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818A - 이층 고속열차 - Google Patents

이층 고속열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818A
KR20160076818A KR1020140187355A KR20140187355A KR20160076818A KR 20160076818 A KR20160076818 A KR 20160076818A KR 1020140187355 A KR1020140187355 A KR 1020140187355A KR 20140187355 A KR20140187355 A KR 20140187355A KR 20160076818 A KR20160076818 A KR 20160076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oor
layer
c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370B1 (ko
Inventor
고태환
유원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3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이층객차유닛, 제2 이층객차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은 1층 차체 및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대차 및 제2 대차를 갖는 대차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저상출입문유닛과,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을 가지며,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는 상기 계단유닛의 상부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와, 상기 계단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안내하는 2층 객실유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층 고속열차{Double deck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비하여 많은 승객을 운송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기 때문에, 교통 및 물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이다.
최근에는 이동시간의 단축 및 물류 량의 증가로 인하여 고속열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고속열차는 사전적 의미로는 200km/h 이상의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하지만, 통상적으로는 250km/h 이상의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한다.
상기 고속열차의 이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상기 고속열차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의 승객들의 이송을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고, 한정된 철도노선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기에 이층 고속열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층 고속열차는 여전히 많은 인원수의 승객이 탑승하는 이층객차유닛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고, 많은 인원수에 해당하는 승객들의 승하차 시간이 고려되지 않아 차량운행이 지연되고, 승객들의 1층 및 2층 사이의 이동과 함께 객차간 이동이 고려되지 않아 승객들의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597호(발명의 명칭:복합수송객차, 공개일: 2014년 4월 24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이층객차유닛, 제2 이층객차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은 1층 차체 및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대차 및 제2 대차를 갖는 대차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저상출입문유닛과,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을 가지며,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는 상기 계단유닛의 상부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와, 상기 계단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안내하는 2층 객실유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계단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2층 차체의 바닥 개구부를 둘러싸는 2층 객실유입통로벽과 상기 2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유입되는 승객의 이동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계단연결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단유닛은 일정 경사각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계단몸체와, 상기 계단몸체의 양측단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계단벽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벽과 상기 1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는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로 안내하는 1층 객실유입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에는 상기 계단유닛이 한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저상출입문유닛은 상기 차체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단유닛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1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계단유닛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플랫홈에 위치하는 승객이 수평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로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상기 1층 객실의 바닥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 및 상기 플랫홈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을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층고속열차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을 포함하는 이층객차유닛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차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차체의 양단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일반대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객차의 중앙에 저상출입문을 설치함으로써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승하차시 이동경로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객실의 중앙에 계단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공간활용을 통하여 구성품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1층 객실의 바닥면, 1층 승하차공간부 및 플랫홈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1층 객실로 이동하는 승객의 승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1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2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객실차량 종단면 중 1층 및 2층 승하차공간부의 횡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층 고속열차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는 복수 개의 개별 이층객차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개별 이층객차유닛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개별 이층 갱웨이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 갱웨이유닛과, 상기 이층객차유닛의 전후단에 배치되는 동력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차유닛은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전두부에 배치되는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후두부에 배치되는 제2 동력차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는 상기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제2 동력차유닛(2)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력집중식 형태의 차량이다. 즉,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대차들은 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가 동력집중식의 형태를 가지는 것은 동력분산식과 대비하여 각각의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기계실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객실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별 이층객차유닛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객실공간의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층객차유닛은 제1 이층객차유닛(10), 제2 이층객차유닛(20), 제3 이층객차유닛(30), 제4 이층객차유닛(40), 제5 이층객차유닛(50) 및 제6 이층객차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이층객차유닛(40)의 1층 차체에는 장애인의 탑승을 위한 장애인객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5 이층객차유닛(50)의 2층 차체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한 스넥바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개별 이층객차유닛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차유닛의 개수 및 설치위치는 바뀌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애인객실이 구비된 이층객차유닛과 스넥바가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위치와 개수도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개별 이층객차유닛들의 연결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의 연결구조에 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은 차체유닛, 상기 차체유닛의 하부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대차(210)와 제2 대차(220)를 갖는 대차유닛, 저상출입문유닛(300) 그리고 계단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차체유닛은 1층 차체(1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1층 차체(110)와 상기 2층 차체(1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차체의 단면위치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과 복합재료의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층 차체(110)는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이 개폐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1층 승하차공간부(113)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1층 제1 객실(111)과,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1층 제2 객실(112)을 포함한다.
