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910A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910A
KR20140049910A KR1020127030443A KR20127030443A KR20140049910A KR 20140049910 A KR20140049910 A KR 20140049910A KR 1020127030443 A KR1020127030443 A KR 1020127030443A KR 20127030443 A KR20127030443 A KR 20127030443A KR 20140049910 A KR20140049910 A KR 20140049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formation
user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507B1 (ko
Inventor
도모히로 이와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키워드(433a)가 격납된 작화 정보 기록부(433)와, 화면 데이터의 설정 정보(431a)를, 화면 데이터마다 키워드(433a)에 관련지어서 기록하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와, 작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각각의 조작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판정 기준 데이터(432b)와 사용자 데이터(432a)를 기록하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와, 입력된 용어와 일치하는 키워드(433a)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431a)를 제1 데이터 기록부(431) 중에서 검출하는 정보 검색부(422)와, 판정 기준 데이터(432b)와 사용자 데이터(432a)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습숙도 및 취향을 판정하는 특성 판단부(421)와, 설정 정보(431a)에 특성 판단부(421)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제어부(412)와, 순위 매겨진 설정 정보(431a)를, 표시부(42)에 표시시키는 정보 제시부(4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SCREEN DATA GENERATING APPARATUS FOR PROGRAMM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신규로 화면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데이터를 유용(流用)해서 작성하는 일이 많다. 또, 화면 작성 공정수 삭감의 관점에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를 공급하는 메이커는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샘플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template data)를 많이 준비하고 있고, 이들 데이터로부터 화면이나 설정 완료(設定濟)된 부품을 유용하는 것에 의해, 목적의 기능을 포함한 화면 데이터를 단시간에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데이터를 유용하는 경우는 기본(基)으로 하는 화면 데이터나, 목적의 기능을 설정한 화면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자신이 준비할 필요가 있다. 기본으로 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곧바로 알면 좋지만, 어디에 격납했는지, 어느 파일이었는가를 잊은 경우는 컴퓨터나 기록 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를 1개씩 열어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화면이 다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는 추가로 화면을 1개씩 확인해 가는 작업이 필요해서, 목적의 화면을 찾아내기까지 시간이 들어 버린다.
이 수고를 생략하기 위해, 최근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에서는 템플릿 데이터나 라이브러리, 부품 데이터의 검색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들 검색에 있어서도, 미리 화면이나 템플릿 데이터에 설정된 키워드를 기본으로 검색을 실행하기 때문에, 미리 키워드를 설정할 필요가 있거나 키워드에 합치하는 문자열의 입력이 필요하기도 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Web 페이지와 같은 인터넷 상에 게재되어 있는 샘플 화면이나 템플릿 화면에 있어서도, Web 페이지만으로는 실제의 모습이나 설정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다운로드를 행하여 열어서 열람하는 것에 의해, 목적의 기능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인지, 사용자 자신의 습숙도(習熟度) 레벨로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판단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에는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이 복수의 계층을 이루고 표시 화면 상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계층의 화상이 표시됨에 아울러, 적어도 다음에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화상을 사용자에게 예측시키기 위한 다음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다음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에 표시되는 화상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0-2662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사용 시에 적용되는 것이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화면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를 재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른 내용을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화면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를 재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른 내용을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력 인터페이스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가 작화(作畵)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 상에 형성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키워드가 격납된 작화 정보 기록부와, 컴퓨터에 접속 또는 내장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화면 데이터의 각각을 특정하는 설정 정보를, 화면 데이터마다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련지어서 기록하는 제1 데이터 기록부와, 작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각각의 조작에 설정된 난이도를 나타내는 판정 기준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한 작화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 및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행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하는 제2 데이터 기록부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용어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를, 제1 데이터 기록부 중에서 검출하는 정보 검색부와, 제2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판정 