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758A -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758A
KR20140040758A KR1020137034107A KR20137034107A KR20140040758A KR 20140040758 A KR20140040758 A KR 20140040758A KR 1020137034107 A KR1020137034107 A KR 1020137034107A KR 20137034107 A KR20137034107 A KR 20137034107A KR 20140040758 A KR20140040758 A KR 2014004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tab
electrode
tab wire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3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output lead wires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module bus-bar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의 장기간에 걸친 접속 신뢰성을 확보시킨다. 한쪽면에 전극 (9)가 배치되어 있는 태양 전지 (1)과, 접속층 (20)을 통해 태양 전지 (1)의 전극 (9) 위에 접속되는 집전 탭부 (12)와, 절연층 (21)을 통해 태양 전지 (1)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 (13)을 갖고, 집전 탭부 (12)와 단자 박스용 탭부 (13)은 절첩부 (14)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탭선 (1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SOLAR CELL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AND TAB WIRE FOR THIN FILM SOLAR CELLS}
본 발명은, 한쪽면에 정극 및 부극 전극을 갖고, 단자 박스용 탭선이 구비되어 있는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극 및 부극 전극과 단자 박스를 효율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1년 5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 제2011-119686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최근, 환경 부하의 감소가 지구적인 과제가 되는 가운데, 깨끗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서 태양광 발전에 큰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태양 전지의 주류는, 현재까지 단결정 규소나 다결정 규소의 결정을 제조하고, 이것을 슬라이스 가공하여 판상의 반도체로서 사용하는 벌크 규소 태양 전지이다. 그러나, 벌크 규소 태양 전지는, 규소 결정의 성장에 많은 에너지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
한편, 유리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기판 위에 광전 변환층인 반도체층을 형성한 소위 박막 태양 전지는, 박형이며 경량이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대면적화가 용이하다는 것 등으로부터, 향후의 태양 전지의 주류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박막 태양 전지로서는, 비정질 규소나 미결정 규소막, 또는 이들의 탠덤형 등의 박막 규소 태양 전지, Cu(구리), In(인듐), Ga(갈륨), Se(셀레늄)으로 대표되는 원소를 혼합한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CIGS계 태양 전지 등이 있다.
이들 박막 태양 전지는 대면적의 저렴한 기판 위에 플라즈마 CVD 장치 또는 스퍼터 장치와 같은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반도체층 또는 금속 전극막을 적층시키고, 그 후 동일 기판 위에 제조된 광전 변환층을 레이저 패터닝 등에 의해 분리 접속시킴으로써, 태양 전지 스트링을 형성한다.
도 9에, 종래의 태양 전지 스트링을 구성하는 박막 태양 전지의 한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박막 태양 전지 (100)은, 투광성 절연 기판 (101) 위에 도시하지 않은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막, 광전 변환층, 이면 전극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태양 전지셀 (102)로 이루어진다. 각 태양 전지셀 (102)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며, 투광성 절연 기판 (101)의 거의 전체 폭에 걸친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박막 태양 전지 (100)은, 인접하는 태양 전지셀 (102), (102)끼리에 있어서, 한쪽의 투명 전극막과 다른쪽의 이면 전극막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복수개의 태양 전지셀 (102)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박막 태양 전지 (100)에서의 일단부의 태양 전지셀 (102)의 투명 전극막의 단부 위에, 태양 전지셀 (102)와 거의 동일 길이의 선상의 P형 전극 단자부 (103)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태양 전지셀 (102)의 이면 전극막의 단부 위에 태양 전지셀 (102)와 거의 동일 길이의 선상의 N형 전극 단자부 (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P형 전극 단자부 (103) 및 N형 전극 단자부 (104)가 전극 취출부가 된다.
P형 전극 단자부 (103)에는, 동박을 포함하는 버스 바라 불리는 정극 집전용 탭선 (105)가 P형 전극 단자부 (103)의 전체면에 대하여 전기적이면서도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N형 전극 단자부 (104)에는, 동박을 포함하는 부극 집전용 탭선 (106)이 N형 전극 단자부 (104)의 전체면에 대하여 전기적이면서도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들의 접합 수단으로서는, 납땜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 태양 전지 (100)의 이면에는, P형 전극 단자부 (103) 및 N형 전극 단자부 (104)와 접속되어 외부로 전기를 출력하는 단자 박스 (110)과, 이 단자 박스 (110)과 P형 전극 단자부 (103) 및 N형 전극 단자부 (104)를 접속하는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이 접속되어 있다.
단자 박스 (110)은, 예를 들면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00)의 이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은, 상기 정극 집전용 탭선 (105)나 부극 집전용 탭선 (106)과 마찬가지로 긴 형상의 동박이나 Al박을 포함하고, 박막 태양 전지 (100)의 이면과 절연 테이프 (112)를 통해 배치되어 있다.
이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은 일단부가 단자 박스 (110)과 땜납 접속되고, 타단부가 절연 테이프 (112)를 통해 P형 전극 단자부 (103) 또는 N형 전극 단자부 (104) 위에 배치된다.
