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885A -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885A
KR20140043885A KR20137020944A KR20137020944A KR20140043885A KR 20140043885 A KR20140043885 A KR 20140043885A KR 20137020944 A KR20137020944 A KR 20137020944A KR 20137020944 A KR20137020944 A KR 20137020944A KR 20140043885 A KR20140043885 A KR 2014004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nt
hydrogen gas
reactor
metal
cu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343B1 (ko
Inventor
루이스 바르보사
Original Assignee
말린크로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린크로트 엘엘씨 filed Critical 말린크로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4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0/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liquid with gaseous media other than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0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5/00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5/00Water
    • C01B5/02Heavy water; Preparation by chemical reaction of hydrogen isotopes or their compounds, e.g. 4ND3 + 7O2 ---> 4NO2 + 6D2O, 2D2 + O2 ---> 2D2O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42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 G21C19/44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of irradiated solid fuel
    • G21C19/46Aqueous processes, e.g. by using organic extraction means, including the regeneration of these mea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G21C9/06Mean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explosives gases, e.g. recombi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01Recovery of specific isotopes from irradiated targe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01Recovery of specific isotopes from irradiated targets
    • G21G2001/0036Molybden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talyst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유리된 수소 기체를,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단계에 이어, 상기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알루미나 조에 침지된다.

Description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GAS STREAM}
본 발명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는 수소 기체를 유리시킨다.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는 무색, 무취, 무미이고, 고도의 연소성인 2원자 기체이다. 수소는 임의의 산화제와 반응한다. 수소 기체는 산소와 격렬하게 반응하여 매우 발열성인 반응으로 물을 생성한다. 수소는 또한 실온에서 염소 및 불소와 자발적으로 격렬하게 반응하여 상응하는 할로겐화 수소를 형성하며, 이들은 잠정적으로 위험한 산이다. 수소 기체의 매우 가연성이고 폭발적인 성질은 많은 공정에서 수소를 유해한 부산물로 만든다.
테크네튬-99m은 의학적 진단 및 치료 응용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사성 금속이다. Tc-99m은 소위 Tc-99m 생성기에서 Mo-99의 붕괴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한 생성기는 전형적으로 흡착제 (통상적으로 알루미나) 상에 로딩된 Mo-99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Mo-99를, 알루미나에 대하여 더 낮은 친화성을 갖는 Tc-99m으로 붕괴시키는 데 이어, 상기 Tc-99m을 전형적으로 염수 용액을 이용하여 용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Tc-99m 생성기의 제조를 위해, Mo-99의 고순도의 공급원이 필수적이다.
높은 비활성(specific activity)을 갖는 Mo-99를 수득하기 위해, 이는 일반적으로 U-235 타겟의 중성자-유도된 분열에 의해 제조된다. U-235는 전형적으로 U-금속 호일 또는 U 및 Al의 구성체 (예, 우라늄-알루미늄 합금)의 타겟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분열 반응은 U-235의 일부가 Mo-99로 전환되도록 하지만, 또한 반응기 생성물 중 다수의 불순물을 초래한다. Mo-99 생성을 위한 대부분의 알려진 공정은 광조사된 타겟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 후에, Mo-99 생성물을 정제한다. Cs, Sr, Ru, Zr, Te, Ba, Al 및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고체 및 액체 불순물 이외에도, 상기 반응은 또한 수소 기체를 생성한다. 수소 기체의 매우 인화성이고 폭발적인 성질 때문에, Mo-99 생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배출-기체 처리 중 하나는 수소 기체를 산화시켜 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2 H2(g) + O2(g) --> 2 H2O(l)
대부분의 알려진 Mo-99 생산 공정에서, 수소 기체의 산화는 하기의 비가역적 반응에서 산화 제2구리(CuO)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CuO + H2 --> Cu0 + H2O
1987년 사메(Sameh)와 아케(Ache)에 의해 처음 개발된 상기 방법(문헌 [Sameh and Ache, 1987 Radiochim . Acta 41, 65])은 고정-베드 화학 반응기인 소위 "CuO 오븐"에서 수행된다. 광조사된 타겟의 분해 후, 발생된 수소를 CuO 오븐 중 고온의 CuO 위로 통과시켜 수소를 물로 산화시킨다. 이 때 수증기를 응축시킨다. 상기 반응은 전형적인 기체/고체 반응이며, 반응 동안 모든 CuO가 소모될 때까지 반응 영역은 반응기를 통해 이동한다.
