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879A - 필름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879A
KR20140038879A KR1020130105224A KR20130105224A KR20140038879A KR 20140038879 A KR20140038879 A KR 20140038879A KR 1020130105224 A KR1020130105224 A KR 1020130105224A KR 20130105224 A KR20130105224 A KR 20130105224A KR 20140038879 A KR20140038879 A KR 2014003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ame
ink
outer edge
d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031B1 (ko
Inventor
야스히코 후치카미
츠요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3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에 마련되는 제1 부와,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제1 부를 둘러싸는 제2 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2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액적을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제2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1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타 액적을 제2 부에 의해 둘러싸인 기판의 영역에 분사함으로써 제1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FILM}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것으로 2013년 9월 21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2-208920호에 근거하며 그 우선권을 주장한다.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잉크 제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배향 필름(alignment film)을 포함한다. 잉크 제트 시스템에서는 잉크의 점도를 저감하거나 잉크의 표면장력을 저감함으로써 균일한 두께를 갖는 배향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잉크 제트 시스템에서는 기판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을 저감함으로써 균일한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잉크가 기판 상에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하고 배향 필름이 거친 가장자리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잉크 제트 시스템은 주변 영역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소형 소자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에 마련되는 제1 부(portion)와,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제1 부를 둘러싸는 제2 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2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액적을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제2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제1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타 액적을 제2 부에 의해 둘러싸인 기판의 영역에 분사함으로써 제1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기판과, 기판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을 포함한다. 배향 필름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부와,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제1 부를 둘러싸며 제1 부보다 높게 마련되는 제2 부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향 필름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및 그래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요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요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요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배향 필름의 주연 프레임의 예를 도시하는 도시하는 평면도 및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유닛(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기판 유닛(1)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 유닛(1a), 제2 기판 유닛(1b) 및 이들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20)을 포함한다.
제1 기판 유닛(1a)은 어레이 기판(10a)과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0a)은 예컨대 유리 기판(19), 보호층(17) 및 투명 전극(16)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미도시)가 유리 기판(19)과 보호층(17) 사이에 마련된다. 구동 회로는 예컨대 TFT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며, 투명 전극(16)을 통해 액정층(20)을 구동한다.
제2 기판 유닛(1b)은 컬러 필터(CF) 기판(10b)과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CF 기판(10b)은 예컨대 유리 기판(19), 컬러 필터층(29) 및 투명 전극(16)을 포함한다.
제2 기판 유닛(1b)은 스페이서(18)를 통해 제1 기판 유닛(1a)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액정층(20)은 제1 기판 유닛(1a) 및 제2 기판 유닛(1b)의 배향 필름(12) 사이에 마련된다. 편광 필터(15)가 제1 기판 유닛(1a) 및 제2 기판 유닛(1b) 각각의 배면(배향 필름(12)이 마련되는 표면의 대향측 표면)에 부착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기판 유닛(1)은 제1 기판 유닛(1a)과 제2 기판 유닛(1b) 간의 공통 구조물을 도시한다. 즉, 기판 유닛(1)은 기판(10)과, 기판(10)의 상면(10c)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필름(12)은 액정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부(13)와, 제1 부 둘레에 마련되는 제2 부(14)를 포함한다. 배향 필름(12)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기판(10)의 상면(10c)의 제1 부(13)의 투영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의 두 평행한 변 세트는 예컨대 75 mm와 53 mm의 길이를 가진다. 제1 부(13)의 두께는 83 nm 내지 140 nm, 예컨대 100 nm이다.
