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796A - 농산물 세척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796A
KR20140039796A KR1020120106487A KR20120106487A KR20140039796A KR 20140039796 A KR20140039796 A KR 20140039796A KR 1020120106487 A KR1020120106487 A KR 1020120106487A KR 20120106487 A KR20120106487 A KR 20120106487A KR 20140039796 A KR20140039796 A KR 20140039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agricultural products
main body
wa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524B1 (ko
Inventor
신민재
신영문
Original Assignee
참좋은우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참좋은우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참좋은우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5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Abstract

농산물 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농산물 세척기는, 농산물 세척기로서,상기 농산물 세척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농산물의 세척을 위하여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2, 3 수조; 상기 제1, 2, 3 수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2, 3 수조에 잠수되며, 상기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수용부를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농산물이 상기 제1, 2, 3 수조에 순차적으로 잠수되어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상기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농산물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따라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농산물의 세척시 에어버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세척기{APPARATUS FOR CLEANING PRODUCE}
본 발명은 농산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의 세척시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수조에서 발생하는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손상을 최소화하고, 농산물을 각 수용부에 인입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농산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과일, 엽채류 등과 같은 농산물의 표면에는 농약,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묻어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최종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기 전에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반드시 거치게 된다.
대규모 농가나 집하장에서 단체로 농산물을 판매하는 경우 일일이 수작업으로 농산물을 세척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고 효율이 떨어지는바, 근래에는 대부분 자동세척라인을 설치하여 소수의 작업자만으로도 세척작업이 가능하도록 자동화하는 추세이다.
각종 농산물에 대한 자동세척을 위한 기술들은 다수 알려져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수조에 공급된 세척수에 농산물을 잠수시킨 후 에어버블(공기방울)을 발생하는 장치를 수조에 설치하여 세척하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농산물 세척기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639호의 ‘야채 세척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야채 세척기는 야채 수납부에 적재된 야채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킴과 동시에 공기방울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야채끼리 겹치는 부분까지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야채 세척기는 야채 수납부에 적재된 야채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공기방울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과일의 경우 상호 충돌에 따라 쉽게 손상되어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엽채류 중에서 상추의 경우에는 표면적이 넓고 연약하기 때문에, 탱크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고압으로 분사되는 공기방울에 의해 상추의 표면이 찢어지거나 일부 떨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과일, 엽채류 등과 같은 농산물을 세척시 수조에서 발생하는 에어버블의 강약 및 발생시간을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제어하여 각종 농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농산물 세척기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639호(공개일자: 2009.06.1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을 세척시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수조에서 발생하는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손상을 최소화하고, 농산물을 각 수용부에 인입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농산물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농산물 세척기로서, 상기 농산물 세척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농산물의 세척을 위하여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2, 3 수조; 상기 제1, 2, 3 수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2, 3 수조에 잠수되며, 상기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수용부를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농산물이 상기 제1, 2, 3 수조에 순차적으로 잠수되어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상기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상기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농산물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농산물 식별부는, 상기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로 투입되는 농산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농산물을 식별하도록 마련되는 정보판단부; 및 상기 정보판단부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2, 3 수조에 에어버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개방된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힌지부의 축과 인접하는 위치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에는, 상기 힌지부의 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회전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됨으로써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는, 상기 농산물을 담은 상기 수납통이 최저점일 때 상기 제1, 2, 3 수조에 완전히 잠수되며, 최고점일 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시 그 하면이 상기 제1, 2, 3 수조와 간섭되지 않도록 세팅될 수 있다.