단자 박스용 탭선 (111)과 정극 집전용 탭선 (105)의 접속부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테이프 (112) 및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을 끼운 양측에 접속된 제1, 제2 정극 집전용 탭선 (105a), (105b) 사이에 걸쳐서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가 절연 테이프 (112) 및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을 걸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는 단자 박스용 탭선 (111)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 정극 집전용 탭선 (105a), (105b)와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의 접속(2개소), 및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와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의 접속(1개소)은 초음파 땜납 접합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부극 집전용 탭선 (106)과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의 접속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57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82066호 공보
그러나, 초음파 땜납 접속을 사용한 경우, 박막 태양 전지 (100)은 P형 전극 단자부 (103)이나 N형 전극 단자부 (104)를, 제조 방법이나 구성 등에 따라 Al, Ag, ZnO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하기 때문에, 재료에 따라서는 땜납에 의해 정극 집전용 탭선 (105)나 부극 집전용 탭선 (106)과의 접속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그 때문에, 레이저 스크라이브(scribe)나 Ag 페이스트 등의 접합 매체가 요구된다. 레이저 스크라이브 처리를 실시한 부분은 발전(發電)에 기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제1, 제2 정극 집전용 탭선 (105a), (105b)와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의 접속이나, 제3 정극 집전용 탭선 (105c)와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의 접속시에 땜납 접속에 따른 고온 영역의 열 이력이 국부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광성 절연 기판 (101)에 휨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도 10에 기재된 박막 태양 전지 (100)에 있어서는, 정극 집전용 탭선 (105) 및 부극 집전용 탭선 (106)과 단자 박스용 탭선 (111)의 접속부에 전하가 집중되어, 저항값의 증대에 의한 발전 효율의 저하가 과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극 집전용 탭선 및 부극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의 장기간에 걸친 접속 신뢰성이 확보된 태양 전지,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태양 전지는 한쪽면에 전극이 배치되는 태양 전지와, 접속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전극 위에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고, 상기 집전 탭부와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가 절첩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탭선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태양 전지의 전극 위에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는 탭선을 사용하여, 상기 집전 탭부를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전극 위에 접속층을 통해 접속시키고,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를 상기 집전 탭부로부터 절첩하고,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하여,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의 일단부를 단자 박스에 접속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은, 한쪽면에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태양 전지의 상기 전극 위에 접속층을 통해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고, 상기 집전 탭부와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가 절첩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선은 집전 탭부와 단자 박스용 탭부가 절첩부를 통해 연속되고, 접합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접합 개소에 전하가 집중됨에 따른 저항값의 증대나 접합 부분의 접속 신뢰성의 저하, 접합 부분에 열이나 응력이 집중됨에 따른 기판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 전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a는 탭선의 접속 전, 도 1b는 탭선을 접속하여 절곡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태양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 전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탭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전성 접착 필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전성 접착 필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표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속된 피크부 및 밸리부가 폭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탭선을 전극에 접속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a는 탭선의 절곡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탭선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종래의 박막 태양 전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박막 태양 전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전극 단자부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 전지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태양 전지 모듈]
본 발명이 적용된 박막 태양 전지 (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태양 전지셀 (2)가 콘택트 라인에 의해 접속된 태양 전지 스트링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스트링 구조를 갖는 박막 태양 전지 (1)은, 단체(單體)로, 또는 복수매 연결된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밀봉 접착제의 시트 (3)에 끼워지고, 수광면측에 설치된 표면 커버 (5) 및 이면측에 설치된 백 시트 (4)와 함께 일괄적으로 라미네이트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 (6)이 형성된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 (6)은 주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프레임 (7)이 적절히 설치된다.
밀봉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등의 투광성 밀봉재가 사용된다. 또한, 표면 커버 (5)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나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의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백 시트 (4)로서는, 유리나 알루미늄박을 수지 필름에 협지한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태양 전지셀]
본 발명이 적용된 박막 태양 전지 (1)은 투광성 절연 기판 (8) 위에,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막, 광전 변환층, 이면 전극막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투광성 절연 기판 (8)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키는 슈퍼 스트레이트형의 태양 전지이다. 또한, 박막 태양 전지에는, 기재, 이면 전극, 광전 변환층, 투명 전극의 순으로 형성된 서브 스트레이트형 태양 전지도 있다. 이하에서는, 슈퍼 스트레이트형의 박막 태양 전지 (1)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기술은 서브 스트레이트형의 박막 태양 전지에 사용할 수도 있다.
