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73A -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73A
KR20190062173A KR1020180129849A KR20180129849A KR20190062173A KR 20190062173 A KR20190062173 A KR 20190062173A KR 1020180129849 A KR1020180129849 A KR 1020180129849A KR 20180129849 A KR20180129849 A KR 20180129849A KR 20190062173 A KR20190062173 A KR 2019006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ging
skin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998B1 (ko
Inventor
유학선
김혜진
박미경
강신애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엘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큐어 filed Critical (주)엘큐어
Publication of KR2019006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입 I 콜라겐 합성 유도 기능을 가지는 PAR2 수용체 작용제(agonist)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agonist) 중 타입 I 콜라겐 합성 효과가 가장 우수한 PAR2 작용제를 선택함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유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ANTI-AGING COMPRISING PROTEASE-ACTIVATED RECEPTER2(PAR2) AGONIST}
본 발명은 타입 I 콜라겐 합성 유도 기능을 가지는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피부와 뼈를 구성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를 차지하며 견고한 3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고 총 28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피부의 경우 특히 타입 I 콜라겐이 80%, 타입 II 콜라겐이 15% 정도 차지하며 노화가 진행되면서 타입 I 콜라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고 보고되어 있다(Brain Behav Immun. 2009 Nov;23(8):1089-95). 피부의 노화에 따라 타입 I 콜라겐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다른 타입의 콜라겐들이 증가하게 되는데 그 결과 피부조직이 두꺼워지고 탄력을 잃게 된다. 또한 스트레스, 흡연 등에 의해서도 피부의 타입 I 콜라겐의 양이 줄어든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므로 피부의 노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선택적으로 타입 I 콜라겐의 합성을 유도하거나 보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창상치유과정에서도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매트릭스 성분이 증가 되어 빠른 치유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Smad2와 TGF-β와 같은 다양한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Arch Dermatol Res. 2008 Apr;300 Suppl 1:S57-64).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상승시킬 수 있다면 조직 내 콜라겐의 합성이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조직 내 타입 I 콜라겐의 합성은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화 수용체인 PAR2를 경유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Hypertension 2011 Aug;58:264-270). 해당 경로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tryptase)에 의해 PAR-2 수용체가 활성화 되면 MEK 1/2 경로가 활성화되고 이는 ERK 1/2 경로를 활성화 시켜 프로콜라겐(procollagenⅠ&Ⅲ)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 경로를 통하여 타입 I 콜라겐의 합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품이나 의약품은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 인기 있는 화장품 종류는 외적 요인에 의한 주름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항산화제 등의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이 실질적으로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피부 주름개선 물질로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들이 개발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레티놀(Retinol; 비타민 A)과 비타민 C 등이다. 상기 레티노익산, 레티놀, 이외에도 베툴린산(betulinic acid; 미국특허공보 US 5,529,769), 포스콜린(Foskolin ; Hakeda, Y. et al, J. Biochem, 101, 1163-14699(1987)), 베톨레티아(Bertholletia) 추출물(미국특허공보 US 6,004,568), 상륙(Radix Phytolacca esculenta) 또는 토사자(Semen Cuscutae) 추출물(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0-13588호), 곽향(Agastache rugosa), 첨호(Lagenaria siceria var. clavata Ser) 및 침향(Aquilaria agallocha Roxb) 추출물(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0-184670호) 등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주름 완화 화장료로 개발된 것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원료 개발은 시간 소요가 크며 고비용이기 때문에, 주름 완화 화장품이나 의료품 개발 분야에서 제품 생산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agonist) 중에서 콜라겐 합성 유도 능력이 가장 우수한 PAR2 작용제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해 피부 조직 내에서 타입 I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제품을 만들어 주도적인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agonist) 중 타입 I 콜라겐 합성 효과가 가장 우수한 PAR2 작용제를 선택함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유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agonist) 중 후보군 4가지 물질들의 구조식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부 내 흡수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작은 분자량의 PAR2 작용제를 후보군으로 선택하였다.
도 2는 PAR2 수용체 작용제 후보 PCIF-1, 2, 3, 4의 세포 독성 실험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PAR2 수용체 작용제 후보 PCIF-1, 2, 3, 4를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농도 별로(1uM, 5uM, 10uM) 처리한 후 타입 I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RNA 수준에서 비교한 그래프이다(*p < 0.05; **p < 0.01; ***p < 0.001; ****p < 0.0001; One-way ANOVA test로 유의값을 측정하였음).
도 4 내지 6은 PCIF-2를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농도 별로(1uM, 5uM, 10uM) 처리한 후 TGF-βI 유전자(도 4), Smad2(도 5) 및 Smad3(도 6)의 발현 정도를 RNA 수준에서 비교한 그래프이다 (*p < 0.05; **p < 0.01; ***p < 0.001; ****p < 0.0001; One-way ANOVA test로 유의값을 측정하였음).
도 7은 PCIF-2를 사람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n)에 각각 1, 5, 10uM 처리한 후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여 타입 Ⅰ 콜라겐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주름(skin wrinkle)"는 피부 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을 말한다.
또한, 용어 "피부 노화(skin aging)"는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노화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물질들 중 일부 PAR2 작용제(agonist)가 콜라겐 합성을 유도한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알려진 여러 PAR2 작용제 중 타입 I 콜라겐 합성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별하였고 이들 중 피부 내 흡수가 용이한 작은 분자량의 PAR2 작용제를 후보군으로 선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러 후보 물질을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타입 I 콜라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서열번호 1(SLIGKV-NH2)의 펩타이드 PCIF-2가 가장 우수한 타입 I 콜라겐 발현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거나,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일부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기능적 동등물"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은 상기 펩타이드의 구조적, 기능적 상동성으로 인한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 등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의미한다. 상기 서열 상동성은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대비하여 결정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일부 핵산 서열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펩타이드의 함량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충분한 PAR-2 활성을 나타낼 정도의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6 내지 5.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6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0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5 내지 0.0003 중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펩타이드의 총 함량이 0.00006중량% 미만일 때에는 실질적인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형의 안정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펩타이드는 1uM 내지 10uM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uM 내지 8uM의 농도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uM 내지 6uM의 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1uM 내지 10uM의 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한 펩타이드 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공지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펩타이드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로션),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후보 작용제( agonist ) 설정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 중 타입 I 콜라겐 합성과 관련되어질 것이라 판단되는 물질들을 일차로 선별한 후, 그 중 피부 내로 흡수가 용이한 작은 분자량의 작용제를 후보군으로 선택하였다. 선택한 후보 작용제들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후보 작용제의 안전성 확보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한 PAR2 수용체 작용제 후보 PCIF-1, 2, 3, 4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양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PCIF-1, 2, 3, 4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작용제 후보를 100nM, 500nM 및 1mM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시약을 사용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DMSO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DMSO)에서는 대다수의 세포가 사멸한 반면, PCIF-1, 2, 3, 4를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에 상관없이 음성 대조군과 유사하게 세포가 생존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후보 작용제 처리에 의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타입 I 콜라겐 발현 증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PCIF-1, 2, 3, 4를 처리하여 RNA 분리 과정을 거쳐 토탈(total) RNA를 정제한 후, 합성한 cDNA를 사용하여 타입 I 콜라겐(collagen I, col I), TGF-βI, Smad2 및 Smad3 유전자의 발현 양상 정도를 미처리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보 작용제 4종 중 PCIF-2를 처리하였을 때 타입 I 콜라겐 유전자가 가장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PCIF-2를 5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타입 I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PCIF-2를 사용하여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4. PCIF -2 처리에 의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타입 I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상기 실시예 3에서 가장 높은 타입 I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한 PCIF-2를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 농도 별로(1uM, 5uM, 10uM) 처리하여 타입 I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IF-2 처리시 타입 I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인 TGF-βI, Smad2 및 Smad3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TGF-βI, Smad2 및 Smad3 유전자의 발현은 5 uM 농도에서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PCIF-2를 사람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n)에 농도 별로(1, 5, 10uM) 처리하여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uM 농도에서 타입 I 콜라겐 단백질의 양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PCIF-2의 타입 I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알려진 PAR2 수용체 작용제 중 타입 I 콜라겐 합성 효과가 가장 우수한 PAR2 작용제를 선택함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몇몇 기능성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하기와 같이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20 0.5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와 같이 영양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제조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또는 제조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ANTI-AGING COMPRISING PROTEASE-ACTIVATED RECEPTER2(PAR2) AGONIST <130> PNU1-363P-1 <150> KR 10-2017-0160222 <151> 2017-11-2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IF-2 <400> 1 Ser Leu Ile Gly Lys Val 1 5

