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705A -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705A
KR20140037705A KR1020120104192A KR20120104192A KR20140037705A KR 20140037705 A KR20140037705 A KR 20140037705A KR 1020120104192 A KR1020120104192 A KR 1020120104192A KR 20120104192 A KR20120104192 A KR 20120104192A KR 20140037705 A KR20140037705 A KR 2014003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vehicle
button
door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705A/ko
Priority to US13/711,240 priority patent/US20140077931A1/en
Priority to JP2012272682A priority patent/JP2014061866A/ja
Priority to DE102012224467.0A priority patent/DE102012224467A1/de
Priority to CN201310030330.0A priority patent/CN103679868A/zh
Publication of KR2014003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00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 G05B1/01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elec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 제어 거리를 제어대상 별로 구분하여 작동하기 위해 송신 무선신호를 가변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구비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를 통하여 차량의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 시간에 따라 설정된 출력으로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개폐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r remote control ke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control of transmitting remote signal}
본 발명은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거리를 제어대상 별로 구분하여 작동하기 위해 송신 무선신호를 가변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서 자동차의 도어를 록킹(locking; 잠금) 하거나 언록킹 (unlocking; 잠금해제)할 수 있는 도어 원격 제어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도어 원격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소유하여 가지고 다니는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와, 상기 리모컨 키로부터 도어 잠금 및 도어 잠금해제 등의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도어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리모컨 키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떨어져 있는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도어 제어 모듈은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초단파(UHF) 대역의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도어 원격 제어 장치는 도어의 제어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운전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난방지(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PEPS) 및 무선 시동(스마트 시동 인증-이모빌라이저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키 무선 제어 장치(또는 "스마트키 시스템"이라 함)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해 장파(Low Frequency: LF)를 사용하고, 차량 제어를 위해 극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 대역의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스마트키 시스템과 관련한 공지 기술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1807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어 원격 제어 장치는 도어의 원격 제어뿐만 아니라 윈도우 및 선루프까지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upgrade) 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다기능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도어 원격 제어장치와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붙인 명칭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도어의 원격 제어뿐만 아니라 윈도우 및 선루프 그리고 상기 도어, 윈도우 및 선루프에 상당하는 다른 추가제어대상(예; 트렁크, 시동모터 등)까지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 호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량 원격 제어용 리모컨 키는 스마트 키, 포브(FOB) 키 및 원격시동 키 등으로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다. 결국, 본 명세서에서 차량 리모컨 키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스마트 키, 포브 키 및 원격시동 키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으로 윈도우 또는 선루프를 개폐 제어할 때, 세이프티(safety; 안전) 보증을 위해 작동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다. 즉, 시야가 확보된 개방 공간에서는 최대 10 미터 이내에서, 그리고 차량과 시야가 차폐된 곳에서는 최대 7미터 이내에서만 원도우 및 선루프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세이프티를 위해 윈도우 및 선루프가 원격으로 제어되지 않게 하는 것이 법으로 규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도어 원격 제어장치는 최소 30 미터까지 장거리 원격 제어를 필요로 하고 있어, 세이프티 법 규제가 적용되는 윈도우 및 선루프까지 원격 제어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원격제어용 리모컨 키에 마련된 도어 잠금 버튼을 제1 설정시간(예; 2초 미만) 누르면, 도어 잠금이 되고, 도어 잠금 버튼을 제2 설정시간(예; 2초 이상) 누르면, 윈도우 및/또는 선루프가 닫히게 되고; 도어 잠금해제 버튼을 제3 설정시간(예; 2초 미만) 누르면, 도어 잠금해제가 되고, 도어 잠금해제 버튼을 제4 설정시간(예; 2초 이상) 누르면, 윈도우 및/또는 선루프가 열리는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도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거리(예; 최소 30m)에서 도어 잠금 버튼 또는 도어 잠금해제 버튼을 설정시간(예; 2초) 이상 누를 때 윈도우 및 선루프가 동작하게 되어 법 규제를 위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원격 제어 거리를 세이프티 법 규제가 적용되는 원도우 및 선루프의 제어 거리로 단축하여 맞추든가, 아니면 장치 내부적으로 도어를 원격 제어하는 모듈과, 윈도우 및 선루프를 원격 제어하는 모듈을 별개로 구성해야 하는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조작 모드에 따라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최소 제어 거리(장거리)(예; 최소 30m)까지 송신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안전 법규 대상인 윈도우 및 선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최대 제어 거리(단거리)(예; 최대 7-10m) 이내 까지만 송신될 수 있게 각각 가변 제어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법 규제를 비용 경제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구비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를 통하여 차량의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 시간에 따라 설정된 출력으로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개폐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이 마련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더하여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operation)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도어의 개폐 중 상기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도어 동작에 관련한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설정된 고출력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된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추가제어대상에 관하여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상기 설정된 고출력보다 낮은 설정된 저출력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고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설정된 장거리까지 송신되는 크기의 출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저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설정된 장거리보다 짧게 설정된 단거리까지 송신되는 출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장거리는 상기 설정된 단거리 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는,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닫힘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이고,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열림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제어대상은 상기 차량의 선루프, 윈도우, 롤 