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597A - 복합수송객차 - Google Patents

복합수송객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597A
KR20140048597A KR1020120114744A KR20120114744A KR20140048597A KR 20140048597 A KR20140048597 A KR 20140048597A KR 1020120114744 A KR1020120114744 A KR 1020120114744A KR 20120114744 A KR20120114744 A KR 20120114744A KR 20140048597 A KR20140048597 A KR 2014004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assenger
unit
carria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병수
인태명
하오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2011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597A/ko
Publication of KR2014004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02Wagons or vans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형태로 형성되는 객차에 있어서, 상층은 승객 수용을 위한 여객부로 사용되고 하층은 화물 수용을 위한 화물부로 사용되며, 승객과 화물이 분리벽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되는 복합수송객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수송객차 {Double deck train car transport passenger and cargo}
현대사회는 거의 모든 교통체계의 수용도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교통체계의 수용도 포화는 화물운송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철도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다. 열차 편성은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증편이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여객과 화물수송을 동일한 철로로 이용하기에 섣불리 한 쪽을 늘릴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수송량의 증대를 위하여 국가에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먼저 기존 노선의 철도를 복선화 하여 통행량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복선화는 철도의 수송용량 자체를 증가시키는 일이기에 열차 편성의 실질적 증대로 이어질 수 있는 등의 큰 장점을 가지나,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며, 오랜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사회 간접자본 확충사업이라는 점에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또 다른 방법은 철도 차량의 고속화를 통한 철도의 수송 능력 재고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프랑스의 TGV를 바탕으로한 KTX를 도입하였으며, KTX 도입시 얻은 기본 설계 기술과 국내 기술을 이용하여 한국형 KTX인 산천 및 프로젝트 네임 해무등의 신형 고속철도 차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고속차량은 1층 객차를 이용하여 수송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수송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 2층 객차의 필요성이 대두 대어왔다.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2층 객차 구조는 유럽 특허 제2,258,594호(2004.09.14)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2층 객차로서 기존 일반 1층 객차의 두배 정도의 수송 효율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2층 객차는 여객수송에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화물 수송에 주는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이러한 고속열차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럽의 프랑스에서는 고속 열차인 TGV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서비스인 TGV-La Postal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는 구형 고속 열차를 개조하여 고속 장거리 화물운송 서비스에 이용한 것으로 화물운송이라는 목적에 특화되어 있는 서비스였다. 이러한 서비스는 구형 고속 열차를 개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화물전용차량을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에 들어가는 투자를 최소화 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기존의 차량을 개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투입할 수 있는 차량의 숫자가 한정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여객수송과 별도로 차량을 편성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철로의 수송용량을 그대로 점유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고속화물열차를 다수 운용하는 것은 열차 편성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럽 특허 제2,258,594호(2004.0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층 형태로 형성되는 객차에 있어서, 상층은 승객 수용을 위한 여객부로 사용되고 하층은 화물 수용을 위한 화물부로 사용되며, 승객과 화물이 분리벽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되는 복합수송객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수송객차는, 복층의 형태로 형성되는 철도용 객차(100)에 있어서, 승객 수용을 위한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객승하차도어(11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여객부(110), 화물 수용을 위한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물하역도어(12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물부(120), 및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를 분리하는 분리벽(130)을 포함하며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객차(100)는 상기 여객부(110)가 상층에 형성되고 상기 화물부(120)가 하층에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화물부(120)는 바닥면에 탈착이 가능한 롤러 또는 베어링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화물이송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벽(130)은 난연 성질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사이의 이동을 위한 내부도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는 상기 객차(100)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층 형태로 형성되는 객차에 있어서, 상층은 승객 수용을 위한 여객부로 사용되고 하층은 화물 수용을 위한 화물부로 사용이 된다. 이때 하층이 화물 수용을 위한 화물부로 사용됨에 따라 화물을 하역할 때에 승객의 이동경로와 겹치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승객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여객부와 화물부가 분리벽을 통하여 완전히 분리되며, 각각의 출입 통로인 승객승하차도어와 화물하역도어가 설치되고 이동로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므로 승객과 화물의 이동이 보다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각각의 이동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이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화물부의 바닥에 화물이송장치가 구비되므로 화물부 내부에서의 화물이송이 용이하여 신속한 하역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화물이송장치가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시 제거가 가능하므로 화물에 따른 맞춤 설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수송객차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 여객부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 화물부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화물이송장치의 실시예.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수송객차의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 여객부의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 화물부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 내부도어의 실시예,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화물이송장치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송객차는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복층의 형태로 형성되는 철도용 객차(100)에 있어서, 여객부(110), 화물부(120) 및 분리벽(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 수용을 위한 여객부(110)는 복층 형태의 객차의 상층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객승하차도어(11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 수용을 위한 화물부(120)는 복층 형태의 객차의 하층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물하역도어(12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먼저 승객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상층에 상기 화물부(120)가 형성될 경우, 화물의 이동경로와 승객의 이동경로가 중첩되는 상당부분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화물의 낙하와 같이 화물의 하역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로 인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화물부(120)를 하층에 형성하여 화물과 승객의 이동경로 중첩을 최소화하여 승객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화물이 상층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객차(100)에 가해지는 하중피로가 더욱 심각해지며, 상기 객차(100)의 무게중심이 불안정하게 되어 전복될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화물을 하역할 때 플랫폼과 좀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하역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상기 객차의 상층에는 상기 여객부(110)가, 하층에는 상기 화물부(120)가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객부(100)와 상기 화물부(120)가 서로 독립적인 출입구인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이동과 화물의 이동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승하차 및 화물의 하역 효율이 각각 보장되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도 3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물부(120)는 바닥면에 탈착이 가능한 롤러 또는 베어링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화물이송장치(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물부(120)에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내부에서 별다른 장치의 도움 없이도 편리하게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화물이송장치(122)에 대한 실시예를 서술하였다.
상기 화물부(120)은 화물적재구역과 화물하역구역으로 나눌수 있다. 이때, 화물 적재구역은 화물을 적재하는 구역으로 화물이 상기 화물부(120) 전측 방향과 후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화물이송장치(122)을 구성하는 롤러 또는 베어링 회전축이 상기 객차(100)의 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화물하역구역은 상기 화물하역도어(121)과 접하여 상기 화물을 적재, 하역하는 구역으로 상기 화물부(120)의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상기 화물이송장치(122)를 구성하는 롤러 또는 베어링 회전축이 상기 객차(100)의 정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화물의 흐름이 화물하역구역에서 화물적재구역으로 또는 화물적재구역에서 화물하역구역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게 되어 화물하역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물이송장치(122)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의 서로 분리하는 분리벽(130)은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간의 통로인 내부도어(13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130)은 상기 여객부(110)의 승객들을 위한 공간과 상기 화물부(120)의 화물적재공간을 분리하여 각각의 공간에 독립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독립성은 각각의 이용목적이 상이함에 따라서 오는 편의장치를 각각의 이용목적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객과 화물을 분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분리벽(130)은 난연 성질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난연 성질을 갖는 소재는 한국산업규격 KSF2271의 난연2급 이상의 난연성을 갖는 소재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 또는 난연처리가 된 플라스틱재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물부(120)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분리벽(130)이 화염을 차단하여 상기 여객부(110)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는 상기 객차(100)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열차의 공기저항 및 디자인적 요소를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가 닫혔을 때, 상기 객차(100)와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결합되어야 공기저항 지수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열차의 연료 효율 및 속도의 향상과 직결된 요소로서, 일반열차와 고속열차에 상관없이 최소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때 기계적인 요소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개폐 방식이 슬라이딩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는 슬라이딩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객차
110: 여객부
111: 승객승하차도어
120: 화물부
121: 화물하역도어 122: 화물이송장치
130: 분리벽
131: 내부도어