제2 부(14)는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b)를 따라 마련되며 제1 부(13)에 접한다. 제2 부의 폭, 즉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13b)와 제2 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54 ㎛ 내지 3 mm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14)는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b)를 따라 마련되는 돌출부(14a)와, 돌출부(14a)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돌출부(14b)를 가진다. 돌출부(14a, 14b)는 제1 부보다 높게 마련되며, 돌출부(14a, 14b)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예컨대 170 nm 내지 200 nm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반해 돌출부(14a)와 돌출부(14b) 사이에 마련되는 오목부(14c)의 높이는 예컨대 15 nm 내지 40 nm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a, 14b)의 높이는 제2 부(14)에 폴리이미드(PI)를 반복 도포함으로써 1.5 ㎛ 내지 4 ㎛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13)에 도포되는 배향 필름(12)의 재료가 제2 부(14) 상으로 외향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배향 필름(12)의 외측 가장자리와 기판 유닛의 주연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기판 유닛(1)의 주연부가 보다 협소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100)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향 필름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단계 S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전극(16)이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에 형성된다. 이어서 기판(10a, 10b)은 2분 동안 초음파를 사용하여 순수(pure water)에서 세정되며, 60초 동안 자외선 조사에 노출된다. 이로써 배향 필름(12)의 재료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의 투명 전극(16)에 대한 접촉각이 예컨대 3도 이하로 작아진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필름(12)이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에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필름(12)은 별도의 두 단계에서 마련된다. 제2 부(14)가 단계 S21에서 마련되어 주연 프레임이 기판에 형성된다. 이어서 제1 부(13)가 주연 프레임 내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필름(12)은 예컨대 잉크 제트(IJ)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잉크 제트 방법에서는, 액적(즉, 잉크)이 IJ 헤드(61)로부터 기판(10)을 향해 분사된다. 각각의 액적은 배향 필름(12)의 재료인 폴리이미드(PI)를 함유한다. 즉, 여기에 사용되는 잉크는 폴리이미드가 분산된 유기 용매로서, 예컨대 3 중량%의 폴리이미드(PI), 67 중량%의 N-메틸-2-피롤리돈(NMP) 및 30 중량%의 부틸-셀로솔브(BC)를 함유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에서는, IJ 헤드(61)가 제2 부(14) 형성 예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고 제2 부의 재료를 함유하는 잉크가 해당 영역에 도포된다. 이때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의 온도는 예컨대 60℃로 유지된다.
이어서 도포된 잉크가 예컨대 230℃ 및 14분의 조건 하에서 경화되어 주연 프레임(제2 부(1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13)의 재료를 함유하는 잉크가 주연 프레임 내부의 영역에 도포된다(단계 S22).
제1 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는 주연 프레임(제2 부(14))용으로 사용되는 잉크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3 중량%의 폴리이미드(PI), 67 중량%의 N-메틸-2-피롤리돈(NMP) 및 30 중량%의 부틸-셀로솔브(BC)를 함유한다.
잉크의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연 프레임 내부의 영역에 잉크를 도포하는 동안에는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이 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예컨대 제1 부(13)에 도포되는 잉크는 실온에서 분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가 도포되는 투명 전극(16)의 표면은 해당 표면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이 3도 이하가 되도록 잉크의 분사 전에 처리된다. 따라서 IJ 헤드(61)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는 도포 표면에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잉크는 주연 프레임 내부에 균일하게 확산되며 경화 처리 후에 마련되는 제1 부(13)는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3의 단계 S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세정과 같은 표면 처리가 배향 필름(12)에 대해 수행된다. 이어서 단계 S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8)가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스페이서(18)는 배향 필름(12)이 마련되는 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0a)은 배향 필름(12)이 각각 마련되는 어레이 기판의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CF 기판(10b) 상부에 배치된다. 어레이 기판(10a) 상부에 CF 기판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은 스페이서(18)를 통해 서로 접합된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 필름(12)이 형성되는 어레이 기판(10a)의 표면과 배향 필름(12)이 형성되는 CF 기판(10b)의 표면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다. 이어서 단계 S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이 밀봉되어 액정층(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필터(15)는 배향 필름(12)이 형성되는 표면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어레이 기판(10a)의 배면과, 배향 필름(12)이 형성되는 표면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CF 기판(10b)의 배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된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100)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f 및 도 7을 참조하여 배향 필름(12)의 제2 부(14)(이하 "주연 프레임")를 형성하기 위한 요건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주연 프레임의 형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d는 주연 프레임을 형성하는 동안의 기판 온도와, 기판의 형성되는 잉크 도트의 직경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직경을 나타내고 수평축은 기판 온도를 나타낸다.
도 6e와 도 6f는 주연 프레임의 개략 단면도이다.