블라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용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은, 차량 원격 제어 방법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 지정된 출력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잠금 버튼과 잠금해제 버튼의 동작을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키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키 컨트롤러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이 마련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을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더하여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 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도어의 개폐에 관한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위하여 도어 록/언록(lock/unlock)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개폐에 관한 경우 해당되는 추가제어대상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 지정된 출력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잠금 버튼과 잠금해제 버튼의 동작을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 및 상기 리모컨 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차량의 추가제어대상을 개폐 작동하기 위한 작동기(actuator); 및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동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원격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키 컨트롤러 및 차량 컨트롤러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잠금 버튼의 조작 시간 및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 시간을 체크하여 계산하는 조작시간 체크부; 상기 조작시간 체크부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미만이면, 무선신호 출력을 설정된 장거리까지 송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상기 조작시간 체크부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무선신호 출력을 상기 설정된 장거리 보다 짧게 설정된 단거리까지 송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및 상기 리모컨 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또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출력 크기를 가변하는 무선신호 출력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및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한 무선신호 만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 키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구동하는 제어대상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모드에 따라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최소 제어 거리(장거리)(예; 최소 30m)까지 송신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안전 법규 대상인 윈도우 및 선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최대 제어 거리(단거리)(예; 최대 7-10m) 이내 까지만 송신될 수 있게 각각 가변 제어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법 규제를 비용 경제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 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 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원격제어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 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 키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원격제어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운전자)가 소지하는 리모컨 키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컨 키와 무선통신하여 원격 제어대상(도어, 윈도우, 선루프 등)을 구동 제어하는 원격제어 컨트롤러 또는 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리모컨 키(10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량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 조작 스위치(112)와, 차량 도어를 언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를 포함한다. 도어 잠금 조작 스위치(112)와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는 리모컨 키(100)의 외관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버튼으로 표시된다.
도 2에서 스위치 버튼(116)은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버튼이고, 스위치 버튼(118)은 경음기(hor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버튼이다.
상기에서 도어 잠금 조작 스위치(112)와 도어 잠금해제 조작 스위치(114)가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것으로 표현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도어 잠금 모터(312) 및 도어 잠금해제 모터(314)를 동작시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대상인 도어, 윈도우, 선루프를 언급할 때, 이러한 표현은 이들을 실질적으로 동작시키는 모터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대상을 도어, 윈도우 및 선루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어, 윈도우, 선루프 이외의 것이라도 세이프티 법 규제에 따라 원격 제어 거리를 달리하는 것들이고, 리모컨 키와 원격제어 모듈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 조작 스위치(112)와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리모컨 키(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 키(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 도어 잠금 버튼 스위치(112)의 조작 시간 및 도어 잠금해제 버튼 스위치(114)의 조작 시간을 체크하여 계산하는 스위치 조작시간 체크부(120); 스위치 조작시간 체크부(120)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미만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무선신호 출력을 설정된 최소 장거리(예; 최소 30m)까지 수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 및 스위치 조작시간 체크부(120)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무선신호 출력을 설정된 최대 단거리(예; 최대 7~10m) 이내에서만 수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 또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출력 크기를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가변하는 무선신호 출력조정부(170);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0) 및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한 무선신호 만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선택부(150)로서 논리곱 게이트(152)(154)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무선신호 선택부(150); 및 무선신호 선택부(150)를 경유한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160);를 포함한다.
무선신호 출력 조정부(170)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가변저항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변저항 또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30)가 이를 감지하여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출력을, 예를 들어 7m 또는 10m로 가변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원격제어 모듈(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 키(10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210)와; 무선신호 수신부(210)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제어 모듈 마이크로프로세서(220); 원격제어 모듈 마이크로프로세서(220)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구동하는 제어대상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키(100) 및 원격제어 모듈(20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컨 키(100) 및 원격제어 모듈(200)은, 각각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의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은, 차량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 스위치(112)와 차량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가 마련된 리모컨 키(100)를 사용해서, 차량 도어 뿐만 아니라 윈도우 및 선루프를 포함하는 추가제어대상들까지 법 규제를 만족시키면서 원격 제어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원격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 키(100)의 스위치 조작 시간 체크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 잠금 조작 스위치(112) 또는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를 조작할 때, 그 조작 시간을 체크하여 계산한다(S110).