투광성 절연 기판 (8)로서는, 유리나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SnO2, ZnO, IT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전 변환층으로서는, 비정질 규소, 미결정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 등의 규소계 광전 변환막이나, CdTe, CuInSe2, Cu(In, Ga)Se2 등의 화합물계 광전 변환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전극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 도전막과 금속막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투명 전극막은 SnO2, ZnO, IT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막은 은,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막 태양 전지 (1)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절연 기판 (8)의 거의 전체 폭에 걸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태양 전지셀 (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각 태양 전지셀 (2)는, 전극 분할 라인에 의해 분리됨과 동시에, 콘택트 라인에 의해 인접하는 태양 전지셀 (2), (2)끼리에 있어서 한쪽의 투명 전극막과 다른쪽의 이면 전극막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태양 전지셀 (2)가 직렬로 접속된 태양 전지 스트링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박막 태양 전지 (1)은, 태양 전지 스트링에서의 일단부의 태양 전지셀 (2)의 투명 전극막의 단부 위에, 태양 전지셀 (2)와 거의 동일 길이의 선상의 P형 전극 단자부 (9)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태양 전지셀 (2)의 이면 전극막의 단부 위에, 태양 전지셀 (2)와 거의 동일 길이의 선상의 N형 전극 단자부 (10)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 태양 전지 (1)은 이들 P형 전극 단자부 (9) 및 N형 전극 단자부 (10)이 전극 취출부가 되고,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를 통해 단자 박스 (19)에 전기를 공급한다.
[탭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용 탭선 (11)은 접속층 (20)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P형 전극 단자부 (9) 위에 접속되는 정극 집전 탭부 (12)와, 절연층 (21)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을 갖고, 정극 집전 탭부 (12)와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은 절첩부 (14)를 통해 연속되어 있다.
부극용 탭선 (15)는 접속층 (20)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접속되는 부극 집전 탭부 (16)과, 절연층 (21)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을 갖고, 부극 집전 탭부 (16)과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은 절첩부 (18)을 통해 연속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정극용 탭선 (1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부극용 탭선 (15)도 정극용 탭선 (1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정극용 탭선 (11)은, 예를 들면 두께 50 내지 300㎛로 압연된 동박이나 알루미늄박을 슬릿하거나, 또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가는 금속 와이어를 평판상으로 압연함으로써, P형 전극 단자부 (9)와 거의 동일한 폭인 1 내지 3mm폭의 평각선이다.
정극 집전 탭부 (12)는 정극용 탭선 (11)의 한쪽면이 접속층 (20)을 통해 P형 전극 단자부 (9)의 전체면에 대하여 전기적이면서도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은 정극용 탭선 (11)의 일부가 절첩부 (14)에서 절첩된 앞 부분이며, 정극용 탭선 (11)의 다른쪽면이 절연층 (21)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은 절연층 (21)에 의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과 접한 경우에도 단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은 선단이 단자 박스 (19)의 단자대에 접속되어 있다.
절첩부 (14)는 정극용 탭선 (11)의 일부, 예를 들면 정극 집전 탭부 (12)의 단부에 설치된다. 정극용 탭선 (11)은, 절첩부 (14)로부터 앞이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이 된다. 따라서, 정극용 탭선 (11)은, 정극 집전 탭부 (12)와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이 절첩부 (14)를 통해 연속되고, 접합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접합 개소에 전하가 집중됨에 따른 저항값의 증대나, 접합 부분의 접속 신뢰성의 저하, 접합 부분에 열이나 응력이 집중됨에 따른 투광성 절연 기판 (8)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층]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한쪽면 (11a), (15a)에 P형 전극 단자부 (9) 또는 N형 전극 단자부 (10)에 접속시키는 접속층 (20)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층 (20)은, 적어도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의 정극 집전 탭부 (12) 및 부극 집전 탭부 (16)의 한쪽면 (11a), (15a) 위,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쪽면 (11a), (15a)의 전체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코팅 땜납이나 도전성 접착 필름 (22)에 의해 구성된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의 결합제 수지층 (23)에 도전성 입자 (24)가 고밀도로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압입성의 관점에서 결합제 수지의 최저 용융 점도가 100 내지 100000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최저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저압착때문에 본경화의 과정에서 수지가 유동되어 접속 불량이나 셀 수광면으로의 비어져 나옴이 발생하기 쉽고, 수광율 저하의 원인도 된다. 또한, 최저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도 필름 접착시에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접속 신뢰성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최저 용융 점도에 대해서는 샘플을 소정량 회전식 점도계에 장전하고, 소정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 (24)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니켈,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입자, 수지 입자에 금 도금 등을 실시한 것, 수지 입자에 금 도금을 실시한 입자의 최외층에 절연 피복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는, 1개, 1개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분체일 수도 있지만, 1차 입자가 이어진 쇄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의 예로서는 스파이크상의 돌기를 갖는 구상의 니켈 파우더가 있으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후자의 예로서는, 필라멘트상 니켈 파우더가 있다. 후자를 사용함으로써 도전성 입자 (24)가 탄성을 구비하고, 서로 물성이 다른 정극용 탭선 (11)과 P형 전극 단자부 (9)의 접속 신뢰성 및 부극용 탭선 (15)와 N형 전극 단자부 (10)의 접속 신뢰성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상온 부근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kPaㆍs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kPaㆍs이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의 점도가 10 내지 10000kPaㆍs의 범위임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22)를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에 설치하고, 릴 (25)에 권장(卷裝, winding)한 경우, 소위 비어져 나옴에 의한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의 결합제 수지층 (23)의 조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막 형성 수지, 액상 에폭시 수지, 잠재성 경화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한다.