기준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기록부에 축적된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습숙도 및 취향을 판정하는 특성 판단부와, 정보 검색부가 검출한 설정 정보에, 특성 판단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순위 매겨진 설정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정보 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화면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를 재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른 내용을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신규 작성하는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에 대해서 행하는 조작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서 화면 데이터ㆍ부품 데이터를 신규 추가하는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에 대해서 행하는 조작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다이얼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내부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I/F를 조작해서 키워드를 입력하고 나서 표시부에 설정 정보가 제시될 때까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정보 검색부가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1, 제2 데이터 기록부에 축적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40), RAM(Random Access Memory; 41), 표시부(42), I/F(Interface; 411), 제1 데이터 기록부(431), 제2 데이터 기록부(432), 작화 정보 기록부(433) 및 외부 기억 장치(43)를 가지는 컴퓨터(80) 상에, CPU(40)가 RAM(41)을 워크 에어리어로 하여 작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CPU(40)가 RAM(41)을 워크 에어리어로 하여 작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CPU(40) 상에는 제어부(412), 정보 검색부(422), 특성 판단부(421) 및 정보 제시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기억 장치(43)는 컴퓨터(80)에 내장되어 있고, 프로젝트 데이터, 템플릿 데이터, 샘플 데이터, 부품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외부 기억 장치는 HDD(Hard Disk Drive)나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외에, 광 디스크 등의 이동식(removable)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독출 기록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컴퓨터(80)에는 외부 기억 장치(400)가 접속되어 있고, 외부 기억 장치(400)에 대해서 화면 데이터(400a)(프로젝트 데이터, 템플릿 데이터, 샘플 데이터, 부품 데이터 등)의 독출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외부 기억 장치(400)는 정보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통신 회선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컴퓨터도 포함한다.
I/F(411)는 키보드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4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이다. 제1 데이터 기록부(431), 제2 데이터 기록부(432) 및 작화 정보 기록부(433)는 정보나 데이터를 불휘발로 기록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HDD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이다.
제1 데이터 기록부(4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검색부(422)가 외부 기억 장치(43, 400)에 대한 검색을 행하여 얻은 설정 정보(431a)가 수시 축적된다. 또한, 설정 정보는 외부 기억 장치(43, 400)에 격납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43a, 400a)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며, 데이터의 격납 장소ㆍ종류ㆍ사이즈ㆍ갱신 일시ㆍ배치되어 있는 부품의 종류나 개수,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코멘트 등을 포함한다. 또, 제1 데이터 기록부(431)는 캐쉬 데이터를 홀딩하고 있고, 한 번 캐쉬 데이터가 작성되면, 다음 회의 검색 시에는 이들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정보 검색부(422)가 첫회보다 고속으로 검색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데이터 기록부(432)는 사용자가 I/F(411)에 대해서 행한 조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432a)로서 수시 축적하고 있다. 또,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는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 등의 판단의 기준으로 하는 판정 기준 데이터(432b)가 기록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기록되어 있는 판정 기준 데이터(432b)를, 사용자가 표시부(42)에 제시된 후보로부터 무엇을 선택했는지에 따라서, 고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판정 기준 데이터(432b)를 학습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판정 기준 데이터(432b)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에 대한 각종 조작마다 설정된 곤란도, 작화 소프트웨어에 실행할 때에 요구되는 컴퓨터(80)의 추천 스펙(recommended specification)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특성 판단부(421)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축적된 사용자 데이터(432a)와 판정 기준 데이터(432b)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습숙도, 취향 등을 판단한다.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는 작화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ㆍ기능 명칭이 되는 「키워드」가 키워드(433a)로서 기록되어 있고, 키워드(433a)의 각각에는 복수의 관련 워드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이라고 하는 키워드에는 「에러, 시스템, 사용자, 표시, 이력, 출력, 확인, 릴레이, 보전」 등의 관련 워드가 등록되어 있다. 또,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가 가지는 기능 명칭, 타사 제품에서의 기능 명칭, 일반적인 사용 방법이나 작화 수순에 대한 정보인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433b)도 기록되어 있다.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기록되어 있는 키워드(433a)나,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433b)는 사용자가 I/F(411)에 대해서 조작을 행하여 직접 편집하거나 정보 검색부(422)가 최신의 키워드,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를 입수(入手)하고, 정보를 임포트(import), 또는 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갱신 가능하다.