상기 스위치 조작 시간의 체크 및 계산은, 푸쉬 버튼 스위치 또는 택트(tact) 스위치로 구성되는 조작 스위치(112)(114)의 온 타임(ON time)을 읽음으로써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의 온 타임을 계산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110 단계에서 해당 스위치(112)(114)의 조작 시간이 계산되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상기 계산된 조작 시간이 설정 시간(예; 2초) 미만인지 또는 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상기 해당 스위치(112)(114)의 조작 시간이 2초 미만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를 제어하여,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로 하여금 상기 해당 스위치의 조작과 관련한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최소한으로 설정된 장거리(예; 최소 30m)까지 송신되는 크기의 출력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한다(S142)(S144).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4)에서 출력된 무선신호는 무선신호 선택부(150)의 논리곱(154)에 의해 선택되어 무선신호 송신부(16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를 2초 미만으로 누르면, 이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해제 만을 원하는 것이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즉, 리모컨 키와 대응관계에 있는 차량)이 리모컨 키(100)를 중심으로 최소 반경 30m 이내 영역에 있으면, 원격제어 모듈(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무선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이를 인식하여 제어대상 구동부(230)로 하여금 도어 잠금해제 모터(314)를 동작시켜 도어를 언록킹 상태로 한다.
사용자가 도어 잠금 스위치(112)를 2초 미만으로 누를 때에도 도어를 록킹하는 과정이 비슷하게 수행된다.
상기 해당 스위치(112)(114)의 조작은 스위치 버튼을 누르는 즉시 조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발적으로 잠시 눌려지는 것을 구별하기 위하여, 다소의 시간(예를 들어 0.7초 정도) 이상 눌려지는 경우에 스위치가 조작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어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거리의 예를 최소 30m로 했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다른 거리, 예를 들면 차량 원격 제어의 설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도어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거리를 최대 30m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당 스위치(112)(114)의 조작 시간이 2초 이상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를 제어하여,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로 하여금 상기 해당 스위치의 조작 시간과 관련한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설정된 단거리(예; 최대 7-10m)까지 송신되는 크기의 출력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한다(S132)(S134).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142)에서 출력된 무선신호는 무선신호 선택부(150)의 논리곱(152)에 의해 선택되어 무선신호 송신부(16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 잠금 스위치(112)를 2초 이상으로 누르면, 이는 사용자가 2초 미만 조작 시간에 의해 도어를 록킹한 이후에, 윈도우 및/또는 선루프까지 닫기(close)를 원하는 것이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차량(즉, 리모컨 키와 대응관계에 있는 차량)이 리모컨 키(100)를 중심으로 최대 반경 7-10m 이내에 있으면, 원격제어 모듈(2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무선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이를 인식하여 제어대상 구동부(230)로 하여금 윈도우 모터(320) 및/또는 선루프(332) 및/또는 기타 다른 제어대상으로서 블라인드 모터(334)를 동작시켜 윈도우, 선루프 및 롤 블라인드를 닫도록 한다.
사용자가 도어 잠금해제 스위치(114)를 2초 이상으로 누를 때에는 윈도우, 선루프, 롤 블라인드를 여는 과정이 비슷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 방법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 키(100)에서 수행되는 방법(S100)과 원격제어 모듈(200)에서 수행되는 방법(S200)으로 이루어진다.
원격제어 모듈(200)에서 수행되는 방법(S200)은 다음과 같다.
리모컨 키(100)에서 수행되는 방법(S100)에 의해 해당 무선신호가 송신되어 원격제어 모듈(200)의 무선신호 수신부(210)에 수신되면, 무선신호 수신부(2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가 어떤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신호인지를 확인한다(S210).
상기 고유식별코드와 이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가 어떤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신호인지를 확인하는 기술은, 종래기술의 도어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가능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도어 잠금 모터(312) 또는 도어 잠금해제 모터(314)를 제어하는 신호(즉, 장거리용 무선신호)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제어대상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제어대상 구동부(230)로 하여금 도어 잠금 모터(312) 또는 도어 잠금해제 모터(314)를 구동하여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한다(S220, S240).