막 형성 수지는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고분자량 수지에 상당하고, 필름 형성성의 관점에서 10000 내지 80000 정도의 평균 분자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 형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의 다양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막 형성 상태, 접속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액상 에폭시 수지로서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시판되어 있는 에폭시 수지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스틸벤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등 다른 유기 수지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잠재성 경화제로서는, 가열 경화형, UV 경화형 등의 각종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잠재성 경화제는 통상적으로는 반응하지 않고, 어떠한 트리거(trigger)에 의해 활성화되어 반응을 개시한다.
트리거로는 열, 광, 가압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경화형의 잠재성 경화제가 적절하게 사용되고, 버스 바 전극 (11)이나 이면 전극 (13)에 가열 가압됨으로써 본경화된다. 액상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미다졸류, 아민류, 술포늄염, 오늄염 등을 포함하는 잠재성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에폭시계, 아미노계, 머캅토ㆍ술피드계, 우레이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타 첨가 조성물로서,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를 함유함으로써 압착시의 수지층의 유동성을 조정하고, 입자 포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실리카, 탈크,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충전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6은, 도전성 접착 필름 (22)의 제품 형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박리 기재 (26) 위에 결합제 수지층 (23)이 적층되고, 테이프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테이프상의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릴 (25)에 박리 기재 (26)이 외주측이 되도록 권회 적층된다. 박리 기재 (26)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OPP(배향 폴리프로필렌), PMP(폴리-4-메틸펜텐-1),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결합제 수지층 (23) 위에 상술한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가 커버 필름으로서 부착된다. 즉,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결합제 수지층 (23)이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미리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와 도전성 접착 필름 (22)를 적층 일체화시켜 둠으로써 실사용시에는 박리 기재 (26)을 박리하고, 도전성 접착 필름 (22)의 결합제 수지층 (23)을 P형 전극 단자부 (9)나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접착함으로써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와 각 전극 단자부 (11), (12)의 가부착이 도모된다.
상술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도전성 입자 (24)와, 막 형성 수지, 액상 에폭시 수지, 잠재성 경화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용제에 용해시킨다. 용제로서는,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용해시켜 얻어진 수지 생성용 용액을 박리 기재 (26) 위에 도포하고,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22)를 얻는다. 그 후,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의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러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가 P형 전극 단자부 (9) 위나 N 전극 단자부 (12) 위에 가부착되면, 가열 가압 헤드나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해 소정의 온도, 압력으로 열 가압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결합제 수지가 P형 전극 단자부 (9)와 정극 집전 탭부 (12) 사이 및 N형 전극 단자부 (10)과 부극 집전 탭부 (16) 사이로부터 유출됨과 동시에 도전성 입자 (24)가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 사이에서 협지되고, 이 상태로 결합제 수지가 경화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 필름 (22)는, 각 집전 탭부 (12), (16)을 각 전극 단자부 (9), (10) 위에 접착시킴과 동시에,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을 도통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P형 전극 단자부 (9)와 정극용 탭선 (11)의 접속, 및 N형 전극 단자부 (10)과 부극용 탭선 (15)의 접속에는, 상술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 이외에 절연성 접착 필름이나 절연성 접착 페이스트 등의 절연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절연성 접착 필름은, 결합제 수지층에 도전성 입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도전성 접착 필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요철부]
접속층으로서 절연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P형 전극 단자부 (9)나 N형 전극 단자부 (10)과 접속되는 한쪽면 (11a), (15a)에 요철부 (30)이 형성된다. 요철부 (30)은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의 전체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리본상 동박의 프레스 성형 또는 한쪽면 (11a), (15a)의 에칭 등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 (11a), (15a)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속된 복수개의 볼록부 (31) 및 오목부 (32)가 폭 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요철부 (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접속층 (20)으로서 절연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요철부 (30)의 볼록부 (31)과 P형 전극 단자부 (9)나 N 전극 단자부 (12)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도통이 도모된다.
또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절연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 도전성 접착제나 땜납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한쪽면 (11a), (15a)에 요철부 (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변형예]
또한, 접속층 (20)은,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한쪽면 (11a), (15a)에 미리 적층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속층 (20)은, 필름상의 도전성 접착 필름이나 절연성 접착 필름 이외에, 페이스트상의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나 절연성 접착 페이스트, 또는 땜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입자 (24)를 함유하는 필름상의 도전성 접착 필름 (22)나 페이스트상의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 또는 땜납을 「도전성 접착제」라 정의하고,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필름상의 절연성 접착 필름 또는 절연성 접착 페이스트를 「절연성 접착제」라 정의한다.