제어부(412)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및 검색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정보의 검색을 정보 검색부(422)에 지시한다. 또, 제어부(412)는 사용자의 모든 조작의 입력을 I/F(411)로부터 수취하고, 그 정보를 특성 판단부(421)에 전달한다. 제어부(412)는 정보 검출부(422)로부터 얻어진 정보와, 특성 판단부(421)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정보 제시부(413)에 출력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되어 있는 설정 정보 중에서 검색 처리를 행한다. 또, 정보 검색부(422)는 제어부(412)로부터 수취한 정보(키워드)를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기록되어 있는 키워드(433a)와 대조하여, 검색에 최적인 다른 키워드로의 변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정보 검색부(422)는 사용자가 검색하는 기록 매체의 장소를 지정한 경우는 I/F(411)에 대한 조작에 의해 입력된 패스 정보(데이터 격납 장소)에 따라서, 외부 기억 장치(43, 400)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로부터의 검색 처리도 실행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검색 처리에 의해 얻어진 설정 정보를 제어부(412)에 돌려준다. 또, 정보 검색부(422)는 외부 기억 장치(43, 400)로부터 얻은 설정 정보를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수시 축적한다.
특성 판단부(421)는 제어부(412)로부터 건네받은 I/F(411)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432a)로서 축적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432a)와 판정 기준 데이터(432b)를 대조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습숙도를 판단해서, 사용자의 습숙도 및 취향을 제어부(412)에 돌려준다.
정보 제시부(413)는 제어부(412)로부터 수취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사용자의 조작 상황에 따른 설정 정보를 표시부(42)에 표시시킨다.
도 2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신규 작성하는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에 대해서 행하는 조작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기동 시에 프로젝트 데이터의 신규 작성을 선택하고(단계 S1), 그 후 기존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로부터의 유용을 선택하는 것으로(단계 S2),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다이얼로그가 표시부(42)에 표시된다. 표시부(42)에 표시된 다이얼로그에 검색 조건을 입력해서 설정 정보의 검색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3), 검색 결과로부터 목적의 기존 프로젝트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를 선택하는 것으로(단계 S4), 프로젝트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를 신규로 작성하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추가한다(단계 S5).
도 3은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서 화면 데이터ㆍ부품 데이터를 신규 추가하는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에 대해서 행하는 조작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젝트 데이터 편집 시에 화면이나 부품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에(단계 S6), 기존 데이터로부터의 유용 작성을 선택하는 것으로(단계 S7),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다이얼로그나 윈도우가 표시부(42)에 표시된다. 표시부(42)에 표시된 다이얼로그에 검색 조건을 입력해서 설정 정보의 검색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8), 검색 결과로부터 목적의 화면이나 부품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를 선택하는 것으로(단계 S9), 화면이나 부품 데이터를 신규로 작성하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추가한다(단계 S10).
도 4는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다이얼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색 조건 지정 다이얼로그(200)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기존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유용하는 지령을 입력했을 때에 정보 제시부(413)에 의해 표시부(42)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하고, 키워드 입력란(204)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에 검색 버튼(201)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정보 검색부(422)에 의한 검색 처리가 개시된다. 정보 검색부(422)에 의한 검색 결과는 검색 결과란(206)에 일람 표시된다. 정보 검색부(422)에 의한 검색 결과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합치하고 있고, 또한 조작 환경이나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이 고려되어 있다.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일람 표시된 검색 결과 중에서 임의의 설정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412)는 선택된 설정 정보(208)와, 선택된 설정 정보(208)가 나타내는 화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화면(207)을 표시부(42)에 프리뷰 표시하도록 정보 제시부(413)에 명령한다. 목적의 데이터가 발견된 경우, 사용자는 I/F(411)를 조작하고, 일람 표시된 검색 결과 중에서 소망한 설정 정보를 선택한 상태에서 OK 버튼(209)을 프레스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12)는 일람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선택 상태의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를 프로젝트에 추가한다.
또한, 키워드 이외에도, 검색 대상(데이터의 종류)이나 검색 장소, 표시기의 타입, 접속 기기의 메이커 등의 상세 정보(205)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상세 설정 버튼(203)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검색 대상이나 검색 장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타입, 접속 기기의 메이커 등의 상세 정보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윈도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색 조건 지정 윈도우(300)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하고,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서 화면이나 기능을 추가하는 지령을 입력했을 때에 제어부(412)에 의해 표시부(42)에 표시된다. 검색 조건 지정 윈도우(300)는 검색 조건 지정 다이얼로그(200)와 동일한 정보를 입력ㆍ지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하고, 키워드 입력란(304)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에 검색 버튼(301)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검색 결과란(306)에 썸네일이 표시된다. 또, 정보 표시란(307)에는 표시기의 타입나 프로젝트 경로, 프로젝트명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정보 표시란(307)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한 다음 I/F(411)를 조작하고, 유용 버튼(308)을 프레스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12)는 일람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선택 상태의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를 프로젝트에 추가한다.