전형적인 CuO 반응기 베드는 10 kg을 상당히 초과하는 중량을 가지며(385℃의 반응 온도를 목표로) 360 내지 400℃의 온도 범위에서 작동된다 . CuO 베드의 가열은 CuO 오븐 아래에 위치한 열판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안정된 상태의 조건에 도달하는 데 24시간이 걸리므로 적절하지 않다.
CuO 반응기 베드는 정해진 수의 타겟을 분해한 후 (또는 정해진 수의 생산 횟수를 진행한 후) 완전히 소진되도록 계획된다. 예를 들어, 1회 진행 당 6개 타겟을 초과하여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의 Mo-99 생산 시설에서, 상기 CuO 반응기의 수명은 더 적은 진행 횟수, 예를 들어 8회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수소 기체의 처리를 위해 연장된 수명을 갖는 반응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US2005/0220689 A1은 헬륨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수소 및 기타 불순물을 추출함으로써 헬륨 기체를 정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1) 기체 스트림을, Cu-CuO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1 촉매 흡착제 모듈 상에 통과시키고 (여기에서 수소 및 일산화 탄소는 물과 이산화 탄소로 각각 산화되고 CuO는 Cu로 환원됨), 2) 단계 1)로부터 생성되는 기체 스트림을 산소 기체와 함께 산화 촉매 내로 통과시켜 메탄 및/또는 삼중수소를 이산화탄소 및/또는 물로 각각 전환시키고, 3) 단계 2)로부터 생성되는, 과량의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을 Cu-CuO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2 촉매 흡착제 모듈 내로 통과시키는 것(여기에서 산소 기체는 Cu를 CuO로 산화시키는 데 사용됨)을 포함한다. 일단 제1 촉매 흡착기에서 CuO가 소모되면, 기체 스트림의 유동 경로에서 제1 및 제2 촉매 흡착기가 연결되어 있는 순서의 위치가 바뀌어, 제2 흡착기에서 생성된 CuO가 수소 및 일산화 탄소의 산화에 사용되고, 제1 흡착기에서의 Cu가 정제된 헬륨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과량의 산소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다수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수소의 추출에 관한 것이며, Cu-CuO 혼합물을 함유하는 2개의 별도 반응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이는 공정의 추가 비용을 요구한다. 뿐만 아니라, 수소 (즉, 1H) 기체와 유사하게, 삼중수소도 매우 폭발성인 기체이다. 삼중수소를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에 산소를 가하는 것은 잠정적으로 유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화제를 이용하는 수소의 처리를 위한 간단한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 도중에 산화제가 재생되어 그 사용을 연장하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상기 유리된 수소 기체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는 각각의 산화 단계 후에 수행된다.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빈번히, 예컨대 각 산화 단계 후에 수행함으로써, 반응기에 초기 함유된 산화제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의 규모는, 예를 들어, 같은 양의 수소 기체를 산화시키기 위해 대략 11 또는 12 kg으로 축소될 수 있다. 반응기의 크기 감소는 공급/배출 작업의 취급을 더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반응기가 가열되거나 안정된 상태의 조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현재 24시간으로부터 약 3시간까지 감소시킴으로써 공정의 비용을 절감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의 추가의 장점은 수소 기체의 산화 반응이 잠정적으로 더 낮은 온도, 예컨대 200℃ 부근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재생 또한 200℃ 부근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제, 예컨대 본원에 언급된 바스프 (BASF) 촉매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상기 미세하게 분산된 계는 공지의 방법에 사용된 것들보다 더 활성이 크다. 산화제의 재생에 사용되는 산화 반응은, 특정 실시양태에서 고도로 발열성이다. 그러므로, 재생 반응으로부터 배출된 열이 반응기를 가열하거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또한 공정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산화제는 금속 산화물, 예컨대 산화 제2구리와 같은 산화 구리이며, 이는 상기 공정 도중 구리 금속으로 전환된다.