이러한 접속층 (20)은, 도전성 접착 필름 (22)나 절연성 접착 필름이 정극용 탭선 (11) 등의 접합시에 P형 전극 단자부 (9)나 N형 전극 단자부 (10)에 따른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박막 태양 전지 (1)의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가부착된다. 또는, 접속층 (20)은,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나 절연성 접착 페이스트, 땜납 등이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도포된다. 이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가 접속층 (20) 위에 중첩 배치되고, 열 가압됨으로써 도통 접속된다.
[절연층]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다른쪽면 (11b), (15b)에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과의 절연을 도모하는 절연층 (21)이 설치되어 있다. 절연층 (21)은,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의 적어도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및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의 다른쪽면 (11b), (15b) 위,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쪽면 (11b), (15b)의 전체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에 의해 구성된다.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은, PET나 PI 등의 절연 필름의 한쪽면에 접착제층이 설치된 것이다. 접착제층에는, 상술한 절연성 접착 필름과 같은 에폭시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 (21)은 적어도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및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 위에 설치됨으로써,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가 절첩되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과 대치된다. 따라서, 절연층 (21)은,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및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박막 태양 전지 (1)은,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와 이면 전극막 사이에 절연층 (21)을 개재시킴으로써, 종래 사용하고 있었던 단자 박스용 탭선과 박막 태양 전지의 이면 전극막 위를 절연하는 절연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미리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이나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 최소한의 면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대면적의 절연 필름을 준비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절연층 (21)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을 통해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다른쪽면 (11b), (15b)에 적층됨으로써 다른쪽면 (11b), (15b)의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연층 (21)은, 정극 집전 탭부 (12) 위나 부극 집전 탭부 (16) 위에서는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보다 외측에 나타난다. 이에 따라, 박막 태양 전지 (1)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등의 투광성 밀봉 수지에 의해 밀봉되었을 때에도,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가 절연층 (21)에 의해 덮임으로써 투광성 밀봉 수지와 반응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 (21)은, 착색된 절연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층 (21)로서,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 이외에 내열성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내열성 도료로서는, 예를 들면 규소 수지계의 내열 도료가 있으며, 시판품으로서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내산 테루모를 예시할 수 있다. 내열성 도료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구성함으로써,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잉여부]
이러한 정극용 탭선 (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집전 탭부 (12)가 P형 전극 단자부 (9)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절첩부 (14)로부터 앞이 P형 전극 단자부 (9) 위로부터 비어져 나온 잉여부가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이 되어 있다. 또한, 정극용 탭선 (11)은,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절첩되고, 그의 선단이 단자 박스 (19)와 접속된다. 부극용 탭선 (15)도 마찬가지이다.
정극용 탭선 (11)은, P형 전극 단자부 (9)의 길이의 대략 2배 정도의 길이를 갖고, 전체 길이의 대략 50%의 위치에서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극용 탭선 (11)은,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서의 단자 박스 (19)의 위치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을 단자 박스 (19)에 접속시킬 수 있다. 부극용 탭선 (15)도 마찬가지이다.
[변형예]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 태양 전지 (1)은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폭 방향의 대략 중간에 길이 방향에 걸친 슬릿 (S)를 형성하고, 슬릿 (S)로 분할된 한쪽에 절첩부 (14), (18)을 형성함과 동시에, 당해 절첩부 (14), (18)의 앞을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또는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릿으로 분할된 다른쪽은, 슬릿 (S)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함께 정극 집전 탭부 (12) 또는 부극 집전 탭부 (16)을 구성한다. 또한,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는, P형 전극 단자부 (9)나 N형 전극 단자부 (10)보다 반드시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슬릿 (S)의 길이는 단자 박스 (19)까지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단자 박스]
또한,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는,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의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및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박스 (19)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박스 (19)는, 외부 출력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가 집전된 전력을 외부에 공급한다.
이 단자 박스 (19)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절연성 접착 필름을 통해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절연성 접착 필름은,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전성 접착 필름 (22)와 거의 동일한 성분을 갖고, 결합제 수지층이 열 경화됨으로써 단자 박스 (19)를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고정시킨다. 또한, 절연성 접착 필름은, 화학적으로 안정된 불소계의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가부착되었을 때에도 이면 전극막과 반응하지 않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박스 (19)는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있어서,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대략 중간에 따른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동일 크기의 탭선을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박스 (19)의 위치는, 백 시트 (4)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절첩부 (14) 및 절첩부 (18)에서 백 시트 (4)를 관통하고,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및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이 백 시트 (4)의 외측에 설치된 단자 박스 (19)의 단자부와 접속한다.
[제조 방법]
이어서, 박막 태양 전지 (1)에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를 접속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박막 태양 전지 (1)의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접속층 (20)을 설치하고, 접속층 (20)을 통해 정극 집전 탭부 (12) 또는 부극 집전 탭부 (16)을 배치한다.