상기 1층 제1 객실(111)과 상기 1층 제2 객실(112)에는 좌석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석은 고정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좌석은 회전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1층 제1 객실(111)과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 사이에는 1층 제1 객실통로문(11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1층 제1 객실(111)과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 사이에는 1층 제2 객실통로문(11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1층 제1 객실통로문(114)의 반대편과, 상기 1층 제2 객실통로문의 반대편은 객실벽으로 막혀있게 된다. 즉, 상기 1층 제1 객실(111)의 승객은 상기 1층 제1 객실통로문(114)을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하며, 상기 1층 제2 객실(112)의 승객은 상기 1층 제2 객실통로문(115)을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는 승객을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로 안내하는 1층 객실유입통로(11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층 차체(120)는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2층 제1 객실(121)과,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2층 제2 객실(122)을 포함한다.
상기 2층 제1 객실(121)과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 사이에는 2층 제1 객실통로문(1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2층 제1 객실(121)과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 사이에는 2층 제2 객실통로문(12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층 제1 객실(121)의 끝단에는 이웃하는 다른 이층객차유닛으로 이동하기 위한 2층 제1 연결통로문(12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2층 제2 객실(122)의 끝단에는 이웃하는 또 다른 이층객차유닛으로 이동하기 위한 2층 제2 연결통로문(127)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2층 제1 연결통로문(126) 및 상기 2층 제2 연결통로문(127)은 다른 이층객차유닛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층 갱웨이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110)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1 수납공간(116)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수납공간(116)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120)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2층 제1 객실(121)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대차(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110)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2 수납공간(117)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수납공간(117)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120)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2층 제2 객실(122)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1층 차체(110)에서는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의 설치로 인하여 객실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상기 제1 수납공간(116) 및 상기 제2 수납공간(117)이 형성되지만, 상기 2층 차체(120)에서는 상기 제1 수납공간(116) 및 상기 제2 수납공간(117)의 상부에 객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2층 차체(120)에 형성되는 상기 2층 제1 객실(121) 및 상기 2층 제2 객실(122)은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보다 차체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는 상기 계단유닛(400)의 상부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123a)와, 상기 계단연결부(123a)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2층 제1 객실(121) 및 상기 2층 제2 객실(122)로 안내하는 2층 객실유입통로(123b)를 포함한다.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계단유닛(400)과 연결되는 상기 2층 차체(120)의 바닥 개구부를 둘러싸는 2층 객실유입통로벽(123c)과 상기 2층 차체(12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2층 제1 객실(121) 및 상기 2층 제2 객실(122)로 유입되는 승객의 이동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계단연결부(123a)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즉,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1층 객실유입통로(113b)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123b)는 상기 계단연결부(123a)의 좌우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계단연결부(123a)의 다른 측면에는 전장품의 수납을 위한 제3 수납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된다.
승객은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평면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평면승하차라 함은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이 개방되었을 때 승객이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탑승하거나,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부터 하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평면승하차를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플랫홈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상기 1층 제1 객실(111)의 바닥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의 바닥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승객이 이층 고속열차를 승하차함에 있어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되고, 승객이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계단을 이용하기에 힘든 경우에도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서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의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은 이층객차유닛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에서는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이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에서는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이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 대차(210)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와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연결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2층 차체(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400)의 하부영역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상기 계단유닛(400)은 일정 경사각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계단몸체(410)와, 상기 계단몸체(410)의 양측단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계단벽(420)을 포함한다.
상기 계단벽(420)과 상기 1층 차체(110)의 내벽 사이에는 승객을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로 안내하는 상기 1층 객실유입통로(113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1층 객실유입통로(113b)는 상기 계단유닛(40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에는 상기 계단유닛(400)이 한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은 상기 차체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단유닛(4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400)이 차체유닛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유닛(400)이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유입된 승객이 곧바로 상기 1층 제1 객실(111) 및 상기 1층 제2 객실(112)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계단유닛을 통하여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계단유닛(400)의 하부영역이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과 중첩되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객실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분산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양단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의 일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대차(2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대차(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유리한 일반대차가 사용된다.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는 각각 2개의 바퀴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총 4개의 바퀴축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바퀴축 한 개당 17 톤(ton)의 축중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이 최대 68톤이 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일반대차를 사용함으로써 승객의 수송능력이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는 1층 객실(21)을 갖는 1층 차체와, 2층 객실(22)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을 구성하는 세부구성들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2층 제1 객실(121)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2층 객실(22)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차량연결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을 통하여만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제1 동력차유닛 2: 제2 동력차유닛
10: 제1 이층객차유닛 20: 제2 이층객차유닛
70: 이층 갱웨이유닛 110: 1층 차체
111: 1층 제1 객실 112: 1층 제2 객실
113: 1층 승하차공간부 113b: 1층 객실유입통로
116: 제1 수납공간 117: 제2 수납공간
120: 2층 차체 123: 2층 승하차공간부
123a: 계단연결부 123b: 2층 객실유입통로
210: 제1 대차 220: 제2 대차
300: 저상출입문유닛 400: 계단유닛
410: 계단몸체 420: 계단벽