산화 제2구리와 같은 산화 구리는 벌크 형태로 존재하거나, 비활성 지지체의 표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며, 예컨대 바스프(BASF SE, 독일 루드비히샤펜)의 제품인 퓨리스타(Puristar)® R3-11G 및 R3-17 촉매가 있다. 또한, 산화 구리와 같은 산화제는 비활성의 열-전도성 희석제,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으로 희석될 수도 있다 (벌크 형태로 또는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로). 상기 희석제는 발열 반응에 의해 방출된 열로 인해 산화제 베드가 조절되지 않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제, 예컨대 상기 언급된 바스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의 추가 장점은 벌크 금속 산화물 (예, CuO) 물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재생 공정 도중 더 높은 수율이 수득된다는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산화제를 재생하는 단계는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재생될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질소 기체와 조합된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재생 단계를 위해 사용되는 산소 함유 기체는 수소 기체와 혼합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수소 기체의 매우 폭발적인 성질에 의해 유발되는 잠정적인 피해가 최소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분해되어 수소 기체를 유리시키는 금속은 우라늄을 포함하고, 우라늄은 임의로 1종 이상의 다른 금속과 조합되며, 그 예에는 우라늄-알루미늄 합금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는 알루미나 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된다. 임의로, 상기 반응기는 알루미나 조에 완전히 침지된다.
"알루미나 조"라는 용어는 일정량의 알루미나(Al2O3)를 함유하는 용기를 의미하며, 이는 그 안에 침지된 반응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입방형의 용기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조의 외벽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알루미나는 용기 내부의 라이닝을 형성하며, 반응기가 그 안에 놓이게 될 공동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알루미나 조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외부 가열 요소를 구비한다. 비교적 높은 알루미나의 열 전도성은 가열 요소로부터의 열이 상기 조에 침지된 반응기로 효율적으로 통과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H2 전환 및 반응기 재생 단계의 매우 발열성인 공정 도중, 알루미나는 열을 반응기로부터 밖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럼으로써 과열을 방지한다.
알루미나 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건 사용되지 않건, 반응기는 또한 (또는 대신에) 상기 반응기와 접촉하여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가열 요소(반응기와 접촉하는 것들, 또는 알루미나 조와 관련된 것들)는 편의에 따라 전기 가열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알루미나 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알루미나 조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구비한다. 가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조의 외부에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산화제는, 벌크 형태 또는 비활성 지지체의 표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의 산화 제2구리와 같은 산화구리, 예컨대 바스프의 제품인 퓨리스타® R3-11G 및 R3-17 촉매이다. 산화제는 비활성의 열전도성 희석제,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으로 희석될 수 있다 (벌크 형태로 또는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외부 가열 요소가 임의로 구비된 알루미늄 조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알루미나 조는 그 안에 가열될 용기가 놓여 사용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유리된 수소 기체를,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비활성 담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되고/거나 비활성의 열-전도성 희석제로 희석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금속 산화물은 산화 제2구리와 같은 산화 구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활성 담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 구리는 바스프의 제품인 퓨리스타® R3-11G 및/또는 R3-17 촉매를 포함한다. 비활성 희석제는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제, 예컨대 특정의 바스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산화 반응에 더 낮은 온도(200℃ 부근)가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R3-11은 200℃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R3-17은 제조원에 의해 100℃를 넘지 않는 온도에서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도록 명시되어 있다. R3-17은 물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200℃ 부근에서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정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측면에 따르는 산화제의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한다.