이 공정은, 미리 한쪽면 (11a), (15a)에 도전성 접착 필름 (22)나 절연성 접착 필름이 설치되고, 또는 땜납 코팅된 정극용 탭선 (11)이나 부극용 탭선 (15)를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배치함으로써 행한다. 또는, 도전성 접착제나 절연성 접착제를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에 배치 또는 도포함으로써 접속층 (20)을 형성한 후, 접속층 (20) 위에 정극용 탭선 (11)의 정극 집전 탭부 (12) 또는 부극용 탭선 (15)의 부극 집전 탭부 (16)을 배치함으로써 행한다.
그 후,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가열 가압 헤드에 의해 소정의 온도,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접속층 (20)은 도전성 접착제의 결합제 수지가 P형 전극 단자부 (9)와 정극 집전 탭부 (12) 사이 및 N형 전극 단자부 (10)과 부극 집전 탭부 (16) 사이로부터 유출됨과 동시에 도전성 입자 (24)가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 사이에서 협지되고, 이 상태로 결합제 수지가 경화된다. 이에 따라, 접속층 (20)은 각 집전 탭부 (12), (16)을 각 전극 단자부 (9), (10) 위에 접착시킴과 동시에,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을 도통 접속시킬 수 있다. 접속층 (20)으로서, 절연 접착제나 땜납을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열 가압됨으로써,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이 접속된다.
이어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P형 전극 단자부 (9) 위 및 N형 전극 단자부 (10) 위부터 앞까지의 잉여부를 박막 태양 전지 (1)의 이면 전극막 위에 절첩시키고, 절첩부 (14), (18)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을 절연층 (21)을 통해 이면 전극막 위에 배치한다.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3),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7)의 선단은, 접속층 (20)을 구성하는 도전성 접착제나 절연성 접착제 및 절연층 (21)을 구성하는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이나 내열성 도료가, 칼날 및 열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을 박리 등을 행함으로써 박리되어, 도통 가능해진다. 그 후,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당해 선단부가 단자 박스 (19)의 단자대에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공정을 거침으로써, 종래의 초음파 접합에서 필요하였던 레이저 스크라이브 처리나 Ag 페이스트 도포가 불필요해지고, 발전 면적이 확대되어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을 접합시키는 구성에 비해 장기간에 걸친 접속 신뢰성이 우수하고,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의 접속이 없어짐으로써 접속 저항도 낮아져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절연층 (21)이 다른쪽면 (11b), (15b)에 전체면에 걸쳐서 설치됨으로써, 동박 표면의 산화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가열 가압 헤드에 의해 압착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밀봉 접착제의 시트 (3)과 함께 라미네이터에 의해 일괄적으로 라미네이트 압착됨으로써,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을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접속층 (20)이 열경화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각 집전 탭부 (12), (16)을 각 전극 단자부 (9), (10) 위에 가부착하고, 단자 박스용 탭부 (13), (17)이 절첩된다. 그 후, EVA 등의 밀봉 수지 시트가 적재되고,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해 일괄 라미네이트됨으로써,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는 접속층 (20)이 열경화되어, 각 집전 탭부 (12), (16)과 각 전극 단자부 (9), (10)이 접속된다.
[실시예]
이어서, 정극용 탭선 (11) 및 부극용 탭선 (15)를 사용한 박막 태양 전지 (1)의 실시예에 대하여, 종래의 박막 태양 전지 및 절연층 (21)을 갖지 않는 정극용 탭선 및 부극용 탭선을 사용한 박막 태양 전지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모든 샘플에 탭선의 기재로서 70㎛ 두께의 동박 리본을 사용하고, 박막 태양 전지의 전극 단자부에 접속되는 한쪽면에 접속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에는 다른쪽면에 절연층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샘플 모두 동일한 박막 태양 전지(비정질 규소로 이루어지는 광전 변환층을 가짐)를 사용하여, P형 전극 단자부 및 N형 전극 단자부에 접속시켰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내지 3, 5, 6에 관한 샘플에서는, P형 전극 단자부 및 N형 전극 단자부 위에 도전성 접착제([제품명 DT100 시리즈]: 소니 케미칼 &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또는 절연성 접착제([제품명 DT100 시리즈 도전성 입자 없음]: 소니 케미칼 &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통해 적재한 후, 열 가압함으로써 접속시켰다(가열 온도: 180℃, 압력: 2MPa, 가열 가압 시간: 15초).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관한 샘플은, Al(알루미늄) 접속용의 초음파 땜납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접속층을 통해 P형 전극 단자부 및 N형 전극 단자부 위에 적재한 후, 열 가압함으로써 접속시켰다.
이어서, 각 샘플을 박막 태양 전지의 이면에 설치된 단자 박스에 접속시켰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 4 내지 6에서는 전극 단자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잉여부를 절첩하고, 절첩된 선단부를 단자 박스에 접속시켰다.