또한, 키워드 이외에도, 데이터의 종류나 검색 장소 등의 상세 정보(305)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상세 설정 버튼(303)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검색 대상이나 검색 장소, 표시기의 타입, 접속 기기의 메이커 등의 상세 정보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의 내부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I/F를 조작해서 키워드를 입력하고 나서 표시부로 설정 정보가 제시될 때까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정보 검색부(422)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 내의 설정 정보의 검색 처리를 행할 때에 우선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입력한 키워드와 합치하는 키워드(433a)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를 제1 데이터 기록부(431)로부터 검색하는 「키워드 검색」을 실시한다(도 7:단계 S101). 이 때에는 제어부(412)가 정보 검색부(422)에 설정 정보의 검색을 지시하고(도 6:S11), 정보 검색부(422)가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대해서 키워드 검색을 실행한다. 키워드 검색 결과, 히트 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도 7:단계 S102/예), 검출한 설정 정보를 제시 리스트에 추가한다(도 7:단계 S103). 그 후, 제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 수가, 미리 설정한 표시 건수 이상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도 7:단계 S104).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입력한 키워드와 합치하는 키워드(433a)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가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도 7:단계 S102/아니오), 제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의 수가, 미리 설정한 표시 건수 미만인 경우는(도 7:단계 S104/아니오), 정보 검색부(422)는 계속해서 「관련 워드 검색」을 실시한다(도 7:단계 S107).
관련 워드 검색을 행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입력한 키워드를 관련 워드로서 포함하는 키워드(433a)를 작화 정보 기록부(433) 내에서 검색한다(도 7:단계 S108). 해당하는 키워드가 있는 경우(도 7:단계 S108/예), 정보 검색부(422)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입력한 키워드를 단계 S106에서 검출한 다른 키워드(433a)로 자동 변환한다(도 7:단계 S109).
일례로서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에러 이력 표시」라고 하는 용어를 키워드로서 입력한 경우를 든다. 정보 검출부(422)는 우선 「에러 이력 표시」라고 하는 용어의 키워드 검색을 단계 S101로 실시한다. 여기서, 「에러」, 「이력」, 「표시」라고 하는 용어를 포함하는 키워드(433a)가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도 7의 단계 S102에서의 판단은 「아니오」가 되기 때문에 정보 검색부(422)는 「에러」, 「이력」, 「표시」라고 하는 용어의 관련 워드 검색을 단계 S107에서 실시한다. 그렇게 하면, 이들 3개의 용어를 관련 워드에 포함하는 「알람」이라고 하는 키워드(433a)가 추출되기 때문에, 도 7의 단계 S108에서의 판단은 「예」가 된다. 그래서 정보 검색부(422)는 단계 S109의 처리에서 「에러 이력 표시」라고 하는 키워드를 「알람」으로 변환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도 7의 단계 S101의 키워드 검색에서, 「알람」이라고 하는 키워드에 관련지어진 설정 정보를 제1 데이터 기록부(431) 중에서 검색한다.
모든 관련 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가 관련 워드 검색으로 히트되지 않은 경우, 정보 검색부(422)는 일부의 관련 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관련 워드 검색을 실시한다. 전출(前出)의 예에서, 정보 검색부(422)는 「에러, 이력」, 「에러, 표시」, 「이력, 표시」 등의 조합으로 관련 워드 검색을 실시한다. 키워드가 하나도 히트되지 않는 경우는(도 7:단계 S108/아니오), 처리를 종료한다.
제시 리스트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의 수가 미리 설정한 표시 건수 이상인 경우(도 7:단계 S104/예), 정보 검색부(422)는 후보 리스트를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어부(412)에 건네준다(도 6:S12).