미세하게 분산된 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의 또 다른 장점은 벌크 금속 산화물 (예, CuO) 물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재생 공정 도중 더 높은 수율이 수득된다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단지 예로써, 다음 도면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Mo-99 생산 도중 사용된, 본 발명의 예시적 공정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알루미나 조 가열 장치와,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 사이의 열 전이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산화제(이 경우, CuO)를 함유하는 반응기 용기는 전기-가열된 클램프/밴드에 의해 직접 가열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조사된 우라늄-알루미늄 타겟의 분해에 이어, 분해기에서 유리된 수소 기체는 CuO 반응기 내를 통과하고, 여기에서 수소 기체가 물로 산화되는 한편 CuO는 Cu로 전환된다. 각 산화 단계 후 (그리고 다음 차례의 산화가 시작되기 전), 공기-함유 질소 기체의 스트림(N2/공기)을 CuO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Cu를 산화시킴으로써 CuO를 재생시킨다.
CuO 반응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될 수 있다. 그러한 가열 장치는 반응기의 작동 도중 열 전이를 개선할 수 있다. CuO 반응기는 하나 이상의 외부 가열 요소가 장착된 알루미나 조에 침지될 수 있다 (도 2 참조). 가열 요소는 상기 조 주위에 하나 이상의 칼라(collar) 또는 재킷(jacket)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가열 코일로 존재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가열된다. 알루미나 조는 열 교환기로 작용한다. 우선, 상기 조는 반응기를 원하는 반응 온도로 가열한다 (도 2의 "시작 시" 참조). H2 전환과 Cu 산화 반응은 고도로 발열성이지만, 상기 조는 또한 상기 공정 도중 (충전 소진 및 재생) 냉각기로서 작용하여 반응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의 "공정 도중" 참조). H2 전환 반응이 여전히 일어나고 있지만, 반응기를 그 적정 작업 온도까지 가열하기 충분하지 못할 때, 상기 조는 그의 가열 기능을 재개하여 반응기의 온도를 원하는 범위에서 유지시킨다 (도 2의 "시작 시" 참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알루미나 조를 사용하는 대신, 반응기에 접촉하여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된 클램프 또는 밴드를 이용하여 반응기를 직접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예시의 목적으로 나타낸 3개의 가열 밴드를 갖는 그러한 배열을 도시한다. 상기 밴드는 반응기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진행되는 단일의 나선형 밴드 형태일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좌측 부분(H2 산화)에서는, 금속의 분해로부터의 H2 기체가 제1 도관을 통해 도입되는데, 상기 도관은 기체를 반응기의 바닥까지 통과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기체는 CuO의 베드를 통과하고, 그와 반응하여 기체상의 물의 생성을 유도한다. 기체상의 물은 반응기의 상단을 향하여 위치하는 배기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도시된 바와 같음). 도면의 우측 부분(Cu산화)에서는, 공기와 질소의 혼합물이 제1 도관을 통해 도입된다. 공기 중 산소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소비된 CuO 베드와 반응하여, 그 안에 존재하는 Cu를 재산화시킨다. 폐 질소 기체는 배기관을 통해 반응기를 빠져나간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정을 이용하여 여러 주기의 H2 전환 및 산화제 재생을 수행하였다. 상기 주기는 분해를 위한 금속으로 고체 알루미늄 '타겟'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20 주기가 수행되었고, 200 U-Al 타겟을 초과하는 양에 해당하는 총량의 Al을 분해하였다. 실험적인 설정은 Mo-99 생산 시설에서의 현재 공정 라인을 모방하였다. 각 주기에서, 분해된 Al '타겟'의 수는 사용된 생산 시설에서 허용된 타겟의 최대량에 해당하였다.
CuO 반응기의 초기 온도는 200℃였다. 전환 및 재생 반응 도중 CuO 반응기에서의 최고 온도는 H2 제거를 위한 현재 공정에서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한도 내에 있었다. 반응기를 둘러싸는 밴드의 형태인 가열 요소를 이용하여 반응기를 직접 가열하였다. CuO 물질의 양은 대략 11 kg이었다. 또한, CuO 베드의 하부 1.5 kg 부분을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으로 50 중량% 희석하였다.