그 후, 밀봉 수지(EVA) 및 알루미늄박 함유 백 시트를 적층하여 라미네이트함으로써 모듈화하였다. 또한, 각 모듈에 대하여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는지, 그리고 고온 고습 시험 후(85℃ 85%RH 1000시간) 1A 통전시의 접속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실시예 1에 관한 탭선은 한쪽면을 땜납 코팅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다른쪽면에 에폭시계 접착제층이 형성된 PET가 접착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2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90°이다. 또한, 실시예 2에 관한 탭선은,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다른쪽면에 에폭시계 접착제층이 형성된 PET가 접착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실시예 3에 관한 탭선은, 실시예 2와 동일한 접속층 및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4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80°이다. 또한, 실시예 4에 관한 탭선은, 실시예 2와 동일한 접속층 및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정극용 탭선 및 부극용 탭선을 각각 180°절첩하고, 각 단자 박스용 탭부를 정극용 단자 박스와 부극용 단자 박스에 각각 접속시켰다.
실시예 5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실시예 5에 관한 탭선은, 한쪽면에 절연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다른쪽면에 에폭시계 접착제층이 형성된 PET가 접착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6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실시예 5에 관한 탭선은,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다른쪽면에 내열성 도료(내산 테루모: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가 도포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1은, 전극 단자부 위에 단자 박스용 탭선 및 집전용 탭선을 중첩시킴으로써 접속시켰다. 또한, 비교예 1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 에폭시계 접착제층이 형성된 PET가 접착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2는, 전극 단자부 위에 단자 박스용 탭선 및 집전용 탭선을 중첩시킴으로써 접속시켰다. 또한, 비교예 2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 내열성 도료(내산 테루모: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가 도포됨으로써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3은, 전극 단자부 위에 단자 박스용 탭선 및 집전용 탭선을 중첩시킴으로써 접속시켰다. 또한, 비교예 3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비교예 4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비교예 4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을 땜납 코팅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비교예 5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비교예 4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에 도전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비교예 6에 관한 탭선은, 전극 단자부에 접속된 집전 탭부로부터 앞의 잉여부를 절첩함으로써 단자 박스용 탭부로 하였다. 절첩 각도는 135°이다. 또한, 비교예 4에 관한 단자 박스용 탭선은, 집전용 탭선에 접속하는 한쪽면에 절연성 접착 필름이 접착됨으로써 접속층이 형성되고, 이면 전극막에 접하는 다른쪽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모듈에 대하여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는지, 그리고 고온 고습 시험 후(85℃ 85%RH 1000시간) 2개의 탭선 위로부터 전류 단자 및 전압 단자를 각각 접속하는 4 단자법에 의해 1A 통전시의 접속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모듈의 박형화의 평가 지표는,
○: 전극 단자부의 부분적인 두께가 최대 0.25mm 이하
×: 전극 단자부의 부분적인 두께가 최대 0.25mm보다 큼
으로 하였다.
또한, 접속 저항의 평가 지표는,
○: 12Ω 미만
△: 12Ω 이상, 18Ω 미만
×: 18Ω 이상
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듈의 박형화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전극 단자부 위에 단자 박스용 탭선 및 집전용 탭선을 중첩시키지 않고, 1개의 탭선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박형화가 도모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전극 단자부 위에 단자 박스용 탭선 및 집전용 탭선을 중첩시켰기 때문에, 모듈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는 없었다.
또한, 접속 저항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이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의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당해 접속부로의 전하의 집중에 의한 저항값의 증대나, 접속 개소가 고온 고습 환경에 의해 열화되고, 또는 경시 열화에 의해 저항값이 증대되지도 않는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2에서는, 집전용 탭선과 단자 박스용 탭선의 접속부의 열화에 따라 접속 저항의 증가가 보였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6에서는 단자 박스용 탭선의 다른쪽면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박막 태양 전지의 이면 전극막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였다.
1 박막 태양 전지, 2 태양 전지셀, 3 시트, 4 백 시트, 5 표면 커버, 6 태양 전지 모듈, 7 금속 프레임, 8 투광성 절연 기판, 9 P형 전극 단자부, 10 N형 전극 단자부, 11 정극용 탭선, 11a 한쪽면, 12 정극 집전 탭부, 13 단자 박스용 정극 탭부, 14 절첩부, 15 부극용 탭선, 15a 한쪽면, 16 부극 집전 탭부, 17 단자 박스용 부극 탭부, 18 절첩부, 19 단자 박스, 20 접속층, 21 절연층, 22 도전성 접착 필름, 23 결합제 수지층, 24 도전성 입자, 30 요철부

Claims (17)

  1. 한쪽면에 전극이 배치되는 태양 전지와,
    접속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전극 위에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고, 상기 집전 탭부와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가 절첩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탭선
    을 구비하는 태양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전극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잉여부가 절첩되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전극의 2배 정도의 길이를 갖고, 전체 길이의 50%의 위치에서 절첩되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절첩부의 절첩 각도가 90° 이상 180° 이하인 태양 전지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박스가 상기 한쪽면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각도가 180°일 때에는 상기 한쪽면 위에 정극용 단자 박스와 부극용 단자 박스가 설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층은 땜납, 도전성 접착제 및 절연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태양 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전극과 접속하는 면이 요철면이 되고, 절연성 접속층을 통해 상기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 또는 절연성 접착제는 에폭시계 접착제인 태양 전지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미리 상기 전극과 접속되는 한쪽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도전층이 설치되고, 상기 한쪽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절연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접착제 부착 절연 필름 또는 내열성 도료인 태양 전지 모듈.
