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455A -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455A
KR20140038455A KR20137033093A KR20137033093A KR20140038455A KR 20140038455 A KR20140038455 A KR 20140038455A KR 20137033093 A KR20137033093 A KR 20137033093A KR 20137033093 A KR20137033093 A KR 20137033093A KR 20140038455 A KR20140038455 A KR 20140038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ght emitting
cell
fusion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아사노
마사노리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8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03Unit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8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elenium, tellurium or unspecified chalcogen elements
    • C09K11/881Chalcogenides
    • C09K11/883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7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in intimate contact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or integrated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의 두께 불균일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용 셀을 높은 생산 효율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 모재 (21, 24) 사이에 유리제의 융착부 구성 부재 (25) 를 격자상으로 형성한다. 융착부 구성 부재 (25) 와 1 쌍의 유리판 모재 (21, 24) 의 각각을 융착시킴으로써, 격자상의 융착부를 갖는 셀 모재를 제작한다. 격자상의 융착부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의 각각을 따라서 셀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 제작한다. 격자상의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구성하고,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페이스트 (23) 에 의해서 구성한다.

Description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CELL F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자 도트나 형광체 등의 발광 재료를 사용한 발광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이와 같은 발광 디바이스에서는, 통상적으로 발광 재료는 셀 내에 봉입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0-533976호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 강도는, 셀 내에 형성된 발광 재료 봉입용의 내부 공간의 두께와 상관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의 내부 공간이 두꺼워질수록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발광 강도 불균일을 작게 하는 관점에서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내부 공간의 두께 불균일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부 공간의 두께 불균일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용 셀을 높은 생산 효율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과, 1 쌍의 유리판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1 쌍의 유리판의 각각에 융착되어 있는 유리제의 융착부를 구비하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에서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 모재 사이에 유리제의 융착부 구성 부재를 격자상으로 형성한다. 융착부 구성 부재와 1 쌍의 유리판 모재의 각각을 융착시킴으로써, 격자상의 융착부를 갖는 셀 모재를 제작한다. 격자상의 융착부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의 각각을 따라서 셀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 제작한다. 격자상의 융착부 구성 부재의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리본에 의해서 구성하고,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페이스트에 의해서 구성한다.
1 쌍의 유리판 모재의 일방 상에, 유리 리본을 제 1 방향을 따라서 배치함과 함께, 유리 페이스트를 제 2 방향을 따라서 도포함으로써 융착부 구성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상에도 도포해도 된다.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상에는 도포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을 제작한다.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각각에 발광 재료를 주입한다.
발광 재료로서 무기 형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형광체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공간의 두께 불균일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용 셀을 높은 생산 효율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Ⅲ-Ⅲ 에 있어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Ⅵ-Ⅵ 에 있어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실시형태 등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또,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으로서, 도면에 묘화된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실제의 물체 치수의 비율 등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제 1 실시형태)
(발광 디바이스 (1) 의 구성)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Ⅲ-Ⅲ 에 있어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 도 3 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광 디바이스 (1) 는, 여기광이 입사되었을 때 여기광과는 상이한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디바이스이다. 발광 디바이스 (1) 는, 여기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여기광과, 여기광의 조사에 의해서 발생된 광의 혼합광을 출사하는 것이어도 된다.
발광 디바이스 (1) 는 셀 (10) 을 갖는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10) 은 내부 공간 (10a) 을 갖는다. 내부 공간 (10a) 에는 발광 재료 (11) 가 봉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공간 (10a) 내에는 발광체가 분산매 중에 분산된 발광 재료 (11) 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발광 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체로는, 예를 들어 무기 형광체, 유기 형광체 등의 형광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무기 형광체가 바람직하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청색의 가시광 (파장이 440 ㎚ ∼ 480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Sr5(PO4)3Cl : Eu2 , (Sr,Ba)MgAl10O17 : 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녹색의 가시광 (파장이 500 ㎚ ∼ 540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SrAl2O4 : Eu2 , SrGa2S4 : 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녹색의 가시광 (파장이 500 ㎚ ∼ 540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SrAl2O4 : Eu2 , SrGa2S4 : 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황색의 가시광 (파장이 540 ㎚ ∼ 595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ZnS : Eu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황색의 가시광 (파장이 540 ㎚ ∼ 595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Y3(Al,Gd)5O12 : Ce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적색의 가시광 (파장이 600 ㎚ ∼ 700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Gd3Ga4O12 : Cr3 , CaGa2S4 : Mn2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적색의 가시광 (파장이 600 ㎚ ∼ 700 ㎚ 인 형광) 을 발하는 무기 형광체의 구체예로는, Mg2TiO4 : Mn4 , K2SiF6 : Mn4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형광체는 입자경이 5 ㎛ ∼ 50 ㎛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무기 형광체는 양자 도트여도 된다. 양자 도트는 여기광이 입사되었을 때, 여기광과는 상이한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다. 양자 도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양자 도트의 입자경에 따라서 상이하다. 즉, 양자 도트의 입자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의 파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자 도트의 입자경은 얻고자 하는 광의 파장에 따른 입자경으로 되어 있다. 양자 도트는 일반적으로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서 열화가 발생되기 쉽다.