IJ 헤드(61)로부터 분사되는 액적은 예컨대 배향 필름(12)의 재료를 함유하는 잉크 도트(30)를 기판(10)에 형성한다. IJ 헤드(61)를 이동시키면서 액적을 분사함으로써 잉크 도트(30)가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주연 프레임이 기판에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마련되는 잉크 도트(30)는 직선으로 배열된다. 잉크 도트(30)는 각각의 도트(30)의 직경보다 협소한 피치를 갖도록 서로 접하여 서로 중첩된다. 각각의 잉크 도트(30)의 중심과 기판(10)의 외측 가장자리(10d) 사이에는 고정된 거리가 유지된다. 이로써 주연 프레임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그 외측 가장자리의 무질서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b와 도 6c는 온도가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되는 잉크 도트(30)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c는 잉크가 도 6b에 도시된 예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기판에 도포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들 예를 서로 비교하면,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기판(10)을 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감소한다. 예컨대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실온(25℃)에서는 0.35 mm이고, 기판의 온도가 60℃까지 증가할 때는 0.14 mm까지 감소한다.
잉크 도트(30)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주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의 무질서도(Δ) 또한, 기판(10)을 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보다 작게 억제될 수 있다(Δ1>Δ2). 예컨대 잉크 도트(30)의 피치와 직경 간의 비가 일정하다면, 무질서도는 작은 직경을 제공하는 보다 높은 온도 조건을 채택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기판은 유기 용매가 보다 신속하게 증발하도록 하고 잉크의 유동성이 보다 작아지게 한다. 이로써 잉크의 확산이 기판 표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억제된다. 잉크 도트(30)를 배치하는 피치를 협소화함으로써, 기판에 도포되는 잉크는 보다 두꺼워진다. 즉, 직경 대 피치 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무질서도(Δ)가 주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저감될 수 있다.
도 6e와 도 6f는 도 1c의 제2 부(14)의 단면에 대응하는 주연 프레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f에 도시된 예에서는, 잉크를 분사하는 동안의 기판 온도가 도 6e에 도시된 예보다 높다. 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a, 14b)가 주연 프레임의 양편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데, 돌출부는 중앙부보다 위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오목부(14c)를 형성한다. 이는 소위 커피 링(coffee ring) 현상으로서, 양측 단부에서의 잉크의 건조 속도가 중앙부에서의 잉크 건조 속도보다 느릴 때 일어난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의 온도가 보다 높은 경우에는 돌출부(14a, 14b)의 높이(H)는 오목부(14c)의 높이보다 높다. 즉, 주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는 단면에서 양측 가장자리부의 두께는 오목부(14c)의 두께(C)보다 두껍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의 온도가 보다 낮을 때는 가장자리부의 건조 속도와 중앙부의 건조 속도 간의 차가 보다 작다. 그 결과 돌출부(14a 또는 14b)의 높이(H)와 오목부(14c)의 두께(C) 간의 차가 보다 작아진다. 도 6e에 도시된 돌출부(14a, 14b)의 높이는 도 6f에 도시된 것보다 낮다. 즉, 주연 프레임을 형성하는 동안의 기판 온도를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돌출부(14a 또는 14b)의 높이(H)와 오목부(14c)의 두께(C) 간의 차가 보다 커지고, 돌출부(14a, 14b)가 보다 높아진다. 이로써 주연 프레임 내부에 도포되는 잉크가 주연 프레임 너머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온도가 25℃일 때, 돌출부(14a, 14b)의 높이(H)는 40 nm 내지 48 nm이고 오목부(14c)의 두께(C)는 4 nm 내지 9 nm이다. 한편, 기판 온도가 60℃로 설정될 때는 돌출부(14a, 14b)의 높이(H)는 177 nm 내지 200 nm이다. 오목부(14c)의 두께는 15 nm 내지 36 nm이다.
기판 온도 돌출부의 높이 H(nm) 오목부의 두께 C(nm)
25℃ 40~48 4~9
40℃ 48~50 10~23
60℃ 117~200 15~36
또한, 돌출부(14a, 14b)는 잉크가 이미 도포된 주연 프레임의 영역에 잉크를 반복 도포함으로써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돌출부의 높이(H)와 잉크의 도포 횟수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돌출부의 높이(H)를 나타내고 수평축은 잉크의 도포 횟수를 나타낸다. 기판(10)에 형성되는 잉크 도트(30)에 액적을 분사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돌출부의 높이(H)는 증가한다. 예컨대 20 회 이상 잉크를 반복 도포하면 돌출부의 높이는 2 ㎛ 이상이 된다. 30회 이상 잉크를 도포하면 돌출부의 높이는 2.5 ㎛ 이상이 된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배향 필름(12)의 제1 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요건을 설명한다.