또한, 정보 검색부(422)는 후보 리스트에 포함하는 설정 정보에는 스코어를 설정한다. 이 예에서, 「에러」, 「이력」, 「표시」의 모든 용어를 키워드에 포함하는 데이터는 100점, 용어의 하나를 키워드에 포함하는 데이터는 60점, 용어를 키워드에는 포함하지 않고, 관련 워드에 2개의 용어를 포함하는 별도의 키워드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30점과 같이 스코어가 부여된다.
제어부(412)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성 판단부(421)가 판단한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의 판단 결과를 특성 판단부(421)로부터 수취하고, 후보 리스트에 가미한다(도 7:단계 S105). 이 때에, 제어부(412)는 특성 판단부(421)에 사용자의 습숙도ㆍ취향의 판정을 지시한다(도 6:S13). 특성 판단부(421)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로부터 사용자 데이터(432a) 및 판정 기준 데이터(432b)를 독출한다. 그리고, 특성 판정부(421)는 사용자 데이터(432a) 및 판정 기준 데이터(432b)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습숙도ㆍ취향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제어부(412)에 돌려준다(도 6:S14). 제어부(412)는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432a) 및 판정 기준 데이터(432b)에 기초하여 판정된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라서, 제1 데이터 기록부(431) 내의 설정 정보의 검색 처리 결과의 스코어를 보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12)는 사용자에게 최적이라고 판단한 설정 정보를 정보 제시부(413)에 건네준다(도 6:S15). 제어부(412)가 스코어를 보정하는 점수의 가중치를 두는 것을 가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최적인 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펙(specification)이 낮은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고, 초심자 사용자가 잘 행하는 행동 패턴에 합치하는 설정 정보가 많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는 검색하는 데이터량을 줄이고, 검색에 걸리는 시간을 줄인 다음, 제시하는 후보 수도 통상보다 줄이고, 보다 간단한 구성의 화면이 표시부(42)에 표시되도록 정보 제시부(413)에 설정 정보를 건네준다.
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부품의 색, 형상, 종류 등의 데이터를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사용자 데이터(432a)로서 기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설정 정보가 상위로서 표시부(42)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청계(淸系)」의 「리얼」이라고 하는 종류의 부품을 화면에 많이 배치하고 있는 경우는 「리얼」이라고 하는 종류로 작성된 화면 데이터의 설정 정보가 보다 상위인 검색 결과가 되어, 정보 제시부(413)가 표시부(42)에 검색 결과를 표시시킬 때에 상위의 후보로서 표시된다.
정보 제시부(413)는 제어부(412)로부터 건네받은 설정 정보를 스코어순으로 표시부(42)에 표시시킨다(도 7:단계 S106). 이 때, 정보 제시부(413)는 스코어순의 설정 정보를 표시부(42)에 건네준다(도 6:S16). 표시부(42)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412)는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면 데이터를 신규 화면 작성 시에 유용하거나, 작성 중인 화면에 대해서 추가한다.
또한, 사용자의 습숙도에 따라서, 작화 수순의 힌트 제시나, 다음 조작의 가이던스도 더해서 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특성 판단부(421)로부터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의 판단 결과를 받은 제어부(412)가, 정보 제시부(413)에 작화 정보 기록부(433)로부터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433b)를 독출해서 설정 정보와 함께 표시부(42)에 표시하도록 지시를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412)는 정보 제시부(413)가 표시부(42)에 있어서 제시한 결과에 대해, 사용자가 무엇을 선택했는지의 정보를, I/F(411)로부터의 피드백으로서 수취하고, 판정 기준 데이터(432b)를 갱신하도록 특정 판단부(421)에 지시를 보낸다. 이와 같이 하여 판단 기준 데이터(432b)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동일한 가이던스를 몇 번이나 제시해도 개선이 보여지지 않는 경우에, 다른 말을 사용하여 추가로 초심자에게 표시하는 가이던스로 전환하거나, 초심자 사용자에게 잘 보여지는 특정의 조작만이 몇번이나 검출되고 있지만 그 밖에 초심자에게 보여지는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그 특정의 조작을 사용자의 버릇이라고 판단해서 그 특정의 조작은 평가의 대상 외로 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컴퓨터(80) 내에 축적된 판단 기준 데이터(432b)나,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433b)는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컴퓨터(80)에 접속한 다른 컴퓨터나,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익스포트(export)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나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컴퓨터에 접속된 다른 컴퓨터로부터, 판단 기준 데이터(432b)나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를 