Claims (6)

  1. 복층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철도용 객차(100)에 있어서,
    승객 수용을 위한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객승하차도어(11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여객부(110);
    화물 수용을 위한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물하역도어(12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화물부(120); 및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를 분리하는 분리벽(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차(100)는,
    상기 여객부(110)가 상층에 형성되고 상기 화물부(120)가 하층에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부(120)는,
    바닥면에 탈착이 가능한 롤러 또는 베어링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화물이송장치(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30)은,
    상기 여객부(110)와 상기 화물부(120)사이의 이동을 위한 내부도어(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30)은,
    난연 성질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승하차도어(111) 및 상기 화물하역도어(121)는,
    상기 객차(100)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송객차.
KR1020120114744A 2012-10-16 2012-10-16 복합수송객차 KR20140048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44A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2-10-16 복합수송객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44A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2-10-16 복합수송객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86A Division KR101702624B1 (ko) 2016-01-05 2016-01-05 복합수송객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97A true KR20140048597A (ko) 2014-04-24

Family

ID=5065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744A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2-10-16 복합수송객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5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3082A (zh) * 2015-07-10 2015-10-14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动车组车辆车厢及动车组车辆
KR20160076818A (ko) 2014-12-23 2016-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층 고속열차
KR20160076828A (ko) 2014-12-23 2016-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WO2018041053A1 (zh) * 2016-08-28 2018-03-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轨道车辆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818A (ko) 2014-12-23 2016-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층 고속열차
KR20160076828A (ko) 2014-12-23 2016-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CN104973082A (zh) * 2015-07-10 2015-10-14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动车组车辆车厢及动车组车辆
WO2018041053A1 (zh) * 2016-08-28 2018-03-0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轨道车辆
JP2019524556A (ja) * 2016-08-28 2019-09-05 中▲車▼青▲島▼四方▲機車車▼輌股▲分▼有限公司Crrc Qingdao Sifang Co., Ltd. 二層の鉄道車両
RU2719498C1 (ru) * 2016-08-28 2020-04-20 СиАрАрСи ЦИНДАО СЫФАН КО., ЛТД. Двухэтажно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11180167B2 (en) 2016-08-28 2021-11-23 Crrc Qingdao Sifang Co., Ltd. Double-decker rai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624B1 (ko) 복합수송객차
JP5209599B2 (ja) 自動ケーブルカー設備
JP2009227274A (ja) 移動可能なプラットホーム及び歩み板を有する鉄道車両
KR20140048597A (ko) 복합수송객차
CN105035115A (zh) 一种不用停靠站台的轨道列车
CN107719379A (zh) 一种轨道交通系统
JP6353083B2 (ja) 人員輸送用ケーブルカーシステム
KR101675371B1 (ko)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JP5237930B2 (ja)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RU2430847C2 (ru)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RU2467900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90128676A (ko)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N107148393A (zh) 用于电梯系统的疏散概念
RU2267418C1 (ru) Способ перевозки пассажиров и грузов с помощью монорельсовой 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CN205998815U (zh) 一种背包式电梯轿厢
JP2011046365A (ja) 鉄道車両及び貨物コンテナの鉄道車両への積み下ろし方法
RU72922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HU213710B (en) Double-deck passanger car
JP5793097B2 (ja) 避難装置を備える軌条車両および避難装置の固定方法
JP5528996B2 (ja) 地上式と地下式の混合型駐車装置とその入出庫方法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US472003A (en) Trap-door for railway-cars
KR101649478B1 (ko)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KR101396208B1 (ko) 복층식 열차의 객실 구조
KR101675370B1 (ko) 이층 고속열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