도 8은 IJ 헤드(61)로부터 분사되는 액적의 양과 잉크 도트의 직경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직경을 나타내고 수평축은 중량(ng)을 기준으로 한 액적의 양을 나타낸다. 도면의 그래프 30b는 어레이 기판(10a) 상의 잉크 도트의 직경을 나타내고 그래프 30c는 CF 기판(10b) 상의 잉크 도트의 직경을 나타낸다. 그래프 30d는 비교를 위해 유리 기판 상의 잉크 도트의 직경을 나타낸다.
그래프 30b와 그래프 30c는 그래프 30d 밑에 위치하며,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 상의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유리 기판 상의 잉크 도트의 직경보다 작다.
그래프 30b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10a) 상의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액적의 양이 20 ng 내지 50 ng의 범위일 때 400 ㎛ 내지 500 ㎛이다. 어레이 기판(10a)에서, 잉크 도트의 형상은 회로 패턴의 영향으로 인해 타원형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타원의 주축이 잉크 도트의 직경으로 간주된다.
CF 기판(10b)에서,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그래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적의 양이 20 ng 내지 50 ng 범위일 때 250 ㎛ 내지 400 ㎛이다.
예컨대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 상에 250 ㎛ 내지 500 ㎛의 범위로 잉크 도트(30)의 직경을 형성하기 위해 20 ng 내지 50 ng의 액적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어레이 기판(10a)과 CF 기판(10b) 상에 350 ㎛ 내지 450 ㎛의 범위로 잉크 도트(30)의 직경을 형성하기 위해 액적의 양은 37 ng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a는 100 nm의 필름 두께를 갖는 배향 필름(12)을 제조하기 위한 액적 분사 피치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J 헤드(61)는 직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트 노즐을 포함한다. 제1 부(13)를 형성할 때, IJ 헤드(61)는 제트 노즐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스캐닝)하면서 기판을 향해 잉크를 분사한다.
도 9a의 수직축은 액적이 IJ 헤드(61)로부터 분사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스캐닝 피치를 나타내고 수평축은 IJ 헤드(61)의 제트 노즐의 배열 피치를 나타낸다. 도면의 P20, P33 및 P50은 액적의 양을 각각 20 ng, 33 ng 및 50 ng로 설정할 때 제트 노즐의 피치와 스캐닝 피치 간의 관계를 가리킨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피치를 보다 넓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배향 필름(12)의 필름 두께가 소정 값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스캔 피치는 보다 좁아진다. 한편, 노즐 피치를 보다 좁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스캔 피치는 보다 넓어진다. 액적의 양이 보다 큰 경우에는 노즐 피치와 스캔 피치는 둘 다 보다 넓어진다. 액적의 양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노즐 피치와 스캔 피치는 둘 다 좁아진다.
도 9a에 도시된 점 33A는 액적의 양이 33 ng으로 설정되는 경우의 한 가지 요건을 나타낸다. 예컨대 액적의 양이 33 ng으로 설정될 때 CF 기판(10b) 상의 잉크 도트(30)의 직경은 대략 330 ㎛이다(도 8 참조). 도 9a에 도시된 관계에 따르면, 100 nm의 두께를 갖는 배향 필름(12)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 피치와 스캔 피치는 둘 다 0.1 mm로 설정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요건 하에서, 잉크는 노즐의 배열 방향 및 스캐닝 방향으로 잉크 도트의 2/3가 인접 잉크 도트(30)의 2/3와 중첩되도록 도포된다. 이어서 주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배향 필름의 제1 부(13)는 임시 경화(60℃, 2분) 후에 130 nm 내지 140 nm의 두께를 가지며 완전 경화(230℃, 14분) 후에 83 nm 내지 93 nm의 두께를 가진다. 이들 값은 예컨대 60℃의 기판 온도에서 형성되는 주연 프레임의 돌출부(14a, 14b)의 높이(177 nm 내지 200 nm)보다 작다. 즉, 주연 프레임은 주연 프레임 내부 영역에 도포되는 잉크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요건은 일 예이며, IJ 헤드(61)의 노즐 피치와 스캐닝 피치는 도 9a에 도시된 그래프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배향 필름(12)의 확산은 주연 프레임의 돌출부(14a, 14b)의 높이를 주연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배향 필름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즉, 기판의 온도를 6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바람직한 주연 프레임이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연 프레임의 돌출부(14a, 14b)의 높이가 배향 필름(12)(즉, 제1 부(13))의 두께에 비해 불충분할 경우, 돌출부(14a, 14b)는 주연 프레임(12)에 잉크를 반복 도포함으로써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향 필름(12)은 제1 부(13)와, 제1 부(13)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제2 부(14)(주연 프레임)를 포함한다. 