한편,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확인한 결과,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윈도우 모터(320), 선루프 모터(332) 및/또는 롤 블라인드 모터(334)를 제어하는 신호(즉, 단거리용 무선신호)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제어대상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제어대상 구동부(230)로 하여금 윈도우 모터(320), 선루프 모터(332) 및/또는 롤 블라인드 모터(334)를 구동하여 윈도우, 선루프 및/또는 롤 블라인드를 개폐하도록 한다(S220, S23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신호의 출력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최소 제어 거리(장거리)(예; 최소 30m)까지 송신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안전 법규 대상인 윈도우 및 선루프의 개폐 제어가 가능한 최대 제어 거리(단거리)(예; 최대 7-10m) 이내 까지만 송신될 수 있게 각각 가변 제어함으로써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법 규제를 비용 경제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리모컨 키 120: 스위치 조작시간 체크부
142: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150: 무선신호 선택부
170: 무선신호 출력조정부 200: 원격제어 모듈
210: 무선신호 수신부 312: 도어 잠금 모터

Claims (17)

  1.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구비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를 통하여 차량의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능버튼의 조작 시간에 따라 설정된 출력으로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개폐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2.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이 마련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더하여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operation)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도어의 개폐 중 상기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도어 동작에 관련한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설정된 고출력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조작된 잠금 버튼 또는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추가제어대상에 관하여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상기 설정된 고출력보다 낮은 설정된 저출력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설정된 고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설정된 장거리까지 송신되는 크기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설정된 저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설정된 장거리보다 짧게 설정된 단거리까지 송신되는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설정된 장거리는 상기 설정된 단거리 보다 적어도 2배 이상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6. 제2항에서,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는,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닫힘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이고,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열림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7. 제2항에서,
    상기 추가제어대상은 상기 차량의 선루프, 윈도우, 롤 블라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8. 제2항에서,
    상기 추가제어대상은 상기 차량의 선루프, 윈도우, 롤 블라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고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설정된 장거리까지 송신되는 크기의 출력이고, 상기 설정된 저출력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설정된 장거리보다 짧게 설정된 단거리까지 송신되는 출력이며,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버튼인 경우,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는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닫힘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이고,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인 경우,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는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열림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9.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
    지정된 출력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잠금 버튼과 잠금해제 버튼의 동작을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키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키 컨트롤러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용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
  10.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이 마련된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을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더하여 추가제어대상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 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도어의 개폐에 관한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위하여 도어 록/언록(lock/unlock)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개폐에 관한 경우 해당되는 추가제어대상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추가제어대상은 상기 차량의 선루프, 윈도우, 롤 블라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고유식별코드는,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닫힘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이고,
    상기 조작된 버튼이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인 경우, 상기 추가제어대상의 열림 동작에 관한 식별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13.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록킹하기 위한 잠금 버튼과 상기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언록킹하기 위한 잠금해제 버튼; 지정된 출력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잠금 버튼과 잠금해제 버튼의 동작을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는 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리모컨 키(remote control key);
    상기 리모컨 키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차량의 추가제어대상을 개폐 작동하기 위한 작동기(actuator); 및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초로 상기 작동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원격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키 컨트롤러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차량 컨트롤러는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원격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잠금 버튼의 조작 시간 및 잠금해제 버튼의 조작 시간을 체크하여 계산하는 조작시간 체크부;
    상기 조작시간 체크부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미만이면, 무선신호 출력을 설정된 장거리까지 송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상기 조작시간 체크부에 의해 계산된 조작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무선신호 출력을 상기 설정된 장거리 보다 짧게 설정된 단거리까지 송신가능하도록 무선신호의 출력을 설정하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및
    상기 리모컨 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5. 제13항에서,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또는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출력 크기를 가변하는 무선신호 출력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6. 제13항에서
    상기 리모컨 키는,
    상기 장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 및 단거리용 무선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한 무선신호 만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7. 제13항에서