양자 도트는, 예를 들어 입자경이 2 ㎚ ∼ 10 ㎚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청색의 가시광 (파장이 440 ㎚ ∼ 480 ㎚ 인 형광) 을 발하는 양자 도트의 구체예로는, 입자경이 2.0 ㎚ ∼ 3.0 ㎚ 정도인 CdSe 의 미세 결정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이나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녹색의 가시광 (파장이 500 ㎚ ∼ 540 ㎚ 인 형광) 을 발하는 양자 도트의 구체예로는, 입자경이 3.0 ㎚ ∼ 3.3 ㎚ 정도인 CdSe 의 미세 결정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이나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황색의 가시광 (파장이 540 ㎚ ∼ 595 ㎚ 인 형광) 을 발하는 양자 도트의 구체예로는, 입자경이 3.3 ㎚ ∼ 4.5 ㎚ 정도인 CdSe 의 미세 결정 등을 들 수 있다. 파장 300 ∼ 440 ㎚ 의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이나 파장 440 ∼ 480 ㎚ 의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면 적색의 가시광 (파장이 600 ㎚ ∼ 700 ㎚ 인 형광) 을 발하는 양자 도트의 구체예로는, 입자경이 4.5 ㎚ ∼ 10 ㎚ 정도인 CdSe 의 미세 결정 등을 들 수 있다.
내부 공간 (10a) 내에는, 여기광의 파장역이나 발광시키고자 하는 색에 맞추어 1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발광체가 봉입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을 조사하여 연색성 (演色性) 이 우수한 백색광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외 ∼ 근자외의 여기광의 조사에 의해서, 청색, 녹색 및 적색의 가시광 (형광) 을 발하는 발광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청색의 여기광을 조사하여 연색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색의 여기광의 조사에 의해서, 녹색 및 적색의 가시광 (형광) 을 발하는 발광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분산매는 발광체를 바람직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인 한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산매는 액체이어도 되고 수지나 유리 등이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10) 은 1 쌍의 유리판 (12, 13) 을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유리판 (12, 13) 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유리판 (12) 과 유리판 (13) 은 평행이다. 또한, 유리판 (12, 13) 의 양방이 내부 공간 (10a) 에 봉입된 발광 재료 (11) 에 함유되는 발광체의 여기광 및 발광을 반드시 투과시키는 것일 필요는 없으나, 유리판 (12, 13) 의 적어도 일방은 발광체의 발광을 투과시키는 것이고, 또, 유리판 (12, 13) 의 적어도 일방은 발광체의 여기광을 투과시키는 것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 (12) 이 여기광을 투과시키는 것이고, 유리판 (13) 이 발광을 투과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유리판 (12, 13) 은 내후성이 우수하고, 또한 양자 도트나 분산매와 잘 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판 (12, 13) 은, 예를 들어 규산염계 유리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 (12, 13) 은 결정화 유리판이어도 된다.
유리판 (12, 13)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5 ∼ 2.0 ㎜ 정도로 할 수 있다.
유리판 (12, 13) 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유리제의 융착부 (14)(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융착부 (14) 는 유리판 (12, 13) 의 각각에 융착되어 있다. 이들 융착부 (14) 및 유리판 (12, 13) 에 의해서, 발광 재료 (11) 를 봉입하기 위한 내부 공간 (10a)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 재료 (11) 는 셀 (10) 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 (10a) 으로 연통되어 있는 연통공 (10b) 을 경유하여 내부 공간 (10a) 내에 봉입된다. 연통공 (10b) 은 봉지재 (15) 에 의해서 봉지되어 있다.