제2 부(14)의 외측 가장자리와 기판(10)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높은 정확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부(14)의 외측 가장자리의 무질서도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배향 필름(12)의 외측 가장자리와 기판(10)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이 보다 협소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소형화가 잉크 제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플렉소그래픽 전사 장치(50)가 배향 필름(1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플렉소스래픽 전사 장치(50)는 닥터 블레이드(51), 분배기(52), 아니록스 롤(53), 인쇄 롤(54), 플렉소그래픽 판(55) 및 스테이지(56)를 포함한다. 배향 필름의 재료를 함유하는 잉크가 분배기(52)로부터 닥터 블레이드(51)로 공급된다. 잉크는 닥터 블레이드(51)와 아니록스 롤(53) 사이에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인쇄 롤(54)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렉소그래픽 판(55)에 공급된다. 이어서 플렉소그래픽 판(55)이 기판(10)에 대해 가압되어 플렉소그래픽 판(55)에 형성되는 배향 필름을 전사한다.
플렉소그래픽 전사 장치(50)에서, 플렉소그래픽 판(55)은 상이한 종류의 액정 표시 장치별로 각각 제조된다. 따라서 플렉소그래픽 판의 제조비가 제조 원가에 추가된다. 또한, 플렉소그래픽 판(55), 아니록스 롤(53), 인쇄 롤(54) 및 닥터 블레이드(51)는 정기적으로 세정되고 교체된다. 부품 교체는 생산성을 저하할 수 있다. 세정 및 교체 공정은 분진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필름에 부착되는 분진으로 인해 장치에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반해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액정 표시 장치별로 도포 조건이 변경될 수 있고 잉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조건이 액정 표시 장치의 유형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되어 운영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교체 빈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분진의 생성이 억제되어 제조 실패율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유닛(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유닛(2)은 기판(10)과, 기판(10)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배향 필름(12)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제1 부(13)와, 제1 부(13)를 둘러싸는 제2 부(14)(즉, 주연 프레임)를 포함한다.
제2 부(14)는 복수의 도트(40)를 포함한다. 도트(40)는 예컨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제2 부(14)의 폭, 즉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부(14)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W)은 예컨대 3 mm이다. 대안으로서 도트(40)는 서로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주연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와 그래프이다. 예컨대 기판(10)에 분사되는 액적의 양은 37 ng로 설정되고 기판의 온도는 60℃로 설정된다. 도 12a, 도 12c 및 도 12e는 도트(40)의 피치가 각각 200 ㎛, 150 ㎛, 133 ㎛로 설정되는 예시적인 화상이다. 도 12b, 도 12d, 도 12f는 도트(40)의 돌출부(40a, 40b)의 높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돌출부의 높이를 나타내고 수평축은 기판(10)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액적의 양이 37 ng으로 설정되고 기판의 온도가 60℃로 설정되는 경우, 도트(40)의 직경은 대략 140 ㎛이다. 따라서 배열 피치가 200 ㎛로 설정될 때 도트(4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도트(4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돌출부(40a)의 높이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 ㎛이다. 돌출부(40a) 사이에 마련되는 오목부(40c)는 매우 얇다.
도 12c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트(40)의 직경과 피치가 거의 동일하여 복수의 도트(40)가 서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 도 12d에 도시된 돌출부(40b)의 높이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경우보다 약간 높은 1.3 ㎛이다.