상기 제1, 3 수조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며, 상기 제2 수조에는 상기 농산물의 살균세척을 위한 오존수가 저장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수조에 오존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오존수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농산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 상기 농산물에 대한 탈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 수조는, 상기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에어버블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따라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농산물의 세척시 에어버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을 수용부에 투입시 개폐커버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편리하게 투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에 마련된 농산물 식별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에 마련된 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에 마련된 농산물 식별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에 마련된 수용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농산물 세척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되며 농산물의 세척을 위하여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2, 3 수조(130, 132, 134)와, 제1, 2, 3 수조(130, 132, 134)와 대응되도록 회전축(12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되면서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잠수되며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부(140A, 140B, 140C)와, 회전축(120)에 대해 수용부(140A, 140B, 140C)를 승강 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부(150), 및 회전축(120)과 승강부(150)를 제어하여 농산물이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순차적으로 잠수되어 세척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16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10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종류에 따라 정확하게 식별하여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농산물 식별부(112)를 포함한다.
농산물 식별부(112)는 농산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112A)와, 촬영부(112A)의 영상 정보를 비교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정보판단부(112B)와, 정보판단부(112B)의 정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에어버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112C)를 포함한다.
촬영부(112A)는 농산물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촬영부(112A)는 제1 수조(130)와 대응하는 수용부(140A)에 투입되는 농산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부 측에 설치된다.
즉, 촬영부(112A)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담은 수납통(102)이 최초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40A)에 투입되는 경우 수납통(102)이 투입된 수용부(140A)를 촬영하여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촬영부(112A)는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용부(140B, 140C)에 투입되는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촬영부(112A)는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통(102)이 투입된 수용부(140A, 140B, 140C)는 농산물에 대한 세척을 위하여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순차적으로 잠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수납통(102)은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잠수되는 경우 수납된 농산물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그물망(도면에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은 수납통(102) 대신에 수용부(140A, 140B, 140C)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정보판단부(112B)는 촬영부(112A)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비교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정보판단부(112B)는 촬영부(112A)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과일, 엽채류 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가 기저장되며, 컨트롤패널(16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정보판단부(112B)는 촬영부(112A)의 영상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정확하게 식별한다.
제어부(112C)는 정보판단부(112B)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에어버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며, 컨트롤패널(16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어부(112C)는 정보판단부(112B)의 식별 정보에 따라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에 대해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는 세척되는 농산물의 종류별 고유특성에 대해 일정한 세기와 발생시간을 갖는 에어버블의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2C)는 농산물의 세척시 종류별로 갖고 있는 고유특성에 따른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발생하는 에어버블을 일정한 세기와 시간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제어부(112C)의 제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발생하는 에어버블을 일정한 세기와 시간으로 제어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제어분야에서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10)는 제2 수조(132)에 오존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오존수 발생기(114)를 더 포함한다. 즉, 오존수 발생기(114)는 농산물의 살균세척을 위하여 오존수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며, 제2 수조(132)와 연결되도록 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오존수 발생기(114)는 컨트롤패널(160)에 의해 제어된다.
본체(110)는 농산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 농산물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도록 탈수작업을 진행하는 탈수기(116)를 더 포함한다. 탈수기(116)는 농산물의 세척 후 표면에 잔재하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며, 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탈수기(116)는 컨트롤패널(16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2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이며, 본체(110)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축(120)은 본체(110)에 마련되는 모터(122)와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124)에 의해 본체(11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모터(122)는 컨트롤패널(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1, 2, 3 수조(130, 132, 134)는 농산물의 세척을 위해 수용부(140A, 140B, 140C)가 잠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에어버블 발생기(136)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회전축(12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2, 3 수조(130, 132, 134)는 농산물에 대해 애벌세척, 오존수세척 및 최종세척을 진행하기 위하여 제1, 3 수조(130, 134)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며, 제2 수조(132)에는 오존수가 저장된다.
즉, 수용부(140A, 140B, 140C)에 투입된 농산물은 최초 제1 수조(130)로 잠수되어 애벌세척이 진행되며 제2 수조(132)에서 오존수에 의한 살균세척이 진행된 뒤 제3 수조(134)에서 최종세척이 진행됨으로써 세척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에어버블 발생기(136)는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농산물의 세척을 위한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에어버블 발생기(136)는 제어부(112C)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여기서 에어버블 발생기(136)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농산물 세척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수용부(140A, 140B, 140C)는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을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수용부(140A, 140B, 140C)는 격자형 구조를 갖는 상자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통(102)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140A, 140B, 140C)는 회전축(120)의 둘레에 제1, 2, 3 수조(130, 132, 134)와 대응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농산물의 세척시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도록 후술하는 승강부(150)를 매개로 회전축(120)과 연결된다.