(발광 디바이스 (1) 의 제조 방법)
도 4, 도 5 및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Ⅵ-Ⅵ 에 있어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주로 도 4 ∼ 도 7 을 참조하면서, 발광 디바이스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2 장의 유리판 모재 (21, 24)(예를 들어 도 6 을 참조) 를 준비한다. 이 유리판 모재 (21, 24) 는 복수의 유리판 (12, 13) 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 모재 (21) 상에 유리 리본 (22) 을 배치함과 함께, 유리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유리 페이스트층 (23) 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유리 리본 (22) 을, y 방향과 수직인 x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이것과 함께,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유리 페이스트층 (23) 을, 유리 페이스트층 (23) 과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공간이 포위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22) 상에는 도포하지 않고, 유리 페이스트층 (23) 을 유리 리본 (22) 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한다. 또, 유리 페이스트층 (23) 의 x1 측 단부와 유리 리본 (22) 사이에, 연통공 (10b) 을 구성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유리 리본은, 규산염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무 알칼리 유리, 결정화 유리 등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리판 (12, 13) 과 상이한 종류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나, 유리판 (12, 13) 과 동종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리판 (12, 13) 과 유리 리본의 열팽창률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셀 (10) 에 열이 가해졌을 때의 셀 (10)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유리 페이스트층 (23) 의 형성에 사용되는 유리 페이스트는, 유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인 한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 페이스트는, 주석-인산계 유리나 비스무트계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분말을 함유한다. 또한, 유리 분말에는 광 흡수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또, 유리 분말에 더하여, 용제나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분말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유리 분말에 더하여, 용제나 세라믹 분말 등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 모재 (21) 상에, 유리 리본 (22) 및 유리 페이스트층 (23) 을 개재하여 유리판 모재 (24) 를 배치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 모재 (21, 24) 사이에, 유리 리본 (22) 및 유리 페이스트층 (23) 에 의해서 구성된 격자상의 융착부 구성 부재 (25) 를 배치한다. 격자상의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은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은 유리 페이스트에 의해서 형성된 유리 페이스트층 (23)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리판 모재 (21, 24) 의 각각과,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적어도 일방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거나 하여 가열함으로써, 유리판 모재 (21, 24) 의 각각과 융착부 구성 부재 (25) 를 융착시킨다. 이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상의 융착부 (26) 와, 유리판 모재 (21, 24)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 (10a) 을 복수 갖는 셀 모재 (30) 를 제작한다.
또한, 융착부 구성 부재 (25) 중에서,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전체를 유리판 모재 (21, 24) 와 융착시켜도 되고, 일부만을 유리판 모재 (21, 24) 와 융착시켜도 된다. 융착부 구성 부재 (25) 중에서,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부만을 유리판 모재 (21, 24) 와 융착시킨 경우, 유리 리본 (22) 의 융착되지 않았던 부분이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내부 공간 (10a) 의 두께를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융착부 (26) 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인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을 따르고 있고, 또한, 셀 모재 (30) 의 융착부 (26) 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는 커팅 라인 L1, L2 를 따라서 셀 모재 (30) 를 절단한다. 이로써,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셀 (10) 을 복수 제작한다. 또한, 이 셀 모재 (30) 의 절단은,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커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고, 다이싱에 의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실시형태의 셀 모재 (30) 의 절단은 다이싱에 의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복수 제작한 셀 (10) 의 각각의 내부 공간 (10a) 에 발광 재료 (11) 를 주입하고, 봉지재 (15) 에 의해서 봉지함으로써 발광 재료 (11) 의 봉입을 실시한다. 발광 재료 (11) 의 주입은, 예를 들어 2 개 있는 연통공 (10b) 중, 1 개를 봉지재 (15) 에 의해서 봉지하고, 그 후, 내부 공간 (10a) 을 감압 분위기로 한 상태에서, 발광 재료 (11) 가 분산된 액체를 내부 공간 (10a) 에 공급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용의 셀 (10) 의 제작을 병행 (竝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발광 디바이스 (1) 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시에는,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유리 리본을 y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함과 함께,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유리 리본을 x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하고, 유리 리본에 의해서만 융착부 구성 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유리 리본과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유리 리본이 중첩된 부분이,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유리 리본 또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유리 리본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보다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내부 공간 (10a) 의 두께 불균일이 발생되거나, 유리판 모재 (21, 24) 가 변형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리본 (22) 에 의해서 구성하고,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은 유리 페이스트에 의해서 구성한다. 이 때문에,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두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 (10a) 의 두께 불균일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되는 발광 디바이스 (1) 의 발광 강도의 면내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발광 강도 불균일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를 높은 생산 효율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내부 공간 (10a) 의 두께 불균일을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22) 상에는 도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22) 상에 도포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유리 페이스트층 (23) 이면 유동성이 높아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두께 불균일이 작은 융착부 구성 부재 (25)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유리 페이스트를 유리 리본 (22) 상에도 도포한 경우여도, 내부 공간 (10a) 의 두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공통된 기능을 갖는 부재를 공통의 부호로 참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 (22) 을, xy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2 개의 유리 리본 (22a, 22b) 에 의해서 구성한다. 또, 유리 페이스트층 (23) 을, yx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형성된 2 개의 유리 페이스트층 (23a, 23b) 에 의해서 구성한다. 이 때문에,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중앙부에는 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융착부 구성 부재 (25) 의 유리가 존재하지 않는 중앙부를 통과하는 커팅 라인 L1, L2 를 따라서 셀 모재 (30) 를 절단한다. 이 때문에, 셀 모재 (30) 의 절단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셀 (10), 나아가서는 발광 디바이스 (1) 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셀 모재 (30) 의 절단은 다이싱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 발광 디바이스