도 12e에 도시된 예에서, 도트(40) 간의 중첩부는 도 12c에 도시된 경우보다 크며, 메시 형태의 오목부(40c)의 직경은 도 12c에 도시된 경우보다 약간 작다.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0b)의 높이는 대략 1.5 ㎛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주연 프레임을 도시하는 다른 평면도로서, 제1 부(13)와 제2 부(14)(주연 프레임) 간의 경계를 보여준다. 도 13a에서 도트(40)의 피치는 200 ㎛이고 도트(40)는 서로 이격된다. 도 13b와 도 13c에서 도트(40)의 배열 피치는 각각 150 ㎛와 133 ㎛이다.
도 13a에서는, 제1 부(13)에 도포되는 잉크가 제1 열의 도트(40) 상으로 확산되고 제2 열의 도트(40)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도 13b와 도 13c에서는 잉크의 확산이 제1 열의 도트(40)에 의해 차단된다. 도 13b와 도 13c를 비교하면, 잉크의 확산 정도는 도 13b에 도시된 예에서 약간 더 크다. 즉, 잉크의 확산은 돌출부(40b)의 높이와 관계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도, 배향 필름의 재료를 함유한 잉크는 주연 프레임의 형성 후에 주연 프레임(제2 부(1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도포된다. 예컨대 잉크가 기판(10)의 표면을 따라 확산되어 주연 프레임과 접촉하게 될 때, 주연 프레임에 함유된 배향 필름의 재료가 용해될 수 있다. 이로써 잉크 내의 배향 필름 재료의 농도가 증가하여, 잉크의 확산이 증가한 점도로 인해 억제된다. 그 결과 잉크가 주연 프레임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14)(주연 프레임)는 도트(4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트(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서로 접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부(13)에 도포되는 잉크의 확산이 억제될 수 있으며,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예
도 14a 내지 도 14d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유닛(3)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a는 기판 유닛(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 내지 도 14d는 도 14a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판 유닛(3)은 기판(10)과, 기판(10)의 상면(10c)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배향 필름(12)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제1 부(13)와, 제1 부(13)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제2 부(14)를 포함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14)는 제1 프레임(21)과 제2 프레임(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프레임(21)은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b)를 따라 마련된다. 제1 프레임(21)은 제1 부(13)에 도포되는 잉크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제1 프레임(21)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은 예컨대 5도 이하이다.
제2 프레임(22)은 제1 프레임(21)의 외측 가장자리(24b)를 따라 마련된다. 제2 프레임(22)은 제1 부(13)에 도포되는 잉크의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제2 프레임(22)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은 예컨대 40도 이상이다.
제2 프레임(22)은 기판(10)의 상면(10c)과 접촉하는 부분과, 제1 프레임(21)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22)의 내측 가장자리(22c)는 제1 프레임(21)의 상부 가까이에 마련되어 제1 프레임(21)과 접촉한다. 제1 부(13)는 기판(10)의 상면(10c)과 접촉하는 부분과, 제1 프레임(21)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13)는 내측 가장자리(22c) 상으로 외향 확산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4c와 도 14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향 필름(12)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1)이 기판(10)에 형성된다. 예컨대 잉크 제트 방법이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재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음으로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2)이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프레임(21)의 외측 가장자리(24b)를 따라 형성된다. 제2 프레임(22)을 형성하는 도포된 잉크는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다음으로,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가 기판(10) 상의 제1 프레임(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도포된다. 위에 언급된 부들을 형성하는 잉크는 도포 후에 소정 온도에서 경화된다. 따라서 기판 유닛(3)은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21)은 제2 부(14)(주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감소시킨다. 즉,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가 제1 프레임(21) 상으로 확산될 수 있어서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에 균일한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측 프레임이 제2 부의 외부에 마련되어, 제 1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주연 프레임의 외부에서 잉크의 범람이 억제될 수 있으며 배향 필름(12)이 외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유닛(4)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유닛(4) 또한, 기판(10)과, 기판(10)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12)을 포함한다. 배향 필름(12)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제1 부(13)와, 제1 부(13)를 둘러싸는 제2 부(14)를 포함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14)는 제3 프레임(23)과 제4 프레임(24)을 포함한다. 제3 프레임(23)은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b)를 따라 마련된다. 제3 프레임(23)은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제3 프레임(23)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은 예컨대 5도 이하이다.
제3 프레임(23)은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13b)와 접촉하는 돌출부(23a)와, 돌출부(23a)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23b)를 가지며, 돌출부(23a)와 돌출부(23b) 사이의 오목부(23c)를 가진다.