수용부(140A, 140B, 140C)는 개방된 일측에 내부로 투입된 수납통(10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커버(142)가 마련된다. 개폐커버(142)는 그 상부가 수용부(140A, 140B, 140C)의 상부와 힌지부(143)를 매개로 연결되며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40A, 140B, 140C)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수용부(140A, 140B, 140C)에는 힌지부(143)의 축(143A)과 인접하는 위치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44)가 마련되고, 개폐커버(142)에는 힌지부(143)의 홈(143B)으로부터 걸림돌기(14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6)가 마련된다.
즉, 개폐커버(142)는 수용부(140A, 140B, 140C)를 개방하도록 회전시 돌출부(146)가 걸림돌기(144)에 간섭되어 걸림됨으로써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개폐커버(142)의 개방상태에서 수용부(140A, 140B, 140C)에 수납통(102)을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때, 개폐커버(142)의 개방을 유지시키는 걸림돌기(144)와 돌출부(146)의 걸림상태는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승강부(150)는 회전축(120)에 대해 수용부(140A, 140B, 140C)를 승강 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서 회전축(120)에 형성되는 레일(152)과, 레일(152)과 수용부(140A, 140B, 140C)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154)와, 수용부(140A, 140B, 140C)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대(154)의 저면에 마련되는 승강기(156)를 포함한다.
레일(152)은 회전축(120)과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연결대(154)는 레일(152)과 수용부(140A, 140B, 140C)를 상호 연결하며, 승강기(156)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120)에 대해 수용부(140A, 140B, 140C)를 승강 운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레일(15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맞물려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수용부(140A, 140B, 140C)는 연결대(154)에 의해 레일(152)의 상하로 승강 운동이 가능하다.
승강기(156)는 수용부(140A, 140B, 140C)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대(154)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기(156)는 수용부(140A, 140B, 140C)의 승강 운동을 위하여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50)는 컨트롤패널(160)의 제어에 따라 수용부(140A, 140B, 140C)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잠수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승강부(150)는 농산물의 세척시 수용부(140A, 140B, 140C)를 제1 수조(130), 제2 수조(132) 및 제3 수조(134)에 잠수시켜 농산물에 대한 세척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부(150)의 승강 높이는, 농산물을 담은 수납통(102)이 최저점일 경우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완전히 잠수되며, 최고점일 경우에는 수용부(140A, 140B, 140C)가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시 그 하면이 제1, 2, 3 수조(130, 132, 134)와 간섭되지 않도록 세팅되게 된다.
컨트롤패널(160)은 회전축(120)과 승강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1 수조(130)와 인접하도록 본체(110)에 마련된다.
즉, 컨트롤패널(160)은 최초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을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40A, 140B, 140C)에 투입한 뒤 농산물 세척기(100)의 조작에 따른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1 수조(130)와 인접하는 본체(110)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60)은 농산물이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순차적으로 잠수되어 세척이 완료될 수 있도록 회전축(120)과 승강부(150)를 제어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1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모든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컨트롤패널(160)은 농산물의 세척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수동 및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세팅 가능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농산물 세척기(100)를 이용하여 과일, 엽채류 등의 농산물을 세척하려는 경우,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최초 투입위치는 제1 수조(130)와 대응되는 수용부(140A)이다. 이를 위해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40A)의 개폐커버(142)를 개방한다. 그러면, 개폐커버(142)는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46)가 걸림돌기(144)에 걸림되어 멈추게 된다.