Claims (10)

  1. 제1 이층객차유닛, 제2 이층객차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은 1층 차체 및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대차 및 제2 대차를 갖는 대차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저상출입문유닛과,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을 가지며,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는 상기 계단유닛의 상부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와, 상기 계단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안내하는 2층 객실유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계단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2층 차체의 바닥 개구부를 둘러싸는 2층 객실유입통로벽과 상기 2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유입되는 승객의 이동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계단연결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유닛은 일정 경사각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계단몸체와, 상기 계단몸체의 양측단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계단벽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벽과 상기 1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는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로 안내하는 1층 객실유입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대차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의 해당영역에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체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2층 차체의 해당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에는 상기 계단유닛이 한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저상출입문유닛은 상기 차체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단유닛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1층 객실유입통로는 상기 계단유닛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랫홈에 위치하는 승객이 수평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로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상기 1층 객실의 바닥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 및 상기 플랫홈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을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을 포함하는 이층객차유닛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차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차체의 양단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일반대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고속열차.
KR1020140187355A 2014-12-23 2014-12-23 이층 고속열차 KR10167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55A KR101675370B1 (ko) 2014-12-23 2014-12-23 이층 고속열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55A KR101675370B1 (ko) 2014-12-23 2014-12-23 이층 고속열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18A true KR20160076818A (ko) 2016-07-01
KR101675370B1 KR101675370B1 (ko) 2016-11-11

Family

ID=5650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55A KR101675370B1 (ko) 2014-12-23 2014-12-23 이층 고속열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6935A1 (de) * 1993-03-25 1994-09-28 Jenbacher Energiesysteme Aktiengesellschaft Doppelstöckiges Schienenfahrzeug
EP0625457A1 (de) * 1993-05-17 1994-11-23 Inventio Ag Einstiegseinrichtung für Doppelstock-Eisenbahnwagen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4-04-24 한국철도공사 복합수송객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6935A1 (de) * 1993-03-25 1994-09-28 Jenbacher Energiesysteme Aktiengesellschaft Doppelstöckiges Schienenfahrzeug
EP0625457A1 (de) * 1993-05-17 1994-11-23 Inventio Ag Einstiegseinrichtung für Doppelstock-Eisenbahnwagen
KR20140048597A (ko) 2012-10-16 2014-04-24 한국철도공사 복합수송객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370B1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928B1 (en) Double-deck railway vehicle
KR101675371B1 (ko)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JP2003154933A (ja) 二階建て鉄道客車における連絡通路
JP2022551855A (ja) 統合モビリティシステム
RU2430847C2 (ru)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CN110626373B (zh) 铁路车辆的车厢
KR20140050452A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복층식 열차
RU2467900C2 (ru)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95776B1 (ko) 이층 고속열차
US2211469A (en) Railway rolling stock
KR101675370B1 (ko) 이층 고속열차
KR101649478B1 (ko)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GB191318601A (en) Improvements in Double-decked Cars.
US10442447B2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front end of a monorail car
CZ294435B6 (cs) Uzavřený železniční vůz pro společnou přepravu cestujících a osobních automobilů a/nebo přepravních modulů
HU213710B (en) Double-deck passanger car
RU72922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US2636454A (en) Double-deck railway passenger car with increased seating capacity
RU20894U1 (ru) Двухэтаж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CN215971509U (zh) 客运交通工具坐席布局结构
US1125192A (en) Passenger-vehicle.
CN214267600U (zh) 车辆桥接轿厢和多节的轨道车辆
US450848A (en) stephenson
US2636452A (en) Double-deck railway passenger car
JP2018094957A (ja) 乗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