20 주기 동안 평균 H2 전환율은 95%를 초과하였다. 회로의 재생 단계 도중, 평균 CuO 베드 재생율은 90%를 초과하였다.

Claims (19)

  1.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가 각 산화 단계 후에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벌크 형태 또는 비활성 지지체의 표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된 형태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으로 희석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산화 구리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가, 산소를 함유하는 기체를, 재생될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해되어 수소 기체를 유리시키는 금속이 우라늄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금속이 우라늄-알루미늄 합금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기가 알루미나 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루미나 조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방법.
  11.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가 알루미나 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알루미나 조가 하나 이상의 외부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벌크 형태의 금속 산화물 또는 비활성 지지체의 표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펠렛으로 희석되는,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산화 구리를 포함하는, 장치.
  16.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수소 기체를 물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를 함유하는 반응기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가 비활성 담체 상에 미세하게 분산되고/거나 비활성 희석제로 희석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금속의 산 또는 알칼리 분해로부터 유리된 수소 기체를 처리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산화제를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이 산화 구리를 포함하는, 방법.
  19.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구비한 알루미나 조를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나 조는 그 안에 가열될 용기가 놓여 사용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하는, 가열 장치.
KR1020137020944A 2011-01-12 2012-01-11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07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100504A GB201100504D0 (en) 2011-01-12 2011-01-12 Process
GB1100504.8 2011-01-12
PCT/US2012/020906 WO2012097045A1 (en) 2011-01-12 2012-01-11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gas str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885A true KR20140043885A (ko) 2014-04-11
KR101807343B1 KR101807343B1 (ko) 2017-12-08

Family

ID=4366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944A KR101807343B1 (ko) 2011-01-12 2012-01-11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790606B2 (ko)
EP (2) EP2663523B1 (ko)
KR (1) KR101807343B1 (ko)
AU (1) AU2012205625B2 (ko)
BR (1) BR112013017755B1 (ko)
CA (1) CA2824424C (ko)
ES (1) ES2700516T3 (ko)
GB (1) GB201100504D0 (ko)
HU (1) HUE041579T2 (ko)
PL (2) PL2663523T3 (ko)
WO (1) WO2012097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00504D0 (en) 2011-01-12 2011-02-23 Mallinckrodt Inc Process
JP6901285B2 (ja) * 2017-03-08 2021-07-14 株式会社東芝 水素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729A (en) * 1953-02-27 1958-12-09 Harold F Mcduffie Combination of hydrogen and oxygen
GB1158861A (en) 1965-07-16 1969-07-23 United Aircraft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Mold Heater
US3630956A (en) * 1969-04-01 1971-12-28 Air Prod & Chem Method of producing gases with controlled concentrations of water vapor
US3630959A (en) 1969-06-04 1971-12-28 Standard Oil Co Ohio Carbonization of bituminous coals
US3937796A (en) 1972-01-10 1976-02-10 Universal Oil Products Company Recuperative thermal recombining system for handling loss of coolant
US3798178A (en) * 1972-02-17 1974-03-19 Dow Chemical Co Self-regenerative dehydrogenation catalyst