  12. 태양 전지의 전극 위에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는 탭선을 사용하여,
    상기 집전 탭부를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전극 위에 접속층을 통해 접속시키고,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를 상기 집전 탭부로부터 절첩하고,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하여,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의 일단부를 단자 박스에 접속시키는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전극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잉여부가 절첩되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미리 상기 전극과 접속되는 한쪽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접속층이 설치되고, 상기 한쪽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절연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5. 한쪽면에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태양 전지의 상기 전극 위에 접속층을 통해 접속되는 집전 탭부와,
    절연층을 통해 상기 태양 전지의 한쪽면 위에 설치되는 단자 박스용 탭부를 갖고,
    상기 집전 탭부와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가 절첩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는 박막 태양 전지 모듈용 탭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잉여부가 절첩되어 상기 단자 박스용 탭부가 되는 것인 박막 태양 전지 모듈용 탭선.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미리 상기 전극과 접속되는 한쪽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접속층이 설치되고, 상기 한쪽면과 반대측의 면에 전체면에 걸쳐서 상기 절연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박막 태양 전지 모듈용 탭선.
KR1020137034107A 2011-05-27 2012-05-25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 KR20140040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9686 2011-05-27
JP2011119686A JP6021138B2 (ja) 2011-05-27 2011-05-27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薄膜太陽電池用タブ線
PCT/JP2012/063543 WO2012165353A1 (ja) 2011-05-27 2012-05-25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薄膜太陽電池用タブ線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58A true KR20140040758A (ko) 2014-04-03

Family

ID=4725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107A KR20140040758A (ko) 2011-05-27 2012-05-25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02532A1 (ko)
EP (1) EP2717324A1 (ko)
JP (1) JP6021138B2 (ko)
KR (1) KR20140040758A (ko)
TW (1) TW201308632A (ko)
WO (1) WO2012165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905B2 (ja) * 2012-02-14 2016-12-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導電性接着剤、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958701B2 (ja) * 2012-07-17 2016-08-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配線材、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131508B2 (ja) * 2013-05-09 2017-05-24 ホシデン株式会社 端子ボックス
JP2015076446A (ja) * 2013-10-07 2015-04-20 日立化成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
USD743329S1 (en) * 2014-01-27 2015-11-17 Solaero Technologies Corp. Solar cell
CN104576778B (zh) * 2015-01-05 2017-08-08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无主栅高效率背接触太阳能电池、组件及其制备工艺
TWI720181B (zh) * 2016-05-30 2021-03-0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薄膜製造方法、薄膜製造裝置、光電轉換元件之製造方法、邏輯電路之製造方法、發光元件之製造方法及調光元件之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274B2 (ja) * 1995-04-17 2005-06-08 昭和電工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
JPH1074971A (ja) * 1996-07-03 1998-03-17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接続方法
JP2000277784A (ja) * 1999-03-25 2000-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783500B2 (ja) * 2000-12-25 2011-09-28 株式会社カネカ 封止前準備用シートセット装置、封止前準備用出力取出し線セット装置、及び自動封止前準備装置
JP4803691B2 (ja) * 2001-07-27 2011-10-26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導電ペースト
JP2003124489A (ja) * 2001-10-12 2003-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集合体、配線システ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07112949A (ja) * 2005-10-24 2007-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異方導電性接着剤
JP5063099B2 (ja) * 2006-12-13 2012-10-31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380810B2 (ja) * 2007-09-28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870100B2 (ja) * 2008-01-30 2012-02-08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状体の配設装置
JP5101409B2 (ja) * 2008-03-25 2012-12-19 有限会社エコ&エンジニアリング 太陽電池素子の接続方法及び接続装置
JP4558070B2 (ja) 2008-06-04 2010-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46420B2 (ja) * 2009-04-21 2014-03-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14234A (zh) * 2010-01-12 2012-10-03 三菱电机株式会社 薄膜太阳能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8632A (zh) 2013-02-16
US20140102532A1 (en) 2014-04-17
WO2012165353A1 (ja) 2012-12-06
JP6021138B2 (ja) 2016-11-09
JP2012248706A (ja) 2012-12-13
EP2717324A1 (en)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758A (ko)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박막 태양 전지용 탭선
JP567694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74534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35634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441264B1 (ko)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태양전지 셀 및 탭선의 접속 방법
JP57987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タブ線
JP589258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122841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40031225A (ko)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도전성 접착제
TWI575760B (zh) 配線材、太陽電池模組及太陽電池模組之製造方法
WO2013121877A1 (ja) 導電性接着剤、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1028756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solar cell
JP201211936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06141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316519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タブ線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