제4 프레임(24)은 돌출부(23a)와 돌출부(23b) 사이의 오목부(23c)에 마련된다. 제4 프레임(24)은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제4 프레임(24)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은 예컨대 40도 이상이다. 제4 프레임(24)의 내측 가장자리(24c)는 돌출부(23a)의 상부 가까이에 배치되고 제3 프레임(23)과 접촉한다. 제1 부(13)는 기판(10)의 상면(10c)과 접촉하는 부분과, 제3 프레임(23)과 접촉하는 타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부(13)가 내측 가장자리(24c) 너머로 외향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b와 도 15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레임(23)이 기판(10)에 형성된다. 제3 프레임(23)은 예컨대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감소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0)의 온도를 예컨대 60℃로 설정하는 것은 제3 프레임에 돌출부(23a, 23b)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프레임(24)이 잉크 제트 방법을 사용하여 돌출부(23a)와 돌출부(23b) 사이의 오목부(23c)에 형성된다. 제4 프레임(24)을 형성하는 잉크는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재료를 함유한다.
다음으로, 제1 부(13)가 기판(10) 상의 제3 프레임(23)과 제4 프레임(24)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기판 유닛(4)이 제조된다.
도 16a와 도 16b는 제3 및 제4 실시예의 비교예에 따른 기판 유닛(5, 6)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은 기판 유닛(5)에 포함되는 주연 프레임(제2 부(25))에 대해 작다. 따라서 제1 부(13)가 형성될 영역에 도포되는 잉크는 주연 프레임 너머로 용이하게 외향 확산된다. 그 결과, 배향 필름(12)의 외측 가장자리(13b)를 제어하기가 어렵다.
한편, 도 16b의 예에서는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접촉각이 기판 유닛(6)에 포함되는 주연 프레임(제2 부(26))에 대해 크다. 따라서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확산은 주연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26b)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차단된다. 그 결과 제1 부(13)의 두께는 중앙측으로부터 외측 가장자리(13b)를 향해 얇아지게 된다. 즉, 두께의 균일성이 제1 부(13)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저하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유닛(3, 4)에서는, 주연 프레임 내부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이 제1 부(13)를 형성하는 잉크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며, 제2 프레임과 제4 프레임에 대한 잉크의 접촉각이 크기 때문에 제2 프레임과 제4 프레임에 의해 잉크의 확산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1 부(13)의 필름 두께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배향 필름(12)의 확산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적은 비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이상의 실시예를 설명하긴 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액체 재료를 분사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임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긴 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신규한 실시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시행될 수 있다.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례는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 내에 속하는 이런 형태 또는 변경을 망라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Claims (20)

  1. 기판에 마련되는 제1 부와,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부를 둘러싸는 제2 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액적을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2 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부의 재료를 각각 함유하는 타 액적을 상기 제2 부에 의해 둘러싸인 기판의 영역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의 온도가 상기 제1 부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의 온도보다 높은, 필름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액적과 상기 타 액적은 유기 용매와, 상기 유기 용매에 분산된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상기 제1 부가 직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의 재료는 상기 제2 부가 상기 제1 부보다 두꺼워지도록 상기 제2 부에 반복 도포되는, 필름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의 재료를 함유하는 액적의 상기 투명 전극에 대한 접촉각은 상기 기판에 대한 상기 액적의 접촉각보다 작아지는, 필름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트가 상기 타 액적의 분사 위치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타 액적을 상기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도트들이 상기 제1 부에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트의 중심이 상기 기판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액적의 일부를 분사함으로써 도트들이 상기 제2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트가 상기 액적의 분사 위치들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액적을 상기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도트들이 상기 제2 부에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트가 상기 액적의 분사 위치들 사이의 최소 거리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상기 액적을 상기 기판에 분사함으로써 도트들이 상기 제2 부에 형성되는, 필름 형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제2 부는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상기 타 액적 각각의 접촉각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상기 타 액적 각각의 접촉각보다 큰, 필름 형성 방법.
  13. 기판과,
    상기 기판에 마련되는 배향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배향 필름은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부와,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부보다 높게 마련되는 제2 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상기 제1 부보다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는 서로 접촉하게 마련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부보다 높은, 액정 표시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에 도포되는 잉크의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접촉각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한 상기 잉크의 접촉각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는 상기 제1 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과,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에 도포되는 잉크의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한 접촉각은 상기 제4 프레임에 대한 상기 잉크의 접촉각보다 작은, 액정 표시 장치.