즉, 개폐커버(142)는 수용부(140A)를 개방하도록 회전시 돌출부(146)가 수용부(140A)에 마련된 걸림돌기(144)에 간섭되어 걸림됨으로써 수용부(140A)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을 수용부(140A)에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수납통(102)이 수용부(140A)에 투입되면, 작업자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146)와 걸림돌기(144)의 걸림상태를 쉽게 해제시켜 개폐커버(142)로 수용부(140A)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수용부(140A)는 개폐커버(142)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수용부(140A)에 투입된 수납통(102)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용부(140B, 140C)에도 농산물을 투입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이 제1 수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40A)에 투입되면, 농산물 세척기(100)의 작동을 위하여 컨트롤패널(160)을 조작한다.
컨트롤패널(160)이 조작되면, 농산물 식별부(112)의 촬영부(112A)는 제1 수조(130)로 잠수되기 위하여 수용부(140A)에 투입된 농산물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출력하며, 촬영부(112A)의 영상 정보는 정보판단부(112B)에서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종류를 정확하게 식별하게 된다. 제어부(112C)는 정보판단부(112B)의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마련된 에어버블 발생기(136)를 제어함으로써 제1, 2, 3 수조(130, 132, 134)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맞는 일정한 세기와 발생시간을 갖는 에어버블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농산물이 세척되는 과정에서 에어버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에어버블 발생기(136)는 제어부(112C)의 제어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세척되는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맞는 일정한 세기와 발생시간을 갖는 에어버블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농산물의 세척시 에어버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맞는 에어버블 값이 세팅되면, 수용부(140A)는 승강부(150)의 하강운동에 따라 제1 수조(130)로 잠수되며, 이에 따라 농산물에 대한 애벌세척 작업이 진행된다.
제1 수조(130)에서 농산물에 대한 애벌세척 작업이 완료되면, 수용부(140A)는 승강부(150)의 상승운동에 의해 제1 수조(130)의 상부로 상승되며, 이후 회전축(1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2 수조(132)의 상부로 이동된 뒤 다시 승강부(150)의 하강운동에 의해 제2 수조(132)로 잠수되어 농산물에 대한 살균세척 작업이 진행된다.
제2 수조(132)에서 농산물에 대한 살균세척 작업이 완료되면, 수용부(140A)는 승강부(150)의 상승운동에 의해 제2 수조(132)의 상부로 상승되며, 이후 회전축(1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3 수조(134)의 상부로 이동된 뒤 다시 승강부(150)의 하강운동에 의해 제3 수조(134)로 잠수되어 농산물에 대한 최종세척 작업이 진행된다.
제3 수조(134)에서 농산물에 대한 최종세척 작업이 완료되면, 수용부(140A)는 승강부(150)의 상승운동에 의해 제3 수조(134)의 상부로 상승되며, 이에 따라 농산물에 대한 세척작업이 최종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른 수용부(140B, 140C)에 인입된 농산물도 제1, 2, 3 수조(130, 132, 134)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농산물에 대한 세척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세척기(100)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식별하며 식별된 농산물의 고유특성에 따라 제1, 2, 3 수조(130, 132, 134)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농산물 식별부(112)에 의하여, 농산물의 세척시 에어버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102)을 수용부(140A, 140B, 140C)에 투입시 개폐커버(142)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편리하게 투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2: 농산물 식별부
112A: 촬영부 112B: 정보판단부
112C: 제어부 120: 회전축
130, 132, 134: 제1, 2, 3 수조 140A, 140B, 140C: 수용부
142: 개폐커버 143: 힌지부
144: 걸림돌기 146: 돌출부
150: 승강부 160: 컨트롤패널

Claims (7)

  1. 농산물 세척기로서,
    상기 농산물 세척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농산물의 세척을 위하여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2, 3 수조;
    상기 제1, 2, 3 수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2, 3 수조에 잠수되며, 상기 농산물이 담긴 수납통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수용부를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여 상기 농산물이 상기 제1, 2, 3 수조에 순차적으로 잠수되어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종류에 따라 식별하여 상기 제1, 2, 3 수조에서 에어버블의 세기 및 발생시간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농산물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식별부는,
    상기 농산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로 투입되는 농산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농산물을 식별하도록 마련되는 정보판단부; 및
    상기 정보판단부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2, 3 수조에 에어버블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개방된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힌지부의 축과 인접하는 위치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에는, 상기 힌지부의 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회전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됨으로써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는, 상기 농산물을 담은 상기 수납통이 최저점일 때 상기 제1, 2, 3 수조에 완전히 잠수되며, 최고점일 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시 그 하면이 상기 제1, 2, 3 수조와 간섭되지 않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 수조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며, 상기 제2 수조에는 상기 농산물의 살균세척을 위한 오존수가 저장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수조에 오존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오존수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농산물의 세척이 완료된 뒤 상기 농산물에 대한 탈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수조는,
    상기 에어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에어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세척기.