취입하는(임포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정보의 익스포트나 임포트를 실행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다른 컴퓨터에서 컴퓨터(80)와 동일한 조작 환경을 실현하거나, 반대로 컴퓨터(80)에서 다른 컴퓨터와 동일한 조작 환경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정보 검색부가 외부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1, 제2 데이터 기록부에 축적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검색부(422)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검색 처리의 실행을 명령한 경우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 내의 설정 정보를 검색한다(도 8:S21, S25). 또, 외부 기억 장치(400)에 대한 검색 처리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키워드를 입력한 경우(도 8:S21, S25, S26) 이외에도, 작화 소프트웨어의 인스톨ㆍ기동 시(도 8:S23), 시스템의 아이들 타임(idle time) 시(도 8:S24) 등에도 실시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외부 기억 장치(43, 400)에 기록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로부터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고,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검색부(422)는 사용자가 I/F(411)를 조작해서 검색 처리의 실행을 명령한 후에(도 8:S21, S25), 외부 기억 장치(43, 400)의 화면 데이터를 검색한다(도 8:S26). 또, 정보 검색부(422)는 작화 소프트웨어의 인스톨ㆍ기동 시(도 8:S23), 시스템의 아이들 타임 시에(도 8:S24), 외부 기억 장치(400)에 격납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의 검색을 실행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검색에 의해 검출한 화면 데이터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출하고,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한 설정 정보에 대해서,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격납되어 있는 키워드(433a)와의 관련지음을 행하고, 키워드(433a)에 따른 인덱스 파일을 작성하고,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기록한다(도 8:S28).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인덱스 파일을 기록하는 것에 의해, 정보 검색부(422)는 제1 데이터 기록부(431) 내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처리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실행 환경이나 소프트웨어의 조작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집하고(도 8:S22),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사용자 데이터(432a)로서 기록한다(도 8:S27).
구체적으로는 작화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있는 환경(CPU 스펙, HDD 용량, OS(Operating System)의 종류, 인스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이나 사용자가 I/F(411)에서 행한 조작(메뉴로 무엇을 선택했는지, 어떤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지, 설정까지 필요로 한 시간 등)에 대한 로그를 제어부(412)가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정보 검색부(422)에 전달하여 제2 데이터 기록부(432)에 기록시켜서 사용자 데이터(432a)로 한다.
정보 검색부(422)는 검색 처리에 의해 소득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 기록부(431)에 수시 축적한다. 그 때에,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433a)와 관련지음을 행하는 것에 의해, 다음 회의 검색을 보다 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작화 정보 기록부(433)에 기록되어 있는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433b)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100)가 가지는 기능 명칭이나 타사 소프트웨어에서의 기능 명칭, 일반적인 작화 수순에 대한 정보도 가미한 설정 정보와의 관련지음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색 처리를 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과거에 작성한 프로젝트 데이터를 간단하게 유용할 수 있다. 또, 미리 준비되어 있는 샘플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 부품 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의 화면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른 정보나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시 내용으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화면을 작성할 수 있다.
[산업상의 사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화면 데이터나 템플릿 데이터를 재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습숙도나 취향에 따른 내용을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특히 습숙도는 다른 사용자가 공용하는데 적합하다.