KR20130105224A 2012-09-21 2013-09-03 필름 형성 방법 KR101496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8920 2012-09-21
JP2012208920A JP5726829B2 (ja) 2012-09-21 2012-09-21 成膜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79A true KR20140038879A (ko) 2014-03-31
KR101496031B1 KR101496031B1 (ko) 2015-02-25

Family

ID=5031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224A KR101496031B1 (ko) 2012-09-21 2013-09-03 필름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85580A1 (ko)
JP (1) JP5726829B2 (ko)
KR (1) KR101496031B1 (ko)
CN (1) CN103676325B (ko)
TW (1) TWI534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749A (ja) *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02610B2 (ja) * 2014-09-26 2019-11-06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膜形成基板の製造方法及び塗布装置
KR102463309B1 (ko) * 2016-01-08 2022-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070766A (ja) * 2017-10-11 2019-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9244530A1 (ja)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445B2 (ja) * 2003-06-04 2008-09-2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601386B2 (en) * 2003-07-11 2009-10-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film,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09668B1 (ko) * 2003-10-06 2011-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4179288B2 (ja) * 2005-02-01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膜パターン形成方法
TW200628938A (en) * 2005-02-02 2006-08-16 Quanta Display Inc Substrat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orming an alignment layer
JP2007080603A (ja) * 2005-09-13 2007-03-29 Seiko Epson Corp 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デバイス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8125608B2 (en) * 2006-04-11 2012-02-28 Sharp Kabushiki Kaisha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8033284A (ja) * 2006-07-04 2008-02-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の作製方法
TWI427682B (zh) * 2006-07-04 2014-02-21 Semiconductor Energy Lab 顯示裝置的製造方法
JP4993973B2 (ja) * 2006-09-08 2012-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0981299B1 (ko) 2008-04-18 2010-09-10 한국세라믹기술원 무소성 세라믹스 하이브리드 후막기판의 제조방법
JP5113008B2 (ja) * 2008-09-30 2013-0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デバイスの形成方法
JP5553531B2 (ja) * 2009-06-03 2014-07-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096687B1 (ko) * 2009-07-17 2011-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93332B2 (ja) * 2010-01-12 2014-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4869B1 (ko) 2010-06-23 2012-06-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저항 고전도 탄소나노튜브 투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6829B2 (ja) 2015-06-03
TWI534504B (zh) 2016-05-21
CN103676325A (zh) 2014-03-26
JP2014061498A (ja) 2014-04-10
KR101496031B1 (ko) 2015-02-25
CN103676325B (zh) 2016-08-24
US20140085580A1 (en) 2014-03-27
TW201413345A (zh)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031B1 (ko) 필름 형성 방법
US7262823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6464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561317C (zh) 液晶面板的基板及形成配向膜的方法
TWI566018B (zh) 配向膜印刷版
JP2007182053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04834118B (zh)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5693943B2 (ja) 配向膜形成液の塗布装置および配向膜形成基板の製造方法
JP4702287B2 (ja) 液滴吐出装置、機能膜形成方法、液晶配向膜形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液晶配向膜形成方法
JP5111615B2 (ja) 配向膜材料の滴下方法および滴下装置
WO2013069256A1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塗布方法
JP4370809B2 (ja) 液滴配置装置、液滴配置方法、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4848346B2 (ja) 大気圧プラズマ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8170571A (ja) 描画方法、着色層の形成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2133137A5 (ja) 配向膜形成液の塗布装置および配向膜形成基板の製造方法
KR100642233B1 (ko) 전기 광학 패널의 제조 방법, 전기 광학 패널의 제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전기 광학 패널의 제조 장치, 및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JP2006320839A (ja) 配向膜の液滴吐出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CN110355019B (zh) 利用喷墨头的药液供应方法
US20100255222A1 (en) Display element
KR101255703B1 (ko) 액정패널 제조 방법
JP4539034B2 (ja) 液滴塗布方法、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00059288A (ko) 광배향막 도포방법 및 장치
KR20050040033A (ko) 유기막 형성장치 및 방법
JP2010210769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KR20070119954A (ko) 액정표시장치용 배향막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