Claims (5)

  1.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를 0.00006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광노화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29849A 2017-11-28 2018-10-29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1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0222 2017-11-28
KR1020170160222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73A true KR20190062173A (ko) 2019-06-05
KR102051998B1 KR102051998B1 (ko) 2019-12-04

Family

ID=6684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49A KR102051998B1 (ko) 2017-11-28 2018-10-29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415A (ko) * 2020-06-08 2021-12-15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리젠타이드-034 및 리젠타이드-041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2413A (ko) * 2020-06-08 2021-12-15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리젠타이드-034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184A (ko) * 2007-03-30 2008-10-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네랄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184A (ko) * 2007-03-30 2008-10-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네랄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ung-Joo Jekal 등, Korean J Clin Lab Sci., 2012, Vol. 44, No. 4, pp. 229-23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415A (ko) * 2020-06-08 2021-12-15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리젠타이드-034 및 리젠타이드-041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2413A (ko) * 2020-06-08 2021-12-15 나인바이오팜 주식회사 리젠타이드-034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998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8991B1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pour redui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US9387235B2 (en)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PTH fragments
US20050089499A1 (en) Active substances for use i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oducts, obtainable from the fermentation of plant components and/or plant extracts
US20060165643A1 (en)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kombucha
EP2861304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yaluronan biosynthesis promoting agents
CN110149795A (zh) 化妆品混合物
CN107530273A (zh) 含有缬草提取物的组合物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EP1539128B1 (de) Verwendung von substanzen zum schutz der haut
KR102051998B1 (ko) 프로테아제활성화수용체(par2)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2991B1 (ko) 녹용 고압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6528944A (ja) アデナンテラ属植物の種子から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皮膚学調製物
JP2018145106A (ja) 皮膚外用組成物
US10406086B2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JP2014125429A (ja) Dna損傷抑制剤
KR20160017891A (ko)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플라센타를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160036124A (ko) 참마, 알로에, 당근, 솔잎, 달팽이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0567A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089B1 (ko) 산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47975B (zh) 包含表松脂酚的化妆材料组合物
TW201800088A (zh) 促進脂肪細胞分化之組成物及篩選促進脂肪細胞分化物質之方法
KR102359441B1 (ko)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지방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EP3831358A1 (en) Peptides and compositions for use in cosmetics and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