40 CPU
41 RAM
42 표시부
43, 400 외부 기억 장치
43a, 400a 화면 데이터
80 컴퓨터
10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200 검색 조건 지정 다이얼로그
201, 301 검색 버튼
203, 303 상세 설정 버튼
204, 304 키워드 입력란
205, 305 상세 정보
206, 306 검색 결과란
207 화면
208 선택된 설정 정보
209 OK 버튼
300 검색 조건 지정 윈도우
307 정보 표시란
308 유용 버튼
411 I/F
412 제어부
413 정보 제시부
421 특성 판단부
422 정보 검색부
431 제1 데이터 기록부
432 제2 데이터 기록부
432a 사용자 데이터
432b 판정 기준 데이터
433 작화 정보 기록부
433a 키워드
433b 기능 명칭ㆍ작화 수순 정보

Claims (2)

  1. 입력 인터페이스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가 작화(作畵)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컴퓨터 상에 형성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키워드가 격납된 작화 정보 기록부와,
    상기 컴퓨터에 접속 또는 내장된 외부 기억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화면 데이터의 각각을 특정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화면 데이터마다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련지어서 기록하는 제1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작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각각의 조작에 설정된 난이도를 나타내는 판정 기준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한 상기 작화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 및 사용자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행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하는 제2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용어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관련지어진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기록부 중에서 검출하는 정보 검색부와,
    상기 제2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판정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기록부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습숙도(習熟度) 및 취향을 판정하는 특성 판단부와,
    상기 정보 검색부가 검출한 상기 설정 정보에, 상기 특성 판단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순위 매겨진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정보 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기록부에, 상기 키워드 각각과 관련지어진 관련 워드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정보 검색부는 상기 정보 검색부가 상기 제1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검출한 상기 설정 정보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용어를, 그 용어와 일치하는 관련 워드에 관련지어진 상기 키워드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키워드에 관련지어진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기록부 중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KR1020127030443A 2012-03-19 2012-03-19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KR101427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7007 WO2013140496A1 (ja) 2012-03-19 2012-03-19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作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910A true KR20140049910A (ko) 2014-04-28
KR101427507B1 KR101427507B1 (ko) 2014-08-07

Family

ID=4743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443A KR101427507B1 (ko) 2012-03-19 2012-03-19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46402A1 (ko)
JP (1) JP5079179B1 (ko)
KR (1) KR101427507B1 (ko)
CN (1) CN103443755A (ko)
DE (1) DE112012006050T5 (ko)
TW (1) TW201339945A (ko)
WO (1) WO2013140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394B2 (ja) * 2013-02-22 2016-11-30 発紘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そのプログラム
US20160334776A1 (en) * 2014-02-12 2016-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raw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CN104866511B (zh) * 2014-02-26 2018-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添加多媒体文件的方法及设备
JP5744363B1 (ja) * 2014-06-11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作画ソフトウェア
JP6309408B2 (ja) * 2014-09-19 2018-04-11 発紘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984135B2 (ja) * 2017-02-10 2021-12-17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083A (ja) 2002-01-11 2003-07-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教材作成方法及び装置及び教材作成プログラム及び教材作成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7272458B2 (en) * 2004-04-13 2007-09-18 Omron Corporation Control system setting device
US8701007B2 (en) * 2009-04-30 2014-04-15 Apple Inc. Edit visualizer for modifying and evaluating uncommitted media content
CN101571874A (zh) * 2009-05-31 2009-11-04 杭州三煌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信息搜索排序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6050T5 (de) 2015-01-08
US20130246402A1 (en) 2013-09-19
WO2013140496A1 (ja) 2013-09-26
JPWO2013140496A1 (ja) 2015-08-03
CN103443755A (zh) 2013-12-11
JP5079179B1 (ja) 2012-11-21
KR101427507B1 (ko) 2014-08-07
TW201339945A (zh)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507B1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용 화면 데이터 작성 장치
JP4864508B2 (ja) 情報検索プログラム、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装置
JP2009169856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TW201430599A (zh) 程式及電子手冊顯示裝置
JP4837989B2 (ja) 文献情報分析装置及び文献情報分析方法
JP5500896B2 (ja)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94493B2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4340A (ja) 商品キーワード管理システム
JP71109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86686A (ja) 状況に応じたプログラムの提示機能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JP2017068418A (ja) 計画支援システム及び計画支援方法
JP2005157896A (ja) データ分析支援システム
JP2012118750A (ja) 情報検索装置、検索入力方法、及び検索入力プログラム
JP4446715B2 (ja) 文書検索装置、文書検索方法、および文書検索プログラム
JP2019149109A (ja) 調達先決定支援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2006092004A5 (ko)
JP2019091130A (ja) 質問提示制御プログラム、検索方法、および検索装置
JP2008192009A (ja) 管理点データ生成システム及び管理点データ生成方法
JP2005085109A (ja) 情報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1165A (ja) 情報処理装置、書類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151326B2 (ja)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5327023A (ja) ヒット数予想を利用した全文検索の検索方式
JP2023066480A (ja) 業務情報検索システム、業務情報検索方法
JP2010033139A (ja) 情報処理装置、電子辞書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8241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