2 (ja) 硫酸化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417302B1 (ko) 세라마이드, 이의 유도체 및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62173A (ko)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US1155409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heptahydroxyflavan as an effective ingredient
US10406086B2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KR20180056237A (ko) 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8145106A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1393813B1 (ko) 체모 성장 억제용 조성물
JP2012121856A (ja) Vegf産生促進剤、igf−1産生促進剤、hgf産生促進剤、及びbmp−2産生促進剤
EP351759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KR20200064762A (ko) 여드름 개선 화장료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20619B1 (ko) 겐티스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