DE2633113C2 (de) 1976-07-23 1984-08-30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7500 Karlsruhe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Gefahren, die bei Störfällen an wassergekühlten Kernreaktoren entstehen
DE3428877A1 (de) 1984-08-04 1986-02-13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7500 Karlsruhe Verfahren zur trennung von grossen mengen uran von geringen mengen von radioaktiven spaltprodukten, die in waessrigen basischen, karbonathaltigen loesungen vorliegen
KR900702315A (ko) * 1988-10-19 1990-12-06 원본미기재 수소 산화수단을 사용하는 열파이프
DE3927959A1 (de) * 1989-08-24 1991-02-28 Gemeinschaftskernkraftwerk Nec Verfahren zur vermeidung lokaler wasserstoff-aufkonzentrationen in sicherheitsbehaeltern von reaktoren
EP0469260A1 (en) * 1990-07-30 1992-02-05 Abb Air Preheater, Inc. Heat pipe heat exchanger and heat pipe therefor
EP0670575B1 (de) 1993-12-13 1995-09-27 GESELLSCHAFT FÜR ANLAGEN- UND REAKTORSICHERHEIT ( GRS) mbH Vorrichtung zur Entfernung von freiem Wasserstoff aus einem Wasserstoff und Sauerstoff enthaltenden Gasgemisch
US20030193988A1 (en) * 2002-04-16 2003-10-16 Calvin B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components of molten baths
US6855241B2 (en) * 2002-04-22 2005-02-15 Forrest M. Palmer Process and apparatus for smelting aluminum
US7455818B2 (en) 2002-10-02 2008-11-25 Areva Np Gmbh Method for treating a flow of gas and gas treatment system
ES2375729T3 (es) 2004-12-23 2012-03-05 Hoppecke Technologies Gmbh & Co. Kg Dispositivo de recombinación.
GB201100504D0 (en) * 2011-01-12 2011-02-23 Mallinckrodt Inc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90606B2 (en) 2014-07-29
EP2663523A1 (en) 2013-11-20
BR112013017755B1 (pt) 2021-03-09
GB201100504D0 (en) 2011-02-23
PL2663523T3 (pl) 2019-06-28
CA2824424A1 (en) 2012-07-19
US9238212B2 (en) 2016-01-19
AU2012205625B2 (en) 2015-07-23
EP3424876B1 (en) 2022-05-18
US20140308029A1 (en) 2014-10-16
AU2012205625A1 (en) 2014-09-18
EP3424876A1 (en) 2019-01-09
BR112013017755A2 (pt) 2016-10-11
US20130294993A1 (en) 2013-11-07
ES2700516T3 (es) 2019-02-18
RU2013137381A (ru) 2015-02-20
EP2663523B1 (en) 2018-10-10
KR101807343B1 (ko) 2017-12-08
CA2824424C (en) 2019-07-16
HUE041579T2 (hu) 2019-05-28
PL3424876T3 (pl) 2022-08-16
WO2012097045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194B2 (ja) 水素ガス発生方法及び装置
JP5902324B2 (ja) ルテニウムを含む廃触媒を使用することによる固形ニトロシル硝酸ルテニウムの調製方法
JP2010269239A (ja) アンモニア酸化・分解触媒
EP3239098A1 (en) Method for catalytically oxidizing hydrogen chloride to prepare chlorine gas
KR101807343B1 (ko) 기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41079A (ko) 육불화텅스텐의 제조 방법
RU25882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тока газа
JP5387154B2 (ja) グリセリン改質装置および改質方法
JP2022107895A (ja) 硫酸及び水素生成システム
JPS5943401B2 (ja) 酸素・水素の再結合方法
JP2018176125A (ja) 触媒充填方法
JP5189342B2 (ja) ガスの処理方法
WO2022270409A1 (ja) 一酸化炭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947707A (en) Catalyst regeneration
JP4016532B2 (ja) フッ化窒素の分解用反応剤及び分解法
CN117794858A (zh) 一氧化碳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20240046711A (ko) 일산화 탄소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7321001A (zh) 一氧化碳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S6132293B2 (ko)
KR101869580B1 (ko) 수소 가스의 제조 방법
US3278296A (en) Process for simultaneously preparing pyrophoric metals and furane
TW202239706A (zh) 一氧化碳製造方法及一氧化碳製造裝置
JP2011042513A (ja) 水素製造方法
JPH01233238A (ja) 塩化メチルの製法、および生成混合物中に含有された塩化メチルを精製しかつその収率を高める方法
KR20160027963A (ko) 수소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