KR1020120106487A 2012-09-25 2012-09-25 농산물 세척기 KR10138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87A KR101388524B1 (ko) 2012-09-25 2012-09-25 농산물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487A KR101388524B1 (ko) 2012-09-25 2012-09-25 농산물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796A true KR20140039796A (ko) 2014-04-02
KR101388524B1 KR101388524B1 (ko) 2014-04-23

Family

ID=5065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487A KR101388524B1 (ko) 2012-09-25 2012-09-25 농산물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5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878A (zh) * 2020-08-19 2020-12-18 陈荣 一种医用磁共振消毒装置
CN112121208A (zh) * 2020-09-22 2020-12-25 陈荣 一种具有减震防护功能的医用磁共振自动消毒装置
CN112263692A (zh) * 2020-10-09 2021-01-26 苏成龙 一种便捷式眼科用手术刀片消毒设备
CN113785995A (zh) * 2021-08-30 2021-12-14 湖南德旺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菜生产用干菜清洗浸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957A (ja) * 1996-11-08 1998-05-26 Akiji Matoba 自動野菜消毒洗浄水切り装置
KR100337773B1 (ko) * 2000-03-08 2002-05-30 김재권 과일 세척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세척장치
KR100604381B1 (ko) * 2003-11-20 2006-07-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세척기
JP2005261261A (ja) * 2004-03-17 2005-09-29 Si Seiko Co Ltd 農作物皮剥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878A (zh) * 2020-08-19 2020-12-18 陈荣 一种医用磁共振消毒装置
CN112121208A (zh) * 2020-09-22 2020-12-25 陈荣 一种具有减震防护功能的医用磁共振自动消毒装置
CN112263692A (zh) * 2020-10-09 2021-01-26 苏成龙 一种便捷式眼科用手术刀片消毒设备
CN113785995A (zh) * 2021-08-30 2021-12-14 湖南德旺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预制菜生产用干菜清洗浸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524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524B1 (ko) 농산물 세척기
CN102482833B (zh) 滚筒式洗衣机
CN105938136A (zh) 一种多种残留农药数据多方向检测仪
JP2014507126A (ja) 型ドラム及び型ドラム用洗浄装置
JP2006075604A (ja) 洗濯機
JP6949639B2 (ja) 洗濯機
CN109706686B (zh) 分类洗涤洗衣机及洗衣方法
EP2501501A1 (en) Plant for cleaning bins used for vegetable produce
KR101060365B1 (ko) 어선용 자숙기의 멸치 공급장치
KR100978294B1 (ko) 작물 세척기
CN113877911B (zh) 一种全自动千级无尘室环保型芯片封装框架料盒清洗机
CN107971312A (zh) 一种惰性化工产品装料桶清洁装置
IT201900006967A1 (it) Macchina sciacquatrice rotativa per la sciacquatura di bottiglie con sistema di lavaggio e sanitizzazione del tipo a falsa bottiglia
KR20200092546A (ko) 채소 절임장치
KR20130112249A (ko) 대용량 채소 탈수기
KR20100006384U (ko) 과실 선별 세척장치
JP2016112529A (ja) 洗浄脱水装置
KR102524350B1 (ko) 검사시스템
KR10240251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의 운전방법
US8595875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for
US1910931A (en) Bottle cleansing and washing machine
KR101703315B1 (ko) 컨테이너 원심탈수장치
EP3617364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2442966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CN209099003U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