    상기 차량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컨 키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구동하는 제어대상 구동부;
    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20104192A 2012-09-19 2012-09-19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7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92A KR20140037705A (ko) 2012-09-19 2012-09-19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3/711,240 US20140077931A1 (en) 2012-09-19 2012-12-11 Vehicle remote control key, and apparatus and method of variably controlling output of transmission radio signal
JP2012272682A JP2014061866A (ja) 2012-09-19 2012-12-13 送信無線信号の出力を可変制御する車両リモコンキーと、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12224467.0A DE102012224467A1 (de) 2012-09-19 2012-12-27 Fahrzeug-funkschlüssel, 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änderlichen steuern einer ausgabe eines funk-übertragungssignals
CN201310030330.0A CN103679868A (zh) 2012-09-19 2013-01-25 车辆遥控钥匙以及控制传送无线电信号输出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92A KR20140037705A (ko) 2012-09-19 2012-09-19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05A true KR20140037705A (ko) 2014-03-27

Family

ID=5018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92A KR20140037705A (ko) 2012-09-19 2012-09-19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77931A1 (ko)
JP (1) JP2014061866A (ko)
KR (1) KR20140037705A (ko)
CN (1) CN103679868A (ko)
DE (1) DE1020122244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156A (ko) 2014-08-25 2016-03-0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용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0916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썬루프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29731S (ko) * 2014-03-12 2016-08-01
CN106023349A (zh) * 2015-03-30 2016-10-12 福特全球技术公司 密钥卡传输补偿
DE202015105634U1 (de) * 2015-10-23 2017-01-25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ffen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DE102016224750A1 (de) * 2016-12-12 2018-06-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ordnung zum Betreiben einer oder mehrerer am Fahrzeug angebrachter Scheiben
EP3562172B1 (en) 2016-12-20 2022-05-04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Vehicle entry system and onboard device
US20180298670A1 (en) * 2017-04-13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nds-free closure initializer
DE102017115816A1 (de) * 2017-07-13 2019-01-17 Witte Automotive Gmbh System mit Tür, Türschloss und Funkschlüssel
US10173585B1 (en) 2018-04-27 2019-0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opening inhibitor into oncoming traffic
DE102018207861A1 (de) * 2018-05-18 2019-1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lüssel mit taktiler Oberfläche, sowie ei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chlüssels
CN108952452B (zh) * 2018-06-28 2020-06-16 浙江吉利新能源商用车有限公司 一种遥控关窗的方法及装置
GB2577681A (en) * 2018-09-26 2020-04-08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R3097170B1 (fr) * 2019-06-14 2022-06-03 Psa Automobiles Sa Commande d’occultation d’un toit vitré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7286A3 (en) * 1995-10-02 1998-10-14 Motorola, Inc. Remote keyless entry and immobilization system for automotive use
JP2003082900A (ja) * 2001-09-12 2003-03-19 Denso Corp 車両用ワイヤレス制御装置
JP4507884B2 (ja) * 2005-01-11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US20070008088A1 (en) * 2005-06-08 2007-01-11 Lear Corporation A multipower passive entry fob
JP2007211567A (ja) * 2006-02-13 2007-08-23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電子キーの発信パラメータ調整方法及び電子キーの発信パラメータ調整システム
JP2008177813A (ja) * 2007-01-18 200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通信システム
CN101470440B (zh) * 2007-12-29 2013-07-17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车辆遥控起动系统及方法
US20090231094A1 (en) * 2008-03-14 2009-09-17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ple vehicle remote keyless entry apparatus
US8249802B2 (en) * 2009-08-14 2012-08-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keyless op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41807B1 (ko) 2010-03-03 2012-05-0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 스마트키 리모컨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 자동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156A (ko) 2014-08-25 2016-03-0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용 리모컨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0916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썬루프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9868A (zh) 2014-03-26
JP2014061866A (ja) 2014-04-10
US20140077931A1 (en) 2014-03-20
DE102012224467A1 (de)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705A (ko) 송신 무선신호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 리모컨 키와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702613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及び車両用ドア開閉制御方法
DE102017123254B4 (de) Fahrzeugsteuersystem
KR100638388B1 (ko) 키리스 엔트리장치
US694452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EP284317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KR101417455B1 (ko) 사용자 맞춤형 원격 차량 출입 시스템 및 그 방법
EP2372055A1 (en) Door courtesy switch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9177921B (zh) 基于智能移动终端实现pke的方法及系统
WO2018003345A1 (ja) 乗員検知システム及び乗員検知装置
US7653463B2 (en) Multi-range remote transmitter for a vehicle
JP5343552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WO2015015730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機、及び車載機
WO2014125650A1 (ja) 車両制御装置
JP5135921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20140022053A1 (en) Lock device
JP5098545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2610041B1 (ko) 보안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752684B (zh) 用于机动车辆的自动访问和起动系统及车辆访问管理方法
KR100916407B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오토 언폴딩 시스템
JP2015113613A (ja) 施解錠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5273329A (ja) 無線式ドア施解錠装置及び方法
KR102303232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159652B2 (ja) 車両用報知装置
JP2019210726A (ja) 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