10 : 셀
10a : 내부 공간
10b : 연통공
11 : 발광 재료
12, 13 : 유리판
14 : 융착부
15 : 봉지재
21, 24 : 유리판 모재
22, 22a, 22b : 유리 리본
23, 23a, 23b : 유리 페이스트층
25 : 융착부 구성 부재
26 : 융착부
30 : 셀 모재
L1, L2 : 커팅 라인

Claims (7)

  1.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과, 상기 1 쌍의 유리판의 둘레 가장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유리판의 각각에 융착되어 있는 유리제의 융착부를 구비하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으로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유리판 모재 사이에 유리제의 융착부 구성 부재를 격자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융착부 구성 부재와 상기 1 쌍의 유리판 모재의 각각을 융착시킴으로써, 격자상의 융착부를 갖는 셀 모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격자상의 융착부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의 각각을 따라서 상기 셀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 제작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격자상의 융착부 구성 부재의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리본에 의해서 구성하고, 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유리 페이스트에 의해서 구성하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유리판 모재의 일방 상에, 상기 유리 리본을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배치함과 함께, 상기 유리 페이스트를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서 도포함으로써 상기 융착부 구성 부재를 형성하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페이스트를 상기 유리 리본 상에도 도포하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페이스트를 상기 유리 리본 상에는 도포하지 않는,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각각에 발광 재료를 주입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재료로서 무기 형광체를 사용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형광체로서, 양자 도트를 사용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137033093A 2011-07-01 2012-05-24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20140038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7329 2011-07-01
JP2011147329A JP5724685B2 (ja) 2011-07-01 2011-07-01 発光デバイス用セルの製造方法及び発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PCT/JP2012/063318 WO2013005493A1 (ja) 2011-07-01 2012-05-24 発光デバイス用セルの製造方法及び発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55A true KR20140038455A (ko) 2014-03-28

Family

ID=4743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33093A KR20140038455A (ko) 2011-07-01 2012-05-24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3367B2 (ko)
JP (1) JP5724685B2 (ko)
KR (1) KR20140038455A (ko)
TW (1) TW201304213A (ko)
WO (1) WO2013005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4684B2 (ja) * 2011-07-01 2015-05-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発光デバイス用セル及び発光デバイス
EP3033552B1 (en) * 2013-08-16 2023-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making optical components and products including same
JP6237355B2 (ja) * 2014-03-07 2017-11-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セル、機能デバイス及び機能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221914B2 (ja) * 2014-04-11 2017-11-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発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714591B2 (ja) * 2015-06-29 2020-06-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11732C (zh) 2003-06-18 2009-07-08 丰田合成株式会社 发光器件
JP4238681B2 (ja) * 2003-09-17 2009-03-18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8041626A (ja) * 2006-08-10 2008-02-21 Mimaki Denshi Buhin Kk 色変換板
JP2008108835A (ja) * 2006-10-24 2008-05-0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11922A1 (en) 2007-07-18 2009-01-22 Qd Vision, Inc. Quantum dot-based light sheets useful for solid-state lighting
TW201002126A (en) * 2007-12-21 2010-01-01 Du Pont Encapsulation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8568184B2 (en) * 2009-07-15 2013-10-29 Apple Inc. Display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2387A1 (en) 2014-06-12
WO2013005493A1 (ja) 2013-01-10
US8993367B2 (en) 2015-03-31
TW201304213A (zh) 2013-01-16
JP5724685B2 (ja) 2015-05-27
JP2013016311A (ja)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106B1 (ko) 발광 디바이스, 발광 디바이스용 셀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5635832B2 (ja) 半導体発光装置
JP5724684B2 (ja) 発光デバイス用セル及び発光デバイス
KR101808362B1 (ko) 형광체 봉입용 모세관의 제조 방법, 형광체 봉입용 모세관, 파장 변환 부재 및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40038455A (ko) 발광 디바이스용 셀의 제조 방법 및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WO2015174127A1 (ja) 発光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62017B1 (ko)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
WO2015190242A1 (ja) 発光デバイス
TW201624775A (zh) 用於發光二極體之顏色轉換基板及其製造方法
US20170040507A1 (en) Substrate For Changing Color Of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2186436A (ja) 蛍光体封入用毛細管の製造方法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JP5701635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WO2015194297A1 (ja) 発光デバイス、波長変換部材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KR101004845B1 (ko) 형광체 소자, 이를 이용한 led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9035886A (ja) 波長変換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波長変換部材の母材、並びに発光デバイス
JPWO2013035485A1 (ja) 発光デバイス用セル、発光デバイス及び発光デバイス用セ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